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누리교수 비판
김누리 “尹 놓고... 엘리트들 궤변 허언 곡학아세... 전교 1등이 파시스트, 계엄보다 더 충격적”CBS 김현정의 뉴스쇼
Переглядів 231 тис. 21 день тому
... FM 98.1 (07:1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김누리 (중앙대 교수) #극우세력 #법원폭동 #교육제도 #중앙대 #김누리교수 ...
[오연호가 묻다] 김누리 교수의 교육혁명 제안 “윤석열의 ‘공정’은 거대한 퇴행, 야만의 트라이앵글을 깨부수자“오마이TV
Переглядів 126 тис. 9 місяців тому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재가공 이용 금지 김누리 중앙대 독문과 교수는 2024년 4월20일 공개된 오마이TV의 '오연호가 묻다'와의 인터뷰 ...
"능력주의는 폭군이다!" - 김누리(중앙대 독어독문과 교수)ㅣ2021 사회대변혁 특별포럼 기조강연사교육걱정없는세상
Переглядів 44 тис. 3 роки тому
※코로나19로 인해 포럼은 발제자와 토론자 등 필수 인원만 현장에 참석하였습니다. #김누리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사교육걱정없는 ...
"한국은 어쩌다가 세계에서 가장 심하게 병든 사회가 되었을까?" 우리나라 경쟁교육의 문제점과 그 사회적 파장, 김누리 교수 인문 특강(2)숲에게 길을 묻는 사람
Переглядів 37 тис. 10 місяців тому
김누리교수 #교육문제 #불평등 #의사집단행동 #엘리트 #경쟁교육 #소아우울증 2024년 3월 첫 주말, 중앙대 김누리 교수가 여우숲 ...
[김누리 교육✏️특강] ’의대 블랙홀‘ 빠진 한국교육! 이렇게 바꾸자 | 김누리 중앙대 교수 | #이슈픽쌤과함께 | KBS 20230827 방송KBS 다큐
Переглядів 160 тис. Рік тому
[방송일] 한국교육은 왜 무너졌는가 - 김누리 중앙대 독어독문과 교수 (23년 8월 27일 방송) 이슈픽 하이라이트 #한국교육 #교권 #학생 ...
김누리 씨의 한국 반교육론을 비판한다 [세상을 바꾸는 십분: 세바텐]권교사채널: 권재원의 교육과 사회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 4 роки тому
세상에 대한 비전을 함께 나눕니다. 사회교사의 임무는 교실에서 끝나지 않고, 세상에 참여함으로써 마무리 됩니다. 작가 소개(네이버 ...
【부모4.0】 ‘경쟁 없는 교육’이 하향평준화를 야기한다고요? | 김누리 교수 독일교육베이비뉴스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 4 роки тому
【부모4.0】 '경쟁 없는 교육'이 하향평준화를 야기한다고요? | 김누리 교수 독일교육 #김누리교수 #김누리독일교육 #경쟁없는교육 ...
값비싼 사교육, 이대로 두면 한국 소멸 위험? (김누리 교수)경제한방
Переглядів 60 тис. Рік тому
김누리 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독일유럽연구센터 소장 Q. 경쟁 없이 어떻게 평가하나? Q. 문화가 다른데 교육 바뀔까?
김누리 교수님 특강 - 2부 : 독일의 비판교육배움공동체숲나
Переглядів 689 2 роки тому
[숲나학교] 김누리 교수님 초청 강연 '우리에겐 절망할 권리가 없다'의 저자 김누리 교수님께서 숲나를 방문해 주셨습니다. 학기 초 ...
[김누리 교수의 교육혁명_1탄] 우리의 교육 현실은 지옥이다! -김누리 교수 인터뷰Education Shakers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 4 роки тому
김누리 교수님(중앙대학교 독일어문학전공 교수)이 "우리의 교육 현실은 지옥이다" 라고 말하며 신랄한 비판을 하게 된 이유가 무엇 ...
성적, 석차, 입시 없앤 독일! 한국 교육도 경쟁 없애려면 '이것'부터 하자 (김누리 중앙대 교수,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 인문사회교양 특강) [스무디 15화]단비뉴스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 10 місяців тому
00:34 독일 초등학생 시위로 보는 독일 교육 03:33 의대생, 의사 파업으로 보는 한국 교육 현실 08:10 한국 경쟁 교육의 근원 찾아보니 ...
[명사특강]김누리 교수에게 듣는다 (2) 자본주의를 넘어공공운수노조kptu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 3 роки тому
김누리 중앙대 교수와 함께 코로나19부터 공정성 논란까지 한국사회 현실을 살펴본다. 2편은 자본주의 체제 비판하는 '자본주의를 ...
김누리 교수 /도시의 삶과 죽음, 존엄에 대하여 4강 - 교육대전환, 능력주의 교육에서 존엄주의 교육으로상지인문학아카데미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 Рік тому
'상지서울 인문학아카데미 - 도시의 삶과 죽음, 존엄에 대하여' 4강, "교육대전환, 능력주의 교육에서 존엄주의 교육으로" 중앙대학교 ...
[포스트코로나, 뉴노멀을 말하다] 자본주의 결정적 결함...끝없는 소비가 멈추면?빅퀘스천 Big Questions
Переглядів 24 тис. 4 роки тому
[포스트 코로나,뉴노멀을 말하다] 출연: 김누리 중앙대 교수 SBSCNBC : cnbc.sbs.co.kr/ #포스트코로나 #뉴노멀 #김누리교수 ...
[오연호가 묻다] 김누리 교수의 분노 "미성숙 엘리트가 한국사회 지배, 독일에선 '윤석열 후보' 불가능"오마이TV
Переглядів 1,2 млн 3 роки тому
덴마크 행복교육 전문가 오연호가 묻고, 독일 정치교육 전문가 김누리 교수가 답하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2022년 대선의 새로운 ...
[김누리 교수의 교육혁명_2탄] 우리의 대학은 죽었다! -김누리 교수 인터뷰Education Shakers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 4 роки тому
자본이 완전히 장악한 대학, 자본의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는 기관으로 전락한 대학이 그 목적을 상실하고 이미 죽었다고 말하는 김누리 ...
[김씨의 고민 2화 3편] 인기학과? 역차별? 독일 교육 Q&Aㅣ김누리 교수사교육걱정없는세상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 5 років тому
입시 경쟁, 과도한 사교육비, 많은 교육 문제의 근본 원인인 대학서열화.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꼭 필요한 일이라면 방법을 찾아봐야 ...
김누리교수님이 생각하는 능력주의란? #shorts서울시민대학
Переглядів 3,3 тис. 3 роки тому
서울시민대학을 더 알고 싶다면 ▷sll.seoul.go.kr #서울시민대학 #강의 #정보 #지식 #교육.
사유가 있는 독일교육_김누리 교수 2편세이브더칠드런
Переглядів 36 тис. Рік тому
오늘날의 독일 사회를 만든 가장 중요한 요인은 킨더라덴입니다.” 김누리 교수, 모모모학교 서울 토크콘서트 中 몸, 마음, 머리가 행복한 ...
우리 교육을 살리는 효과적인 3가지 방법!!(김누리 중앙대 독어독문학과 교수)교육대기자TV
Переглядів 40 тис. Рік тому
2028 대입개편을 앞두고 우리 교육제도의 미래를 고민하는 요즘입니다. 우리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김누리 ...
'코로나와 미래생명교육 2부' ㅣ 김누리 교수 / MBC강원영동 201122 방송MBC강원영동
Переглядів 2,9 тис. 4 роки тому
2020년 11월 22일 MBC 강원영동 특집프로그램 강연자 : 김누리 교수 주제 : '코로나와 미래생명교육 2부 - 민주시민 포럼'
[김누리 교수의 교육혁명_3탄] 한국의 교실을 바꿔라! -김누리 교수 인터뷰Education Shakers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 4 роки тому
학생들은 정치적 미숙아 취급, 교사들은 정치적 금치산자인 한국의 교실... 그 교실이 민주주의의 모판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정치적 ...
[전일예고] 포스트 코로나,뉴노멀을 말하다_김누리 교수편빅퀘스천 Big Questions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 4 роки тому
#SBSCNBC #포스트_코로나 #김누리교수.
2023 중앙대 김누리 교수 초청 강연 "다시 대학을 생각한다~거대 위기 시대의 대학과 대학생"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CER)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입니다. 2023년 사범대학 독어교육과에서 진행한 초청 강연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독어 ...
[최경영의 최강시사]|[설특집 '책에서 길을 찾다 - 미래 편] -김누리 교수(중앙대 독문과), 김호기 교수(연세대 사회학과)|KBS 220201 방송KBS 1라디오
Переглядів 177 тис. 3 роки тому
설특집 '책에서 길을 찾다 - 미래 편] 1. 지속 불가능 자본주의 (사이토 고헤이 저) 2. 오늘부터의 세계 (안희경 저) -김누리 교수(중앙대 ...
"전교 1등을 했던 의사, 판사, 검사들은 어쩌다 저 지경이 된 것일까?" 우리나라 경쟁교육의 문제점과 그 사회적 파장, 김누리 교수 인문 특강(1)숲에게 길을 묻는 사람
Переглядів 95 тис. 10 місяців тому
김누리교수 #교육문제 #소아우울증 #의사집단행동 #엘리트 #경쟁교육 2024년 3월 첫 주말, 중앙대 김누리 교수가 여우숲 인문학 ...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특강] 민주주의자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 독일의 민주시민교육을 중심으로 (김누리 교수)인천문화재단
Переглядів 4,9 тис. 4 роки тому
2020인천문화예술교육주간행사-시작은 문화예술교육.
[당일예고] 포스트 코로나,뉴노멀을 말하다_김누리 교수편빅퀘스천 Big Questions
Переглядів 840 4 роки тому
#SBSCNBC #포스트_코로나 #김누리교수.
[김씨의 고민 2화 1편] 독일은 원하는 대학, 원하는 과를 원하는 때에 간다? - 한국과 독일의 교육철학ㅣ김누리 교수사교육걱정없는세상
Переглядів 20 тис. 5 років тому
대학서열해소는 불가능한 꿈일까요? - 2화 김누리 교수님 '한국독어독문학회 회장', ' 중앙대학교 독일유럽연구센터 소장' 으로 계신 ...
코로나가 들춰낸 미국식 자본주의 속살 _김누리 중앙대 교수빅퀘스천 Big Questions
Переглядів 2,9 тис. 4 роки тому
#SBSCNBC #김누리교수#코로나19.
민주주의 얘기 지겹지만..."안하기가 쉽지 않아🐳" - 유혜영 교수, 신기욱 소장, 김만권 교수, 김누리 교수 / SBS D포럼(SDF)SBS D FORUM (SDF)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 2 роки тому
코로나를 겪으면서 마스크를 써야하는지, 아닌지 같은 개인 삶의 이슈가 사실은 정치의 영역이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는 나날 ...
[사사건건 플러스] ※공감※ 독일은 되고 우리는 왜 안돼?!! 폭력성 교육 OUT _210514(금)KBS사사건건
Переглядів 2,7 тис. 3 роки тому
김누리 교수, 코로나 교훈은 "나 혼자 건강할 수 없다" -"한국은 극단적인 경쟁 교육 속에서 아이들이 연대와 협력의 가치 경시" -"경쟁 ...
[오연호가 묻다] 김누리 교수의 솔직한 고백 “내 안에도 파시즘이 있다”오마이TV
Переглядів 9 тис. 3 роки тому
덴마크 행복교육 전문가 오연호가 묻고, 독일 정치교육 전문가 김누리 교수가 답하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2022년 대선의 새로운 ...
[예고]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을 말하다_김누리 교수편빅퀘스천 Big Questions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 4 роки тому
#SBSCNBC #포스트_코로나 #김누리교수.
[대화의희연]김누리 교수와 교육의 미래를 논하다: 경쟁보다 연대를조희연TV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 2 роки тому
차이 나는 클래스의 김누리 교수와 대학체제 개편을 이야기했습니다. 그 마지막 이야기. 이대남 현상 ...
대학 교육이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요? | 김누리 중앙대학교 교수 w/ 구범준 PD | #교육 #정치 #투표 | 세바시 나머지 45분 ep.2세바시 강연 Sebasi Talk
Переглядів 749 тис. 4 роки тому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저자 김누리 교수가 말하는 대학교육, 우리나라 대학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요? 세바시 강연에서 ...
한국 교육의 치명적인 4가지 문제점 알려드립니다!(김누리 중앙대 교수)교육대기자TV
Переглядів 52 тис. Рік тому
수능을 비롯해 대입 개편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지금,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 교육이 반드시 ...
[예고편] 민주시민의 기본소양은, 삐딱함이다!?ㅣ김누리 교수ㅣ중앙선거관리위원회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 3 роки тому
한국의 경쟁교육에 대한 일침을 날린 화제의 교수 김누리! [선거, 아는만큼 보인다]에서는 일상의 민주주의에 대한 일침을 날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