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왔다 박교수 시즌 5] 혈당 어디까지 낮출까 / 상계백병원 가정의학과 박현아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혈당 관리는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적절한 혈당 수치는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하고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목표 혈당 수치는 어느 정도가 좋을지, 상계백병원 가정의학과 박현아 교수와 균형 잡힌 혈당 관리 함께 해보시죠.
    #혈당 #혈당관리 #당뇨병
    담당: 김동현 최희선
    의학채널 비온뒤를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로 추가하고 최신 의학정보를 받아보세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의학채널 비온뒤 카카오톡 pf.kakao.com/_...
    ▶ 의학채널 비온뒤 카카오 TV tv.kakao.com/c...
    ▶ 의학채널 비온뒤 네이버 TV tv.naver.com/a...
    ▶ 의학채널 비온뒤 네이버 치지직 chzzk.me/after...
    ▶ 의학채널 비온뒤 페이스북 / aftertherain.kr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비온뒤 멤버십 💙
    비온뒤 채널에 있는 가입 버튼을 통해 멤버십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멤버십에 가입하시면, 비온뒤 멤버 여러분께 제공되는 다양한 혜택 중 하나로 라이브 질문 시 최우선으로 답변을 드리고 있습니다!
    “영상 내에서 언급되는 정보는 건강/의학에 대한 정보입니다. 진료를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 비온뒤의 재밌고 유익한 영상과 더 함께하고 싶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많이 눌러주세요!
    ✔ 비온뒤 공식채널
    홈페이지 | aftertherain.kr
    00:00:00 [왔다 박교수 시즌 5] 다섯 번째 시간.
    00:01:46 🩸혈당 어디까지 낮출까?
    00:02:45 50대남성, 스텐트삽입, 당화혈색소 7.3%
    00:06:08 저혈당의 위험성과 환자의 혈당 조절에 관한 설명
    00:08:47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목표와 연속 혈당 측정
    00:14:33 당화혈색소와 심혈관계질환에 관한 실험 연구
    00:17:21 혈당 관리에서 유연한 조절이 중요한 경우
    00:22:25 Take home message
    00:25:00 질문 답변 시간
    00:34:40 음료수의 위험성
    00:40:00 식사 후 혈당 스파이크를 잡는 법

КОМЕНТАРІ • 48

  • @aftertherainkr
    @aftertherainkr  8 місяців тому +8

    박현아 교수님의 신간 [약 없이 건강해지는 식습관 상담소]는 아래 링크를 통해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737877
    예스24 - www.yes24.com/Product/Goods/125543613
    알라딘 - aladin.kr/p/DqWiG

  • @김선희-h5f
    @김선희-h5f 2 місяці тому

    교수님 강의 듣고 공부 많이 하고 이습니다.알아 듣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선생님이랑 같은 세대에 살고 있다는게 행운입니다.

  • @문정원-r2y
    @문정원-r2y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유익한 당뇨정보 영상 잘봤어요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자광심-e8u
    @자광심-e8u 8 місяців тому +3

    박현아 교수님 언제나 상세한 말씀 감사합니다 살면서 많은 도움 되고 있습니다 🎉🎉🎉

  • @solee1126-y3n
    @solee1126-y3n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와우 감사합니다
    당뇨인으로서 희소식이네요
    선생님 건강하세요~❤

  • @scyu13
    @scyu13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용감한 설명 감사합니다.
    저도 이 문제로 주치의 샘과 갈등이 좀 있었습니다 ~

  • @안석동-j5g
    @안석동-j5g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존경합니다 너무너무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오늘도좋은하루되세요 ~^^

  • @Paradox-i2d
    @Paradox-i2d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이유리-f5n
    @이유리-f5n 7 місяців тому

    세세하고 친절한 말씀 감사드립니다.많은 도움 되네요~

  • @권순자-f8y
    @권순자-f8y 7 місяців тому

    알기쉽게설명해주셔서 잘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옥순-y6e
    @이옥순-y6e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선생님 설명감사합니다

  • @daesikkim9682
    @daesikkim9682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박현아 교수님 감사합니다. 수치가 전부가 아님을 알려주셨습니다

  • @jungzimin2002
    @jungzimin2002 5 місяців тому

    당뇨전단계진단받자마자 써큐시안복용하고있는데
    병원에서도 관리잘하고있다고 칭찬받았어요!

  • @cho7290
    @cho7290 7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aftertherainkr
    @aftertherainkr  8 місяців тому +3

    00:00:00 [왔다 박교수 시즌 5] 다섯 번째 시간.
    00:01:46 🩸혈당 어디까지 낮출까?
    00:02:45 50대남성, 스텐트삽입, 당화혈색소 7.3%
    00:06:08 저혈당의 위험성과 환자의 혈당 조절에 관한 설명
    00:08:47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목표와 연속 혈당 측정
    00:14:33 당화혈색소와 심혈관계질환에 관한 실험 연구
    00:17:21 혈당 관리에서 유연한 조절이 중요한 경우
    00:22:25 Take home message
    00:25:00 질문 답변 시간
    00:34:40 음료수의 위험성
    00:40:00 식사 후 혈당 스파이크를 잡는 법

  • @광우이-s1b
    @광우이-s1b 7 місяців тому

    유익한정보감사합니다

  • @jkn-e4o
    @jkn-e4o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목포에서 봅니다

  • @둔발이
    @둔발이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두 왔습니다.

  • @쭈니-k5g
    @쭈니-k5g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비시가 아니고
    비치 입니다.
    "빛이"

  • @심혜숙-v3v
    @심혜숙-v3v 7 місяців тому

    당화혈색소 5•8이면 위험수치인가요?5•6에서 시작되네요.72세 여성입니다. 어지럼증이 공복일때 느껴져요.

  • @유임선-o8w
    @유임선-o8w 8 місяців тому

    박교수님 또박또박 말씀은
    정말 감동입니다 ~~
    너무 감사드리며 교수님
    늘!! 건강하시길요 👍❤️🙏

  • @안젤라-y7f
    @안젤라-y7f 2 місяці тому

    68세 마른당뇨입니다 당뇨4년째 당뇨전 보다 10키로빠졌어요 음식 조심가리고 먹고 날마다 7천~만보걸어요 불면증도있고요 근육다빠졌어요 아침저아마릴정과 메트로민175 저녁 아마릴정만 먹은데 아침혈당 150나와요

    • @blackhole6970
      @blackhole6970 Місяць тому

      마른당뇨인 들은 식사를 가정식으로 탄수화물(2/3공기)과 반찬도 고루~고루..단백질 섭취도 자주 하면서 약먹고 운동 꾸준히 하시면 혈당도 조절이되고 체중도 유지 할수 있읍니다..

  • @김지운-b3s
    @김지운-b3s 7 місяців тому

    노인 당뇨병 당치수 내리는것보다 6.5평균치를 유지하면서 저혈당으로 떨어지지 않케 하는것이 더중요하다고 하는것이 맛는가요

  • @d3n-l4x
    @d3n-l4x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가정에서 쓰는 혈당계에 대한 언급을 하시는 분들은 없네요 , 저도 최근에 경험한 한개의 손가락에서 한개의 혈당계로 몇번의 혈당지로 검사해도 같거나 비슷하거나 한 수치가 안나온다는 사실을. 몇개의 혈당계로 테스트 수치는 천차만별로 틀리게 나온다는 어느 기기가 나의 혈당수치로 정확한 모르겠더라고.....

  • @김성태-n5w
    @김성태-n5w 5 місяців тому

    미모이시고 설명도 잘하시고 ㅡㅡㅡ

  • @안젤라-y7f
    @안젤라-y7f 2 місяці тому

    마른다요 살안빠진약있나요😊

  • @왕현희-d2w
    @왕현희-d2w 8 місяців тому +2

    교수님 늘 존경합니다.
    여쭤볼게 있어서요.
    제가 3개월째 손톱색깔이 주황색으로 변해있어요.
    피부과에서는 가정의학과에 가서 진료해보라 하더라고요.
    저는 간경변초기이긴한데요.
    그래서 손톱색깔이 주황색으로 변할걸까요?

    • @hsc247
      @hsc247 8 місяців тому

      당근 많이 먹어도 주황색으로 심하게

  • @jahnyify
    @jahnyify 8 місяців тому +2

    1. 체혈수치보다 10-30% 항상 높게나옴.
    그러나 오차 정도가 일관성이 없어 감안하기 어려움
    2. 당화혈색소 5.8인 사람에게는 오차가 너무 크게 느껴져 참고하기 부적절하다고 생긱됨

  • @심혜숙-v3v
    @심혜숙-v3v 7 місяців тому

    참고로 65에 95정도 저혈압입니다 .

  • @songlee3196
    @songlee3196 8 місяців тому +15

    선생님 살이 빠지는 이유는 당뇨가 시작돤걸까요? 4계월만에4 kg 빠졌네요. Glucose 공복 106, 당혈섹소 6.1 입니다 약응 아직 안먹고있어요 약 안먹고 고쳐볼려고요

    • @윤문식-x7m
      @윤문식-x7m 8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정도 당화는 살빠짐과 상관업니다

    • @J.H_Lee
      @J.H_Lee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당뇨는 고칠수있는 병이 아니더라고요
      꾸준히 관리해야 하는 병이죠

    • @조형순-u4k
      @조형순-u4k 8 місяців тому

      106은 당뇨병 아닙니다

    • @kyungnamcha5898
      @kyungnamcha5898 8 місяців тому

      106은당료아닌데요??

    • @sobu105y
      @sobu105y 8 місяців тому +22

      당화혈색소 6.1%,공복혈당 106 mg/dl은 통상 당뇨는 아니지만 당뇨전단계(pre diabetes)라고도 할수 있습니다.보통 괜찮다고하지만 그의미를 잘알아야합니다.
      귀하의 나이는 모르지만 당뇨,당뇨전단계에 도달하는 것은 거의 십수년만에 나타나는 것임. 십수년동안 고탄수화물,가공식품섭취,끊임없는 섭취 등으로 체내에 들어온 당분을 조정하기위해 체장에서 나온 인슐린의 양이 끊임없이 증가하고 오랜시간 체내에 고인슐린이 존재하여 인슐린 저항성이 생긴것임.
      즉 적정 혈당을 유지하기위한 인슐린의 양이 젊고 건강한 사람보다 거의 20배나 나와 유지되는 경우도 있음.
      비록 공복혈당이 106mg/dl 이지만 엄청많은 인슐린의 분비상태에서 힘들게 106을 유지한다고 봐야함.여기서 이런 식습관,생활환경이 이어지면 어느시점 점점 인슐린이 혈당을 조절못허는 상황에 이르면 당뇨로 되는것임.
      지금 이정도 괜찮을때 식습관,생활여건 개선하면 당뇨는 거의 대부분 완치됨.
      저는 만 70세,2년전 당화혈색소 7.5% 로 당뇨진단 받았으나 지금은 당화혈색소 6.1% 로 아무약 먹는것 없이 정상화되어 가는 중임. 식단은 Keto Diet 1년반,6개월전부터는 Carnivour Diet 중이며, 근육운동(Gym 이틀에 한번.유산소운동-조깅,산보 매일)하고 있음. 외국에 거주로 Carnivour 환경이 좋음. 그리고 하루 2식하며 저녁이후 아침의 공복기간를 통상 16시간 지키고 있음.
      그결과 혈압은 지극히 정상이되었고(120 80이하),체중은 2년간 10% 빠지으나 체지방 18%BMI 24 로 체형 좋아졌음.
      "인슐린 저항성"이모든 당뇨포함 혈압,비만,치매,관절염,통풍,등등 만성대사질환의 주원인 임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공부하여 개선하면 다 해결됨. 건투를 빕니다

  • @미향변-s2e
    @미향변-s2e 7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이쁘신데요

  • @이영우-y7j
    @이영우-y7j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나간다

  • @이영우-y7j
    @이영우-y7j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서론이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