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사를위한 뇌졸중치료 팁★초반 관절운동 #2 상지 편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5 чер 2021
  • 뇌졸중 치료 초반, 수동관절운동시 효과를 보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사항. # 2 상지 편 입니다.
    1 하지 편
    2 상지 편
    3 근길이 변화 편 (스트레칭을 하면 진짜 늘릴수 있을까?)
    [뉴힐링라이프 재활운동센터 안양점]
    블로그
    blog.naver.com/thegood0414
    인스타그램
    : expert_pt.moon
    #뇌졸중관절운동 #편마비재활운동 #뇌졸중상지재활

КОМЕНТАРІ • 27

  • @pt181
    @pt181  3 роки тому +3

    open.kakao.com/o/saxgD1ld
    궁금하신 사항은 여기로 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youbee0616
    @youbee0616 Рік тому +12

    영상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받았습니다. 환자를 위한 치료영상은 되게 많은데 치료사를 위한 영상이며 질적인 강의를 무료로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cd7bd8jg6l
    @user-cd7bd8jg6l Рік тому +2

    너무 유익한 내용이네요.

  • @ep4572
    @ep4572 Рік тому +1

    선생님 정말 좋은강의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될거 같아요 ㅠㅠ

  • @user-ce3dq8wu2t
    @user-ce3dq8wu2t 3 роки тому +3

    와... 정말 ROM exercise 를 단순 관절움직임으로만 적용했었는데 이런 이론과 근거를 가지고
    하게된다면 환자분들의 초기 예후에 상당히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pt181
      @pt181  3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더 좋은 내용으로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 @dheuisjebhbee9139
    @dheuisjebhbee9139 9 місяців тому

    Very nice video, can someone explain a bit using English?🙏🏻🙏🏻🙏🏻really want to learn as an occupational therapist, recently encountered so much stroke patients with low level😢really want to help

  • @user-tw5kf7qi1p
    @user-tw5kf7qi1p Рік тому

    영상 요약을 하자면 scapula를 elevation 시켜주고, retraction 시켜준 채로 ROM ex 가져가라는 뜻인거죠? 선생님?

  • @sangsreview3297
    @sangsreview3297 2 роки тому

    전에 저는 왼쪽팔을 위로 올리지못하고 어깨통증이 심해서 치료사분이 frozen shoulder를 의심하셨는데 육개월간 팔운동만으로 지금은 완전히 펴집니다 근데 손가락은 엄지 검지빼고 접혀있어요 손가락운동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왼쪽마비입니다 걷는건 조금씩 좋아지는게 보이는데 손이 문제네요 ㅠㅠ

    • @pt181
      @pt181  2 роки тому +1

      네~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손 기능 증진에 대한 운동 영상도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angsreview3297
      @sangsreview3297 2 роки тому

      @@pt181 감사는 제가해야하죠 미국이라 불편한게 한둘이 아니네요 치료사분들도 미국분들이라 다 영어로만 전에 백니를 물어보니 한분도 모르시더라고요 백니가뭐냐니 배드니말하냐고 ㅋㅋ 결국 제가 찾아 물었더니 저는 아니라네요 ㅋㅋ 휴~

    • @pt181
      @pt181  2 роки тому +1

      @@sangsreview3297 아~ 빽니라는 표현은 정확한 표현이 아닙니다. 네이티브가 아닌 국가, 대표적으로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쓰는 콩글리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르는게 당연한 것입니다.
      정확한 표현으로는 knee hyperextension 또는 genu recurvatum 이라고 합니다. 혹시나 물어볼 상황이 있을시 위의 단어로 표현해주시면 알아들으실 겁니다~~!!

    • @sangsreview3297
      @sangsreview3297 2 роки тому

      @@pt181 knee hyper extension이라고 하니 바로 알아듣더라고요 그리고 저는 해당사항이 아니라고하네요. ^^

  • @user-lb7yi1nm8g
    @user-lb7yi1nm8g 2 роки тому

    선생님 테니스 엘보우가 왔을때 어떻게 운동해야하는지도 알고 싶어요ㅜㅜ

    • @pt181
      @pt181  2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테니스엘보우에 대해,,, 문의하신 운동에 대한 부분만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근육이 늘어나게 되면 부하가 많이 걸리고 손상당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즉, 초기 운동은 테니스엘보우 관련, 즉 wrist extensor가 늘어나지 않은 범위 즉 mid range 이하인 inner range 에서 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테스트도 그 근육을 늘려서 하잖아요? 즉 out range에서의 운동은 통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재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고요.
      즉, 어떤 운동을 하든 손목 신전근이 부하를 덜 받는 범위 즉 ,wrist extensor가 짧아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운동하시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테니스엘보우에 대한 영상이 아니어서 임의적으로 운동에 대한 부분만 간략하게 설명하였습니다.
      조금 시간이 걸리겠지만 테니스엘보우에 대한 영상도 준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u6bj7ht1w
    @user-yu6bj7ht1w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선생님.
    보통 병원에서 선생님들이 어깨가 빠졌다고 팔뼈를 어깨뼈에 집어 넣어야 한다고
    으쓱 으쓱 많이 시키던데..
    이렇게 운동하는 것이 맞는 방법인가요?.

    • @pt181
      @pt181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어깨가 빠졌다는 것은 어깨와 팔이 처져있음으로 인해서 어깨 관절이 벌어진 것입니다. 그래서 어깨를 끌어올리는 형태의 운동은 좋은 운동이 됩니다.
      즉, 목적은 어깨를 끌어올려 어깨 관절을 맞추는 것입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운동 방법 중 하나가 으쓱하는 운동이 되는 것이고요. 운동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니 다른 운동도 함께 해주시면 더 좋은 효과를 볼 수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yu6bj7ht1w
      @user-yu6bj7ht1w 2 роки тому +1

      @@pt181
      말씀 감사합니다. ^^♡♡
      선생님 께서 여러 운동 방법이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혹시 가능하시다면 이런 주제로도 영상 한번 만들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늘 건강하시고 번창하세요..
      감사합니다

    • @pt181
      @pt181  2 роки тому

      네^^ 응원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youbee0616
      @youbee0616 Рік тому

      짧은 견해지만 hemi나 오랜 침상생활로 인해 어깨 근육이 많이 위약된 상태이므로 괜찮다고봅니다 하지만 neck과 scapular를 이용한 어깨 elevation보다는
      견갑을 치료사가 고정함으로써 팔뼈를 elevation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라 봅니다

  • @user-ke2jq4ik6b
    @user-ke2jq4ik6b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손가락이 완전 이완이라 아무리 치료해도 나아지질 않네요. 그냥 주구장창 rom하는 법밖에 앖나요?

    • @pt181
      @pt181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ROM관련 수동운동의 목적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이완이 목적입니다. 이미 이완되어있는데 이완을 목적으로 하는 수동운동(PROM) 및 스트레칭은 도움이 안될듯 합니다.(이미 이완되어 느슨해져있는데 굳이 더 이완시킬 필요는 없으니까요)
      이완성 마비인 경우,,, 근 긴장도를 올려야 합니다. 근 긴장을 올리는 방법의 가장 기본은 자세(position) 입니다.
      제가 직접 평가하여 확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히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병원에 다니고 계신다면 담당선생님에게 문의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 @user-ke2jq4ik6b
    @user-ke2jq4ik6b Рік тому

    근데 안펴지는 게 관절의 문제라면, 관절을 억지로 펼 수 없댓잖아요. 이럴땐 어떻게 하나요?

    • @pt181
      @pt181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관절 구축의 경우 억지로 하면 관절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관절 구축이 어느정도인지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관절 가동술과 같은 테크닉을 이용하여
      신중히 접근하여야 합니다. 근육 등과 같은 연부조직과 다르게 관절 손상은 회복이 어려우니 관절의 문제일시 스스로 하는 것보다 초반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kiss0803a
    @kiss0803a 2 роки тому

    선생님 안녕하세요^^
    44세 남 뇌경색으로 오른쪽편마비와 50일차 재활중이고 많이 좋아져 정상보행과 팔.손 모션 모두나오는데 경색오기전 오른팔꿈치에 골프엘보가 있었고 치료하기전 뇌경색오른편마비가 왔어요
    오른손모션때 유독 집게손가락이 속도느리고 팔근력 운동을 하면 더 느려지고 팔꿈치도 살짝 아파요
    일반 의사분들한테 말씀드려도 명확한 답을 못 얻어고생중입니다
    치료법좀 부탁드려요선생님~~

    • @pt181
      @pt181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관심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문의 주신 내용을 정리해보면 1. 오른손 집게손가락 움직임 문제, 2. 팔운동과 협력작용의 어려움, 3. 팔꿈치 통증,,,, 이렇게 세가지 문제점을 올려주셨습니다. 제가 직접 보고 확인한 부분이 아니니 참고만 해주시면 될듯합니다. 먼저 통증이 심하지 않다면 계속적으로 운동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첫 원인은 뇌경색이지만 그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사용부족으로 인해 근력약화가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용을 안할시 추후에는 근력약화로 인해 움직이기 더 어려워지니 가능하다면 계속적으로 운동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1,2번의 경우 1번은 2번 운동에 포함되고, 실질적인 움직임도 손가락 하나를 움직이는 경우보다는 팔과 손의 협력 작용이 훨씬 기능적이기 때문에 2번 운동으로 하는 것이 더 좋을 듯합니다. 그래서 팔과 손이 협력적인 자가 운동으로는 야구공 또는 테니스 공 을 던지는 연습을 해보시는 것도 좋을듯 싶습니다. 다만 통증이 느껴지신다면 안하시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직접 보고 확인하여 설명드리면 좋겠지만 그러지 못해 아쉽습니다. ㅠㅠ 빨리 회복되어 건강해지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kiss0803a
      @kiss0803a 2 роки тому

      @@pt181 충분한 설명 고맙습니다 새겨듣고 해보겠습니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