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쉽게 이해하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3 чер 2021
  • 상대성이론은 아인슈타인이 제창한 시간과 공간에 대한 물리 이론으로, 특수 상대성이론과 일반 상대성이론으로 나뉜다.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서로 다른 상대 속도로 움직이는 관측자들은 같은 사건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일어난 것으로 측정하며, 그 대신 물리 법칙의 내용은 관측자 모두에 대해 서로 동일하다. 상대성이론은 단순한 자연법칙이 아닌 일종의 사고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추상적 수학 개념과 세밀한 관측이 자연을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고 알려준 갈릴레오와 뉴턴이 해결하지 못했던 측정의 대상이 되는 물체와 측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좌표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고민에서 상대성이론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물리학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2,7 тис.

  • @user-yk5cd7hz2l
    @user-yk5cd7hz2l 3 роки тому +11574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으로 쉽게 잠들기!

    • @MiYo6219
      @MiYo6219 2 роки тому +180

      ㄹㅇ 이거지 ㅋㅋㅋㅋ

    • @fawkesguy6147
      @fawkesguy6147 2 роки тому +34

      잠이 안옴

    • @koina3679
      @koina3679 2 роки тому +148

      잠이 안와서 새벽에 봤는데 2분까지 봤는데 그 뒤로 생각이 안남

    • @user-dn4rp8xe3b
      @user-dn4rp8xe3b 2 роки тому +1

    • @jamiejj368
      @jamiejj368 2 роки тому +22

      ㄹㅇ 잠이 솔솔

  • @user-pe2ih1xb1f
    @user-pe2ih1xb1f 2 роки тому +2384

    아인슈타인이 대단한건 경험해보지도 못한 것을 고민과 상상만으로 현실에 가깝게 고증할 수 있다는 점 같다.... 어떻게 저 시대에 우주 공간을 상상할 수 있지

    • @user-ps3bo8rm7p
      @user-ps3bo8rm7p 2 роки тому +5

      재경험로깝실점치고맛없재

    • @user-ni3jp3bk7o
      @user-ni3jp3bk7o 2 роки тому +17

      @@user-ps3bo8rm7p 뭔 맛타령임

    • @user-uj8ck2xf3r
      @user-uj8ck2xf3r 2 роки тому +54

      증명한건 수학자인 부인일걸여 특수상대성이론도그렇고

    • @LeeYee2
      @LeeYee2 2 роки тому +2

      @택함을 입은자다 후해 -> 후회

    • @user-kn9rm4js1y
      @user-kn9rm4js1y 2 роки тому +1

      @택함을 입은자다 우주가 없으면 토성 목성도 없단거니 지구가 평평하다는 이야기노?

  • @Phalanx1023
    @Phalanx1023 2 роки тому +1494

    우주로 나가본적도 없던때에 상상속의 이론으로 알아냈다는게 진짜 대단한거 같아요

  • @user-ck3vo8qr7b
    @user-ck3vo8qr7b Рік тому +93

    이렇게 쉽게 이야기를 해주는 영상은 물리를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들에게 정말 필수적인 영상이라고 생각하며 예전 사람들의 대단함을 알게해주는 영상이기도 하면서 저같이 물리를 전공한 사람들도 한번쯤 잘못된 개념이나 얕게 알게된 개념 또한 모르는 개념들을 알 수있는 좋은 영상입니다~ 이런 영상 많이많이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mg_ss
    @mg_ss 2 роки тому +841

    캬 진짜 재밌다.. 이런 명품 다큐를 유튜브에서 볼수 있다는건 진짜 행운이다

    • @user-tf5ew8rm9n
      @user-tf5ew8rm9n 2 роки тому +5

      너무 꿀잼

    • @honeydream5764
      @honeydream5764 2 роки тому +4

      맞아요 ㅎㅎ

    • @kimpaul
      @kimpaul 2 роки тому +1

      와 학교시절 이런게 있었으면 과학자가 되었을텐데 ㅎㅎㅎ

    • @dogfootsmellgood
      @dogfootsmellgood 2 роки тому +25

      이런거 원래 그냥 그런데 학교에서 과학시간에 선생님이 틀어주면 졸라재밌음ㅋㅋㅋ

    • @user-rw7sl7gi7s
      @user-rw7sl7gi7s 2 роки тому +1

      ㅇㅈ...

  • @user-kk8kv6by3d
    @user-kk8kv6by3d 2 роки тому +374

    떨어지는게 뭘까... 그것이 도발이라니... 천재들이란

  • @streetwiser9157
    @streetwiser9157 Рік тому +213

    솔직히 완벽하게 이해하진 못했지만 시각적으로 보여주셔서 그나마 좀 더 수월했어요! 이런 과학 영상들이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 @user-cv7li9jm5z
    @user-cv7li9jm5z 2 роки тому +43

    모르겠다는 드립도 어쩌나 재미지게들 하는지 다들 너무 귀여워ㅋㅋㅋ

  • @jonghosaga73
    @jonghosaga73 2 роки тому +340

    집 방구석에서 13분만에 천재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이9년간 고뇌한 지식을 알수있다니 정말 좋은세상이야..

    • @MIRACLE_1
      @MIRACLE_1 2 роки тому +57

      진짜 공감됩니다 남이 몇년, 몇십년을 들여 얻은 지식을 간단하게 얻을수있으니까요...

    • @user-zz5gx5uw1k
      @user-zz5gx5uw1k 10 місяців тому

      멍청아 려설적으로 간간히 이해할수 없다는 뜻이지

  • @mary-wana
    @mary-wana 2 роки тому +466

    인류의 치트키 : 아인슈타인

  • @rickkkkiii
    @rickkkkiii 2 роки тому +12

    감사합니다 잠 안올때마다 계속 보고 있어요! 수면 asmr 보다 더 효과 좋은 것 같아요

  • @allofmeallofus2178
    @allofmeallofus2178 Рік тому +111

    과학적 지식이 소박한 자가 듣기에도 부담 없는 훌륭한 초보자용 영상이네요! 이런 영상을 볼때마다 과학의 위대함과 동시에 박수가 절로 나옵니다.어떻게 이런 사실들을 발견에 이렇게까지 발전시킬 수 있었을까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o-o3480
    @o-o3480 2 роки тому +438

    원래는 다 실험을 했어야 하는데 빛의 속도는 실험이 불가능 하니 다 머리속에서 실험 하셨다고 하네요...ㄷㄷ

    • @Gyul_Myul_Syul
      @Gyul_Myul_Syul 2 роки тому +86

      상상한 걸 객관적 판단 할 수 있다는 게 ㄹㅇ멋짐

    • @user-bq6dn4os5t
      @user-bq6dn4os5t 2 роки тому +9

      @@user-cv9ki1nx3k 원래 과학이라는게 다 가설으로 이루어진걸거임.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통해 증명할수있는거면 실험으로 가설이 옳다는걸 입증할수있는데 실험할수없는 가설은 그 가설이 옳다고 가정하고 다른 이론이나 계산을 한다고 함.
      어디서 본건데 현재 과학계에서 설명하는 우주에대한 수많은 이론들이 한 가설에 기반을 두고있는데 이 가설이 틀리면 다시 처음부터 우주에대한 연구? 같은걸 해야한다고함
      아님말고

    • @dogfootsmellgood
      @dogfootsmellgood 2 роки тому +7

      @@user-cv9ki1nx3k 능지 ㄹㅇㅋㅋ

    • @user-vw6ww8xw6j
      @user-vw6ww8xw6j 2 роки тому

      @@user-cv9ki1nx3k 능지 그거맞음?..

    • @prioritybob8208
      @prioritybob8208 2 роки тому +1

      네 그게 접니다

  • @kokoruko9672
    @kokoruko9672 2 роки тому +240

    이 영상을 보니 상대적으로 어제보다 오늘 더 일찍 잘수 있었습니다 최고의 이론입니다

    • @Wolnok
      @Wolnok 2 роки тому +1

      왜 댓이없누

    • @user-ji5np9ck6u
      @user-ji5np9ck6u 2 роки тому +13

      아 난 이런 댓글이 넘 웃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ps4gt2sv5w
      @user-ps4gt2sv5w 2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ㅋ 미쳤다 ㅋ

    • @user-qe1je9sx2z
      @user-qe1je9sx2z 2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ㅋ 미친 ㅋㅋㅋ

    • @user-nr3he5zs8h
      @user-nr3he5zs8h 2 роки тому +3

      앞으로 같은 시간에 주무시고 싶다면 특수 상대성 이론을 배워봅시다

  • @dreamer2383
    @dreamer2383 2 роки тому +16

    상대성 이론을 쉽게 설명해준다고 해서 영상을 봤는데 아침이였습니다 쵝오~

  • @cumptll795
    @cumptll795 2 роки тому +207

    정말 얼마나 심혈을 기울여서 제작했는지 느껴져요. 감사합니다!!

  • @user-qy6vj2hj9z
    @user-qy6vj2hj9z 2 роки тому +28

    그 시대에 우주공간을 생각했다는 자체만 해도 감탄 밖에 안나오네요..

  • @user-nc5ms5nh2b
    @user-nc5ms5nh2b 2 роки тому +45

    물2 내용이네요 영상이 정말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진것같아요

  • @Hwang_Chem_Engineering_Story
    @Hwang_Chem_Engineering_Story 2 роки тому +2

    화학/화학공학과 전공 관련 강의 동영상이 제 UA-cam 채널에 많이 있어요.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There are many lecture videos about chemistry/chemical engineering majors on my UA-cam channel. I hope it helps you a lot in studying.)^^..

  • @user-un3oj5mh2d
    @user-un3oj5mh2d 2 роки тому +13

    중력이 없는 우주공간의 우주선에서, 우주선이 가속하면 중력과 같은 힘을 받는다. 정말 감명 깊네요.

  • @seojunhan6981
    @seojunhan6981 2 роки тому +95

    상대성 이론,듣기만 해도 어려운데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훨씬 이해하기 쉬워졌어요.다음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 @hwangcaptain_success
    @hwangcaptain_success Рік тому +16

    개인적으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대하여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겪는 ‘인생사’의
    스토리가 많은부분에서 접점이 있다 봅니다😊

  • @user-kt1lz7ie3f
    @user-kt1lz7ie3f Рік тому +8

    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이론을 고민하는 모습은 멋있어 보이네요 ! 원리를 이해하는데 많이 도움이 될 듯합니다.

  • @sarang...
    @sarang... 2 роки тому +50

    영상 제목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쉽게 이해하기!
    영상을 다 본 뒤의 나 : 그래서 상대성이론 설명은 언제 하나.... 어? 끝났네?

  • @htj101052
    @htj101052 2 роки тому +703

    "빛의 물리학" 손에 꼽는 EBS 명다큐....

    • @user-gq5fg3lo2c
      @user-gq5fg3lo2c 2 роки тому +8

      중력은 공간의 움직임이라 버스가 가다가 정류장에서 멈추면 공간의 움직임의 결과물인 중력가속도가 역주행 방향으로의 작용하고 동역학계를 위상기하학으로 표현하면 지구 중력이 작용하는 구간 만큼 압착하고 접고 휘어 만든 지구 둘레의 구 모양이 나타나고 이런 움직임들은 어떤 배율로 보더라도 부분이 전체의 모양과 관계 된 자기 닮음이고 밀가루 반죽처럼 모양이 변해도 사용한 질량은 같아서 움직인 공간의 질량 만큼 시간은 느리게 흐르고

    • @user-tl1ch4uy2w
      @user-tl1ch4uy2w 2 роки тому

      저 이거 책으로 있어요!

    • @arigatogozaimas18
      @arigatogozaimas18 2 роки тому

      크 빛의 물리학 재생목록에 넣어뒀었는데 비공개로 전환해서 못보고 있다가 다시 보니 넘 반갑네요 ㅋㅋ

    • @user-wi4bc8sj9o
      @user-wi4bc8sj9o 2 роки тому +2

      맞아요!!! 자본주의, 강대국의 조건도 훌륭한 다큐에요!

    • @user-tl1ch4uy2w
      @user-tl1ch4uy2w 2 роки тому +1

      @택함을 입은자다 뭐여.... 종교 대통합인겨.,

  • @lininfc
    @lininfc 2 роки тому +66

    8:56 저 우주선 모형 ㄹㅇ 어느 책이든 상대성이론을 설명할때 항상 보이던데 아광속으로 움직일 수 있는 우주선 ㅋㅋ

  • @user-cg5kj3vt5c
    @user-cg5kj3vt5c Рік тому +12

    중1입니다 이 어려운걸 이해하기 쉽게 만드시니 너무 좋습니다

  • @user-oc7gr6bw9i
    @user-oc7gr6bw9i 2 роки тому +32

    게으름도 가속도가있어서 게으를수록 게으른 가속이붙어 왠만한힘으로는 벗어날수가 없당
    그래서 나는 지금도 누워있다.. ㅜ

  • @YooChangSeok
    @YooChangSeok 2 роки тому +705

    13분이라는 시간을 보며 안심하고 쉽게 잘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apple010
      @apple010 2 роки тому +22

      지능올리는시간을 허비하다니

    • @user-kz3ms6bt2i
      @user-kz3ms6bt2i 2 роки тому +4

      ㅋㅋ 말도안되는소리하고있네

    • @jaychoi4710
      @jaychoi4710 2 роки тому +3

      ㅅㅂ진심저수준이 졸립다고? ㅋㅋ

    • @user-te1ls3bn4u
      @user-te1ls3bn4u 2 роки тому +69

      @@jaychoi4710 드립도모르는 10진지충ㅋㅋㅋㅋ

    • @gtefdewf7169
      @gtefdewf7169 2 роки тому +42

      @@jaychoi4710 이런세기특징 : 잘난척하고 톡감 그리고 찐땨인생 끝

  • @mydohoon
    @mydohoon 2 роки тому +7

    너무 흥미롭고 이해가 쏙쏙 잘 되네요 더 보고 싶다

  • @mingkim
    @mingkim Рік тому +7

    빛의 물리학 정말 재밌게 본 다큐인데... 이렇게 유튜브에 올려주시니 좋네요😊

  • @jelee9013
    @jelee9013 2 роки тому +2

    재밌네요! 그냥 듣고 있었는데 자연스럽게 이해됐어요 ㅎ

  • @lilskies3050
    @lilskies3050 2 роки тому +123

    이거 보고 꿀잠 잔다는 사람들이랑 너무 재밌어서 더 찾아보느라 잠 못잔다는 사람들이 엇갈려서 흥미롭네 ㅋㅋㅋㅋㅋㅋㅋ

    • @ezisusj
      @ezisusj Рік тому

      이게 이과랑 문과의 차이,,.??

  • @user-gc7gx5dl2j
    @user-gc7gx5dl2j 2 роки тому +11

    와 이런 채널이 있는줄 이제야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riceyab
    @riceyab 2 роки тому +1

    시간가는 줄 모르고 재밌게 봤어요!! 조금만 길어도 집중이 안 돼서 재미없을 줄 알았는데 13분 순삭이네요...

  • @jkpan
    @jkpan Рік тому +2

    알기 쉽게 잘 설명하네요. 감사합니다.

  • @PACACHO
    @PACACHO 2 роки тому +145

    상대성 이론 어렵다 난 구냥 과학자분들께
    감사하는 마음으로 응원해야지...

    • @hannahj672
      @hannahj672 2 роки тому +1

      나도 응원이나 열심히 할래.. ㅋㅋㅋ

  • @user-vh2sj2eb3d
    @user-vh2sj2eb3d 2 роки тому +286

    와 정말 아인슈타인은 어떻게 저런생각을... 그리고 몇만년동안 인류중에 시대를 잘못타고 태어난 천재들은 또 얼마나 많았을까 ㅠㅠ 몇만년전에도 천재들은 있었겠지만 기술부족으로 상상에서만 끝났을거라고 생각하니까 아쉽네 ㅠㅠ 이 그때당시 천재들이 있었으니 불도 피울 수 있었고 문명발들도 그들이의해 시작되었겠지만

    • @user-qj9im4dc3x
      @user-qj9im4dc3x 2 роки тому +17

      그쵸..이 시대에는 ㅠㅠ 그 때는 핸드폰도 없으니 저렇게 혼자 상상하고 공부하고 많이 했을듯

    • @user-xn8rv4xn5c
      @user-xn8rv4xn5c 2 роки тому +8

      중1 때 생각한거엿는데 어느선생님도 대답안해줌....
      오히려 먼소리냐고 질문이 머냐고 되묻던데 ㅋㅋㅋ
      이걸 이제본 문돌이는 아하 이해합니다.
      나 천잰가?ㅋ

    • @user-gl9fm1eu5m
      @user-gl9fm1eu5m 2 роки тому +13

      사회나 시대가 천재를 만들고 그 천재들이 만든게 지금 세상이니까..사회나 문명 밖에 있는 천재는 없을 것 같아요

    • @user-ks8si7xb8m
      @user-ks8si7xb8m 2 роки тому

      무슨 아인슈타인은 대대적인 지원 받은줄 알겠네 ㅋㅋ

    • @user-kn9rm4js1y
      @user-kn9rm4js1y 2 роки тому +11

      @@user-ks8si7xb8m ㄹㅇ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근데 니들은 저게 진짠지 아닌지 확신이 없고 아이슈타인은 있으니 실천으로 옮긴거

  • @user-vt3qn2hk7k
    @user-vt3qn2hk7k 2 роки тому +3

    머리에 쏙쏙~들어와서 잠안올때 보면 좋겟어용ㅋㅋ

  • @seobang18wang66
    @seobang18wang66 Рік тому +20

    뭐라고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참 유익한 다큐였습니다. 고맙습니다.

  • @channi9708
    @channi9708 2 роки тому +22

    이야.....진짜 잘설명하신다....

  • @excitingpop
    @excitingpop 2 роки тому +6

    11:06 중력 렌즈 현상이 다음과 같은 공간의 휘어짐(중력)으로 인하여 발생한 현상이라 하면 공간에 휘어짐에 존재하는 물체(사람)은 어떻게 행성의 자전(원심력)을 저항할 수 있는 건가요?

    • @houho6068
      @houho6068 2 роки тому +3

      원심력보다 중력으로인한 구심력이
      강하기때문에 사람은 지구방향으로
      중력가속도를 받음

    • @YANGBAECHU.
      @YANGBAECHU. 2 роки тому

      @@houho6068 좋은 설명!

    • @user-ft7ey3wn1k
      @user-ft7ey3wn1k 2 місяці тому

      ? 왜 밖으로 안팅겨나가냐구요?
      중력이 300배 더 쎄서요

  • @Lucky-xn9vj
    @Lucky-xn9vj 2 роки тому +427

    아인슈타인은 이걸 직관적으로 알아냈다는게 미친 능력....

    • @always22_63
      @always22_63 2 роки тому +9

      직관적 ㅈㄹ 하네

    • @user-fc6sb4gd1s
      @user-fc6sb4gd1s 2 роки тому +17

      아인슈타인도 한번에 알아낸 게 아니에요. 수많은 고찰과 자신의 이론에 대한 수많은 증명을 통해 확신을 가지게 된거죠

    • @Rageul
      @Rageul 2 роки тому +11

      직관으로 연구할 계기를 얻은거지;;

    • @Beentomoon
      @Beentomoon 2 роки тому +2

      갠적으로 능력보단 집착이 더 컸다고 본다.

    • @JJUNG__
      @JJUNG__ 2 роки тому +7

      @@Beentomoon 능력이 있으니깐 알아냈죠 우리들은 뒤질때까지 해도 못함

  • @simPumpsimPump
    @simPumpsimPump 2 роки тому +13

    와 정말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되지 않았어요! 감사합니다

  • @user-zg7ob8ns2l
    @user-zg7ob8ns2l 2 роки тому +11

    많은 부분이 생략되서 더 어려워졌네요.. 많은 이야기를 담고자 해서 그런 것 같아요.

  • @user-od9ce9ki2f
    @user-od9ce9ki2f 2 роки тому +78

    저의 자장가인 다큐 '빛의 물리학' 일부네요
    전 아예 다운 받아서 저장해 놓고 자기전에 귓가에 틀어놔요
    양자역학 편은 수면에 드는 시간이 더 빨라진답니다

    • @FoxFlower0826
      @FoxFlower0826 2 роки тому +1

      난이도에 비례해서 빨라지나요ㅋㅋㅋ

    • @chwawa4759
      @chwawa4759 2 роки тому

      불면증 있는데 기억해두어야 겠어요

    • @peachealry4298
      @peachealry4298 2 роки тому

      다큐이름까지 꿰고있엌ㅋㄱㄱㅋㄱㄱㄱ

  • @KJ-tl8ct
    @KJ-tl8ct Рік тому +12

    책으로 이해 안되서 이걸 봤는데 너무 이해가 잘돼요. 감사합니다

  • @anetteseong987
    @anetteseong987 2 роки тому +13

    학교 교과서에서 배운 지식은 앝은 지식이네요. 이러한 다큐가 도움이 많이 되네요.

  • @analog1170
    @analog1170 2 роки тому +5

    와 너무 재밌네요! 꿀잠잤어요~!

  • @yoooiyoooiyo658
    @yoooiyoooiyo658 2 роки тому +30

    1:01 떨어지는 건 뭘까? 이 간단하고도 단순한 스스로에 대한 질문이 세상을 바꾸는 이론을 탄생시키지

  • @DaddyNa
    @DaddyNa 2 роки тому +19

    기가막힌 설명이네요 대략은 이해가 되요 짱짱입니다!!

  • @abxjsjcnjencnf
    @abxjsjcnjencnf 2 роки тому +41

    와 너무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하지 못했어요. 감사합니다

  • @kikikim5480
    @kikikim5480 2 роки тому +116

    기차속도가 빨라지면 원의 둘레가 작아진다는 부분에서 저는 포기합니다. 여러분은 이해하세요~

    • @stmangidfges
      @stmangidfges 2 роки тому

      저도 나름 끙끙대며 어느정도 이해하고 보다가 그 부분에서 포기했어요 ㅋㅋㅋㅋㅋㅋ

    • @sujinlee973
      @sujinlee973 2 роки тому +5

      나만 모지리가 아니였...다는 안도.... ㅡ🤭

    • @user-wd4jt3wm7d
      @user-wd4jt3wm7d 2 роки тому +7

      빠른속도는 중력을 더 받게 되요 원심력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 @kikikim5480
      @kikikim5480 2 роки тому +2

      @@user-wd4jt3wm7d 여긴 이해 못 한 사람들만 댓글 달았으면 좋겠네요.

    • @user-pd2ph5zz4j
      @user-pd2ph5zz4j 2 роки тому +4

      @@kikikim5480 이해 좀 하자

  • @MargotToday
    @MargotToday 2 роки тому +48

    떨어지는건뭘까 라니… 그런 고민을 한다는거 자체가 대단하다..

  • @dankim8196
    @dankim8196 2 роки тому +3

    진짜 궁금하고 재밌어서 보러오는건데 늘 잠들어서 또 보러옵니다

  • @user-hc4nf1gp2r
    @user-hc4nf1gp2r 2 роки тому

    유익한 프로그램. 쭈욱 부탁드립니다

  • @marvel6178
    @marvel6178 2 роки тому +5

    덕분에 숙면했습니다~! 아이 개운해

  • @user-po8xk4pd9j
    @user-po8xk4pd9j 2 роки тому +8

    정말 재밌는 물리학 ㅎㅎ

  • @lachesish125
    @lachesish125 2 роки тому +4

    태양 뒤 별을 별을 볼 수 있는 이유
    공간이 휘어지기 때문입니다!! 👀
    소름 돋았어요😱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 @user_lemon_
    @user_lemon_ 2 роки тому +1

    일주일 내내 새고를 아무리 해도 제 유튜브 피드 탑3에 꾸준히 있네요.. 영상 보면서 이해해 보ㄱ

  • @zj6983
    @zj6983 2 роки тому +380

    뉴턴의 시대가 끝났다는 말이 너무 멋짐 ㄹㅇ..

    • @user-gq5fg3lo2c
      @user-gq5fg3lo2c 2 роки тому +9

      움직이는 우주선 안에 전자가 위아래 수직 운동했더니 밖에서는 사선으로 움직이는데 우주선 안에서는 상하로 움직여서 빛은 속도가 일정하다고 상정하면 우주선 안에 시간이 느리게 움직이면 그게 가능하다. 근데 상대가 볼수 있는 빛보다 내가 볼 수 있는 빛이 더 길다.

    • @user-im3qw4rq7b
      @user-im3qw4rq7b 2 роки тому +8

      유턴의 시대가왔노

    • @Gyul_Myul_Syul
      @Gyul_Myul_Syul 2 роки тому +63

      @@user-im3qw4rq7b 닉넴 더럽고 드립 한심

    • @hxxn0
      @hxxn0 2 роки тому +11

      @@user-im3qw4rq7b 좆노잼인거 본인도 앎? ㅋㅋ

    • @user-ic8bt4hb3r
      @user-ic8bt4hb3r 2 роки тому

      @@user-gq5fg3lo2c 데 데 데 데 씨발 한문장이 무슨 티타노보아임?

  • @CharlesKing007
    @CharlesKing007 2 роки тому +14

    개인적으로 많은 과학 유튜브채널을 보는데 아무리 전문 유튜버여도 방송국이랑 차이가 많이 나는구나 역시 EBS 퀄리티가 넘사벽이네

    • @CharlesKing007
      @CharlesKing007 2 роки тому

      @@KimChungKi 이미 북툰 초창기부터 애청자 입니다 ㅎㅎ

  • @user-oq7ye9js8p
    @user-oq7ye9js8p 2 роки тому +10

    아진짜 너무 재밌어요 너무너무너무 흥미로워요. 요즘 천문학쪽에 빠져가지고 물리학까지 관련영상 다 찾아보는데 너무 재밌어요

  • @user-ox1bx7bo5m
    @user-ox1bx7bo5m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주 유익해요❤

  • @user-jo5bn9vk3j
    @user-jo5bn9vk3j 2 роки тому +4

    2:30 앞으로 갈때 몸이 뒤로 쏠리는 이유는 관성때문인데, 자동차에서는 조금 지나면 속도를올리지 않고 일정한 속도를유지하면 공기도 같은 속도로 움직여 관성때문에 몸은 쏠리지 않는다고 배웠습니다 근데여기서는 계속 간다고 하는데 우주에서는 우주선 안의 공기가 같이 움직이는것 외에 이와 관련된 다른 무언가가 있나요? 우주에서 중력 만들때는 원심력 이용하는것만봐서요

  • @user-lp5yd5oo1h
    @user-lp5yd5oo1h 2 роки тому +11

    보면 볼수록 들으면 들을수록 과학자들이 대단하다고 생각하지만...우주가 갖고 있는 정보는 우린 얼마나 알고 있는걸까..

  • @Maaaaarrk
    @Maaaaarrk 5 місяців тому

    잠에서 일찍 깨버렸는데 바로 수면에 들게 해주셔 감사합니다❤

  • @hsy4795
    @hsy4795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잠이 잘오네요

  • @haneoly
    @haneoly 2 роки тому +32

    진짜 불면증 치료에 최고네요 유익합니다!

  • @user-rh7yn6nl9t
    @user-rh7yn6nl9t 2 роки тому +157

    저도 학교에서 물리를 배울 때 상대성 이론에 대해 배운 적이 있는데, 그건 정말 얕은 지식에 불과했네요. 이런 심오한 과학적 지식을 재미있게 풀어서 방송 해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 @user-wo5mt9sn7h
      @user-wo5mt9sn7h 2 роки тому +3

      물리에 제대오 빠져보면 재미는 있음.. 입시위해서 공부하는건 죽을맛이지만ㅜ

  • @CharlieDOGE
    @CharlieDOGE 2 роки тому +2

    빛의물리학 1~6부 틀어놓으면 꿀잠잘수있다🔥🔥🔥

  • @microcosm815
    @microcosm815 2 роки тому

    너무 재밌다. 감사합니다.

  • @user-nv3md8jx9k
    @user-nv3md8jx9k 2 роки тому +4

    어릴때부터 존나 궁금했던 대답을 40년이 지나서 알게 됐네요!!~ 감사합니다.

  • @seagugu
    @seagugu 2 роки тому +98

    역시 우주란 넓고 심오하다 13분 짜리 영상을 봤지만 난 8시간을 여행을 하고 깨어났다
    아인슈타인 상대성 이론이 이렇게 쉽게 이해되다니 시간은 상대적으로 흐른다? 역시 과학자

    • @user-gq5fg3lo2c
      @user-gq5fg3lo2c 2 роки тому

      움직이는 우주선 안에 전자가 위아래 수직 운동했더니 밖에서는 사선으로 움직이는데 우주선 안에서는 상하로 움직여서 빛은 속도가 일정하다고 상정하면 우주선 안에 시간이 느리게 움직이면 그게 가능하다. 근데 상대가 볼수 있는 빛보다 내가 볼 수 있는 빛이 더 길다.

    • @star0303
      @star0303 2 роки тому +39

      잘잤노?

    • @user-by7zf8iz6t
      @user-by7zf8iz6t 2 роки тому +1

      역시 꿀잠엔 상대성이론만한게 없지

  • @foliinorderbfs11
    @foliinorderbfs11 2 роки тому +7

    발상이 어렵고, 과정이 어렵지만 결과의 이해는 시간이 걸릴뿐 웬만하면 다 이해한다. 위대한 과학자들은 발상과 과정이 대단한것. 상대성이론의 발상과 상대성이론의 과학적 해석 이게 대단한거지.

  • @user-lo3qj1ob8y
    @user-lo3qj1ob8y 2 роки тому +2

    죄송한데 영상에 설명대로라면 처음엔 에딩턴이 찍은 별 사진을 보고 아인슈타인이 이론을 만들게되는데, 나중에는 아인슈타인의 가정에 의해 에딩턴이 사진을 찍게된다고 나와있네요. 그러면 처음에 에딩턴이 우연히 사진을 찍었고 아인슈타인이 이론을 만드는데 도움을 준건가여????

  • @lk3127
    @lk3127 2 роки тому +37

    처음으로 공간이 휘어졌다는 걸 이해했어요 지구본 비유가 너무 적절했어요

  • @Radon848
    @Radon848 Рік тому +3

    감사합니다 덕분에 불면증이 치료되었습니다

  • @Jismylovelanguage
    @Jismylovelanguage Рік тому +1

    최고의 ASMR
    감사합니다

  • @user-hp2vx1ez6f
    @user-hp2vx1ez6f 2 роки тому +1

    설명이 좋네요.

  • @Ranghyuk
    @Ranghyuk Рік тому +10

    원래 평소에 과학에 흥미가 없었는데, 저 시대에 상상속의 이론으로 알아낸다는게 정말 흥미롭고 대단한 것 같아요!

  • @mcmt
    @mcmt 2 роки тому +15

    10:47 이 부분은 3차원 공간의 휘어짐을 2차원으로 비유한 겁니다
    우주의 팽창을 보통 풍선표면으로 비유하는데 이것도 3차원을 2차원으로 비유한 겁니다

    • @Sunmin-Kim
      @Sunmin-Kim 2 роки тому +1

      아 완벽히 이해했어! (이해못함)

    • @xlwpu0efdwer
      @xlwpu0efdwer 2 роки тому

      사람의 뇌는 고차원을 이해못하니 차원 한단계 낮춰서 비유해야 이해하죠..
      아무리 천재라도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우주의 모든걸 알 수는 없을겁니다ㅜㅜ

  • @dmd6366
    @dmd6366 2 роки тому +9

    9:37부터 끝까지 과정부터 결과까지 완벽했고 진짜 감탄함

  • @user-tn8ho6er3q
    @user-tn8ho6er3q 2 роки тому

    잠드느라 끝까지 보질 못하네요 수면영상 감사함니다!

  • @cyan5187
    @cyan5187 2 роки тому +66

    쉬운건 오래 설명하고 어려운건 이건 이렇습니다 하고 빨리 넘어가버리네요. ㅎㅎㅎ

    • @user-ks8si7xb8m
      @user-ks8si7xb8m 2 роки тому +4

      어차피 수식 보여주며 어려운거 설명해도 넌 이해 못하자나

  • @user-ck5rj2xd2s
    @user-ck5rj2xd2s 3 роки тому +123

    1:32 당연히 한국어 더빙인줄 알았는데 입모양이 한국어라서 놀람 ㅋㅋㅋㅋ

  • @dontseethis
    @dontseethis Рік тому +1

    와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는건 처음이여

  • @kkamnyangkkamnyang
    @kkamnyangkkamnyang 2 роки тому

    영상 잘 들었습니다

  • @user-fl5jw2cq4t
    @user-fl5jw2cq4t 2 роки тому +46

    분명 한국어를 사용해 만들어진 영상이고 이 영상을 다 보았음에도 무슨 말인지 왜 이런걸 연구했는지 일도 이해가 안감 ㅋㅋㅋㅋ 정말 저 세상 얘기네요 ㅜㅜ 미안해요 아인슈타인

  • @ahimotuv6797
    @ahimotuv6797 2 роки тому +101

    질량이 있는곳에선 공간이 휘어짐. 중력은 공간이 휘어져 발생한다. 휘어진 공간에선 빛도 휘어진다.............. 이렇게 이해보단 암기가 훨 쉽다는걸 아이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증명해준다.

    • @ssiwqdzk
      @ssiwqdzk 2 роки тому +1

      중력가속도

    • @user-dw1wk7qs3w
      @user-dw1wk7qs3w 2 роки тому

      그래서 생겨난게 아인슈타인 십자가

  • @user-xc3lj1so2i
    @user-xc3lj1so2i 2 роки тому +3

    와 근데 진짜 잠 잘온다.. 수면제 역할 톡톡하네 아인슈타인 굿굿 👍

  • @songsong7778
    @songsong7778 2 роки тому

    잘잤네요. 감사합니다

  • @cyk1804
    @cyk1804 2 роки тому +3

    와 시험공부가 재미있어지는 매직~

  • @allgrade7379
    @allgrade7379 2 роки тому +4

    젠장...1주일째 영상을 보는데 3분 20초에서 자꾸 잠이든다...하 내일 또 봐야....

  • @user-nw6vy7kx6r
    @user-nw6vy7kx6r Рік тому +6

    보면서 생각한건 진짜 하나밖에 없다.
    "대체 이걸 어떻게 알아낸걸까..."
    영원토록 기억될 천재다 아인슈타인

  • @user-cl3lz5cc8p
    @user-cl3lz5cc8p 2 роки тому +5

    1:18 괜찮아 자연스러웠어

  • @user-cq7yp5gi6d
    @user-cq7yp5gi6d 2 роки тому +5

    너무관심없고 우연히보다 계속봤는데
    빛도 영향을받는다는걸 처음 알았네요

  • @MrKimdaihyun
    @MrKimdaihyun 2 роки тому +8

    과학은 참 어렵군요. 별빛이 행성의 중력 때문에 휘어진다니.. 그럼 우리가 관측하는 아주 먼 곳의 별빛을 거꾸로 거슬러가도 그 자리에 있을 거란 확신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그 중간에 있을 수많은 행성들에게 간섭 받으며 휘어져 도착한 빛일 텐데요

  • @tlsgydbs
    @tlsgydbs Рік тому

    너무 재밌어요❤️

  • @seoulin6925
    @seoulin6925 2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좋습니다!!! GOOD!!!
    고맙습니다!!!THA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