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은 권력자들의 무기였다? 달력의 충격적 역사와 새로운 달력! 📅달력의 과학 2/2화 (국립과천과학관 이정모 관장)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106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2 роки тому +18

    달력의 과학 1화 ua-cam.com/video/Nx2O2sTfLec/v-deo.html
    2023 별자리 달력📅 출시! url.kr/6a19vu

  • @Doubleshot-cp6iv
    @Doubleshot-cp6iv 2 роки тому

    유미님 굿

  • @Ssjsoo
    @Ssjsoo 2 роки тому

    최고

  • @Rudal-nf8nh
    @Rudal-nf8nh Рік тому +1

    마지막 멘트까지 너무 알찬 영상이였습니다^-^

  • @jyzinnalee
    @jyzinnalee Рік тому

    20:46

  • @임지영-k3q
    @임지영-k3q Рік тому

    달력과 권력 재밌게 읽고 있습니다 달력의 기원이 늘 궁금했는데 뒤늦게 이런 책이 있다는걸 알게 되었네요 책 읽고 영상보니 더 재밌네요 개콘보다 더 웃겨요 ^^

  • @JL-ns3tc
    @JL-ns3tc 2 роки тому +1

    9:33 내전 X, 내년O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2 роки тому

      피드백 감사합니다!! 반영해서 해당 자막 가려서 블러처리 했습니다! 유튜브 인코딩 마치면 반영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youngbokim5179
    @youngbokim5179 2 роки тому

    많은 내용 재미있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세요

  • @linguistic6839
    @linguistic6839 2 роки тому +27

    11:40 윤년은 382일이 아니라 377일 혹은 378일입니다. 임금의 달이 끼는 윤년에는 2월이 평년 28일에서 23, 24일로 바뀌어요. 그래서 로마 공화정 제정 달력에는 총 382일이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로 총 일수는 377일 혹은 378일이었어요. 이때도 사실 정확한 주기가 정해져 있었지만, 관장님 말씀처럼 복잡한 방식과 특권층의 악용 때문에 제대로 지켜지지 않기도 했죠.

    • @linguistic6839
      @linguistic6839 2 роки тому +5

      또 304일 시기는 율리우스력 직전에 쓰인 로마 공화정 제정 달력이 아니라 더 고대에 로물루스력이라 명명된 역법을 쓰던 시기입니다. 로마 공화정 제정 달력 시기에는 이미 평년 355일이 자리잡은 상태였어요.

    • @linguistic6839
      @linguistic6839 2 роки тому +5

      13:44 Mensis Ianurius랑 Mensis Februarius가 1월 2월로 바뀐 시기는 율리우스력 제정 시기가 아닙니다. 앞서, 11:40에 보여준 달력이 율리우스력 이전 로마 공화정 제정 역법의 달력인데 이미 이때 1월 2월이 IAN(Ianurius) FEB(Februarius)라고 쓰여진 거 보이시죠? 이 달력이 1915년에 이탈리아 안지오 해변에서 발견된 사료인데 이때 이미 1월과 2월은 앞에 있었다는 걸 보여주는 사료입니다. 정확한 고고학적 사료는 없지만 전승에 따르면 고대 로마의 2대 왕인 누마 폼필리우스 이후에 10인 위원회(Decemviri)에서 1월과 2월을 Mensis Martius 앞으로 옮겼다고 해요.

    • @linguistic6839
      @linguistic6839 2 роки тому +5

      14:15 거듭 지적해서 정말 죄송하지만 ㅋㅋㅋㅋ 이 역시 잘못된 내용입니다. 아우구스투스는 9월생이에요. 8월에 업적이 많아서 원로원이 8월을 아우구스투스의 칭호에서 따와 기린 겁니다. 말씀하신 2월에서 하루를 떼어 8월에 붙였다는 건 13세기의 천문학자이자 수도사인 요하네스 사크로보스코의 저서 'De anni ratione'에서 나온 학설에서 비롯된 것인데 11:40에 나온 안지오 해변의 달력이 복원되면서 이 설도 마찬가지로 부정되었습니다. 저 달력의 추정 시기가 bc 90~ bc 50 정도인데 율리우스력이 제정되기 이전인 그 당시에 이미 2월이 28일인 것이 보이죠.

    • @yeeaaah7110
      @yeeaaah7110 2 роки тому +1

      와 대단하시네 ㄷㄷㄷ

    • @linguistic6839
      @linguistic6839 2 роки тому +3

      @@yeeaaah7110 감사합니다 ㅎㅎ 사실 로마력에 관해 연구가 굉장히 많이 되어있는데 고전 학설이 워낙 유명하다 보니 잘못 알려진 경우가 대다수더라구요. 관장님께서도 로마력 한 분야만 전문적으로 탐구하시는 건 아니니 헷갈리셨나 봅니다 ㅎㅎ

  • @csd2577
    @csd2577 2 роки тому

    와 알고리즘 ㄷㄷ해 어제였나 뿌틴이가 성탄절 기념행사로 3일간 휴전하자고 제안했다더니ㅎㅎ

  • @mattinata20xl
    @mattinata20xl Рік тому

    삼국사기, 삼국유사 이런데 나온 천문기록에 따르면 대륙에 삼국이 있었다고하는데, 정말인지 궁금하네요!

  • @ToTz_18
    @ToTz_18 Рік тому +1

    4번이나 돌려보고있습니다.
    내용이 알찬것 뿐만 아니라 빌드업도 정말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영상이에요

  • @임개똥-b7d
    @임개똥-b7d Рік тому

    잘봤 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동방박사가 별을 쫓은 것은 목성과 토성이 겹치는 때가 아니었겠나!
    그러면 그 때가 기원전 7세기 경이 된다. ㅋ~~~

  • @박성민-h1d
    @박성민-h1d 2 роки тому +1

    너무 재밌다

  • @jeffpark6638
    @jeffpark6638 2 роки тому

    진짜 최고의 영상임!

  • @teamplay765able
    @teamplay765able 3 місяці тому

    새해를 다르게 시작하는
    국가는 도대체 뭔가?

  • @ncudjfkrhqje
    @ncudjfkrhqje 2 роки тому

    원래 3월이 1월이고, 2월이 1년의 마지막 날이었다는거 처음듣는 이야기였네요. 진짜 너무 재밌었습니다.

  • @besitolee
    @besitolee 2 роки тому +1

    국립과천과학관 주소입니다. (10만 만들자고 해놓고 링크 왜 없나요? ㅎㅎ)
    www.youtube.com/@gnsmscience

  • @diamolee559
    @diamolee559 2 роки тому

    핵심 결론은 민주주의는 소중하다. 지켜야 한다.
    국내외에서 한국 민주주의가 위기다 라는 말이 나오는 시점에
    중요한 말씀.

  • @김이박최익명
    @김이박최익명 2 роки тому +10

    과학관장 하실만 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 설명 몰입도가 장난이 아님

  • @강원도감자0121
    @강원도감자0121 2 роки тому

    5:04 선조는 1608년에 사망해서 조선왕조실록은 선조41년이 끝이예요
    저 기록은 선조37년 기록이랍니다
    입력이 잘못되어있어요!

  • @jamesdean3432
    @jamesdean3432 2 роки тому +1

    "그깟 달력" 이었는데 "권력의 원천" 이라는걸 알게 되었네요.
    민주주의가 더 쎄지면 달력에 빨간 날도 점점 늘어날테고
    로봇이 사람 일을 대신해주고 핵융합로가 돌아가기 시작하면
    월토일토일토일 이 될 지도... ㅎㅎㅎ

  • @n1ceman0
    @n1ceman0 2 роки тому +1

    나중에 또 봐야지.

  • @AlpaAndromeda
    @AlpaAndromeda 2 роки тому

    20:20 역시 편집의 힘인가?
    실시간 할때와 느낌이 다르네요.

  • @김투잰
    @김투잰 2 роки тому +1

    와 율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진짜 충격적임 ㅋㅋㅋㅋ 신기하게 요즘 달력과 날짜는 세는 방식에 대해 막 궁금증이 생기던 차였는데 마침 안될과학에 이런 영상이 올라와있네요!!

  • @hancooksaram2312
    @hancooksaram2312 2 роки тому

    27:48 자막에 달력을 만들기 '싫은' 사람들 아닌가요?

  • @blancaruhana7093
    @blancaruhana7093 2 роки тому +1

    관장님 '지구와 태양이 사람을 생각을 안해줘' ㅋㅋㅋㅋㅋㅋ 아웈.. 웃겨라.

  • @BlackSkyUploadTube
    @BlackSkyUploadTube Рік тому

    월에 천이라니...

  • @dakfinx
    @dakfinx 2 роки тому

    게임 하면서 봤는데 이게 너무 재밌어서 게임을 접고 이걸 계속 보게 됐네요 ㅎ

  • @jeans8065
    @jeans8065 2 роки тому

    달력 샀습니다 완전 예뻐요! 앞으로도 재밌는 과학 이야기 부탁드립니다

  • @SqHq-w1i
    @SqHq-w1i 2 роки тому

    이야 오디오 꽉 채우시고 말씀 넘 열정있게 잘하시면서 댕소리는 깔끔하게 쳐내심 ㅋㅋ

  • @geerapiujrpiun
    @geerapiujrpiun Рік тому

    학교에서 이거 틀어줘야 해

  • @셀다-f1l
    @셀다-f1l 2 роки тому

    재미있습니다

  • @sangkunkang2647
    @sangkunkang2647 Рік тому

    요셉일텐데요

  • @n1ceman0
    @n1ceman0 2 роки тому +3

    어.. 마지막에 나도 모르게 밥 하다가 박수를 같이 쳤네 . ㅎㅎ

  • @제임스-y5v
    @제임스-y5v 6 місяців тому

    기원전 46년은 율리우스력 반포년도로 윤년 재대로 반영안된거 한꺼번에 몰아집어느니 445일이 된거아님?

  • @실프리아
    @실프리아 2 роки тому

    근데 저 쉬는 날 태어난 사람은....ㅋㅋㅋㅋ 몇 백 년 간 생일이 안 와 ㅋㅋㅋ

  • @jeonsansil
    @jeonsansil 2 роки тому +5

    과학과 역사를 아우르는... 너무 재미있게 봤어요. 마무리까지 갓벽.. 과천과학관에 달력 전시 함 해주세요 ㅎㅎ

  • @mwmw458
    @mwmw458 2 роки тому +5

    라이브 넘 잼있었어요 ㅋㅋㅋㅋ
    웃고 자지러지는 부분 전부 편집되어 아쉽지만 안그러면 영상 길이가 제어가 안될테니..
    나중에 한번씩 풀버젼 풀어주세요 ㅠㅠ
    꿀잼라이브들 이대로 지나가기 너무 아까워요~

  • @ghyt7u249
    @ghyt7u249 2 роки тому +4

    너무 재밌어요! 진짜 엔터테이너같은 과학자시다!! 처음 봐요! 너무 멋져요

  • @jambread848
    @jambread848 2 роки тому

    어 지쟈스가 기원전 7년 생이면, 그가 죽었을 때 그는 33세가 아니라 40세였겠군요!!

  • @taeyeonk.9831
    @taeyeonk.9831 2 роки тому

    아 정말 재밌게 봤어요!!

  • @정의의마도
    @정의의마도 2 роки тому +1

    갠적으로 털많은 동물 안 좋아 하는데...
    오늘부터 1일😍

  • @셩이름
    @셩이름 2 роки тому

    탄소측정, 천체물리 전부 사이언스픽션수준 과학이란 상상력 없이는 성립될수 없다

  • @지금이야-f9i
    @지금이야-f9i 2 роки тому

    나이스한 타입이십니다 ㅋㅋㅋㅋ

  • @루이-f4e
    @루이-f4e 2 роки тому +1

    흥미롭고 재미있게 잘봤습니다...감사합니다...

  • @최원복-y9n
    @최원복-y9n Рік тому

    윤년의 규칙에서 4로 나누어지는해는 윤년이고, 4와 100으로 나누어지는해에는 윤년이 아니고, 4,100,400으로 나누어 지는해는 윤년이므로 250 - 10 + 3 = 243에 율리우스 시저의 10일을 빼면 365,233일이 정답이 아닌가요 ?

  • @Pez_dispenser_jean
    @Pez_dispenser_jean 2 роки тому +5

    떡밥 회수가 놀란감독급이네영

  • @cogitatute23
    @cogitatute23 2 роки тому +1

    정치인이 과학에 참견 하면 안되는 이유를 느끼게 됏습니다

  • @JEsmsMWi
    @JEsmsMWi 2 роки тому +1

    이정모관장님 다시나와야 함.. ..

    • @제발되라-w6k
      @제발되라-w6k 2 роки тому

      궤도님하고 같이나오시면 몇시간 순삭이겠어요

  • @비드스터
    @비드스터 2 роки тому +3

    아니 이정모 관장님이 나오시다니 😆 입담이 대단하시죠

  • @참치김밥짱
    @참치김밥짱 2 роки тому

    인문학적인 역사서에선 예수의 탄생이 1년으로 나타남. 요세푸스 등에서...

  • @wjinchyae1345
    @wjinchyae1345 2 роки тому +2

    아 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은 알았는데 와 진짜 재미있게 봤습니다 달력민수 이정모관장님 감사합니다 목소리도 너무 멋지시네요

  • @king-ntt
    @king-ntt 2 роки тому

    와 천문학의 역사 달력의 역사 인류의 역사및 정치 인문학 까지 알게되는 아주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재미있었습니다.

  • @존경하는맥아더장군님
    @존경하는맥아더장군님 2 роки тому

    달력이 이제는 해마다 달라지는 것을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알았으니, 너무 획일적이지 않은 달력의 매력에 빠져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goldnee_liz
    @goldnee_liz 2 роки тому +3

    너무 재미있게 시간가는 줄 모르고 봤어요~
    옛날 권력자들로 인해 큰 혼란이 있었지만...
    결국은 점점 정확한 달력이 만들어졌네요ㅎㅎ
    그런 의미에서 달력 주문하고왔어요 기대되네요💕

  • @S792
    @S792 2 роки тому +2

    개재믹다…………. 시험기간에 봐서 배로 재밌네…

  • @maldini1838
    @maldini1838 2 роки тому +8

    정말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달력에도 심오한 권력과 과학이 있었네요..

  • @제발되라-w6k
    @제발되라-w6k 2 роки тому +1

    이정모관장님
    몇년전 별빛축제 초청강연하는데서
    처음 뵜었습니다
    야외강연이었는데 관객이 한 20명뿐이었는데
    강연 재미있게 해주시고 끝나고
    관객 한분한분 악수도 해주시고
    관객이 너무 없어서 보는 내가 민망했었다는

  • @syjoe3806
    @syjoe3806 2 роки тому

    진정한 이야기꾼이심

  • @cvb8441
    @cvb8441 2 роки тому

    역시 원조 랩장님

  • @seyeul-b6p
    @seyeul-b6p 2 роки тому

    예수의 출생연도는 마태와 누가복음이 서로 다른데, 한번은 동방박사의 방문으로 헤롯의 박해가 있어서 이집트로 피난을 갔고, 다른 것은 3목동의 경배를 받고 아무 일 없이 나자렛으로 돌아갑니다. 한가지로만 생각하면 연도가 불분명하지만 양쪽으로 보면 명확한 두 연도가 나올 것입니다.
    13일의 차이, 13성야에서 유래.
    분기별 날짜? 우리나라는 각종 기념일 휴일이 많아서 그걸 계산해 봐야.

    • @봄봄봄-s6x
      @봄봄봄-s6x 2 роки тому

      마태기록과 누가기록의 아기에 대한 단어가 다릅니다. 마태기록의 동방의 박사들은 출생후 2~3년 후에 예루살렘도착.

  • @singenwoodworker
    @singenwoodworker 2 роки тому

    재미있게 보다가
    절로 달력을 주문하게 되네 ㅎㅎㅎ

  • @himoon10613
    @himoon10613 2 роки тому

    라이브보고 넘 재밌어서 영상 떳길래 TV보다 잠깐 보고 가야지했는데 다 보고있음~ 이관장 너모 조아! ㅋㅋㅋ

  • @Zercoal
    @Zercoal 2 роки тому

    풀버전 라이브 보고싶은데ㅠㅠ 그래도 너무 재밌게봤습니다!!

  • @changbongjeong3711
    @changbongjeong3711 2 роки тому

    너무 좋운 내용입니다 소름!!

  • @lovelymelody9245
    @lovelymelody9245 2 роки тому +1

    한 달 28일씩 1년 13달 좋아보인다

  • @김현수-p5d
    @김현수-p5d 2 роки тому +1

    달력 재밌어용

  • @주봉팔
    @주봉팔 2 роки тому

    달수형이 카타르축구장 에어컨 설명 좀 해달라는디? 축구장 컨텐츠 한번 갑시다

  • @라면먹고자자
    @라면먹고자자 2 роки тому

    으앙 세종대왕님 과학에 몰빵해주셨는데 후손들이 이걸 으앙

  • @김보통-x5c
    @김보통-x5c 2 роки тому

    달력 월 볼때마다 영어 이새끼들은 뭔 이름을 이렇게 안맞게 해놨어 라고 욕했었는데, 로마떄문이었구나...

  • @Ian-rg3pk
    @Ian-rg3pk 2 роки тому

    와 존잼 ㅋㅋㅋㅋ

  • @manjuh2416
    @manjuh2416 2 роки тому

    아라비아,중국,한국>>> 아라비아, 명, 조선

  • @제발되라-w6k
    @제발되라-w6k 2 роки тому

    달력 광고 하러 나온 사람들이
    매년 똑같은 달력 나오면 달력 못팔지안나요

  • @JHLee-qd9ks
    @JHLee-qd9ks 2 роки тому

    혹시 율리우스력 기원도 그저 썰 아닌가

  • @riym147
    @riym147 2 роки тому

    3:55 와 비가 오고 안온건 또 어찌안대ㅋㅋㅋㅋㅋㅋㅋㅋ 쩐다ㅋㅋㅋㅋㅋㅋㅋ

  • @김윤만-z1s
    @김윤만-z1s 2 роки тому

    달력을 한번만 만들고 재활용하면 인쇄 업체가 망할 수 있습니다

  • @carlyounsh
    @carlyounsh 2 роки тому

    솔직히 이젠 권력자들의 욕심으로 일그러진 달력을 버릴때가 되긴 했다고 봅니다.

  • @김진엽-d3b
    @김진엽-d3b 2 роки тому +1

    원조랩짱님이 돌아오셨네요 다시 구독합니다~

  • @junseongpark5883
    @junseongpark5883 2 роки тому

    기업매출이 분기별로 나뉘어져 있는 이상 13달이 도입되는 일은 없을거 같네요
    달력 이쁘고 평생 쓰는일은 이게 짱일거 같은데

  • @user-rz2si7ex8p
    @user-rz2si7ex8p 2 роки тому

    달력홍보 넘어가는거 너무 매끄럽네요

  • @jessicarabbit2585
    @jessicarabbit2585 2 роки тому

    너무 재밌어요 ❤❤ 달력사러 총총…

  • @Uber-mensch
    @Uber-mensch 2 роки тому

    과거에도 과학을 가졌지만 과학 이외의 이유로 달력이 정해졌군요.
    과학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더 중요한듯 싶네요.
    전 인류가 같이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담은 과학적인 달력을 새로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더불어서 지금 사용하는 서기는 종교적인 의미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종교와 공유할 수는 없는 문제가 있죠.
    그래서 이 연도도 종교적 의미를 제거하고 인류 공통의 의미를 가진 과학적인 연도 개혁이 필요해보입니다.
    갑자기 너무 많은 것을 바꾸면 사람들이 적응을 하지 못하니 지금 사용하는 서기에 1만년을 더한다면 종교적 의미도 희석시킬 수 있고 실제 생활에서는 1만년을 생략하면 현재와 같기 때문에 거부감도 없어보입니다.
    1만년을 더하면 소빙하기가 지나면서 농사가 가능해저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문명이 발달한 시기와 어느정도 맞기도 하기 때문에 인류 공통된 가치를 공유할 수 있어서 의미도 있어보입니다.
    이렇게 달력과 연도 개혁이 필요해보입니다.
    ps. 추가로 미국은 도량형 개혁좀 합시다.
    무게, 거리, 온도등 왜 국제 표준을 따르지 않고 자기들만의 표준을 쓰는지 원...

  • @superpatrick8902
    @superpatrick8902 2 роки тому

    zzzz 새로운 시스템의 달력..
    달력회사 직원들 이마치는 소리

  • @paste-5601
    @paste-5601 2 роки тому

    저 실력이면 그냥 노트북 만드는게 빠를거 같은데.. 피라미드는 대학원생이 만든걸로..

  • @Hyuchan1002
    @Hyuchan1002 2 роки тому

    동양에서도 역법은 권력이었죠 ㅋ 중국 중심이라서 그렇지 ㅋ 연호도 그렇고 ㅋ

  • @leesanghong80
    @leesanghong80 2 роки тому

    bk20b

  • @뚜니-t3i
    @뚜니-t3i 2 роки тому

    궤도님 본 영상과 상관은 없는데요 궤도님이랑 너무 닮은 캐릭터가 있어요 ‘바다탐험대 옥토넛’에나오는 셸링턴 이라는 캐릭터가 닮아서 볼때마다 궤도님 생각이나요. 참고로 셸링턴 직업도 해양생물학자랍니다 ㅋㅋ 시간되시면 한번 찾아보세요! 화이팅

  • @Hyuniesta
    @Hyuniesta 2 роки тому +1

    3빠

  • @glimelite
    @glimelite 2 роки тому

    이정모 박사, 아직도 달력에 대해 대충 맞는 지식 가지고 엉터리 썰까지 더하네.
    젊었을 때 그런 거야 어린 치기라고나 하지. 나이 먹어서 직함 가지고도 저러냐.
    아 진짜...

  • @조중동은매국노
    @조중동은매국노 2 роки тому

    크으 과학의 최고발견
    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