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밝혀진 고혈압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승훈 교수 통합본)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591

  • @김영아-i9g
    @김영아-i9g Місяць тому +21

    설명을 진짜 잘하십니다
    귀에 쏙쏙 잘들어옵니다 실천하는것만이
    병없이 살길입니다

  • @user_1a38qw10
    @user_1a38qw10 4 місяці тому +130

    설명이 기가 막힐 정도네요. 감사합니다.

  • @미소한잔
    @미소한잔 3 місяці тому +44

    이승훈 명교수님 강의를 이렇게
    접할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

  • @황현호-x9m
    @황현호-x9m 8 днів тому +3

    우와, 최고의 정보입니다.
    고맙습니다.
    간혹 불편한 진실을 완곡하게 표현하는 부분이 인상 깊네요.

  • @귀현노
    @귀현노 3 місяці тому +55

    지금까지 최고의 양심교수님 에게 존경심 을 올립니다
    이사회의 말은 도움은 주십시요❤

  • @이이-r5x6v
    @이이-r5x6v 4 місяці тому +62

    쏙 들어오게 설명을 잘해주십니다

  • @yujiono469
    @yujiono469 3 місяці тому +83

    현직 마이너계열 외과의사가 들어도 충분히 도움이될 만한 내용이었습니다. 교수님 최고!

  • @mrcoke1964
    @mrcoke1964 3 місяці тому +22

    최고최고 👍

  • @貞玉-v6k
    @貞玉-v6k 3 місяці тому +28

    이분 신뢰가 가는 분이여서 영상을 꼭 보고 갑니다.3프로에서 빠짐없이 보곤 했는데 여기서 뵙게 되네요.편안한 목소리와 이해할수 있게 논리적인 설명이 너무 좋아요

  • @아가리닥쳐
    @아가리닥쳐 3 місяці тому +50

    집에서 혈압을 재면 정상인데 병원에서 재기만 하면 혈압이 높게 나오니 환장합니다.
    혈압계는 5~10만원대 3개 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냥 의사도 집에서 재는걸로 해서 고혈압 약 처방은 안하고 있습니다.

    • @Qaz-i8c
      @Qaz-i8c 2 місяці тому +12

      저도 그렇습니다. 회사나 근처 약국에서 측정하면 130 이상 나온적이 없는데 병원만 가거나 건강검진하면 높게 나옵니다ㅜㅜ저도 모르게 긴장해서 그런걸까요

    • @대충살고싶다-s4t
      @대충살고싶다-s4t Місяць тому +6

      저도 집/병원 차이가 20 이상 나서 집에서 재는 혈압계 들고 병원가서 측정해봤는데 실제로 병원만 가면 20이상 높게 나옵니다.

    • @towtokki
      @towtokki Місяць тому +2

      긴장성 혈압이라서 그런다고 하더라구요 긴장하면 올라가는거... 집에서 안정적으로 있을때 나오는게 진짜 혈압이라고 의사가 그랬어요

    • @하늬바람-h3w
      @하늬바람-h3w 23 години тому

      ​@@Qaz-i8c 저는 집에서도 오래만에 재면 처음엔 높게 나옵니다
      저도 모르게 긴장하는게 아니고 심장이 싸해지면서 심장이 두근대기 시작하면서 점점 빨라지는걸 바로 느낄수가 있어요
      맥박이 130까지 올라가거든요

    • @하늬바람-h3w
      @하늬바람-h3w 22 години тому

      ​@대충살고싶다-s
      4t
      저도 그런적 있어요
      가정 혈압계가 고장인가 싶어서요~

  • @freedomfreedom1918
    @freedomfreedom1918 3 місяці тому +92

    저늘 66세부터 갑자기 220혈압이 되어 약을 복용했습니다
    평생 야채만 먹고 몸도 남들이 보면 약하게 볼 정도고 담배 술 전혀 해본적 없이 심지어 커피도 안먹고 건강에 안 좋은건 안 먹는데 지금도 150이 넘어서 약을 두달 끊어 보기도하다 다시 먹는데
    저는 왜 혈압이 높은지 알 수가 없어요
    음료수도 잘 안먹고 고기도 평생 먹지 않다 지금은 단백질 부족으로 가끔 먹을 정도고 외식은 거의 안하고 사람들이 보면 정말 올바른 생활방식을 고수하는데도 혈압이 높은 이유를 알 수가 없습니다
    지금 나이 72세 앓지 않고 떠나는 삶의 마무리를 소망합니다

    • @인생의명답
      @인생의명답 3 місяці тому +11

      하루에 물을 1리터 이상드시면 달라지실거예요

    • @Dragon-ie1tc
      @Dragon-ie1tc 2 місяці тому +5

      근력운동 하시요!~걷기말고

    • @오로라-z6g
      @오로라-z6g 2 місяці тому +8

      첫째, 마음을 편히 가지시고
      자주 걸으시고
      고구마 하루에 한개씩 드시고
      마늘을 자주 드시고요
      계단오르기를 꾸준히 해보세요
      그리고 팔굽혀펴기 까지 할 수 있으면
      매일 조금씩이라도 해보시기 바랍니다.
      위의 말한 내용대로 3개월 정도만 꾸준히 해보세요.
      조금씩 차도가 보일거라 생각합니다.

    • @llllliiiiililiiiii
      @llllliiiiililiiiii 2 місяці тому +7

      밥량을 줄여보셔요.

    • @박유니-n9p
      @박유니-n9p 2 місяці тому +10

      진심으로 신장관련 질병이 없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신장위의 부신이 작용을 못하면 갑자기 혈압이 확 오를수 있습니다

  • @김은아-j9o7y
    @김은아-j9o7y 2 місяці тому +8

    선생님 가장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싶게되내요 늘건강하셔서 모둔환자분들의 등불 입니다😊

  • @이피션티
    @이피션티 Місяць тому +65

    사무실에서 그 인간만 보면 혈압이 올라가더니 다른 부서로가니까 혈압 정상으로 돌아옴

    • @bbj8s6l
      @bbj8s6l Місяць тому +16

      그런 인간이 어딜가나 꼭 있음 퇴사하면 그런 인간 또 들어옴 ㅋㅋ

    • @종일-f1u
      @종일-f1u Місяць тому +3

      저도그래요

    • @젬마-t9t
      @젬마-t9t Місяць тому +1

      ㅋㅋㅋ 지는 가족중에 ㅋㅋㅋㅋ

    • @sjin505
      @sjin505 Місяць тому +1

      그 이유는 원인이 자기한테 있다는거겠죠 ^^

    • @배추소녀
      @배추소녀 Місяць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드리미-l2h
    @드리미-l2h 4 місяці тому +49

    고혈압에 대해 제대로 알게 되어 좋았어요. 너무나 많은 정보에 휘둘리지 않고 정확하게 이해해야겠네요. 좋은 정보에 감사드려요!

  • @전숙희-v4u
    @전숙희-v4u 3 місяці тому +18

    이해하기쉽게 설명해주셔서. 많은도움이 되네요 명강의 감사합니다

  • @freeman25177
    @freeman25177 4 місяці тому +23

    평생 술담배 안하시던 아버지께서 63세에 뇌출혈로 후유증 12년투병하시다 돌아가셨는데
    컴퓨터로치면 cpu가 고장난
    가족들도 힘들고 사람들한테 이상한 취급받고
    뇌졸중은 한마디로 끔찍합니다

  • @jinhyuklee2139
    @jinhyuklee2139 2 місяці тому +3

    유튜브에 투자한 그 많은 시간들을 이 강의 한편으로 다 보상 받은 느낌. . . 감사합니다!

  • @kjs2030
    @kjs2030 4 місяці тому +232

    요즘은 정말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 분간하기 어려운시대 인거같습니다.

    • @산넘어배추
      @산넘어배추 3 місяці тому +6

      이 사람말이 정석이고 병원의사는 그냥 돈벌이가 목표니깐...

    • @JHKim-dx8sg
      @JHKim-dx8sg 2 місяці тому +3

      고혈압 10년전 160 -150 약안먹고 관리를 안해서 3년전 숨이차고 가슴답답해 일반병원내원 검사 심장 안좋아 다른 장기도 망가져 다시 대학병원 검사 심장 수술해야 한다고 날벼락 같은얘기듣고 우선 혈압약먹고 지켜보면서 수술하기로 결정 혈압약 먹으며 식이요법 살 10킬로 빼고 관리해서 심장수술 안함 혈압높은데 약안먹고 치료안하면 장기다 망가집니다.

    • @산넘어배추
      @산넘어배추 2 місяці тому +2

      @JHKim-dx8sg 어르신 연세가 어떻게되시는지요

    • @JHKim-dx8sg
      @JHKim-dx8sg 2 місяці тому +1

      젊은나이 59세

    • @sanglee7877
      @sanglee7877 29 днів тому +1

      평소에 혈압 안 재는 사람 바보
      혈압 높은데 약 안 먹는 사람 더 바보

  • @본-y4d
    @본-y4d 4 місяці тому +24

    이승훈 교수님 최고에요!!!

  • @김수-p7w
    @김수-p7w 17 днів тому +1

    우와..귀에 쏙쏙 들어오게 잘 설명해 주시네요^^

  • @WangsimKnee
    @WangsimKnee 3 місяці тому +129

    저 20대에 180이 넘어갔었는데(고도비만), 40 넘긴 지금은 약 없이 110중반~120중반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이어트를 열심히 해서 현재 정상 체중이거든요. 맵고 짠 음식 안 먹고요. 저는 그래도 젊을 때 관리를 시작해서 확실히 개선이 된 것 같지만, 아무튼 약 먹기 전에 우선 생활 습관부터 개선해 보는 문화가 생겼으면 합니다.

    • @ns380
      @ns380 3 місяці тому +12

      생활습관 개선 그게 정석인데요. 실상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활습관 개선을 마음으로만 합니다. 회사생활이 힘들어서 못하고 장사가 고되서 못하고 등등 일상에는 정말 많은 애로사항이 존재하고 사람들은 쉽게 무너집니다. 생활습관 개선은 꾸준히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다이어트나 운동을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빠를겁니다. 그래서 약을 먹는거부터 시작합니다.

    • @케렌시아-l5h
      @케렌시아-l5h 3 місяці тому +7

      똑똑,현명하신분ᆢ최고

    • @bori2462
      @bori2462 3 місяці тому +5

      제 남편도 30초에 180으로 바로 약 복용했거든요
      현재 운동, 식이조절, 절주 모두 하고있고 15키로쯤 감량했어요
      희망이 되는 댓글인데 혹시 약을 드시다 끊은건가요?

    • @skejfhkehfkehf
      @skejfhkehfkehf 2 місяці тому +2

      생활습관교정도 먹고살려면 생활패턴이 망가지며 사는 분들에게는 딴 세상 소리죠 누가 모르나요 ㅎ

    • @StarryX2
      @StarryX2 2 місяці тому +8

      훌륭하십니다.
      이렇게 고도비만처럼 특정 원인이 있는 경우는 행복한 케이스구요.
      해결할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또는 자연노화에 의한 고혈압이 대부분이죠

  • @쌍문동둘리-w3p
    @쌍문동둘리-w3p 4 місяці тому +21

    큰도움이 되었습니다. 선생님

  • @gyrlvf8q
    @gyrlvf8q 2 місяці тому +4

    의학 유튜브 영상을 수없이 많이 봐왔지만, 이교수님 강의가 단연 최고다.
    이분 말씀을 하나하나 명심하면, 건강에 엄청난 도움이 될걸로 확신이 든다.

  • @ewwhzre7536
    @ewwhzre7536 2 місяці тому +3

    아우 매우 중요한 영상이네요. 건강에 있어 매일 참고해야 할듯.

  • @skodess
    @skodess 3 місяці тому +11

    최고이십니다. 잘알아듣게 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김할매-h5l
    @김할매-h5l 2 місяці тому +5

    오늘 유투브투어 중 하나 건짐ㅋ
    이런 분이 계시네요 ㅎ
    두세번은 들어야 될듯~

  • @jihyunmoon2364
    @jihyunmoon2364 2 місяці тому +3

    다양한 설명감사합니다.

  • @NhY-m7o
    @NhY-m7o 3 місяці тому +19

    이 선생님 말씀이 정말 속 시원한 설명이네요.
    감사합니다 😊❤

  • @새콤달콤-k1o
    @새콤달콤-k1o 2 місяці тому +13

    저는 병원만가면 혈압이 장난아니게 올라요

  • @Rachel01212
    @Rachel01212 2 місяці тому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설명을 잘 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됐어요

  • @ydfhffjj35
    @ydfhffjj35 3 місяці тому +33

    저탄고지 하면 HDL 많이 올라갑니다. LDL은 조금 올라가거나 비슷하게 유지 됩니다.
    체지방량 줄어 체중 줄어듭니다. 혈압 내려가고요. 중성지방은 엄청 내려갑니다.
    내장지방 사라집니다.
    당뇨는 당연히 탄수화물 섭취가 줄어드니 급격히 개선됩니다.
    실제 경험입니다. 체중 84~>72까지 4개월만에 낮췄고 혈압135->105로 공복혈당 110->95, 중성지방 240->130, 총콜레스테롤 255->220, HDL 45~>67로 변화했습니다.LDL 150~>140?. 4개월의 변화고
    나이 51세 남성, 신장184.

    • @uskim907
      @uskim907 3 місяці тому

      저탄고지 어떻게
      하는 거여요?

    • @붕어퐝
      @붕어퐝 3 місяці тому

      뭐 드셨나요

    • @TheHyunse75
      @TheHyunse75 2 місяці тому

      ​@대룡골 어싱 ㅋㅋ 댁이나 많이 하슈 약장수

    • @subinkids
      @subinkids 2 місяці тому

      일반 남성이 184에 72면 곧 죽을 사람이구나..... 슬슬 인생 정리해요...
      몸에 근육이 하나도 없는 사람은 산 송장이네요...

  • @최은주-b9s
    @최은주-b9s 2 місяці тому +14

    정말 대단한 지식이십니다
    저는 반성하고 있습니다
    의학지식이 없어서 혈압이 높다고 했어도 증상이 없어서 무시하고 지금까지 왔습니다
    당장 내일 병원에 가서 진단받아보겠습니다
    신경과로 가야하나요 내과로 가야하나요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 @양써니-f7f
    @양써니-f7f Місяць тому +1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joannpark1045
    @joannpark1045 2 місяці тому +2

    강의너무감사함니다, 훌융하심니다응원함니다, 고맙읍니다,,미국에서,

  • @alohaa__
    @alohaa__ Місяць тому +4

    뇌경색 환자 보호자 입니다. 절대 모를 수가 없을 정도로 말이나 행동이 이상해요. 무조건 대학병원 가셔야 하고 응급실은 분위기 자체가 급박하고 어수선하고 기계소리도 많이 나기 때문에 노인분들은 섬망이 오기도 하니 보호자가 차분히 잘 케어해주는 게 중요해요.

  • @tuwilcox
    @tuwilcox 3 місяці тому +11

    설명이 최고 이십니다.

  • @김미경-p5g7q
    @김미경-p5g7q 4 місяці тому +18

    참 이해하기 쉬운 내옹입니다.

  • @나는성공한다-c6u
    @나는성공한다-c6u 3 місяці тому +9

    참고하겠습니다 👍

  • @검은연탄
    @검은연탄 4 місяці тому +33

    설명을 너무 잘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idealist_87
    @idealist_87 Місяць тому

    강연 감사합니다 ^^

  • @마댕이-x3j
    @마댕이-x3j 10 днів тому +1

    귀한 베품~ 귀한 분이십니다

  • @eternal3927
    @eternal3927 2 місяці тому

    교수님께서 너무나 설명을 너무나 잘 해 주셔서 이해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rz1lj6ur6i
    @user-rz1lj6ur6i 2 місяці тому +11

    70세여성
    오늘약타러병원방문
    혈압이140.80인데
    약미리수를.더올려서처방을해주겠다고해서.올리지말고.처방해달라고하니선생님.인상이안좋으네요
    약타는것도.넘힘들고
    병원가는것도매달두려워요

    • @milkyfa7590
      @milkyfa7590 Місяць тому +1

      70세에 그 정도 혈압은 지극히 정상입니다. 70대가 20대의 혈관내벽이 아니여서 압을 올려서 세포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해야 오래삽니다. 그 정도 고혈압으로 스트레스 받지마세요. 고기 많이 드시고 빠르게 자주 걷고 즐거운 음악 들으면 혈압떨어집니다

    • @milkyfa7590
      @milkyfa7590 Місяць тому

      혈압이 높은 것은 좋은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혈관은 나이를 먹으면 불행하게도 노화됩니다. 그래서 혈압을 올려줘야 세포에 산소와 영양을 충분히 공급합니다. 그래서 대만같은 곳에서는 지금도 자기나이 +90이 정상혈압이라고 합니다. 70대에 120-80이 오히려 비정상일 수도 있어요. 혈압은 사람마다 유전적으로도 다르지만 자기의 유전적 체질보다 올라가는건 식생활습관문제가 가장 큽니다. 고기 즐겨드시고 빠르게 걷기, 즐거운 음악 자주 듣고 혈압 스트레스 받지 않으면 혈압은 조금씩 떨어질거에요. 140-80.. 70대에 고민하시는 것 자체가 잘못이고 그 의사도 120-80을 고집하는 것 또한 웃깁니다. 혈압약 복용기준이 180>160>150>140..이제는 130도 약을 먹으라고하죠. 제약회사가 만든 기준... 내가 제약회사라면 120넘으면 약 먹으라고 할거에요. 큰돈을 버니까. 혈압이 140이 되어도 문제된다는 의학적 사실은 없고 오로지 가설밖에 없어요. 하지만 혈압이 더 이상 오르지 않게 즐겁게 사세요. 운동과 음악듣기. 독서.. 그리고 즐거운 마음갖기. 나쁜 음식 안먹기.. 200년 사실거 아니면 그 정도 혈압에 신경쓰신다는게 스트레스에요. 의사가 당신을 아프게하는군요. ㅠㅠ

    • @ahduiencjjf
      @ahduiencjjf 26 днів тому +1

      70대면 곧 흙으로 갈때가 됐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딸피 잘가고

    • @Sharon_CAFE
      @Sharon_CAFE 5 днів тому +1

      전 140.90인데 약먹으라고 하지 않음 여긴 서유럽인데요.

  • @CASairTLE
    @CASairTLE 2 місяці тому +2

    지인들 모두에게 꼭 보라고 추천하고 싶은 영상입니다

  • @3535min2
    @3535min2 3 місяці тому +5

    귀한 영상

  • @뉴스및시사
    @뉴스및시사 4 місяці тому +154

    42에 뇌경색으로 오른쪽 편마비로 인해 장애 3급 판정 받고 현재 살아가고 있습니다. 지금은 48 입니다
    고혈압,당뇨. 고지혈증 다 문제 있어 뇌경색이 생긴거 같습니다
    거주절미하고 이분 말씀 하시는게 저한텐 다 들어 맞습니다
    술,담배 줄이시고 야채를 많이 섭취하시길 바랍니다 특히 레몬...
    젋으시든, 연로 하시든, 병 휴유증 중에 뇌졸증은 그야말로 최악입니다 정말 최악입니다
    전 그나마 운 좋아서 왼손으로 타자치고, 혼자 일상 생활이 가능하지만 숟가락도 못드는 그런 사람 병원에서 많이 봤습니다 ㅜㅜ
    글로는 표현이 안됩니다 ㅜㅜ 정말 관리 하셔야 됩니다 다들 건강 하시길 바랍니다.

    • @강오석-q1j
      @강오석-q1j 4 місяці тому +19

      네 감사합니다 고생많으시네요
      건강하세요

    • @caryshim
      @caryshim 3 місяці тому +11

      젊으신 나이에 역경을 맞으셨네요. 쾌유 호전 되시길 바랍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 @jeny6716
      @jeny6716 3 місяці тому +7

      용기내시고 잘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 @최옥임-g1f
      @최옥임-g1f 3 місяці тому +6

      건강하세요ㆍ

    • @통키
      @통키 3 місяці тому +6

      건강하세요

  • @김복순-q9l
    @김복순-q9l 2 місяці тому +8

    선생님 혈압자세한설명 감사합니다

  • @aeyoungheatherly4204
    @aeyoungheatherly4204 4 місяці тому +10

    감사합니다

  • @Kalala21
    @Kalala21 3 місяці тому +23

    저는 150/100 나와서 혈압약 복용중인데 항상 피곤하고 졸리고 목이랑 머리 아프던게 멀쩡해졌네요 지금은 약먹으며 120/80 정도 유지하고 있는데 12월부터 운동 시작해서 몸 좋아지면 약 그만 먹으려구요 항상 운동하며 식단 관리할땐 괜찮다가 일 바빠져서 운동 그만두면 혈압 오르고 반복이었던거 같아요

    • @운화정-j7c
      @운화정-j7c 3 місяці тому +6

      유트브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 를 경청해보세요

  • @Cardiology_람쥐
    @Cardiology_람쥐 4 місяці тому +99

    현직 심장내과의 입니다. 제가 평소에 환자분들께 말씀드리는 바와 비슷하네요. 제가 본과때만 해도 고혈압기준이 높았다가 시기가 지나 점점 낮아져서요. 앞으로도 더 낮아질 전망도 없지않다 생각합니다.😊

    • @springwelcome6322
      @springwelcome6322 4 місяці тому +20

      맞습니다. 한국 의사들은 미국 연구라면 맹신하는 편이죠.

    • @sunsetglow30
      @sunsetglow30 4 місяці тому +28

      혈압약 판매와 관련있는건 아닌지...

    • @금옥-n8r
      @금옥-n8r 4 місяці тому +1

      람즤~~람즤~다람즤~~(끵~츼~끵츼~)

    • @jmo477
      @jmo477 3 місяці тому +8

      빌게이츠 의약품 개발 시판과 연관성이 ..??!

    • @금옥-n8r
      @금옥-n8r 3 місяці тому

      왜 나힌테 댁 대댓글 오냐 시8아 @@jmo477

  • @에르메스-h2b
    @에르메스-h2b Місяць тому

    설명이 귀에 쏙쏙 들어 오네요 잘 이해되게 말씀도 차분하게 잘 하시고
    고맙습니다..

  • @떠나자-j9u
    @떠나자-j9u 4 місяці тому +43

    스트레스.관리 가 중요합니다..

  • @spicedberry
    @spicedberry 2 місяці тому +6

    다른 때와 다른 두통이 오고 숨쉬기가 어렵고 약간 메스꺼워요
    이럴때 혈압재면 150 넘게 나오더라구요
    근데 보통 겨울에 이런 현상이 많이 생기고, 스트레스 받으면 그래요

  • @손정호-t4d
    @손정호-t4d 4 місяці тому +42

    고혈압으로 결국 뇌졸중으로 쓰러진 40대입니다. 쓰러지기전 혈압이 210이었는데도 증상이 없었고 누구보다 건강하여 아무런 경각심이 없었습니다. 심지어 발병 하루전 보건소에서 혈압을 재었는데 정상이니 걱정말라는말까지 들었습니다. 보건소직원보다 차라리 기계를 믿으시고 혈압이 이상하면 꼭 진료받으세요.
    후회보단 낫습니다.

    • @caryshim
      @caryshim 3 місяці тому +10

      210인데 정상이라고 한 사람이 비정상이네요.

    • @양사랑-u7e
      @양사랑-u7e 2 місяці тому +3

      전날은 아니었을테니까요
      보건소에서 쟀을때

  • @요약요약열매
    @요약요약열매 2 місяці тому +5

    근본 원인 해결이 안되는 약에만 의존하게 되면 뇌출혈 막으려다 뇌경색으로 가는것은 아닌가요 우리는 모두 너무 의사들만 의지하는것이 문제인것 같아요

  • @하늬바람-h3w
    @하늬바람-h3w 23 години тому

    댓글을 안달수가 없네요!!
    크게 아픈적도 없고 감기도 안걸리는 편이다보니 건강검진도 사실 해본적이 없어 병원갈일이 없이 지내다가
    몇년전에 처음 취업한곳에 제출해야해서 신체검사를 받는데 긴장해서 혈압이 높게 찍힌걸 경험한 이후부터 병원만 가면, 혈압계만 봐도, 혈압이란 글자나 광고만 접해도 두근대는 증상이 점점 심해졌어요
    그래서 가정혈압계도 구비하게 되었는데
    가정과 병원측정 차이가 점점 벌어져서
    걱정이 되어 큰맘먹고 모 대학병원에 갔었고
    꼼꼼하게 가정혈압 측정한 기록지 보여주며 상담했습니다
    (가정혈압은 그전에도 지금도 정상이며 영상속 교수님 말씀처럼 안정을 취한 상태의 혈압이 정확한 혈압이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심장내과 교수는 당일 병원 혈압계 결과는 180이니
    24시간 혈압검사/ 심전도/ 심장초음파/혈액검사 다 하라고 하더라고요
    24시간 검사는
    병원방문시간대 병원이동시간대수치는
    매우 치솟았고요
    잠든 새벽 시간대에 30분마다 작동할때마다 깜짝놀라며 잠이 깨니 130정도 찍혔고
    일부러 산책도 하고 청소등 집안일 할땐 125정도 찍혔고요
    긴장된 상황 있었는데 약간 높게 한번 나온거 빼곤 다 정상수치이내였어요
    하지만 의사는 그래프가 널 뛴다
    노화다(50대 초중반)
    혈관모형 보여주면서 혈관이 딱딱해지는거다
    가정혈압도 120대면 고혈압이다
    고혈압이니 약을 처방했고(반알)
    한달정도 기록해갔는데
    수축기 90-110왔다갔다 했고요 앉았다 일어나면 현기증이 하루에도 몇번씩 나서 이상하다 싶었지만
    재방문 당일 병원 혈압계는 160정도 찍혔는데
    약 용량을 늘려야겠다며
    90대 수치 낮은건 아무 문제없다
    고혈압 기준치가 낮아져서 120이상은 고혈압이라고 했어요
    제가 긴장해서 맥박이 130까지 오르니 혈압도 이렇게 요동치는게 당연한거 아니냐고 했지만
    긴장 심해지는것도 노화라고 했고
    평소와는 다르게 하루에 몇번씩 현기증을 느끼기도 한다니까 자기도 앉았다 일어나면 그런다며 달라진 저의 증상에 귀 기울이지 않았어요
    또 격한운동직후 심박이 매우 높으면서 혈압 오르는거 아니냐
    하니 그건 그때 잠깐 그런거라길래
    나도 긴장상황 벗어나면 바로 편해진다 하니
    저더러 자꾸 분석하지 말라면서 다시 약을 더 먹으라고 했어요
    혈압만 보는게 아니고 맥박 심박도 중요한거 아닌가요? 비례해서 오르던데요
    일상 생활 하면서 운동이 아닌 맥박 130까지 치솟는 경우 흔치 않다고 봅니다
    진료실 문 옆엔 안정을 취하신후 혈압을 재고 대기하라는 문구가 붙어있던데요
    전 대기하는 수십분 동안 심장이 쿵쾅대고 벌렁거려서 너무 힘들거든요
    괜찮아 이게 뭐라고 마인드컨트롤 아무리 해도 소용없고요
    병원을 벗어나고 혈압 생각을 안해야만 안정됩니다
    (참, 심전도 검사해주던 분이 저더러 원래 맥박이 빠르냐고 묻더라고요ㅎㅎ)
    그 대학병원에서 검사란 검사 다 시켜가며 내린 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신뢰가 생기지 않아 동네 내과에 평소처럼 가정혈압 체크한 기록지 들고 갔고(대학병원 약 복용중 기록) 그간 상황과 혈압에 대한 트라우마, 대학병원의 24시간검사지,의사 처방등 모두 말씀드렸고
    진료실내에서 직접 혈압을 재보시다가
    아이고 올라가네 하며 중도에 멈추시더라고요
    맥박이 쿵쾅대는걸 바로 아신거죠
    기존에 약 복용중 가정혈압 기록지 보시며 혈압이 너무 떨어지기도 하는데
    어지럽지는 않았냐 물어봐주시는데 너무 감사하더라고요
    일단 2개월정도 제일 약한 정도로 다른 약을 처방하시며 이후 상황보고 약을 중단할지 보자고 하셨어요 (대학병원 교수님이 너무 타이트하게 기준을 잡은것같다고 하시며)
    이후 내원 시 약 복용하지말라고 하며 가정혈압이 제일 정확하다고 말씀해주셨어요
    제가 농담반 진담반
    비정상적으로 긴장도가 심각한데 정신과 상담이라도 할까요 했더니 먹는 약만 늘어나니 그러지말라고 하시면서 혈압 재는 자체가 스트레스일테니 집에서도 자주 재지는 말고(집에서도 오랜만에 재면 걱정되고 긴장되서 첫 혈압과 맥박이 높게 나오더라고요)가끔 재보고 병원만 오면 힘들어하니 병원도 오면 안되겠다며 웃으시더라고요
    운동하면서 행복하게 지내라고 얘기해주셨어요
    이렇게 글이 길어진 이유는
    정말 양심적이고 좋은 의사선생님들도 계시다는걸 알리고 싶었어요
    모 대학병원 심장내과는 동네라서 간거였지만 다른 진료과들도 발걸음하고 싶지 않습니다

  • @샹귀슈게-u1x
    @샹귀슈게-u1x 2 місяці тому +3

    전 고지혈증 있다고 해서 한달 약먹고 안먹다가 허리디스크때문에 일을 쉬면서 투김류에 새벽에 음식 먹고 그러니 몸무게 늘어서 세달넘어가니 두통생기고 뒷골 생기고 해서 병원가니 180넘고 3단계라고 엄청혼났어요;;
    위험하다고 그래서 약 먹으면서 운동시작 했어요 ㅜㅜ 몸 잘들 챙기세요

  • @sunson8470
    @sunson8470 2 місяці тому +1

    39:40 자녀들이 봐야 할 부분
    정말 놓칠게 없는 설명이네요

  • @오후엔휴식
    @오후엔휴식 4 місяці тому +40

    중풍은 결국 환자의 삶 전반적인게 결정적인 겁니다 혈압약이 아니라. 혈압약 안먹으면 반드시 중풍이 생길것처럼 겁주는게 잘못된 겁니다.

  • @이동훈-e4k2n
    @이동훈-e4k2n Місяць тому +1

    교수님 스마트워치 혈압측정은 정확한 편인가요?

  • @EUNJAE-f4c
    @EUNJAE-f4c 4 дні тому

    교수님은 어떤 고혈압 약 드시는지 궁금합니다.

  • @hansy7865
    @hansy7865 Місяць тому +3

    혈압보다 심박수가 훨씬 더 중요함..
    혈압은 좀 높아도 상관없지만 심박수가 빠르면 빠를수록 돌연사 위험이 커짐..
    안정시 70대 이하로 나오는게 건강하고
    90대 이상이면 정상의 범위에 속하기는 하지만 위험한 것임..100넘으면 약물로 심박수 조절해야 하고..
    혈압보다 심박수를 체크하는게 더 중요함...
    심장마비도 심장이 멎어서 죽는게 아님..심장이 너무 빨리 뛰는게 심장마비지...너무 빨리 뛰어서 펌프질을 전혀 못하는게 심장마비임...때문에 심박수와 돌연사사망률은 정비례 관계임..

  • @연드
    @연드 2 місяці тому +2

    스트레스받는게 직장인데 ㅠㅠ 직장을 그만두기엔,,

  • @산봉이
    @산봉이 3 місяці тому +21

    사람은 나이가 들어가면 혈관도 늙어 가겠죠.
    나이가 들어가면서 혈압이 올라는 건 우리 몸이 생존하기 위한 반응이라고 하는데요.
    정상 혈압은 자기 나이에90을 더한 혈압은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 @ydfhffjj35
    @ydfhffjj35 3 місяці тому +61

    혈압약 원리가 심장을 약하게 뛰게 하는건데 심장은 필요한 만큼 펌프질을 해야하는데 강제로 심장의 힘을 빼는거. 원인 제거를 하지 않고 증상만 가리는거.
    당장의 두통을 없애려 몸의 중요한 밸런스를 망가뜨리는것. 선택은 본인 스스로 해야 하는게 딜레마.

    • @dosungpark
      @dosungpark 3 місяці тому

    • @asupomkim4928
      @asupomkim4928 3 місяці тому +9

      원인제거 하려다 급사하는 사람 많습니다.

    • @coffeelakelife
      @coffeelakelife 3 місяці тому +5

      그건 아주 옛날 혈압약이고 지금은 혈관확장제가 주종임

    • @붕어퐝
      @붕어퐝 3 місяці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

    • @이영민-e2h
      @이영민-e2h 2 місяці тому +3

      자기 니이에 90 을 더하면 자기혈압 이라고 함

  • @바라마-g2x
    @바라마-g2x 3 місяці тому +7

    고혈압의 기준은 본인나이에 90을 더한 수치를 넘으면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 @석규임-g8g
    @석규임-g8g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디

  • @알통맨-y7p
    @알통맨-y7p 2 місяці тому +2

    이런 똑똑한 사람들이 좋아요.

  • @남자공석배
    @남자공석배 2 місяці тому +7

    이제껏 박사님들보다 탁월한 설명에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

  • @국방타마마
    @국방타마마 2 місяці тому +2

    40대 초부터 혈압약 먹어서 지금 2년째인데 체중이 좀 빠진덕인지 이제 110 정도 나와서 저번달부터 의사와 상의후 약한약으로 바꿨어요. 기존약은 혈압약 + 혈관확장제 2가지 가 합쳐진것인데 지금은 혈압약만 먹고있는데요. 역시나 혈압이 더 오르긴하더라고요. 130 정도 나오는데 일단 쭉 지켜보고 있어요. 130 정도라면 지금이 나을수도 있을거 같아서요 (내 몸에 피가 잘돌게 하기 위해서..) 단.. 그것도 한도가 있지 140~150 이렇게 오르면 예전약을 먹는쪽으로 생각중입니다.

  • @장시훈-o7p
    @장시훈-o7p 3 місяці тому +2

    야근하고 스트레스상황에 있으면 혈압은 올라감.
    밤에 잠 늦게 자거나 못자거나 안자거나 모두 고혈압.

  • @오들휘
    @오들휘 3 місяці тому +17

    언젠가 죽으니 너무 안죽으려 하지말자

    • @jk-ho3ii
      @jk-ho3ii 3 місяці тому +3

      그래도 사는동안은 알고삽시다

    • @병열이-p5m
      @병열이-p5m 2 місяці тому +3

      사는동안은치료치않으면괴로워니까요

    • @love0404.
      @love0404. 2 місяці тому +2

      죽는게 무서운게 아니라 뇌졸증으로 쓰러져 반신 불수 되는게 무서워서 약 먹기 시작 했습니다.

  • @이은숙-p1j3s
    @이은숙-p1j3s 2 місяці тому +1

    40대 여자입니다 혈압 120대 총콜197 HDL 51 LDL 134 중성지방 53 당화혈색소 4.8 술 담배 안하구요 아메리카노를 많이 마시는게 LDL에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 @지리산반려견
    @지리산반려견 3 місяці тому +11

    2023년 3월3일 81세의 아버지 새벽 5시 뇌졸중으로 쓰러짐. 뇌출혈로 오인하여 인근병원으로 긴급후송하였으나 뇌경색이였슴. 다시 서울대병원으로 가서 치료까지 걸린시간 거진 6시간이 넘었슴. 예후는 역시 최악이였고. 와상급이였슴. 음식또한 삼키지 못한 연하장애. 인지장애. 좌편마비. 구음장애. 온갖 장애가 한방에옴. 가족들은 좌절과 절망속에 살앗으며..환자 본인은 표현은 못하지만 더욱 괴로웠을것으로 생각댐. 1년여간 온갖 재활을 다하였지만 나아지는건 하나도 없었슴. 2024년 4월23일 사망. 뇌졸중은 너무 무섭습니다.

  • @바라마-g2x
    @바라마-g2x 3 місяці тому +30

    스타틴이 뭐가 좋다는 건가요? 혈압이 올라가는 건 혈액을 몸 전체에 보내기 위함입니다. 무조건 혈압을 낮추는것 그 자체가 몸에 꼭 도움이 되는 건 아니라 합니다.뇌경색은 결국 혈압이 낮아져 피가 통하지 않아 뇌기능이 일부 죽거나 마비가 되는 것이지요.ㅣ예전엔 뇌일혈(뇌출혈)이 꽤 많았으나 현재는 뇌일혈의 비율이 무비 낮아졌습니다. 혈압약으로 대부분 뇌경색으로 바뀌었다 하네요.

    • @ns380
      @ns380 3 місяці тому +6

      스타틴은 고지혈증 약입니다. 혈압과 직접적인 상관은 없는데요

    • @caryshim
      @caryshim 3 місяці тому +6

      스타틴 부작용 엄청 많습니다. 고지혈 고칠려다 부작용을 크게 겪었습니다. .
      한달 모르고 먹다가 온몸이 아파 죽는줄.. 약만 끊었더니 정상..

    • @12yoonee37
      @12yoonee37 3 місяці тому +6

      ​@@caryshim부작용 있는건 사실인데 우리나라 스탄틴 복용인구가 얼마나 많은데 먹고서 사망자가 늘어나면 판매금지약물로 식약처에서 막았죠 무슨 말같지도 않은 소린지

    • @idhj7979
      @idhj7979 3 місяці тому +3

      고협압약 시작이 고지혈증 약 온갖 성인병 약을 부름 그래서 노인들이 약을 한움큼씩 먹게 되고 병원을 정기적으로 다니게 되는 시스템

  • @oren1499
    @oren1499 4 місяці тому +35

    하지만 사람들은 받아들이기 싫겠지

    • @purepearl3925
      @purepearl3925 4 місяці тому +17

      받아들이기 싫은 게 아니라, 고정관념처럼 굳어져 버려서 그런 것. 의사들이 겁줘서 밥그릇 챙기려고 그런 것도 없잖아 있음. 무식하면 융통성 없다는 말 많이 듣는 거랑 똑같음.

    • @소화전-m1x
      @소화전-m1x 4 місяці тому

      미개하니까ㅋㅋ 지들이 맞다고 믿지요

  • @운화정-j7c
    @운화정-j7c 3 місяці тому +4

    유트브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 를 검색창에 치고 경청 판단은 스스로!

  • @kyh0098
    @kyh0098 2 місяці тому +18

    50후반입니다.. 고혈압약 20년 정도 먹다가 지금은 운동으로 몸무게를 10키로 이상 줄이고 지금은 약을 안먹어요.. 의사는 불안한지 계속 처방하는데 수축기 130에서 140정도를 유지 했을때가 컨디션이 젤 좋더군요..
    더 낮으면 기운이 너무 없어서 싫어서요..

  • @lovelddter5121
    @lovelddter5121 3 місяці тому +26

    제약회사들의 돈벌이😅
    연령상관없이 일괄적으로 기준을 정해놓고
    그보다 높을때
    약안먹으면 큰일난다고 난리를.
    수십년전보다 정상기준을 서서히 낮추게되니
    혈압환자들 대거 발생
    약팔아먹자🎉🎉

  • @Gwangttaeng
    @Gwangttaeng 3 місяці тому +4

    병원로비에 있는 혈압계는 기계마다 달라요.... 내 혈압을 정확히 모르겟어요.

    • @dingding1466
      @dingding1466 3 місяці тому +1

      이 선생님이 5만원 쯤 하는 혈압계 사서 2분 명상후 2회재라고 하셨어요.

  • @이모씨-h9s
    @이모씨-h9s 4 місяці тому +5

    선생님 방송보곶바로 구독 꾹햇슴니더

  • @p-p9h
    @p-p9h 2 місяці тому +8

    저희 외가는 엄마, 이모, 삼촌들이 전부 고혈압, 당뇨로 다들 한쪽몸을 못쓰게 되셨는데 어른들이 아무도 건강관리를 안해주셨어요 저도 30대에 건강검진 했는데 혈압이 240까지 올라가서 그때부터 혈압약을 먹기 시작했어요 지금은 99kg에서 40kg감량하고 다이어트를 계속 하고있고 그런데 시간이 지나 나이도 들고 그래서인지 혈압은 잘 안떨어지네요 다행히 혈압만 높고 다른건 다 정상이지만 지난달엔 혈액 검사했는데 당뇨라고 할까 걱정했더만 살뺀다고 잘 안먹어서 그런지 빈혈이라네요 그말 들으니 왜 기쁜지 당뇨는 아직 안와서 다행이에요 고혈압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았는데 영상으로 많은것들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JacobJordan-g8i
      @JacobJordan-g8i Місяць тому

      운동을 하세요.... 운동이 보약입니다. 특히 유산소 운동이 가장 중요하고요, 거기에 근력운동을 첨가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는군요.

  • @love0404.
    @love0404. 2 місяці тому +3

    고혈압으로 죽는게 무서운게 아니라 합병증이 무서운 겁니다.

  • @목계-l4i
    @목계-l4i 4 місяці тому +39

    혈압은 나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 @난로팍
      @난로팍 4 місяці тому +23

      자기 나이에 90을 더한게 정상 혈압

    • @한예진-j9p
      @한예진-j9p 2 місяці тому +4

      의사들은 나이와 상관없이 무조건
      120/80 이라는 기준을
      정해놓고 약을 처방하는 것은 생각이 필요합니다~♡

  • @pjwook626
    @pjwook626 3 місяці тому +6

    병원에 가도 들을 수 없는 내용을 유투브를 통해 듣게 되니 감사할 뿐입니다.
    여러가지를 통합하여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길 바랄 뿐입니다.
    내 자신을 내가 알 수 있도록.

  • @nukacolaa
    @nukacolaa 3 місяці тому +13

    병원에서 고혈압을 치료하는 방법은 안알러주고 대증요법만 하기 때문에 고혈압 기준이 내려가면 내려갈수록 병원과 제약회사 입장에선 죽을때까지 꼬박꼬박 돈쓰러 와주는 꿀통이 늘어나는거임.

  • @러키-j6j
    @러키-j6j 2 місяці тому +15

    동네 식당 할머니 81세 인데 병원에서 혈압약 먹으라고 하는걸 계속 안 드셨데요 좀 이상하다 싶으면 병원에 가서 의사와 상의 후 혈압약 먹고 다시 중단 ...또 이상하다 싶으면 몇 일 드시고 중단 .... 평생 그런식으로 생활 하셨다고 하심 . 근데 아주 건강하심

  • @앙마의유혹-b7l
    @앙마의유혹-b7l 4 місяці тому +17

    밀가루 음식 당이 많은 음식 피하고 혈압에 좋은 케일을 매일 쌈으로 먹어보세요.ㅋㅋ
    혈압 뚝 떨어집니다. 제가 증인임. 수십년을 혈압 150이상 나왔어요. 그때는 젊었으니까 괜찮았지만
    나이가 먹으니까 몸이 부담을 느끼더라고요. 그래서 식단을 철저하게 채식위주로 하니까 수십년만에 정상으로 돌아옴.
    그전에 먹는거 신경 안쓰고 아무거나 먹었어요, 그러니 혈압이 떨어질리가 ㅋㅋ 맛은 있는데 몸에; 안 좋은 음식들
    근데 전 혈압이 높든 낮든 운동은 꾸준히 했어요. 젊었을 때도 지금도 그렇고 다만 나이가 들어서는 음식을 절제하고 있는 차이죠.
    그냥 유전이다 어쩌다하는데 왠만하면 음식으로 다 고쳐짐 벌써 라면이나 단 거 몇번 먹으면 금방 살이찌고 데미지가 쌓이는게
    나이가 들면 느껴짐 젊었을때는 모르지만 그만큼 먹는게 중요한 음식으로 못고치는 병은 약으로도 못고친다가 진리입니다.

  • @stafvka8362
    @stafvka8362 3 місяці тому +39

    고혈압 기준이 말도 안된다 초기 고혈압기준이 180 이었는데 160이 되었다가 140 이젠 120이 고혈압 위험군이라는 약팔아먹으려고 양심파는 소리하고 있다 사람 마다 혈압이 모두 다르다 임상을 하다보니 혈압이 200에서 조금만 내려가도 두통을 호소하는 사람이 있고 혈압이 110에서 조금만 올라도 고통스러운 사람이 있다 사람마다 체질 성별 식습관 환경 연령대가 모두 다른데 어떻게 한가지 기준을 갖고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가? 과학을 말하면서 전혀 과학적이지 않다

  • @영짤스케치
    @영짤스케치 4 місяці тому +21

    스타틴 최근 연구논문 보면 충격적으로 2차 예방약으로 썼는데도 그 효과가 사망률 줄이는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했고 생존율은 단 2~3일정도 연장시키는데 불과했다라는 결과에서 학회에 있는 관계자들 폭소 터리는 영상이 화제죠. 결국엔 알려진 효과는 미신의 불과하다는 입장을 가진 의사들도 많아지면서 스타틴 문제가 생겼는데 이번 논문결과는 그야말로.... 스타틴에 대한 의학 대사기극으로 비교될만한 사건이라고 봅니다.

  • @청개구리의휴식
    @청개구리의휴식 2 місяці тому

    좋은 설명이십니다.
    저는 젊을 시절부터 그저 열심히 운동합니다.
    BMI가 27이상 이지만 뚱뚱하지는 않아요.
    건강 검진 후 에는 우편으로 대사 증후군 환자라고 알려주긴 하지만요.
    모든 것은 운동으로 해결이 됩니다.

  • @-tube721
    @-tube721 4 місяці тому +7

    선생님, 자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그런데 "집에서 재는 혈압이 정확하다"는 말씀에 공감하는데, 병원에 가면 의사선생님들의 생각은 다른 것 같습니다.
    작년에 대장내시경 했습니다. 내시경 전에 혈압을 재는데 평소보다 상당히 높게 나왔습니다. 제가 평소 병원혈압(?)이 있는데, 그래도 건강검진을 받으면 130~135(저는 내년 70세)정도 나오거든요.
    대장내시경을 위해서는 장청소, 수면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혈압이 많이 오를 수 있다는 걸 의사선생님도 인정하면서도 고혈압약을 권하더군요.
    집에서 팔뚝혈압계로 낮에 두 번 재어보니 125, 128이 나오길래 다음 진료 때 말씀드렸는데, 나중에 건보공단에서 연락이 왔어요. 고혈압 치료 받으라구요. 어처구니가 없었습니다. 더구나 고지혈증 치료도 필요하다며 약을 권하더군요.
    며칠 후에 같은 병원에 갔는데 그 의사님이 없어 다른 분께 소견을 들었는데, 특히 고지혈증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다며, HDL치와 중성지방치로 보아 좋은 상태라는 겁니다.
    이래서 의사선생님들을 무조건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나쁜 말로는 일부 의사들은 단골환자를 만들려고 하는 건 아닌가 생각하기도 합니다.
    제가 듣기좋은 결과를 선택한 것일 수도 있지만, 지금은 고혈압도 고지혈증도 약을 먹고있진 않습니다.

    • @이모씨-h9s
      @이모씨-h9s 4 місяці тому

      혈압 평생가도 못잡아요 집에서는 정상이지만 병원가면 상상외로 높게나와요 백의혈압이ㅂ니다 저도건강검진받으려가면 170 이상나옵니다
      그러니아무걱정마세요 혀압은 올라갓다 내려오면 정상입니다

  • @은하수-g1q
    @은하수-g1q 3 місяці тому +31

    우리 몸이 필요에 의해서 스스로 혈압을 올리는건데 그걸 약으로 억지로 심장이나 근육 칼슘채널에 영향을 주어 혈압을 낮춘다면 어떤일이 벌어질지는 뻔하죠? 우리 몸은 또 살려고 기를쓰고 혈압을 올리려고 노력할겁니다.원래 혈압이 오른 이유가 생존을 위한것이기 때문에 고혈압 약을 먹든 안먹든 우리 몸은 혈압을 올리기 위해 애를 쓸겁니다.애초에 혈압이 오르게된 원인을 제거하면 혈압은 알아서 내려갑니다.

    • @来生再见
      @来生再见 3 місяці тому +9

      정답입니다 ㅎㅎ 의사들은 무조건 약처방을 고집하는데 혈압 오르는 원인부터 제거할려는 노력을 해보고 다시찾아오라고 해야 진정한 의사이지요

    • @초올
      @초올 3 місяці тому +3

      혈압이 오른 걸 혈압채크하면 알지만 왜 올랐는지는 의사도 모르죠.
      그러니 혈압만 떨궈서 지켜보는 거고 혈압약으로 혈압만을 내리면 부작용이나 혈압을 억지로 떨군거에 대한 반대급부로 내몸은 또다른 질병이 생기겠죠.

  • @jupiterj2969
    @jupiterj2969 3 місяці тому +19

    우낀다. 같은서울대 출신인데 한사람은 콜레스테롤은 왜만하면 높아도 상관없다고하고
    한사람은 약먹으라고하고.
    아무래도 약을 먹으라고하는 인간이 약간 제약회사와의 유착관계가 의심은 든다. 수치로 증명하는 유튭채널이 있는데 제약회사들과 의사들이 만성적으로 처방하는 약때문에 환자들만 골병든다고 하더라. 통계와 지표로 말하는 그사람이 더 믿음직한거같다.

    • @jyc3509
      @jyc3509 3 місяці тому +6

      서울대 수준이야 윤석열이가 증명하지요.

    • @젬마-t9t
      @젬마-t9t Місяць тому

      ​@@jyc3509능지가;;;;;

  • @qwerty-zc4eu
    @qwerty-zc4eu 2 місяці тому +3

    미국 혈압 기준은 SPRINT TRIAL의 영향이죠. 그 연구가 제시한 혈압 측정 방법이 표준측정 방식인 사람이 직접 재는 방식이 아닌 진료실 밖에서 자동혈압계로 재게 하여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130미안으로 조절했을 때 이득이 컸지만 의료진이 직접 재면 보통 수축기혈압이 5-10정도 높게 측정되기 때문에 미국을 제외한 유럽이나 아시아는 여전히 140/90을 고수하고 있는 거죠. 단순히 정책적인 문제가 아니라요. 그리고 혈압을 올리는 건 심장이 아니라 신장입니다.

    • @userganada
      @userganada Місяць тому

      맨날 미국만 베끼기 하니깐
      틀린게 한두개가 아님 ㅋㅋ
      매년 바뀌는 미국 논리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jgodud3411-t5q
      @tjgodud3411-t5q 8 днів тому

      맞는 말씀인거같아요. 혈압을 올리는건 신장이라는거요. 우리 신랑이 신장암 의심진단인데요 혈압이 확 올ㅈ라가더라고요. 약을 먹는데도 혈압이 쉬이 내려가진 않더라고요.

  • @쟈스민-z2b
    @쟈스민-z2b Місяць тому

    선생님
    혈압을 왼쪽팔에 재면 160~170/110 이렇게 나오고
    오른팔에 재면 130/85 수십번을 재도 왼쪽팔이 엄청 높게나옵니다
    혈압기계를 사서 재보니 이렇게
    차이가 나네요?
    기계가 불량인지요? ?

  • @Zach-le2gt
    @Zach-le2gt 4 місяці тому +271

    120에 80은 사기극이죠. 기준이 점점 내려가ㅋㅋ 140도 문제 없답니다.

    • @동춘박-e7c
      @동춘박-e7c 3 місяці тому +73

      제약회사 약 팔아야지요 ,,,

    • @ample3508
      @ample3508 3 місяці тому +50

      병원에도 환자가 와야 돈을 벌죠..

    • @idhj7979
      @idhj7979 3 місяці тому

      기준치가 어디까지 내려가려나 약팔이

    • @Frogvitamin
      @Frogvitamin 3 місяці тому +50

      120 80은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당뇨가 없을시 140 90이 기준입니다

    • @열우물쉼터
      @열우물쉼터 3 місяці тому

      ㅣ​@@동춘박-e7c

  • @Dragon-ht3nv
    @Dragon-ht3nv 3 місяці тому +70

    고혈압기준이 변경될 때마다 지구상에 수억명의 환자가 새로이 발생하는 희한한 병명. 자기나이+90이면 정상수치라고들 하고 , 업무상 일본에서 일본병원에 괘 다니는데 145정도 나와도 의사선생은 아무런 코멘트도 하지 않는데 한국병원만 큰일 난 것처럼 고혈압약 복용하라고 하는데 고혈압약이 허벌나게 비싸다는 것. 이제 한국에서 병원갈 때는 고혈압약 먹고 가야 하나 생각도 듬. 수십년째 크게 변하지 않는 혈압인데 이전에는 크게 문제 삼지 않더니 최근에는 엄청 문제 삼음.

    • @카페인-e6c
      @카페인-e6c 3 місяці тому +13

      마그네슘 드세요 천연 혈압약입니다. 제가 140대였는데 먹고 110대로 떨어짐

    • @idhj7979
      @idhj7979 3 місяці тому +6

      동의합니다~병원가면 약먹으라고 난리~고혈압은 병이 아니다 읽어보시길~~

    • @마리아재
      @마리아재 3 місяці тому +1

      ​@@카페인-e6c그런가요?
      감사합니다.

    • @초올
      @초올 3 місяці тому +9

      나이들면서 어느정도 오르는 혈압은 정상입니다. 혈관의 노화에따라 혈압은 올라야 순환을 시키면서 노폐물도 가져오고 영양과 산소도 공급하고 그러는 겁니다. 혈압이 아주 높아서 200이되고 두통,어지럼증,목당김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면 이때는 혈압약을 먹습니다.
      자기나이 더하기 90은 고혈압으로 보지 않습니다.

    • @ubermensch8102
      @ubermensch8102 2 місяці тому +3

      강의 듣고서도 이런 바보같은 소리를하네.. 뭐 하긴 안먹고 중풍 심근경색 걸려 죽으면 주변에 큰 교훈은 되겠구나

  • @요한묵시록
    @요한묵시록 2 місяці тому +5

    병원 기계들이좀 자동차 계기판 주작마냥 20-30높게 주작질하는건지 병원종특으로 긴장해서 높게나오는건지 집에서는 120 80 병원은 130이상 150까지나옴

  • @jangsunok9000
    @jangsunok9000 9 годин тому

    고혈압 약 먹고 어떤약은 열이많이나고 또다른약 소변이너무 자주나오고. 거품까지생기고 또다른약은 설사를 계속하고 살이빠지고 너무 힘들어 지금은 안먹고 있어요 안먹어니까 몸도좋아지고 관찮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