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대체 왜 어려운 쇠젓가락을 쓰는 거죠? " - 샘리처드 다른 문화에 대한 강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4 кві 2024
  • * 번역: DS님
    -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여러 나라 학생들이 앞에 나와 발표를 합니다
    샘리처드 교수님은 학생들과 여러 실험을 하며 재미있는 강의를 하시는데요..
    * 샘 리처드 교수님 공식 채널
    www.youtube.com/ @SOC119
    * 강의 영상 더 보기
    www.youtube.com/@UA-camShort...
    #강의영상 #실제영상 #미국인반응 #젓가락 #별미

КОМЕНТАРІ • 710

  • @stopreply
    @stopreply 11 днів тому +34

    번데기는 따뜻하게 먹어야 고소한 맛이 더 느껴질텐데

  • @levelB_daddy
    @levelB_daddy Місяць тому +109

    중국,일본 젓가락 용도 : 그릇을 입에대고 음식을 밀어넣는 지렛대
    한국 젓가락 용도 : 손가락 수준의 정밀도구

    • @sunny-ye8bj
      @sunny-ye8bj 3 дні тому

      😅😮😮
      😢
      11:47 😢🎉.😢😢ㅡ

    • @lrvingkyrie2809
      @lrvingkyrie2809 2 дні тому

      ㅋㅋ 일본도 정밀하게 생선가시 발라먹는데
      한국 올려치기 ㅈ되네 ㅋㅋ

  • @tskim5031
    @tskim5031 Місяць тому +288

    쇠젓가락이 젤 위생적
    주기적으로 삶고 소독하고
    나무젓가락 찝찝

    • @petitprince3720
      @petitprince3720 26 днів тому +3

      그래서 나무 젓가락에 옻칠을 하죠.

  • @user-du1dz8qn2i
    @user-du1dz8qn2i Місяць тому +348

    김치 당연히 우리꺼 지만 중국인들앞에 한국대표 음식이라 말해줘 너무 고맙습니다 ㅠㅠ

  • @user-mg6pm8mg8j
    @user-mg6pm8mg8j Місяць тому +677

    우리가 예로부터 쇠젓가락을 쓰는 이유
    1.충분했던 철의 공급량
    2.그걸 가공하는 기술력

    • @jungking4033
      @jungking4033 Місяць тому +62

      그것보다는 씻기만 하면 계속 쓸수 있고 씨기만 하면 균이 없어지죠.

    • @lucaskim5497
      @lucaskim5497 Місяць тому +41

      우리나라가 쇠젓가락을 사용하는 이유는 과거에 전쟁으로 폐허가 된 이땅에 산림 녹화 사업을 진행해서 벌목이 금지 됐었기 때문에 쇠젓가락을 만들어 쓴거에요. 우리나라 철광석 매장량은 하위권이에요. 북한이 우리보다 5배 더 많고요.남쪽은 철광석이 부족해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철강 산업 수준은 선진국 수준 맞음.

    • @user-ur7mc4lb2s
      @user-ur7mc4lb2s Місяць тому +68

      북한은 조선시대때 우리땅 이었다...ㅋㅋ놋쇠등 쇠젓가락 쓴것은 오래전이고..

    • @user-ud7jb4yw4m
      @user-ud7jb4yw4m Місяць тому +10

      소독!!

    • @kim.o6196
      @kim.o6196 Місяць тому +142

      ​@@lucaskim5497뭔소리인지 ㅡㅡ;; 옛백제 시대 수저 문화와 더불어 옛조상 상류층 들이 은수저 젓가락으로 독이 있는지 확인 하기 위함이였으며 반찬에 우리나라는 깻잎이나 김치등 얇은 반찬을 집어 먹기 편하기 위해 넙적하게 된거고요 뭔 산림녹화 사업으로 쇠젓가락을 사용 하게 된거라 하십니까 그건 70년대 이구여 우리나라가 70년대 전에는 나무젓가락 쓰고 그후엔 쇠젓가락 사용 했습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

  • @namoo_hae
    @namoo_hae Місяць тому +66

    엄마가 나무 젓가락을 좋아해서 집에 사두고 계속 쓰는데 오래 못 써요 쇠젓가락 같은 경우는 버리지 않는 이상 10년도 넘게 쓰는데 나무 젓가락은 바로 설거지를 하지 않는 이상 수분을 먹으면 색도 변하고 오염되면 씻기지 않는 단점이 많습니다

    • @seonys.4368
      @seonys.4368 Місяць тому +4

      세제로 설겆이 하면 안됩니다. 꼭 삶아서 씻어야 해요

  • @user-lm5lo9ve2m
    @user-lm5lo9ve2m Місяць тому +181

    잦가락을 쇠 쓰는것은 자원의 절약으로 지속사용이
    가능하죠
    또 손가락 운동의
    효과가 뛰어나 지능발전에 상당한 도움이되는듯해요

    • @mmw139
      @mmw139 Місяць тому +3

      잦가락을 쇠로 만드는건 좀ㅋㅋㅋㅋㅋ

    • @fuck18korpiganddog
      @fuck18korpiganddog Місяць тому

      위생이 가장크다
      100프로 완벽

    • @user-ed1lq6rq8y
      @user-ed1lq6rq8y 27 днів тому

      @@mmw139아닠ㅋㅋ

  • @user-kq2vx5bp4u
    @user-kq2vx5bp4u Місяць тому +21

    좋은 수업이네 ..세계를 이해하고 알아가는 시간 발명하고 힘을 앞세워경쟁하고 싸우는것보다 ..서로의 문화를 알아가고 존중하고 평화롭게 공존하는 법을 배우는 시간이라 아주 훌륭한 교수님 같습니다

  • @hyhwk5198
    @hyhwk5198 Місяць тому +58

    역병이 돌때 수저랑 조리도구 그릇을 가마솥에 넣고 삶아서 소독해야되거든요. 위생때문에 쇠젓가락 썼습니다.

  • @jimnitrot
    @jimnitrot 18 днів тому +4

    이분은.. 미국사람들이 다른나라 사람들과 다른인종들에 가지고 있는 편견을 조금씩 깰려고 하는게 느껴진다..

  • @user-pn3tv6zr1r
    @user-pn3tv6zr1r 20 днів тому +69

    한국인도 번데기는 호불호라 안먹는 사람이 더 많아요

    • @Merong7775
      @Merong7775 10 днів тому +1

      생긴거 무서워요ㅜㅡ

    • @dinh2792
      @dinh2792 10 днів тому +1

      징그러운데 맛있음

    • @user-lg2qi9fv5f
      @user-lg2qi9fv5f 9 днів тому +2

      번데기 이맛있는걸 안먹는다니 말도안되요 ㅎ

    • @jkjunki81
      @jkjunki81 9 днів тому +4

      강의대로 맛 만보면 되는거죠. 벌레 유충이라 생각하니 꺼려지는거고. 저 강의는 저게 핵심이지 않을까요. 본질과 포장

    • @user-kg5fr3hg2m
      @user-kg5fr3hg2m 7 днів тому +1

      요즘에는 그렇죠. 80초 이전 세대 땐 아니었지만

  • @misomino291
    @misomino291 Місяць тому +359

    이 교수님 강의 볼 때마다 느끼는데
    유독 여기 나온 한국인 애들은
    진짜 한국 문화에 대해 설명도
    제대로 못하고 똑부러진 애들이 없음, 참 다들 한국인들이 아닌 것 같음!!

    • @nkag5821
      @nkag5821 Місяць тому +63

      모를 수 밖에요.
      공부밖에 한 것이 없을 겁니다.

    • @user-hm5cs8uw5u
      @user-hm5cs8uw5u Місяць тому +42

      한국인이면 기본인데
      답답하죠...

    • @lennox6003
      @lennox6003 Місяць тому +40

      검머외 아닐까

    • @user-dj2cl2jv9d
      @user-dj2cl2jv9d Місяць тому +92

      해외생활을 6년정도 해봤는데요. 모국어가 아니니까..내 생각을 영어로 표현하는게 한계가 있어요.
      어휘력이나 문장을 유창하게 구사할 수 없으니까..아마 이런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 @cats-korea
      @cats-korea Місяць тому +4

      한국인들이 일본군에 가입해서 조선인들 학살한것부터 설명 좀 해주세요

  • @user-db1cu4ic2f
    @user-db1cu4ic2f Місяць тому +80

    번데기는 통조림보다 리어카에서 따뜻하게 파는게 훨씬 맛있어요! 통조림이 냄새가 좀 더 나는듯~

    • @user-rk5lc2cz8e
      @user-rk5lc2cz8e Місяць тому +3

      끓이고 양념을 좀 하면 엄청 맛있어요. 뭐 나도 어려서 선입견 없을 때 먹던거라 잘 먹기는 해요.

    • @dazh5583
      @dazh5583 Місяць тому +4

      통조림은 너무 달더라구요.
      번데기 비조리된거 사서 마늘이랑 청양고추 넣고 끓여서 칼칼한 국물 낭낭하게 숟가락으로 먹는게 맛있는데요..ㅋㅋ 크아~

    • @user-xj1of6zz4q
      @user-xj1of6zz4q Місяць тому +2

      ㅇㅈ 리어카 번데기가 찐~ㅎㅎ

    • @user-xt3yx4bq3s
      @user-xt3yx4bq3s Місяць тому +1

      모르고 먹었을때는 맛있다고 생각해서 어렸을때 많이 먹었는데 번데기의 비밀을 안 이후 못 먹게 됐음.

    • @user-ev6qe5gh6n
      @user-ev6qe5gh6n Місяць тому +1

      통조림 상태로 먹으면 맛없음 조리를 해야 맛있고 최소한 끓여야 맛있음

  • @bulu0613
    @bulu0613 Місяць тому +23

    저런 교수님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 @infanta1112
    @infanta1112 Місяць тому +35

    우리나라가 철 은 금 잘나오고 했으니까 발달할수 밖에 없고 글고 소독도 되니까 배탈도 안나고 이 상태도 좋았던거 같음
    나무 젓가락은 위생에 안좋고 일회용으로 써야지

  • @user-pp6mg4fq6m
    @user-pp6mg4fq6m Місяць тому +104

    똑부러지는 한국학생이 없다 진짜
    번데기는 숟가락으로 국물과 함께 여러개를 떠먹는게 맛이 좋음 😅

    • @user-zh5le7zl3r
      @user-zh5le7zl3r Місяць тому +4

      똑똑해서 유학가는거 아니니까 ㅋㅋ

    • @moonlitsky9321
      @moonlitsky9321 Місяць тому +9

      나도 한국인이지만 그러면 비려서 진짜 못먹음ㅋㅋㅋ 번데기 먹을 줄 모른다 하셔도 상관없음. 난 젓가락으로 몇개 집어먹고 고소한 맛 좀 느끼고 마는 사람이라 ㅋㅋ 사람마다 입맛 다를수도있고, 미국에 외국인으로 살면서, 이무래도 그 나라 문화 존중도 해야되고 눈치가 안 보일 순 없는건데. 외국에 가보면 한국에서 너무 당연한걸 서슴지않고 보여주는게 혐오감을 불러일으킬수도 있어서 선별적으로 몸 사리기도 합니다. 사람마다 성격이 다 비슷한것도 아니고, 그냥 수업 듣는 애들이지, 무슨 한국 문화 홍보대사도 아닌데ㅋㅋ 워낙 수줍음이 많은 학생일수도 있고. 저정도면 저 큰 청중 앞에서, 그리고 유튭에 녹화본 나올거 알고 잇는 상태에서, 무난하게 잘 한거라 생각합니다.

    • @user-dl7qk7wl8w
      @user-dl7qk7wl8w Місяць тому +6

      @@moonlitsky9321
      비리다는 건 뭔가 잘못된거 같은데...,
      뜨거울 때 국물은 조갯국같이 시원한 맛인데?

    • @nsyeong
      @nsyeong Місяць тому +1

      고춧가루 함께 끓여 먹으면... 맛납니다요 ~ 😊

    • @macsungminson3583
      @macsungminson3583 Місяць тому +1

      그건 맛이 너무 지저분한데

  • @user-bz5py6jl6f
    @user-bz5py6jl6f Місяць тому +10

    쇠절가락은
    끓는 물에 소독 할 수 있어
    청결에👍 최고죠

  • @user-pz8yu7sb5o
    @user-pz8yu7sb5o Місяць тому +27

    번데기는단백질덩어리에요 맛도좋죠~^^

  • @qijune4502
    @qijune4502 Місяць тому +82

    한국인이 쇄 젓가락을 고집하는 이유!
    옛 조선에선 서민은 나무젓가락, 세도가들은 금수저나 은수저ㆍ동수저를 썼다.
    현대사로 오면서, 쇠수저를 일반적으로 보편화 되어 쓰게 되었는데, 이것은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자원 절약이고, 위생을 위한것이 가장 크다.
    닦아서 뜨거운 물에 삶아 소독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앙사도 이것이 가장 큰 이유 일 것이다.
    쇠젓가락 사용으로 손가락 근육을 활발하게 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뇌 발달에도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 @user-fq3li5ig7q
    @user-fq3li5ig7q Місяць тому +10

    익숙한것과 아닌것이 차이다? 말정말 잘하네ᆢ

  • @sky2024
    @sky2024 Місяць тому +21

    우리나라 학생에게는 한가지 말하고 싶은게 있다
    경험에 따라 말하자면, 미국에서 미국인들과 이야기할 때는
    좀더 자신에 대한 자긍심과 자신감을 갖고
    눈빛으로 그리고 말 표현으로 드러내길 바란다
    우리네 사람들은 한국학생 모습에 겸손하네라며 좋네하고
    할지 모르지만, 미국인들은 그런 겸손한(?) 모습에 불편함을 느낀다
    자긍심과 심지 있는 말투와 눈빛을 미국인들은 더 반긴다는걸 알라
    그런다고 미국인들이 좋아하는 모습을 하라는건 아니다
    대한민국 사람들은 이제 자신의 사고방식을 변화시켜야 한다
    자기자신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 대한 자긍심을 눈빛과 말에 드러내라 !!!

  • @user-dd3fh5xd8x
    @user-dd3fh5xd8x Місяць тому +30

    내 인생 최초의 번데기는 초등학교 1학년 때 친구와 단둘이 함께
    축구장에가서 돈이 없어서 축구를 구경 못하고 덜덜 떨면서 소리만 듣다가
    주머니에 있던 200원으로 사먹은 돌돌말은 종이콘에 감싸진
    김이 모락모락나는 번데기였음
    그거하나로 둘이서 아주 맛나게 나누어먹고 집까지 걸어서 돌아옴ㅋ

  • @user-zp8zh8bc5c
    @user-zp8zh8bc5c Місяць тому +48

    견문을 넓히는 멋있는 강의였습니다

  • @geraldhan5202
    @geraldhan5202 Місяць тому +23

    쇠젓가락 사용의 장점을 부각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테크놀로지죠.
    금속 제련에 대한 대중화와 발전 정도가 생활에 적용됐을뿐...
    컴퓨터가 있는데 왜 타자기를 쓰겠어요?
    문화적 차이는 핑계일뿐 걍 기술의 차이임.

    • @nikitabuyanov2240
      @nikitabuyanov2240 Місяць тому

      너무 단편적인 부분으로 접근하는게 아닌가 조심스레 생각해 봅니다.
      물론 금속 제련 기술 또한 쇠젓가락을 대중화 시킨것에 큰 기여를 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게 절대적인 이유라고는 보기 조심스러운게, 문화적 차이로 금속 식기가 채택되지 않은 일본이나 중국 같은 경우도 있으니까요.
      예를들어 중국의 경우, 음식과의 거리가 멀고 기름진 음식을 주로 먹었기에 이에 따라 자연스레 젓가락의 길이가 굵고 길어지게 됐으니 만일 젓가락을 금속재질로 만들었다면 부담이 갈 수 있는 무게가 되겠죠.
      그래서 가공이 쉽고 가벼운 목재를 선택했을거고요. 다양한 이유가 있을거라 생각되네요.
      마찬가지로 한국도 위생 등 여러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금속재질의 젓가락을 채택했겠죠.
      자국의 문화도 좋지만 타 문화의 관점에서도 끊임없이 고민하는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해요.
      오로지 제 객관적인 생각이며 무례하다 느끼셨으면 사과드립니다.

  • @user-qq4np3qe6d
    @user-qq4np3qe6d Місяць тому +14

    우리는 개미 안 먹는데.~~

  • @user-pl4mf8ro7e
    @user-pl4mf8ro7e Місяць тому +27

    언제나 유익함으로 다가오시는 멋진 리처드교수님 항상최고입니다❣️👍🩷💕🍀

  • @user-comnshop7566
    @user-comnshop7566 Місяць тому +7

    저 교수의 강의가 참 독특하고 먼가 시야를 넓게 보여주냉🎉

  • @picochid9144
    @picochid9144 Місяць тому +8

    나무 포크, 나무 나이프 쓰지 않는것과 같은거죠 뭐ㅎ 쇠젓가락 뿐만이 아니예요. 한국은 스푼도 쓰죠. 그릇도 테이블에 놓은채로 먹고요. 여름에는 시원한 도자기 그릇에 금속 식기, 겨울에는 오랫동안 따뜻한 금속 유기. 동아시아 3국 중에는 가장 엘레강스한 취향의 민족이 아닐까요.

  • @ijjang1000
    @ijjang1000 Місяць тому +8

    일반적인 음식이 아닌데, 소개해주시네요

  • @clickbsj
    @clickbsj Місяць тому +84

    쇠젓가락을 쓰는 이유는
    당연히 나무젓가락보다 여러모로 더 나으니까 쓰고 있겠져..~~

    • @jungking4033
      @jungking4033 Місяць тому +3

      씻기만 하면 균과 미생물이 없어지죠

    • @filmfx7379
      @filmfx7379 Місяць тому

      ;;

    • @fuck18korpiganddog
      @fuck18korpiganddog Місяць тому

      위생이 제일치명타

    • @mementomori8685
      @mementomori8685 Місяць тому

      그게 아니고 천여년 전 부터 역사적으로 살펴볼때, 왕을 독살하는 사건이 많아서 은(銀)으로 독을 탐지하기 위해 썻다고 함. 그런 유래로 처음부터 금속으로 숫가락 젓가락을 썻고, 일본이나 중국보다 철기문화가 앞섰기도 했고, 기타등등

  • @user-sm2vk3qe7o
    @user-sm2vk3qe7o Місяць тому +8

    저 수업의 취지는 서로 다른문화를 가진것을 차별하지말자는 말인데 생소한건 받아들이기어려울때도 있죠 ㅎ

  • @user-il8gu8gz5z
    @user-il8gu8gz5z Місяць тому +11

    한국은 인문 사회학을 초중고 가르쳐야한다 이유는 인간존중 사회를 위해 💰 만 아는 사회의 경종을 😂

  • @user-yy6qg5zm2p
    @user-yy6qg5zm2p Місяць тому +11

    뻔데기는 사랑입니다!! 매운고추 쫑쫑썰어넣고 파마늘 넣고 얼큰하게 끓여 주면 소주를 불러오지요!!!!

    • @dazh5583
      @dazh5583 Місяць тому +3

      이거지 이거지!!
      마늘이랑 청양고추 썰어넣고 간도 간간하게 해서 국물 낭낭히 끓여가주구!! 숟가락으로 찹찹 국물까지!!
      소주 술술 들어가죵.

  • @icarus0521
    @icarus0521 Місяць тому +32

    교수님 강의를 볼때마다, 항상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는게 너무 흥미롭고 좋아요.

  • @user-sm2vk3qe7o
    @user-sm2vk3qe7o Місяць тому +6

    미국인들은 실제로 어떤음식이든 주지하지않고 도전을 하긴하죠. ㅎ
    어떤나라가도 잘 적응하는듯

  • @user-gl2di6ke8n
    @user-gl2di6ke8n Місяць тому +8

    진짜 똑똑하구나... 한국인 학생은 얼마나 똑똑하기에 저렇게 좋은 대학을... 부러움..

  • @nnjjhh5231
    @nnjjhh5231 Місяць тому +23

    숫가락은 밥이나 죽 같은 풀어지는 것과 물 즉 국물울 떠 먹을수 있는것이고 젓가락은 집어야하는 반찬용도입니다, 국수같은것은 숫가락도 포크도 불편하기때문에 젓가락이 가장좋습니다

    • @user-ln4oi9bn3g
      @user-ln4oi9bn3g Місяць тому +5

      ㅉㅉ.한국인인가요?
      숫가락이 아니라 숟가락입니다.

    • @hahaggg2235
      @hahaggg2235 Місяць тому

      숫가락 이라는거봐라 ㅋㅋㅋㅋ 진심 숫가락임? ㅋㅋ

  • @enjuui
    @enjuui Місяць тому +27

    저런 강의를 듣고싶다

    • @GGWANGTUVE
      @GGWANGTUVE Місяць тому

      확실히 한국의 교육 방식과는다른 너무나 개방되고 자유스러운 강의 같아요
      한국이였으면 엄마가 화낼텐데

    • @deathcides
      @deathcides Місяць тому

      원래 대학강의는 스스로 생각하게하는거지 진도를 나가는 개념이 아님.. 근데 우리나라에서 저렇게하면 교수님 책은 왜 안써요? 진도는 왜 안나가요? 시험범위는 어디에요? 이러기 때문에 안됨
      .

  • @user-wr9tz7gp4e
    @user-wr9tz7gp4e 7 днів тому +1

    멋진 교수님❤

  • @user-lr2xm7ri3f
    @user-lr2xm7ri3f Місяць тому +3

    중요한 건 무엇을 보든 관점이 중요하단 거!!

  • @dvmkimkorea
    @dvmkimkorea Місяць тому +16

    한국의 쇠젖가락 문화는 국물 요리가 많고 쌀이 찰져서 쇠젖가락이라야만 잘 먹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김치를 집어 먹을 때 김치 국물이 젖가락에 배이지 않기도 하고요.

    • @sirenk3126
      @sirenk3126 Місяць тому

      한국은 젓가락 사용 최초 기록이 이미 기원전부터입
      니다! 청동기,철 등 생산과
      금속제련 기술 등이 일찍부
      터 발달한 문명국이었기 때
      문이죠

  • @user-tx4vw8jo9b
    @user-tx4vw8jo9b Місяць тому +7

    번데기는 8십이 가까워 오는 나이지만 아직 한번도 안먹었어요. 냄새도 나고...

  • @jyh7379
    @jyh7379 Місяць тому +26

    왜 하필 호불호가 있는 번데기를 궂이.. 한국음식이라고 들고 나와서리.. 에혀..

  • @Valefor1802
    @Valefor1802 Місяць тому +6

    한국인들이 손을 써서 하는 일을 잘하는 이유중 하나...
    쇠 젓가락 = 무겁다 = 손가락 근육 강화

  • @kissyoukim1782
    @kissyoukim1782 Місяць тому +31

    개미? 뭐야? 한국에선 개미 안먹는데

    • @laputau3816
      @laputau3816 Місяць тому +6

      번데기는 한국, 개미는 중국쪽 음식으로 나온듯요.

    • @user-nw2qv1tg8m
      @user-nw2qv1tg8m Місяць тому +1

      오레전에 개미 꽁무니빨아먹었네요 메뚜기도 뽁아먹고 ...

    • @hangeule
      @hangeule Місяць тому +1

      뭐야???한국 음식이라고 안했는데????

    • @kiss526
      @kiss526 Місяць тому +1

      ​@@user-nw2qv1tg8m
      거짓말하지마
      무슨 개미를 먹냐?

  • @user-lm5lo9ve2m
    @user-lm5lo9ve2m Місяць тому +12

    한국을 제대로 알려면 생활의
    내면에 존재하는 의미를 잘 파악해야 될듯하네요

  • @user-tw6df9jj5q
    @user-tw6df9jj5q Місяць тому +14

    저걸보니 원효대사의 해골물이 생각나네요😊

    • @h-lx4131
      @h-lx4131 Місяць тому

      와우~ 책 좀 보신 분😊

  • @user-li2rg5bz5r
    @user-li2rg5bz5r Місяць тому +46

    번데기를 저대로 먹는게 아니라 소금으로 간을 하고 끓여서 먹어요.
    짭쪼름하고 고소한 맛이 납니다.

    • @aa-gb1ow
      @aa-gb1ow Місяць тому +18

      저거 통조림 자체가 짭잘하고 매콤하게 조림 된 번데기이에요;;;;

    • @user-zq3uc2eu1j
      @user-zq3uc2eu1j Місяць тому +5

      ​@@aa-gb1ow이색히 번데기안먹어봤나ㅋㅋㅋ 누가 번데기를 저렇게먹어ㅋㅋㅋ 끓여서 고추가루양념해서 먹지ㅋㅋㅋ

    • @aa-gb1ow
      @aa-gb1ow Місяць тому

      @@user-zq3uc2eu1j 아니 이 장애인은 3분카레에 고기 감자 당근 양파 더 넣고 다시 끓여먹는 소리하고있네.. 물론 매운고추넣고 끓여먹으면 더 맛있긴한데 저대로도 간이나 매콤한맛 다 추가 된 상태라고

    • @user-pv5bn6xp2i
      @user-pv5bn6xp2i Місяць тому

      ​@@user-zq3uc2eu1j이색히 번데기탕 통조림 안 먹어봤나ㅋㅋㅋ 저거 통조림 그 자체가 다 조리된거야ㅋㅋㅋ

    • @user-pv5bn6xp2i
      @user-pv5bn6xp2i Місяць тому

      ​@@user-zq3uc2eu1j이색히 번데기탕 캔 안 먹어봤나ㅋㅋㅋ

  • @user-pq9ll9ti4m
    @user-pq9ll9ti4m Місяць тому +9

    누애는 정말 ㄲㅐ끗한 천연자연식품.담배연기만 쐬도 죽는 누애에요.

  • @user-ow9oj8zv9k
    @user-ow9oj8zv9k Місяць тому +6

    다시 쓸 수 있으니까요

  • @user-uv6lx9xj5j
    @user-uv6lx9xj5j Місяць тому +6

    근데 서양학생들과 달리 한국중국 학생들의 자기주장 생각 또는 표현력이 너무 소극적이네~ ㅋ

  • @user-kt7qx3pp3f
    @user-kt7qx3pp3f Місяць тому +379

    중국이나 일본에서 비슷 하게먹지 않는 데요 .. 중국의소수민족 조선족은 일재시대에 전란을 피해같던 사람들이 6.25전쟁과 냉전으로 중국에 발이묶여 정착하게 되었을 뿐 그들의 음식과문화는 오롯이 한국의 것입니다. 불과80년도 안된일입니다.

    • @aDhVanz
      @aDhVanz Місяць тому +41

      김치가 중국이나 일본에도 있다는 게 아니라, 쯔케모노 또는 파오차이 같은 절임류의 음식이 있다는 거겠죠.
      기본적인 절임이나 염장, 건조 등은 과거에 음식을 보관하기 어려웠을때 어느나라에서나 흔히 있던 방식이죠.
      중국이나 일본이라는 이름만 뜨면 예민해지지는 맙시다.
      세계 어디든 김치를 아는 사람 중에서는 그게 한국 음식인지 모르는 사람이 없어요.

    • @user-po2yi9ny8e
      @user-po2yi9ny8e Місяць тому +9

      지금 연변음식은 한국풍요리가 되었어요

    • @user-ry5yr7uc3j
      @user-ry5yr7uc3j Місяць тому +10

      일제강점기

    • @venofinn2240
      @venofinn2240 Місяць тому +62

      파오차이는 유산균 발효가 없습니다. 물타기 하지 마십시오. 파오차이는 피클류입니다. 츠케모노는 국물이 없는 무말랭이에 가깝구요.

    • @user-kt7qx3pp3f
      @user-kt7qx3pp3f Місяць тому +27

      @@aDhVanz 저도 그렇게 보지만 바로잡을건 바로 잡아야죠 파오차이정도는 우리의무수한 김치종류중에 물김치나 백김치의 아류 정도인데 전혀 재조법이 틀린 다룬음식을 비슷한 거라고 하니 번역을 그렇게 한건지는 모르나 틀린말인거는 맞지요 저도 교수님 좋아하지만 비슷한 종류 아닙니다. 김치종류만 대충 백여가지 되는듯 김치속재료 겉재료 등으로 따지면 더많은 종류의 김치가 있는데 외부 사람들은 배추김치나 깍두기 종각김치 정도만 알고 있으니 매번 저런걸 설명하는사람조차 정확하게 알리기보다는 잘알려진거에만 집중하는 듯 .. 고유한 김치가 통칭한거지 세분화하면 어마어마하게 종류가 많다는걸 알려야 더이상 대도않는 중국이나 일본이 지들이 원조라는 소릴 못하죠

  • @tv-uz4sn
    @tv-uz4sn Місяць тому +48

    고정관념을 버리고 받아들여라.

    • @user-ze2pm5lq1u
      @user-ze2pm5lq1u Місяць тому

      너님이나 잘하세요... 영국 청어통조림 먹을 수 있음??

    • @bbangbbang8
      @bbangbbang8 Місяць тому

      그래서 너 중국요리중에 원숭이 뇌요리 돼지새끼랑 쥐새끼 살아있는채로 먹을수있음? 장수하늘소같이 거대곤충도 먹을수있음?? 아님 여물어

    • @tv-uz4sn
      @tv-uz4sn Місяць тому

      @@user-ze2pm5lq1u 꺼져

    • @tv-uz4sn
      @tv-uz4sn Місяць тому

      @@user-ze2pm5lq1u ㄲㅓㅈ ㅕ가 지워지네. 청어랑 비유가 같니? 내자식도 아닌데 가르치기도 싷다.

    • @tv-uz4sn
      @tv-uz4sn Місяць тому +2

      @@user-ze2pm5lq1u 비유가 틀렸음.
      왜 틀렸는지도 모르지? ㅋ ㅋ

  • @anais432
    @anais432 Місяць тому +3

    저 초록색의상 남학생 맥켄지한테서
    맷 데이먼이 보이는거같은데 ㅋㅋㅋ
    그리고 말하는 거나 제스쳐도
    뭔가 미국인 하면 딱 떠오르는 느낌!

  • @jkjunki81
    @jkjunki81 9 днів тому

    명강의다. 영상을 보면서도 생각하게 만드네.

  • @user-gh1fu4tv8b
    @user-gh1fu4tv8b Місяць тому +2

    도전정신을 좋아하는구나

  • @JW-Jeong
    @JW-Jeong 23 дні тому +2

    번데기는 뜨겁게 뎁히고 종이컵에 담아서 이쑤시개로 먹어야 제맛인데...

  • @Gnade-vz7sg
    @Gnade-vz7sg Місяць тому +56

    Nobody in Korea has the fried ants.

    • @user-ze2pm5lq1u
      @user-ze2pm5lq1u Місяць тому +4

      어디에도 한국인이 먹는다고 하지 않았는데???

    • @user-zy3gq9yv1b
      @user-zy3gq9yv1b Місяць тому +2

      한국인은 개미 튀김을 안먹어 😅

    • @lala_book
      @lala_book Місяць тому +11

      강의 순서가 한국 젓가락 - 한국 번데기-(설명없이) 개미- 한국 김치 인데, 개미도 한국음식이라 오해 소지 충분히 있죠. 한국인은 개미를 먹지 않습니다.
      그런데 몇 백년만 거슬러 올라가도 모든 나라에서 굶주릴 때, 곤충, 애벌레, 쥐, 뱀 다 먹었죠. 먹고 안먹고는 환경과 풍족함의 문제.

    • @sinchon06
      @sinchon06 Місяць тому +6

      메뚜기 튀김은 어릴때 할머니가 해주셨는데 맛있었음... 간장이랑 물엿이랑 이것저것 넣어서 후라이펜이 볶아 주셨는데 새우볶음 같았음.

    • @pinknuts
      @pinknuts Місяць тому

      Hormigas culonas 라고 포장지에 떡하니 있는데 뭔 한국 요리라고 생각을 하시는지... 유명한 콜롬비아 음식입니다.
      남미나 스페인에서는 쉐프들도 요리 재료로 쓰기도 하고 호주도 개미요리가 있고 저거 보고 아무도 한국 음식이라 생각하지도 않음...

  • @user-be3nk4oi4j
    @user-be3nk4oi4j Місяць тому +1

    참 멋진 강의를 봤네요. 한국이 돋보이네요. 우리 선조들도 좋은 것을 택했고 쇠젓가락이 머리를 좋게, 김치가 유산균을, 다른 나라도 유사한 것이 있지만 특별히 알고보니 명품들 이었네요. ㅎㅎ

  • @johnyu2003
    @johnyu2003 Місяць тому +17

    지역 축제에서 번데기를 처음접한 우리 딸래미..처음 봤는지 벌레요리냐고 무서워하더니 구수하고 감칠맛 도는 냄새를 맡고는 경계심이 풀어진 느낌..아빤 어린시절 즐겨먹었다고 하나사서 맛나게 먹으니 초롱초롱한 눈으로 호기심 발동..하나먹어볼래? 했더니 대뜸 받아먹고 더 달래서 몇개를 줬더니 그 다음엔 하나를 통째로 사달라고해서 다 먹더라구요..자기 번데기 팬 되었다면서..무언가 새로운 식문화를 알았다는 뿌듯함과 아빠의 어린시절 경험을 공유하게 되었다는 무언의 교감으로 딸과의 좋은 추억으로 즐거웠던 하루였습니다.

    • @happiness589
      @happiness589 Місяць тому

      통조림보단
      따뜻하게 데워 파는거
      그게 진짜 구수하게 맛있죠 ㅎㅎㅎ
      식감도 더 부드럽고요

  • @user-wq2zd3vx2z
    @user-wq2zd3vx2z 19 днів тому +1

    리처드 교수님 정답을 알려드리죠. 미국인은 왜 어려운 영어를 쓰지요? 라고 한국인이 묻는 거와 아주 똑같습니다. 바로 생활습관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익숙해지는 겁니다.

  • @tyche7574
    @tyche7574 Місяць тому +1

    따뜻할때 먹어야 맛나쥬~~

  • @user-zw1nl2yr8y
    @user-zw1nl2yr8y Місяць тому +1

    스턴젓가락은 소독이 쉬워요, 끓는 물에 넣어 삶을 수 있어 식당 에서 많이 사용하게 되었어요.

  • @jang1844
    @jang1844 Місяць тому +13

    예로부터 양반들이 석쇠에 고기
    굽는 요리를 먹을때 젓가락이
    타지 않도록 쇠로 만들었다는 ~

    • @user-mc6qi7en8f
      @user-mc6qi7en8f Місяць тому

      상상에의한 극소수설. ㅋ

    • @jang1844
      @jang1844 Місяць тому

      @@user-mc6qi7en8f
      양반이 아니다설 ~

  • @tarkeaju
    @tarkeaju Місяць тому +2

    참고로 번데기는 전통 음식이 아님.
    한국전쟁 이전 까지는 번데기 주면
    으으.. 했을꺼
    1960년대 이후 양잠산업으로 나온 번데기를 먹기 시작한 것이 한국 번데기 음식의 역사.

  • @HK-hh2gb
    @HK-hh2gb Місяць тому +5

    학생이 답을잘못했는데 한국은 밥먹을때 숫가락을 사용합니다.

    • @user-oi6qi7cy8f
      @user-oi6qi7cy8f Місяць тому +1

      숟가락

    • @uni6286
      @uni6286 27 днів тому

      젓가락으로도 먹어.

    • @HK-hh2gb
      @HK-hh2gb 26 днів тому

      우리나라 식예절은 숟가락으로 먹는게 맞다. 인도처럼 손으로 먹을수도있고, 일본처럼 국그릇채 들고 마실수도있지만, 한국처럼 숟가락이란 도구를 쓰는 좋은 식예절은 지켜주자.

  • @user-cp5gc1oh1s
    @user-cp5gc1oh1s Місяць тому +18

    개미~?
    한국에서 개미볶음을~??? 학생들에게 오해를 심어주겠다 싶기도 하네요,중국음식이라면 쉽게 이해 되겠지만~!

    • @user-wu7ge2qw6g
      @user-wu7ge2qw6g Місяць тому +2

      한국에서 먹는단 얘기는 안나오는데.?

    • @user-cp5gc1oh1s
      @user-cp5gc1oh1s Місяць тому +3

      @@user-wu7ge2qw6g 정황상 거주 한국인이 한국 먹거리로 시작해서 다른 설명없이 개미볶음으로 연결되는데 그럼 어? 다른나라 개미볶음이네! 생각하나요?

    • @laputau3816
      @laputau3816 Місяць тому

      번데기는 한국, 개미는 중국쪽 음식으로 나온듯요.

    • @pinknuts
      @pinknuts Місяць тому +1

      Hormigas culonas 라고 포장지 있는데 유명한 콜롬비아 간식임... 남미에선 꽤 먹고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음식임...

  • @user-tb7jc9ku2p
    @user-tb7jc9ku2p 28 днів тому +1

    교육괴정에 전통음식에대한 과학적 근거에대한 학식도 가르쳐야 언제어디서고. 설명과 자부심을 가질수있어요

  • @user-bp1yb8yz9q
    @user-bp1yb8yz9q Місяць тому +5

    삶아서 소독하면 위생적이고 쓰레기도 줄일수있죠

  • @user-vb5et6wh2c
    @user-vb5et6wh2c Місяць тому +3

    80년대, 90년대 초반까지..
    번데기는 유원지에 가서
    아빠한테 사달라고 해야 먹을 수 있는 먹거리였는데..
    신문지나 잡지 쪼가리를 돌돌 말아 그안에 넣어주는 번데기..ㅋ
    진짜 맛나게 먹었는데...

    • @user-yh2pz2gp1j
      @user-yh2pz2gp1j Місяць тому

      지금도 쉽게 볼수있고 파는데요~~^^

  • @user-jj8hw7lt1g
    @user-jj8hw7lt1g Місяць тому

    언어와 음식은 관습이죠...오래된...그러나 생존력은 다 경험해봐야 한다죠...

  • @runakim943
    @runakim943 Місяць тому +1

    김치에 대해 더 알게 있냐는 질문에 한국에는 심지어 김치만의 냉장고가 따로 있다고 얘기했어야 했는데!!!

  • @user-rh2tq9fo2m
    @user-rh2tq9fo2m День тому +1

    저는 동그란모양의 쇠젓가락을 씁니다 동그란모양이 잡기가 편합니다.

  • @user-vx7ns4lf1k
    @user-vx7ns4lf1k Місяць тому +2

    쇠젓가락이 아니고 방짜 유기 입니다 청동 이고 요즘은 스테인레스 젓가락으로 바뀐거뿐입니다 요즘은 방짜유기에 살균 능력이 있다고 그래서 쓰는 집이 있습니다 번데기는 100% 전부 중국산입니다 심지어 통조림도 중국산입니다 중국에서 수입해서 한국에서 통조림 가공해서 먹는겁니다 길거리에서 파는 번데기는 왼만하면 먹지 마시기 바랍니다 위생상 배탈이 날수있습니다 통조림은 멸균 한제품이기때문에 안심하시고 드셔도 됩니다

  • @petitprince3720
    @petitprince3720 26 днів тому +1

    40년 전 어릴 땐 번데기 먹었지만 성인 되고 나선 먹은 적 없다. 방학 때 시골 외갓집 가면 메뚜기 볶은 것도 먹었긴 했지만 지금 먹으라고 주면 안 먹는다. 요즘은 먹을 게 널렸고 굳이 혐오스럽게 생긴 벌레를 먹을 이유가 없다.
    젓가락질 잘 좀 가르쳐주지. 대결을 할 거면 한중 혹은 한중일 대결도 하는 게 더 재밌지 않았을까.
    어릴 때는 항상 숟가락, 젓가락 다 사용해서 밥을 먹었지만 커서는 젓가락만 사용해서 먹는 경우도 많다. 국이나 국밥, 비빔밥 등을 먹는 경우가 아니라면 젓가락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컴퓨터 앞에 앉아서 밥 먹을 때는 큰 그릇에 밥, 밥 위에 반찬 올려서 숟가락만 써서 덮밥처럼 먹는 경우도 많고. 콩자반 같은건 그냥 숟가락으로 떠먹는다.
    쇠젓가락이 좀 더 위생적이긴 하다. 나무 젓가락은 이를 보완하려고 코팅을 하기도 하고 옛날에는 옻칠을 했지. 중국이나 일본은 밥그릇을 들고 젓가락으로 먹는다. 조금 남은 밥은 밥그릇을 입에 밀착시키고 젓가락으로 밀어 넣지.
    쇠젓가락의 단점은 아주 드물게 잘못해서 젓가락을 씹을 때 고통스럽고 치아가 상할 위험이 있다는 거다.
    일본은 라면이나 볶음밥, 카레 먹을 때나 숟가락을 쓰지 평소 밥 먹을 때는 숟가락을 안 쓴다. 국도 건더기가 거의 없어 그냥 그릇 들고 호로록 마시지.
    우리나라가 밥 먹을 때 숟가락을 애용하는 건 국 문화 때문이다. 건더기도 많고 먹는 국의 양도 많아서 들고 먹기 어렵기 때문이지. 밥을 국에 말아 먹는 것도 있고. 옛날 우리나라 사람들 국그릇은 중간 크기 냄비만큼 컸다. 한 손으로 들 수 없을 정도. 나 어릴 때 농사 짓던 외할아버지 방짜유기 밥그릇 크기가 현재 내가 먹는 밥그릇.크기의 2.5배는 됐다. 그 그릇에 밥을 고봉으로 드셨어. 국그릇은 더 컸고.

  • @woo99jae38
    @woo99jae38 Місяць тому

    😊

  • @tekjin8058
    @tekjin8058 Місяць тому +5

    젖가락은 면요리를 먹기위해서 그리고 반찬을 덜어먹을때 아주 작은것까지도 정교한 컨트롤이 가능해서인거같아요. 결국 위생적으로 덜어먹기위해서인듯

  • @user-fi9ie8ub9v
    @user-fi9ie8ub9v Місяць тому +3

    비단누에나방의 번데기뿐 아니라 이미 극동아시아의 한중일 3국과 동남아시아 등에서
    메뚜기 귀뚜라미 장수말벌 매미 거미 전갈 물장군 게아재비 땅강아지 등 다양한 곤충들을 먹고있어요.
    밀웜 귀뚜라미 등도 서양에서 식용으로 먹기 시작하는 것 같던데

    • @toyoungkwon9026
      @toyoungkwon9026 Місяць тому

      인류의 미래의 식량은 곤충이다..
      농사는 곤충으로 공장에서 생산된다.

  • @user-be4zc4ed8u
    @user-be4zc4ed8u 23 дні тому

    번데기는 소주와 잘 어울립니다ㅎ

  • @user-kk6tj1ky6p
    @user-kk6tj1ky6p Місяць тому +28

    수저 사용법의 본질을 알아야 합니다.
    숫가락은 자신만의 음식, 즉 밥과국을 먹을때에만 쓰고 젓가락은 반찬용입니다.
    그리고 전통 한국 식사법은 완전 뷔페..즉 각자 한사람씩 개인별로 밥상을 차려서 먹는것인데
    근대화 이후 함께 먹는 문화가 자리잡았습니다.

    • @pchoice0
      @pchoice0 Місяць тому +5

      자신의 역사적 무식을 표하는 것인지? 자신의 삶의 가치관의 기준을 이야기하는 건지 모르겠지만 당신은 정확한 정보를 모릅니다.
      한사람씩 밥상 차려 먹는 거란건 기존 조선시대에 대한 당신의 지식의 한계를 깊이와 역사 문화 와 자신의 경험의 무게감까지 스스로 알리는 무지한 행위임을 스스로 알리는 행위인데 당신 정말! 한국 사람 맞은건가?

    • @youarenotalone9005
      @youarenotalone9005 Місяць тому +9

      @@pchoice0 조선시대 원래 양반가에서는 1인 1상이 맞아요. 작은 상에 밥 국 김치 종지 반찬 등이 올라가 있는거고 한상에 같이 먹은건 근대화 이후가 맞음. 평민들도 그렇게 먹었고. 보통 잘사는 양반들 집에 소반이 100여개는 있었다함. 유튭에 조선시대 양반 식사법 쳐보세요.

    • @user-sy6vw9hx1y
      @user-sy6vw9hx1y Місяць тому +8

      ​@@pchoice0맞는데요? 한반도에서 온가족이 겸상하는 문화는 100년도 안된 문화에요 원래 작은 걸상에 각자 따로먹는 독상이 일반적인 나라였는데 일제시대에 식기도 수탈하고 식자재도 수탈해서 먹을게 없으니까 신문에서 가족끼리 겸상하라고 선전해서 바뀐겁니다. 1936년에 조선총독부에서 독상하지 말고 겸상하라고 선전한 기사가 자료로 남아있고, 조선시대 삼국시대 등의 그림만 보더라도 가족끼리도 무조건 독상을 차려서 먹던 나라라는걸 쉽게 알수 있습니다

    • @user-sy6vw9hx1y
      @user-sy6vw9hx1y Місяць тому

      ​@@pchoice01933년 출간된 『조선요리법 朝鮮 料理法』 (조자호, 광한서림, 1939)에 “갑오(1894년) 이전의 잔치상은 다 외상(독상)이다.”라고 기록된 걸로 보아 갑오개혁 때 신분제가 폐지되면서 머슴, 노비, 서민층 부녀자 등이 모여 간단히 먹었던 "두레상" 문화가 전 계층으로 전파된 이유가 컸다는 게 정설입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는 국민 생활의 합리화와 간소화를 위해 ‘신생활 운동’을 펼쳤는데 그 실천 방안인 ‘국민 의식생활 실천 요항’ 중 식생활 부문에 ‘가족이 각상(독상)에서 식사하는 폐를 없애 공동 식탁을 쓸 것’이란 항목이 있습니다. 이후 한국 전쟁과 경제 개발을 위한 총력전 시기를 거치며 독상 문화가 사라진거죠. 당신이 나이가 많다고 해서 당신이 겪은것이 조선시대의 근본 문화는 아닌겁니다. 한반도의 식문화는 2000년간 쭉 독상이었어요.

    • @user-nn2lv7cm5b
      @user-nn2lv7cm5b Місяць тому +8

      ​@@pchoice0님이 역사에 무지하네요.옛날엔 소반에 차려 개인적으로 먹었어요.남자들요.그리고 제가 어릴때도 젓가락은 반찬용이고 숟가락을 반찬으로 사용하면 어른들에게 맞았어요.쇠로 만든 이유도 청결 때문이 가장큽니다.그릇도 쇠로된건 삶아서 쓸수있기 때문이구요

  • @user-ef5ok9kb8d
    @user-ef5ok9kb8d Місяць тому +3

    젓가락 은이 독을 접하면 검게변함 그러니 과거 은수저를 최고로 침 금수저는 오버고 은젓가락으로 음식을 집거나 쑤시면 독을 탐지하니

    • @user-ef5ok9kb8d
      @user-ef5ok9kb8d Місяць тому +1

      쇠젓가락이라 방자유기가 소독기능이 있다는 그러니 구리합금젓가락을 썻다고봅니다

  • @bongjakim-noa
    @bongjakim-noa Місяць тому +1

    위생적으로도 금수저 은수저 스텐수저는 재사용으로도 안전했음

  • @user-lm5lo9ve2m
    @user-lm5lo9ve2m Місяць тому +2

    지긍까지 교수님은
    드러난 한국맛을 보여주셨어요
    예를들면
    남을 도와주는것은
    나도 언제든지 그런일을
    당할수 있기때문에
    도외주는것도
    이유가 되기도합니다
    한국에대한
    더 깊은 연구를 부탁드립니다
    눈에 보이지않 는
    한국의 참 모습을
    강의해 주시길ᆢ

  • @otpkeep
    @otpkeep Місяць тому

    가끔 삶아줘야지 속이 시원하다

  • @user-si2si2lz8c
    @user-si2si2lz8c Місяць тому +1

    정말 미국서 태어나거나 오랜기간 지냈던 학생이 아니면 저런 기발한 생각이나 아이디어가 거의 떠오르지 않는군요. 젓가락으로 작은걸 집기 쉬운게 맞죠. 숫가락으론 한꺼번에 떠져도 하나하나 분리해서 뜨긴 힘드니까. 한국에서는 다른나라와는 달리 금속을 많이 사용했고 은도 사용하고 놋그릇을 쓰듯이 수저를 다 같은 재질로 만들어서 쓴거죠. 그리고 제일 중요한건 금속 젓가락이 미끄러울것 같지만 무게가 있어서 안정적으로 집기가 더 편해요.

  • @user-gx9hk8gt3k
    @user-gx9hk8gt3k Місяць тому +1

    초보자 한테 쇠젓가락은 최악인데. 차라리 나무 젓가락 쓰는게 쉽지. 저걸로 콩을 집어 올리려면 미끄러워서 자꾸 떨어진다. 한국인한테도 쉽지 않아!

  • @user-pp9cn6hh9v
    @user-pp9cn6hh9v Місяць тому +1

    으...난 저번데기 못먹어ㅠㅠ
    식당에서 내눈앞에 벌레있는거보고 소리지른적있음ㅠ

  • @user-sw9qt4xl6d
    @user-sw9qt4xl6d 25 днів тому

    숟가락은 침이나 이런게 음식에 더 많이 접촉하겠죠..

  • @user-xh9mc4sx3g
    @user-xh9mc4sx3g 19 годин тому

    번데기는 소금 마늘 땡초 넣고 요리 하면 맛
    굿 👍

  • @user-gt6lx8ux4x
    @user-gt6lx8ux4x Місяць тому

    맞아... 번데기는 따뜻하게 먹어야하는데... 캔통조림 따위로는!!

  • @kehsunlee6996
    @kehsunlee6996 Місяць тому

    쇠 젓가락은 위생적이기도 하지만 급할때 무기로 사용할수 있다.

  • @user-hm4nz3rd1r
    @user-hm4nz3rd1r Місяць тому

    할머님과 어머님이 누에고치 키우셨어요 뽕잎을 먹고 누에가 나중에는 딱딱하게 되고 번데기가 탄생 되니 신비로운 음식입니다 통조림으로는 사먹지 않고 번데기를 사다가 한번 끌여 그물을 버리고 씻은후 간장이나 고추가루등 기호에 따라 맛있게 청양고추 썰어 넣어도 되고 파를 넣어 끓여도 번데기가 훨씬 맛있죠
    먹을때는 번데기만 건져 먹는데 따뜻하게 해서 먹는데 단백한 맛이 나요
    단백질이 풍부 하다는거 한국 사람인데 번데기는 누가 사와서 번데기 좋아 하는 사람이 사와서 먹게 되는데 자주 먹는건 아니고 누에가 고치가 될때까지 키운 과정을 지켜 보았어요

  • @SaintHarry-hl9gw
    @SaintHarry-hl9gw Місяць тому

    손잡이 쪽이 두껍고 앞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젓가락이 더 쓰기 힘들던데
    일식집이나 퓨전아시안 식당에 주로 있는 것들
    손에 힘도 더 많이 들어가고
    쇠젓가락이 지렛대 힘이 더 쉽게 작용한다는

  • @user-pi8jq8jx1k
    @user-pi8jq8jx1k 11 днів тому

    캔뻔데기는 궁물부터 다 마시고 시작하는거지~ 캬아~~

  • @user-fl1cx7yl5t
    @user-fl1cx7yl5t 20 днів тому

    한국은 안버리고 다먹는단 말에 빵터졌다 ㅋㅋ. 맞는말이긴함 외국인들이 안먹는 음식도 우리는 다 맛있게 해서 먹는다

  • @jh2677
    @jh2677 5 днів тому

    번데기를 뚝배기에 청양고추 넣어 푹 끓여야 존맛인뎅.... 아숩네요!

  • @HarU-mf1ub
    @HarU-mf1ub День тому +1

    6:38. 저인간은 아직 숟가락으로 갈치살을 발라내는 고수를 못봤구만.

  • @user-kt7qx3pp3f
    @user-kt7qx3pp3f Місяць тому +5

    스푼으로 반찬을 먹으면 입으로 밀어 넣기힘들어 입주변에 음식물이 잔뜩뭍을 겁니다 입술에 밀려 떨아지기도 하고 적당량 찟기도 하고 적량입에 넣기도 좋고 긴면을 먹기좋게 자르기도 하고 매우다양합니다 연습만되면 아주 편리하죠 그리고 이건 뇌피셜인데 전란에 위기가 닥치면 무기로도 쓰기좋고 ㅎㅎ 숟가락은 한국에서 주로 국과 밥을 먹을 때만 사용합니다 .

    • @user-ls2qf9zt8l
      @user-ls2qf9zt8l Місяць тому

      심지어 밥은 젓가락으로도 먹을수있으니

  • @rosales2406
    @rosales2406 28 днів тому

    저는 어릴 때 번데기와 다슬기 파는 분들이 동네에 오면 번데기를 사먹었어요. 짭쪼롬한 맛이 좋았던거 같고 모양에 대한 편견, 유충인지는 모르고 그저 맛으로 선택^^ 낯선 문화에 대해 편견을 깨면 더 많은 경험을 하게 되고 사고의 폭도 넓어지겠구나 생각하게 된 영상입니다

  • @Young0812
    @Young0812 Місяць тому

    쇠젓가락은 하나로 아주 오랜시간동안 쓸수있지만
    나무젓가락은 오래쓰지도 못할뿐더러 환경적인 이유도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