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이 집과 건물을 다닥다닥 붙여 짓는 이유(feat : 유럽 도시의 발전 과정)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2 лис 2024

КОМЕНТАРІ • 277

  • @LVCIVSBRVTS
    @LVCIVSBRVTS Місяць тому +421

    장사하다 가끔 회개할때 필요한 교회라뇨 ㅋㅋㅋ 빵터졌습니다 ㅌㅋㅋ

    • @네네호구
      @네네호구 Місяць тому +20

      저두유😇🤣😂

    • @shaft_jb
      @shaft_jb Місяць тому +34

      엄청난 유머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

    • @t_i_m_e535
      @t_i_m_e535 Місяць тому +37

      유머 아니고 객관적인 사실이죠. 칼세이건은 교회를 복마전이라고 했거든요. 마귀가 업드려 있는 전당이라는 뜻.

    • @마크텔로
      @마크텔로 Місяць тому +18

      맞말이죠 돈 벌때마다 회개할수 없으니 그래서 탄생하고 번창한게 개신교임

    • @SGT.Gong.G.C
      @SGT.Gong.G.C Місяць тому +3

      가끔씩이라도 찾아 돌이키는 마음을 가지라는게 교회에서 하는말이기도하죠 원래. 1년에 몇번 절을 찾지도 않으면서 불교를 믿는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넘쳐나는 것처럼

  • @월암-x7i
    @월암-x7i 25 днів тому +11

    어찌보면 숨이 턱턱 막힐지경..!!

  • @Skkkldkdlqo-z5j
    @Skkkldkdlqo-z5j Місяць тому +23

    그래도 부실공사는 거의 없었나봄 아직도 튼튼한거 보면 ㄷㄷ

  • @eyetoy22
    @eyetoy22 Місяць тому +47

    요즘 시대에 살기에는 불편해서 살기 힘들 듯....

  • @clalence0128
    @clalence0128 Місяць тому +76

    목조+습기+다닥다닥+오래됨 콤보로 바퀴 하나 보이면 퇴치가 엄청 힘들다던데….

    • @리헵번
      @리헵번 Місяць тому +14

      아---생각만 해도 ...
      ㅠㅜㅡ
      끔찍 ....

    • @jaisonyan3597
      @jaisonyan3597 Місяць тому +19

      빈대가 많은 프랑스 파리 생각이 드네요 ㅎㅎ

    • @Burlington-xb5ss
      @Burlington-xb5ss Місяць тому +6

      빈대가 좀 특이해서 일반 살충제로 안 죽는다더군요. 몸집은 조그만 것이...

  • @Veritas68
    @Veritas68 Місяць тому +66

    유럽에 가서 보고 참 궁금했는데 이제야 의문이 풀립니다. 고맙습니다.

    • @l9세이상만오소-n5y
      @l9세이상만오소-n5y Місяць тому

      ⏪⚪️

    • @l9금-풀버젼-야뎡K
      @l9금-풀버젼-야뎡K 26 днів тому

      비엔나의... 링 슈트라세가 유명하죠 어찌나 큰 사업이었는지 합스부르크를 소개하는 전시 자리에서도 그시절 도로,,,,, 사진을!!!!! 보여주더랍니다

  • @JShon-d1r
    @JShon-d1r Місяць тому +81

    이러한 도시 구조는 시민 혁명에서도 꽤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광장을 점거하고 주변의 도로를 봉쇄하는 과정을 아주 쉽고 단순하게 했거든요. 골목과 같은 우회로가 매우 제한적이라 손쉽게 관청을 봉쇄하고 도시를 마비시킬 수 있었습니다. 파리가 그랬고, 부다페스트가 그랬고, 베를린이 그랬고, 빈이 그랬습니다. 빈 틈이 없어 도로만 막아도 통행을 제한할 수 있는 도로 구조가 소유권과 지배의 개념을 명약관화했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아주 재미있는 일입니다.

    • @parkfd2968
      @parkfd2968 Місяць тому +1

      자세히 좀 부탁 드려도 될까요??

    • @Rera753
      @Rera753 Місяць тому +1

      이러한 지식은 어디서 얻으셨나요 궁금하네요

    • @jungminkim7695
      @jungminkim7695 Місяць тому +2

      매번 정말 유익한 정보 와
      지식을 얻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GT.Gong.G.C
      @SGT.Gong.G.C Місяць тому +9

      명약관화라는 좋은 한자성어를 상기시켜주셔서 고맙네요. 다만 명약관화 네글자 자체가 '불을 보듯 뻔함'이라는 뜻이니 어법상으로는 '명약관화하게 하다' 가 맞을듯합니다

    • @youngjunelawrence
      @youngjunelawrence Місяць тому +2

      명약관화하게 했다

  • @novejt3241
    @novejt3241 Місяць тому +157

    시가전 때문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오히려 세금이나 경제적인 이유가 더 컸던것이군요.

    • @natome132
      @natome132 Місяць тому +19

      시가전은 결국 결과적인 이야기임

    • @마스터마구니-e7n
      @마스터마구니-e7n Місяць тому +7

      애초에 도시를 계획해서 짓는건 현대에서나 가능해진 일이라 시가전을 위해 계획하고 도시를 만들수가 없죠

    • @patrickchoi9120
      @patrickchoi9120 Місяць тому +2

      생각해보면 성 안에 건물들이 있는데 굳이 전쟁을 위해서 그래 지었다고도 보긴 힘들겠네요 옛날에는 성 함락되면 끝이었으니

    • @마스터마구니-e7n
      @마스터마구니-e7n Місяць тому +8

      @@patrickchoi9120 아뇨 그건 또 아닙니다. 성벽도시에서의 시가전 역시 성 내부의 병력이 적을 다시 밖으로 몰아낼 수 있다면 성벽이 뚫려도 전투가 ㅋ긑난건 아닙니다. 거기에다 성벽도시냐 영주가 사는 성이냐, 주요거점의 요새냐에 따라 다르긴해도 경우에 따라서는 킵이라고 하는 성 안쪽에 있는 또 다른 작은 성이 있습니다. 바깥 성벽이 뚫리면 병력들은 킵으로 이동해서 최후의 항전을 하는 경우도 있죠. 가끔 중세 영화나 판타지 영화보면 나오고 반지의 제왕에서도 바낕 성벽이 무너지자 "to the keep"이라는 대사가 나옵니다. 킵으로 후퇴해서 싸우라는거죠. 자믹엔 물러나라고만 해뇌서 그저 도망치는걸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는데 걍 최후까지 싸우되 이미 무너진 외벽에서 개죽음 당하지 말고 전략적으로 싸우는 모습입니다.

    • @l9미만절대금지-h6o
      @l9미만절대금지-h6o Місяць тому

      도심을 가득 채우고, 다닥 다닥 붙어있고, 인간이 살기 참 안 좋은...
      알수록 닮고 싶지 않기가 쭝국보다 심한 곳.
      유럽이 사라지긴 할 듯.

  • @haninsuk5
    @haninsuk5 Місяць тому +22

    지식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채널~ 컨텐츠 구성이 다채롭고 흥미로워서 좋습니다.

  • @Myofusion2023
    @Myofusion2023 Місяць тому +13

    저렇게 건물들이 붙어있으면 화재에 엄청 취약할 거 같네요. 화재 한번 나면 도시 전체가 불바다겠는데요?

  • @jkijljbnj7165
    @jkijljbnj7165 Місяць тому +74

    이거 보면서 역시 한국의 인구밀도 커버하는 유일한 주거형태는 아파트 밖에 없다는 생각이 굳어짐.

    • @Gotuber126
      @Gotuber126 Місяць тому +18

      위 아래로 붙냐 양옆으로 붙냐인데 나는 위아래가 낫다고 봄..

    • @jkijljbnj7165
      @jkijljbnj7165 Місяць тому +23

      @@Gotuber126 영상에 나온데는 그나마 멀쩡한데라 낫게 보이지 웬만한데 들어 가보면 무슨 창문 하나 제대로 된 위치에 없는 방이 수두룩.. 집이 끊임없이 이어져 있으니 쥐가 이동하기도 좋고...

    • @moon-jh-r4x
      @moon-jh-r4x Місяць тому +6

      그거야 수도권 공화국에서 어쩔 수 없음 인구 분산이 안 되는 나라에서는

    • @리버쓰-x4o
      @리버쓰-x4o Місяць тому +5

      ​@@jkijljbnj7165우리나라는 안 그런가요 유럽은 반지하 없는거 아시죠? 있어도 사람 사는곳으로 쓰지 않고요 무조건 좁은공간에 우겨넣는건 우리나라에요 스프롤 현상이라는게 있어야 경제가 활성화 되는거니까요

  • @기은-g6j
    @기은-g6j Місяць тому +5

    너무 재밌는 이야기 잘들었어요 ❤

  • @jklinssi1061
    @jklinssi1061 Місяць тому +52

    여행와서 로마시내 걸으면서 들으니 훨씬 이해가 빠릅니다. 감사합니다🙏

    • @oops6326able
      @oops6326able Місяць тому +12

      우와 너무 좋으시겠어요! 여행 안전히 즐기시다가 귀국하세요👍

    • @rollingbear9789
      @rollingbear9789 Місяць тому +6

      이야 한창 날씨 좋을때 가셨네요 ㅠㅠ
      안전하고 재밌는 여행 되세요!!!

    • @jklinssi1061
      @jklinssi1061 Місяць тому

      @@oops6326able감사합니다. 10월 로마는 보슬보슬 우기입니다☔️

    • @sasakokononuyatu
      @sasakokononuyatu Місяць тому +2

      잘 다녀오세요~!!!!😊

  • @모모-t6g
    @모모-t6g Місяць тому +8

    좋아요 구독을 사랑으로 남김니다
    많은 지식을 알려 주셔서 고맙습니다
    공부가 되는 지식을 쌓는 시간이 였습니다
    콘텐츠를 즐겨 볼게요

  • @user-qwer-f9c
    @user-qwer-f9c Місяць тому +8

    그래도 detached house가 훨씬 더 비쌈... 서민들은 attached house... 집 가격이 attached->semi- attached-> detached 순으로 비싸짐.....

    • @ncraft2487
      @ncraft2487 Місяць тому +2

      당연한 소릴....

  • @soullohen
    @soullohen Місяць тому +13

    보통 도시는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왕이나 영주에 의해 지어진 대형 임대사업 개념으로 시작하기도 했었군요 그러면서 점점 도시가 생성되는 모습과 과정들이 오늘날 신도시 사업과 닮은점도 많이 있어 보여서 재밌습니다

  • @ONE2LOVE3
    @ONE2LOVE3 Місяць тому +11

    세금과 시가전에 유리하고 화재에 불리하다고 들었는데 매우 복합적인 이유군요

  • @김선규-f2r
    @김선규-f2r Місяць тому +35

    일요인은 지식브런치 기다리는 재미 보고듣는 재미

  •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Місяць тому +7

    현대의 쇼핑몰과도 닮은 구석이 있지 않나 싶네요
    도시가 하나의 경제권의 단위이며 상인들이 서로 경쟁자이자 같은 이해관계자이기도 하고요
    안에 점포가 많을수록 일반적으로 수익성이 더 좋다고 볼 수도 있고요

  • @Impossibility_Theorem
    @Impossibility_Theorem Місяць тому +22

    항상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 @philippeauguste9796
    @philippeauguste9796 Місяць тому +40

    유럽집들이 겉보기만 그럴싸하지 실제로 살아보면 완전 헐고 지저분하고, 온갖 소음에 엘베 없는 데도 많아서 개구림..

  • @Havana-b4h
    @Havana-b4h Місяць тому +5

    저 몇백년된 쬐그만한 집들이 파리같은데 10억넘지 10평이런데도요

  • @PJS-y2x
    @PJS-y2x 5 днів тому

    자기 전에 항상 듣는데 목소리가 너무 좋아서 바로 잠에 드네요ㅜㅜ이 영상 5번 정도 듣었는데 유럽 집이 왜 붙어 있는 지 모르겠어요ㅠㅠㅠㅠ오늘은 꼭 다 듣고 자야지!

  • @Ifyounevergo_Youwillneverknow
    @Ifyounevergo_Youwillneverknow Місяць тому +13

    베를린에 살면서 항상 궁금했는데!! 👍🏻

    • @ragnaheil
      @ragnaheil Місяць тому +10

      독일은 그래도 떨어져있는 집 꽤 많은데 네덜란드는 거의 대부분 다닥다닥 붙어있더라구요 ㅎㅎ

  • @청순남-c7j
    @청순남-c7j Місяць тому +11

    도시계획 전공자로서 흥미롭게 봤습니다

  • @김정아-s9u
    @김정아-s9u Місяць тому +2

    지식브런치 너무 좋습니다.

  • @살-l9r
    @살-l9r Місяць тому +3

    우리나라의 건물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잘 보고 갑니다!

  • @Matou-Sakura
    @Matou-Sakura Місяць тому +20

    원인을 "세금" 때문인걸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보니 다양한 원인 및 장점이 있었군요~ 오늘도 새로운 지식 하나 알고갑니다~~ 해피주말 되세욤~~ ^0^

  • @bangdoll4500
    @bangdoll4500 Місяць тому +52

    1347년 페오도시아에 킵차크칸국의 몽골군대가 도착하자, 테오도시아는 성문을 닫고 수성전을 시작했고, 몽골군은 노상 하던대로, 투석기로 시체를 성내로 쏘았고, 흑사병이 발발. 효과 만점 이었으나, 너무 효과가 좋아서, 몽골군도 흑사병 피해를 입어 철수. 페오도시아는 몽골침략에서 지켜졌으나, 여기서 발발한 페스트가 전 유럽을 휩쓸어버림.

    • @elvenisar
      @elvenisar Місяць тому +16

      몽골이 철수한 이유는 흑사병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유럽쪽 연구만보신거 같은데, 몽골군의 갑작스런 후퇴는 대칸이 사망했기 때문입니다.

    • @Hyungnam1970
      @Hyungnam1970 Місяць тому +6

      그 이야기는 이탈리아 피아첸차의 공증인 가브리엘레 데 무시스(Gabriele de Mussis)가 쓴 연대기에만 기록되어 이것이 유일한 근거 자료인데, 무시스는 이 사건을 마치 자신이 실제로 목격한 것처럼 기록했지만, 그는 카파 공성전 당시 고향인 피아첸차에 머무르고 있었다. 또한 이 연대기가 기록된 것은 공성전이 일어난 20년 후인 1367년이라는 점에서 항간에 떠도는 무용담이나 풍문 같은 이야기를 그대로 받아적은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받고 있다. 카파 공성전이 벌어지고 있던 시점에서 다른 항구 도시들에 이미 흑사병이 퍼지는 중이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이다.

    • @Jenssom
      @Jenssom Місяць тому +1

      너무 슬프다 인류의 전쟁사는 다 이런걸까요....

  • @영원한잭
    @영원한잭 Місяць тому +7

    제목 보자마자 영화 스튜어트 리틀의 집이 떠오르네요 ㅎㅎ

  • @jonin_cunren
    @jonin_cunren Місяць тому +10

    그럼 미국에서 건물을 서로 떨어뜨려서 지은 건 어째서였을까요? 도적은 거기도 많았으니까 방어 때문인 건 아니겠고, 세금 제도가 조금 달랐나요?

    • @ragnaheil
      @ragnaheil Місяць тому +16

      근데 미국도 필라델피아 같이 역사 오래된 도시는 다닥다닥 붙어있는 집 굉장히 많아요

    • @user-to4iq4bq9g
      @user-to4iq4bq9g Місяць тому +9

      건축법에 거리 떨어지게 지으라고 명시되어 있어요 건폐율 용적률이 달라요

    • @volvo3496
      @volvo3496 Місяць тому +12

      개척시대 인구없고 개발못해서 이민자를 계속 받았는데, 땅이 워낙 넓다보니 대도심 아니면 다닥다닥이 안되죠
      한국도 도심외 시골엔 인구밀도가 낮은것처럼.

    • @백제금동대향로
      @백제금동대향로 Місяць тому +9

      @@jonin_cunren 유럽처럼 엉겨붙어 싸워대던 역사가 없고 땅이 넖으니 자연스럽게 떨어져 지은것 같네요

    • @Gotuber126
      @Gotuber126 Місяць тому +15

      미국의 도시들은 교통수단들이 발명된 이후에 본격적으로 지어졌기 때문.
      보행위주의 유럽 도시구조와는 다르게 미국 도시구조는 자동차 위주로 짜여 있고 따라서 밀도가 낮음.
      또 미국인들이 전원생활을 좋아해서 마당 딸린 집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고 함

  • @금강-i7o
    @금강-i7o Місяць тому +2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레이미안
    @레이미안 Місяць тому +2

    항상 유익하고 재미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 @Ratatou2
    @Ratatou2 Місяць тому +5

    세금을 최대한 피하겠다는 의지는 동서고금 가릴것 없었다.

  • @알빠노-h7j
    @알빠노-h7j 7 днів тому

    좋은 정보 감사합니당

  • @cattytanty6238
    @cattytanty6238 Місяць тому +17

    과거에 유럽에 전쟁이 많았고 넓은 평지에 도시가 건설되어 시가전이 많았음. 그래서 성이 많은 거고 일본도 마찬가지. 그게 저런 방어적인 도시형태를 만든 것임. 반면에 우리나라는 산에 있는 산성이 많았음. 즉, 낮은 산이 많은 지형을 갖고 있고 산을 도시방어를 위한 요새로 사용하기 위해 그 주변에 도시를 구축했기 때문에 산성을 지으면 그 자체로 요새화가 되아 그 안에서 마당도 있고 비교적 넓은 공간을 집으로 쓸 수 있는 형태였음. 그리고 지금 우리나라가 아파트 천국이 된 이유도 저것과 좀 비슷함. 경제발전을 위해 도시로 인구가 모이게 할 필요성과 북한의 포격 같은 걸 대비해서 박정희 때 아파트를 도입했고 아파트의 지하실을 대피장소로 만든 것임. 아파트가 처음에 한국에 도입됐을 때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마당 있는 집에 익숙해있던지라 인기가 엄청 없었는데 박정희가 자꾸 아파트에 많이 살아야 한다고 말하니까 그렇게 되어 간 것임. 당시만 해도 박정희는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선구자로 여겨졌으니. 반면에 전쟁의 위험이 없는 미국은 대부분이 아파트가 아닌 넓은 집에서 살고 있음.

    • @영수-c7n
      @영수-c7n Місяць тому +1

      한국성은 허접했음. 하지만 상대도 공성병기를 들고오는걸 포기했음.

    • @백제금동대향로
      @백제금동대향로 Місяць тому +5

      ​@@영수-c7n다 장단점이 있는거지 어느것이 우월하다 할순 없지

    • @spicedberry
      @spicedberry Місяць тому +1

      그런데 수원은 딱히 그렇지 않은듯요 수원화성은 행궁 뒤편만 산이지 나머지 방향은 평지던데요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Місяць тому +7

      @@spicedberry 수원 화성은 18세기 말에 지은 거라 이전의 전통 성과는 같게 볼 수가 없습니다. 서양 문물이 어느 정도 들어온 다음이기도 하고.

    • @샤넬-d5o
      @샤넬-d5o Місяць тому +1

      ​@@영수-c7n산까지 무기들고 가서 싸우는게 쉽지 않았겠죠.

  • @이1-o8o
    @이1-o8o День тому

    옛날 우리가 못살아서 시골에 초가,도시는 루핑 지붕,스레트 지붕,길가 통시 화장실,수채도 두껑 없이 살던 시절.
    유렵의 저런 건물 사진을 볼 때 너무 보기가 좋아서 그냥 "아~저런 좋은 집에 어떤 부자들이 살고 있을까?" 하고 부러워 했던ㅈ기억.
    지금은 실체를 알죠.
    삐거덕 거리고,쥐,빈대 득실 거리고 외풍은 장난 아니고...
    바같에서 볼 땐 닭장이라고 빈정 거려도 실내는 거의 4성급 이상 호텔 수준의 아파트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입니다.

  • @eonewe
    @eonewe Місяць тому +4

    유럽의 집들은 참 방어적이었군요.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그리고 세금징수원으로부터... 😅

  • @kpopworldpeace5974
    @kpopworldpeace5974 Місяць тому +4

    감사합니다, 늘 좋은 지식 배웁니다.

  • @Gooday_Withyou
    @Gooday_Withyou Місяць тому +2

    😊 지식! 충전 완료!👍👏

  • @조민희-m9y
    @조민희-m9y Місяць тому +1

    우연히 영상보게되서 구독햣습니다 너무 재밋어요!!!

  • @구인효-c4b
    @구인효-c4b Місяць тому +1

    여행가서 제일 궁금했던 건데...감사

  • @풍열
    @풍열 Місяць тому +3

    화재시 답은 없겠넹요

  • @hyo3377
    @hyo3377 Місяць тому +1

    옛날엔 위로 높이 쌓기 쉽지 않으니 밀집해서 지은거군요. 그러고보면 우리 아파트 단지나 저 집들이나 용적률은 비슷하겠네.

  • @gogo-rk1je
    @gogo-rk1je Місяць тому +4

    층간소음 벽간소음 지옥이네.. 초가집이 최고여

  • @yangmyeonglee2273
    @yangmyeonglee2273 Місяць тому +6

    싱가포르 살고있는데, 늘 궁금했던게
    왜 집을 이런식으로 지었을까였는데, 오늘 궁금증 해소했네요.
    감사합니다.

  • @donbu-ahn
    @donbu-ahn Місяць тому +53

    유럽은 일단 복잡한 전선줄이 없어 거리가 깨끗해보임.찌린네는 엄청나도.

    • @volvo3496
      @volvo3496 Місяць тому +28

      쥐도 많죠
      뉴욕은 더 많고요

    • @hy1913
      @hy1913 Місяць тому +8

      우리도 시골 빼면 전선줄 없는데

    • @spicedberry
      @spicedberry Місяць тому +18

      ​​@@hy1913서울시내 마포만 해도 큰도로에서 골목으로 들어가면 전선줄 엄청납니다 아파트단지나 큰건물들은 전선 지하화했지만 소규모 빌딩이나 빌라나 개인주택 많은 동네는 서울시내라도 아직 전선줄 그대로입니다

    • @jini-f8g
      @jini-f8g Місяць тому

      썩빌라들 싹다 재개발해야 구도심
      전선도 깨끗해질듯

    • @mss8666
      @mss8666 Місяць тому

      지린내 안나는 곳이 더 많아요.

  • @user-ri2vp7qt7f
    @user-ri2vp7qt7f Місяць тому

    베트남도 저래 지렀죠. 효율성이 높습니다.

  • @계정1-d8p
    @계정1-d8p Місяць тому

    구독자로서 영상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영상의 내용과 지식의 깊이는 매우 뛰어나 평가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다만, 영상 편집 방식이 흐름을 다소 끊는 것 같아 아쉬운 마음에 말씀드립니다. 이런 사소한 부분은 지나칠 수 있지만, 수정한다면 영상의 품질과 몰입도가 더욱 향상될 것 같아 의견 드립니다.
    4:155:02 같은 부분에서 자료 화면이 멈출 때, 역재생을 하거나 대본에 맞는 예시 그림을 추가하시면 좋겠습니다. 특히 5:02에서는 쨍한 색감의 선이나 도형을 그려넣어 표시해주신다면 설명을 이해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 @lingokim8502
    @lingokim8502 Місяць тому +2

    재밌다~

  • @LVCIVSBRVTS
    @LVCIVSBRVTS Місяць тому +8

    비엔나의 링 슈트라세가 유명하죠 어찌나 큰 사업이었는지 합스부르크를 소개하는 전시 자리에서도 그시절 도로 사진을 보여주더랍니다.

  • @ptahoteff
    @ptahoteff Місяць тому +6

    도심을 가득 채우고, 다닥 다닥 붙어있고, 인간이 살기 참 안 좋은...
    알수록 닮고 싶지 않기가 쭝국보다 심한 곳.
    유럽이 사라지긴 할 듯.

    • @sukholmes1066
      @sukholmes1066 25 днів тому

      😂 한국도시애서는 거의 다들 아파트에 사시면서😂😂😂😂😂

  • @보름달-m2l
    @보름달-m2l Місяць тому

    ㅎㅎㅎ 그런 비밀이....감사합니다....땅이 작아 그렇게 지은 줄 알았습니다....

  • @길위에작가뇽
    @길위에작가뇽 Місяць тому +31

    벽간 소음 난리 나겠네 ㅋㅋㅋ

    • @wiscrutgersaustin
      @wiscrutgersaustin Місяць тому +2

      지금 제 위에서 들리는 층간소음만 하겠어요...ㅋㅋㅋ

    • @mss8666
      @mss8666 Місяць тому +6

      암스테르담과 독일에서 살아본 바로는 벽이 두꺼워서 옆집 소리 안들려요.

    • @sukholmes1066
      @sukholmes1066 25 днів тому

      한국 아파트는요????😂

  • @SS-ol5qz
    @SS-ol5qz Місяць тому +1

    긍금했는데 영상 감사합니다

  • @김동균-q2m
    @김동균-q2m 23 дні тому

    잘봐습니다

  • @와따헐
    @와따헐 Місяць тому +2

    영상 나레이션 교수님 실제 음성인줄 알았는데...ai로 만들어진 더빙이란거 최근에 알았습니당...ㅋㅋ

    • @계정1-d8p
      @계정1-d8p Місяць тому

      ua-cam.com/channels/cYk_KPZZMLv_bcaSAWSSxA.htmlcommunity?lb=Ugkxyb2uhya-v_jWN7akSIL49myoSBEzHPpH TTS 아닙니다

  • @TrumpPepe
    @TrumpPepe Місяць тому

    어렸을때는 유럽의 건축 양식이 멋있게만 보이곤 했는데 이런 사연이 있어군요.

  • @bench68
    @bench68 20 днів тому

    그럼 저 다닥다닥 붙은 집들은 수백년이 넘은 것들 같은데 아직도 아 무너지는 이유가 뭘까요 . 우리나라 집이나 아파튼들은 수십년만 지나면 재건축이다 재개발이다 난리를 떠는데 말이죠.

  • @jehyeokyoo8322
    @jehyeokyoo8322 Місяць тому +1

    대충 유럽의 집이 이상하면 세금이겠지 라고 생각하면된다 어지간하면 맞는다....

  • @용용-b5u
    @용용-b5u Місяць тому +32

    보면볼수록 ..
    대한민국이 가장 살기 좋은 나라다. 😊

    • @따움-l3p
      @따움-l3p Місяць тому +5

      그건 남을 봐서 그렇고, 우리 스스로를 보기시작하면 살기 싫은 나라가됨

    • @fireice460
      @fireice460 Місяць тому +6

      부분적 자유국가 출산율0.6인데 살기좋은나라 ㅇㅈㄹ ㅋㅋ

    • @따움-l3p
      @따움-l3p Місяць тому

      @@fireice460 아ㅋㅋ 그 0.6은 행복할테니 한잔해

    • @선우한-h2g
      @선우한-h2g Місяць тому +3

      헬조선이뭔지알려면
      북으로가면됨
      진짜백년전헬조선
      그대로를체험할수
      있는곳

    • @ilkyl4dad4
      @ilkyl4dad4 Місяць тому +2

      (출산율0.6찍으며)

  • @shaft_jb
    @shaft_jb Місяць тому

    재밌네요. 신비로운 유럽도시의 건축물들.

  • @the자라
    @the자라 Місяць тому +4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예나 지금이나 경제란 삶의 방식을 바꾸는 큰 요인이라는 씁쓸함이 지금 마시는 쌉쌀한 맥주를 쓰게 만듭니다. 날이 찹니다. 모두 감기 조십 하십시오.

  • @フレブルゆきおゆきごんのママ

    그게.참궁굼햇엇는데.이제야속이
    후려언하네요

  • @청랑-f8t
    @청랑-f8t Місяць тому

    시가전 하려면 빡세겠네요.
    아니면 폭격으로 초토화 시킨 후에나 도시 진입이 가능할듯.

  • @user-nana833
    @user-nana833 Місяць тому

    네덜란드사례보니 예나 지금이나 역세권이 인기가 좋은듯ㅎㅎ

  • @nationalgigugraphic
    @nationalgigugraphic Місяць тому +1

    아파트랑 같네요..

  • @moonlight8311
    @moonlight8311 Місяць тому +1

    오호 그런거였네요 ~~~

  • @와우-h8e
    @와우-h8e Місяць тому +1

    부동산에 세금 책정하면 어떻게든 방법을 만들어 피하려 하는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공통이구만ㅋㅋ

  • @sukholmes1066
    @sukholmes1066 25 днів тому

    San Francisco도 다닥 다닥 붙은집 많이있습니다.
    인구가 많은 도시에는 당영 한듯...

  • @모아티
    @모아티 Місяць тому

    세금과 부동산은 .. 유기적인 관계인듯 .. 우리도 세금에 피하기 위해 평수라든지, 구모를 맞춰서 설계를 하는데

  • @윤승주-e2t
    @윤승주-e2t Місяць тому

    지식브런치님 이슬람 세계도 다루실 생각 없나요? 동남아편에 나오듯 각국의 이해관계와 서로의 관계, 각 부족과 종파가 궁금합니다. 동북아시아인 입장에서 부족과 종파가 갈등 양상에 영향을 주는 정치 외교가 잘 이해되지 않더라고요. 이란과 헤즈불라의 유착도 궁금해요

  • @이수연-x4j
    @이수연-x4j Місяць тому +4

    와우

  • @평산마을문귀태
    @평산마을문귀태 Місяць тому

    팍스 로마나 이후 500년이 혼한기였다는데 지금 끝물인 팍스 아메리카나 75년 이후 혼란기는 100년정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만...

  • @catsabba
    @catsabba Місяць тому +2

    재밌어

  • @이1-o8o
    @이1-o8o День тому

    베트남에서도 건물 앞쪽은 좁게 뒤로 길게 지었던데 그게 프랑스 건축의 영향 때문?
    그러면 수탈 하던 프랑스도 베트남인에게 도로에 접하는 건물의 넓이에 따라 세금을 부과 했던가? 아니면 프랑스가 그런 식의 건물을 지으니 식민지도 따라서 그냥 관성적으로 짓게 되었는지?

  • @정시을-x6y
    @정시을-x6y 24 дні тому

    유럽은 대도사가 붙어있지.산림집은 2층 3층 으로 드문 드문 언득에 았소 북유럽 과 중유럽에 가보시라

  • @에궁님
    @에궁님 Місяць тому

    세금때문인건 알고 있었는데 방어적 이점도 있었네요

  • @뚱빼미
    @뚱빼미 Місяць тому +10

    언제부터인가 유럽의 도시는 미래 지향적인 발전은 없고
    일본의 아날로그 문화처럼 과거의 모습에만 갇혀있는 죽은 도시 같더라.

    • @fatowl-ou4zy
      @fatowl-ou4zy Місяць тому +4

      나랑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네

    • @KK-ub6ub
      @KK-ub6ub Місяць тому

      그 미래 지향적인게 뭔데? ㅋㅋ 팩트는 유럽의 도시나 일본의 도시 과거현대 공존하는 도시를 전 세계 사람들이 빨아재끼는게 팩트인데? ㅋㅋ

    • @백제금동대향로
      @백제금동대향로 Місяць тому +7

      ​@@KK-ub6ub관광으로선 좋지만 발전에는 방해된다는 단점이 있단건 유럽, 일본 본인들도 얘기하는점임

    • @KK-ub6ub
      @KK-ub6ub Місяць тому

      @@백제금동대향로 뭔 단점? 한가지라도 말해보셈 뇌피셜로 떠들지말고 ㅋㅋ

    • @백제금동대향로
      @백제금동대향로 Місяць тому +3

      @@KK-ub6ub 방금 얘기했는데 국어가 안되시나 ㅋㅋ 님도 뇌피셜로 떠들지 말고 근거 가져오던가 ^^

  • @무명인-o8y
    @무명인-o8y Місяць тому +2

    저느므...세금...징글징글한 각종 세금...고대부터 현대까지 끊질기게 인간을 괴롭히고있는 세금...
    아~세금없는 세상에서 살고싶다~~^^~~

    • @moon-jh-r4x
      @moon-jh-r4x Місяць тому +3

      다음에 태어나면 사우디인으로 태어나기를

    • @ragnaheil
      @ragnaheil Місяць тому

      @@moon-jh-r4x
      ㄴㄴ 카타르인 아랍에미리트인이 더좋음

    • @이은아-m5j
      @이은아-m5j 23 дні тому

      세금 없으면 치안도 없고 국방도 없고 국가도 없는겁니다 우리가 다니는 도로 공원 학교 도서관 기타등등 모두 세금으로 지어진겁니다 하늘에서 뚝떨어진게 아닙니다

  • @아네네네
    @아네네네 Місяць тому

    에버랜드만 그런줄 알았네요😂

  • @유영희-w5f
    @유영희-w5f Місяць тому

    다닥다닥 붙은 이유가 정말 궁금했어요

  • @플랑크톤-o6o
    @플랑크톤-o6o Місяць тому +2

    그시절의 아파트

  • @정몽규_축협퇴출추진
    @정몽규_축협퇴출추진 Місяць тому

    신비스럽다

  • @salut3719
    @salut3719 Місяць тому +2

    쉽게 말해 영주 귀족들이 쪽방촌 운영하다 보니 그렇게 된거네..

  • @grn7321
    @grn7321 Місяць тому

    평지로 변한 이태원이나 북촌서촌 보고싶다.

  • @Samson-un3vw
    @Samson-un3vw Місяць тому +1

    👍

  • @팜하니-p3o
    @팜하니-p3o Місяць тому +1

    항상 두 배 속으로 잘 보고 있습니다^^

  • @nochannel1657
    @nochannel1657 Місяць тому

    유럽이 아름답다고 환상 갖지만. 사실 한국으로 치면 빌라촌 ㅋ

  • @lljljljlljll
    @lljljljlljll Місяць тому +2

    8:11 부르주아의 부르?가 성을 뜻하는거였구나

    • @Hyungnam1970
      @Hyungnam1970 Місяць тому +1

      프랑스어 기원인 'bourgeoisie'는 'bourgeois'(성 안의; 읍민)+'-ie'(여성명사형 접미사)의 합성어이다. 이는 곧 옛 프랑크어인 'burg'의 파생어이다. 프랑크어 'burg'는 군읍 및 성읍(town)을 뜻했는데, 이 단어는 각각 영어에서는 'burh'를 거쳐 'borough', 독일어에서는 'burg', 프랑스어에서는 bourg', 이탈리아어에서는 'burgo'가 되었다.

    • @ragnaheil
      @ragnaheil Місяць тому +1

      @@Hyungnam1970
      +북유럽에서는 borg라 하죠 ^^

  • @byjun8946
    @byjun8946 Місяць тому +1

    벽간소음의 시초구만 ㅋㅋㅋ

  • @Wish-Ender
    @Wish-Ender Місяць тому

    중세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3가지 : 종교 전쟁 세금

  • @tiger와jindo사랑SaveFUBAO
    @tiger와jindo사랑SaveFUBAO Місяць тому

    지금 우리나라의 아파트 문화 같네요

  • @딩고-c4t
    @딩고-c4t 23 дні тому

    유럽풍 닭장이네요

  • @꿀벌-o5t
    @꿀벌-o5t Місяць тому

    배춧값 오르는 속도로 후다닥 뛰어왔습니다

  • @tempe_j
    @tempe_j Місяць тому

    일본도 이런식 같아요. 골목세인가 세금때문이라고 얼핏 본듯한데 정확하진 않아요

    • @Hyungnam1970
      @Hyungnam1970 Місяць тому

      apartments and individual homes tend to be built quite close together to maximize the limited usable space in Japan.

  • @Inceptor_key
    @Inceptor_key Місяць тому

    자본주의를 탄생시킨 플랑드르 도시들의 역사도 알고 싶네요.

  • @북한인민
    @북한인민 Місяць тому +5

    우리나라 아파트 ㅈㄴ많더라.... 물론 내아파트는 없음 ㅠㅡㅠ

  • @kshziralristic8049
    @kshziralristic8049 Місяць тому +1

    그래서 파리의 용적률이 서울보다 높습니다...

    • @흰토낑-x7k
      @흰토낑-x7k Місяць тому

      건폐율 아닐까요

    • @kshziralristic8049
      @kshziralristic8049 Місяць тому

      @@흰토낑-x7k 건축가 유현준 교수의 기사 도시 이야기에 파리가 250%, 서울이 160%라고 써놨습니다.

  • @YYY-e2c4h
    @YYY-e2c4h Місяць тому +5

    몇년전 스페인&포르투갈 여행갔을 때 현지 가이드에게 집마다 붙어있고 붉은색 아니면 주황색 지붕이나 벽이 되어있느냐고 물어본 적이 있었는데
    가이드가 말하길 유럽에 지진이 일어나면 그 피해가 커서 집을 붙여서 지진이 났을 때 버틸 수 있게 하는 것과 붉은색과 주황색이 많은 이유가
    해풍으로 집이 오래되면 색상이 바래지거나 해지게 되는데 붉은색과 주황색은 바래지거나 해져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서 주로 많이 사용했다고
    들어서 수긍했는데 또 영상을 보니 다른 의미도 보게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