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랑 너무 똑같은 슈퍼지구를 발견한 과학자들... 케플러-22b는 정말 미래 인류의 보금자리가 될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9 лис 2021
  • NASA는 케플러 프로젝트를 통해서 지구와 비슷한 행성을 찾고 있다.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아주 높은 지구형 행성 후보군은 28개. 그중 케플러-22b는 인간이 이주해서 살 수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슈퍼지구 케플러-22b는 정말로 미래 인류의 보금자리가 될까?
    해당 콘텐츠는 유료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윌라 오디오북.
    참고 자료 및 서적 정보
    www.sciencetimes.co.kr/news/%...
    mashable.com/article/super-ea...
    exoplanets.nasa.gov/exoplanet...
    www.nasa.gov/mission_pages/ke...
    www.chosun.com/site/data/html...
    www.dongascience.com/news.php...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2,4 тис.

  • @리뷰엉이
    @리뷰엉이  2 роки тому +444

    우리 부엉이들도 에서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무료로 들어보세요!
    쿠폰 등록에서 '리뷰엉이'를 치면 1개월 무료 + 3개월 50% 할인 받을 수 있어요!
    리뷰엉이 쿠폰 등록하기 www.welaaa.com/membership/purchase-form/premium?crmCode=리뷰엉이
    본 링크를 통해 회원 가입시 쿠폰이 미리 들어가 있는 상태가 됩니다!

    • @giganticlee
      @giganticlee 2 роки тому +3

      아이폰은 쿠폰등록이 안되는거 같은데요?

    • @hmmlee6661
      @hmmlee6661 2 роки тому +3

      했어요 ㅎㅎ

    • @Ingeeyong
      @Ingeeyong 2 роки тому

      좀 궁금한게 그 행성과 지구의 시간이 똑같이 흐를까요 아니면 다르게 흐를까요?
      중력이 더 강하다면 관측 할 때마다 모습이 달라지진 않을까요..

    • @user-xm5jo1qe7y
      @user-xm5jo1qe7y 2 роки тому

      리부엉리부엉..

    • @Kuaumidess
      @Kuaumidess 2 роки тому +1

      앞에 BGM 제목이 뭔가요???

  • @김시선
    @김시선 2 роки тому +1340

    역시 오디오북은 과학… 아 영화…. 아 과학… 영화과학유튜버 리뷰엉이지 👍

  • @user-jf5ev1kr9x
    @user-jf5ev1kr9x Рік тому +1

    너무 알아듣기 쉽게 제작했네요.
    감사합니다.

  • @the2051
    @the2051 2 роки тому +1

    와 정말 흥미롭고 유익한 내용이네요 감사히 잘 보고 갑니다.

  • @justover3851
    @justover3851 2 роки тому +1475

    한가지 확실한건 케플러가 사람살기 좋은데라고 해도 현인류가 죽을때가지도 가볼순 없겠네요 ㅠㅠ 우주 가보고싶다

    • @Yu-kd3rx
      @Yu-kd3rx 2 роки тому +242

      진짜 이게 팩트다 ㅋㅋㅋㅋ
      기술혁신이 발전해서 가보지 않는 한 아직까지는 확실한거 아니다.
      그냥 추측이니까

    • @hazejin5604
      @hazejin5604 2 роки тому +153

      @@Companion_2024 그전에
      인류 멸망할듯 환경오염 심해서요 ㅋㅋ

    • @simoncrom
      @simoncrom 2 роки тому +29

      그림의 떡이네요ㅜ

    • @dubbybubby3024
      @dubbybubby3024 2 роки тому +16

      종의 멸종 막는다 정도일듯...

    • @user-kr5tg4ye3g
      @user-kr5tg4ye3g 2 роки тому +25

      어릴때부터 궁금했던게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은 우주의 신비를 조금이라도 알 수 있을까였는데 아직도 궁금하네요

  • @user-tv6jc7yq6j
    @user-tv6jc7yq6j 2 роки тому +685

    다른 거처를 찾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일단은
    생명이 살고 있고 생명 유지에
    너무나 적합하게 만들어진 이 지구를 우리모두 잘 지킵시다.

    • @kangminchulkorean
      @kangminchulkorean 2 роки тому +36

      다른 거처가서도 이런 사람이 살 공간도 처음부터 만들어야하고 나라별로 어느 공간에 자리잡을지 싸우고 난리날듯

    • @dany_061
      @dany_061 2 роки тому +1

      @@kangminchulkorean 거기 생명체는 몰살 시키고 동물원만들고 거기행성 깽판칠거 생각하면
      그냥 우리지구 우리가 파괴하다 다같이죽는 엔딩이 그나마 낫다

    • @kangminchulkorean
      @kangminchulkorean 2 роки тому

      @@dany_061 파괴 , 낫다 입니다

    • @dany_061
      @dany_061 2 роки тому

      @@kangminchulkorean ㅇ

    • @user-bs7zy6oq6v
      @user-bs7zy6oq6v 2 роки тому +2

      근데 다른 행성에서 사는게 불가능할거같은게 지구에서 만들수있는 최대의 힘이 다른행성에서 버틴다는 보장이 없을거같음

  • @user-ct2go9rk9d
    @user-ct2go9rk9d 2 роки тому +748

    과학자들 대단하다 진짜.. 과학자들을 많이 양성해야되는데..

    • @user-ps1kk1cy5j
      @user-ps1kk1cy5j 2 роки тому +8

      의사도요

    • @user-iq7en1lg3i
      @user-iq7en1lg3i 2 роки тому +3

      법조인도요

    • @user-yj1bu3rc7n
      @user-yj1bu3rc7n 2 роки тому +111

      양성은 바라지도 않고 지금 있는 과학자들이나 잘 챙겨줬으면

    • @user-ur7bz4go4p
      @user-ur7bz4go4p 2 роки тому +7

      @@user-ps1kk1cy5j 의사는 지금도 양산되고있는데요..

    • @user-ut3uu5yy1h
      @user-ut3uu5yy1h 2 роки тому +24

      @@user-yj1bu3rc7n 똑똑한 사람은 웬만하면 의사나 법
      쪽으로 가니까...,

  • @user-uq7kj5zd9b
    @user-uq7kj5zd9b Рік тому

    매번 영상을 정주행하는데요 진짜 재밋게 정보를 알랴주시는거같아여 너무 재밌어요 ㅠ^ㅠ

  • @Genari10
    @Genari10 2 роки тому +545

    지구가 진짜로 믿을 수 없는 엄청난 확률의 행성이라는 거 하나는 확실히 알겠네요.

    • @user-ps1kk1cy5j
      @user-ps1kk1cy5j 2 роки тому +37

      은하가 억단위 갯수로 있고 그 은하 1개당 태양이 억단위 갯수로 있으므로 의외로 지구같은 운좋은 행성들은 생각보다 많을수도 있어요

    • @user-wk6rt7ft1d
      @user-wk6rt7ft1d 2 роки тому +45

      @@user-ps1kk1cy5j 억이 아니고 조단위..그것도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우리은하에만 몇백개의 지적 생명체가 있을거라 예상한다고 하니..상상도 못할정도로 크죠

    • @kevinchoi6580
      @kevinchoi6580 2 роки тому +34

      지구가 인류, 동물, 자연 입장에서는 엄청난 확률이었을 수 있지만, 외계 생명체 입장에서 관측한 지구는 살기 힘든데? 하면서 지나칠 수도 있을지 모르죠.

    • @user-ps1kk1cy5j
      @user-ps1kk1cy5j 2 роки тому +5

      @@kevinchoi6580 맞아요. 애초에 탄소로 이루어져 있는 애들이 아닐수도 있죠.

    • @kevinchoi6580
      @kevinchoi6580 2 роки тому +16

      ​@@Genari10 다양한 관점에서도 생각해보면 재밌는 부분인 것 같아서 말해봤어요. 저희둘이 이런 얘기를 같이하면 재밌을 것 같아서 말 걸어봤는데, 초치러 왔다 싶어서 경계하시는 마음도 공감은 되네요...^^

  • @jade_jin
    @jade_jin 2 роки тому +4

    다큐 리뷰나 소개같은거 해주시는것도 좋은데. 원 스트레인지 락 되게 좋아요

  • @hshsh4191
    @hshsh4191 2 роки тому +2

    오늘도 과학 유튜버 리뷰엉이님의 영상 잘보고 갑니다

  • @haleyfenwick8536
    @haleyfenwick8536 2 роки тому

    아주 재미있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user-cr6fl9rr8h
    @user-cr6fl9rr8h 2 роки тому +61

    어떻게 이렇게 고퀄리티의 영상을 만드는지 정말 대단합니다

  • @jambread848
    @jambread848 2 роки тому +5

    케플러 22b~!!! 와 아주 흥미로운 정보를 알게 되었네요, 고맙습니다~!!

  • @user-lc2br9xq6y
    @user-lc2br9xq6y 2 роки тому

    좋아요.
    좋은지식 감사합니다.

  • @user-en9dt7je5t
    @user-en9dt7je5t 2 роки тому

    설명 잘 들었읍니다

  • @paulkang0309
    @paulkang0309 2 роки тому +4

    엉이님 어제 봤는데
    어제부터 계속 보게되는 이런 신비한 마법
    엉이님이 최고임!

    • @paulkang0309
      @paulkang0309 2 роки тому

      ps.
      지구 : 나를 버리지 마...!

  • @erizlea
    @erizlea 2 роки тому +9

    아 윌라 오디오북 진짜 좋아요. 성우님들 연기에 빠져들어갑니다.

  • @user-vw3nd9mb7v
    @user-vw3nd9mb7v 2 роки тому +5

    엉이호 너무 멋져요^^ 저는 소설 쓰는 작가인데 리뷰엉이 자주 봐요. 아이디어 많이 얻어 갑니다. 늘 감사해요.

  • @user-mc1ze9ef8c
    @user-mc1ze9ef8c Рік тому

    질문드립니다! Kepler 452b, Kepler 22b 뭐가 더 지구에 알맞은 행성인가요? 둘다 지구와 비슷한 크기와 조건을 갖추긴 하였으나 정작 생명체가 행성에서 살고 있는지, 살아갈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헷갈리네요. 개인적 의견이라도 괜찮으니 답변 가능하시다면 부탁드립니다!!

  • @ragnaraw
    @ragnaraw 2 роки тому +176

    태양보다 6억년 어린 별이라고 하니 생각나는 건데, 지구도 대략 6억년 전에는 평균 기온 -50도의 완전히 얼어붙은 얼음행성이었다고 하니까.. 겉보기 환경만 보고 판단하면 안될 것 같기도함.

    • @yttst7110
      @yttst7110 2 роки тому +1

      왜안되지ㅋㄱ6억년전에는 생명체가없었어요 그래서

    • @kingston3786
      @kingston3786 2 роки тому +34

      @@yttst7110 잘못이해하신듯.

    • @kingston3786
      @kingston3786 2 роки тому +6

      근데 비공개님글보다가 갑자기 뜬금없이 소름돋는 생각이 든게...
      행성충돌이 모항성? 즉 태양과의 간격 거리가 바뀌고 회전속도까지 바꾸는 영향을 준것은 아닐까 하는...
      그래서 지구의 온도가 바뀌고 핵이 반응해서 화산폭발을 하고 대지가 바뀌고 했던건 아닐까...
      하는...생각까지 하게됐네요...

    • @user-mw8tk1mc9x
      @user-mw8tk1mc9x 2 роки тому +3

      그 생명가능 지대 자체가 그 중심별에서 떨어진거리가 적당한, 생명체 살기에 좋은 온도라는거에요… 지구도 한 몇억년있으면 그 지대 벗어남 그 별의 나이와도 물론 온도가 상관이있지만 저 영상에서 생명가능지대로 추렷다고 했는데

    • @ragnaraw
      @ragnaraw 2 роки тому +3

      ​@@yttst7110 가장 오래된 생물 화석이 약 35억년 전이에요. 6억년 전이면 이미 후생생물(다세포 생물)이 나타나던 시기입니다. 물론 당시 지구가 완전히 얼어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적도 부분까지 빙하지층이 발견되고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세계 전역에서 6억~7억년 전에 빙하가 있었다는 증거들이 발견됐어요. 물론 정말 지구 전체의 평균온도가 낮았던 거냐, 아니면 당시에는 자전축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기울어져 있어서 적도지방까지도 겨울에 빙하가 생길 정도로 기온이 낮아졌던거냐.. 등등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지만요.

  • @mungoo1203
    @mungoo1203 2 роки тому +893

    지구가 얼마나 소중한 행성인지 또 생각해 보네요. 어떻게 이렇게 절묘한 위치에 생명이 살 수 있게 딱 만들어 졌는지요~

    • @HUMAN38275
      @HUMAN38275 2 роки тому +29

      그래서 굳이 다른행성에 생명체를 찾는 블필요 한 일은 안해도 될건데.
      금방 찾아냈으면 우주전쟁은 시간 문제였을거야.

    • @user-tb3iw4zg4l
      @user-tb3iw4zg4l 2 роки тому +43

      @내시빌더 아아 안심하세요 병원입니다.

    • @user-te3rp1yy4i
      @user-te3rp1yy4i 2 роки тому +13

      @@HUMAN38275 ㄹㅇ 진짜 왜그러는지
      이해가 안됨 차라리 선사시대수준이거나 문명이 있더라도 고대수준이면 몰라도 동급인 외계인들을 왜 찾는지...

    • @user-vu5sd2iz6n
      @user-vu5sd2iz6n 2 роки тому +169

      지구에 생명이 존재한게 대단한 이유가 아님
      이렇게 절묘한 위치에 라는말이 대단한게 아니라
      그냥 우주어딘가에 한공간에 지구의 생명체가 살 조건아 충족돼서 생명이 생긴것 뿐임
      예를 들어서 땅부자가 넓은부지에 흙을 깔았을때
      식물이 자랄 조건을 갖춘 위치에선 싹이 나는거랑 똑같은거임.
      여기서도 애매한게 생명체가 살듯한 조건으로 지구와 비슷한 행성들을 찾는데
      인간은 지구의 환경조건에 맞춰잔 생명체지
      먼 우주에는 낮은온도에서도 생활가능한 생명체들이 있을 수 도 있음..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이라는건 그 누구도 모르는거임

    • @user-ov2kz1ty6m
      @user-ov2kz1ty6m 2 роки тому +33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수명이 짧지도않은 그런 항성에서 적당한 거리에 있어서 살기좋은온도에 또 대기가 있고 물이있고 육지도있고 화산활동으로 유기물도 형성되고 자기장도있어서 항성으로부터 보호도해줘 자전축도있고 공전주기도 적당해서 계절도있고 위성인 달까지 있어서 파도와 해류 순환도 잘 시키지 이 모든걸 다 갖춘 행성이 바로 지구. 이러니 공룡같이 큰 생명체도 멸종햇다가도 다시 또다른 생명체가 진화하는걸 반복하는거임. 지구가 태양에 먹히는 날 전까진 웜홀이나 빛의속도로 이동할수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인류는 케플러22b같은 행성으로 이주할수있을꺼고 아님 이 무한한 우주의 관점으로 인류는 먼지입자 하나와도같이 하찮고 순간적인 존재이니 잠깐 번영하다 사라지는 존재되겠지...

  • @thsutleosmswlsfl
    @thsutleosmswlsfl 2 роки тому +293

    외계생명체, 심지어 문명까지 있었다 처도
    서로간에 공동확인가능한 시간대가 안맞아서
    인지를 못할수도 있다고 봅니다.
    어떤 외계인들의 문명은 그쪽 항성의 백색거성으로 변함에따라 날아가 버렸을수도 있구요.

    • @user-kr4kx6zm6d
      @user-kr4kx6zm6d 2 роки тому +24

      제 생각엔 만약 우리의 신호를 알아차린 외계행성이 있다면 이미 우리몰래 지구에 출발을 했을지도 모르겠네요. 근데 우리가 상상하는 엄청난 초월을 자랑하는 기술력의 외계행성일지라도 결국 빛의속도를 넘는 기술을 갖고있지는 못할 확률이 큽니다, 그래서 이미 우리에게 탐사선을 보내서 오고있는데 너무 멀어서 도중에 포기했거나. 아직 오고는있지만 최소 몇만년~몇억년이 걸리기 때문에 우린 다죽고 아득하게 먼 미래에 도착할 확률이 큽니다. (더 정확한 이유는 아무리~발전한 문명일지라도 결국 기초적인 우주의 원리를 따를 수 밖에없어서 ,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인 빛의속도보다 빠를수가없어요, 그러니 기술력이 미치게좋은 문명이 있을지언정 지구로 올 수가 없음, 진짜 한 100조억년이 지나서 실패와성공을 무수히 무수히.. 반복하다 결국에는 우주의 만물을 마스터한 초초초.초초초.초초초특급의 문명의 시대가 오지않는이상..ㅎ

    • @user-qv3vc2rm4w
      @user-qv3vc2rm4w 2 роки тому +2

      @@user-kr4kx6zm6d 지구와 슈퍼지구는 거리가얼마정도 에요?

    • @BalttakoZara
      @BalttakoZara 2 роки тому +4

      @@user-qv3vc2rm4w 슈퍼 지구도 하나만 있는게 아니라서 어떤거는 26광년 떨어진 곳에 있고 어떤거는 11광년
      또 어떤거는 73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어요

    • @user-ds4dk8jc4y
      @user-ds4dk8jc4y 2 роки тому +5

      @@user-kr4kx6zm6d 말씀하신 것 중에 틀린 부분이 있는것 같은데, 만약 이미 출발을 한 상태라면 중간에 포기하고 돌아갔을 확률은 엄청나게 적습니다 출발 하는 시점부터 괘도 계산을 마치고 출발하므로 지구까지 오는 궤도 위에 착륙과 이륙이 동시에 가능한 행성이 있는게 아닌 이상, 중도 포기는 불가능 할 가능성이 크겠죠! 나머지는 모두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 @jo3770
      @jo3770 2 роки тому +1

      @@user-kr4kx6zm6d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가 빛의 속도이다ㅡ 이 개념이 맞지 않습니다.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는 거리가 서로 멀루록 더 빠르고, 가까울수록 느립니다. 예를 들면, 우리은하와 가까운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는 오히려 서로의 질랑이 이끌러 거리가 줄고 있지만, 머나먼 은하들과는 굉장히 빠른 속도로 거리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우주의 각 은하 사이의 공간의 팽창이 한 점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닌, 동시다발적인 팽창이기 때문입니다.

  • @-260v
    @-260v 2 роки тому +10

    같은 지구에 살지만 물고기가 땅에서 살 수 없듯이 생명이 살 수 있는 행성을 찾는거랑 인간이 살 수 있는 행성을 찾는건 난이도가 너무 다르다. 물이나 산소, 온도는 물론이고 중력, 목성같이 소행성등의 운석충돌을 막아줄 방패나 방사선의 위협등등 너무나 고려할게 많다.

  • @user-sl4vh1yw3w
    @user-sl4vh1yw3w 2 роки тому +36

    이제 이 채널의 영화리뷰가 기억나지 않아.....그저 우주의 신비가 있을 뿐이야.....

  • @FITTHEMINISIZE
    @FITTHEMINISIZE 2 роки тому +49

    역시 우주과학유튜버 리뷰엉이님. 재밌게 잘하셔서 귀에 쏙쏙들어오네요

  • @ilheunsong6776
    @ilheunsong6776 2 роки тому

    우와 책까지 소개해 주시니까 너무 좋아요?

  • @sweetpuding7945
    @sweetpuding7945 2 роки тому

    백만유튜버 축하드려요

  • @user-wr6eg8zx1i
    @user-wr6eg8zx1i 2 роки тому +38

    우주과학이 가장 힘들면서 무서운점은 우리인류가 테라포밍하고 이주해서 살아갈수있는행성이 과학적으로 없다 라고 증명되는게 진짜 무서울거같아요
    지구에서 결국 인류는 멸망하는게 확정이니..

    • @user-fn9zs7wz8o
      @user-fn9zs7wz8o 2 роки тому

      아직 태양수명 몇십억년 남아서 괜찮을 듯

    • @2ChainZsensai
      @2ChainZsensai 2 роки тому +10

      @@user-fn9zs7wz8o 그전에 지구의 환경과 자원고갈이 문제가 아닐까 걱정이네요ㅠ
      또 인류간의 갈등 포함

    • @user-jq8px9jk6l
      @user-jq8px9jk6l 2 роки тому +9

      인류가 멸망한다면 그건 태양이 죽어서가 아니라 식량난, 자원고갈로 인한 전쟁으로 멸망할겁니다
      그러니 너무 먼 미래는 걱정할 필요가 없디고 봅니다

  • @user-ev1fb3zd9j
    @user-ev1fb3zd9j 2 роки тому +139

    관심있는 행성 중 하나였는데 영상 잘 봤습니다.
    근데 이 영상에서 안나온 부분이 있는데 우리가 만약 이 행성을 갈 수 있다고 해도 기후보다 심각한 문제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중력이죠.
    이 행성은 질량이 대략 지구의 10배가 넘는다고 추정되죠.
    물론 이 행성은 지구보다 더 크기는 하니 같은 면적 당 받는 중력은 10배수준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지구보다는 중력이 훨씬 더 강하다는 것은 부정하긴 힘듭니다.
    기후는 에어컨이나 히터로 대부분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다 하더라도 심해도시 같은 걸로 할 수도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중력은 해결 방안이 없습니다.

    • @user-kf8uk2bs7i
      @user-kf8uk2bs7i 2 роки тому +20

      중력 500배 보단 낫지 않습니까

    • @ActOfValor235
      @ActOfValor235 2 роки тому +8

      또, 중력이 강한 만큼 우주 탈출속도 또한 커지는데, 그정도 추진 엔진도 없거니와, 현재 기준의 연료로는 한 번 들어가면 다시 우주로 나갈 수 없는것도 문제라면 문제가 아닐까 생각되네요ㅎㅎ

    • @entp6916
      @entp6916 2 роки тому +2

      중력 커지면 좋은거 아님? 시간 더 천천히 흐를거니깐

    • @user-ko3pz4vl5v
      @user-ko3pz4vl5v 2 роки тому +33

      @@entp6916 상대적인거라 모두가 거기있으면 똑같음

    • @hepariful
      @hepariful 2 роки тому +4

      @@entp6916 중력이 커지면 좋다고? 한번 높은 산 등산 해보시길 그 고통이 그대로 전달됨 중력이 커지면

  • @user-zb6ti6ii8s
    @user-zb6ti6ii8s Рік тому +3

    로봇이 만들어지면 냉동수면으로 멀리갈수 있을겁니다. 태양시간이 다 되가기전에 인류는 태양계를 떠나야합니다.

  • @stevensawyer2489
    @stevensawyer2489 2 роки тому +1

    I know we have a language barrier, but your pictures are beautiful .

  • @jin.24.
    @jin.24. 2 роки тому +5

    1:12 엉이호 너무 귀여운거 아닌가요 ㅋㅋㅋ

  • @user-oj6pg1lg1k
    @user-oj6pg1lg1k 2 роки тому +11

    초기 지구랑 비슷할지도....
    초기 지구도 물로만 이루어져 있었는데...소행성 및 달의 충돌로 물은 적당하게 증발하고 달의 충돌로 튕겨져 나간 부분은 달이 되고 남은 부분은 육지를 이루는데 영향을 주었다는 이론...
    그래서 달과 지구가 같은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돌고 있다는 설~
    케플러b에 달처럼 충돌로 위성이 생겨서 조석간만(조석간만이 중요한 이유가 생명체 진화에 지대한 영향을 줌 특히나 수중생물에서 육상생물로 전환되는 과정에)이 생기고
    목성같은 거대한 행성이 소행성의 충돌로 막아주면 생명체게 발현되고 진화할지도...
    물론 몇 억년 뒤에~~~ㅋㅋ

  • @snack-
    @snack- Рік тому

    똑똑한 리뷰엉이 따따따봉

  • @user-ke4pm1nm8y
    @user-ke4pm1nm8y 2 роки тому

    이 형은 얼마나 큰그림을 보는겨 성지순례 가즈아

  • @user-hy7xe3xv3k
    @user-hy7xe3xv3k 2 роки тому +5

    만일 케플러22-b 도 우리 지구처럼 지능형생명체 즉 인간이 존재하여 우리 지구를 발견하였다면 현재 거기서 본 우리의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 현재 케플러22-b의 상태는 어떨까? 궁굼하네요

  • @Cro-cop
    @Cro-cop 2 роки тому +31

    뷰엉이님 그동안 허블망원경으로 생명체가 살것같은 골디락스 존 행성들을 항성의 빛이 끊기는 지점? 같은걸로 '있을것이다' 라는 추측만 했었잖아요?
    이번에 올려진 제임스웹 망원경으로 그 행성들을 직접 보는게 가능할까요? 진짜 궁금하네요 ㅋㅋ

  • @user-jb4xe1wo1j
    @user-jb4xe1wo1j Рік тому

    0:28 쯤에 사용한 움직이는 우주 배경은 출처가 어디인가요..? 너무 멋지네요 :)

  • @dr.agumon9146
    @dr.agumon9146 2 роки тому +6

    문득 생각해봤는데 만약 지구와 유사한 행성으로 이주한다고 생각한다면, 워프같은 SF에서 나올 만한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이기 때문에 아마 마크로스 시리즈처럼 만들거나 소생태계를 보유한 우주선을 만들어 이주 인구를 데리고 다니던가 이주 인구 전체를 냉동 동면에서 재워서 데리고 다니던가. 가능성이 있는건 딱 2개.

  • @wifilte9915
    @wifilte9915 2 роки тому +44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앞으로 발사될 예정인데 이 망원경으로 외계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다고 합니다.

    • @EEcircuits
      @EEcircuits 2 роки тому +1

      오늘 나왔습니다!

  • @Na-di3vq
    @Na-di3vq 2 роки тому +10

    과학유투버님 너무 멋져요.!넋놓고 끝까지 시청하게 되네요. 우주는 정말 광대하네요 ㅎ

  • @korea-army
    @korea-army Рік тому +8

    지구를 떠나 다른 행성에서 살아갈 정도의 기술력이면 지구를 더 살기좋은 환경으로 만드는게 훨씬 쉬운일 아닐까?

  • @battlenyang4183
    @battlenyang4183 2 роки тому +12

    진짜 이세상은 시뮬레이션일까요? 어떻게 이렇게 적당히 도전할만한 위치에 여기 한번 탐사해봐라라는 의도가 느껴질정도의 쌍둥이 항성계가 있는걸까요. ㅎㅎ

  • @zhenhe08
    @zhenhe08 2 роки тому +26

    2년 만에 지구와 비슷한행성 28개를 발견했다는 것은 10년만 조사해도 100개가 넘는 지구와 비슷한 행성을 찾을수 있을것 100%

  • @jason_cha
    @jason_cha 2 роки тому +5

    통과관측법은 항성과 지구 사이에 행성의 궤도가 있을 때만 관측이 가능하죠. 하지만 그렇게 각도가 딱 맞아 떨어지는 행성이 많을까요? 아니면 그렇지 않은 행성이 많을까요? 그렇지 않은 행성이 훨씬 더 많죠.케플러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행성보다 발견하지 못한 행성이 수백배는 더 많을 겁니다.

  • @u.k7289
    @u.k7289 2 роки тому +3

    이렇게 보니깐 지구가 진짜 좋은 행성이구나

  • @chk9016
    @chk9016 2 роки тому +2

    지구는 지구에서 살 수 있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곳일 뿐이지, 다른 행성도 그 행성에 맞는 생명체가 살거나 우리 눈에만 보이지 않을 수 도 있고, 차원이 달라 만나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 @LOYALTY-ux4bj
    @LOYALTY-ux4bj 2 роки тому +17

    프로젝트 헤일메리를 본다면 시각의 다양화가 얼마나 대단한지 알게될거예요.이책 관점으로도 좋은 영상 만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fq5oq5jn2h
    @user-fq5oq5jn2h 2 роки тому +34

    이런거 보면 우리 지구가 얼마나.축복받고 이 지구에서 태어난 인간들이 얼마나 축복받고 고귀하고 소중한지 알것같디 ㅠㅠ 다들 감사하며 삽시다

  • @user-ol1jz8bz6e
    @user-ol1jz8bz6e 9 місяців тому

    기막힌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ssm-ge9qs
    @ssm-ge9qs Рік тому +2

    만약 저 별에 우리같은 인간이 살고 있는데
    아직 발전이 덜 되서 우주같은건 관측을 못하고
    자기들끼리 우리처럼 놀고 있다고 생각하니깐 소름끼친다.

  • @user-hm5oo3vp6s
    @user-hm5oo3vp6s 2 роки тому +4

    부엉이군 영상 자주 보는데.. 참 똑똑한거 같음

  • @user-vz4ok2sl8k
    @user-vz4ok2sl8k 2 роки тому +5

    항상 들을때마다 느끼는거지만 목소리가 편하고 귀에 쏙쏙 들어옴

  • @sorry_earth
    @sorry_earth Рік тому

    뭐...어릴때 백과사전같다는 댓글을 남기긴했는데
    그러고보니 오디오북이네요 ㅋㅋㅋㅋㅋ
    영화....과학....유튜버....👍👍

  • @user-tg2bn5ok2z
    @user-tg2bn5ok2z Рік тому +2

    지금의 지구를 잘 보존 하고 보호 하자. ❤🎉

  • @user-ns4vr4zd6p
    @user-ns4vr4zd6p 2 роки тому +7

    역시 리뷰엉이형의 과학시간은 잠이 잘와...

  • @silk3214
    @silk3214 2 роки тому +4

    지구의 행성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행성들도있을텐데 먼가 또다른 돌잔액들이 계속 신규행성을 만드는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

  • @user-dv1oj4zz7w
    @user-dv1oj4zz7w 2 роки тому +6

    지구에 살고 있다는거 자체가 기적이네요

    • @user_wyeudk2iw7jqj
      @user_wyeudk2iw7jqj 2 роки тому

      문재앙의 시대에 살았다는게 기절초풍임.

  • @entrepreneur7939
    @entrepreneur7939 2 роки тому +6

    과학자들 진짜 하늘이 내려준 천재 같다..;;

  • @cpakdy
    @cpakdy 2 роки тому +109

    무한에 가까운 우주에서 지구와 같은 행성찾기가 이렇게 어렵다니 새삼스레 지구가 경이롭게 느껴지네요

    • @dany_061
      @dany_061 2 роки тому

      더어려워서 아에 절대 못찻앗으면 좋겟네요 ㅎㅎ

    • @user-kr4kx6zm6d
      @user-kr4kx6zm6d 2 роки тому +12

      거리가 너무 멀어서 그래요 사실 수학적으로 지구같은 동일한 행성이 있을확률은 99.9%예요 다만 우리은하와 다른은하 간의 거리가 수백억~수천억광년인데 2022년 기술력으로도 거길 볼 수가없어요, 진짜 바로옆에 있는 은하의 희미한 빛줄기정도만 볼 수있는게 현실임

    • @user-rb2ze1bq7q
      @user-rb2ze1bq7q Рік тому

      짜장짬뽕탕수육만 안시켜놨으면 좋았을행성인데 지구란 중화요리행성

  • @user-bz2nu3jt7o
    @user-bz2nu3jt7o 2 роки тому +244

    리뷰엉이님 혹시 영상 아이디어 다 떨어지면
    고생대부터 현대까지 존재했던 생물들
    ○○대 ○○기 ○○절 ○○지층 단위로 나눠서 10속 이상 알려주는 컨텐츠 해주실 수 있을까요.

    • @dong_hae_bada
      @dong_hae_bada 2 роки тому +5

      오 좋네요 👍

    • @user-eh1wc7hn1m
      @user-eh1wc7hn1m 2 роки тому +34

      그래 이제 확실히 과학유튜버로 가는거야

    • @junne2000
      @junne2000 2 роки тому +14

      아뇨? 다시 영화리뷰 유튜버 부엉부엉이로 돌아가실건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rofit3816
      @profit3816 2 роки тому +3

      부엉이 죽는다

    • @user-uz9sz1ot6o
      @user-uz9sz1ot6o 2 роки тому +18

      @@user-eh1wc7hn1m 아 내핵까지 뚫고 들어가는 영화 코어 리뷰라고 ㅋㅋㅋㅋ

  • @bn1009
    @bn1009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katejung2723
    @katejung2723 Рік тому

    행성으로 이주하려면 그곳의 단점과 장점을 동시에 생각해봐야겠네요

  • @user-cx6jw8os4l
    @user-cx6jw8os4l 2 роки тому +104

    우주는 너무나 넓으니 케플러-22b 뿐만 아니라 또다른, 지구와 유사한 행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행성을 발견한다는 것은 미래의 인류에 있어 좋은 일들이죠. 흥미로운 영상이었습니다!

    • @user-dp5ls2qj6u
      @user-dp5ls2qj6u 2 роки тому +17

      ㅈㄴ당연한 말 하네 ㅋㅋ

    • @entp6916
      @entp6916 2 роки тому

      많음

    • @hs-ur6jv
      @hs-ur6jv 2 роки тому

      정신병 걸리셨나요?

    • @hs-ur6jv
      @hs-ur6jv 2 роки тому

      정신병 걸리셨나요?

  • @user-uc6nj1pq6d
    @user-uc6nj1pq6d 2 роки тому +17

    진짜 리뷰엉이 존나 재밌음 ㅜㅜ

  • @osillot
    @osillot 2 роки тому

    윌라 오디오북 미리듣기 하나 올려줬으면 더 좋았을텐데요...
    근데 이 영상은 전에 봤는데 알고리즘은 왜 자꾸 또 보라는걸까요? (자동재생에 계속 뜸..)

  • @user-jv1vq5fh1f
    @user-jv1vq5fh1f 2 роки тому

    해당영상의 출저는 어디인가요?

  • @pisick0017
    @pisick0017 2 роки тому +19

    진짜 어린이도 이해가 될정도로 쉽게 과학을 알려주는 영화(?) 유투버

  • @jin.24.
    @jin.24. 2 роки тому +211

    그러고보니 이분 원래 영화리뷰 유튜버셨는데 어쩌다가 과학유튜버가 돼버리신거지..? 암튼 대단하시네요 ㅋㅋ

    • @november2546
      @november2546 2 роки тому +131

      코로나로 인한 신규영화 개봉 감소로 리뷰할 영화가 줄고 마침 건드려선 안될 인터스텔라를 리뷰한 연쇄반응이 여기까지 왔다나요ㅋㅋㅋㅋ

    • @user-tt6jz1vy3e
      @user-tt6jz1vy3e 2 роки тому +7

      @@november2546 치트키가 너무 강력했네요ㅋㅋㅋㅋㅋㅋ

    • @jin.24.
      @jin.24. 2 роки тому +6

      @@user-wjde6uugrvkkgf 선넘네...

    • @user-tt6jz1vy3e
      @user-tt6jz1vy3e 2 роки тому +4

      @@user-wjde6uugrvkkgf 아 선넘네?

    • @keepeast1
      @keepeast1 2 роки тому +3

      경제도 빠삭함

  • @user-ij3rz9fd8v
    @user-ij3rz9fd8v 2 роки тому +1

    비슷한 행성은 있을수 있을지몰라도 똑같은 행성은 없을수도 있을것 같음. 수십억인구중 똑같은 사람은 단한명도 없는것처럼...그리고 약간의 차이가 인류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음

  • @user-zj6vp2ow6m
    @user-zj6vp2ow6m 2 роки тому

    스타크래프트2 리뷰 잘봤습니다

  • @user-rn5rk2et9n
    @user-rn5rk2et9n 2 роки тому +59

    그냥 우리가 지구에서 산다는게 가장 큰 행운인듯...

    • @mowg7703
      @mowg7703 2 роки тому +9

      그건 우리가 지구밖에서 못 살아봤기때문..

    • @user-do5bk5ed5w
      @user-do5bk5ed5w 2 роки тому +2

      @@mowg7703 살아보세요!

    • @mowg7703
      @mowg7703 2 роки тому +7

      @@user-do5bk5ed5w 어디서살아보라는건지ㅋㅋㅋㅋㅋ

    • @user-do5bk5ed5w
      @user-do5bk5ed5w 2 роки тому +1

      @@mowg7703은하철도999타고 안드로메다로 가면 기계몸도 얻을수있고 그렇다던데요 기계몸을얻으면 감정은없고 영원히산다고그러던데요

    • @mowg7703
      @mowg7703 2 роки тому +4

      @@user-do5bk5ed5w 아네

  • @fovian7676
    @fovian7676 2 роки тому +56

    근데 사실 힘들게 지구같은 행성 찾아서 도착한다해도 지적 생명체가 사는 행성이라면 도착할때면 이미 지구보다 황량한 상황일수도 있겠네요.

  • @user-fm3wo2xi3b
    @user-fm3wo2xi3b 2 роки тому +2

    내가보기에 이동하는 기술발전보다 화성이나 금성 특성을 이해하고 테라포밍해내는 기술발전이 더 빠르고 현실성 있을듯.
    다만 지금까지 모든 과학적 발전은 결국 작은 계산과 작은 의문점에서 부터 시작해서 여기까지 왔다는걸 보면 그 속도는 점점 말도안되게 빨라지고있고 결과물은 점점 커지기때문에 분명 우주개척은 가능해지는데 결과물과 정답이 나오기전에 일단 난 죽고없겠지

    • @AndrewLEE0507
      @AndrewLEE0507 Рік тому

      이동제약이 가장 중요하죠. 이동제약이 사라진다면 그 어떤 부담없이 수많은 시도를 할 수 있으니깐요~

    • @gush_04
      @gush_04 3 місяці тому

      웜홀?

  • @jammin_parody123
    @jammin_parody123 2 роки тому +1

    와 잼민이가 들어도 귀에 쏙쏙 들어오네

  • @asrok76
    @asrok76 2 роки тому +58

    이제 리뷰엉이의 영상이 보이면 이번엔 어떤 과학을 소개하며 끝에 비슷한 주제의 어떤 영화를 어떻게 소개할지가 더 흥미진진

  • @user-rz1db7we3v
    @user-rz1db7we3v 2 роки тому +34

    아 윌라오디오북에서 들은게 영화관련도서가 아니라 칼세이건의 코스모스라니 역시 진성 과학유튜버의 길을 가시는 전직 영화유튜버 리뷰엉이

  • @San-gr3vl
    @San-gr3vl 2 роки тому

    목성 토성 위성들중에 테라포밍 할만한 행성들 있을까요?

  • @user-zs8jy7br1o
    @user-zs8jy7br1o Рік тому +2

    가장 가까운 항성계 가는데만 4.3광년인데...케플 뭐?

  • @polarbear6752
    @polarbear6752 2 роки тому +16

    리뷰엉씨 예전 영상에 따르면 빅뱅이후로 계속해서 은하는 멀어진다고 했는데, 그럼 우리 과학기술이 발달속도가 못따라가면 결국 가지도 못할거 제2의 지구는 있으나마나 한거 아니오?

  • @No.95_Storm_Mr.garcia
    @No.95_Storm_Mr.garcia 2 роки тому +23

    칼세이건 박사님은 우주컨텐츠 어디에든 다 계심

  • @mirr660
    @mirr660 2 роки тому +2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자전을 어느 정도의 속도로 하느냐인데... 자전속도가 너무 느리면 극이 발생하지 않아 자기장이 형성되지 않을거고 그러면 우주의 방사광선을 막아줄 수 없다는 거...
    자전 속도가 너무 빠르면 밤낮이 너무 빠르게 바뀌고 무거운 원소는 계속 적도 쪽으로 쌓이게 되는데 이에 대한 결과는 나도 모르겟다...

    • @mirr660
      @mirr660 2 роки тому +1

      또 행성이 이미 너무 많이 식었다면 이 또한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아 우주의 유해한 광선으로부터 생명체를 보호할 수 없다

  • @user-ze2sy7lh3r
    @user-ze2sy7lh3r Рік тому +2

    지구인들의 지금까지 보살도행그리스도행을 하신 영혼들은 지구 행성을 리셋 업그레이드시 살아남는 등불의 마음으로 인장받으신분들이고 그나머지 영혼들은 그 행성으로 이주해서 다시 원시인 체험으로 행성체험해간다

  • @user-xj8wk4ui9j
    @user-xj8wk4ui9j 2 роки тому +3

    행성 위성 시리즈 ㅈㄴ 재밌다 ㅋㅋ

  • @hk-ie2fv
    @hk-ie2fv 2 роки тому +38

    근대 만약에 인류가 저 행성의 이주하기로 마음먹었는데 저 행성의 이미 문명을 이루고 있는 생명체가 있다면 어떻게됨? 전쟁해서 뺏어야 하나?

    • @user-ds5et6ef9p
      @user-ds5et6ef9p 2 роки тому +1

      인류도 지구에서 그렇게 살아남앗음..못할것도 없지요..

    • @user-vr3yp2ss1n
      @user-vr3yp2ss1n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어차피 못 가니까 ..

    • @Coronavirusoriginal
      @Coronavirusoriginal 8 місяців тому

      콜럼버스와 인디오 꼴 날듯

    • @sjchoi777
      @sjchoi777 8 місяців тому

      지구로부터 600광년 ㅋㅋㅋㅋ

    • @jamesbak2575
      @jamesbak2575 8 місяців тому

      저기까지 못감 ㅋㅋㅋㅋㅋㅋ 인류 멸망할때까지

  • @sk6g0
    @sk6g0 Рік тому +3

    케플러22b가 지구의 2배정도니까 중력도 2배로 환경이 된다해도 인간이 그 중력을 못버텨서 오래 못 삼.
    (어느정도 적응 돼면 살 수도 있지만 당장은 못 삼)

    • @user-cz7gk3ki7f
      @user-cz7gk3ki7f 8 місяців тому

      드볼 손오공은 금방 적응할텐데 ㅎㅎ

    • @sk6g0
      @sk6g0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cz7gk3ki7f 손오공도 중력 땜에 못날고 걸어다님ㅋ

  • @newjam_archive
    @newjam_archive 2 роки тому +2

    이사할생각말고 지구를보존해야죠 인간이 저별로 가면 저별도 파괴될거에요

  • @malu0522
    @malu0522 2 роки тому +55

    영화가 아닌 모든것을 리뷰하는 유튜버라는게 정설..

  • @HangWoonE
    @HangWoonE 2 роки тому +30

    케플러22b에서는 리뷰독수리가 지구를 주제로 유튜브 영상을 제작 했을수도…

  • @Club_Tottenham
    @Club_Tottenham 2 роки тому +1

    미국도안가봤는데 우주를 어케가...이렇게 유툽으로 보는것만으로도 힐링된다 신비한우주~~💙💜💚

  • @user-zg3dj3vd6f
    @user-zg3dj3vd6f 2 роки тому +2

    그냥 지구 말고는 못간다고 보면됩니다 현 지구는 물 공기 적절한 온도 동물 식물이 애초에 있었기에 사람이 진화가 가능했던것이지 식물 동물 물이 애초에 없다면 식량 자체가 없다는건데 다른 행성으로 가더라도 생존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user-br6gq1mh8n
    @user-br6gq1mh8n 2 роки тому +5

    제 추측인데 인간이 지구에서 태양계 밖 행성을 찾고 관측할때 생명체가 안보이는 이유는 몇광년이든 우리가 그 행성의 과거 모습을 보고있는것 때문이 아닐까요? 우리지구에서 예를들어 5광년 떨어진 행성이면 5년전의 행성을 보고 있는 것이니까요 혹시 3억광년정도 떨어진 행성을 보면 지금 우리가 관측할때는 3억년 전의 행성이라 아무것도 없지만 이미 엄청나게 많은 문명을 이루고 이루어가고 있지 않을까요?

    • @user-ds4dk8jc4y
      @user-ds4dk8jc4y 2 роки тому

      추측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그렇답니다

  • @user-bi3tx5vd4p
    @user-bi3tx5vd4p 2 роки тому +67

    지구가 진짜 운 좋은듯 태양계만들어질때 운 좋게 적당한위치에 얻어걸린듯합니다

    • @VacuumPepE_
      @VacuumPepE_ 2 роки тому +7

      심지어 골디락스 존에 걸친다고 되는게 아닌데 자기장에 대기권까지 강하니...

    • @user-nf8lp7tz1n
      @user-nf8lp7tz1n 2 роки тому +7

      사실 저 행성들에 이미 생명체가 살고 있었는데 운이 안좋아서 멸종한것일수 있지 않을까요? 지구는 운이 좋아서 살아남은것이고요 갔는데 문명의 흔적이 있는것이죠

    • @entp6916
      @entp6916 2 роки тому

      @@VacuumPepE_ 골디락스 존에 들어가니까 전자기장도 생기는거임 ㅋㅋ

    • @VacuumPepE_
      @VacuumPepE_ 2 роки тому +3

      @@entp6916 전자기장은 지구 외핵 또는 내핵에 철과 같은 자성금속이 녹아 일으키는 대류현상때문에 생기는걸로 알고있었는데... 아니었나보네요

    • @entp6916
      @entp6916 2 роки тому +1

      @@VacuumPepE_ 아 맞다.. 지2를 배운지 1년 반이 되서 순간 까먹었네요 맞아요.. 핵 대류때문이었어요

  • @jaxian
    @jaxian 2 роки тому

    리뷰엉이랑 너굴경제가 젤 재밌음

  • @DogeYoutube2
    @DogeYoutube2 Рік тому

    초광속 으로 달려야 외계탐험 하기 조금이라도 편하지 않을가요? (사실 불가능 특수상대성 이론 때문)

  • @senma_
    @senma_ 2 роки тому +12

    과학도 알려주고 영화 홍보도 하고 리뷰엉이 프로 유트버군

  • @hari-if8bg
    @hari-if8bg 2 роки тому +227

    양자역학은 다시 언제 시작하죠..?

    • @리뷰엉이
      @리뷰엉이  2 роки тому +165

      머리좀 식히고... 살려주시라요...

    • @blue_gilinzzing
      @blue_gilinzzing 2 роки тому +28

      311호 부엉이가 머리 터져서 백업 받고 다시 한대요

    • @yoda2008
      @yoda2008 2 роки тому +10

      ??: 양자역학은 이론도 아니야!

    • @user-lx1zk6pg2g
      @user-lx1zk6pg2g 2 роки тому +11

      양자부엉이는 머리가 터져서..

    • @lutad.3179
      @lutad.3179 2 роки тому +18

      현재, 슈뢰딩거의 부엉이 상태입니다.

  • @hb3675
    @hb3675 2 роки тому +1

    결론 지구랑 똑같은 행성이 있어도 갈수가 없음.
    그러니 지금 살고있는 지구나 잘 지켰으면.

  • @user-lv1yb2wu3l
    @user-lv1yb2wu3l 2 роки тому +5

    새 지구를 찾기 전에..ㅜㅜ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이 지구를 아끼는 마음을 사람들이 가졌으면 좋겠다.
    세상에 존재하기 무척 어려운 환경의 축복받은 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