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젓가락으로 화분의 과습을 방지할 수 있을까요?|나무젓가락에 의한 수분증발량 측정|나무 심지의 효과 확인|Gardening idea #9 Wooden wick & moisture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2021.12.20
안녕하세요 Algae 입니다.
화분에 물을 너무 자주 주는 바람에, 화초의 뿌리가 썩어버리게 된 경험이 있으신가요?
저도 꽃을 처음 키울 당시에, 잘 키워보고 싶은 마음에 매일매일 물을 주었던 것 같습니다.
매일매일 화분에 물을 준 결과, 꽃은 시들었고 화분의 흙 속에서는 시궁창에서 날법한 악취가 물신 풍겼었습니다.
지금은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 나름의 물을 주는 노하우를 터득했는데요.
온라인에 게시된 게시물들을 보면 과거의 저처럼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분들이 많아 보입니다.
최근, 흙 속에 불필요하게 많은 수분을 쉽게 증발시키는 도구로 나무젓가락이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과련 나무젓가락이 흙 속의 수분을 흡수하여 증발을 촉진시키는 것일까요?
호기심을 갖고 간단한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고맙습니다.
=====
음원출처 (Sound source)
Free music provided by UA-cam
#1
Leaning On the Everlasting Arms - Zachariah Hickman
#2
Future King of Heaven - Zachariah Hickman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Algae입니다.
영상이 삐삐 님께 도움이 될 수 있어 다행입니다 :)
앞으로도 유용한 정보를 담은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좋은 내용입니다. 항상 좋은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Algae입니다.
임훈국 님, 칭찬의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보내주신 응원과 칭찬에 보답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채널을 만들겠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다 빼야 겠네요.
안녕하세요 Algae입니다.
이번 영상이 이야기꾼 님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나무젓가락이 물을 잘 흡수하는 소재가 아님에도 습기제거에 도움이 된다는 글의 진위여부가 궁금했었는데요.
많은 분들께 각광 받고 있는 것에 대비된 결과가 무척 흥미로웠습니다.
앞으로도 흥미롭고 유익한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Algae_algae
네 답변 또한 감사합니다!!!
땡큐 차라리 나무젖가락으로
흙의 수분정도를 ㅊ제크하기 위해서 한번씩 조심스럽게 찔러 보는게 낫겠습니다
안녕하세요 Algae입니다.
지해리 님, 영상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잘못된 사실이 온라인에 공유되고 있어 일회용 쓰레기가 늘지 않을까 걱정되어, 해당 영상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영상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정확하게 이해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흙이 얼마나 말랐나 확인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봤는데 아마 그게 와전된게 아닐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Algae입니다.
저도 민트조아 님의 의견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화분 속 흙이 건조한 지 육안으로 알 수 없기에, 나무젓가락으로 찔러보고 습기를 확인하던 방법이 어느 순간 '습기제거'라는 명목으로 소문 난 것 같습니다.
기원이 어찌되었든 나무젓가락이 화분 흙의 습기 증발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없기에, 불필요한 일회용품 오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좋은 의견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유익한 내용들로 꾸며주셔서 감사합니다. 대기습도와 식물의 성장과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습도가 낮으면 기공이 닫혀 광합성을 못한다고 하는데 기준을 모르겠습니다.
꼭 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Algae입니다.
이활민 님이 남겨주신 칭찬 덕분에, 오늘 하루도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습도와 관련하여 여러가지 이야기를 준비해볼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기공과 관련하여 제시하신 주제도 그 중 하나입니다.
그 밖에, 습도가 식물에게 유익하지만 장마철에 식물이 약해지는 것에대해 논해 볼 예정이며, 습도와 광합성을 연결지어 C3, C4, CAM 이야기도 해볼 예정입니다.
다만, 하고 싶은 이야기는 많고 제 몸과 시간은 한정되어 있기에, 느리지만 차근차근 이야기를 풀어나갈 생각입니다.
식물이 광합성을 하기위해 빛이 필요함에도, 빛이 강렬한 낮시간동안 오히려 광합성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게다가 체내의 수분을 보존하기 위해 기공을 닫고 이산화탄소 흡수를 포기하기도 합니다. 이런 흥미로운 현상에 대해 흥미를 갖고 있는 이활민 님을 위해 영상을 열심히 기획해보겠습니다.
식물 형태학이나 식물 생리학과 같은 학문이 우리 주변의 가드닝에 접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아 의미 없는 것이었군요!
미관상도 좋지 않은데 의미도 없다면 굳이 쓸 이유는 없겠군요
안녕하세요 Algae입니다.
영상이 김유빈 님의 궁금증을 풀어드린 듯하여 다행입니다 :)
다른 분이 남겨주신 댓글에 따르면, 화분 내 깊은 곳에 위치한 흙의 습기를 확인하는 용도로 나무젓가락을 사용하던 것이 잘못된 방향으로 응용된 것 같다고 합니다.
어찌되었거나 토양의 습기가 빠르게 증발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도움이 될 만한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Algae_algae 감사합니다. 역시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벽면 녹화를 위해 큰 화분을 따로 만들었는 데 가로가 좀 길고 화분의 깊이가 깊어서 혹 물빠짐이 좋지 않아 과습이 우려되고 물을 주었을때 물이 골고루 흡수될까 걱정되어서 pvc 파이프 제일 얇은걸 화분 전체 길이의 대략 절반이 안되게 자르고 파이프 여기저기에 구멍을 낸 후에 부직포로 감싸서 화분에 꽂았습니다.
이렇게 한 목적은 첫째는 물줄때 이 파이프를 통해서 뚫여있는 구멍으로 여기저기 물이 골고루 퍼지게 하고
두번째는 화분이 깊다보니 과습을 막기위해 그 파이프를 통해 흙의 통기성을 높여 과습을 방지할려고 그렇게 했는 데 이런 방법이 과연 잘한것인지 늘 의문이었는 데 이 영상을 보고 혹시 답을 주실 수 있을가 싶어서요.
이런식의 방법 효과가 있을까요 아님 안좋을까요?
안녕하세요 Algae입니다.
webper76 님, 좋은 질문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우선, webper76의 벽면녹화를 위한 화분 형태를 구체적으로 알 수 없기에 뾰족한 답변을 드리기 힘들 것 같습니다. (e.g. 벽 전체가 화분의 역할을 하는 경우, 덩굴식물이 벽면을 타고 올라 담쟁이 덩쿨처럼 벽을 덮은 경우, 실내 천장 높이 까지 잎줄기가 높게 자라 벽을 가리는 경우)
다만, 큰 화분을 사용하고 계시고, 그 화분의 폭이 가로 폭이 넓고 화분이 깊은 것으로 미루어보아, 대형 화분에 대한 토양 과습 문제로 고민중이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과습 문제를 해결 혹은 방지하기 위해, PVC 파이프와 부직포를 이용하여 수분을 화분전체로 분산시키거나 원활한 통기(?)를 통해 습기를 조절하려는 노력을 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을 드리자면, 화분에 적절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배수구멍 혹은 배수층 따위의 과습 방지 장치가 존재한다면 대형 화분이라 할지라도 큰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과습 방지 장치와 별개로, PVC파이프와 부직포로 직접 제작하신 장치가 유효한 기능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webper76 님이 제작하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와 설치 현황은 알 수 없으나, 건물 옥상 정원(e.g. Green roof)의 과습 방지 및 배수를 위한 장치를 만드는 데 부직포와 PVC 파이프가 활용되고 있기에, 기대하신 효과를 누릴 수 있으리라 막연히 추측해봅니다.
건물 옥상의 대규모 정원시설이나 실내의 대규모 정원(콘크리트 바닥위의 인공정원)을 인공적인 장치를 통해 유지하는 것을 보면, 대형화분에서의 수분은 충분히 조절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결론 짓자면, PVC파이프와 부직포로 만든 webper76 님의 장치가 기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배수층이나 옥상정원(옥상녹화, Green roof)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시면, 보다 완벽한 해답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제 영상중 배수층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영상이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ua-cam.com/video/no9fCmiH_Sk/v-deo.html
좋은 하루 되세요 :)
ㅜㅜ 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