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스토랑에서 만드는 알리오 올리오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가장 기본적이지만 놓치기 쉬운 부분이 많은 알리오올리오!
약간의 인내심이 차이를 만듭니다
인스타그램
/ choiajean
[music]
Fun Time by Dj Quads: / aka-dj-quads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Video
Missing Someone (Vlog Music ) by Dj Quads / aka-dj-quads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Video
Dreams by Dj Quads / aka-dj-quads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Video
여기서 알리오올리오의 맛을 가르는 중요포인트는
1. 마늘을 볶는게 아니라 약불에서 우려낸다는 개념 (마늘향 극대화)
2. 면수의 간이 짜다 싶을정도 (알리오 올리오는 어쩔수 없이 조금 짜야 된다고 생각함 간이 약하면 맛없음)
3. 면을 평소보다 조금 더익히는 것 (면이 단단하면 오일 소스가 건면에 스며들지 못함)
4 불을 끄고 버무리는 것 (불을 켜놓고 볶으면 수분이 증발되어 퍽퍽해짐)
항상 알리오 올리오는 맛을 내기 어려웠는데 이 네가지가 포인트 같네요.
잘 정리해주셨네요!
3. 불을끄고 버무리기 때문에 면을 완전히 익히고 꺼내는것.
4.올리브유 향이 날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
아하 항상약불에 볶아서그런지 퍽퍽했는데 그문제였군요~~
근데이거 향내려면 약불에서 안해도 간마늘조금 넣어주면 되더라구영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와 알려준대로 약불에 천천히 익혔는데
ㅠㅠㅠㅠ드디어 성공ㅠㅠㅠㅠ
첨으로 성공했어여ㅋㅋㅋㅋㅋ
다른분들 댓글처럼 믿고 해보세여
존맛탱임
이 레시피 정말 좋네요. 덕분에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항상 오일양이 좀 많으면 느끼해서 오일을 많이 못썼었는데, 그 이유가 마늘을 충분히 우려내지 못해서였었네요. 이 분 방식처럼 마늘 약간 오버쿡이 아닌가 싶을정도로 오래 익히니까 확실히 오일 자체에 마늘 맛이 잘 배여서 느끼하지가 않고 진한 마늘향과 고소한 향이 끝장납니다. 면수 너무 많이 들어가서 우윳빛갈의 탁한 소스가 되버리는 것 보다 이 쪽이 개인적으로는 훨씬 고급스럽고 깔끔한 느낌이네요.
음. 쌩둥 맞지만 식빵을 올리브오일에 찍어먹어보세요. 오일이 느끼하다고 생각이 안들껍니다.
@@Handlefuking12 욕좀하지마 ㅋㅋ
DH Lee 저랑 같은 생각이시네요 뭔가 겉멋들어서 아는척하는 느낌이 강한 영상인것 같아요
@@악동-y8t 에멀전이뭐에여
@@ttottorro2 유추해보면 물이랑 기름이랑 섞여서 합쳐지는거아닐까요
옆에서 찍으면서 “사람들이 궁금해할 만한” 것 질문 해주니까 더 영상이 재밌는듯
알리오 올리오 진짜 많이 해먹어요. 되게 간단한 요리처럼 보여도 ... 마늘 익히는 게 참 관건이더라구요 ㅠㅠㅜ 덕분에 한 수 배웁니다.
오일파스타중에서도 기본적이지만 그만큼 맛을 내기 힘들기로 유명한게 알리오 올리오입니다.
요리사의 테크닉도 중요하지만 포인트를 잘 잡아내는것도 중요한데 이분은 잘 설명해주시는 편입니다.
토달면서 불평, 불편해하기전에 조언을 듣고 시도해본후에 말하세요.
요리에 정석은 있지만 정답은 없습니다.
누가 맞고 누가 틀리고는 무의미합니다.
ua-cam.com/video/MKlsa_6FNSc/v-deo.html 아뇨 요리는 화학의 한 분야라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것과 다르게 정답은 있습니다. 다만 주관식이라서 차점을 할 뿐이지... 분명 더 나은 답이 존재합니다. 과학적으로도요.
@@doublefoxhead3493 없음ㅋㅋㅋ요리가 정답이 있다는건 사람도 정답이 있다는거랑 같은 말임
Double foxhead Wls
@@doublefoxhead3493 아뇨 요리엔 정답이없습니다. "무조건 해야한다" 라는게 없다는 말입니다.
정답이있었으면 후라이팬 크기도, 모든 숟가락의 크기도 동일하게 해서 일정한 맛이 날수있다는건데. 소금 1g, 치즈 1g 더넣는다고 맛이 팍팍 달라지는 요리계엔 자기만의 개성을 살려서 내는것입니다. 요리라는것을 할땐 정해진 틀이나 정답은 없습니다.
@@doublefoxhead3493 대체 어떤 관점에서 봐야 정답이란게 존재함???
이거 만들어보고 느낀게 마늘 안에 초록색 싹 있는건 버려야된다는걸알았다 그냥 괜찮겠지하고 넘어갔다가 마늘이 안탔는데도 불구하고 쓴맛이나는거같음; 애초에 타긴한거지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뭐얔ㅋㅋㅋㅋ애초에 탄거면ㅋㅋㅋㅋ
소화가안되서 보통 빼서 버립니다
댓글들이 다 왜그래 자기들이 먹을 거니까 편하게 한거잖아 실제로 영업할 때 저렇게 조리하능 지 본 것도 아니고 너무 이 영상으로만 판단하시는거 같은데... 이런 저런 꿀팁들을 주는 영상이니 너무 깊게 가지 말아요ㅠㅠㅠ
방든램지들은 방구석에서 수집한 정보로 요리하는데 안쓰고 남 까내리는데 씀
어느 나라의 요리 방법이 전파되어 널리 사용되는 경우 여러 이유로 얼마든 재해석 될 수 밖에 없습니다.
파스타는 워낙 다양한 방법이 있고 그 중 알리오 올리오 역시 요리사에 따라 얼마든 변형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위 방법이 정석이다!라고 단언하여 생각하지 말고 여러 조리법을 참고하듯 일부분만(혹은 원리만)이해하시면 됩니다.
다만, 주의하실게 위 영상의 마늘은 다소 오버쿡된 감이 없지 않아 있으니 (아마 촬영때문에 생긴 문제일 가능성이 크겠죠.) 참고하시구요.
되도록 가정에 대용량 리터의 냄비가 있다면 그걸 사용하여 면을 삶으시는게 좋습니다.
이태리 건면 자체가 우리나라의 소면과는 달리 가공할때 소금 자체가 일절 들어가지 않고 입자가 단단하여 간이 침투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더욱이 표면이 매끄러워 소스가 면에 흡착되는 것 역시 어렵구요. 그러므로 삶으실때 소금을 들이부어 삶으셔도 면수 자체는 짤 지언정 면에는 적절하게 간이 되는 정도로 맞춰지니 걱정하지 말고 들이부으세요.
건면에 소금이 안들어간다는 얘기는 처음 들어보네요
그리고 애초에 건면을 안단테로 삶아놓는 이유가 안단테로 삶았을때 파스타 표면이 그묾모양인데 그 상태에서 소스에 들어가면 중심부까지 침투됩니다 매우 어렵다라는 얘기도 처음 들어보네요 표면이 매끄러워서 면에 흡착되는게 어렵다??? 에멀젼만 잘하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알리오올리오는 1. 슬라이스 마늘의 두께가 일정해야 뜨거운 오일에서 잡미가 안납니다. 2. 뻬퍼론치노가 기름으로 들어가는 타이밍과 온도. 3. 면의 익힘정도 4. 매콤한 마늘올리브유가 파스타 속에서 표면에 나온 물이 오일과 함께 면에 다시 들어가는 과정을 잘 관리해줘야 합니다.(허공으로 습기를 날리지말고 면수가 코팅되도록 최대한 빨리 팬을 돌려야합니다) 5. 삶은면이 들어갈때 팬에 있는 기름의 온도는 면을 넣을때 딱 팬높이만큼만 기름이 튀어야합니다.(낮은온도) - 완성되었을때 면은 표면이 쫄깃해서 치아에 붙어야하고 페퍼론치노가 생것처럼 생생해야하고 마늘이 물렁물렁해서는 안됩니다. 가장 중요한건 지나치게 뜨거우면 뭔가 잘못된것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환장하겠네 아무리 옛날영상이지만 엄청나다. 옛날에 식당가서 파스타먹으면서 와 이걸 돈주고 사먹는다고?해서 내가 요리하기 시작했는데 이 영상보니 식당에서 왜 그런 맛들이 났는지 이해가 되네요. 딱 어릴 때 제가 알리오올리오 집에서 하면서 실패했던 과정 그대로임
제가 알던거랑 다르긴한데 이게 맞다는 생각이 들만큼 먹고싶네요..알리오에 올리오는 만드는 분들마다 약간의 차이들이 있죠 ..저도 당장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여러분야의 유튜버들 중에서도 요리관련 영상 찍는 사람들이 제일 힘들듯 뭐 만드는 영상 올라오면 어딜가나 댓글보면 싸우고 있음ㅋㅋㅋㅋㅋㅋ
ᅳ파닥몬 ㄹㅇㅋㅋㅋㅋ다 고든램지임
난 구독자도 아니고 그냥 좀전에 렌덤으로 들어온건데 이건 이렇다 저렇다 말할 가치도없는 똥 실패작인데 뭔 소리? 기술적 실패 이전에 어떻게 조리를 해야하는지에대한 방법도 모르고 개념도 안잡힌게 요리사라고 쳐 앉아서 짜장면 만드는데 색깔낸다고 커피 뿌려먹는 수준의 똥영상을 만들어놓고 지들끼리 맛있다 맛있다며 찍어놓은 수준을 그럼 잘했다고 해야하나?
jeseo Park 선생님 전 이분을 콕 집어서 말한게 아니에요. 요리영상들 대부분이 그렇다는건데 어디 기분 안좋으신일 있으신가요?? 티비에 나오는 유명셰프 영상에도 별말들이 다 있는 마당에 그런거 보고 느낀 말에 많이 화가 나신듯 싶네요 .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서 영상올린분에게 똥 실패닥이다 라는 말씀은 참 듣기 거북하네요. 제3자가 들어도요 ^^
꼭 시바 방구석에서 밥하기 귀찮아서 배달음식 시켜먹는 새끼들이 셰프들만 보면 풀발뜸
@@jeseopark4419 똥실패작 이런말 말고 요리의 정확히 어느부분에서 어떻게 잘못한건지 말해주세요
댓글이 공격적인 것이 많아 상처가 되시지 않을까 염려되네요
맘 다잡으시고 앞으로도 좋은 컨텐츠 부탁드리겠습니다
질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기름 가득한데 면수 안넣어서 유화가 진행이 안됐어요 .마늘도 갈색빛이 진하게 돌고 파스타를 다 먹고 기름이 가득해요 이건 0점짜리 최악 파스타에요
영상 찍어주시는 분 궁금한 질문을 다해주셔서 너무 좋네요
알리오올리오 새로올린 동영상보고 다시보는 사람?
프랜차이즈 뷔페 A사 주방에서 알바하는
제가 만드는 방식의 알리오 올리오 파스타의 경우
강불로 타지 않을 정도로만 마늘, 페퍼론치노를
함께 볶아준 뒤 불을 켜고 면을 볶으나,
탈 것 같으면 면수를 넣고 함께 볶아줍니다.
가족들 가끔 해주는데 참 좋아하더라구요
뷔페의 경우에는 빠르게 빠르게 음식을
만들어주는게 중요하다보니
항상 강불로 빠르게 빠르게 요리를 하고있어요..
여기에다가 차돌박이 스무개 넣고 볶아서 먹었는데 ㄹㅇ 개밥도둑이였음
파스타 밥도둑...?!
파스타에 밥을 싸드ㅅ..
정말...진짜!!다시 배우세요 ㅋㅋㅋㅋ제발!!
???:파스타를 다먹고 남은자리에 오일이 흥건하게 남아있다? 전 그거 빵점짜리 파스타라고 봐요.
이거 누가 했던 말이에요?.?
오기 오우 세상친절하시다 감사해요 헷 ㅎㅎ
ㅋㅋㅋㅋㅋ공격수셰프님
전 꾸덕하개 먹는거 좋아해서 다 된 파스타라도 소스를 많이먹어요
항상 좋은 영상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ㅜ도움 너무 되요 새해복많이받고 좋은일만 생기길바랄께요~~
마누라랑 나랑도 취향이 극명하게 갈리는마당에 자기취향대로 안만든다고 수준이 낮다고 평해버리는 분들은 식견이 너무 좁아보이네요 그래서 자기 입맛에 맞는 음식점을 가는 겁니다
@WT H 방든램지 등판 ㄷㄷ;
음식은 취향의 문제 맞는데요...저정도 마늘굽기는 일반 레스토랑에서 볼수있는정도고 더심한데도 많은데...😊
@WT H 아. 혹시 기본이 안 되어있는 본인의 문제를 언급하신 건지요?
지금 마늘에 문제가 아니거 취향 애기하다가 마늘애기로 갔다는건 이상하다고 생각 안하시나?
@WT H 와....개초딩 같다..ㄹㅇ
좋은 영상이였습니다. 옛날에는 요리사들이 어떤 독보적인 요리를 선보이며 엄청난 스킬을 필요한 영상들이 추세였는데 누구나 간단하게 요리를 즐기며 할 수 있는 어렵지도 않으면서 풍미와 이탈이아의 향을 느끼게하는 아주 좋은 영상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누구나 요리를...옛날 어릴적 밥 로스가 누구나 유화 그릴 수 있다라는 획기적인 영상이 있었지요. 그 때 당시 모든 저명한 화가들은 그를 욕했지만 그는 아직 내마음에 떠나지 않더군요. 감사합니다.
이태리에선 알리오올리오는 라면정도임 식당에서도 안팜..!친구가알려준건 후추도 안집어넣음 오일향이 마늘향덮는다고 첨가안하구여 국물이있어서 계속비비면서 국물이사라짐 오일무침면같음
오제대로드셧네요!!
저 방금 그대로~~~ 해서 먹어 봤는데요! 마늘 바삭바삭하게 타기 전까지, 바닷물처럼 짜게! 해서 먹었는데 유투브 동영상보면서 다섯번정도 해먹어본 것중에 가장 그럴싸했어요. 면수 짜게, 마늘은 약불에 향을 많이. 이런 팁들이 좋았어요! 알리오는 정말 쉬우면서도 가장 어려운 것 같아여ㅠㅠㅠㅠ 다른 방식도 배워보고 싶어여 쉐프님 ..
면수는 맛봤을때 짠맛이 난다 싶을만큼만요 그래야 면에 간이 베거든요. 윽.. 짜. 이거 아닙니다
김민 내가 해먹어봣는데 소금물처럼 짜게해서 끓이면 짜서 못먹음 . ㅇㅈ함
@@표주광-u3i 짠맛이 난다싶음이 짜게 한다는게 아닌데. 다들. 이해를 못하네요
보통 면부터 먼저입니다 그 이유는 면 삶는 시간이 보통 7~8분 입니다. 그래서 마늘부터 기름에 넣게 되면 타고 너무 오버쿡되어 마늘의 탄맛만 느끼게 됩니다
마늘 저정도 구웠다고 쓴 맛 그렇게 안납니다.. 일부 많이탄 몇개가 그럴 수는 있어도, 대체적으로 안그래요.. 어떤 철판 스테이크집 가면 옆에 마늘도 같이 구워 주는데, 바삭하게 저정도 갈색으로 구워 줍니다.. 당연히 노랗게 적당히 익힌거 같은 맛은 아니지만, 겉에가 바삭하면서 적당히 마늘 구운맛? 그런게 나서 오히려 더 맛있습니다.
마늘 저 색깔 나온거면 탄거에요... 알리오 올리오는 많은재료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마늘 타기시작하면 바로 쓴맛이 올라옵니다
하진짜... 스테이크랑 알리오올리오 마늘을 비교하네 스테이크 옆에 나오는마늘은 마늘후레이크 처럼 구워서나오는거고. 알리오올리오 마늘을 오일에 익히는겁니다 영상에 나오는 마늘은 많이 탄게맞습니다.
남시후 후레이크는 영상처럼 얇게잘라서 튀기거나 오일발라서 구운거고 스테이크옆에 나오는 마늘은 보통 오일발라서 오븐에굽죠
그리고 직접조리해보니 저정도 마늘에서 탄맛,쓴맛이 많이 느껴지지않더군요 그리고 적절한쓴만은 입맛을 돋우는데 도움을줍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취향차이라거 할수있겠네요
@@승지 진짜로타면 까맣게됩니다 진짜 탄걸 본적이없으신가보네요 ㅎㅎ
이 유튜버 새로 올린 영상보시면 적당히 노릇하게 구워 알리오 올리오 만듭니다
기름흥건한 알리오 올리오는
빵점짜리 파스타다~ 이말이야~
마늘은 하드넥 소프트넥 두종류가있음
하드넥은 소프트넥보다 더맵고 알리신많음 대신저장성짧음
소프트넥은 하드넥보다 알리신적고 대신저장성이길음 외국은 대부분 하드넥사용 한국은 대부분소프트넥사용
집에서 맛있게 만들고 싶으면 의성마늘 또는 단양마늘 쓰시길 두지역마늘이 하드넥임
와드
와드
ㅇㄷ
굳굳
ㅇㄷ박기
뭐지...내가본 알리오올리오 파스타 동영상 중 제일 도움되고 좋다고 생각하는데 ㅎㅎ작성자분 감사합니당
이게 사실 영상도 좀 산만하고 진행도 아마추어스러워 레시피가 신뢰가 안갔는데 그래도 이분 말하는 포인트대로 만들었더니. 식당에서 먹는 그맛이 남! 마늘은 약불에서 장기간 우려내기 ㅡ올리브오일에 간을 하는게 아니라 면을 삶을때 소금을 많이넣어서 면 자체를 짭조름 하게 간하기 ㅡ불끄고 버무리기. 특히 면수를 아주 짜게해서 해서 면 자체를 간을 해야하는것. 올리브오일에 간을 하는게 아님. 하튼 레시피는 확실함. 이분 하라는대로 해서 레스토랑 만큼의 맛으로 해먹고 있음!
999ㅜ9
님보단덜아마추어
레스토랑에서 먹는 맛이면 감칠맛이 나야할텐데 저기 ㅅㅂ 소금밖에 안드갔는데ㅜ어캐 그 레스토랑 맛이 난다는건지
@@참치-k3r 레스토랑에서 일하는 셰프가 알려준 레시피대로 만들었으니까 레스토랑맛이 나죠 빡대가리세요?
김영훈 소금만 처넣었는데 감칠맛이 어캐난다는건지 ㅎㅎ
뭐 사람마다 레시피가 다르겠지만 제가 이탈리아친구에게 배운거랑은 완전 다른 방법이네요. 전 파슬리를 훨씬 많이 넣고 마지막에 레몬즙을 넣습니다. 올리브오일이 워낙 많이 들어가서 느끼할수있는데 레몬으로 깔끔하게 해주고 요즘은 잣을 넣기도하고 가끔가다 마지막에 통조림 고등어 넣어주는데 이것도 맛있더라구요 ( 유명 이탈리안 레스토랑에서 고등어 파스타 보고 따라해봄)
그리고 이탈리아 친구네 집에선 치즈는 넣지 않는다고 그러더라구요
약간 김치찌개? 같다고해야할까요? 사람마다 레시피가 좀 다르더라구요
@@lim230 안그래도 오늘 길에서 친한 이탈리안 할아버지 만나서 한참 얘기하다가 이거 생각나서 여쭤보니 딱히 정해진게 아니라 레몬을 넣던 안넣던 치즈를 뿌리던 안뿌리던 개인 취향이니 너무 심각하게 생각말고 좋아하는데로 먹으라고 하더라구요. 카보나라도 크림을 넣고싶으면 넣고 아님 말고지 딱 하나 정해서 그게 정답은 아니라 하시는데 그게 정답같네요. 자기가 먹고싶은데로 먹자 ㅎㅎ
Korean Gamer 저도 오늘 집에서 해보고 입맛에따라 추가해먹을까봐요 ㅎㅎ 파스타는 마치 라면같죠뭐 ㅋㅋ 이것저것 맛남요
@@MeanKoreaNZGamer 풉
알리오 올리오 엄청!! 좋아하는데 지금까지 퍽퍽한 건 오일을 코팅하는 내 기술이 부족하구나 했는데 완전히 익히고 저어주기만 하니 수분이 안 증발해 촉촉탱글합니다!!! 밤 12시에 봐서 해먹은 게 안타깝지만..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기술이 부족한게 아닙니다 오일을 코팅하는것고 아니고요 마무리 단계는 에멀젼이라는 건데 기름과 액체를 섞이게 해주는 유화 단계입니다 알리오올리오 같은 파스타는 노른자 같은 유화제가 없어서 면수로 유화 시키는데 면수 자체에 레시틴 성분이 있어서 빠르게 휘저으면 일시적으로 에멀젼 상태가 됩니다
파스타에 면수를 강하게
해주는 이유는 소스의 간을
세게 하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면의 간이 적당하면
전체적으로 음식이 싱겁지 않고
소스간을 강하게 하지 않아도
충분히 소스와 면의 조합이
황금비율로 됩니다.
20년차 솊이~~
와 이거보고 원래하던 방법에서 이 동영상 셰프님 방법으로 바꿨는데... 정말 꿀맛...입니다♡ㅋㅋㅋㅋ 마늘 약하게 오래, 불끄고 비비는게 신의 한수네요!
이대로 해먹었는데 역대급으로 맛있었어요 ㅋㅋ 정석이 아니면 어때요 맛있게 먹는게 중요하지 ㅋㅋ 감사합니다
저는 이거대로 했더니 완전 만족했어요~! 앞으로 영상도 기대돼요~!!
감사드려요.
이 방법대로 하니 마늘의 바삭한 식감도 살아있고 면수를 넣지 않아도 면에 간이 베여 깔끔하고 약불에 오래 구워서 다진마늘이 아님에도 마늘향이 풍부하게 납니다. 파스타집에서 먹었던 것 보다 더 맛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리유학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양식 전공하려는 맘에 여러 영상들을 보고 있는데 되게 전문적으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을 보니까 이론이나 과학적인 이유도 모르고 말하는데 신경쓰지마시고 좋은 영상 계속 올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님 조리유학 공부중인 이론이나 과학적인 이유좀요
레스토랑에서 만든다기보다는.. 집에서 맛있게 먹을수있는 레시피를 찍으셨네요 ㅎ 생각보다 영상퀄리티가좋아 잘보고갑니다
방송에서 샘김 셰프도 면수는 굉장히 짜게 한다고 했는데. 그게 정통 이탈리아식이라고. 근데 댓글들에 셰프 진짜 많네요 다들 전문가들이네
After You ㄴㄴ 좆문가
쾌차하세요 항상 응원하고 있어요😊
얼마 전에 토마토 파스타 소스 만드시는 것 보고 타고 넘어와서 봤다가 오늘에서야 해먹어봤는데 너무 맛있어서 놀랐습니다! 제 하우스메이트도 맛있다고 한그릇 뚝딱했어요~!맛있는 음식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이게 첫영상이였다니 ㅎㅎ 여러가지 알리오 만들어서 가족들한테 주는데 이 방식이 제일 맛있다고 하네요. 꾸덕하게도 마늘 갈아서도 최근 영상도 해봐도 이게 참 마일드 하니 좋아요
전 항상 불 쎄게하고 했었는데 새로운 방법이네요. 정말 맛있어 보여요. 댓글들 참 이상한 사람들 많네요. 같은 메뉴라도 조리법이 얼마나 다양한데 자기가 아는게 무조건 정석인냥 하네요. 예를 들어 제육볶음을 해도 양념에 재워서 하는 사람이 있고 미리 양념안하고 고기먼저 볶은다음 양념 넣는 사람도 있습니다. 자기 입맛에 따라 맞는 조리법이 있고 자기 입맛에 맞는 식당 가면 되는겁니다. 육수넣는 알리오올리오도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그게 더 맛있다는 사람도 있는거지 그건 진짜 알리오올리오가 아니라고 말할 필요가 있나요 요리란것도 입맛에따라 변형되고 그러는거고 오리지널로 먹고 싶으면 그런 식당 찾으면 되는거지요.
쫑엔젤 저건 오리지널이나 그런 문제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잘 못하시는분이 만드신게 문제에요
이 영상 보자마자 바로 만들어먹었어요! 너무 맛있게 잘 먹었습니다‼️
오늘 알리오 올리오 만들어봤어요♡ 레시피 두개 다 잘봣습니다♡ 앞으로도 자주자주 양식올려주세요♡
댓글에 상관없이 영상 너무 잘봤어요! 알리오올리오는 항상 맛내기가 어려웠는데 설명도 너무 잘해주시고 영상도 친절하게 만드신거같네요^0^! 구독하고 갈게용!!!
영상 좋은데요. 친구한테 알려주듯이.
면수는 따로 국자로 퍼넣지 않아도 면 건져서 팬에 넣어줄때 자연스레 들어가는거죠 문제없는데요? 저도 이렇게 배웠습니다. (예전 청담동의 고급 스튜디오에서 제대로 비싸게 배웠습니다)
레스토랑이나 비스트로에서 스톡을 넣어 마무리 한다는 댓글이 있는데 그거야말로 클래식아니구요, 치킨스톡 이런거야 말로 반칙입니다.
알리오 올리오는 말그대로 마늘과 올리브오일로 맛을 내어 만드는 파스타입니다.
그리고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와 파마산치즈는 엄연히 다르죠. 쉐프가 말씀하신것처럼..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는 이태리의 파르마 지방에서 만든 것만 그렇게 불릴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미국의 크래프트사가 만든 초록색 병에 들어있는 것은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가 아닌 , 그냥 파마산 이라고 붙인 겁니다. 성분표시를 보면 분말치즈 몇 퍼센트+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 소량 또는 그저 파르미지아노 향 첨가라고 되있을꺼예요. 물론 미국산 크래프트제품말고 많은 브랜드가 있겠지요. 그러나 절대로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법에 걸려요.
셰프님이 다시 올리신 영상에서는 치킨스톡 쓰시는데 반칙하시네요 ㅠㅜ
따끔하게 한마디 해주세요 ㅎㅎ
님덜 딱 한가지만 물어볼게요 이분영상에서 이게 더 맛있어 아님 다른 '당신의 알리올리오가 맛없는이유' 에 나오는게 더 맛있어요??
오일파스타의 기본인 에멀젼도 안한 상태로 파스타면 넣고 오일따로 면따로 기본도 안되있는 요리사
이영상은 너무 옛날영상이네요 이채널 다른영상 가면 에멍젼 꼭합니다.
알리오올리오 자신이 없어서,
항상 소스를 넣어서 먹었어요.
ㅎ영상보니까, 자신이 생기네요.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알리오 올리오 : 들어간 재료 대비 가장 비싼 외식 음식 중 하나
치킨
@@쿠쿠쿠쿠-f6i 이태리가서 알리오올리오 드셔보세여..!못먹습니다 왜냐구요? 없습니다 안팔아요 가정요리입니다.
셰프의 노하우를 무시하는거?
재료비로만 음식값을 따지는게 얼마나 무식한 소린지😓
@@주짓수-o5y 그럼 치킨 왜 2만원 주고 쳐먹냐? 3천원에 닭이랑 기름 몇백원치 사서 끓이면 되는데 ㅋㅋ
진짜 레스토랑에서 만드는것처럼 되네요 ㅋㅋ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
맛동무 성님 정말궁금한게있어요
여러분의알리오올리오가 맛이없는이유의
에멀젼이 완벽한 파스타랑
이 동영상의 투명한오일의 알리오올리오랑 결과물이차이가 나는 이유를알고싶어요!!
@@excahead 이분이 맨날 하는 소리가 에멀젼 에멀젼인데요
오일이랑 면수랑 섞이는게 에멀젼아닌가?
면수로 간 맞추잖아...
@@excahead 방구석 램지가 또......
트럭 찐득찐득하니 잘만 됐는데요?ㅋㅋ루ㅋㅋ
@@excahead ㅋㅋ 이영상 만들고 1년뒤에 니들 오일파스타가 맛없는 이유 라고 찍으며 에멀전 하라고 합니다. ㅋㅋ
전 에멀전이라고 하면서 만든 동영상 먼저보고 이거 보는데 뭐지? 했네요 ㅋㅋ
ua-cam.com/video/-RrTIyVfM40/v-deo.html
오늘 이대로 해먹어 봤는데 매우 맛있었습니다. 몇년동안 알리오올리오 해먹었지만 드디어 제대로 맛 낼수 있게 된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요리보고 조리보고 저는 이제 면수 간하는거 감만 잡으면 될거같아요. 면 삶으면서 졸아들걸 생각해서 면수에 간을 조금 덜해야 겠어요 ㅎㅎ 소금 엄청 넣었더니 면이 살짝 짜게 삶아져서.. ㅎㅎㅎ
실패하는분들 오일 풍족하게 넣고 시작한후 마늘을 무조건 많이 넣고 오래 우려보세요 ㅎㅎ 실패 안하고 맛있음. ㅋ
걍 레시피자체가 맛이없는것같은데
기름양이너무많으니까 에멀젼이 잘 안되던데요?
마늘 오일이 문제가 아님. 치킨스톡 좀 넣고 마지막에 만테까레 해주면 됨.
치킨스톡 없이는 아무리해도 파는 맛 안남. 우리나라 입맛에는 감칠맛이 꼭 필요함.
맛도맛이지만 기존의 방식보다 풍미는 훨신 좋겠네요. 마늘도 약불에서 튀기듯이 굽는 것도 그렇고 간단한 음식이지만 디테일에서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 같네요 . 오일의 풍미가 과할수도있겠지만 화이트와인 한잔이면 굳일듯!
재료 거의 필요없는 저렴한 요리인데 가장 중요한 제대로 만들 줄 아는 요리사가 있어야 한다는 함정이 있는 음식. 같은 재료를 쓰는데 집에선 저맛이 죽어도 안남. ㅜ.ㅜ
마늘을 저렇게까지 볶으면 마늘향이 다 날아가고 오히려 단맛이 납니다 ㅋㅋㅋㅋ
맛있겠다 ㅜㅜ 낼 해먹어야지... 항상 불 켜놓고 조리해서 면이 말랐는데 이렇게 버무려야겠어요!
타 덧글들에선 에뮬선?이 안됬다고 뭐라뭐라하시지만 초보가 보기엔 뭔지도 모르겠네요 ㅋㅋㅋㅋㅋㅋ
그래도 천천히 과정을 보여주셔서 이해가 잘됬습니다. 면수가 많이 짜야한다는걸 처음알았네요. 맨날 나중에 소금더 넣었는데.....
뭐라고 하는분들도 많은거 같은데 힘내세요
Noa 에멀젼은 파스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에요 원리를 이해하고 못하고 실행에 옮기는데에 있어서 아마추어인지 프로인지 갈려요 원래 기름이랑 물은 섞이지 않는데 면수를 넣어주는게 면을 삶고 난 후에 면수는 레시틴 이라는 성분이 있는데요 이게 물과 기름을 섞이게 해주는 역할이라 알리오올리오 같은건 사실 빠르게 저어주면 순간적으로 에멀전이 되요
7:02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 치즈를 쓰실때 파마산치즈 써도 되지않냐고 하셨는데
두 치즈 같은거 아닌가요?
파르미지아노가 이탈리어고 파마산이 영어아닌가요?
ㅋㅋㅋㅋㅋㅋ보면서 나까지 얼굴 화끈거리던데ㅋㅋㅋㅋㅋㅋㅋ
덩어리와 가루라고 추측해봅니다 요리에 큰관심없으신분들보면 파마산치즈는 덩어리보다 피자옆에 딸려오는 가루치즈로 생각하실수 있으니까요:)
@@kwonbi80 다른데요
보통 파마산이라고 표기되서 유통되는 치즈는 순수 파마산이 아니니까 그런듯.
다른 지역에서 만든건 파마산이라고 보면됩니다. 파마산으로 나온 애들은 정통방식 아니고 이것저것 첨가물 들어간애들이 많고 미국에선 가루로도 만들어서 팔지요. 어떻게 보면 같은 치즈지만 따지고보면 다른 치즈
파스타 삶는 물은 바닷물처럼 짜야된다고 이태리 요리사들은 항상 강조 합니다
바닷물로 끓여볼까요ㅋㅋ
바닷물은 좀 강조된 그런표현이고
우리가 먹는 음식보다 더 짠느낌이 제일 좋은듯
염도 1.5퍼센트이상인데 겁나게 짭잘한 ㅋㅋ
해안경계근무할때 바닷물넣어서 미역국 간해봤는데.....
바닷물 못해도 염도가 3퍼센트가 넘어가는데
3퍼센트로 면수맞춰서 해먹으면 말그대로
그냥 물 한컵 바닷물 한컵 섞은만큼
파스타가 짜지는데 이래서 한국 사람들이
이태리 파스타 간 별로 안좋아함.
한국식 알리오올리오
1.올리브유를 넣고 통마늘 조금(5개정도) 살짝 으깬뒤 약불로 우려내준다
2.우려내면서 마늘조금(5개정도) 편으로 슬라이스 해준후 넣어준다.
3.면삶기 소금넣고
4.다진마늘 한큰술을 넣어준다.
5.페페론치노를 넣어준다
6.마늘분말이 있다면 첨가해주면 맛있다.
7.삶은 면을 기름에 넣고 면수를 넣어가면서 섞는다.
후추 치즈 등등은 취향 완성
내기준 타기 직전의 칩된 마늘 극호~ 오일 살짝 먹금은 바삭한 갈릭칩 존맛 ㅋㅋ간 못 맞춰도 갈릭칩빨로 먹을수 있거든요
뚀리하는뚈뚈이 인정요.... 살짝 밍밍한데 싶다가도 마늘 하나 먹으면 캬 존맛 외칠수 있음ㅋㅋㅋㅋㅋㅋ
근데 이에 다 들어붙음..
면수넣고 에멜젼하다보면 마늘도 좀 흐물해지던데 안그러시나요..?
@@jsl2263 ㅇㅈ 정통방식으로 만떼까레하면 마늘물렁함
이영상은 면수를 안쓰고치즈기름으로 해서그럼
알리오올리오 영상을 두번 찍은걸로 아는데 두 번의 영상 내용이 다르네요.
이 영상은 완전히 익힌 면을 오일소스에 버무리고 면수와 섞기만 하고,
다른 영상은 면을 살짝 덜익힌 상태에서 약간의 면수와 오일소스와 함께 가열해서 물과 기름이 섞이게끔 하셨던 거 같아요.
그 영상에서 말씀하셨던 거는 파스타에서 전분기를 뽑아내서 원래 알리오올리오 소스가 크리미해야한다, 면에 소스가 딸려올라와야한다고 하셨는데 이 영상에는 그런 과정이 없이 버무리기만 하시네요.
뭐가 맞는건가요 최근영상이 맞는건가요?
저도 보면서 그생각 함
이사람 전문성 조또 없는상태에서 찍은겁니다ㅋㅋ
저파스타 아마 존나짤거임ㅋㅋ
업장에선 중간에 집게, 젓가락으로 맛본걸로 다시 사용하는건 아닌거 같고 접시에 올릴때도 꼬아서 올리면 비주얼적으로 좀 더 살긴하는데 물론 저건 본인들이 걍 먹을거라 저렇게 했을거라생각하네요
본인이 먹을거 아니면 절대 저렇게 못하죠....
아 씨이발
평소습관인겁니다.. 요리하면서 이거 무시못해요
@@asmt1166 생각없는것고 평소습관이디?
왜 면을 다 익히고 마늘이랑 페페론치노를 다 익히고 섞기만 하는건지 궁금했는데 에멀젼을 안하는구나 면수도 쬐끔넣고 옆에 분이 너무 짜다한거보면 아예 면을 다 익히고 섞어주기만 할꺼라 면수도 쫌 더 짜게 한거고 그래서 면수도 조금 넣은거 같고
옆에서 궁금한거 다 물어봐서 참고하기 정말 좋으다!!
1. 마늘 약불에서 오랫동안 양면 익히기.
2. 물 으악 시발 짜 할 정도로 간하고 면 푹 익히기
3. 마늘 다되고 면 되면 불 끄고 엑스트라 버진 오일, 치즈, 후추, 이파리 넣기
4. 그릇에 넣고 치즈 넣고 끝.
특이점: 면수 안넣고 물이 겁나 짠듯
보시면 면수는 넣습니다! 에멀젼(유화 작용)을 시킬때 필요한건데 아마 오일 양이 충분해서 별로 안넣구 간 맞출때만 넣으신거 같네요
알리오 올리오 틈만 나면 만들어 먹는데 항상 마늘맛이 덜나는 것 같아서 아쉬웠다...그리고 지금 영상속에서의 요리법은 내가 지금까지 알던 요리법과는 너무나도 다르다.. 면수를 쓰는 방법이나(배운 바로는 기름이 끓고 있을때 면수를 한국자 정도 넣어줘야 한다고 배웠음) 마늘 익히는 시간도...
여지까지 먹었던게 아쉬웠으니 날이 밝으면 이 레시피대로 한 번 시도해 봐야겠다
기름 끓는 상태에서 소금물 들이 뿌으면 다 튀지 않나여?
원래 뜨거운 기름에 물을 섞는 것 자체가 물이 가벼워서 튀게 되어있는데 물과 기름 모두 열이 있고 알리오 올리오가 높은 온도에서 요리되지 않아서인지 많이 튀지 않아요-!
파스타 만드는거 좋아하는데 너무 재밌게 봤어요!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그만좀 싸워라.. 이기심 과 분노와 질투심에 휩싸인 한국인들아..
죽을때까지 싸우다 죽겠구나.. 어쩌다 나라가 이지경이 됬는지..
천인공노할 상황이구나.. 이 어찌하랴..
당신도 한국인
박진우 뭔 무협소설써요? 왜그래요 진정해요
일전 영상에선 센불에 에멀젼 하셨는데 레스토랑이라 다른방식으로 하시는건가요? 요린이가 잘 몰라 여쭙니다 ~;;
이멀전 전혀 안됐는데요..? 알리오 올리오 완전히 실패한겁니다. 이멀전할때 기름의 양보다 면수가 2배가량 많아야합니다. 기본이 안되어있네요.
😅
맛 보다는 현장감을 살리기 위한 카메라맨을 돋보이게끔 한 노력이 보이네요.
강추드립니다.
알리오올리오에 치즈를뿌리지않나 마늘을 다태우지않나 마늘기름을 뽑아낸뒤에 올리브오일을 추가하지않나 쉐프맞나요? 가게가어디인가요?
씹꼰대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올리브오일은 종종 새로 후첨하는 거 봤는데 조리하면 올리브 향 날라가니까
@@테단-w1k 오히려 알오는 엑스트라버진 절대 안넣습니다 마늘향다가려지기때문
컨셉이 되게 좋네요! 잘 보고 갑니다! 앞으로도 많이 올려주세요 너무 유익하고 저도 꼭 해보고 싶어요! ㅋㅋ
누구나 할수있을정도로 간단하네요
감사합니다!
가열시에 알리신 성분이 파괴되는건 맞지만 다진마늘이 아닌 어느정도 으깨어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슬라이스로만 사용하게되면 사실 이탈리아같은 현지에서 파는 마늘과는 향부터 다르기때문에 슬라이스로 올리브오일에 향을 끄집어 낸다라고 하는건 무리입니다.
이거 이태리 사람들이 보면 엄청 싫어할 것 같은데,,,저렇게 기름 흥건한 파스타
에멀젼 안된 오일파스타라니....
마늘이 저렇게 타면 마늘 본연의 식감도 안좋아지고 영양소도 파괴되고 안좋은데...쉐프가..
다른건 모르겠고....그릇에 담을 때 빵 터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영상 잘봤습니다
시청자들이 간편히 집에서 해먹을수 있는 영상이라 생각합니다
즉석 요리의 매력은 신선한 재료를 선별하고 특성에 맞게 손질하여 요리를 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칼 옆면으로 마늘을 지그시 눌러 마늘을 부서트리고 크기가 일정하도록 결 수직방향으로 두어회 썰면 훨씬더 마늘의 향이 잘베입니다
파스타는 쉽게 접할수 있는 요리이지만 가장어려운것이 파스타라고 할만큼 어려운 요리입니다
훈수댓글특)지들도 정확히 몰라서 나무위키하고 요리블로그나 채널 찾아가면서 댓글씀
ㅇㅈ
꺼무위키
궁금한게있응데요 패퍼론치노 뿌셔넣으면 씨 씹혀서 깜짝깜짝 놀라거든요,, 그건 어떻게해야할까요ㅠㅠ 그리구 쉐프님이 유투브 주인이세요? 넘잘생기심 🥰
성인남자 두분이서 드시기엔 좀 적어보이는 느낌 ㅋㅋㅋ
댓글에 논란이 많지만 일반인이 참고하기에 좋은 영상인것 같습니다 백종원 방식으로 잘 안됐었는데 이 방식으로 시도해볼게요!
좀 다른 알리오올리오 파스타네요. 하는 방식이야 조금씩 다른거니 이렇게도 먹어보고 자신의 입맛이 맞추는게 가장 좋지않을까 싶네요~^^
저게 정석이잖아 에멀젼이 파생된방법이고
수령님 리즈시절
여러가지 팁들을 알려주면서 요리를 하셔서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아요!
보기에는 맛없어 보이는데 맛있게 드시니깐 궁금하긴 하네요 근데 저는 저파스타는 절대 돈주고 사먹진 않을듯 십네요
다른 영상에서는 면을 덜익히고 에멀전 하는 과정에서 익히던대 뭐가 맞는거에요?
그게 맞는거에요..
그때 그때 다릅니다~ 시청자도 속이고 자기자신도 속이는 그런 요리늘 해야죠!
굉장히 유익한 체널인 것 같아요 앞으로도 많은 영상올려주시고 흥하세요😀
댓글이 왜이래여;; 다들 르코르동 블루 나왔나바ㅋㅋㅋ
이걸보고 오늘 저녘 영감얻어가요😁
참고로 전 외국사는데 파스타에는 정석없어요🤣🤣🤣🤣
맛만조음되지요ㅎ😛😛😛
외국 사는거랑 파스타랑 무슨 상관인가요ㅋㅋ 이탈리아 사시는거 아니면 한국이랑 뭐가다르죠
있어보이는 척 하는 사람 까는 있어보이는 척 하는 사람
개 웃기네ㅋㅋㅋㅋ 외국산데ㅋㅋ
ㅋㅋㅋ외국사는데는뭐여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
집에서 크림파스타 만 해먹다가 오일파스타 영상보고 알려주신대로 해먹어 봤는데 진짜 맛있어요 ㅎㅎㅎㅎㅎ쉽게 잘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익명성에 가려서 어쩌고 하는 댓글이 많은데 니들이 더잘알고 잘만들면 니들도 영상올리세요 어쩌고 하지 마시고;; 아는척 오지니까 오히려 더 없어보임
7:02 파마산 치즈 들고 "이거 말고 파마산 치즈 써도 되지?" ㅋㅋㅋ
더 웃긴건 쉐프님 "그치" 고개 끄덕임... ㅋㅋ
잉 근데 이거(파르지아노 레지아노?) 대신 파마산 써도 되냐구 한거 아니에영?
@@Arenguerim 같은거자나요.... 파르미지아노레지아노=파마산
박성수 옹 그게 같은거군요!! 제가 잘 몰라서 감사합니다
원래는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 = 파마산인데 한국에서 파마산으로 유통되는 건 주로 저렴한 블렌딩 치즈가 많아서 그런 뜻으로 쓴 걸수도 있어여
파마산 치즈가루는 미국에서 대두랑 섞어서 만든 거 말하는 것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