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입자나 힘의 존재 가능성? 기존 물리학 표준모형을 뒤집는 역대급 실험 결과?! [안될과학-초긴급과학]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최근 표준모형이 깨질지도 모른다는 새로운 연구 소식이 발표되었습니다!
    미지의 힘의 존재가 나타난 걸까요? 새로운 입자가 발견될까요?
    뮤온 g-2가 도대체 무엇이고 페르미연구소의 실험 결과는 무엇인지 긴급하게 전해드립니다.
    #뮤온g-2 #자기장모멘트 #입자물리학 #페르미연구소 #렙토쿼크
    ◆ Thanks to
    Written by Orbit
    Directed by Orbit, Star
    Editor : RM BOM
    ◆ Reference :
    Brown, H. N., et al. "Improved measurement of the positive muon anomalous magnetic moment." Physical Review D 62.9 (2000): 091101.
    Brown, H. N., et al. "Precise measurement of the positive muon anomalous magnetic moment." Physical Review Letters 86.11 (2001): 2227.
    Bennett, G. W., et al. "Measurement of the positive muon anomalous magnetic moment to 0.7 ppm." Physical Review Letters 89.10 (2002): 101804.
    Redin, S. I., et al. "Resent Results and Current Status of the Muon (g-2) Experiment at BNL." Precision Physics of Simple Atomic System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3. 163-174.
    Bennett, G. W., et al. "Measurement of the negative muon anomalous magnetic moment to 0.7 ppm." Physical review letters 92.16 (2004): 161802.
    Aoki, Yasumichi, et al. "The order of the quantum chromodynamics transition predicted by the standard model of particle physics." Nature 443.7112 (2006): 675-678.
    Miller, James P., Eduardo de Rafael, and B. Lee Roberts. "Muon (g− 2): experiment and theory." Reports on Progress in Physics 70.5 (2007): 795.
    Jegerlehner, Fred, and Andreas Nyffeler. "The muon g− 2." Physics Reports 477.1-3 (2009): 1-110.
    Roberts, B. Lee. "Status of the Fermilab muon (g− 2) experiment." Chinese Physics C 34.6 (2010): 741.
    Abdesselam, A., et al. "Boosted objects: a probe of beyond the Standard Model physics." The European Physical Journal C 71.6 (2011): 1-19.
    B. Abi et al. "Measurement of the Positive Muon Anomalous Magnetic Moment to 0.46 ppm" Phys. Rev. Lett. 126, 141801 - Published 7 April 2021
    ◆ 영상 출처 :
    Reference :
    Granjo[kor]( • Video )
    Muon g-2 experiment finds strong evidence for new physics( • Muon g-2 experiment fi... )
    Scientific Seminar: First results from the Muon g-2 experiment at Fermilab( • Scientific Seminar: Fi... )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414

  • @sbyoon7648
    @sbyoon7648 3 роки тому +408

    치킨과 소스 백종원만 기억나고 암것도 기억안나는데 뭔가 대단한게 벌어졌단건 알았다

    • @losssla9177
      @losssla9177 3 роки тому +7

      치킨엔 디핑소스 메모

    • @softcowcandy
      @softcowcandy 3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ㅋㅋ 댓글이 살렸네요.!

    • @leechanghyun
      @leechanghyun 3 роки тому +4

      그래서 치킨은 양념이라는거죠??

    • @이수희-j4k
      @이수희-j4k 3 роки тому +1

      저도 치킨과 소스밖에 못알아 듣겠지만 뭔일이 생기긴 했나보네요ㅋㅋㅋ

    • @brandnewday211
      @brandnewday211 3 роки тому +4

      저는 치킨과 소스의 궁합이 g상수 이다 까지 기억났습니다

  • @정재우-r6i
    @정재우-r6i 3 роки тому +175

    아니....이 최신논문을 이렇게 빨리 고퀄로....존경합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34

      정말 고생했지만 뿌듯합니다 :)

  • @JJAWANG
    @JJAWANG 3 роки тому +93

    와 어제 기사로 뮤온입자가 표준모형에 안따른다는 기사를 봤는데 ㅋㅋㅋㅋㅋ 바로나오네 ㅋㅋㅋㅋ

  • @Cokun-s9i
    @Cokun-s9i 3 роки тому +214

    요즘 진짜로 인사할 시간이 없어서 좋음

    • @user-qf2eb5ob9e
      @user-qf2eb5ob9e 3 роки тому +3

      ㅋㅋㅋㅋㅋ이제 인사 좀 해줘요ㅠㅠ

  • @ChristineYJLee
    @ChristineYJLee 3 роки тому +69

    궤도님~ 영상 만드시느라 아예 못 주무셨다고 들었습니다. 건강보다 영상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나 이제는 눈 좀 붙이세요. 😴
    정말 정말 수고 많으셨고 우리 모두 궤도님의 수고에 감사드립니다.
    Sleep tight! Sleep well!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36

      역시 건강보단 영상이죠 :)

    • @ChristineYJLee
      @ChristineYJLee 3 роки тому +9

      @@Unrealscience
      🥲 궤도님 눈물 한 번 닦고 가실께요~

    • @담달우유값
      @담달우유값 3 роки тому +6

      부디 그곳에서는 평안하시길 ... (_ .._);;;

    • @igonan598
      @igonan598 3 роки тому +2

      @@담달우유값 산사람죽이네;;

  • @runas8128
    @runas8128 3 роки тому +89

    ㅇㄴ 너무 긴급하잖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멍때린다
    @멍때린다 3 роки тому +103

    뮤온의 g상수
    이론값: 2.00233183620
    실험값: 2.00233184080

    • @Not_thinking_about_anything
      @Not_thinking_about_anything 3 роки тому +5

      0.00000000460이 더 들어갔다라..
      (원본 :0.00000000380가 더 들어갔다라..) 내 머리가 진짜 퇴화했나보다..

    • @bk4995
      @bk4995 3 роки тому +6

      0.00000000460

    • @j..4381
      @j..4381 3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

    • @Not_thinking_about_anything
      @Not_thinking_about_anything 3 роки тому +3

      @IlIlIlIlI 이젠 하다하다 덧셈도 틀리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내 머리를 하도 쓰다보니 사소한거에서 틀리네ㅋㅋㅋ

    • @옼케발
      @옼케발 3 роки тому +2

      아니 x x x x x 뭐가 다르다는거야! ㅠㅠ

  • @maddscientist1050
    @maddscientist1050 3 роки тому +2

    Lagrangian density equation 에 perturbation theory 를 인터랙션 부분에 다이슨방법으로 익스팬션을 해서 파이만 다아그렘에 가능한 전자 상호작용을 알수있는데, 그때 g factor 의 프렉션 오차을 하나하나 계산을 했을때 나온 값과은 무거운 쿼크입자와 안티 쿼크입자 를 고려를 하지 않았을때에 차이는 10^(-8) 나옵니다. 여기서 두가지 가능성이 있는데, 이론적으로 잘못 계산 되었거나, 하지만 Lattice quantum chromodynamics theory ( Lattice Gauge Theory) 를 이용해서 계산을 했을때 의 값은 최근에 실험 결과 값이랑 아주 흡사합니다. 2 가지가능성이 있는대 첫번째는 이론적으로 잘못 계산이 되었을경우, 두번째, 새로운 물리학의 길이 열릴 수있는 가능성. 이것을 가르기 위해 실험을 한번더 해야되는데, 같은 실험에 무거운 쿼크 입자를 발견 가능한지에대한 실험을 해야됩니다. 따라서 새로운 물리는 아직 시기상조.

  • @성이름-t1n
    @성이름-t1n 3 роки тому +2

    g상수가 뭐냐면...
    자기장 안에 막대 자석을 놓으면 막대 자석은 극에 맞는 방향으로 정렬하는데
    정렬될 때 세기를 자기 모멘트라함.
    근데 양자전기역학에 의하면 전자는 스핀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막대 자석과 같은 특성을 지님.
    그래서 전자도 자기장 안에 놓으면 자기 모멘트를 측정할 수 있다는 뜻.
    하지만 전자는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막대 자석처럼 고르게 정렬되지 못하고 비틀비틀 거림.
    비틀비틀 거리면서 전자기파를 일으키고 그 파장을 분석해 얼마나 심하게 비틀비틀 거리는지 측정할 수 있음.
    그 비틀거리는 값을 통해 전자의 자기 모멘트 값을 측정 가능함.
    전자를 고전역학으로 해석하여 자기 모멘트를 계산하면 그 값은 1이지만
    실험을 통해 측정되는 자기 모멘트는 2가 넘음.
    왜냐하면 양자역학 세계에서는 입자들이 끊임없이 생성과 소멸을 빠르게 반복하고 있고
    전자는 그 안에서 다른 입자와 무한에 가까운 경우의 수로 상호 작용을 하고 그 사건들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임.
    그 많은 경우의 수에 따른 값을 슈퍼컴퓨터가 처리하여 내놓은 값이 지금의 g상수인 2.00231930... 이란 값이고
    입자 가속기 실험을 통해 측정된 값도 그와 비슷하기 때문에 양자역학이 역대급으로 정확한 이론이라고 불리는 거임

  • @당근-c5t
    @당근-c5t 3 роки тому +4

    물리학이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그 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은 더욱 복잡해지고 비용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 같아요. 어느순간부터 물리학의 발전이 진전없는 벽에 가로막힌 느낌이 들어요. 입자물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어떤 분야에서의 발견으로(입자가속기? 블랙홀? 아니면 아인슈타인 같은 천재적인 이론가?), 얼마나 가까운 미래에 촉발될까요?
    란다우의 말처럼 아름다운 발견들은 앞선 시대의 물리학자들이 모두 해낸 것 같은 생각도 들지만, 앞으로 어떤 발견이 나올지 궁금하고 기대가 되기도 해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저도 너무 기대되고 행복해요 :)

  • @타우온
    @타우온 3 роки тому +6

    와 전문가인가... 최근 논문을 이렇게 쉽게 알려주시니 고맙습니다.

  • @오구-h2y
    @오구-h2y 3 роки тому +16

    예상보다 더 긴급하게 다뤄주셨네요 ㅋㅋ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3

      저도 예상 못했지만ㅠ 해냈습니다 :)

  • @soulofsky1
    @soulofsky1 3 роки тому +1

    물리학계의 큰사건이라 세번을 연달아
    돌려봤습니다.
    치킨이 맛있다는건 확실히 알았습니다.
    앞으로도 좋은영상부탁드려요

  • @AssociazioneCalcio
    @AssociazioneCalcio Рік тому

    치킨님은 궤도로 잘 설명해주셔서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 @snail_keeper
    @snail_keeper 3 роки тому +27

    여러분~ 이 영상은 긴급과학이 아닙니다. "초"긴급과학입니다.
    새로운 소식 들리자마자 바로 영상 제작에 초를 다투며 들어가주신 안될과학 - 사랑해요 ❤❤❤

  • @마음이멋져
    @마음이멋져 3 роки тому

    빙빙 돌리지 않는 빠른 진행...
    졸라 사랑합니다.
    무조건 구독과 좋아요 ..뭔말인지 알제..

  • @goodbaksa5791
    @goodbaksa5791 3 роки тому +1

    전자의 g-factor는 이전에 QED에서 정확히 예측해서 다 끝난줄 알았는데 뮤온은 아무래도 측정하기 어려워서 2001년에 처음 측정하고 정확도를 높이는데 20년이나 걸린건가요... 2010년대 이후 물리학에 거대 발견들이 쏟아져 나오네요 2012년 힉스 입자 발견 -> 2015년 중력파 최초 검출 -> 2019년 블랙홀 최초 관측 까지... ㄷㄷ 20세기 초 현대물리학 정립에 이어 100년 만에 물리학 대격변기가 아닐지...

  • @borabora7344
    @borabora7344 2 хвилини тому

    가장 작은 입자의 단위 : 1. 분자라고 생각했고 다음은 2. 원자. 3. 원자핵. 4. 중성자와 양성자. 6. 쿼크. 다음이 있을까요? 없을까요?

  • @jodhi2068
    @jodhi2068 3 роки тому +37

    치킨과 소스만 있는줄 알았는데 결국 냄새란 넘이 나타났군 ㄷㄷㄷㄷㄷㄷ

  • @Kkim0830
    @Kkim0830 3 роки тому +6

    며칠전 BBC 6시 뉴스에서 메인중 하나로 std model이 틀릴 수 있다고 나오길래 뭔소리인지도 이해가 잘 안 되서 대강만 듣고 넘겼는데 이런 내용이었군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2

      기사로 이해가 안되는 분들을 위해서 밤새 준비했습니다 :) 저도 기사가 더 어렵더라구요ㅋ

  • @Erik_Avalos
    @Erik_Avalos 3 роки тому +21

    기사 본 지 얼마 안 됐는데 역시 안될과학

  • @이승언-m6y
    @이승언-m6y 3 роки тому +1

    저렴한 생각이긴 한데... 브룩헤이븐의 실험장비 핵심부품을 페르미랩으로 옮겨서 재실험한거라면, 핵심부품 자체에서 발생한 오차일 가능성은 없을까요? 핵심부품 검수를 안한거죠!

  • @뒤뚱뒤뚱-k1u
    @뒤뚱뒤뚱-k1u 3 роки тому +7

    궤도형님 보고 싶 읍 니다,,, 다음 방송에는 꼭 돌아오세요 ㅠㅜ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1

      다음 주 화요일에 만나요 :)

  • @slayerjudaspriest1147
    @slayerjudaspriest1147 3 роки тому +2

    여전히 알찬 내용과 그에 상반되는 다급한 편집컨셉까지 ㅎ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Jacobson5837
    @Jacobson5837 3 роки тому +1

    빠르시네요 마치 뮤온이 전자로 바뀔시간만큼 ㅎ
    님이 보시기엔 정말 상호작용 가짓수가 5개가 될거같으세요? 과학적 증명으로는 99.8%던데

  • @마음이멋져
    @마음이멋져 3 роки тому

    늘 흥미 진진합니다

  • @섬혁
    @섬혁 3 роки тому +34

    오 이걸 소개해 주시다니 주제만 봐도 '초'긴급과학일만 하군요

  • @박성한-t7d
    @박성한-t7d 3 роки тому +1

    우선 좋아요 누르고 , 진짜 긴급과학 감사합니다.

  • @향유하는객잔
    @향유하는객잔 3 роки тому +5

    노고에 감사합니다 ㅎㅎ

  • @lxkaix8153
    @lxkaix8153 3 роки тому +1

    이 내용을 간단하게 말하자면 물리학계의 대들보 역할인 표준모델이란 이름의 계산기가 있는데 그 계산기로 계산한 값이 이상하게 나와서 계산기가 고장난거 같다는 말인거 같습니다.

  • @starrygarret
    @starrygarret 3 роки тому +1

    애초에 표준모형이 완벽한 이론이 아니라는건 물리학자들 모두가 알고 있었죠. 중력을 포함하지 못하는 근본적 원인을 제외 하더라도 중성미자 진동도 설명 못하는 이론이었으니. 그냥 표준모형의 문제를 하나하나 고쳐나가다가 정체된 와중에 큰 발견에 성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는 것 같습니다.

  • @bk4995
    @bk4995 3 роки тому +4

    우주의 비밀은 밝혀도 밝혀도 끝없다가 결국은 극복할 수 없는 우연오차보다 더 작은 수치에 가장 큰 비밀이 말려 숨어있을 것 같다

  • @오함마의현인-m1n
    @오함마의현인-m1n 3 роки тому

    그래서 그 뭐시기 바뀌면 뭐가 어떻게 되는거에요? 치킨맛이 바뀌는거에여? 백종원이 팽이돌리는거에요?

  • @inco2975
    @inco2975 3 роки тому

    와우 따끈따끈하다못해 뜨거운 새소식!

  • @postgres2981
    @postgres2981 3 роки тому +2

    이 영상의 주제는 표준 모형에 관한 것이 아니라 만약에 만약까지 절대 넘기지 않는 물리학자의 마음가짐과 책임감에 대한 경외감이다.

  • @핫쵹
    @핫쵹 3 роки тому +1

    아.. 예측값이 있었는데
    다른값이 나오면서
    뭔가 새로운변수가 있을거라는거군요
    제5의힘 발견됐다는 기사도 이거의 연장선이였고

  • @helveravan3241
    @helveravan3241 3 роки тому

    뮤온은 암흑에너지와 상호작용하는 걸까요? 이 연구가 어쩌면 우주 탄생의 비밀에 조금 더 다가가게 해줄수 있지 않을까하는 행복회로가 자꾸 돌아가네요

  • @hyeongcheol-c2y
    @hyeongcheol-c2y 3 роки тому +2

    20년 전에 실험한 결과하고 정확하게 일치한다는게 소름이다...

  • @닉네임-q5s
    @닉네임-q5s 3 роки тому +22

    역시 시험볼때 첫번째 푼 답이 맞았던 것...

  • @shana701
    @shana701 3 роки тому +1

    꺄!!!! 감동입니다 크.. 이론을 하는 입장으로서 모델과 실험값이 맞지 않는다면 어디서부터 어떻게 따져야하나 막막할 때가 있어요. 하지만 그것보다 어렵지만 가치있는건 결과를 인정하고 다시 한 번 해보려는 용기인 것 같습니다. 좋은 컨텐츠 항상 감사드립니다!

  • @monandol1
    @monandol1 3 роки тому +1

    치킨과딥핑소스의 상호작용은 백종원팽이의 회전수로 확인이 가능하다라고 이해함 근데 그 회전수가 다르며 이는 딥핑소스가 새로운 것일수도 있고 맛이 다를수도 있다고 이해함 맞는지는 모르겠지만요

  • @소잼-x5l
    @소잼-x5l 3 роки тому

    치킨과 소스가 어울리면 g상수가 오른다는건 이해했습니다. 그럼 가격도 오르나요?

  • @rush_dark1788
    @rush_dark1788 3 роки тому

    잘 모르겠는데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Rufina2love
    @Rufina2love 3 роки тому +1

    늘 이해가 잘안되지만 늘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사랑해요긴급과학..👉👈

  • @성태영-u6s
    @성태영-u6s 3 роки тому

    ㅋㅋㅋ 저는 바로아래 sung..거시기께서하신말씀에 전적동의중!
    어쨋거나 안될과학은 내호기심을충족사켜주는 최고의 프로임
    실제도움은드리질못해 죄송🙆‍♂️

  • @SSS-jv7sy
    @SSS-jv7sy 3 роки тому

    결국 표준모형에 구멍이 생겼단 결론인데 보수가 될것인가 새로운틀이 제시될것인가 궁금하네요
    그리고 초초긴급과학은 어떨까?
    기회가 된다면 보구싶음ㅋㅋ

  • @ppaqq12
    @ppaqq12 3 роки тому +5

    지금까지 안될과학의 내용들은 이해는 못하더라도 따라 읽어보며 감은 잡았는데 이번 건 그냥 소음 듣는 것 마냥 한 귀로 흘려짐ㅋㅋㅋㅋ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다음엔 감을 잡으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 @starsuper3536
      @starsuper3536 3 роки тому

      비유 때문에 더 이해가 안 됨

    • @ppaqq12
      @ppaqq12 3 роки тому

      @@Unrealscience 이번 주제가 어려웠던거 같아요,,ㅋㅋ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ppaqq12 저도 어렵습니다ㅠㅠ

  • @fresh_egg
    @fresh_egg Рік тому

    그니깐 요약이.. g상수가 전자기력을 받으면 도는 그 스핀을 측정하여 나온 값이 표준모형의 다른 입자들과 결과값이 뮤온에서 다르다 이건가요?

  • @AetherSage_2YeoLu
    @AetherSage_2YeoLu 3 роки тому +1

    일번일이 세로운 패러다임의 첫 열쇠조각이 될 수 도 있겠네요.

  • @kwanyoung978
    @kwanyoung978 3 роки тому

    실험과정에서 오류를 찾을수없고 동일한 차이가 반복해서 발생한다면 이론을 수정하는 것이 맞죠.. 어쩌면 이 작은 차이가 새로운 발견의 돌파구가 될지도..

  • @goorul7071
    @goorul7071 3 роки тому +2

    당신을 기다리고 있었어!!!!

    • @희용o
      @희용o 3 роки тому

      사실은 오래전부터 당신같은 남자를 기다려왔다우!!

  • @jyyyy1834
    @jyyyy1834 3 роки тому +2

    20세기 전자의 전하량 측정같은것들 까지만 해도 상대적으로 간단한 실험도구를 통해 계측이 가능했는데 세상의 가장자리까지 과학이 도달하니 이젠 실험을 준비하는데만 몇년이 걸리는구나 ㄷㄷ;;

  • @증걸대라쫌
    @증걸대라쫌 3 роки тому

    우와! ! ...그제 있었던 페르미 연구소의 뮤온 g-2 실험 중대발표에 흥분하고 있었지만...국내에서는 이사건을 다루는 언론이 없어 실망이 컸었는데...안될과학이 다루네요...제5원소 ..제5의 힘..제5의 장..새로운 시대가 오려나요..?

  • @장한얼-e9w
    @장한얼-e9w 3 роки тому

    무슨 내용인진 모르겠고 수면제로 딱이네요 👍👍👍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Рік тому

    인사할 시간 없는거 계속 만들어주세요

  • @_Seo_yul_
    @_Seo_yul_ 3 роки тому

    역시 궤도님 목소리 최고인거 같아요! 귀에 쏙쏙 박힙니다!!!ㅋㅋ

  • @pipboy3213
    @pipboy3213 3 роки тому +3

    정말 어려운 내용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는 어렵지만..ㅎㅎ)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laplace741
    @laplace741 3 роки тому

    숨넘어가겠습니다ㅋㅋ 재밌게봤어요

  • @Jsjnakdkekak23
    @Jsjnakdkekak23 3 роки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intellectualman180
    @intellectualman180 3 роки тому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그래서 내용이 뭐라고요???

  • @jameslee4590
    @jameslee4590 3 роки тому

    표준모형은 입자가 있다면 상응한 힘이 존재한다. 아닐까요?
    중력도 힉스입자 그리고 매개자 중력자로 예측했고 힉스입자를 발견했죠.
    암흑물질 암흑에너지가 있는데 상응하는 제5,제6 힘이 당연히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 @바람한점-t5g
    @바람한점-t5g 3 роки тому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

  • @정말그럴까-n2t
    @정말그럴까-n2t 3 роки тому

    몇일전에 뉴스에서 봤던걸 바로 다뤄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Manman-dc3sm
    @Manman-dc3sm 3 роки тому

    앞으로 실험을 더한다고 했죱 기다려야죠

  • @김준식-h9b
    @김준식-h9b 3 роки тому +1

    나온지 얼마 안된 내용을 이렇게 소개 하시다니

  • @서범관-b8g
    @서범관-b8g 3 роки тому

    잘 봤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kndol
    @kndol 3 роки тому

    뉴스 보고 긴급과학 뜨겠구나 했는데, 드디어 나왔군요.

  • @영상으로보는세상
    @영상으로보는세상 3 роки тому

    와~ 몇번을 봐도 무슨 내용인지 모르겠다 ㅠ.ㅠ

  • @alkancv1752
    @alkancv1752 3 роки тому

    지금 우주의 암흑 물질을 추측하는 과정에서 인류가 여지껏 계속 범해온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드는데, 우주적인 스케일에서 물리법칙이 한 번 대거 수정될 거 같긴함.
    물론 암흑 물질의 존재를 증명해주는 실험결과가 있지만 지금 흘러가는 판이 에테르 찾기랑 비슷할 정도로 아무런 갈피를 못잡는 중임

  • @jungyeonho
    @jungyeonho 3 роки тому

    일단 몇 번 더 돌려봐야 겠지만...
    이런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zentlegiri3174
    @zentlegiri3174 3 роки тому +6

    표준모형이 깨지기 전에 나의 두 뇌가 쌍소멸 할 것 같다

  • @youngmee02
    @youngmee02 3 роки тому

    우주를 구성하는 재료들을 정리한 표준모형이 양자전기역학을 기가맥히게 설명해줄 수 있음, 전자보다 200배 무거운 전하를 띈 팽이처럼 스핀하는 뮤온 입자가 이번 g-2 실험에서 오차를 입증하여 힉스입자와 같은 다른 존재의 입자를 발견한 것 같다는, 이런걸 해내는 물리학자들의 엄격함을 설명한 듯.. ㅎㅎㅎㅎㅎ 초긴급하나 진지한 궤도님 목소리로 들으니 세번만 돌려봐도 되네요 ㅎㅎㅎ🤣😂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오 명료하고 멋진 정리 감사드립니다 :)

  • @JO-mc9qg
    @JO-mc9qg 3 роки тому

    진짜 잘라고 누워서 들으면 잠은 안오고 몬스터보다 나의 정신을 명료히 깨운다 ㅎㅎㅎ 진짜 쩐다 최고야 👍

  • @mscheon6458
    @mscheon6458 3 роки тому

    와 이 기사를 어제 봤는데 이렇게나 신속하고 빠르고 쉽게 올려주시다니.. 대단하셔요 :0

  • @mu-zi
    @mu-zi 3 роки тому +19

    무슨 말인지 모르겠지만 엄청난 일이 일어난것 같다....

  • @qkrakak
    @qkrakak 3 роки тому +1

    이 영상에서 유일하게 이해하는 문장인데 인사는 해야지 형...

  • @Dr.Strangewall
    @Dr.Strangewall 3 роки тому +4

    얼마 전에 기사 읽었는데 바로 다뤄주시네 ㄷㄷ 역시 믿고보는 안될과학

  • @양념치킨-h7c
    @양념치킨-h7c 3 роки тому

    초긴급과학 너무 재밌습니다 인터스텔라 내용 중에
    21세기 과학계는 하루하루가 크리스마스 선물 같이 설렜다는 내용이 있는데 그게 체감 되는 거 같습니다

  • @Seoul-scu
    @Seoul-scu 3 роки тому +35

    표준모형은 치킨과 소세지로 이루어져있다

  • @joonylee8680
    @joonylee8680 3 роки тому +1

    솔직히 치킨 얘기는 그냥 먹고싶어서 넣은거죠?

  • @weon4724
    @weon4724 3 роки тому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amegedon20
    @amegedon20 3 роки тому

    표준모형의 틀이 흔들릴수도 있겠네요. 그러나 다시 새로운 도전을 통해 보가 정교한 모형으로 발전할거라 기대합니다.
    과학은 도전과 해결의 역사였으니까요...

  • @afantastic7618
    @afantastic7618 3 роки тому

    나레이션 2분이서 같이 하신건가요? 약간 아이돌이 서로 파트 섞어서 랩하는 느낌인데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새벽에 하다보니 혼자 했지만, 목소리 톤에 차이가 일부 있을 수 있습니다ㅠ 힘들어서 물을 1리터 이상 마시면서 하지만, 뒤로갈수록 짜내는ㅠㅠ

  • @luansen0
    @luansen0 3 роки тому +27

    인사할;; 응?
    자;; 잠깐!! 제로백이 너무 짧;;

  • @음음악
    @음음악 3 роки тому

    어려운 내용 최대한 쉽게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ㅜㅡ

  • @salsal
    @salsal 3 роки тому +2

    1:05 그러니까 우리는 치킨을 맛잇게 먹기 위해 양자전기역학을 공부해야 하는것이군요?

  • @Reskeed
    @Reskeed 3 роки тому

    CERN 쪽에서 나온 거는 포함을 못하셨네요? LHCb에서의 결과 말이죠.
    아 뭐 그건 3 시그마였어서 오차가 이번 것보다 더 크지만 페르미연구소보다 먼저 뉴스가 됐었으니까요.
    거기서도 5번째 힘에 관한 이야기가 들어 있었다고 들었으니까요.
    하긴... 그거까지 하려면 긴급과학의 영상 시간 범위를 벗어날지도... ㅋㅋㅋㅋㅋㅋㅋㅋ
    언제간 다 모아서 한번 더 하시겠죠? ㅋㅋㅋㅋㅋ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1

      언젠가 또 다뤄보겠습니다 :)

  • @cychoi3363
    @cychoi3363 3 роки тому

    자기 자신에게 엄격한 물리학자라. 멋집니다~

  • @canmove
    @canmove 3 роки тому

    뮤온의 lifetime으로 상대성 이론 설명한 실험결과에도 영향미침??

  • @kimsids
    @kimsids 3 роки тому

    궤도님짱!!!!!

  • @michaelchang3234
    @michaelchang3234 3 роки тому

    역시 궤도 클라스!

  • @leechanghyun
    @leechanghyun 3 роки тому +1

    그니까 치킨은 양념이고 디핑소스는 취향차로 찍어먹으라는 거죠?? 아 치킨은 후라이드고 디핑은 찍지 말라는 건가요??

  • @쌍문동의자랑
    @쌍문동의자랑 3 роки тому +3

    02:53초 미치겠다 ㅋㅋㅋ 어떻게 구분하죠?

  • @재밌잖아-k9c
    @재밌잖아-k9c 3 роки тому +1

    대학와서 공부해보니까 이런거 전달하는 긴급과학님한테 경외감이 듭니다 ㄸ

  • @tetleysong6289
    @tetleysong6289 3 роки тому

    두근두근두근~!!!!!

  • @보리-h6c
    @보리-h6c 3 роки тому +1

    입자충돌기로 광속의 99.99%로 충돌시켜 발견한것들이 지금의 표준모형이라면 99.999%,99.9999%에서 또 새로운입자가 발견될수도있고 광속에 100%로 충돌시키지않는한 확인할수없는입자가 있을수밖에 없지않음??광속의 100%로 충돌시킬수 없으니 영원히 발견할수없을듯‥지금의 표준모형은 관측가능한 우주와 같은 개념아닐까요? ㅎ

  • @mykim0712
    @mykim0712 3 роки тому

    자신에게 엄격하다니 멋있네요 물리학자들

  • @leechanghyun
    @leechanghyun 3 роки тому +2

    아ㅋㅋㅋㅋㅋㅋ 뮤온이 뭐냐구 ㅠㅠㅠㅠ 왜 지금 발견되냐고 하필.....

  • @55mi52
    @55mi52 3 роки тому

    초긴급 맞네요. 표준 모형 어디엔가 비밀이 숨겨져 있다니

  • @ismine8911
    @ismine8911 3 роки тому +3

    안녕하세요 안될과학 운영진님!! 좋은 영상 항상 감사드립니다. 흥미롭게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출처 남기고 개인 블로그에 공부용으로 올려도 괜찮을까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роки тому +1

      네 괜찮습니다 :) 영상 출처 잘 넣어주셔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