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가장 빠른 기차 | 그것의 완전한 물리학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824

  • @영홍김-d8r
    @영홍김-d8r 3 роки тому +74

    해석이 박사수준이네요..이런 방송 많이 많이 보여주세요

  • @seyongkwon
    @seyongkwon 3 роки тому +187

    이제부터 '신나는 전류' 입니다.

    • @조희명-e8r
      @조희명-e8r 3 роки тому +8

      신나는 전류는 뭘 번역한걸까요?

    • @전자왕김재상
      @전자왕김재상 3 роки тому +1

      크크 흥이 많은 전류

    • @jodanniel5260
      @jodanniel5260 3 роки тому +22

      혹시 exciting current 일까요?

    • @Chat_Bixby
      @Chat_Bixby 3 роки тому +41

      훙분하는 전류 보단 낫네 ㅋㅋ

    • @zukorean
      @zukorean 2 роки тому +1

      @@Chat_Bixby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ndied0j
    @ndied0j Рік тому +7

    역시 같은 것을 배웠다고 같은 것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네요.
    관련학과 학부생 정도면 충분히 떠듬떠듬 이해할 수 있는 원리들인데, 그런 것들을 하나하나 응용해가며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하여 만든 걸작이네요.
    공학은 아름답습니다 😅

  • @msdigital7065
    @msdigital7065 3 роки тому +77

    3:00 방사선이 아니고 복사선입니다. 둘다 영어로는 radiation 이지만 의미와 사용처가 다릅니다. 방사선이라는 용어는 보통 알파,베타, 감마선과 같은 고에너지 하전입자나 전자파를 나타낼 때 사용하며, 복사선은 열선과같이 빛에의한 복사 가열효과를 나타낼때 이며 주로 적외선, 가시광선에 해당됩니다.

    • @jeongkwangwon1
      @jeongkwangwon1 2 роки тому

      니까짓게 뭘 안다고 ㅋㅋㅋ 지잡대 나와서
      좇소나 다니는게 ㅋㅋ

    • @msdigital7065
      @msdigital7065 3 місяці тому

      ​@@유튜브죠아외국인? 뭔가 좀 다르다 했습니다. 개인적으로야 넘어갈 수도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보는 유튜브인 만큼 정확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수를 위해서.

    • @msdigital7065
      @msdigital7065 2 місяці тому

      @@유튜브죠아 누국를 비판하고자 댓글을 다는 것이 아닙니다.

  • @ZzeSXMtkQ
    @ZzeSXMtkQ 3 роки тому +19

    일본 공학기술은 진짜 대단하네.. 근데저거 건설비용이랑 운용비 엄청날듯;; 와

  • @진윤태
    @진윤태 3 роки тому +17

    균형 상쇄를 저렇게 조화롭게 써먹은게 대단하네요. 항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sashimi_taco7934
    @sashimi_taco7934 3 роки тому +69

    기계공학 천재들만 모아놨네 와..

    • @beom01638
      @beom01638 3 роки тому +1

      전기공학아님?

  • @Seinhood
    @Seinhood 3 роки тому +16

    리니어 신칸센은 실현가능하냐 마냐가 아니라 벌써 선로 깔고 있습니다. 열차제작도 완료했고 시운전도 완료했구요. 일본정부가 돈이 너무 많이 든다고 발빼니까 JR(한국으로 치면 코레일)이 자기들이 신칸센으로 쌓아놓은 자본으로 짓겠다고 선언했죠.

  • @조금만천천히-m2g
    @조금만천천히-m2g 3 роки тому +23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 @Game_Make
    @Game_Make 3 роки тому +5

    구글 번녁기 같지만 조금더 자연스러워 졌네요 . 허허 약간 오역으로 아쉽네요 ㅎ 컨텐츠는 즐겁게 보았습니다. ㅎ

  • @dragonkwak1
    @dragonkwak1 3 роки тому +21

    이런것을 아는 당신은 누구 입니까?
    이런 영상은 또 어떻게 만들었습니까?
    당신의 지식과 영상을 만드는 노력에 감탄을 드립니다.

    • @이름그냥-r2w
      @이름그냥-r2w 3 роки тому +15

      이것은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자료입니다 이것이 외국유튜브를 번역한 한국어로 제작된 것임을 알게 된다면 매우 놀라실지도 모릅니다

    • @cyp9571
      @cyp9571 3 роки тому +15

      내가 구글 번역기를 킨건가 댓글 말투가 다 왜 이러지

    • @LUNA-hs2is
      @LUNA-hs2is 3 роки тому +3

      @@cyp9571 ㄹㅇ ㅋㅋㅋㅋㅋ

  • @kingorqueen1439
    @kingorqueen1439 3 роки тому +13

    설명을 듣다가 어! 뭔가 설명이 이상한데 하는 생각이 들어 Lesics 원문을 찾아본 후 느낌이, 공학 전문 지식이 불충분 한 분이 번역기(또는 사전)를 이용하여 Lesics 의 영어로 된 설명을 옮겼다는 느낌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지만(이미 다른 분이 지적한 것도 있고)
    03:12, 방사선... 이 아니라 복사(radiation, 輻射)가 맞는 용어라고 생각합니다.
    영어를 모르는 사람도 다양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힘쓰는 것은 좋으나 올바르게 전달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ong3e
      @ong3e 3 роки тому

      이거 그냥 lesics 가 다른 여러나라 유툽에서도 수익내려고 한국어 음성봇으로 바꾼거 뿐이에요 ㅋㅋㅋㅋ 요새는 진짜 같이 잘되서 분간이 힘든데 가끔 번역 오역이 있네요ㅋㅋㅋㅋ...

    • @oxdoxx
      @oxdoxx 2 роки тому

      그렇지요. 정보의 전달은 "많이" "빨리"보다 "정확"이 생명이죠

  • @BO-nn9up
    @BO-nn9up 3 роки тому +21

    웬만한 대학 강의보다 낫다

    • @cheesekiller
      @cheesekiller 2 роки тому +5

      전혀.. 틀린데도 많고 인과 설명도 제대로 안돼있고 이래서 전문가와 비전문가는 하늘땅만큼 차이가 나는구나

    • @ooo19192
      @ooo19192 2 роки тому +5

      @@cheesekiller 그런 말을 하고싶으면 틀린것은 무엇이며 논리에 어떤 오류가 있는지 최소한의 설명이라도 있어야 사람들이 납득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 @ssung7970
      @ssung7970 2 роки тому +2

      ​@@cheesekiller 교수놈들 발로 준비한 강의 하고 저딴 강의를 들으라고 하는 건가싶은 강의 개많음
      강의료를 그렇게 처받고 그강의를 하다니 그냥 학점만 팔아라고 따지고싶을지경

    • @박세준-b1q
      @박세준-b1q Рік тому +1

      대학 강의보다 낫다?...둘 중 하나 대학을 안가봤거나 수준 떨어지는 대학을 갔거나.

    • @mickymouse80
      @mickymouse80 Рік тому

      ​@@ssung7970 그러면 어떻게 수업을 해야함? 예전에 내가 전공했었던 과목은 책 1권만 800페이지 이상이었는데 교수가 그걸 다 읽을수있겠냐? 그리고 교수가 됄려면 부모님 재력도 좋아야함. 당장 대학원에 바치는 돈만 최소 5~6천만원 이상임

  • @DavidYun-vx4de
    @DavidYun-vx4de 3 роки тому +7

    93엑스포때 자기부상열차를 선보이며 한때 각광을 받더니만... 기계연구소가 연구, 개발비를 못 받았나보죠?

  • @jingyu_park
    @jingyu_park 3 роки тому +14

    이게 기초과학이 발달한 국가와의 차이.
    우리나라 같으면 저항이 발생하면 그 저항을 이기는 물질을 개발할려고 할텐데,
    그냥 기초과학으로 에너지 소모도 거의 없게하면서 모든 문제를 해결해버리네.
    나는 그저 감탄 밖에 안 나오고 존경스럽고 배우고 싶다.

    •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3 роки тому

      그정도임?

    • @jingyu_park
      @jingyu_park 3 роки тому +5

      @@emiliofermi9994 저번에 한국은 뭐든지 기술로 해결한다는 말을 들은적이 있어요. 칭찬으로 말했지만, 조금 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줄 모르기 때문이 아닐따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무엇보다도 일본 저자의 서적을 보면 생각의 깊이라 해야하나 설명하는 방식 등 그 사람이 이해한 수준이 아주 깊다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정말 쉽게 설명이 잘 되어 있어요. 단순히 '이게 이거다'가 아닌, '그걸 이렇게 생각해보면 이렇기 때문에 당연히 이건 이게된다' 와 같이 수준 차이가 나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같은 책을 볼 때 저자가 일본인이면 그 책을 고르는 편이에요.

    •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3 роки тому

      @@jingyu_park 아... 님 혹시 이 분야 전문가가 아닌거임? 난 또 네가 전문가라도 되면서 이런 글 써놓은 줄 알았네. 구체적으로 저게 무슨 기술인지는 알고 쓴거냐? 저기에 필요한 기초과학이 뭔지, 그 분야의 기술이 한국에는 있는지 없는지 알고는 있는거냐? 모르면서 "한국이라면 ~이랬을듯"이라고 써놓은거면 좀 황당할거 같은데. 난 네가 이공계 전문가인줄 알고 저 기차에 사용된 기초과학이 어떤건지, 그게 한국에는 없는건지 진지하게 물어볼 의도였음. 그랬더니 갑자기 지가 일본 책을 좋아한다는 얘기를 주저리 해놓으니까 좀 당황스럽고 김이 새는 느낌임.

    •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3 роки тому

      @@jingyu_park 나도 일본 책 많이 보긴하는데 좋은 책 많지. 특히 정보전달이나 견해를 넓혀주는 책 중에 좋은 책 많음. 근데 이것과 그게 무슨 연관이 있냐? 일본 작가들이 좋은 책 많이 내니까 저 분야도 좋을 것이다라고 추측한거임?

    •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3 роки тому

      @@jingyu_park 한국은 뭐든지 기술로 해결한다는 말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줄 몰라서 그런거라는건 근거가 있는 말인가? 너 엔지니어임? 한국 공학계를 수년간 관찰해 온 엔지니어가 "한국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줄 모른다"라고 말한다면 이해하겠는데 너가 만약 이공계 종사자도 아니면서 이런 얘기한거라면 좀 어이없을거 같음.

  • @교양임
    @교양임 2 роки тому +5

    에너지보존법칙을 자유자재로 정밀하게 적용하다니..경의롭네요

  • @김서현-n3e6q
    @김서현-n3e6q 3 роки тому +45

    경제학과를 지망하고 경제학 쪽을 틈틈히 공부하는 고삼인데요,
    경제학이든 공학이든 이퀄리브리엄(균형 상태)를 유지하는 시스템을 고안해낸다는 게 신기하네요

    • @유진신-q6p
      @유진신-q6p 3 роки тому

      멋져요

    • @jingyu_park
      @jingyu_park 3 роки тому +1

      변동성을 줄이고 목표치에 가장 근접하게 하는 것이 공학의 최종 목표이니까요:)
      금융공학이든, 기술 공학이든.
      소프트웨어학과 나와서 금융공학 쪽으로 대학원 준비하는 학생입니다.
      꼭 좋은 대학 가셔서 우리나라 빛 내주세요!

    • @김태수-j8e
      @김태수-j8e 3 роки тому +10

      Equilibrium 을 유지하는 시스템을 고안한다기보다는 엄밀히 말하면
      물리학 법칙에서 항상 존재하는 평형상태를 공학이나 기술 등 일상생활에 응용 및 적용한다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공학의 기초가 되는 물리학의 여러 법칙에서는 평형상태가 기본이 됩니다.
      한쪽에 열을 가한 후 시간이 흐르면 계 전체의 온도가 똑같아 지는 열평형 (thermal equilibrium) 또한 그렇고 (단, 이 경우 해당 계가 adiabatic (단열)하다는 가정이 존재합니다)
      전자공학에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한 다이오드의 경우 음전하를 띈 전자와 양전하를 띈 정공의 농도가 평형이 되어 접합부에서는 전자도, 정공도 존재하지 않고 전류가 통하지 않는 공간전하영역 (space charge region)이 형성이 되듯이
      계의 평형상태에서 기본으로 출발하고 거기서 더 나가서 응용을 하는 것이죠.
      예를들어 평형상태의 p-n 다이오드의 경우 외부에서 가해준 전압에 따라서 반도체를 동작시킬 것인지 아니면 꺼버릴 것인지가 결정이 됩니다.
      위 영상의 설명에 한 줄 더 부연하자면
      8자형 코일의 폐곡면에서 생성되는 알짜자기력선의 자속밀도가 0 인 것은 평형상태와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맥스웰 방정식에 의하면 자기장의 발산은 0 이 된다는, 즉 자기단극 (monopole) 은 없다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쉽게 얘기하면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진 막대자석을 반으로 쪼개면 N극이나 S극 으로만 남지 않고 그것은 다시 N과S극으로 나누어 진다는 말과 같습니다.
      물론 해당 식은 자기단극이 없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식이며 실제로도 아직까지 경험적 및 실험적으로 자기단극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자기부상열차나 입자가속기 등 자기단극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할바흐 어레이 (Halbach array) 라고 해서 여러개의 자석을 특정 방향과 순서대로 배열하여 한쪽의 자기장은 아주 크게, 다른 한쪽의 자기장은 아주 작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봤을 때 하나의 커다란 모노폴을 형성해 주는 방법을 씁니다.
      여담으로 자기단극은 전하량의 양자화를 설명할 수 있는 강력한 근거가 되기에 적잖은 물리학자들은 자기단극의 실체를 믿고 오늘도 이를 찾기위한 실험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물론 자기단극이 실험적으로 관찰이 되는 그 날 전 세계의 물리학 교과서는 수정이 불가피할 것입니다.

    • @랑부메
      @랑부메 3 роки тому

      Equillibrium

    • @미찬나
      @미찬나 2 роки тому +3

      @@랑부메 선생님. 너무 어려워요

  • @윤하-w4p
    @윤하-w4p 3 роки тому +4

    일반 전기열차 대비 자기부상열차 에너지 비가 궁금하네요.. 비용의 문제도 중요하니깐요..

  • @안알랴줌-x9r
    @안알랴줌-x9r 3 роки тому +5

    번역을 구글 번역기로 하신건가요

  • @갈치조림-m3z
    @갈치조림-m3z 3 роки тому +5

    좋은영상이네여 ㅎㅎ

  • @존토띠
    @존토띠 3 роки тому +7

    신칸센을 개발할 때도 전세계 비웃음을 삿엇지.
    쓸데없는데 돈 쓴다고. 일본이 넘사벽의 무언가를 내놓을 때는 항상 이런 패턴.
    기술? 과학? 이미 준비되어 있다. 그걸 얼마나 독창적이고 탁월하게 '실현'하느냐가 기술의 관건이지. 물론 기초과학이 탄탄해야 가능한일...

    • @Iamyoutuber1397
      @Iamyoutuber1397 3 роки тому

      항상 일본은 최초의 기술을 계발하지만....실제 상용화는 한국이...힘들게 창조하지 않고 쉽게 카피하는 최고의 한국인들~

    • @LUNA-hs2is
      @LUNA-hs2is 3 роки тому +3

      @@Iamyoutuber1397 그러다 딴 나라한테 산업 먹히면 그냥 끝나는 거임 ㅋㅋㅋ 기초과학,산업이 발달해야지 먹고 살지

    • @IHATECHINA
      @IHATECHINA 2 роки тому

      @@LUNA-hs2is 하지만..응용능력이 최강인걸...

    • @un-kim.
      @un-kim. 2 роки тому +2

      필요없는걸 졸라 준비하면 뭐하지?
      일본은 갈수록 혁신이 없어짐.
      하이퍼튜브.... 20009년부터 연구 20200년 700km속도 기록

    • @jr1800
      @jr1800 2 роки тому

      @@un-kim. 하이퍼루프는 상용화가 힘듦

  • @burger_prince
    @burger_prince 3 роки тому +3

    솔직히 처음 듣는 말이라 집중 안되지만 그래도 쉽게 알려주시는 영상이 넘. 좋네요~~♡

  • @user-ef6ih3yx1z
    @user-ef6ih3yx1z 3 роки тому +5

    다 좋은데 돈이 문제네요...ㅎㅎ
    더 발전해서(상온 초전도체 개발) 비용이 낮아진다면 앞으로의 철도판은 다 이 방식으로 가야될거 같네요

  • @walterharoldbishop
    @walterharoldbishop 3 роки тому +9

    이해하는데에 큰 문제는 없지만 자잘한 번역오류가 있네요. excited도 그렇고... state = 단계?, radiation = 방사선(엄밀히 말하면 적외선도 방사선이긴 하지만 이경우에는 열복사가 더 어울릴것같네요.) 이라.... 번역기라면 놀라운 수준이라고 하겠습니다만... 만약 사람이 했다면 번역을 문돌이가 하는것같은데 교체를 고려해보시길.

    • @jameshan7011
      @jameshan7011 3 роки тому

      문돌이가 영어접근이 쉬우니 이런문제가ᆢㆍㆍㆍ

  • @DJ-zs1cw
    @DJ-zs1cw 3 роки тому +4

    설명이 쉽게 잘했네요. 재미있네요

  • @경호나-c4h
    @경호나-c4h 3 роки тому +15

    어차피 상용화되기가 힘듬 곡선부분을 건설하기가 힘들것이고 하이퍼루프가 연구되고 있는데 자기 부상이 무슨 소용있음 도시내 이동용이면 몰라도 도시간 이동은 힘들것이다. 공사비용도 만만치 안은데

    • @seemon32
      @seemon32 3 роки тому

      @@flyingBlueKite 이름만 한국 분이신것 같네요.
      자기부상열차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 하이퍼 루프라는 것을 모르는 분같으니..
      이를 뭐라 할꼬.. 쯪쯪

    • @오쪼라구팍씨-o7i
      @오쪼라구팍씨-o7i 8 днів тому

      뭔 개소리임?

  • @BanGoo-sk4gk
    @BanGoo-sk4gk 3 роки тому +7

    와... 일본 엔지니어링 기술은 무시할게 못되네...

    • @VradNorton
      @VradNorton 3 роки тому +18

      반일쳐서그렇지 엔지니어링뿐만인가요 전반적으로 무시할거 하나도없음 역사관빼고 ㅋㅋㅋ

    • @hahman1st
      @hahman1st 2 роки тому +6

      세계최초의 고속열차 신칸센까지도 개발해낸 종족입니다 ㄷㄷ
      1964년 당시 200km 이상을 달릴 수 있는 고속철도 기술개발은 상당히 획기적이었죠

    • @LeonSKennedy-k2j
      @LeonSKennedy-k2j 2 роки тому +7

      화낙만 들어봤어도 이런 소리는 못하지 ㅋㅋ 기계, 소부장 세계 1티어 강국이 일본인데

    • @리드-w7k
      @리드-w7k Рік тому

      일본 인종은 세계에서 가장 우월한 인종

  • @jaypark4467
    @jaypark4467 3 роки тому +3

    베이징에서 정조우가는 고속기차 몇번 타봤는데 293킬로까지 표시되더군요. 걔네들은 객차입구벽에 display 하더군요

  • @allegrorisoluto3728
    @allegrorisoluto3728 3 роки тому +20

    이 기술을 하이퍼루프 안정성문제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 @Moondisaster18
      @Moondisaster18 3 роки тому +2

      @@user-ko9te4jj4u 하이퍼루프는 내부가 진공이잖아요.

    • @KR-ek2ub
      @KR-ek2ub 3 роки тому +5

      @@Moondisaster18 진공 튜브를 진행하기 위해 자력을 사용합니다.

    • @ong3e
      @ong3e 3 роки тому +3

      @@user-ko9te4jj4u 하이퍼 루프의 핵심은...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겁니다....ㅋㅋㅋㅋ 아니면 지상에서 가는거랑 다를게없어요.

    • @howni777
      @howni777 3 роки тому +8

      위 댓글들....
      진공상태를 만들고 유지하는것이 최대의 관건이지만 결국 그 속을 달릴때는 자력을 이용해 달립니다

    • @howni777
      @howni777 3 роки тому +5

      하이퍼루프는 지공상태만 잘 관리된다면
      저 정도의 강한 자력기술이 필요가 없습니다
      진공상태의 물리작용과 공기중의 물리작용은
      상당히 달라서요
      저도 지식이 좀 짧아서 간단히 설명하기 힘들지만
      결국 하이퍼루프의 핵심적인 문제점은
      진공상태를 얼마나 안전하게 잘 관리할수있느냐가
      문제구요 안정적인 그 속을 달리는것은
      저 기술보다 난이도가 낮을 겁니다

  • @화양연화-m9x
    @화양연화-m9x 3 роки тому +23

    그것의 완전한 물리학이라!
    그것은 물리학의 완성체.

  • @zzangbike2524
    @zzangbike2524 2 роки тому

    항국말을 정말 한국말 답게 잘 하십니다... 강추~~^^

  • @33190d
    @33190d 3 роки тому +10

    기술은 보유하고 돈대는 곳에 기술을 이용하는게 ㄷㄷ

  • @user-pq2cze2rt677
    @user-pq2cze2rt677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우리나라는 ktx에서 근접한 속도의 열차말고는 개발하지 않음. 대신 하이퍼 튜브 기술 개발을 오래전부터 시작하고 있음. 그냥 저런거 건너뛰고 바로 하이퍼튜브로 가게됨. 그래서 저걸 굳이 부러워 할 필요가 없음. 이미 소형 기술 모델 개발은 했고 새만금에 연구단지 들어선다고 했는데 나가리 되긴했지만 재추진중.. 물론 일본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연구 하고 있지만...

  • @행구행구-s9f
    @행구행구-s9f 3 роки тому +3

    궁금한게 좌우조정 시에 생기는 기전력으로 인한 열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 @yt_white_banana
      @yt_white_banana 3 роки тому

      코일 차폐 시스템에서 액체질소로 냉각하는거 같아요. 레일에서 발생하는 열은 열차가 달리면서 발생한 바람으로 식히는것 같고요

    • @tahcy9571
      @tahcy9571 3 роки тому

      그 기전력은 열차 내부 코일에 발생하는게 아니라 레일에 발생하는거니까, 그냥 상온에서도 충분히 식지 않을까요?
      레일 위에 뭐 기차가 24시간 있는거면 몰라도,,,

    • @ndied0j
      @ndied0j Рік тому

      열차가 질량이 아주 커서 외부힘에 의해 상하좌우로 계속 크게 움직이지는 않을테니 발생하는 열도 엄청 유의미할거 같지 않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흔한추억
    @흔한추억 3 роки тому +26

    우리 철도청,현대로템 갈길이 멀다.

    • @Jack-jb3tc
      @Jack-jb3tc 3 роки тому +7

      우리는 일본을 이길 수 없음.

    • @초딩어른
      @초딩어른 3 роки тому +1

      행정기관 철도청이라는 부처가 없어진게 언젠데 아직도 청이라 하는지.. 공기업으로 한참 오래전에 전환됐습니다. 로템을 알면서 철도청?

    • @과체중뚱냥이
      @과체중뚱냥이 3 роки тому +9

      @@Jack-jb3tc 웃긴게 국뽕채널들 보면 이미 일본을 이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지일정-o2i
      @지일정-o2i 3 роки тому

      애당초 기계식 전동차는 소음 마찰 에너지 소비가 많고 자기식 부상열차를 이길수가 없다.

    • @Kimkim-bl3zp
      @Kimkim-bl3zp 3 роки тому

      No. Hi@@Jack-jb3tcbyHu

  • @slavecoder9928
    @slavecoder9928 3 роки тому +13

    근데 웃긴게 일본애가 TGV보고 얘보다 느리다고 댓글 달았다가 두들겨 맞더라. 철제 바퀴 570km/h랑 자기부상 600km/h랑 비교가 되냐고

  • @VradNorton
    @VradNorton 3 роки тому +1

    근데 좌우마그네틱이 열차선에 다 무사해야하는게 몇개라도 고장나면 팅겨나가버리는건가요 ?

  • @나는-c5f
    @나는-c5f 3 роки тому +33

    자기부상열차의 실용화가 어려운게 건설비용이죠....

    • @seemon32
      @seemon32 3 роки тому +5

      더 큰 문제는 안정성과 유지관리비용입니다.
      결국 경제성이 없는 사업이기에 필요없는 사업인것이지요.

    • @seemon32
      @seemon32 3 роки тому +4

      @@flyingBlueKite 일본애들이 기술력이 없어서 그냥 쓸데없는 것을 하는 것이랍니다.
      그렇게 일본에 관심이 있다면, 진정 일본의 기술력이 얼마나 수준이 낮은지를 공부하기를 바랍니다.
      남들이 하지 않는 이유는 일본보다 능력이 안되서가아니라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랍니다.
      아직도 일본의 등신같은 기술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있다는것이 참으로 답답하네요.

    • @크크키키-d8q
      @크크키키-d8q 3 роки тому +33

      @@seemon32 일본이 기술력이 낮다라면 도대체 우리 얼마나 높은거야?아주 국뽕에 취해있구만
      한국이 보유한 세계최고 기술분야 6개
      반면 일본이 보유한 세계최고 기술분야 102개
      넘사벽인돼?

    • @seemon32
      @seemon32 3 роки тому +1

      @@크크키키-d8q 국뽕이라? 그럼 님은 일뽕인가요? 보유기술이 6개? 102개? ㅎㅎㅎㅎ 웃음만 나오네요. 일뽕이 심하시군요..

    • @ym-ov9cb
      @ym-ov9cb 3 роки тому +30

      @@seemon32 보고배울건 배우자 밴댕이소갈 딱지야

  • @TimeMinsu
    @TimeMinsu 3 роки тому +6

    일본 최초의 신칸센도 당시 천문학적 비용때문에 많은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고속열차에 대한 틀을 마련한 베이스가 되었지요 .... 안정성도 말할것없고 일본의 기술은 솔직히 우리가 비빌수없는것들이 너무나도 많고 기초 과학이 튼튼합니다. 노벨상 수상자만 25명이 있는 이유이기도 하고요. 리니어 신칸센은 이미 2017년에 1차 개통인데 ... 하이퍼루프 이야기 하는분들은 아직 기본설계도 안끝나서 빨라야 2040년에나 상용화가 될수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걸 꼭 필요없는 자존심 새워서 부들부들 하셔야되나요.

  • @김태영-x5w9j
    @김태영-x5w9j 3 роки тому +1

    튜버님 몇개 튜브 아디를 하시나요?
    말투? 다른영상에서 마니 들어본듯.
    전공이 몇개 되나보네요^^

    • @986man9
      @986man9 3 роки тому +1

      같은 생각ㅋㅋ

    • @tuiop390
      @tuiop390 3 роки тому

      외국채널에서 사람 고용해서 한국어로 번역에다 더빙하는거잖어 ㅋ

  • @ydj08171
    @ydj08171 3 роки тому +38

    한국이 열심히 신포도라고 무시할 동안 일본은 꾸준히 기술개발하며 업계와 관련학계의 기술을 이끌어가네요..

    • @jasonjeon2919
      @jasonjeon2919 3 роки тому +1

      일본이라고 다 빠가는 아니겠죠

    • @ydj08171
      @ydj08171 3 роки тому +24

      @@jasonjeon2919 일본은 결코 무식하지 않습니다. 국뽕채널에서 제아무리 망하는 국가다 뻘짓하는 국가다 깎아내려도 산업전반에 끼치는 영향력은 우리가 절대 무시할수있는 수준이 아닙니다.

    • @Allen-ni4sw
      @Allen-ni4sw 3 роки тому +10

      국뽕에 너무 취했네

    • @user-happy2080
      @user-happy2080 3 роки тому +7

      국쫑튜브보는 사람들 보면 구한말 일본한테 나라 뺏긴 양반들같음 그럼 뭐해 일본의 잃어버린 30~40년 어떨게버티는지는 찾아볼생각도안하는데

    • @Haemgun-HG
      @Haemgun-HG 3 роки тому +5

      @@ydj08171 일본이 문제가 조금 있기는 한데
      국뽕튜브에서 말하는것처럼 완전 노답국가가 아니긴 함

  • @카르페디엠-v7h
    @카르페디엠-v7h 3 роки тому +3

    잘 봤습니다.

  • @kkmssk486
    @kkmssk486 3 роки тому +8

    그냥 넘어가려다가 글 남깁니다. 그래서 나름 과학적인 분야에 대해 다루시는 채널인것 같은데, 어딘가에 있는 영상에 대충 번역만 해서, 본인 영상인것 처럼 올리시는건 좀 아니지 않나 생각 됩니다. 공부를 하시거나 자문이라고 구하셔서 용어정도라도 관련분야에서 사용하는걸로 정리하시면 훨씬 깔끔할 것 같습니다.

    • @제발전역시켜줘
      @제발전역시켜줘 3 роки тому +2

      만든 사람이 외국인인데 직접 번역해서 올린거 같은데요...이 채널은 영상 제작자의 한국어 채널인듯 합니다

  • @hinova77
    @hinova77 2 роки тому +4

    일본 엔지니어들 오랜만에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설계에 놀랍다. 그런데 완벽한 초전도 자기부상은 아니고 일부분에 초전도 효과를 얻는 전자기 유도에 의한 부상이이네..그런데 회생 에너지 얻는 메카니즘은? Energy Source는? Target Breaking은? 이것도 해결해야할 듯... 자연재해 지진은?

  • @hyunsoojin7100
    @hyunsoojin7100 2 роки тому +2

    시속 600km라면 비행기의 대항마가 될수 있지 않을까? 737 등 여객비행기가 1200km/h인데. 공항체크인과 신체검사와 액체류 반입통제, 도착후 수화물 찾기, 이착륙 지연 등
    비행기가 가지고 각종 delay 요소들 때문에. 600km/h의 기차라면 장거리 여행에서 비행기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economy석에 비해서 넓은 공간과 화장실도 매력이고.

    • @kagami1234
      @kagami1234 2 роки тому

      철도는 인프라가 너무 비싸요. 미국같은 예 보면 국내 이동 대부분 비행기로 해요.

    • @ydj08171
      @ydj08171 Рік тому

      @@kagami1234 그건 대륙국가라서 철도노선 사이에 도시가 없어서 그렇구요. 일본이나 한국은 철도 주위로 인구가 밀집되어 있으니 수요창출하기가 좋죠. 캘리포니아나 뉴욕 워싱턴에서 계속해서 고속열차 이야기가 나오는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 @mickymouse80
      @mickymouse80 Рік тому

      ​@@ydj08171 그건 국내에 있는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이동할때나 가까운 국가로 이동할때 가능한것입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서울에서 베이징으로 이동할때같은......그리고 기차는 비행기와 달리 최고속도를 유지할래야 할수가 쉽지않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철로가 일직선으로 되어있는것도 아니고 정거장도 많거든요. 실제로 도쿄에서 오사카까지 비행기로 1시간정도면 날아갈수있는데 신칸센의 경우에는 3~4시간이 걸린다고합니다. 그렇다고 고속열차 티켓비용이 싸냐? 그것도 아닙니다. 일본의 경우에는 도쿄 ~오사카 기준으로 볼때 일반석이 왕복 25~30정도입니다

    • @ydj08171
      @ydj08171 Рік тому

      @@mickymouse80 3~4시간에서 반박할 가치를 못느낍니다ㅎㅎ

    • @mickymouse80
      @mickymouse80 Рік тому

      ​@@ydj08171 ㅋㅋㅋㅋㅋㅋ 그래요? 님은 신칸센 1번 그것도 일반석을 타는데 30만원을 줄수있을 정도로 돈을 많이 버는 분이신가보네요? 신칸센 티켓비용도 이정도인데 이 기차 티켓비용을 싸게 책정하겠습니까? 아무리 적게 잡아도 도쿄 ~오사카 기준으로 왕복 40이상일텐데요?

  • @M멍이-g8p
    @M멍이-g8p 3 роки тому +4

    속에 들어있는 사람은 회전할때 반죽이 되어있으려나요

    • @jr1800
      @jr1800 2 роки тому

      무식

  • @shkwon6556
    @shkwon6556 3 роки тому +12

    야마나시에서 500km 넘긴게 30년 가까이 되고 있음. 517km/h였을거임. 그래도 상용화 안함. 기차가 빨라질 수록 노선 사이에 역을 많이 만들 수 없고 상업성 제한이 발생. 현재 신칸선도 충분히 빠르고 충분히 비싼데, 더 빠르고 비싼 기술을 더 적은 역을 통과하도록 만드는게 무슨 의미가 있을지? 도쿄에서 오사카로 바삐 가려면 비행기를 타면 됨. 즉, 기차가 빠른건 좋지만 너무 빠르면 경제성이 애매모호해짐. 특히 일본이 추구하는 반발식 매그레브는 독일의 Transpid (현재 중국 상해 푸동공항 자기부상철도가 바로 이 독일 열차 수입한 것임)가 추구하는 흡입식 매그래브에 비해 더 많은 전기와 초전도 반도체, 복잡한 기술, 많은 비용이 들기에 더더욱 상용화에 난제가 많음 (일본은 지진이 많아서 독일식 보다 더 높은 부양 높이를 보장해주는 반발식을 채택할 수 밖에 없음). 이정도의 정보가 대중에 공개된 것이 이미 90년대 초반 일본 잡지 Newton을 통해서였음. 이 채널이 공개하는 자료대로 라면, 그때 이후 별로 발전한 거 없는거임.

    • @クモハ-i6o
      @クモハ-i6o 3 роки тому +2

      저거 5년 뒤에 영업운행 시작할 예정인데요..

    • @まいだい-w8h
      @まいだい-w8h 2 роки тому

      @@lifeis8768 도쿄에서 오사카 거희 매주 왔다갔다 하는데 공항에서 오사카 도심지까지 가는 시간 생각하면 신칸센이 훨씬 낫습니다.
      시나가와나 도쿄역에서 타면 되고
      2시간 반이면 신오사카까지 가니깐요.

    • @mickymouse80
      @mickymouse80 Рік тому

      ​@@まいだい-w8h 그건 제일 빠른 클래스인 노조미를 이용할때 해당돼는 사항입니다. 그리고 훗카이도나 후쿠오카같은곳은 비행기를 타는것이 더 낫습니다. 특히 삿포로로 갈땐 기차보단 비행기를 이용하는것이 훨씬 더 낫습니다. 당장 도쿄역에서 신하코다테역까지 가는데만 4시간 30분이 걸리거든요

    • @まいだい-w8h
      @まいだい-w8h Рік тому

      @@mickymouse80 홋카이도 삿포로 가는데 당연히 비행기를 타지 누가 신칸센으로 가나요…
      그리고 오사카하고 도쿄를 말씀 드렸는데 그 외에껄 이야기 하시니 당혹스럽네요.
      그리고 일본인들 오사카 갈때 노조미 외에 잘 안탑니다. 가격차이 별로 안나고 그 외 클래스는 보통 싸게 할인권이 나와서 타거나 정차역이니깐 타는거니까요.

    • @TAKA-w8g
      @TAKA-w8g Рік тому

      리니어 고속철도는, 도쿄에서 나고야를 건설 중이고, 2027년에 개업 예정, 도쿄에서 오사카를 2045개업 예정입니다.최고속 500km/h 이상, 도쿄에서 나고야까지, 신칸센으로는 1시간 30분을 리니어 고속철도에서는 40분입니다. 도쿄에서 오사카까지 신칸센으로 2시 30분을 리니어 고속철도에서는(438km)를 67분입니다. 한국이라면 서울역으로부터 부산역(417km)를 60분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신칸센은 도쿄에서 오사카의 구간은, 5분에 1 차량(16 편성)가 운행하고 있고 과밀 상태입니다.리니어 고속철도의 도쿄에서 나고야까지의 건설비 7조엔은 JR 도카이가 전액 지출, 국민의 세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한국이라면 서울역으로부터 부산역(417km)를 60분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차세대 신칸센, ALFA-X는 개발 중에서, 2026년에 개발 종료 예정, 최고속도 360km/h에서 영업 운전 예정입니다

  • @복돌이님
    @복돌이님 3 роки тому +5

    감사합니다.

  • @부산-benz
    @부산-benz 3 роки тому +2

    정지상태에서 어떻게 움직이지?? 양극균형을 이루고 있는데 출발할때 뒤에서 밀어줘야하나

    • @VradNorton
      @VradNorton 3 роки тому

      150km이하에선 바퀴있음

    • @jr1800
      @jr1800 2 роки тому

      제발 영상을 끝까지 보던가 따로 찾아보고 댓글 달자

  • @gasiorowicz4899
    @gasiorowicz4899 3 роки тому

    중앙일본철도?? JR동해를 말하는건가요?

  • @LetMeBliJu
    @LetMeBliJu 3 роки тому +48

    신나는 전류라니 ㅋㅋㅋㅋㅋㅋ 직역도 어지간히 해라 ㅋㅋㅋㅋㅋㅋ

    • @mg_s
      @mg_s 3 роки тому +2

      외국인이 만드는거잖어.. 이해혀 알아들을 수 있으면 된거지

    • @을밀대
      @을밀대 3 роки тому

      꼭 꼬투리를 달아야 속이 시원하냐
      그 기술을 알면 그만이자

    • @larryjeon5120
      @larryjeon5120 3 роки тому

      신나는 전류 ! 뭔가 했네 ...

    • @이재만-w8q
      @이재만-w8q 3 роки тому

      미국의 f35 전략 전투기도 일본의 신소개가 있기에 가능

    • @카르페디엠-v7h
      @카르페디엠-v7h 3 роки тому +1

      신나는 전류는 뭐라고 해야 합니까?

  • @jaisonyan3597
    @jaisonyan3597 3 роки тому +6

    일본에 실제로 이런 기차가 운영되고 있나요? 무척 빠른데요. 지금 신간센도 먼 나라처럼 무지 비싼 것으로 알고잇는데요. 미국의 터널 방식때문에 망한 것아닌가요? ㅋㅋ

    • @아랍인-y8t
      @아랍인-y8t 3 роки тому

      아니요 지금 개발중에 있습니다 일본에선 저것을 리니아모터카라고 부르는데 아주 오래전부터 연구중에있음 예정이라면 2027년 나고야 에서 도쿄 잇는 길 개업하고 다음은 오사카에서 도쿄로 잇게되어있음
      오사카에서도쿄 약 1시간 정도로 도달 가능하다네요

    • @ydj08171
      @ydj08171 3 роки тому

      운영은 아니지만 시험주행은 계속 해오고 있습니다

    • @마이티공탱이
      @마이티공탱이 3 роки тому +1

      운영은아니고 실험중이랍니다. 상용화는 더걸릴듯하네요... 국내에선 하이퍼루프연구로 넘어가서 거의 완성단계에달한걸로 들었는데 저 자기부상보단 두배이상 빠른걸로 알고있어요.

    • @KrMorgan12
      @KrMorgan12 3 роки тому

      @@마이티공탱이 국뽕자제좀...

    • @ちよちよ-w7f
      @ちよちよ-w7f 3 роки тому

      @@KrMorgan12 일뽕자제좀.

  • @회색물감-s7q
    @회색물감-s7q 3 роки тому +9

    실제 사용할 일본 직장인들은 싫어하는 기차 - 가격이 비싸서 출장용 아니면 타기가
    출장가면 1박2일 아니면 아침일찍 가서 저녁에 집으로 퇴근하면 되는데(도쿄-오사카)
    저것은 아침에 가서 오후에 다시 사무실
    빠르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닌

    • @akvaskafan2160
      @akvaskafan2160 3 роки тому +3

      @@flyingBlueKite 억지부리네 이건 대만화교섬장게네
      차라리 여객기타는게장기적으로 더 나아
      이런화교섬장게는 반드시 추항해야돼

    • @KR-ek2ub
      @KR-ek2ub 3 роки тому

      @@akvaskafan2160 중국의 고속철도 망을보고 같은 것을 말할 수 있습니까?

    • @jackbauer7007
      @jackbauer7007 3 роки тому

      직장인들의 마음을 정확히 짚어주시네요~

    • @wia7879
      @wia7879 3 роки тому

      KTX도 비슷하죠. 다른 곳으로 갈때는 거의 무조건 1박2일이었는데 요즘은 ktx타고 밤늦게라도 돌아오니;;;

    • @Xbbcs
      @Xbbcs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게 뭔 이거 나온다고 신칸센이나 다른 철도가 없어지는게 아닌데 왜 싫어함?

  • @soehojohn7645
    @soehojohn7645 2 роки тому +9

    1997년에 이미 일본에서는 자기부상열차를 개발해서 여태껏 계속 운용, 발전해오고 있었단 말이네요.
    우리나라가 급격히 성장했다고는 하지만 세월의 힘이 바탕이 된 일본의 기술력을 따라잡으려면 아직 멀었는 것 같습니다.
    다행히 윤석열 정부에서 과학기술 투자를 외치고 있는 만큼 제대로 투자해서 성과를 냈으면 좋겠습니다.

  • @stayfitkeeptraveling
    @stayfitkeeptraveling 3 роки тому +4

    서울 부산 40분이면 도착하겠네

  • @starryrampart3707
    @starryrampart3707 3 роки тому

    그런데 이런 초고속 열차의 필요성이 문제다.
    미국은 물론이고 일본처럼 국토 길이가 2000km를 넘는 나라에서야 시속 600~1200km의 열차를 이용할 사람들이 많겠지만 우리처럼 서울 부산 직선거리 320km 에 중간중간 쉬어갈 역이 수두룩한 나라에 이런 초고속 열차를 이용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가령, 서울 대전간을 시속 600~700km 열차로 달려봐야 ktx 보다 한 20여분쯤 빨리 대전에 도착할텐데, 이 시간 아끼려고 초고속 열차 이용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란 말이다.
    따라서 우리 대한민국의 열차는 지금 ktx 보다 조금 빠른 400km 정도로만 속도를 높이는데 만족하고, 나머지는 열차의 퀄리티를 높이는 쪽으로 열차 산업이 발전해야 될거다.

    • @jr1800
      @jr1800 2 роки тому +1

      열차의 퀄리티가 도대체 먼데? 인테리어 얘기하는거 아니냐 결국? 그런건 시발 개발할 필요가 없지

  • @wlsaudcy1234
    @wlsaudcy1234 3 роки тому +13

    추진코일에 들어가는 코일은 얼마나 필요할까.... 진짜 말도안되게 많이 필요할거 같은데... 구리라고하면 상용 가능성이 없어보인다...

    • @김수현-q1b2i
      @김수현-q1b2i 3 роки тому +5

      맞아여 천문학적 비용과 유지보수, 오차가 없이 절대적 계산 설계 까다로움 등등 자본주의 사회 이익을 위한 사업인데 천문학적 철도 공사에 100년 운영해도 이익 내기 힘듬 헬륨, 질소, 초고압 전기 등등 까다롭고 돈 먹는 사업임 600킬로 달리자고 비용이 1억분의 1도 안드는 300킬로 달리는 고속철도 하고 말지 겨우 두배 속도 내자고 나라 돈 말아 먹는 멍청하고 위험 짓 감수하겠엌ㅋㅋ 아 있구나 ㅈ ㅔ 팬ㅋㅋ 그래서 미국은 저것 손 떼고 진공하이루프를 추진중 1분안에 미국 전역을 도착 실현 가능

    • @apehayabusa2420
      @apehayabusa2420 3 роки тому +12

      좋다 나쁘다를 떠나 댓글보니 한국이 기술 선도 못하는 이유를 알듯

    • @_Climbthesky_
      @_Climbthesky_ 3 роки тому

      @@김수현-q1b2i 1분 안에 미국 전역 ㅋㅋㅋㅋㅋ 어이가 없네

    • @seemon32
      @seemon32 3 роки тому

      @@apehayabusa2420 기술은 단순 기술이라서 어려운것은 아니나
      경제성이 없는 사업에 손대는 일본과 같은 멍청함이 없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굳이 개발할 이유를 못느끼는 것이지.
      일본애들이 이런것을 이해 할 머리가 있을까?

    • @seemon32
      @seemon32 3 роки тому

      @@flyingBlueKite 본인이 가지고 있는 좁은 시야를 일반화 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 @teamjupeter9451
    @teamjupeter9451 3 роки тому +9

    공중 부양(X) => 자기 부상(O)
    SCMagnet(X) => SC MagLev(O) = Super Conducting Magnetic Levitation
    틀린 곳이 너무 많아 전부 지적할 수도 없을 정도로 저렴한 영상입니다. 자기부상 열차는 패러데이 법칙과 렌츠의 법칙에 기초한 비교적 단순한 기술이며, 이 기술의 핵심은 자기장을 생성하고 제어할 능력인데, 한국의 핵융합에너지 연구원이 보유한 KSTAR(차세대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입니다. 온도가 1억도 이상인 인공태양은 너무 뜨거워서 원자력 발전소 장치로도 담을 수 없는데, 자기장으로 만드는 KSTAR는 1억도 이상의 인공 태양을 담는 무형의 그릇이죠. 세계에서 이 기술을 보유한 국가는 한국 뿐이라, 국제 핵융합 연구 컨소시엄에서 귀한 대접을 받고 있죠.
    한국에서 자기부상을 하지 않는 이유는 단순히 채산성이 안 맞기 때문입니다. 국토의 종단 길이가 450km에 불과해서, 서울역에서 출발한 기차가 속도를 600 km/hr로 올리는 즉시 브레이크 잡아야 목적지 부산에 정차합니다.
    그러니까 안하는 것 뿐, 기술이 없어서 못하는 게 아니에요.

    • @김김이-t6m
      @김김이-t6m 3 роки тому

      어.. 이해 할수 업다 아직 내머리로는 안됀다

    • @IllilliiililiIIliliI
      @IllilliiililiIIliliI 3 роки тому

      플라즈마랑 저거랑 방향성이 다른데 무슨 소리인지... 플라즈마 연구해보셨습니까? 드리프트라고 들어보셨어요?

    • @teamjupeter9451
      @teamjupeter9451 3 роки тому +1

      @@IllilliiililiIIliliI 1억도 이상의 플라즈마를 담는 그릇은 "핵융합로"로도 안되고, 오직 자기장으로 만든 무형의 그릇만 가능하며, 이 그릇(?)을 만드는 기술은 한국이 독보적입니다. 초전도체가 생성하는 자기력선을 제어할 기술이 핵심이죠. 그냥 플레밍의 오른손/왼손 법칙입니다.
      >> 일본: 우리는 자기장으로 기차를 띄운다.
      >> 한국: 우리는 자기장으로 태양을 담는다.
      둘 중에서, 어떤 게 더 어려운 기술인지 초등학생도 이해할 거에요. 다른 분야는 몰라도, 자기부상 기술만큼은 한국이 수십 년 앞 서 있습니다.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가두는 기술이나, 기차를 띄우는 기술이나 둘 다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기초할 뿐입니다. "초등학생을 위한 플라즈마 이야기"를 참고하십시오. m.blog.naver.com/nfripr/221359064178

  • @yangsu94
    @yangsu94 3 роки тому +5

    초전도 기술은 k-star만 봐도 우리가 그렇게 기술이 없는것 아니다. 아니 이미 세계 정상급이라 보면 된다. 그저 저런 속도를 가진 열차를 개발 해봐야 쓸데가 없는 좁은 땅덩이가 문제지..통일 되거나 평화 협정 후 대륙 철도 계획이 나오면 그 누구보다 빠르게 사용화에 나서는 우리다. 기반 기술은 이미 확보해 논 상태다. 일본은 저거 만들어 놓고 열차 요금 얼마나 뽑아 먹을지. 우리나라가 저거 서울 부산 해놓고 편도 2~30만원 받으면 탈 사람있나?

    • @NO-wf4nb
      @NO-wf4nb 3 роки тому

      이녀석 완전 물뽕이네

    • @yangsu94
      @yangsu94 3 роки тому +1

      @@NO-wf4nb 약 했냐?적당히 해라

    • @마이티공탱이
      @마이티공탱이 3 роки тому

      @@NO-wf4nb 매국에 애쓰냐? 자꾸 말까고 난리냐ㅡㅡ 그냥봐라 댓글달시간에 공부를하던지

    • @KR-ek2ub
      @KR-ek2ub 3 роки тому

      한반도가 통일 된 무렵에는 화성에 인류가 생활하고있는 우주 엘리베이터가 실용화되고있는 것입니다.

    • @아무개-m7w
      @아무개-m7w 3 роки тому

      그때되면 세상은 하이퍼루프라닌까!

  • @user-ty1bf9vu6i
    @user-ty1bf9vu6i 3 роки тому

    멘트마무리가 이상합니다
    좀 자연스럽게 읽어 주세요

  • @mmcomerror80
    @mmcomerror80 3 роки тому +18

    진공이랑 핼륨 압축이라는 두개의.키워드로도 매인트랑 비용이 엄청납니다.

    • @김수현-q1b2i
      @김수현-q1b2i 3 роки тому +1

      ㅇㅇ 상상초월

    • @카르페디엠-v7h
      @카르페디엠-v7h 3 роки тому

      아....그렇군요.
      몰라서 못하는것이라기보다 비용문제..?

    • @mmcomerror80
      @mmcomerror80 3 роки тому +2

      @@카르페디엠-v7h 유지 보수 자체가 너무 어려울 겁니다. 진공이란게 문제가 생기면 원인 잡는게 쉽지 않죠. 헬륨 압축이랑 같이 연계되어서 봐야합니다. 보온병 같은거죠.(영상에서도 조금 나옴) 예를 들어 진공에 미세한 리크가 생기면 그리로 분자들이 들어오고(진공깨짐), 이게 열원을 옮기는 케리어가 되어서 헬륨 온도를 올릴 겁니다. 결국 열차 조건의 균형을 깨겠죠. 그냥 이상적인 컨셉이라도 봅니다. 한번은 만들어도 양산으로 만들고 대량 관리가 어려울 겁니다. 관련 엔지니어들도 그렇게 많지 않고요. 원전 만들고 반도체 장비 만들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그정도 기술은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이 없는 건 아니죠.

    • @카르페디엠-v7h
      @카르페디엠-v7h 3 роки тому

      @@mmcomerror80
      제가 너무 힘들어 한밤외출...
      왜 이 댓글을 보게 됐는지..
      성의있는 댓글에 잠시 기쁨이

    • @Beaver-lb7nu
      @Beaver-lb7nu 3 роки тому

      @@카르페디엠-v7h 틀딱.

  • @Lee이만용
    @Lee이만용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사실 이런 지식과
    이론 다 좋은데
    이것을 만들어
    사용자들이 안전한가 가 문제
    특히 지진과 화산이 활발한 일본은 뭘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 @마이티공탱이
    @마이티공탱이 3 роки тому +2

    그런데 실용화가 가능하려면 냉각기술이 필요하다는데 일본엔 제대로 상용화된 냉각기술이 없다고 들어서요 가능한건가요? 아이디어는 참 좋은거 같은데 지금 상황에선 그냥 저상태에서 중단될듯한데요?

    • @IllilliiililiIIliliI
      @IllilliiililiIIliliI 3 роки тому +1

      이미 저거 시험구간만 뚫어서 운영 중이긴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 @l2lensama124
      @l2lensama124 3 роки тому

      애초에 LHe급 냉각기술은 상용화? 될 수 있는 분야가 많지 않죠

  • @김봉수-w5j
    @김봉수-w5j 3 роки тому +1

    철도공사우진산전등
    연구을해배바야함니다

  • @츄5본선
    @츄5본선 3 роки тому +11

    신나는 전류

  • @dreamwaters2523
    @dreamwaters2523 2 роки тому

    영상은 좋은데 번역이 아쉽다.

  • @karaszet
    @karaszet 3 роки тому

    실용화된건 하나도 없는데 흔하다니 어색하네요 ㅎㅎ 자기부상열차 개념은 80년대에도 들었던거 같아요 이거도 2027년에나 된다니 그때 가봐야 될듯...지금 철로? 깔고 있나요?

    • @kyoungmankim4439
      @kyoungmankim4439 3 роки тому +2

      ua-cam.com/video/5CKwchJKTYU/v-deo.html 이거 츄오신칸센으로 명칭이 될거 같고 현재 시승회로 홍보중입니다.

    • @jr1800
      @jr1800 2 роки тому

      10년 넘게 하루도 안빠지고 날마다 시험운행중이라고 영상에서 설명하잖아....

    • @imposterdesu
      @imposterdesu 2 роки тому

      시험선은 수 년 전에 산 속에서 이미 사람도 태우고 오가고 있는데, 나머지 구간 공사 속도, 노선 분쟁, 환경 파괴 반대에 걸려서 미개통일 뿐.
      시험선이 나중에 본선의 일부로 계속 쓰인다니 이미 기술은 완성임.

  • @holysite
    @holysite 2 роки тому

    유익한 영상잎니다

  • @지일정-o2i
    @지일정-o2i 2 роки тому

    기계식 열차=소음 마찰 에너지 소비가 많고 속도에 한계가 있다. 자기식 열차=소음 마찰 에너지 소비가 적고 초고속 주행이 가능하다.

  • @wonkilee9874
    @wonkilee9874 2 роки тому

    한국의 KTX 말로만 고속열차 겨우 몇분동안만 300 k/h ..대부분 200 k/h 조금넘음... 이게 무슨 고속열차라고...
    중공은 벌써오래전부터 360 k/h 일본은 자기부상 600 k/h 만들려면 제대로 고속열차라면 최소한 속도가 평균 320 k/h 정도는 돼야
    어데가서 고속열차라고 말할수 있지...

  • @OrangeNet
    @OrangeNet 3 роки тому +12

    얼핏보면 최신기술의 최고의 열차 같겠지만
    실제론 가성비가 개씹똥망 수준이라
    특수성이 있기전엔 안만드는게 나은 열차임
    그래서 다른나라들도, 우리나라도 진작에 손털었음
    일본은 자기네가 최신기술을 선도하고 있다는 자위질에 취해서
    미련하게 오기로 돈을 쏟아붇듯 증발시키고 있음
    저거 설치비, 유지비 진짜 감당안됨. 해도해도 너무한 수준임.
    타이틀 하나 달자고 하기엔 너무나도 미련한짓임.

    • @김수현-q1b2i
      @김수현-q1b2i 3 роки тому

      그러니까옄ㅋ 겨우 600 달리자고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깔아놓는 건설비용이 일본돈 90조억엔 더 들었다는데 그 다음 유지비용은? 그 길이를 깔아놓을 구리를 수입 할 돈은 있구? 운행비용은? 열차차체하고 차체 속 진공 헬륨 진공질소는?ㅋㅋㅋ 타이틀 얻겠다고 미국도 손뗀 사업임 당연 우리나라도 손뗌 근데 즨펜은? 노답국가 똘낔ㅋㅋ

    • @KR-ek2ub
      @KR-ek2ub 3 роки тому +1

      실용화에는 기술의 축적이 필요하다. 이 분야에서 일본은 세계 제일입니다.

    • @아무개-m7w
      @아무개-m7w 3 роки тому

      진공에 매료되다! 하이퍼루프~

  • @sw6382
    @sw6382 3 роки тому +1

    반갑습니다

  • @dr.marvin1677
    @dr.marvin1677 3 роки тому +6

    일본 궤간이 개판이라 저런형태로 만들수밖에 없어요.
    철도 궤간이 지방마다 달라서 한 나라안에서 선박으로 운송하는
    멋진 시스템을 가진 나라 ㅋㅋ

    • @NO-wf4nb
      @NO-wf4nb 3 роки тому +2

      쓰잘데 없는 물뽕소리.일본 땅은 엄청 물러서 고속철 설치가 타국보다 엄청 어려운데도 세계최고다...

    • @akvaskafan2160
      @akvaskafan2160 3 роки тому

      @@NO-wf4nb 땅이 무르긴 화교섬장게야
      두부도 아니고 무른게 아니라 지멋대로해서 규격이 다른거다
      땅의강도와 전혀상관없는데 거짓말갖다 붙여서 쉴드치네
      이래서 대만화교들은 반드시 추방해야한다
      내부의적이야

    • @seemon32
      @seemon32 3 роки тому

      @@flyingBlueKite 신칸센이 정시성이라... ㅎㅎㅎ
      안타보셨구나..

    • @howni777
      @howni777 3 роки тому

      @@flyingBlueKite 일뽕들 특성....
      일본의 양산되지 못한 기술을
      우리의 양산된 기술과 비교하며 일뽕질.....
      기술이 아무리 좋으면 뭐하나요
      양산되어 현실에 적용이 되어야지 기술이라 부를수있는겁니다

    • @LUNA-hs2is
      @LUNA-hs2is 3 роки тому

      @@howni777 그래서 신칸센 세계최고 아니야? 맞잖아?
      뭘 부정하는 거야

  • @zeropigeon
    @zeropigeon 3 роки тому +2

    정작 리니어는 시즈오카vs도카이의 싸움으로
    먼 미래가...ㅠㅡ

  • @brok3nnn
    @brok3nnn 3 роки тому +4

    말할때마다 말끝에 힘을빼는느낌이랄까

    • @흠흐음-e5c
      @흠흐음-e5c 3 роки тому +4

      AI 목소리라서 그렇습니다. 전자사전에서 발음듣기 할때 읽어주는거랑 같은거에요.

  • @IllilliiililiIIliliI
    @IllilliiililiIIliliI 3 роки тому +10

    거의 원리 다 까버렸네...ㅋㅋ 여기에서 핵심 기술은 초전도체 냉각 및 운용 기술, 8자 코일 제작 기술, 유도식 에너지 채집 기술 처럼 보이네요. 원리를 알고 개발할 자금이 지원된다면 트라이&에러로 충분히 따라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gregory000
      @gregory000 3 роки тому

      특허 만료되면 따라가는게 경제적

    • @seemon32
      @seemon32 3 роки тому

      @@flyingBlueKite 뭐하는 사람인데 이렇게 일뽕에 차있을까?
      일본애들이 더이상의 기술을 개발할 능력이 없으니
      다른 나라들은 다 관심을 잃어버린 사업에 매달리는 것을 모르시나보네.

    • @몰라몰라-g1t
      @몰라몰라-g1t 3 роки тому +6

      @@seemon32 니가 그냥 일본을 존나 무시하는 거 같은데?

    • @seemon32
      @seemon32 3 роки тому

      @@몰라몰라-g1t 맞아 일본을 무시하는거지. 무시할만큼 일본애들이 멍청하거든. 실용과학은 전혀 발전할 능력이 없는 또라이들이니까.
      너같은 일뽕들이 진짜 일본을 모르고 좋을 것이다 라고 지랄하는 것과는 다른것이지.

    • @dogyunkwon
      @dogyunkwon 3 роки тому +1

      @@seemon32 ㅇㅎ 몰랐음

  • @홍유표-t6v
    @홍유표-t6v 3 роки тому

    전주성 대충상상으로 잔존심으로 댓글달고있는분 혹시연구소 근무하시는분 인가요

  • @eunjolee79
    @eunjolee79 3 роки тому +5

    사고나면 살아날 가능성이 거의 0 에 수렴하겠군요.. 600km/h 라니...

    • @meltingpot6007
      @meltingpot6007 3 роки тому +2

      지금도 기차는 사고시 사망확률이 제일 높습니다

    • @l3y3nf
      @l3y3nf 3 роки тому +1

      그럼 비행기나 KTX는 어떻게 탈건지;

    • @아랍인-y8t
      @아랍인-y8t 3 роки тому +1

      일본운 신칸센 사고 일어난 적 없음 탈선도 없고

    • @mickymouse80
      @mickymouse80 Рік тому

      ​​@@아랍인-y8t 신칸센 탈선이 아예 없었다고? 작년 3월 16일에 도호쿠 신칸센 탈선사고가 일어났었는데 그건 신칸센 탈선사고가 아니었냐?

    • @정오-t8x
      @정오-t8x Рік тому

      @@mickymouse80 지진떄문에 탈선사고 난거지. 평상시에 탈선사고 나는게 아니잖아. 그리고 탈선이 나더라도 일본은 신칸센이 전복사고까지 이어지지않게 안전장치 다 해놓음. 그래서 도호쿠신칸센 탈선때도 사망자는 없었음. 부상도 1명, 2명이고.

  • @youngchulmoon4007
    @youngchulmoon4007 3 роки тому +9

    일본이 열차부분은 한국앞서 갑니다 한국분발해야죠

    • @미리미리z
      @미리미리z 3 роки тому +6

      자동차 기술도 한참 앞서있수!

    • @audi0615
      @audi0615 3 роки тому +8

      기초과학 소재기술 열처리기술 정밀가공 화학기술 자동차 열차 오토바이 농기계 전기전자부품 자동화제어 등등등등등등등

    • @루돌프사슴코는빨간코
      @루돌프사슴코는빨간코 3 роки тому +3

      이런글 국뽕애들이 싫어합니다
      대깨문들은 더싫어하구요

    • @대한민국-x9b
      @대한민국-x9b 3 роки тому +1

      애국은 필요합니다만. 국뽕은 애국이 아니죠. 국뽕은 타국을 비하하고 낮게보며 자국을 찬양이란 단어가 맞을 정도로 평가하는건 망국의 길입니다. 좋고 수준높은 기술은 빠르게 인정하고 그것을 국산화시키고 그 기술을 바탕으로 신기술을 개발하는것이 애국이고 진정한 강대국의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 @대한민국-x9b
      @대한민국-x9b 3 роки тому

      미국이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이 된 이유중 하나도 적국이라지만 좋고 수준높은기술은 빠르게 국산화시키고 그것을 발전시켰기에 현재의 인류역사상 가장 강력한 강대국이 됬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 @황인구-r7q
    @황인구-r7q 2 роки тому

    성우가 누군가요?

  • @TKNemo
    @TKNemo 3 роки тому +6

    그 흔한 스크린도어도 안하는건지 못하는건지...
    졸음운전으로 역을 지나쳐버린 신칸센도 생각나고, IT기술이 딸려서 조종은 아날로그로 하려나?
    신칸센 선로를 같이 사용할까? 설치에 얼마나 걸릴지도 의문... ㅎㅎㅎ
    공사비용은 터무니 없을듯이 비쌀건 뻔하고..
    승차권가격은 비행기와의 경쟁에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가능할지..?
    저 기술 그대로 중국이 배껴가는게 더 상용화에 빠를듯... ㅋㅋㅋ

    • @KR-ek2ub
      @KR-ek2ub 3 роки тому

      이 자기 부상 열차 자동 운전 네요.

  • @TAKA-w8g
    @TAKA-w8g Рік тому +1

    일본은 1964년에 세계 최초(최고속도 200km/h)의 고속철도의 신칸센을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했다.프랑스의 TGV는 1981년에 최고속도(260km/h)로 영업 운전을 개시했다.일본의 신칸센은, 1964년부터 동력 분산 방식으로 개발, TGV는, 1981년부터 동력 집중 방식으로 개발, 알스 톰은 차세대형 고속 열차로서 동력 분산 방식의 AGV를 개발, 동력 분산 방식으로 한 것으로 편성 전체의 마루밑에도 기기를 배치하는 필요가 발생했다.프랑스의 철도는 홈의 높이가 낮고, 마루밑에 기기가 배치된 AGV는 홈과 차량의 마루의 면 높이를 맞추는 저마루화가 곤란하고, 동국이 추진하는 장벽 제거화에는 대응할 수 없다는 점이 우선 걸림돌이게 되었다.알스 톰은 AGV의 개발을 중지했다.알스 톰은, 동력 집중 방식의 차세대 TGV-M를 개발해, 2024년부터 최고속도(350km/h)로 영업 운전을 개시 예정, 일본의 차세대의 신칸센, ALFA-X는 개발 중에서, 2026년에 개발 종료 예정, 최고속도 360km/h에서 영업 운전 예정입니다.세계의 고속철도, 독일(ICE), 이탈리아(Eurostar Italia), UK(HS2) 동력 분산 방식이 주류입니다.
    2022년의 도쿄~오사카의 신칸센은, 5분에 한 번 출발(12 편성)의 과밀의 상황으로, 더 이상은, 증가할 수 없으므로, 리니어 고속철도(도쿄~오사카)의 건설을 결정했다.도쿄에서 나고야까지의 건설비 7조엔은 JR 도카이가 지출, 국민의 세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리니어 고속철도는, 도쿄에서 나고야를 건설 중이고, 2027년에 개업 예정, 도쿄에서 오사카를 2045년에 개업 예정입니다.최고속 500km/h 이상, 도쿄에서 나고야까지, 신칸센으로는 1시간 30분을 리니어 고속철도에서는 40분입니다. 도쿄에서 오사카(438km)를 67분입니다.참고:KTX, 서울역에서 부산역(417km), 일본은, 신칸센을 인프라 수출 산업으로서, 대만에 수출, 12 차량으로 1 편성으로, 1 편성, 엔화로 110억엔, 대만에 12 편성을 수출해, 대만은 2023년에 12 편성을 추가로 발주했다.인도는 신칸센을 수출 계약하고 건설 중입니다.미국에는, 텍사스에 신칸센을 수출 예정입니다.UK의 고속철도(HS2)는, HITACHI(일본)과 알스 톰(프랑스)의 공동으로, 차량 제조·보수를 계약했다.
    일본의 신칸센은 고속철도 전용의 선로에서 신칸센 전용입니다.속도의 늦은 전철과 고속철도를 같은 선로에서 주행하는 프랑스의 TGV 방식은 최고속도에 한계가 있다.한국은 TGV 방식을 선정했다.
    일본의 신칸센은, 1964년의 개업 의뢰, 주행 중의 사고에서의 사망자는 0명입니다.고속철도의 안전성은 세계 1위입니다.신칸센은 고속철도 전용의 선로에서, 신칸센 의외의 차량은 주행하지 않습니다.2026년부터 새로운 신칸센(ALFA-X)는, 영업 운전 최고속도 360km/h입니다.리니어 고속철도, 최고속도 500km/h 이상으로 영업 운전, 한국이라면 서울역에서 부산역(417km)를 60분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지일정-o2i
    @지일정-o2i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아직도 한국에는 일본 주오 신칸센 자기부상열차가 시속 603km 를 돌파한것을 모르는 중생들이 있는가? 한국의 현다이 기계식 열차가 속도에 전혀 진척이 없는 이유는 기계식 열차의 한계 때문이다.

  • @gylee5880
    @gylee5880 3 роки тому

    달리는 열차가 아니라 초저공 비행기네요

  • @맛케찹
    @맛케찹 3 роки тому +4

    소음 저항 문제는 없나요? 저속도면 있을거 같은데

    • @맛케찹
      @맛케찹 3 роки тому

      @초코하임 공기요

    • @KR-ek2ub
      @KR-ek2ub 3 роки тому

      @@맛케찹 이 열차가 달리는 것은 거의 터널 또는 지하입니다.

  • @이병욱-e1y
    @이병욱-e1y 3 роки тому +8

    이건 영원히 상용화 못함
    가성비라그 해야 하나
    건설비용은 테슬라의 터널기차의 3배
    유지비용 및 운임은 2배 이상임
    아무리 원숭이라도 현 신간센의 4배이상의 운임을 주고는 아무도 안탐

    • @ydj08171
      @ydj08171 3 роки тому

      이미 시험주행 마친 기술과 아직 걸음마단계에 있는 기술이 비교가 가능한가요? 테슬라 하이퍼루프 실현가능성도 현재 논란있는 부분인데

    • @ydj08171
      @ydj08171 3 роки тому

      @Ffll Wwee 시운전을 한적이 있나요? 버진에서 만들고있는 2인용 하이퍼루프 테스트가 전부였죠? 그것도 진동이 너무 심해서 상용화까진 시간이 상당히 필요할듯 하고요. 하지만 일본의 자기부상 열차는 이미 많은 사람들을 태우고서 500키로가 넘는 시험주행을 현재도 몇번이고 하고있습니다. 비교가 되시나요?

    • @ydj08171
      @ydj08171 3 роки тому

      @Ffll Wwee 도대체 어느 부분에서 시비를 걸렸다고 생각하시는지..

    • @kyoungmankim4439
      @kyoungmankim4439 3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5CKwchJKTYU/v-deo.html 상용화에 가까워 졌음

    • @MN-dt3pc
      @MN-dt3pc 2 роки тому

      이미 도쿄 나고야 사이는 공사를하고 있습니다

  • @내가니아미다
    @내가니아미다 2 роки тому

    근데
    이거 말하시는 분이 AI인가요? 실제 사람인가요?🤭🤭🤭

  • @손민우-w6n
    @손민우-w6n 3 роки тому +10

    와우;;; 투자비용 얄짤없겠는데; ㄷㄷ 그냥 비행기 쓰는게 나을지도;

    • @マルケス-m1g
      @マルケス-m1g 3 роки тому +2

      지금 신칸센요금보면 이해가 안되진않음 ㅋㅋㅋㅋㅋㅋㅋ그정도 받으면 이정도 연구개발비는 끄덕여지지 ㅋㅋㅋㅋ

    • @jonathankavilla4002
      @jonathankavilla4002 3 роки тому +1

      도쿄에서 나고야 구간 건설하는데 90조든다네요

    • @ydj08171
      @ydj08171 3 роки тому +11

      @@jonathankavilla4002한국의 성인지예산 3년치면 별로 비싸지도 않네요.

    • @LYEH-gf7tj
      @LYEH-gf7tj 3 роки тому

      수입해서 쓰는 나라가 있을까 ?

    • @user-zd4qy5zl7i
      @user-zd4qy5zl7i Рік тому

      @@ydj08171 ㅋㅋㅋㅋㅋ

  • @user-gm4zq5kd8r
    @user-gm4zq5kd8r 2 роки тому

    신나는 전류 듣고 귀를 의심했다

  • @MAENG_JONGHO
    @MAENG_JONGHO 3 місяці тому

    초전도 저거보니까 명탐정코난 극장판 비색의탄환 생각나네요ㅋㅋ

  • @khankorea3938
    @khankorea3938 3 роки тому +1

    거기서 발전하면 초전도 단계이고
    한단계 더 나아가 극초전도단계에 이르면
    상시 공중부양됩니다.
    즉,UFO(비행접시)가 됩니다.
    다만 비접은 원격제어되는 AI로봇이라는 점.
    참고요망.

    • @gregory000
      @gregory000 3 роки тому

      이걸 보고도 그 소리가 나오나요 ㅋㅋ 부양체 외부는 어쩔거

    • @kor_cinnamon
      @kor_cinnamon 3 роки тому

      공학적 지식이 매우 부족해 보이시네요

    • @gregory000
      @gregory000 3 роки тому

      반중력은 자이로 말고는 답이 없음.

    • @ultraviolet_sa
      @ultraviolet_sa 3 роки тому

      UFO(unidentified flying object): 미확인 비행물체
      상시 공중부양은 설계를 바꿔야죠 ㅋㅋ

  • @최쿄성
    @최쿄성 9 місяців тому

    저거 오류나서 600에서 0으로 멈춰버리면 대참사 아님?ㄷㄷㄷ

    • @dokwho
      @dokwho 7 місяців тому

      게임도 아니고 그자리에 바로 멈추겠음?? ㅋㅋㅋㅋㅋㅋ관성 따라 앞으로 쏠리면서 멈추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최쿄성
      @최쿄성 7 місяців тому

      @@dokwho 딱 0으로바론 안가도 사람정돈 터질정도론 멈출듯?

  • @MN-dt3pc
    @MN-dt3pc 2 роки тому

    超電導リニアは、超高速性や都市圏間のアクセス性、輸送能力の点において、航空機より高い機能を、省エネルギーで提供できる交通機関です。
    リニア中央新幹線の消費電力については、交通政策審議会の審議の中でも示されている通り、ピーク時の消費電力(瞬間値)は、一定の前提を置いた試算では、名古屋開業時で約27万kw、大阪開業時では約74万kwであり、電力会社の供給余力の範囲内で十分賄えるものと考えています。
    今後も、開業当初と比べ約50%の省エネルギー化を実現した東海道新幹線と同様、車両の軽量化、車両形状の改良、電力変換器の改良などに加え、最新の知見を最大限取り入れ、省エネルギー化の取り組みを継続していきます。

  • @박상면-o7r
    @박상면-o7r 2 роки тому

    초전도전자석 ...
    뭔가 빛을가둔 전구같네요 ㅋㅋㅋㅋ

  • @맨날배고파-m1p
    @맨날배고파-m1p 3 роки тому +9

    일반 기차도 드릅게 비싼데
    저건 눈탱이 맞겠네~

  • @강재훈-e9k
    @강재훈-e9k 3 роки тому +8

    저정도 자기면 핸드폰 고장날거같다 소지한 카드는 전부 먹통되고 인간도 여러모로 피해가 올거같다 뭐 상관없는건가?

  • @nls2620
    @nls2620 3 роки тому +5

    일본 공학 기술 참 대단해 ㅋㅋㅋㅋ

  • @성관겨l
    @성관겨l 3 роки тому

    신나는 전류가 뭔가요

  • @goldingot3796
    @goldingot3796 9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럼 어떻게 멈추나요 멈추는 방법 원리 좀 알려주세요 움직이고 달리는 원리는 알 것 같은데 멈추게 하는 방법과 원리가 누락 되어 있네요

  • @권프로1234
    @권프로1234 3 роки тому +2

    저 초전자석의 자기장이 사람 몸에는 해롭진 않을까 ..?

    • @Candy_youtube
      @Candy_youtube Рік тому

      그럼 만들었겠냐고

    • @권프로1234
      @권프로1234 Рік тому

      @@Candy_youtube 대답 졸라 1차원적이네. 어떤 기술에 따라서는 쉴드를 쳐서 쓰는 기술도 있다 댓글을 달땐 좀 생각 좀 하고 달아라

    • @Candy_youtube
      @Candy_youtube Рік тому

      @@권프로1234 이미 시운전도 돌리는중 아무 문제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