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안 주면 임금체불이라고요? 사장님도 알바생도 속 시원하게 정리 끝! (f. 2024년 최신 정보)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주휴수당 때문에 골치 아픈 사장님들, 알바생들 모두 주목! 매번 헷갈리는 주휴수당, 이 영상 하나로 완벽 정리해드립니다.
    ✅ 주휴수당 핵심 조건 2가지
    ✅ 2024년 최신 주휴수당 계산법 (초간단 공식 공개!)
    ✅ 헷갈리기 쉬운 주휴수당 FAQ 총정리
    ✅ 5인 미만 사업장, 비정규직, 격일제 근무자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을까?
    경영지도사가 알려주는 믿을 수 있는 정보! 더 이상 주휴수당 때문에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지금 바로 영상을 확인하고, 깔끔하게 해결하세요!
    상담문의: forms.gle/EWYq...
    오픈톡방: open.kakao.com...
    원탑 홈페이지: onetopm.com/
    원탑 블로그: blog.naver.com...

КОМЕНТАРІ • 8

  • @sehyuk98
    @sehyuk98 2 місяці тому

    2021년 행정해석이 변경되었다고 하셨는데요,
    그 의미는 퇴사자의 경우 마지막 근무 주에도 주휴수당이 발생한다는 의미죠?

    • @onetop-1
      @onetop-1  2 місяці тому +1

      안녕하세요,
      2021년 8월 4일, 고용노동부는 주휴수당 지급과 관련된 기존 행정해석을 변경하였습니다. 이 변경은 퇴사자의 경우에도 마지막 근무 주에 주휴수당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행정해석에서는 주휴수당 지급 요건으로 다음 주 계속 근무가 예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습니다. 즉, 퇴사자가 마지막 주에 개근했더라도 다음 주에 근로가 예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2021년 변경된 행정해석에서는 이 조건이 삭제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1주간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하고 근로관계가 해당 주 동안 유지되었다면, 다음 주 근로가 예정되지 않더라도 주휴수당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예시)
      주휴수당 발생 조건: 1주 동안 소정근로일을 개근하고, 해당 주의 근로관계가 유지되었을 경우.
      퇴직일 설정에 따른 차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근무한 후 토요일에 퇴직하면, 해당 주의 근로관계가 5일간만 유지되므로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반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근무한 후 그 다음 주 월요일에 퇴직 처리되면, 해당 주의 근로관계가 7일간 유지된 것으로 간주되어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변경된 행정해석은 퇴사자의 마지막 근무 주에도 일정 조건(1주 개근 및 해당 주 근로관계 유지)을 충족하면 주휴수당이 발생하도록 해석됩니다. 이는 퇴사자의 권리를 보다 폭넓게 보장하려는 취지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퇴직일 설정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유의해야 합니다.

  • @hochihochi-c
    @hochihochi-c 4 місяці тому

    주휴수당 산정식에서 나누기 5 의 5는 근로일수기준인가요? 무조건 5를 나누면 되나요?

    • @onetop-1
      @onetop-1  4 місяці тому

      무조건 5를 나누면 됩니다~^^
      근로시간÷40×8 인데 뒤를 먼저 계산하면 5가 남아요.

  • @sweet_pitch
    @sweet_pitch 2 місяці тому

    주 6일 근무, 하루에 4시간씩 주 24시간 일할때
    6일중 하루를 빠져서 소정 근로일을 개근해야한다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을 경우 주 근무시간이 20시간이어도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없나요?

    • @onetop-1
      @onetop-1  2 місяці тому

      하루 빠진 사유가 중요해요.
      다음의 경우는 결근으로 보지 않습니다:
      -지각이나 조퇴의 경우 (근무 기록이 1분이라도 있다면 출근으로 인정)
      -휴가를 사용한 경우
      -공휴일인 경우

  • @sehyuk98
    @sehyuk98 2 місяці тому

    주휴수당 계산이 소정 근로시간 기준이 아니라 실제 근무시간 기준인가요?

    • @onetop-1
      @onetop-1  2 місяці тому

      소정근로시간으로 계산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