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대란 후 15년, 한국 의료/병원의 모습은? K의새와 함께 예측해보자! (2024)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293

  • @부자파파-u2m
    @부자파파-u2m 11 місяців тому +55

    큰틀에서 저도 똑같이 생각합니다.
    그나마 의료 민영화를막는 방법은... 대형 자본들이 분원 취소할때까지 계속 지금 상태를 유지해서 적자를 만들어주면 됩니다.
    이번에 전공의들 빨간약 먹었죠. 계속 적자 늘려주면 됩니다. 대형 자본이 분원 취소할때까지요.
    국민들은 의료 민영화를 막을려고 노력하는게 의사 집단인걸 모르고 있죠.

  • @윤효숙-k8j
    @윤효숙-k8j 10 місяців тому +21

    의사샘들 전공의 와
    의대교수님들 개원의님들 응원하고 존경합니다 정치인은 존경한사람 없는데 ~~

  • @추적금
    @추적금 11 місяців тому +81

    저는 한국에서 22년째 개원을 하고 있는 내과의사입니다. 관심 가져주시고 좋은 얘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의료 참 걱정입니다. 이번에 못 지키면 후회해도 늦을텐데요. 저도 가끔 미국이나 캐나다 교포가 와서 위, 대장내시경 검사를 하고 가는데 보험이 없어도 너무 감사하다고 인사를 합니다. 저렴하고 빨라서 그렇지요 근데 안타깝게 국민들은 그걸 모릅니다. 언론에서 올바로 보도를 안하니요.

    • @hawk8873
      @hawk8873 7 місяців тому

      요즘 내시경 숫가가 얼마인가요?

    • @천리안-e1p
      @천리안-e1p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언론에서 올바른 보도를
      물론 안하는 점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글러먹은
      국민성이 더 큰 원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 @aechung9304
      @aechung9304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카나다는 의료 사회주의라 접수하고 한달은 기다려야 하고, 병원바닥에 누워있다고 아는 언니가 얘기해요. 왠만하면 겸사겸사 한국방문하면서 병원도 치과도 간다고 했어요.그게 항공료 빼고도 싸다고 해요.

    • @hawk8873
      @hawk8873 4 місяці тому

      @@mslee5042 /그럼 재명이 빨갱이를 찍고 국가 멸망당하라구? 말이 되는 소릴 해라. 다만 이제 보수들도 눈치 깠지만 굥이 보수에 잠입한 민주당 간첩이였다는 사실인게지. "보수에 잠입하여 보수를 파멸시키겠습니다."-느그 민주당 새끼들이 수거해가라. 어차피 국가 파멸로 간다. 국방 망한건 알지?

    • @mslee5042
      @mslee5042 4 місяці тому

      국민들이 왜 몰라요 우리나라 의료보험, 의사들 실력, 의료접근성 최고인거 아는데요.. 의사분들 왜 2찍 하셨어요..😢

  • @송지안-t4g
    @송지안-t4g 10 місяців тому +31

    정확한 분석입니다.한국의 부모들 자식의사만들기 열망을 이용하는 것 같아요.

  • @수선화-l5z
    @수선화-l5z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잘 봤습니다~
    좋은 방송으로 보였어요

  • @자유시장-g4i
    @자유시장-g4i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선생님 예상에 너무 동의합니다

  • @김태균-u4d
    @김태균-u4d 10 місяців тому +13

    통찰력 있는 설명 감사합니다. 저도 선생님말대로 진행될거라 생각합니다.

  • @wjbong9470
    @wjbong947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2

    앞으로 한국의료에 전개될 것으로 예측되는 큰변화와
    그방향에 대한 진지한 선생님의 분석말씀에
    이번 의료사태의 본질과
    자본의 큰손들이 그리는 영리추구의 큰그림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황진미-h4f
    @황진미-h4f 10 місяців тому +9

    예측이 매우 정확해 보입니다. 완전히 공감하고 동의합니다.

  • @deoggeunkim4058
    @deoggeunkim4058 11 місяців тому +21

    깊은 통찰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의대생 아빠인데 애 데리고 이민 갈겁니다. 10년후 와서 확인 할겁니다. 얼마나 망가져 있는지.

    • @jackchris8265
      @jackchris8265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희도 이민가고 싶은데요.
      이민 어렵던데, 방법 조언 부탁 드립니다

  • @정복희-z6i
    @정복희-z6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1

    네 의사샘 말씀에 공감합니다. 전공의 선생님들 잘 대처해 주세요.

  • @angelakim2660
    @angelakim266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Phase 1, 2, 3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정부는 현직 의사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국민을 위한 진정한 의료 정책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Dr. Lee처럼 현직 의사가 일반인에게 의료 분야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을 쉽게 설명하고 알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인들은 의료 분야에 대한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며, 미디어에서 전달되는 정보로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협상이 잘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미국에서 응원합니다!

  • @user-sj1cx3nt8y
    @user-sj1cx3nt8y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공감합니다

  • @bugypop0
    @bugypop0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선생님의 비전에 매우 동의합니다. 이른바 지표병원들에서 신포괄시범사업이 조용히 진행되고있습니다.

  • @volker8254
    @volker8254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혹세무민이 가장 적합한 상태입니다

  • @빨간여우-c5x
    @빨간여우-c5x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도 같은생각입니다 ㅠ 대만처럼 갈꺼같아요

  • @Woojjujju852
    @Woojjujju852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와 통찰력 대박입니다 👍 저도 예상은 했는데 머릿속에서 정리가 안됐었는데 싹 이해됐어요

  • @uncut125f
    @uncut125f 11 місяців тому +20

    1. 늘어나는 수도권 대형병원 분원들의 추가적인 수익창출
    2. 포괄수가제, 대형병원에 집중되는 수익창출
    3. 10~15년 뒤 의료민영화 수순에 따른 대형병원의 이익 극대화
    결국은 대형병원과 보험회사라는 거대이익집단의 배불리는 정책이라는거에 동의합니다
    앞으로 미국처럼 의료에 관해서 만큼은 무서운 세상이 될듯 하네요

  • @조필로스
    @조필로스 9 місяців тому +21

    전체적으로 많은 의사들이 그 방향성에 공감하는것 같습니다. 그런 변화가 감지될쯤에야 언론이나 국민은 그제야 알게될거예요. 이전의 한국의료가 얼마나 좋았는지..

  • @hellocho-o5t
    @hellocho-o5t 10 місяців тому +20

    이 상황이 너무 안타깝네요. 우리 아이들의 미래가 걱정됩니다. ㅠㅠ 큰 그림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종욱-k9l3t
    @김종욱-k9l3t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슬프게도 이 영상이 성지가 될것같은 예감이 듭니다.

  • @JJOBOONG
    @JJOBOONG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선생님, 오늘 강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조혜진-l7f
    @조혜진-l7f 10 місяців тому +11

    전공의선생님들께서 그동안 고마운분이셨네요

  • @dr.bong1313
    @dr.bong1313 11 місяців тому +11

    미국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신 것 너무 부럽습니다 😭😭 이 사태가 끝이나도 뭔가 이전 처럼 의욕있게 일을 할 수 있을지 저 자신도 잘 모르겠습니다

    • @hawk8873
      @hawk8873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다 마찬가지 입니다. 개원의의 경우 서랍속에 아예 항 우울제 쟁여놨다가 그날따라 기분 안좋다 싶으면 며칠간 약 퍼먹습니다. 안그러면 환자 진료를 제대로 못하고 짜증내기 쉬우니까.

    • @greenfieldred2848
      @greenfieldred2848 6 місяців тому +2

      @@hawk8873 그 정도로 힘들다 표현으로 이해하겠습니다. 요즘 글을 쓰면서 한번 더 생각하게 됩니다. 선생님.

  • @안병록-o2q
    @안병록-o2q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깊은 통찰에 감사드립니다.

  • @자네자나
    @자네자나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저는 처음부터 이번 의대증원 사태의 밑바닥에 수도권 대형병원 분원이 있다고 생각해왔습니다
    6600병상 병원 개원? 전공의부족? 의대증원! 이런식으로요
    다만 의료계랑 전혀 관련없이 살아오느라 어떤 방식으로 전개될지는 몰랐었습니다
    많은 유튜브에서도 어째서인지 그 문제는 다루지 않더군요
    덕분에 모호했던 생각이 정리가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비제이리
    @비제이리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완전 공감합니다
    기형적인 한국사회의 맹점을 정확히 보신것 같습니다
    정치인도 돈과권력을 위한 직업이지 국민을 위한 봉사직이 절대 아니죠

  • @빔탈모-d5f
    @빔탈모-d5f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결국 핵심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지금의 방식은 지속불가능하고 미국식 의료모델을 따르게 된다는 거군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 @LA-sisa
    @LA-sisa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선생님의 이야기를 잘 듣고 있습니다
    전공의 선생님들과 여러 의사선생님들을 적극 지지합니다.
    혹시 정신과 전문의사 선생님으로서
    윤석열의 정신분석을 방송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내가 볼때는 윤석열은 5살 정신연령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1. 자기가 내뱉은 말이 틀린 걸로 드러나도 남탓하기, 그런 말 한 적 없다고 우기기
    2. 남이 지적하면, 오히려 분노 격노 책상을 주먹으로 내려치기 등을 동원하여
    상대방의 기를 꺽으면서, 기필코 자기가 옳다고 우기기
    3. 상대방을 악마화하여, 자신을 정의인 것처럼 위장하기
    등등
    이러한 행태를 보이는 윤석열의 정신을 정신과 전문의 선생님 관점에서
    방송해 주실 수 있습니까?

  • @평경장-g3o
    @평경장-g3o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6600병상에 대한 의미있는 해석 감사합니다

  • @장백산-t1s
    @장백산-t1s 8 місяців тому +6

    미래예측에 공감합니다.

  • @SmotherMe-i2n
    @SmotherMe-i2n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번 의대증원 사태가 일부러 건강보험 고갈을 빨리하게하려는건지.. 단계별로 각자 이해관계로 잘 설명하셨네요.

  • @골드제스퍼
    @골드제스퍼 2 місяці тому +2

    전공의가 그만두는거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바는 아니지만, 예전부터 저임금에 고강도 업무에 굉장한 의문점이 있었습니다. 의료대란에 통찰력에 놀랐습니다. 민영화는 어느정도 예상했지만, 이런식으로 이뤄질수 있을거라 생각지 못했습니다. 공적으로는 전공의 이탈은 반대지만 개인적으로는 비참할 듯 싶습니다. 전공의 이탈전에 국민들이 선배 의사들이 전공의 지지를 했으면 좋았을 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국민들이 선배의사들이 이제 사회에 나온 전공의들을 지지 주길 빕니다. 물론 정부의 무책임한 증원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 @idontcare9743
    @idontcare9743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의약분업때부터 지켜보면서 이제 의사들이 더이상 물러설 수 없는곳까지 왔다는 생각이 들고 무서운 진실이 닥쳐오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은퇴할 나이가 되어 여기저기 몸도 고장나고 있는 간호사로 걱정입니다.
    자식들이 살아가면서 병원 문턱이 높아질까봐 불안하고요.

  • @hyeonhoyson3260
    @hyeonhoyson3260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오늘도 많이깨우쳤어요~

  • @JW-ro4be
    @JW-ro4b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은 인사이트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lightgreen7685
    @lightgreen7685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Q현
    @Q현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의사선생님들, 응원합니다❤

  • @애주가TV참피디
    @애주가TV참피디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선생님 잘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컨텐츠 기대하겠습니다

  • @삼총사-w4d
    @삼총사-w4d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잘들었습니다. 감사

  • @freemarketrights4633
    @freemarketrights4633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잘 정리해주셨습니다.

  • @홍사혁-r7o
    @홍사혁-r7o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맞습니다. 끝에는 거대자본이 있죠ㅠ

  • @강규림-z1m
    @강규림-z1m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포괄수가제를 넘어서 가치기반지불제도로 아예 돈을 안주겠다고 하네요... 상상을 뛰어넘습니다

  • @seunghyuklim1296
    @seunghyuklim1296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청다리
    @청다리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참 안타깝네요..
    국민들 위한 정치를 기대하는게 욕심이겠죠

  • @라람구
    @라람구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이렇게 되면 의사의 가치는 어떻게 될까요?? 많아 추락할까요?? 아니면 그래도 여전히 전문직에선 높은편일까요?

  • @pastatuna2557
    @pastatuna2557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너무나 맞는거 같아서 끔찍합니다.
    의사도 탈조가 정답인 세상으로 가네요.

  • @amyholland9383
    @amyholland9383 3 місяці тому +2

    우리나라는 3차 병원이 내집앞 동네의원수준으로 가기 쉽습니다. 막질 않아요

  • @jjinyyutube0708-.
    @jjinyyutube0708-.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렇게 추측하고 있었는데...ㅠ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sukilim2567
    @sukilim2567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음~큰그림
    너무 맞는거 같아요. 우파대통령이 왜 저럴까 였는데 이제 이해가 됐어요.

  • @CEn-i6b
    @CEn-i6b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안녕하세요.
    선생님 말씀듣고 저희 아들 본과 4학년 휴학 했는데 군대 다녀와서 미국행 준비하려 합니다.
    의사를 악마 취급하는 한국 의료는 앞으로 미래가 없는것 같습니다.
    윽박지르고 명령하는 정부의 태도도 그렇지만 악플 다는 사람들 때문에 많이 힘들어 합니다.
    어떻게 저런 단어들 말들을 글 이라고 쓸수있는지 참..
    먼저 욕 하기 전에 찾아보고 왜 그런지 생각해보고 조금만 관심 갖고 들여다 보면 답이 나올텐데요.
    또 반박하시는 분들 있겠지만 우리아들 10대 20대를 책상에서만 보낸시간이 더 많은데 과연 댓글다는 사람들 중에 한분야에 1만시간 이상 투자 하고서 악플다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그사람들은 1만 시간의 법칙 이란걸 아는지 그 시간만큼 투자한 사람은 어딴분야의 전문가가 되어 있지 않을까요?
    자본주의 민주주의 사회에서 노력하고 시간투자해서 돈버는게 그렇게 손가락질 받을 일인가요?
    의사면 돈 못벌어도 시골가서 의사 해야지 그게 의사지 하는게 맞는 건가요?
    자기네들 의료보험 낸돈으로 돈 번다고 하는데 그런 논리면 티비를 보고 핸드폰을 쓴다고 삼성을 자기네가 먹여 살리는 거고 그래서 그런회사는 경영난이 생겨도 문을 닫으면 안되는 논리 아닌가요?
    저희 아들 인성좋습니다.
    의대생 전공의들 휴학하고 사직했다고 인성이 어쩌고 저쩌고 하는 그런 댓글 달고 있는 그 사람들이 인성 운운할만한 인성은 아닌듯 한데.
    악플다는 분들 참 안타깝습니다.
    아들이 다른나라 가서 의사 해야겠다 해서 찾아보다가 선생님글 도움이 되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어잉우엉
    @어잉우엉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대형 병원이랑 연계한 프렌차이즈 병원이 늘어날 거 같네요. 의료민영화 + 동네병원의 프렌차이즈화가 된다면 중간 마진을 먹는 이해관계자가 등장하므로 결국 의사와 국민 모두에게 좋지 않은 결과가 발생 할 거 같네요 ㅜㅠ.

  • @livingthedream983
    @livingthedream983 3 місяці тому

    썜 이머리 어울리시는데 언제 머리 한번 짧게 자르시고 이 스타일로 또 등장해주세요!!!

  • @hawk8873
    @hawk8873 7 місяців тому +1

    phase 1 현실화 되면 남자의 경우 3년+39개월(군의관, 공보의) 합이 무려 6년하고도 3개월을 강제로 뺑이쳐야 하는군요. 중간에 포기하면 면허가 안나오던지 아예 사람 구실 못하게 말들어 놓고. 포괄 수가제, 총액 계약제는 이미 부분 시행중이고요.

    • @DrLeePsychiatry
      @DrLeePsychiatry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군의관, 공보의로 시간 보내는것의 기회비용은 점점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현역 18개월 복무가 훨씬 낫습니다

  • @mimi-ps1rd
    @mimi-ps1rd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 @choteam1990
    @choteam1990 11 місяців тому +9

    의새라...나에게 매일 오는 그 자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적나라하게 알게된 그 단어.
    지금껏 박애주의적 정신을 발휘해서 그들의 아픈것에 같이 슬퍼해주고 속상해 해주던 일이 바보같이 느껴지게 해주는 그 단어.
    돈은 바라지도 않았다. 그저 사회에 도움되는 일을 하고자 선택하고 주변 동료들이 말릴 때도 누군가는 해야할 일이라며, 그래도 보람된 일이라며 지속해오던 일에 회의감이 느껴지는 한마디.
    의새.

    • @이은정-k7b8v
      @이은정-k7b8v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참으로 속상하시겠어요ᆢ힘내시길ᆢ

    • @kyungheepark9563
      @kyungheepark9563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선생님~~
      저희 가족들은 모두 의사선생님 덕분에
      몇 번의 죽을 고비를 넘기고 평범하게 살고 있습니다.
      아버지(암) 어머니(담낭절제)..
      작년에 응급으로 동생이 119 로 응급입원 수혈 2개 맞고 죽다 살았습니다. 요즘 상황이면 ... 아찔합니다 .
      마음으로 늘 교수님 ,전공의 선생님, 간호사님 ,수혈해주신 분, 119 대원 . 병원 관계자분들 모두 고맙게 생각하며
      받은 은혜 갚으며 살아야지 다짐하며 조금이나마 어려운 이웃에 나누는 삶을 실천 하고 있습니다.
      이 번 사태로 속상하고 또 억울하고 화나고 슬프시리라 충분히 이해 됩니다 . 환자였고 앞으로 또 환자가 될 국민의 한 사람으로 머리숙여 죄송합니다....그리고 또한 감사합니다. 부디 건강 잘 챙기셔서 뉴노멀의 시대에 빛을 받기를 기원합니다

  • @권오준-v9g
    @권오준-v9g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전공의들이 더 이상 이용당해서는 안되겠네요. 전공의들이 뭉쳐야 살겠네요

  • @Leeqwer
    @Leeqwer 11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 깊은 통찰이십니다 주영쌤!

  • @nor-xj4dq
    @nor-xj4dq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역쉬 스마트한 분
    몇수 앞을 보시네요!

  • @피터허
    @피터허 11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정말 동감합니다. 이번 필수의료개선 패키지에 있는 보험-비보험 동시 진료 금지가 제 생각에는 향후 민영화로 가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거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처음에는 도수치료처럼 사람들을 설득하기 쉬운부분만 적용하다가, 나중에 건강보험공단재정이 모자라게 되면 범위를 크게 넓히고, 수면내시경처럼 불편을 야기하는 비보험화된 의료들을 보장해주는 보험사들이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공단의 역할을 민영보험사에 넘길거라고 상상해보고 있습니다. 다른 생각 있으시면 코멘트 주시면 제 생각을 다듬는데 정말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 @정보람-x6q
    @정보람-x6q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정치인에 심리?속셈까지 제대로 성찰하신 통찰이시군요

  • @청다리
    @청다리 10 місяців тому

    좀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정확한 분석인듯 합니다.. 느낌적인 느낌

  • @jaehosong5920
    @jaehosong5920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맞는 말 입니다.
    결국 민영화죠.
    근데 왜 건희 명품백, 처가일가 땅 문제가 크게 일어날 때 이러는지...
    국민은 개, 돼지 입니다.

  • @여기가지옥
    @여기가지옥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는 개인적으로 정부가 왜 이렇게 무리하게 추진하는 건지 그 동인에 대해 이해가 안 됐는데, 선생님 방송을 듣고나니 좀 이해가 되는 듯 합니다. 그리고 그런 면에서라면 정부가 굉장히 영리하게 여론전을 펼쳐가면서 추진하고 있는 듯 싶고요. 민영화가 된다면 저같은 사람들은 병원 이용 문턱이 굉장히 높아질테고, 그러면 최대한 건강하게 살면서 병원 신세를 덜 지는 수밖에 없을 듯 한데… 모르겠습니다. 방송 잘 봤습니다.

  • @dld-q7z
    @dld-q7z 11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본1인데 걱정이 많네요

  • @sun-geunlee6785
    @sun-geunlee6785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는 phase1에서 학생들이 usmle나 jmle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인도같은경우도 의대졸업하면 상위권친구들은 영국이나 미국으로 가고 그걸 못하는 학생들만 인도에 남아서 의사를 하는 구조죠 ㅎㅎ 그리고 앞으로 월 300받고 펠로우 조교수 하면서 인생갈아넣는 불쌍한 사람들이 있을까 싶어서... 병원 경영도 잘 안될 것 같습니다...

  • @soohyeon6950
    @soohyeon6950 10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좋은 뷰 강의 감사합니다.

  • @심재광-e6f
    @심재광-e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사직 정신과 전공의입니다. 저도 동일한 생각입니다. 참 어떻게 한국에서 의사를 해야할지..걱정이네요

  • @당근당근정말조아
    @당근당근정말조아 11 місяців тому

    현실을 알게 해주시니 감사해요

  • @idontcare9743
    @idontcare9743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펜데믹 이후로 노인인구가 줄고 있어요.
    감염병동이 많이 생기고 있는데 요양병원이 무슨 급성기 같아요.
    서울은 화장장이 포화상태라 오세훈시장이 대책을 마련한다고 하더라고요.

  • @박상춘-h6m
    @박상춘-h6m 10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여기는 댓글 부대가 없어서 좋습니다

  • @camerata8165
    @camerata8165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동의합니다. 결국에는 한국식 민영화. 즉 기업형 병원의 보험 시스템으로 나아가기 위해 정부가 앞장서서 밑작업을 해 주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hsm8717
    @hsm8717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런 깊은 내막이 있었내요 이해 갑니다. ..왠지 이해가 안간게 이분들이
    국민을 그렇게 생각하는 분들이 아니거든요, 그런데 의사증원은 국민을 아주 위하는
    정책이라고 생각하게 하잖아요? 좀 의심스럽다 했더니 함정이보이네요

  • @정규성-l3w
    @정규성-l3w 10 місяців тому

    슬픈 현실이네요. 분석 고맙습니다.

  • @연-u9v3p
    @연-u9v3p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0% 맞는 말씀같네요.

  • @커피와향기
    @커피와향기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애초에 정부가 필수의료 살리기나 지방의료 살리기는 그저 명분에 불과했고
    수도권에 짓는 6,600병상에 필요한 값싼 인력인 전공의가 필요했던 겁니다.
    수도권 6,600병상은 그야말로 블랙홀 처럼 지방에 있는 의사, 교수들을 흡수할텐데
    그러면 낙수효과는 커녕 지방의료는 더 빨리 망가지겠죠.

  • @김수미-o6e5h
    @김수미-o6e5h 11 місяців тому

    탁월한 해석 입니다
    그리열심히하고
    대기업병원의 저임금의 하인으로
    혹독히4년이상을 보내야하는 이상황서 앞으로는 전임의의숫자를 늘려 전공의 싼임금을 착취못하게 시스템구도변화에
    노력해야겠네요

  • @warrior-z3k
    @warrior-z3k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동안 어려운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해온 의사들에게 감사하는 국민들도 많이 있어요 스스로를 안좋은 단어로 비하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미기우데
    @미기우데 10 місяців тому

    향후 성지순례하러 오는 사람이 많이 생길 것 같은 영상이군요... 이 예측이 틀리길 바랍니다

  • @루시드드림-k1h
    @루시드드림-k1h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잘 봤습니다. 선생님
    건강보험 적자전환은 2026년으로 2년 앞당겨졌습니다. 불과 2년 남았네요.
    선생님 말씀하신 것처럼 민영화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아울러 '의료서비스'에 대한 혜택은 환자인 소비자들에게 빈익빈 부익부로 다가올 수 밖에 없을것입니다. 개개인의 대다수의 의사는 궁핍해지고, 소수의 스타의사와 대형화된 병원들은 갈수록 몸값이 치솟을 것입니다.
    동네 슈퍼가 점멸하고 대형마트와 쇼핑몰로만 사람들이 몰리듯이 의료도 대형병원만 살아남을 것이며, 서민들은 아파도 병원문턱도 가기 힘들고 타이레놀만 들고 두통치통생리통까지 자가치료하느라 고생할겁니다.

  • @JeonjinKang
    @JeonjinKang 10 місяців тому

    성지영상이 안되길 간절히 바래봅니다ㅠㅠ 상식이 깨어있는 일반 국민이라면 선생님들을 응원할껍니다.

  • @YYM-c4q
    @YYM-c4q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전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이 삼성생명 사외 이사로 2024.3.21공시되었습니다 결국 공무원들의 잇속을 위한 의료민영화의 그림인데 정말 그렇게 된다면 한국은 의료로 잘 이용했던 호시절을 가고 암울하게 될것입니다 결국 뒷배는 대기업자본의 손에서 놀아나는 꼴

  • @dollarking4108
    @dollarking4108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합리적인 예측이세요
    젊을 때 인건비 쌀때만 쓰여지고 나중엔 버려지는...
    그런 존재가 되는건지..
    사실 간호사가 그렇게 되어 있지요

  • @최시찬-f5o
    @최시찬-f5o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감사 정말로감사감사꼭많는말씀

  • @기쁨가득-s2j
    @기쁨가득-s2j 3 місяці тому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있습니다

  • @pianoholic6028
    @pianoholic6028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100% 동의합니다. 그러나 설명을 들어도 이해조차 못하는 국민이 대부분일거라 더이상 이 나라에 희망이 없네요.

  • @올드햇뻔
    @올드햇뻔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돌아가는 상황을 보니
    의료민영화가 목적이고 전공의를
    노비처럼 부리고 싶은 사학재단과
    국민을 위하지않는 관료들이 한통속이란게 다 보입니다.
    앞으론 서민들은 돈없어 병원문턱도 못밟는 날이 올거같아요.
    복지부가 엉터리라는걸 알게되었어요.

  • @반고흐-z1m
    @반고흐-z1m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런 좋은 내용이 널리 알려져야 되는데 언론에 속아서 마녀 사냥만 하고 있으니 분노가 치밀어 오릅니다
    아픈 가족이 있는 서민들은 어찌 살아야 할지
    가까운 곳에서 전문의한테 진료받는 이런 모든 게 망가진다니 미치겠네요
    수가도 올리고 병윈도 덜 가게 진료비도 올리고 전달 체계도 바꾸며 최대한 살렸으면 좋겠는데 그 동안 수련하고 공부한 사람들 다 해외로 나갈 거 같아 더 화나요
    영국처럼 다 빠져 나가고 기다리다 죽든지 민영화로 돈 없어 죽든지 한국은 망하는 길만 남았네요
    의료 시스템 다 공부하고 관심 가지라고 설득도 어렵고 언론도 자본의 민영화로 포섭된 상태라 국민만 노예가 되는 길이 선합니다

  • @idontcare9743
    @idontcare9743 10 місяців тому

    15년이 아니라 8년 남은것 같아요.
    그 사이에 엄청난 일이 벌어질것 같네요.
    마틴 암스트롱 파이 이론에 비추어보면.

  • @jsy1067
    @jsy1067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이미 oecd기준 인구당 병상수는 최고수준인데 병원을 또 지어야 하는지 ㅜㅜ 의사들 그렇게 많이 뽑아놓고 전공의 노예마치고 나면 그 사람들은 어디에 취업해야하는지 필요이상의 전문인력은 필이 도덕적해이로 이어지게 되어있음

  • @김영희-k4q
    @김영희-k4q 10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말씀 정확하시네요

  • @YEKwon-dl3fo
    @YEKwon-dl3fo 11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영상 감사합니다. 선생님 의견에 매우 동의합니다.
    저희 병원은 이미 신포괄수가제라는걸 하고 있는데 기가 찹니다.. 중증환자를 보면 볼수록 손해가 나는 구조예요. 원가를 절감하라고 계속 종용 당하고 있고요. 아직까지는 시범사업이라 정책가산금이라는 것을 주고 있기 때문에 얼추 메꾸는 것 같지만 결국 정책가산금은 언젠간 없어질거고, 병원에서는 계속 손해가 나니 약도 덜 쓰고 검사도 덜 하라고만 하겠죠.
    Phase 2에서 전공의 얘기를 하셨는데 PA도 한가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PA가 합법화 되면서 전공의+PA 제도로 가게 될 것 같습니다.
    PA vs. 전공의 인건비 중 어느 직역의 비용이 더 저렴한가에 따라 대학병원에서 acting 하는 인력의 비중이 결정되겠지요.

  • @hshwang-h5f
    @hshwang-h5f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결국 국민들은 참혹한 현실에는 눈돌리고 언론에서 떠먹여주는대로 30년간 의사욕만 해왔던 대가를 치르게 되는 걸까요?

  • @24JG
    @24JG 11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잘지내고 계시지요? 이렇게 얼굴뵈니 반가워요~~~

  • @Tangri_1234
    @Tangri_1234 11 місяців тому

    충분히 가능하겠네요. 직장인 퇴직금도 이미 IRP라는 금융상품으로 전환됬죠.
    근데 공공의보가 사라지고 민간의보가 되면.. 국민은 보험료내는 곳만 달라지는거라 다를바 없는거 아닌가요 ?
    의사에겐 무슨 피해가 있는지요 ?

  • @iansim_sim
    @iansim_sim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상이올라온지 8시간이 지났는데 아무도 댓글을 안달았다는건 아무도 이해를 못했다는것일지요..? 저는 외과 전공의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phase3 까지 가는것이 너무 두렵습니다. 우파좌파 아무도 지지하지않습니다. 제발 바이탈만 바라보는 의사들이 포기하지않게해주세요. 10후년 뒤엔 보험회사 눈치보는 의사&환자만 생길것같습니다. 의사는 책임보험, 환자는 혼합진료금지로 사보험 새로들어야겠지요(그들의 직업, 소득에따라 차등되어) 그리고 바이탈 흔들리는 환자는 비싼보험아니면 죽거나 수천만원내거나....

  • @lotusblume1193
    @lotusblume1193 10 місяців тому

    상당히 납득이 가는 설명으로 그림이 그려지는군요

  • @인숙이-h2p
    @인숙이-h2p 10 місяців тому

    맞는 말씀 입니다 ~^^

  • @neopcs
    @neopcs 11 місяців тому

    상당히 공감합니다... 그렇다면 젊은 의사로서 유일한 생존법은 다른 나라로 눈을 돌리는 것일까요 ㅠ

  • @seu6
    @seu6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의협이 평소에 로비도 좀 잘하고 영향력도 있었으면 잘 해결했을텐데 지도부가 너무 무능한게 안타깝겠어요.. 뭐든 아예 되돌릴 수 없는 건 없으니 문제 생기는대로 적당히 손봐가면서 살아가야지요. 아예 안바뀌는거보다 이해관계가 어찌 되었던 간에 이쯤되면 일단 뭐라도 바꾸고 보자는 사람들이 많으니 그냥 그러려니 해야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