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센 자석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8 чер 2023
  • 세상에서 가장 센 자석! 이라고 하면...
    사실 뭐 얼마나 센건지, 뭐가 얼마나 다를지 감이 안잡히긴 합니다 ㅎ
    그리고 그렇게 센 자석이 필요한 이유는 뭘까요?
    데릭이 플로리다주의 고자기장 연구소에서 실험한 것들을 보면 조금 관심이 생길겁니다
    진짜 신기하거든요!
    #초전도체, #자석, #자기장
    ▀▀▀
    Thanks to the entire NHMFL team - especially Tim, Stephen, Caroline, Kristin, Sam, Lance, and everyone who helped with the demos - for the great visit.
    The NHMFL is funded by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nd the State of Florida.
    Special thanks to Henry from Minutephysics for lending his magnet animations from our magnet collaboration:
    • MAGNETS: How Do T...
    ▀▀▀
    References:
    Liu, Y., Zhu, D. M., Strayer, D. M., & Israelsson, U. E. (2010). Magnetic levitation of large water droplets and mice. Advances in Space Research, 45(1), 208-213.
    Simon, M. D., & Geim, A. K. (2000). Diamagnetic levitation: Flying frogs and floating magnets. Journal of applied physics, 87(9), 6200-6204.
    Berry, M. V., & Geim, A. K. (1997). Of flying frogs and levitrons. European Journal of Physics, 18(4), 307.
    ▀▀▀
    Special thanks to our Patreon supporters:
    Tj Steyn, Meg Noah, Bernard McGee, James Sanger, Elliot Miller, Jerome Barakos M.D., Amadeo Bee, TTST, Balkrishna Heroor, Chris LaClair, John H. Austin Jr., Eric Sexton, John Kiehl, Anton Ragin, Diffbot, Gnare, Dave Kircher, Burt Humburg, Blake Byers, Evgeny Skvortsov, Meekay, Bill Linder, Paul Peijzel, Josh Hibschman, Mac Malkawi, Juan Benet, Sunil Nagaraj, Richard Sundvall, Lee Redden, Stephen Wilcox, Marinus Kuivenhoven, Michael Krugman, Cy 'kkm' K'Nelson, Sam Lutfi
    ▀▀▀
    Written by Derek Muller
    Edited and Motion Graphics by Trenton Oliver
    Coordinated by Emily Zhang and Derek Muller
    Filmed by Derek Muller, Trenton Oliver, Raquel Nuno and Emily Zhang
    Additional video/photos supplied by Pond5 & Getty Images
    Music from Epidemic Sound
    Thumbnail by Ignat Berbeci
    Produced by Derek Muller, Petr Lebedev, and Emily Zhang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305

  • @leechanghyun
    @leechanghyun Рік тому +917

    제목이랑 썸네일 누가 만들었냐고 ㅋㅋㅋㅋㅋㅋㅋ 왜 원래 채널이 있는데 번역채널이 병맛이 되어 가냐고 ㅋㅋㅋㅋㅋㅋㅋ

    • @human_ingan
      @human_ingan Рік тому +179

      옳은 번역채널이로구나

    • @monocr1
      @monocr1 Рік тому +219

      대학원생이라던데 주인장 적절한 밈센스가 훌륭한듯요 배우신분..

    • @tereyja
      @tereyja Рік тому +57

      너무 좋아 요즘 대새는 공대유머

    • @FL0VVERP0T33
      @FL0VVERP0T33 Рік тому +51

      진짜 전에 썸넬 만근추 있는거 보고 넘 웃겼음

    • @pi-3141
      @pi-3141 Рік тому +13

      응 안돼~

  • @호랑좌
    @호랑좌 Рік тому +149

    8:46 우리가 원하는 전자석의 쓰임새

    • @nadonadodo
      @nadonadodo Рік тому +4

      해리포터 ㄷㄷ

    • @skynet5271
      @skynet5271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인덕션의 기본원리

    • @구름냥
      @구름냥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에오오오옭

  • @rea1oiI
    @rea1oiI Рік тому +131

    9:04 드립진짜 ㅋㅋㅋㅋㅋ 심지어 자기도 드립치고 웃엌ㅋㅋ

    • @user-pb3lj6ty6b
      @user-pb3lj6ty6b Рік тому +8

      렌츠의 법칙을 저렇게 말하는거 첨봄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ce3ro1xs7m
      @user-ce3ro1xs7m Місяць тому

      싫은데에베벱의 법칙... 메모...

  • @danyk7879
    @danyk7879 Рік тому +80

    원 채널을 구독하고 보고있었는데 한국 채널도 있었군요!
    국산 유투버들은 맨날 해외에서 겉핥기식으로 훑어와서 영어공부하면서 해외 유투브를 많이 봤는데 이렇게 제대로된 채널들이 번역되서 한국으로 수입되니 너무 좋습니다 ㅎㅎ

    • @시
      @시 Рік тому +3

      돼서

    • @saefsef3862
      @saefsef3862 Рік тому

      인종차별 사기 1위 노비 민족 기생 민족 표절 민족 소국 찌꺼기는 기생이 일상 ㅋㅋ

    • @pocheonstone
      @pocheonstone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시 되니도 맞는 표현입니다~

  • @IloveYouS2
    @IloveYouS2 Рік тому +63

    아저씨 연구소에서 자기장으로 부하걸고 운동했나.. 피지컬이 ㄷㄷ..

    • @wasabialmond3651
      @wasabialmond3651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

      중력+자력으로 점진적과부화 ㅎㄷ

  • @user-bu7yh4gc1n
    @user-bu7yh4gc1n Рік тому +19

    정말 물리관련 초보적인댓글이지만
    전류가흐르면 자성이 생긴다는걸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되는 영상이라 너무 좋아요

  • @M_Log_
    @M_Log_ Рік тому +29

    10:23 에코까지 넣는거 넘 킹받고 웃겨요 ㅠ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mn9jt6nu7m
    @user-mn9jt6nu7m 11 місяців тому +60

    저런 시설이 있고 그걸 지원해줄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게 부럽다...

    • @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 9 місяців тому

      방구석에서 유투부나봐 뭘안다고 ㅉ

    • @jaaaone
      @jaaaone 5 місяців тому +3

      ​@@____________________---방구석에서 댓글이나달아 뭘안다고 ㅉ

  • @kstory9082
    @kstory9082 Рік тому +48

    0.0005 자기장이지만 그 양이 지구 전체를 감싸고 있으니 어마어마한 에너지임.

  • @Akari_Apex
    @Akari_Apex Рік тому +33

    베리타슘 한국판 : 지식과 드립이 는다

  • @adrianjohn5028
    @adrianjohn5028 Місяць тому +5

    매그내~~~~~~~~~~~~릭

  • @cdqzxcv
    @cdqzxcv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2:44 연구소 아저씨 팔....

  • @user-we6wv2hk7u
    @user-we6wv2hk7u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세상에서 가장 센 자석이라 해도 딱 이럴 것 같다 실감을 할 순 없을텐데 다양한 실험을 통해 45T가 얼마나 강한 힘인지를 알려주셔서 좋았습니다. 강한 자성을 위해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다는 것도 알았구요. 특히 지상유체 실험은 애니메이션 빅히어로가 생각나서 재미있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hayoun3
    @hayoun3 11 місяців тому

    업로드 속도가 빨라져서 좋네요. 영상 빨리 더 올려주세요

  • @hyung-seokchoi4277
    @hyung-seokchoi4277 Рік тому +111

    오오… 코일을 저런 식으로 만들 수 있군요? 진짜 베리타슘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항상 신기한 공학적 아이디어를 얻어갈 수 있어서 너무 즐겁네요!

    • @Oizman
      @Oizman Рік тому +3

      긱불인가? 열심히 남의거 따라하기 바쁘더만...

    • @saefsef3862
      @saefsef3862 Рік тому

      인종차별 사기 1위 노비 민족 기생 민족 표절 민족 소국 찌꺼기는 기생이 일상 ㅋㅋ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10 місяців тому

      ​@@Oizman
      궁시렁궁시렁 ~

    • @hyung-seokchoi4277
      @hyung-seokchoi4277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Oizman 긱블은 시도는 좋으나 결론적으로 그다지 흥미가 가지 않는 이유는, 팀 내에 이론가가 없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대다수의 학생들이 하는 실험이 어설픈 이유는 이론적 모델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았기 때문인데 그런 측면에서 긱블이라는 팀은 자신들의 실험을 이론적 측면에서 잘 검증해주는 사람이 없어보이네요. 저번에 전기저항계산 하는 영상을 봤었는데, 실험할때, 이론적 측면을 너무 등한시 한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논외로 우리나라는 이론을 등한시 하기도 하고 재미없어 하기도 해서 팀 내 이론자문담당을 구하는게 아주 어려울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론 하는 친구들도 소수의 실험의 가치를 알아주는 친구들만 응할텐데 보통은 이론가랑 실험가가 협업하는게 쉽지는 않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명확하게 합의된 목표가 없으면 싸움이 자주 일어날듯 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여기서 리더의 역량이 드러나게 되겠죠. 어울리기 힘든 두 분야를 잘 융합시키는게 리더의 역량이거든요.

    • @user-dx6ln2mf7l
      @user-dx6ln2mf7l 5 місяців тому

      @@hyung-seokchoi4277 포스텍 출신들 많은데 그정도 이론이랑 계산쯤은 그냥 할 듯 그냥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서 일부러 설명 안 하는 느낌이 강하던데

  • @mmhy6020
    @mmhy6020 Рік тому

    와 이체널 너무좋다.... 사랑해요우

  • @minyongkim1355
    @minyongkim1355 Рік тому +2

    오오 신기방기 ㅋㅋ 이런걸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 정말 리스펙함 ^^

  • @gudohwan
    @gudohwan Рік тому

    아주 유익한 영상이군요. 감사합니다!

  • @Continuity
    @Continuity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매그니토가 얼마나 강한것인지 다시금 깨닿게 되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user-rh7nj5th3b
    @user-rh7nj5th3b Рік тому +7

    이번 내용... 한번에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도 있어서 자주 들어오면서 곱씹어 봐야겠네요

  • @gedwed6715
    @gedwed6715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자기의 힘을 느끼고나니 초전도체가 왜 치트키인지 알겠습니다.
    그냥 생활이 싹 바뀔 수 밖에 읎네.. 이야.. 그래서 상온 초전도체는 언제 개발될까.. ㅠ

  • @cmj7260
    @cmj7260 Рік тому

    이런 내용 너무 좋아. 재밌어 ㅋ

  • @xmzm-sj6ks
    @xmzm-sj6ks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자석을 이용한 헬스 기구가 있으면 좋겠네요. 운동 최대 지점에서 밀어주거나 당겨주는걸로 마치 옆에서 보조해주는 사람 처럼요 ㅋㅋ

  • @soakae
    @soakae Рік тому +7

    응 안돼~ 법칙이라니 진짜 눈높이 맞춤 설명이네요 ㅋㅋㅋ

  • @sungjaeahn5673
    @sungjaeahn5673 Рік тому +3

    20:23, two-hundred fifty to three hundred thousands dollars a month -> 250달러~30만달러 (한화 32만원 ~ 4억)이 3억2천만원~4억이요

  • @mindbridge00
    @mindbridge00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정말 신기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자기장들
    눈으로 볼 수 있는 카메라 같은것이 발명되면 진짜 흥미로울것 같아요

  • @sara_o7
    @sara_o7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최고의 수면 유튜버다

  • @user-yq8ym4bj1g
    @user-yq8ym4bj1g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전기공학 전공자로서 너무나도 귀한 영상입니다

  • @altruso9595
    @altruso9595 Рік тому +25

    네오디뮴 자석에 나중에 자성을 부여한다는 사실은 처음알았네요.. 신기

    • @gmb10066
      @gmb10066 Рік тому

      자철석이 아닌이상 모든 자석은 강자성체에 자성을 줘서 만듭니다

  • @daramgom
    @daramgom Рік тому +20

    정부: 신소재를 개발하세요
    연구원들: 와! 초전도 피자! 개구리!

    • @mwoji
      @mwoji Рік тому +7

      연구원들:히힛 뜬당 ㅎㅎ

  • @hy03947
    @hy03947 Рік тому +5

    렌츠의 법칙을 눈으로 보는건 신선한 충격이네요

  • @LooooVANS
    @LooooVANS Рік тому +16

    플랜트쪽 일할 때 마그네틱필터였나 뭐시기 조립하다가 자석봉 사이에 손가락꼈는데 손가락 절단되는줄 알았음 ㄹㅇ... ㅠㅠ 손 억지로 뺴내려다가 살 조금 뜯기고 ㅠㅠㅠ

  • @_otto_art__Officia
    @_otto_art__Officia Рік тому +1

    너무재밌는 과학!

  • @David_Martine2
    @David_Martine2 Рік тому +3

    9:12 편집자 미쳤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sn6dg5uf4m
    @user-sn6dg5uf4m Рік тому +3

    한달만의 영상이라니...
    기다리다가 죽는줄 알앗음

  • @H3ad1ine
    @H3ad1ine Рік тому +7

    와 ㄷㄷㄷ MRI가 10T 넘는게 없다고 알고 있는데

  • @laghan4546
    @laghan4546 Рік тому +12

    예전에 고자기장 실험실에 니플 피어싱을 한 대학원생이 아무생각 없이 실험에 들어갔다가 응급실갔다는 썰을 들은적있음

    • @NS-he4bg
      @NS-he4bg Рік тому +2

      으악;;;

    • @minpark3667
      @minpark3667 Рік тому +1

      솔직히 그건 구라다... 14T만 해도 작은 니퍼 하나 공중에 떠있게 만들기 힘든데 니플에 있는 피어싱이어 봤자 작은데 그게 떨어질리가..

  • @sambong8603
    @sambong8603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응 안돼~법칙 너무 재밌어요 😂

  • @light_je
    @light_je Рік тому

    와,, 너무 재밌네요

  • @heejun1
    @heejun1 Рік тому +1

    이런 개그 너무 좋아

  • @manobit
    @manobit Рік тому +80

    와... 극한의 자기장을 만들기 위해 저로서는 상상하지도 못하는 큰 전류를 끌어다 쓰는군요.
    57,000A 란 얘길 들었을 때 제 귀를 의심했습니다.

  • @rain2air
    @rain2air 11 місяців тому

    3:25 ~ 3:36 초당 2 암페어의 램핑 속력으로 한 시간 반을 충전하면 대략 11 킬로암페어 정도의 전류가 초전도자석에 흐르며, 완전히 충전하고 전원공급기를 제거하면 초전도체의 전압은 0입니다. 3:38의 4만 7천 암페어, 500 볼트는 초전도자석의 전류와 전압이 아닙니다.

  • @kimdaewon5675
    @kimdaewon5675 8 місяців тому

    저걸 응용하면 지구에서 우주로 갈때 연료를 사용하지않고 갈수 있겠네요. 우주 로케트이나 달 탐사할때 그런것들, 자석으로 물끊이게 하고 동력으로 이용가능하게 될것
    같은데 자석자동차. 전쟁용 탱크, 소총 등등

  • @user-bb1xf2rr1c
    @user-bb1xf2rr1c Рік тому +4

    진짜 미쳤냐고 ㅋㅋㅋㅋㅋ

  • @Noobcraft-uw8ix
    @Noobcraft-uw8ix Рік тому +1

    로지스틱 맵 영상도 번역해주실 수 있나요?

  • @Angsmoothie
    @Angsmoothie Рік тому +2

    번역 오류가 있네요...ㅎㅎ .중간에 two hunderd fifty to three hunderd thousands 은 25만 ~ 30만 달러라고 해석하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 @user-ic2mi2kt1b
    @user-ic2mi2kt1b Рік тому +2

    고작 직경 10km짜리 마그네타는 달거리에서도 지구상에서 달리고 있는 열차를 멈추게 할수 있음. 저거는 애기네 ㅎㅎ

  • @lunaticcycling
    @lunaticcycling Рік тому +7

    테슬라 주식 사러 가야겠다

  • @4ppreciator
    @4ppreciator Рік тому +3

    9:21 넣을게~

  • @zlllnc
    @zlllnc Рік тому

    드디어 올라왔ㄷ다...

  • @user-ci1hl6on7w
    @user-ci1hl6on7w Рік тому

    응~안돼~ 너무 찰져요

  • @rain2air
    @rain2air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저항성 자석이 완전히 틀린 말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그냥 전자석이라고 하면 될 것 같네요. 또는 초전도 자석과 대비되도록 상전도 자석도 괜찮습니다.

  • @hoyakim4280
    @hoyakim4280 Рік тому +16

    원래 2015년에 완구로 판매됐을 초전도자석... 누군가 역사선을 바꿔놓았죠. 제품명은 "호버보드".

    • @user-zv2vy2nk2h
      @user-zv2vy2nk2h Рік тому +1

      뭐라노

    • @mqmq9245
      @mqmq9245 Рік тому

      ​@@user-zv2vy2nk2h백투더퓨처 모르노 급딱아 ㅋㅋㅋ

    • @user-rb5qt5vy9h
      @user-rb5qt5vy9h Рік тому +8

      ㄴ 백투더퓨처 드립임ㅋㅋ

  • @wongiseong3311
    @wongiseong3311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응~ 안돼 법칙 ㅋㅋㅋㅋㅋ
    원문이 어떻길래 이렇게 번역하셨는지 궁금합니다 ㅋㅋㅋㅋ

  • @seungminkim5713
    @seungminkim5713 Рік тому +3

    13:50 전세계 모든남자들의 로망 성공

  • @hape0218
    @hape0218 11 місяців тому

    뭔가 영화에서 본것처럼 주변의 모든 금속 물질들이 빨려들어가듯이 날아갈줄 알았는데 그건 아닌가 보군요..

  • @user-oq9zr2bd7p
    @user-oq9zr2bd7p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설명하는 과학자분 분위기는 미군 장성같으신데ㅋㅋㅌㅋㅋ

  • @user-xm9wl7ye2q
    @user-xm9wl7ye2q Рік тому +1

    내신으로 물리하는 고2 학생입니다. 렌츠의법칙을 실제로 보니까 신기하네요 ㅋㅋㅋ

  • @FGSRL
    @FGSRL Рік тому +1

    와중에 안드레 가임은 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쉽지 않아...

  • @user-qn4zl6yf7c
    @user-qn4zl6yf7c Рік тому +1

    갈수록 드립이 ㅋㅋㅋ

  • @syoungbird
    @syoungbird Рік тому +1

    신기하네요

  • @ymjoyfulable
    @ymjoyfulable 11 місяців тому

    권선을 저렇게 감을수도있네요 첨알았네요

  • @user-fd2gc6fv4f
    @user-fd2gc6fv4f Рік тому

    아니 한달만에 뭐냐구~ 주인장 건강보다 영상이 먼저입니다

  • @user-pu3cy4iq1p
    @user-pu3cy4iq1p Рік тому

    No-insulation 초전도체로 만든 자석인건가요? 그건 작던데

  • @Raccoon_sensei
    @Raccoon_sensei Рік тому +2

    미쳤다 ㄷㄷㄷㄷㄷ

  • @user-hk2mf3oi3l
    @user-hk2mf3oi3l 2 місяці тому

    Super 이끌림

  • @user-uu3kc2fh5o
    @user-uu3kc2fh5o Рік тому +3

    베리타시움 100만 구독 가지마~
    ???: 응 안돼~

  • @choing8604
    @choing8604 Рік тому +1

    20:21 오역이 있네요 여기는 25만~30만 달러로 번역하는게 맞겠습니다

  • @znhyk
    @znhyk 9 місяців тому

    발음이 상당히 좋아지셨군요
    놀랍습니다😊

  • @yuzana4292
    @yuzana4292 8 місяців тому

    10:00 롯데월드 자이로드롭이 이 원리를 이용해 브레이크를 잡아 멈춘다고 하네요.

  • @cardiyred
    @cardiyred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과학자분 몸이 엄청 좋으시네

  • @icewaffle7829
    @icewaffle7829 Рік тому

    썸네일 적절한거 봐ㅋㅋㅋㅋㅋㅋㅋ

  • @user-px6xz4ku1o
    @user-px6xz4ku1o 3 місяці тому +1

    관리 하시는 분 매일 자석 뗀다고 운동하시는건가 팔근육이 ㅋㅋㅋ

  • @rain2air
    @rain2air 11 місяців тому

    17:15 초전도자석 11.5 T, 상전도전자석 33.5 T, 합치면 45 T

  • @user-myiqis180
    @user-myiqis180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극한의 호기심 앞에서는 어른도 어린이로 변하군요..ㅋㅋ

  • @say_annyeong
    @say_annyeong Рік тому

    볼때마다 드립력이 엄청나단 말이지 ㅋㅋ

  • @DuamDuam
    @DuamDuam Рік тому +3

    더빙 발음이 좀 어눌한 느낌입니다. 한국판 쿠르게작트처럼 좀 더 분명하고 깔끔했으면 좋겠습니다.

  • @user-fu6dy7rm8s
    @user-fu6dy7rm8s 10 місяців тому

    초전도 자석 폼미쳣다

    • @user-fu6dy7rm8s
      @user-fu6dy7rm8s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냥 보기전에 써본거인대 진짜 초전도 자석이네 ?

  • @IamjustDeftfanTlqkf
    @IamjustDeftfanTlqkf Рік тому

    이채널... 원작을 파괴한다...!

  • @_CENSORED
    @_CENSORED Рік тому +4

    현지화 999%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730r3
    @730r3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 전자석에 코일을 만드는 방식을 무슨 방식이라고 하나요?
    찾아봐도 안뜨내요😢

  • @F-ma
    @F-ma Рік тому

    이게 공식채널..?

  • @apzlsl
    @apzlsl Рік тому +2

    진짜 뭔소린지 1도 모르겠으나 그냥 보는중

  • @ws29leo14
    @ws29leo14 Рік тому

    자이로드롭 브레이크 원리

  • @user-uf6ps8kp8s
    @user-uf6ps8kp8s Рік тому

    연구소 아재 팔뚝보소

  • @lucky_trevi
    @lucky_trevi 9 місяців тому

    맴돌이 전류로 총알의 속도를 늦출수 있을까요?

  • @blackbright6805
    @blackbright6805 Рік тому

    센스쟁이

  • @yunjaepark3242
    @yunjaepark3242 Рік тому

    영상에 언급된 개구리를 띄우는 실험을 한 안드레 가임 교수는 이그 노벨상을 수상했으며, 이후 3M 테이프로 연필심으로부터 그래핀을 떼어냄으로써 노벨상도 받았습니다. 괴짜같은 느낌이 드네요.

  • @Sigmar-guide-us
    @Sigmar-guide-us Рік тому

    도랏네 개재밋다 짅나

  • @jooilkim680
    @jooilkim680 Рік тому

    7:56 갯수x 개수o

  • @ih7411
    @ih7411 Рік тому

    렌츠의 법칙에서 총알은 어떻게 될까요? 빨라진 만큼 자기장의 반발력이 커지면 결국 총알의 속도를 달팽이로 만들 수 있을까요?

    • @Waterbeans
      @Waterbeans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질량대비 에너지가 높아서 어마무시한 자기장 필드를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보통 총알은 몇만줄급 에너지를 갖고 날아가는거하..

    • @730r3
      @730r3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Waterbeansm16에 5.56×45mm 쏘면 약 1,600줄 정도 나옵니다만 휴먼?

    • @프로이센
      @프로이센 Місяць тому

      ​@@Waterbeans쎄봐야 2000 3000인데뭔

  • @user-rz5ow4eq5i
    @user-rz5ow4eq5i Рік тому

    불면증 있었는데 이 영상을 보고 완치됐습니다.

  • @irukan2
    @irukan2 Рік тому

    고자 기장 연구소. 내가 고자라니

  • @restless1y
    @restless1y Рік тому +3

    궁금한게 인간의 신경이 나트륨-칼륨 이온 펌프로 되어있는데 왜 45T의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을까요? 대전 입자가 자기장에서 움직이게 되면 힘을 받아서 어지럽거나(?) 신경자극으로 따갑다는 느낌이 들거 같은데.. 저 연구원분들은 멀쩡해보이시네요..

    • @user-qn4kx7jc5j
      @user-qn4kx7jc5j Рік тому +9

      대전된 입자가 자기장에 의해 힘을 받아 음직일 순 있지만 영향을 줄 정도로 큰 힘은 아닐꺼에요.
      딸기랑 라즈베리 띄우는 정도로 단백질 구조가 변하거나 분극이 일어나긴 힘들 것 같아요

    • @Sigmar-guide-us
      @Sigmar-guide-us Рік тому +1

      1미터만 되도 영향력이 엄청나게 줄어듭니다. 사람 몸이 도체가 아니기도 하구요

    • @minpark3667
      @minpark3667 Рік тому

      45T 중간지점가면 그렇겠지만 자기장도 중심부 부터 급격하게 감소하기때문에 사람이 접근 할 수 있는 최대 지점까지 가더라도 신체가 느끼는건 없어요..

    • @dara362
      @dara362 Рік тому

      자기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연구가 매우 부족해요. 얼마나 큰 부작용이 있을지 모르기에 막 실험하기도 어렵구요.
      그리고 na/k pump는 신경 외에도 모든 세포에 존재해요. 이외에도 우리 몸에는 매우 많은 종류의 펌프들이 존재하고, 전기적 기울기를 이용한 channel들도 있어요. 따라서 신체 모든 부위에 영향을 줄 수도 있어요.
      저로서도 얼마나 어떻게 영향을 줄지 너무 궁금해요

  • @user-mg8ob6yz6j
    @user-mg8ob6yz6j Рік тому

    궁금한거 있는데 13:33에 사람이 타면 무게도 변화함?

  • @user-zw3zj3dl1v
    @user-zw3zj3dl1v Рік тому +2

    응~안돼
    렌츠의 법칙 잘 들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

  • @silkstar91
    @silkstar91 Рік тому +1

    NMR 교육 시 주의사항으로 항상 나오는 것 중 하나

  • @trancelize
    @trancelize Рік тому +1

    45T의 문단속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os3bp8ux5g
    @user-os3bp8ux5g 7 місяців тому

    배구공을 수직으로 떨어트렸을 때 느려진 속도가 몇이에요?

  • @Jaeyoung002
    @Jaeyoung002 9 місяців тому +1

    m, cm로 사용하는게 신기하네.
    미국에서 쓰는곳이 있긴 하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