김누리 교수
반교육의 나라에서 벗어나려면 | 김누리 중앙대학교 교수,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저자 | 교육 입시 경쟁 | 세바시 1165회세바시 강연 Sebasi Talk
Переглядів 455 тис. 4 роки тому
강연 소개 : 대한민국이 이룬 엄청난 경제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은 왜 이렇게 고통스럽게 살아야 하나요? 그 이면에 있는 어두운 ...
[전체영상] 김누리 교수 "파시즘의 시대...한국 사회는 후기 파시즘"-"윤석열, 한국 사회 부정 상징의 총화"장윤선의 취재편의점
Переглядів 79 тис. 9 годин тому
2025년 2월 7일 (금) 오늘 '현안 인터뷰'에서는 김누리 교수를 모셨습니다. - "파시즘 르네상스...한국 사회는 후기 파시즘" - "윤, 한국 ...
김누리 “尹 놓고... 엘리트들 궤변 허언 곡학아세... 전교 1등이 파시스트, 계엄보다 더 충격적”CBS 김현정의 뉴스쇼
Переглядів 231 тис. 14 днів тому
... FM 98.1 (07:1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김누리 (중앙대 교수) #극우세력 #법원폭동 #교육제도 #중앙대 #김누리교수 ...
값비싼 사교육, 이대로 두면 한국 소멸 위험? (김누리 교수)경제한방
Переглядів 60 тис. Рік тому
김누리 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독일유럽연구센터 소장 Q. 경쟁 없이 어떻게 평가하나? Q. 문화가 다른데 교육 바뀔까?
[학끼오TV] 김누리 교수 특강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혁명 | 네 개의 교육 열쇳말: 민주주의, 자치, 평화·생태적 시민성학끼오TV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 3 роки тому
주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혁명 | 네 개의 교육 열쇳말: 민주주의, 자치, 평화·생태적 시민성 일시: 3월 26일 금요일, 10:00~12:00 ...
[김누리 교수의 교육혁명_3탄] 한국의 교실을 바꿔라! -김누리 교수 인터뷰Education Shakers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 4 роки тому
학생들은 정치적 미숙아 취급, 교사들은 정치적 금치산자인 한국의 교실... 그 교실이 민주주의의 모판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정치적 ...
[국회 이제는 변해야 한다] 김누리 교수ch B tv 서울
Переглядів 9 тис. 4 роки тому
'동물국회'라는 오명을 쓴 20대 국회! 반목과 갈등이 반복된 국회! 민심을 저버린 국회! 국민의 대표가 모인 국회! 누구를 위한 국회인가 ...
학생이 바라보는 우리 학교는?_김누리 교수 1편세이브더칠드런
Переглядів 723 Рік тому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학생들에게 학교는 광장인지, 시장이었는지, 전장이었는지 물었습니다.” 김누리 교수, 모모모학교 서울 토크 ...
[김씨의 고민 2화 3편] 인기학과? 역차별? 독일 교육 Q&Aㅣ김누리 교수사교육걱정없는세상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 5 років тому
입시 경쟁, 과도한 사교육비, 많은 교육 문제의 근본 원인인 대학서열화.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꼭 필요한 일이라면 방법을 찾아봐야 ...
[2023 내 방에서 만나는 일상의 인문학 ②강] 파시스트를 키우는 한국 교육, 그리고 미래 (김누리)길 위의 인문학, 지혜학교
Переглядів 99 тис. Рік тому
2023 내 방에서 만나는 일상의 인문학 ②강] 파시스트를 키우는 한국 교육, 그리고 미래 강의 : 김누리(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
[최강1교시] EP.02 가장 강한 정치교육은 성교육이다? I 민주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I 독문학자 김누리캐내네 스피치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 3 роки тому
대한민국 최고의 강연 '최강1교시'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인물, 자신만의 강연 테마로 대중들로부터 ...
존엄한 삶을 위한 교육_김누리 교수 3편세이브더칠드런
Переглядів 677 Рік тому
능력주의의 교육을 넘어서 아이들 하나하나를 존귀한 존재로 여기는 존엄주의(디그노크라시) 교육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김누리 교수 ...
[슬라생] "우리는 지금 '파시스트'를 키우고있다" 김누리 교수, 다시 '민주주의'를 말하다 #윤석열 #민주주의 #탄핵 _241216YTN 라디오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 Місяць тому
ytn 라디오(FM 94.5) [YTN 뉴스FM 슬기로운 라디오생활] ◇박귀빈: 오늘은 이 한국 민주주의 역사에 대해서 좀 교수님과 짚어보려고 ...
왜 한국인들이 이렇게 죽어가나요? #김누리교수 #자기혐오 #자기학대 #능력주의 #경쟁교육숲에게 길을 묻는 사람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 10 місяців тому
세계 부동의 자살율 1위 국가, 대한민국. 중앙대학교 김누리 교수의 인문 특강 그는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이클 샌델 교수의 책 ...
[김누리 교수의 교육혁명_2탄] 우리의 대학은 죽었다! -김누리 교수 인터뷰Education Shakers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 4 роки тому
자본이 완전히 장악한 대학, 자본의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는 기관으로 전락한 대학이 그 목적을 상실하고 이미 죽었다고 말하는 김누리 ...
[1부 강연]⭐교육의 새 판을 함께 그리는 담대한 대담ㅣ#김누리사교육걱정없는세상
Переглядів 2,2 тис. 3 місяці тому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입시경쟁과 사교육 고통을 해결하는 대중운동입니다. ▷정부 지원금 0원!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모든 활동 ...
사람은 안 바뀐다고? 누가 그래요, 독일을 봐요!! #김누리교수 #교육혁명 #경쟁교육 #불평등숲에게 길을 묻는 사람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 끔찍했던 전범 국가 독일은 어떻게 지금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국가가 되었을까? 그 이유는 바로 교육!! 이라고 역설하는 김누리 ...
[오연호가 묻다] 김누리 교수의 분노 "미성숙 엘리트가 한국사회 지배, 독일에선 '윤석열 후보' 불가능"오마이TV
Переглядів 1,2 млн 3 роки тому
덴마크 행복교육 전문가 오연호가 묻고, 독일 정치교육 전문가 김누리 교수가 답하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2022년 대선의 새로운 ...
김누리 교수 /도시의 삶과 죽음, 존엄에 대하여 4강 - 교육대전환, 능력주의 교육에서 존엄주의 교육으로상지인문학아카데미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 Рік тому
'상지서울 인문학아카데미 - 도시의 삶과 죽음, 존엄에 대하여' 4강, "교육대전환, 능력주의 교육에서 존엄주의 교육으로" 중앙대학교 ...
【부모4.0】 성교육은 가장 중요한 정치교육 | 김누리 교수베이비뉴스
Переглядів 5 тис. 4 роки тому
【부모4.0】 성교육은 가장 중요한 정치교육 | 김누리 교수 #성교육 #정치교육 #김누리교수 “성교육을 독일에서는 굉장히 중시하는데 ...
김누리교수님이 생각하는 능력주의란? #shorts서울시민대학
Переглядів 3,3 тис. 3 роки тому
서울시민대학을 더 알고 싶다면 ▷sll.seoul.go.kr #서울시민대학 #강의 #정보 #지식 #교육.
50년 동안 경쟁 안 시킨 독일 교육의 결과 (김누리 중앙대 교수) #shorts / 스무디단비뉴스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 10 місяців тому
2024년 3월 14일 충북 제천시 세명대 학술관에서 봄 학기 첫 인문사회교양 특강이 열렸습니다. 첫 특강에서 김누리 중앙대 유럽문화 ...
[우아한 질문] 중앙대 김누리 교수 편울산광역시교육청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 4 роки тому
'우'리 모두 '아'주 궁금'한' 우아한 질문 여덟 번째는 중앙대 교수이자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의 저자인 김누리 교수 편 ...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특강] 민주주의자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 독일의 민주시민교육을 중심으로 (김누리 교수)인천문화재단
Переглядів 4,9 тис. 4 роки тому
2020인천문화예술교육주간행사-시작은 문화예술교육.
"한국은 어쩌다가 세계에서 가장 심하게 병든 사회가 되었을까?" 우리나라 경쟁교육의 문제점과 그 사회적 파장, 김누리 교수 인문 특강(2)숲에게 길을 묻는 사람
Переглядів 37 тис. 10 місяців тому
김누리교수 #교육문제 #불평등 #의사집단행동 #엘리트 #경쟁교육 #소아우울증 2024년 3월 첫 주말, 중앙대 김누리 교수가 여우숲 ...
김누리 교수의 "코로나시대, 교육혁신과 학부모의 역할"양천TV
Переглядів 568 3 роки тому
2020년 양천혁신교육지구 "학부모를 위한 명사초청 특강" 김누리 교수의 코로나 시대, 교육혁신과 학부모의 역할 -일시 2020.
[김지윤의 이브닝쇼] 김누리 교수 "코로나 사태, 미국 자본주의와 진보 낙관주의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해"TBS FM 95.1MHz
Переглядів 253 тис. 4 роки тому
답답한 퇴근길 유쾌하고 편안한 인터뷰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격이 다른 시사토크쇼 [김지윤의 이브닝쇼] [ 포스트 코로나 특별기획 ] 2 ...
[김씨의 고민 2화 1편] 독일은 원하는 대학, 원하는 과를 원하는 때에 간다? - 한국과 독일의 교육철학ㅣ김누리 교수사교육걱정없는세상
Переглядів 20 тис. 5 років тому
대학서열해소는 불가능한 꿈일까요? - 2화 김누리 교수님 '한국독어독문학회 회장', ' 중앙대학교 독일유럽연구센터 소장' 으로 계신 ...
[김누리 교육✏️특강] ’의대 블랙홀‘ 빠진 한국교육! 이렇게 바꾸자 | 김누리 중앙대 교수 | #이슈픽쌤과함께 | KBS 20230827 방송KBS 다큐
Переглядів 160 тис. Рік тому
[방송일] 한국교육은 왜 무너졌는가 - 김누리 중앙대 독어독문과 교수 (23년 8월 27일 방송) 이슈픽 하이라이트 #한국교육 #교권 #학생 ...
한국 교육에서 반드시 없어져야 할 4가지 - 김누리 교수학공세 (학부모가 공부하는 세상)
Переглядів 2,5 тис. 4 роки тому
한국 교육에서 반드시 없어져야 할 4가지 코로나 넘어 새로운 길 찾기 김누리 교수 초청 강연회 ◇ 학공세 네이버 블로그 ...
창작, 생존, 자립, 자본 : 미디어 아티스트의 홀로서기 DAY 1 - 자본주의 (김누리/임태훈)art center nabi
Переглядів 4,2 тис. 2 роки тому
... 관한 내용을 중앙대 김누리 교수님과 성균관대 임태훈 교수님의 강연을 통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김누리 교수 칼럼 다운로드 링크 ...
김누리와 오연호가 손을 잡았다, 독일 정치교육과 덴마크 행복교육 전문가의 ‘의기투합’오마이TV
Переглядів 2,9 тис. 3 роки тому
전체보기 : ua-cam.com/video/lFoian7WyHg/v-deo.html 덴마크 행복교육 전문가 오연호가 묻고, 독일 정치교육 전문가 김누리 교수가 답하다. 아무도 ...
《코로나 사피엔스, 새로운 도약》 출간 기념 북토크(with 김누리 교수, 박혜진 아나운서)인플루엔셜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 3 роки тому
《코로나 사피엔스, 새로운 도약》 출간을 기념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가 지향해야 할 가치"라는 주제로 온라인 북토크를 진행 ...
한국 교육에서 수능을 없애야 하는 이유, 들을수록 눈물이 납니다 - 김누리 교수 (중앙대 독어독문학과) [성공예감 이대호입니다] 2부 심층 인터뷰 | KBS 241112 방송KBS 1라디오
Переглядів 28 тис. 2 місяці тому
2부 심화 학습! *심층 인터뷰 경쟁 없는 교육을 위해 - #수능 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평가 방식 - #사교육 의 원인과 #공교육 회복 방안 ...
[전일예고] 포스트 코로나,뉴노멀을 말하다_김누리 교수편빅퀘스천 Big Questions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 4 роки тому
#SBSCNBC #포스트_코로나 #김누리교수.
과도한 의대 쏠림. 한국의 미래는 없다 (김누리 교수)경제한방
Переглядів 150 тис. Рік тому
김누리 중앙대 독어독문학과 교수 Q. 우리 교육, 어쩌다 무한경쟁판이 됐나? Q. 경쟁의 사회발전 기능은 끝났다? Q. 교육개혁, 성과는 ...
제1201회 21세기 장성아카데미 - 거대 위기 시대 대한민국 대전환 / 김누리 교수장성군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 14 днів тому
제1201회 21세기 장성아카데미 유튜브 생중계 온라인강연 - 일 시 : 2025. 1. 23.(목) 16:00 ~ 18:00 - 강연주제 : 거대 위기 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