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작가 충격 발언, 과학적으로 삶은 아무 의미 없다? | 문과남자의 과학공부 | 최재천의 아마존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2 сер 2023
  • 본 영상의 수익금 일부는 '생명다양성재단'에 기부됩니다.
    문과남자 유시민과
    이과남자 최재천의 만남!
    과학적으로 보면 삶의 의미가 없다는 충격적인 발언?
    인문학의 정수를 과학을 통해서 이야기해보았습니다.
    화제의 신작! 문과남자의 과학공부가 궁금하다면?
    - url.kr/jt9on7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uch Love!
    contact : choemazon@gmail.com
    #유시민 #최재천 #문과남자의과학공부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1,7 тис.

  • @abcdef14352
    @abcdef14352 9 місяців тому +1168

    "책 읽고 데이터를 계속 쌓으면 죽을때까지 덜 어리석게 살 수 있지 않을까?" 감탄나오네요 정말.. 진정한 지식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런 얘기를 영상으로 볼 수 있다는것에 영광이며 감사합니다.

    • @user-vl1xn9ne4e
      @user-vl1xn9ne4e 9 місяців тому +29

      @@user-js2ml1yn2b나와 있다고 하지말고 답을 말 하세요. 없으니까 말을 못하지. 한 줄 요약해보세요.

    • @Matilda-jb2vc
      @Matilda-jb2vc 9 місяців тому +16

      @@user-js2ml1yn2b 왜 사나요는 답이 없구요. 어떻게 살아야하는 지는
      자기 밥그릇 사이즈 아는 사람이 행복지능이 높은 사람. 그걸 알려면 철학을 알아야 가능하고 그 철학을 알려면 지능이 나쁘지 않아야 하죠.
      그래서 인생은 지능의 운대로 살아가는 것

    • @hee-zw2mp
      @hee-zw2mp 9 місяців тому +38

      ​@@user-js2ml1yn2b교회 목사님들 싸우고 재물쌓는데만 관심이 가 있는걸보면 성경책 많이 본다고해서 답을 찾을까 의문입니다

    • @user-vf8eh7ud4u
      @user-vf8eh7ud4u 9 місяців тому +2

      ​@@user-vl1xn9ne4e뜰앞의 잣나무

    • @user-vf8eh7ud4u
      @user-vf8eh7ud4u 9 місяців тому

      ​@@hee-zw2mp깨달음은 현존하는것이고 그것은 흐르는 물과 하나가 되듯이 외부의 지식을 습득해서 아는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진리 그 자체가 된다는것을 의미합니다.
      흐르는 강물의 순간을 손으로 움켜쥘 수 없듯이 자신이 물자체가 되어야 온전히 이 세계의 진실을 깨닫는다는 말이지요. 물아일체의 경지라고도 하고 부처가 말한 무아의 경지라고도 합니다. 그냥 그자체가 되는것입니다.
      진리라는걸 외부의 무언가를 배워서 알겠다는 그런 자세로는 안된다는것이고 자신이 진리 그 자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모든 존재를 존재 그자체로 존귀하게 대하며 차별없고 조건없는 사랑의 마음으로 매순간 살아가는것 뿐이지요.
      예수와 부처의 이름 뒤에 숨어서 종교적 교리와 경전등의 지식을 주입하고 사제간에 등급과 계율을 적용시켜 수직적 계급의 질서를 만드는 형태들은 모두 가짜라는것이며 현존하는 모든 종교들이 이러한 시스템으로 돌아가기에 오히려 진실과는 멀어지고 거짓신들을 경배하며 스스로를 노예취급하며 살아가게 된다는것입니다.
      그렇다면 종교를 비판하는 과학은 어떤가요? 상대를 비판한다고 자신이 진실하다는걸 의미하는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수많은 학계의 학자들과 지식인들이 과학을 신봉해 온것은 과학적 지식이 모두 사실 이어서가 아니라 가설과 검증을 통해 스스로를 증명해내는 과학적 시스템을 신뢰하는것이고 이 방법이 진리를 파악하는 가장 합리적이고 훌륭한 방식이라는 나름의 암묵적 합의가 있었기에 여지껏 활용해 온것이며 문명의 발전에 이바지 해 온것도 사실입니다.
      다만 물질적 기계적 발전을 이루는데 도움을 준다고 해서 이 시스템이 세상의 진실을 밝히는데 긍정적인 역할만 하는것이 아니라는 것이고 오히려 학계의 논문과 시스템에 의존하여 진실을 은폐하고 가려왔다는 불편한 진실도 마주할 수 있어야 한다는것입니다.
      깨닫기 위해 무슨 수련을 하고 산속에서 몇십년간 도를 닦아야 한다는것도 진실이 아니에요. 이 시스템은 진실을 친절하게 알려주는 곳이 아닙니다. 스스로가 의문을 가지고 온전히 진실하게 살아가는 인자에게만 그 수준에 맞는 체험과 정보가 주어지는 것이기에 모두에게 공평한 게임이라는 것이에요.
      어떠한 조건도 필요없고 순수하게 깨끗한 마음상태인 어린아이의 눈망울처럼 편견없이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느냐 그 진실함 하나만 가지고 빈 마음으로 살아가는 인자만이 진실을 알아볼 수 있다는것입니다.
      그리스도의식과 깨달음이라는건 존재하고 그것은 에고소멸을 의미하고 자신을 죽이는것을 의미해요.
      이렇게 거짓된 아상을 깨뜨린후
      새로 태어난 존재들은 에고를 일으키는 개체의식이 완전히 힘을 잃어버리고 전체의식과 온전히 합일을 하게되는것입니다.
      이것이 부활의 진정한 의미이고
      이것을 영성에서 상위의식과의 합일등의 표현을 쓰기도 하고
      성경에 나오는 하나님께 성령을 수여받는다.
      영이 임재한다는 뜻의 본래의 순수한 의미입니다.
      그리고 부처는 견성 성불로 깨닫고서 반열반을 한것인데 견성은 자기마음이 에고에 지배당하는 저급한의식에 휘둘리고 있었다는걸 깨달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자기마음의 현상태를 확인한 것이지 아직 본래면목이 무엇인지 참나가 무엇이고 불성이 무엇인지 이러한 용어들의 본래 의미를 순수한 체험으로 깨닫지는 못한 상태라는말이지요.
      즉 자기자신이 주인이 아닌 감각기관의 노예로서 살아온 존재라는것을 깨끗하게 인정한 상태를 말합니다.
      그래서 견성이 끝이 아니고 돈오점수를 통한 수행이 필요하다는식의 얘기들을 하는것이고 말로서 깨우칠 방도가 없으니 그저 수행을 하라는식의 얘기를 해줬던것 뿐입니다.
      자기의 마음을 완전히 깨닫기 위해서는 스스로에게 주어진 삶의 여정을 굴절없이 그 무엇에도 의존하지 않고 온전히 스스로의 의지로 극복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견성 이후부터가 진짜 자기 스스로와의 영적 전쟁이 시작이 되는것입니다.
      외롭고 힘들고 그 어떤 대가도 보상도 없고 멸시와 조롱과 비난과
      죽음을 통한 두려움과 협박만이 난무할것입니다.
      이 과정을 이겨낸 존재들이 영적전쟁의 진정한 승리자들이 되는것이지 거저 주어지는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편하게 놀고 먹으면서 깨닫기위해 여러분들이 이 지구행성에 온것이 아니라는것을 분명히 전달하는 바입니다.
      예수는 자신의 욕망을 시험하는 사탄에게 굴복하지 않고 모든 에고적 욕망을 십자가에 못박고 진정한 자신의 참자아를 깨달아 영을 받아들인 존재에게는 죽음이 존재하지 않는다는것을 부활을 통해 여러분들께 진정한 죽음의 의미를 전하고자 하였던 것입니다.
      부처는 마라의 모든 유혹을 뿌리치고 자신의 거짓된 자아인 모든 아상을 소멸시킴으로서 성불을 하였고 자신만이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
      모든 존재가 대평등한 불성을 가진
      영원불멸의 영적존재임을 스스로
      자각할 수 있도록 중생들에게 가르침을 전하고자 하였던 것입니다.
      80억 인류에게는 80억가지 깨달음의 길이 있습니다.
      그 진리의 문은 오로지 존재 스스로만이 열 수 있습니다.
      그 누구도 진리의 문을 대신해서 열어주는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것은 존재의 자유의지를 침해하는것이고 우주안에 대평등한 모든 영적존재들의 관계성을 해치는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구원은 오직 스스로의 힘만으로 가능한 것 이라는것을 여러분은 꼭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차크라를 연다거나 쿤달리니가 깨어나고 제3의눈이 열리고 하는건
      어떤 정해진 방식의 명상을 하거나 수행을 통해서 이루어지는것이 아닙니다.
      보편적 진리의 실천자로서 매순간 현존하는것에는 어떠한 노력도 조건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닫아놓은 진실한 마음의 문을 당당히 열어젖히면 그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진정한 수행의 의미입니다.
      이렇게 진실한 사랑을 실천하며 살아가는 인자들에게 깨달음의 인연은 자연스럽게 다가오는것이고
      그어떤 교만함도 오만함도 두려움도 없는 100% 겸손하고 순수한 마음으로 본래부터 가지고 있던 가슴안의 진정한 사랑의 불꽃을 깨운 존재들
      이들이 비로소 재림예수와 미륵으로서 그동안 인류를 속이고 노예화 시켜왔던 종교를 비롯한 모든 물질세계의 우상들을 깨뜨리고 본래의 순수한 진리의 가르침을 있는 그대로 이 세계에 드러내게 될것입니다.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지는 바와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질 것입니다.
      깨달음은 존재하지만 여러분 주변에 그런 인자는 없을것이에요. 안목이 깨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런척하는 존재들만이 눈에 보일것입니다. 그러니 진실을 알고자 한다면 그 어떤 우상도 섬기지 말고 자신의 진실함만을 믿고 앞으로 나아가면 될일입니다. 그리하면 진실로 진리가 여러분들을 자유케 할것입니다.

  • @snoopysmum70
    @snoopysmum70 9 місяців тому +666

    문과 출신이지만 30대에 들어서면서 의학분야로 진로변경하여 일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때부터 문이과를 나누는 한국의 교육 정책이 제가 문과임에도 이과적 성향이 있는 직업을 택하거나 다시 석사로 공부하고자 할 때 너무나도 큰 걸림돌이 되었던게 기억납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10년이 지났는데도요.. 결국 한국에서 석사 지원자격조차 얻지 못해 유럽에서 공부를 마쳤습니다. 과학과 사회는 서로 유기적인 관점에서 맞물려 돌아갈때 조화로운데 한국의 교육이 너무 다양성을 떨어뜨리는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각자 문과 이과에서 한 획을 그으신 분들이 나누는 이런 대화는 너무 값지네요. 끊임없이 읽고 쓰고 경험하는 작업은 사람이 자신을 업데이트 하는 유일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 @sunglaklak
      @sunglaklak 9 місяців тому +7

      그건 아니에요 한국 교육 내에서도 얼마든지 문이과 다 배울 수 있답니다

    • @XERXES23
      @XERXES23 9 місяців тому +13

      정말 좋은 말씀입니다 공감합니다

    • @user-lz4ii2lt3e
      @user-lz4ii2lt3e 9 місяців тому +112

      @@sunglaklak 저 분이 말씀하시는 건 그런 뜻이 아니에요. 한국교육도 문과 이과 다 배우지만, 문과 공부를 하다가 이과 적성을 깨닫고 이과로 돌리려고 했을 때 너무 어렵다는 겁니다. 물론 공부 자체도 이과가 어렵고, 문과에서 이과로 돌리려면 수학,과학 과목을 추가로 수강해야 하는데, 문과 공부만 하다가 그걸 따라잡는 건 쉽지 않다는 거죠. 반면 이과에서 문과로의 전향은 쉽게 가능하죠. 요즘이야 문이과 통합 어쩌고 하면서 문과생의 이과전향이 쉬워졌을지는 모르겠지만, 글쓴분이 공부하던 시절엔 달랐을 거예요. 문과에서 공부하다가 이과적 특기를 발견했다고 해도 고3때 갑자기 이과로 전향하기가
      매우 어려웠죠. 과학공부를 ABC부터 다시 배우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니까요. 기존 이과생들을 따라잡기가 쉽지 않은 거죠. 그래서 저도 개인적으로는 고등학교 과정에선 문이과 나누지 말고 통합형으로 공부시키고 대학 진학하면서 자신의 전공을 찾거나 아니면 대학교 1학년 때까진 자유전공을 하다가 2학년 때부터 공학, 인문학, 사회학, 자연과학 등으로 나눠도 늦지 않다고 생각해요. 그래야 좀 더 자신에게 맞는 적성을 찾을 수 있으니까요.

    • @suriowl
      @suriowl 9 місяців тому +11

      마지막 문장이 참 좋네요.

    • @Aaaakfjdnfk
      @Aaaakfjdnfk 9 місяців тому +8

      @@user-lz4ii2lt3e너무 낭비라는 생각 드는데 이미 고등학교 과정에서 자신의 진로를 찾게끔 만들어야 하는거 아닌지요? 누구나 다 대학가는거 매우 잘못된 거 같습니다 누구나 다 공부를 잘 할 수도 없습니다 각자 특기가 다 다른데 모두 다 대학 보내게끔 만드는 이것부터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되지 않을까 싶네요

  • @minju8952
    @minju8952 9 місяців тому +429

    생명공학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요즘 정신적인 부담감이 많은 시기인지라 지쳐있는 와중에 두분의 부드러운 대화와 마지막 작가님 책의 한줄에 마음이 따뜻해지네요.... 항상 건강하시고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 @bizfree
      @bizfree 9 місяців тому

      아직 학생이라 사람 볼줄 모르네

    • @user-ne7vq1hd7n
      @user-ne7vq1hd7n 9 місяців тому +21

      응원합니다!

    • @user-mc2vm1sg4h
      @user-mc2vm1sg4h 9 місяців тому +1

      ​@@bizfree쯧쯧~댁같은 사람은 나이만 먹은듯!!
      되려...어린 학생의 눈보
      다도 사람볼줄도 모르면
      서...학생의 좋은 댓글에 눈치없이..썩은눈과 편협
      한 시야를 갖은 사람이 나이만 많다고...지딴엔 저따위 추잡한 댓글이나 달아주는 센스하고는!!
      쯧쯧쯧~
      진짜 나이 많다고,현명하
      고.합리적인건 절대 아님!
      아직 어린학생이라서..사
      람볼줄 모를거라는 이 무
      식하고 어리석음!!쯧쯧~
      이런걸~꼰대!!라하지!!!
      😡😡😡😡😡😡😡😡

    • @user-mc2vm1sg4h
      @user-mc2vm1sg4h 9 місяців тому +15

      공감하며😮, 앞으로도 들으면...도움되고, 더 힘나는 이런 좋은 분들
      의 자리가 자주 있으면 좋겠네요~😄👍

    • @user-cu5pd3xp3h
      @user-cu5pd3xp3h 8 місяців тому +6

      브라보..멋진 청춘 응원드립니다

  • @sarahfeelosophy
    @sarahfeelosophy 9 місяців тому +67

    지혜로우신 어른들의 대화 잘 보았습니다. 이런 어른들이 더 많았으면 좋겠어요. 저도 똑똑하고 지혜로운 어른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GERMANY1908
    @GERMANY1908 9 місяців тому +318

    두분 케미 너무 좋습니다. 믿음직한 큰형과 아직 인간에 대한 고뇌를 끝내지 못한 열심히 살고 있는 동생을 존중하며 대화하는 모습이 너무 좋습니다. 최재천 교수님과 유시민 작가님 콜라보 많이 부탁 드립니다. 두분 정말 사랑합니다 !!!!

    • @goapple1015
      @goapple1015 8 місяців тому +7

      보는 내내 미소가 떠나지 않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느낌이었어요.
      두분 다 너무 여유있어 보이시고, 진짜 멋있네요.

  • @Latin_in_Seoul
    @Latin_in_Seoul 9 місяців тому +108

    숨붙어있는 날까지 덜 어리석어지면서 살 수 있지 않을까?
    나이들면 지혜로워 지는게 아니라 어리석어 질 확률이 높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miyah299
    @miyah299 9 місяців тому +205

    힝 너무 좋당. 아집 부리지 않는 지식인들의 대화는 보고 듣는 이에게 편안과 만족을 주네요. 2탄 언제 올라오나 기다렸는데 봐서 너무 좋습니다. 책 사서 읽을게요 감사합니다!

  • @heidiko4932
    @heidiko4932 9 місяців тому +81

    미국 교포입니다 LA에 삽니다 몇달전부터 최재천교수님 많은 유튜브 영상보며 행복하게 지내고있어요 똑똑해지는 기분입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 @user-kh8yy7jb6n
    @user-kh8yy7jb6n 9 місяців тому +245

    지금 현재 여기 댓글들 봐도 역시 이정모 관장님 말씀대로 과학은 진리나 믿음이 아니라 그 사람의 인간성과 태도 그 자체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척도이자 시험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howmuch_gun2
      @howmuch_gun2 9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

    • @smokemirror1583
      @smokemirror1583 9 місяців тому +10

      과학이 진리는 아니어도 진리를 찾기 위한 목적을 지녔음은 옳죠

    • @VoidX930
      @VoidX930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스탠스..

    • @VoidX930
      @VoidX930 9 місяців тому

      @@user-bx2gs8ck8v 미쿡에서는 을 믿는 사람들이 약 600만명이라고 합니다.
      근대과학이 숱하게 제시한 "지구는 둥글다"는 생각을 거부하며, 사는 저들의 "태도"를 보면서 어떤 생각이 들죠?
      (진지하게 제가 이런 반론을 제기하기 전에 양심에 손을 얹고, 진짜 진짜로 진짜 거짓없이 제 댓글에 반박하고 싶어하는 그런 심리를 제거하고 진짜진짜 양심에 따라서 생각할때~) "지구평평설을 아직 믿는 미쿡인이 우리 부산인구 전체랑 대구인구 합한거보다 더 많은 600만명씩이나 있데~"란 말을 들었을때~~~~~
      저들을 어떤 시선으로 보실 겁니까? ㅋ
      저들 인간 자체를 (약간이라도)폄하 안하고 봤을(제가 댓글로 시비 걸기전에 지인짜 양심적으로~) 자신 있으으세요????
      ㅋ 양심에 맡깁니다.....

    • @user-du1jj6tr8j
      @user-du1jj6tr8j 9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bx2gs8ck8v 제사도 비과학

  • @playthisbook
    @playthisbook 9 місяців тому +267

    08:22 "왜 우리 사회에선 나이가 많아지면, 은퇴를 하면 이상한 행동들을 할까?"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주신 내용들이 정말 인상깊고 마음에 박혔습니다. 저도 계속 책을 읽고 데이터를 머리에 넣어서 덜 어리석어지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할게요. 좋은 말씀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heidiko4932
    @heidiko4932 9 місяців тому +39

    최재천교수님 유시민 작가님 찐팬입니다 두분과 동시대에 살며 실시간으로 만나서 유익한 시간을 만나서 너무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건강히 오래사셔요~^^💜💜

  • @joyfulpeace4726
    @joyfulpeace4726 8 місяців тому +40

    두 분다 학문의 일가를 이룬 분들이시고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인을 넘어선 지성인의 향기를 느끼게 해주어 고맙습니다.
    유시민 작가는 학문을 앎에서 응용과 실천하는 분으로는 최고가 아닌가 싶고 그 점이 늘 부럽습니다.
    두 분에게서 삶의 지혜와 여유가 느껴지고 여백도 느껴집니다.
    학문하는 기쁨이라는 것이 저런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두 분 모두 건강하셔서.. 더 좋은 데이터 많이 나누어 주시기 부탁합니다. 감사합니다.

  • @corrinneyu1760
    @corrinneyu1760 9 місяців тому +195

    최교수님의 높은 공격력에 내내 웃으면서 봤습니다. 두 분의 영상 또 보고 싶네요. 저도 어려운 책과 관심없는 분야의 책도 읽도록 해야겠어요.

    • @chongjincho9259
      @chongjincho9259 9 місяців тому

      외집단배타주의도 있으시지 않을까요. ㅎㅎ 농담입니다.

  • @JYKim-sz6sr
    @JYKim-sz6sr 9 місяців тому +172

    책을 읽을수록 나의 무지함과 미련함을 한탄하는데 두 분의 말씀이 위로가됩니다. 😊

  • @ljy7465
    @ljy7465 9 місяців тому +61

    두 분 덕분에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통섭에 한발짝 더 다가갈 수 있게 되었어요~ 감사합니다아~🙇‍♀️🙆‍♀️💕

  • @user-oh7zr2qk9j
    @user-oh7zr2qk9j 8 місяців тому +63

    고등학교 이과, 대학교 학사과정 문과(경제학), 대학원 이과(공학계) 출신의 30대 후반의 평범한 직장인으로써 영상 너무 재밌게 봤고, 한국의 입시체계가 문제가 있다는 말씀에 크게 공감했습니다.
    영상을 다봐갈때쯤 마지막 부분에 드는 생각은
    유시민작가님 책의 연장선으로 최재천교수님께서 '이과 남자의 인문학 공부'라는 책을 써주신 다면 그또한 흥미로울것 같습니다~^^

  • @happyfreak2022
    @happyfreak2022 9 місяців тому +340

    태생적 문과인데 50살 즈음에 이기적 유전자를 읽고 가치관에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맞이했습니다. 정말 인생의 책이구요 과학적 사고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그동안 반쪽도 안되는 눈으로 세상을 바라봤구나 깨달을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두분의 기념비적인 영상을 보니 혼돈과 몰지성의 시대에 많은 위로가 되는것 같습니다. 두분 건강하시고 앞으로도 활발한 활동 펼쳐주시길 기대합니다 ❤❤❤

    • @user-kh8yy7jb6n
      @user-kh8yy7jb6n 9 місяців тому +14

      @@user-sq4xk7im7c 신천지 코로나 바이러스

    • @joooon5669
      @joooon5669 9 місяців тому +7

      ​@@urchinsea6297진화론 안따르면 무조건 기독교라하는것도 반지성

    • @joooon5669
      @joooon5669 9 місяців тому +1

      @@urchinsea6297 그래 니말 다맞음

    • @joooon5669
      @joooon5669 9 місяців тому

      @@urchinsea6297 네 맞아요

    • @kevinchae287
      @kevinchae287 9 місяців тому

      user-sq4xk7im7c/
      귀신~~훠이훠이~~~

  • @user-ud2uw1dy9y
    @user-ud2uw1dy9y 9 місяців тому +251

    이 영상 왜이리 감동적이죠? 내용은 말할 것도 없이 좋고 두 분이 이야기 나누는 모습 보는 것 자체가 행복입니다. 두 분 이야기 들을 수 있다는 사실에 감사해요. 오래오래 듣고 싶습니다

  • @goodieyj3316
    @goodieyj3316 9 місяців тому +26

    두분 말씀 들으며 삶의 답답함이 좀 해소되는듯 했습니다. 듣는 내내 공감의 미소가 지어집니다. 고맙습니다.

  • @user-zn8ck7ls1h
    @user-zn8ck7ls1h 9 місяців тому +66

    문과생으로서 너무 좋은 자극을 받았어요
    나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jd5nh7im9e
    @user-jd5nh7im9e 9 місяців тому +127

    두분 얘기를 듣는 동안 감사한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두분 모두 행복하시고, 건강하세요^^

  • @flyaway9639
    @flyaway9639 9 місяців тому +166

    영상이 짧아서 아쉬움이 남지만, 이렇게 두 분 이야기를 듣는것만도 너무 귀하고 감사합니다

  • @myforest3446
    @myforest3446 9 місяців тому +27

    좋아하는 두 분이 함께 화면에 나오니 너무 행복하네요! 두 분 모두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셨음 좋겠습니다^^ 👍👍👍

  • @me3801
    @me3801 9 місяців тому +79

    요즘 맘 둘곳 없었는데 기운이 나네요..두분 선생님을 대담 넘 소중하고 고맙습니다~!!

  • @user-yq1vs5ti9u
    @user-yq1vs5ti9u 9 місяців тому +51

    오늘 영상은 37년차 인간삶을 살아가는 저에게 조금 울림이 있었습니다. 꾸준한 학습을 잊지 않고 살아야겠어요.

  • @user-hf7mu8mc3k
    @user-hf7mu8mc3k 9 місяців тому +39

    이런 어른들이 우리 사회에 있고 두 분의 대화를 유튜브로라도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어서 너무 행복한 하루예요 🤭

  • @damdam_hage
    @damdam_hage 9 місяців тому +22

    두 어른의 말씀을 들으면서, 진짜 어른이 되려면 죽을 때까지 배움을 게을리해선 안된다는 것을 다시 깨닫습니다. 존경하고 사랑하고 고맙습니다.

  • @user-ve2gm6cr6f
    @user-ve2gm6cr6f 9 місяців тому +98

    문과 출신입니다. 하지만 제일 좋아하는 분야는 우주 과학입니다. ㅎㅎ 그래서 재미니가 되었습니다.

    • @kokekuka24
      @kokekuka24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문과생이라면 물리도 할줄 모를텐데 웬 우주과학??

    • @dschai0220
      @dschai0220 9 місяців тому

      노자 도덕경 1장을 보면 완전수로 쓴 수학 그 자체인데 동양인 밥들이 문학으로 알고 있으니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고대 천문이니 현대 우주과학이며 최첨단 수학인데 말이죠.

    • @PIGeon0515
      @PIGeon0515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우리 천문 많은 관심 가져주세요...

    • @lybe930
      @lybe930 9 місяців тому +2

      @@kokekuka24 문과‘출신’

  • @rlagywls2
    @rlagywls2 9 місяців тому +125

    정말 감사한 강의네요!!!❤❤❤공감이 많이 됩니다. 인문학 과학 모두 공부 해야 마음이 편해집니다 ^^

  • @jisooyha
    @jisooyha 9 місяців тому +30

    제가 좋아하는 두 분을 한 자리에서 볼 수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아마존 채널 최고입니다 ♡ 나이가 들어서도 두 분처럼 계속 책을 읽고 배움을 멈추지 않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오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uu6kd5xr4r
    @user-uu6kd5xr4r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최재천선생님말씀고맙게듣고이습니다강하합니다
    환절기에건강잘챙기시도록...

  • @winterwhite9094
    @winterwhite9094 9 місяців тому +120

    제가 감히 넘 사랑하고 존경하는 두 분의 다정한 대담 잘 봤습니다!! 두 분의 통찰력의 향연이 저포함 많은 분들께 깊은 감명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alchemist7212
    @alchemist7212 9 місяців тому +57

    아~ 두분 넘넘 존경하는 분인데 영상이 넘 짧아요ㅠㅠ 좀 길게 미친듯이 토론하는 모습 보고 싶어용!!

  • @sunnyalot
    @sunnyalot 8 місяців тому +14

    끊임없이 다양한 분야 책 읽고 마지막 날까지 공부해야겠어요~ 지적이신 두 분의 대화 참 즐겁게 잘 들었습니다💚

  • @user-ls5cg3bo1e
    @user-ls5cg3bo1e 8 місяців тому +16

    참 어려운 얘기도 쉽게 위트있게 말씀해 주시는 유시민 작가님 ~^^😊❤❤😊 모든 얘기들을 겸손하게 경청해주시는 최재천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이 채널 구독한지 얼마 안돼서 ᆢ
    이제부턴 자주자주 볼께요~
    삶이 참 풍성해지는 느낌입니다~^^

  • @sesam..
    @sesam.. 9 місяців тому +72

    두 분이 다름보다는 닮음을 중심으로 대화를 하시면서, 온유하게 표현하시는 방식이 부럽습니다.
    타인을 존중하는 경청과 북돋아주는 말, 솔직한 표현이 있는 대화는 힘이 쎄다는 걸 느낍니다..

  • @user-cx3bd2fg6q
    @user-cx3bd2fg6q 9 місяців тому +61

    최재천 교수님 유시민님과 같은시대에 있어서 행복합니다 😊

  • @dggartist-fz3yb
    @dggartist-fz3yb 8 місяців тому +13

    저는 그림 그리는 작가이고 10년 정도 전에 들뢰즈를 공부하다가 진화 생물학에 관심을 갖게되어 지금까지 틈틈히 공부를 해왔는데요. 요즘 유시민 작가님 출연 방송들을 보면 그간 공부했던 내용들이 틀리지않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매우 뿌듯합니다. 특히 삶의 의미, 목적에 대한 생각이 제가 내렸던 결론과 정확하게 일치해서 너무 기분이 좋네요.

  • @user-ve3zr4zs8u
    @user-ve3zr4zs8u 9 місяців тому +8

    정말 오랫만에 깔깔대면서 봤습니다. 어떻게 이렇게 아는 것들을 발화하시는 능력조차 출중하신지요. 두 분 모두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 @user-fz1jb3ik5g
    @user-fz1jb3ik5g 9 місяців тому +40

    네 덕택에 과학엿보기가 재미있어진 문과출신입니다. 두분 선생님 감사합니다

  • @snrn8423
    @snrn8423 9 місяців тому +68

    얼마 전에 제가 빠진 게임에서도 이런 말이 나옵니다.
    "모든 것은 헛되고 헛되도다. 그러나 우리는 발버둥치는 것을 멈춰서는 안 된다"
    왠지 유시민 작가님이 말씀하신 삶의 의미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 @user-my2iq2qu2f
      @user-my2iq2qu2f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오 정말 멋진 말이네요!
      혹시 어떤 게임인지 알 수 있을까요..?

    • @snrn8423
      @snrn8423 9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my2iq2qu2f 블루 아카이브라는 게임의 메인스토리 3편에 나옵니다. 정확히는 아즈사라는 캐릭터가 모든 것은 헛될지라도 발버둥 치는 것을 멈춰서는 안 된다고 주장합니다.

    • @cuibono220
      @cuibono220 2 місяці тому +2

      그거 잠언에서 솔로몬이 한 말

  • @user-mq5sm3di5t
    @user-mq5sm3di5t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참 어려운 때이고
    개인적으로도 갈등이 많은 시기인데
    전에 누군가 했던 말이 새겨져 그대로 해보려고 노력 중인데 폼만잡고 있습니다.
    그러던중 두 분을 뵙게 되니 영광이네요.
    한발짝 앞으로 나갔다가
    세발짝 뒤로 후퇴하게 되니 후회스럽기도 하고 회의감도 상실감도 너무나 크게 느껴집니다.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 @user-fo7in9oh9e
    @user-fo7in9oh9e 9 місяців тому +12

    이런 수준 높은 대화를 볼 수 있다는 사실에 너무 감사합니다. 질문도 좋았고 답변은 더 좋으네요. 많은 걸 생각하게 하는 유시민작가의 답변입니다.

  • @ssapteng
    @ssapteng 9 місяців тому +39

    안녕하세요.
    과학을 좋아하는 문과출신 디자이너입니다.
    늘 잘 보고 있습니다.❤

  • @murmurr1994
    @murmurr1994 9 місяців тому +167

    제가 너무나 존경하는 두 분이 한자리에 모여서 해주시는 얘기를 듣다보니 끄덕끄덕하며 미소만 지어지네요~! 1,2부로 편성되었지만 지루하지 않고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저도 문과지만 최재천 교수님의 유튜브를 접하고 진화생물학 관련 도서들을 계속 꾸준히 읽고 있어요... 다른 분야의 책을 읽는건 정말 신선하고 뇌를 자극시켜주는거 같습니다. 문과남자가 쓴 과학책도 반드시 읽어봐야겠네요 ㅎㅎ, 두 분 모두 건강하세요^^!

  • @eseon92
    @eseon92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은 인터뷰 영상 감사합니다. 오늘 책 도착하자마자 읽어야겠어요

  • @TALK_BOOK
    @TALK_BOOK 8 місяців тому +5

    두 분 너무 멋져요😀 나이가 많다고 해서 더 지혜롭고 현명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계속 책을 읽고 데이터를 쌓으려고 노력하는 태도는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우리 사회에 어른다운 어른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저도 열심히 책을 읽으려고 노력하는데,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문과남자의 과학공부 꼭 완독하겠습니다! 최재천 교수님의 과학자의 서재를 비롯해 통섭 관련 책도 읽었었는데 정말 대단하시다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앞으로 구독하고 자주 오겠습니다❣교수님~행복한 명절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jcb9053
    @jcb9053 9 місяців тому +290

    두분의 지적인 대화의 모습이 참 아름답습니다
    스승과 어른이 없다는 이시대에 학자로서 뿐만아니라 정신적 지주로
    우리사회에 계시면 탐욕과 욕망으로 치닫는 악한 세대에 좀더 나은 우리나라가
    되지 않을까 하는 바램입니다~^^

    • @michaelkang215
      @michaelkang215 9 місяців тому +2

      60살 넘은 유시민 말을 나는 더 이상듣지 않습니다.
      오픈북 테스트를 부모가 도와 줄수 있다고 말 하는 저자는 무식하거나 위선자입니다.

    • @peacemaker6948
      @peacemaker6948 9 місяців тому +7

      ​@@michaelkang215말에 오류가 많으시네.. 일단 60살 넘어서 안듣는다? 나이가 뭔 상관? 꼰대근성인가?

    • @michaelkang215
      @michaelkang215 9 місяців тому

      @@peacemaker6948 유시민이 한 이야기입니다. 유시민이 꼰대라는 것입니까? (나는 위선자로 보는데..)

    • @user-od8by3kg7t
      @user-od8by3kg7t 9 місяців тому +1

      결국 화면에 나오는 저두분도
      까보니 똑같았더라는말

    • @user-wu4oi5zb9w
      @user-wu4oi5zb9w 9 місяців тому +1

      ​@@michaelkang215님아 깨달으세요
      최재천님말 생각해보길 왈 나이가 들면
      왜 이상해질까 그건 평소 책을안읽어서인가

  • @user-xx4zi5ge3l
    @user-xx4zi5ge3l 9 місяців тому +42

    유시민 작가님 최재천교수님 이런분들이 우리나라에 많으시면 좋겠어요 요즘 너무 우울했는데 많이 훈훈합니다

  • @Jk-dl6jw
    @Jk-dl6jw 7 місяців тому +30

    두분 다 지혜로운 어른과 지식인의 표본이십니다. 청년으로써 두분께 늘 감사합니다.

    • @user-bn5pq7bh5g
      @user-bn5pq7bh5g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사람이 얼마나 뇌가 썩고 자기 성찰이 안되면 젊었을때는 노인들 탓하다가 이제는 2030남자탓 하다가. 본인을 위해서라도 빨리 흙으로 돌아가셨으면 합니다. 학교선배라는 사실이 부끄럽습니다

    • @jasonjung9375
      @jasonjung9375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bn5pq7bh5g소시오패스

    • @banrang8111
      @banrang8111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bn5pq7bh5g 세대의 문제는 지적할만 함. 역사를 봐도 분명히 세대만의 문제는 있었음. 교활하게도 자기 세대를 옹호하기 위해 잘 알지도 못하는 세대를 끌어들이고 거기에 은연중에 자기 학벌도 드러내는 뻔한 패턴은 니네 학교 수준을 낮추는 건 너 이상은 없음.

    • @user-bn5pq7bh5g
      @user-bn5pq7bh5g 5 місяців тому

      @@banrang8111 💜

    • @user-bn5pq7bh5g
      @user-bn5pq7bh5g 5 місяців тому

      @@banrang8111 사랑해요. 그렇다고 유시민이 하는말을 설명하는건 좀. 차라리 병문안이나 가시죠

  • @rivermoon9684
    @rivermoon9684 9 місяців тому +33

    두 분의 대화를 가만히 듣고 있는 것 만으로도 지적 자극을 받게 되네요^^ 유작가님 문과공 영상 다 찾아보는 중인데 최재천 선생님 채널도 너무 따스하고 좋아서 구독까지 하고 갑니다ㅎㅎ저도 문과인데 앞으로도 과학 공부 더 열심히 해보렵니다. 감사합니다 :)

    • @Serious_Worm
      @Serious_Worm 9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로 공부하실 겁니까?

  • @youngsunkim7281
    @youngsunkim7281 9 місяців тому +109

    두분 모두 늘 감사드립니다.

  • @dongeunlee1019
    @dongeunlee1019 9 місяців тому +23

    정말 감사하고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또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XD-hw8pl
    @XD-hw8pl 9 місяців тому +6

    두 퀄리티 높은 지식인의 대화를 듣다보니 간단명료하고 역시 최곱니다. 질문도 좋고 대답도 귀를 열고 들을만 하네요

  • @Rimester
    @Rimester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두 분을 함께 뵐 수 있어 참 좋네요.
    주말 아침 행복하게 시작합니다.😀

  • @user-mq3hu6vu9f
    @user-mq3hu6vu9f 9 місяців тому +37

    정말 고맙습니다, 두 분이 저와 동시대를 살고 계셔서!!!

  • @bongsuwessel6578
    @bongsuwessel6578 9 місяців тому +38

    존경하는 두분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알러뷰!!!

  • @user-stl607
    @user-stl607 9 місяців тому +12

    최재천교수님의 이런 소통 유투브의 도전과 실행에 박수응원드리며 저희들 곁에서 삶의 동반자적 향기를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ㅎㅎ

  • @dda-a-a
    @dda-a-a 9 місяців тому +7

    스스로 고민해서 결론지어 본 삶의 의미에 대한 생각이 유 작가님의 말씀과 같아서 잠시 어깨 으쓱했어요ㅋㅋ 아, 나도 생각이란 걸 통해 통찰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가는구나.. 뿌듯함도 느끼구요.
    앞으로도 어리석은 사람이 되지 않도록 끊임없이 생각하고 공부하는 삶을 살거예요! 두 분과 함께😊!!!

  • @user-vc7xs2jw6g
    @user-vc7xs2jw6g 9 місяців тому +64

    제가 너무나 좋아하는 두 분이 만나시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던 적이 있었는데, 이렇게 두 분의 만남이 이뤄지니, 참으로 감사합니다.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두 분 다 참 스승님이자 선생님들이세요 !! ㅎㅎ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9 місяців тому +45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 @user-wn2jr9mb4k
    @user-wn2jr9mb4k 9 місяців тому

    두 분의 대담 통해 무지한 저! 또 배웁니다. 책 읽기의 동기부여도 주셔서 감사합니다.

  • @ch-ye7um
    @ch-ye7um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어른의 토론이란 이런걸까요 ㅎㅎ 유쾌하고 재밌는 방송 감사합니다 책많이 읽어야겠어요 ❤

  • @rose-moss
    @rose-moss 9 місяців тому +5

    재미있고 유익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책도 구매해서 볼께요!

  • @phina1234
    @phina1234 9 місяців тому +12

    독서의 중요성 강조ᆢ유의하고 재미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ㆍ

  • @fall4u574
    @fall4u574 5 місяців тому

    고맙습니다.
    삶의 의미가 너무 어려웠는데
    내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해야할지에 대해 생각해봐야겠어요.

  • @roadwalker8285
    @roadwalker8285 9 місяців тому +9

    두 분 케미가 상당하네요. 몰입해서 보다보니 시간이 순식간에 흘러갔네요. 잘 보고 갑니다. 우리 사회의 빛과 소금인, 두 분 모두 건강하시길.^^

  • @osufood
    @osufood 9 місяців тому +121

    나이가 드시고도 여전히 진보적으로 깨어있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최교수님을 보면 역시나 잘 듣는게 중요한거 같습니다.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 @jbs7946
      @jbs7946 9 місяців тому +8

      입 👄 은 진보... 근데 행동은... 🤔 🤦 😂

    • @atashi0528
      @atashi0528 9 місяців тому

      @@jbs7946행동 뭐 틀딱아

  • @vigeyes8798
    @vigeyes8798 9 місяців тому +46

    너무 즐겁고 유익한 시간입니다!

  • @JayJay-gl3ic
    @JayJay-gl3ic 9 місяців тому +17

    좀 슬픈게 두분이 너무 귀여우세요. ㅎ 이렇게 많이 아시는 분들은 이렇게 귀여우시기도 한데 참 우리가 뭔가를 많이 모르는 사람들에게 큰 자리를 주고 그 아래서 살아가고 있다는게 어디에 잘못이 있는걸까 생각하게 되네요. 두분 오래 건강하셔서 이런 대담도 자주 해주시고 책도 많이 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checkup6049
    @checkup6049 9 місяців тому

    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 @user-qn2th4vh7q
    @user-qn2th4vh7q 9 місяців тому +38

    정말 좋은 내용 잘 듣었고요~
    제가 좋아 하는 두분 말씀 유익 했어요~

  • @BK-pb7bx
    @BK-pb7bx 9 місяців тому +16

    삶이란 것에 너무 의미부여를 해도, 안 해도 문제겠지만, 저보다 먼저 살다 가신 마왕 신해철님께서 자신의 곡 the ocean을 끝을 장식한 나래이션으로 넣은 이 문장을 기억하며 살아보는 건 어떨까요?
    "왜... 왜 너의 공허는 채워져야만 한다고 생각하는가 처음부터 그것은 채워진 채로 완성되어 있었다"

  • @user-lh8dd5mm7j
    @user-lh8dd5mm7j 9 місяців тому

    재미있고 유익한 대화,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Mi-gz6nm
    @Mi-gz6nm Місяць тому

    너무 이로워서 앞중막 광고 감사한 마음으로 끝까지 봤어요♡

  • @What_a_wonderfu1
    @What_a_wonderfu1 9 місяців тому +20

    오늘 제 뇌에는 책을 읽자 라는 데이터가 들어왔습니다😂 언제나 좋은 자극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두 선생님들

  • @user-uq5oq2cr1v
    @user-uq5oq2cr1v 9 місяців тому +10

    '삶은 의미가 없다.
    스스로 부여하는 것이다.'
    ㅡ>생각의 전환이네요.

    • @user-ps1gj3ee9d
      @user-ps1gj3ee9d 9 місяців тому

      사람고문시키고 삶의의미는없다 ㅇㅈㄹ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ex3ow4eq2e
    @user-ex3ow4eq2e 9 місяців тому +27

    두분 함께하시는 모습이 감동입니다 ❤

  • @jaechung7176
    @jaechung7176 4 місяці тому +1

    역시 유시민 선생님입니다
    건강하시고 계속해서
    삶에 많은 자극 부탁드립니다.
    당신 때문에 행복합니다.
    항상 저희들 곁에 있어 주세요.
    감사합니다.

  • @user-se1rr1jh9x
    @user-se1rr1jh9x 9 місяців тому +47

    우리나라 지성의 향연입니다. 감사합니다, 최재천 선생님

    • @cashan175
      @cashan175 9 місяців тому

      시민이 돈필요한갑다 천박한 지성이지 막스의 자본론이라 시민이 다 읽어본것 맞어? 자본론을 꾸준히 첨고 다앍고 또 이해까지 한사람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별로 없는것으로 아는데 자본론 자체도 이해못하면서 다윈어쩌구라 ~ ㅋ 역시 입만동동 뜨겠군 그 난해하고 먼말인지도 모를 자본론을 논란다 ㅋ 내애기아니다 송철승교수도 본안이 수박겉핡기식도 함들다 했으니 물론 잉여가치론 이건 나도 알지 계급튜쟁 오쩌구 보다 이게 핵심이지
      여기 나올시간에 재판준비나 하쇼 ㅉㅉ

  • @eunjukim9075
    @eunjukim9075 9 місяців тому +26

    뼈를 때리는 말씀이 하나,둘이 아니네요. 삶의 풍요로움...👍😊

  • @Podopo
    @Podopo 9 місяців тому

    이영상도 무편집본으로 올라오나요? 제가 좋아하는 두분이 한 화면애 나오니 너무 신기해요 더 보고싶어요!

  • @yun9572
    @yun9572 9 місяців тому +9

    와. 너무 유익해.. 두분 호흡이 좋은데 일주일에 한번씩 대담하셨음 좋겠다 ㅜㅜ

  • @heayoungjun8930
    @heayoungjun8930 9 місяців тому +35

    우리 시대의 참어른 두분의 대담이 넘나 행복합니다~ 두뇌가 팽팽 돌아가게 긴장시키시네요. 두 분이 또 이야기 나눌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어요. 문과 남자가 이과 채널에 나왔더니 이과 남자가 자꾸 문과 물어보는 대담 ㅋㅋㅋㅋ 넘 재밌습니다!

  • @makergreen
    @makergreen 9 місяців тому +36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blackgandalf3549
    @blackgandalf3549 8 місяців тому +8

    두 선생님들 머리 숙여 깊이 좋은 방송에 감사드립니다. 존경할 만한 어른들이 있다는 것은 행복한 느낌이네요.

  • @sowoojun_home
    @sowoojun_home 9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배우고 또 배웁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jms3611
    @jms3611 9 місяців тому +34

    유쾌하지만 나름 슬픈...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이시대의 생물학적, 사회 생물학(!)의 두분의 담화 감사합니다. 탄소는 가치 중립 ㅎㅎㅎ

  • @dlatmdcjf
    @dlatmdcjf 9 місяців тому +33

    고맙습니다 두분 모두 건강하시고 오래오래 책쓰시고 지내주시기 바랍니다

  • @blayer5029
    @blayer5029 9 місяців тому +24

    오늘도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 @jeongjangwon
    @jeongjangwon 8 місяців тому +3

    구독 좋아요 눌렀습니다. 유선생님의 통찰력이 끊임없는 학습에서 나온다는 것을 다시 확인한 계기가 되었네요. 잘 모르지만 과학분야도 즐겨 도전해야 할 것 같습니다. 두 분 모두 계속 좋은 가르침 주시길 바랍니다.

  • @mimiyu4181
    @mimiyu4181 Місяць тому

    책 사서 보겠습니다~^^

  • @cocoa4427
    @cocoa4427 9 місяців тому +21

    최고! 두 분 모두 러뷰러뷰 입니다!!👍💗

  • @user-ne1vn3xk5v
    @user-ne1vn3xk5v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오늘도 정말 유익한 시간이였습니다.앞으로는 책을 더 가까이 해야겠네요^^

  • @doyeonlim
    @doyeonlim 9 місяців тому

    두분이 함께하시니 정말 보기 좋습니다. 책 꼭 읽어볼께요.

  • @rlaalswndWKd
    @rlaalswndWKd 9 місяців тому

    아 원본도 올려쥬세요ㅠㅠㅠ 비하인더씬 너뮤 궁금하자나요…😢😢 무슨 재밌는 얘기들을 더하셨을까😂😂😂😂

  • @silver_ji5829
    @silver_ji5829 9 місяців тому +19

    두분이 그냥 이야기 하시는
    것만 봐도 왜 뭉클한지 모르겠네요😂
    대화내용 명심하겠습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Rnrgksfjqdnsgo
    @Rnrgksfjqdnsgo 9 місяців тому +45

    유시민과 함께 동시대를 살아가는것은 나에게 허락된 축복중에 하나입니다.
    최재천 선생님 유시민 선생님 늘 건강하시고 더 많은 얘기 나눠주세요 ㅎㅎㅎ

  • @seaotter0
    @seaotter0 4 місяці тому +3

    두분의 대담을 듣는것만으로
    제가 지식인이 된 것 같은 착각이 듭니다 ㅎㅎㅎㅎㅎ
    감사합니다 유시민 선생님 또 나와주세요

  • @user-mw5dv7lb9v
    @user-mw5dv7lb9v 9 місяців тому +1

    가장 신뢰하는 지식인 두분이라 늘 찿아 책도 사보고 제 사유 깊이를 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