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나 네이처 같은 탑티어 논문은 어떻게 쓸 수 있는 건가요? [갓준표 멘토링 577]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0 жов 2024

КОМЕНТАРІ • 22

  • @Godjunpyo
    @Godjunpyo  26 днів тому +1

    대한민국의 과학자, 공학자들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하시는 연구 모두 잘 되기를 희망하며,
    대한민국을 위해 노력해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타임라인]
    00:00 사이언스급의 논문은 어떻게 쓰나요?
    00:49 지도교수 일화
    01:11 사이언스 논문 준비 일화
    03:21 제안서대로 진행이 되는지?
    04:30 질 좋은 논문이 나오는 과정(+버클리 지도교수)
    09:19 과학자의 역할
    09:44 대가
    10:31 한국의 평가문화
    12:13 좋은 연구란?
    13:12 논문을 위한 논문
    15:09 비전
    15:44 포닥 지도교수(+사이언스 논문 탄생 일화)
    18:45 한국에서 노벨상이 나오지 않는 이유
    19:39 스탠포드를 추천하는 이유
    I. 전자책 판매
    멘토로 나와 주신 분들의 “유학/공부자료”를 [갓준표사이트]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구매링크]
    godjunpyo.com/갓준표-멘토링-신청하기/?uid=2076&mod=document&pageid=1#kboard-comments-2076
    II. 갓준표 AI - 카카오톡
    ▼갓준표xAI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 공부 열심히 하는 내 친구들은 이미 다 이용 중입니다.▼
    [갓준표 AI 커뮤니티]
    *AI를 무료로 체험해볼 수 있는 방입니다.
    *매정각마다 재밌는 퀴즈가 제출됩니다.
    open.kakao.com/o/gMmdH84f (비번: 5555)
    1. AI는 거부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입니다.
    2. AI를 잘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겁니다.
    3. 제가 준비한 서비스로 열심히 공부해서 커리어를 잘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III. 갓준표 AI - 디스코드
    갓준표 AI를 “디스코드”에서도 제공 중입니다. 기계/전자전기/컴공/화공/생명/재료/토목 등으로 다양한 학과별 채널을 제공하고 있으니, 평소에 디스코드를 사용해 보신 적이 있으신 분은 들어와서 갓준표 AI를 체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discord.gg/nMtcEyKHg5
    IV. 갓준표 멘토링 FULL 영상
    *갓준표 멘토링 FULL 영상은 [재생목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sanghwa
    @sanghwa 26 днів тому +9

    썸네일에 있는 사람은 어디가고 이상한 아저씨가 잇나요

    • @Godjunpyo
      @Godjunpyo  26 днів тому

      갓준표 채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Seeopyung
    @Seeopyung 26 днів тому +3

    저는 아예 사이언스나 네이쳐에 내기도 힘든 마이너의 마이너 분야였여서 이런 고민을 거의 해본 적이 없지만 학계 1티어 저널들에 내려는 노력은 해봤었네요. 박사공부 초반에 한국식으로 논문 프로포절 가져갔다가 계속 거절당했었죠. 그래도국내 석사 때 논문을 써봤던터라 이정도면 그래도 상위에 도전해볼만 하다 생각했는데 그 때마다 교수님(공학)이 하셨던 말씀이 "그래서 이 논문이 다른 학자들이랑 인더스트리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냐라고 항상 되물으시고 이게 직접적인 답이 되지 않을 연구라면 논문이 되더라도 거절하셨습니다. 지금보면 (극단적으로 보일 수 있어도)저널 불문 세상의 논문의 70%는 쓰레기이고 논문을 위한 논문을 극혐하셨던 분 다웠죠 (지금은 모교엔 안계십니다만 이름만 들어도 모두가 아는 대학에 학과장으로 스카웃되서 가실 정도의 분이니 실력이 출중하신 분이었죠. 6-70년 정도의 세부분야 역사상 5손가락 안에 NAE에 멤머로 노미네이트 되셨으니 뭐...).
    유튜버님께서도 말씀하셨고, 연구자분들도 아시겠지만 논문의 결과는 연구를 하다보면 결과로 나오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엄청나게 유명하신 교수님과 만났는데, 임팩트 팩터가 낮은 저널에 냈었는데 항상 떨어지던 논문들이 그냥 훨씬 높은 임팩트 팩터의 약간 다른 계열에 냈더니 막 붙었다는 사례도 허다하게 많습니다. 임팩트 팩터가 낮은데 안맞는다고 까이는 경우도 수두룩하고요.
    왜 사족을 저렇게 길게 말씀드렸냐면 사이언스지나 네이쳐에 내신 분들은 엄청난 연구자가 맞습니다. 그런데 거기 못냈다고 훌륭하지 않은 학자는 아니라는거죠. 박사과정이신거 같은데 지금은 논문의 이름에 상관없이 자신이 얼마나 학자에 걸맞는 실력을 갖추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게 좀 더 건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어느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지내고 싶은지도요 (보통은 박사과정 주제가 본인의 전문성이나 연구의 끝이 아닙니다). 미국에선 빅가이든 이제 시작하는 교수님이든 한 분야에서 자신의 연구를 묵묵히 한 분들이 인정받는 경우를 많이 보는거 같습니다. 논문의 이름은 업계에 계실 분이라면 아주 작고 작은 부분이 될테니 (=어차피 실력자가 되면 쓰시게 될 게 상위 논문들), 학생 때만 누릴 수 있는 연구를 마음껏 누리고 나오시길 바랍니다.
    다만 위의 말씀은 훌륭한 연구자가 되기 위해서 생각해보시라고 드린 말씀이고, 네이쳐나 사이언스를 들고 한국에 곧바로 리턴하실 생각 때문이셨다면 조금 다른 문제일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저도 말씀드리기 어렵네요. 외국 나오신 분들께 들은 말도 있고 저도 느끼지만 한국에 자리잡고 들어가는게 세계에서 인정받는거보다 어려울 때도 있어서...
    (아침에 두서 없이 썼는데 글이 이상하면 유튜버님 그냥 삭제해주세요)

    • @Godjunpyo
      @Godjunpyo  26 днів тому

      좋은 댓글 매번 감사합니다. 영상을 시청하시는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 @Starcell170
    @Starcell170 25 днів тому +1

    그냥 제 생각에는 그냥 연구 결과는 뭔가 자식 같은 느낌인 것 같아요. 우와좌앙 했지만, 어쨌든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온 거에 감사하고, 다른 사람이 좋게 봐줘서 좋은 곳에 실리면 좋은거지만, 아니라고 해서 너무 기죽을 것도 없고요 ㅋㅋ

    • @Godjunpyo
      @Godjunpyo  25 днів тому +1

      그럼요. 다 내 손가락 같죠. 좋은 비유 감사합니다.

  • @EE_PhD_gu
    @EE_PhD_gu 26 днів тому

    저도 이게 참 궁금했습니다. ㅋㅋ 토플 공부중인데 클릭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제목이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Godjunpyo
      @Godjunpyo  26 днів тому +1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 토플 잘 보세요!

  • @YJLee-l7s
    @YJLee-l7s 26 днів тому

    진짜 좋은 영상이네요..저도 항상 궁금했습니다. 미국에 좋은 학교에선 논문 개수보다 좋은 연구 퀄리티에 집착이라 할 정도로 집중한다 들었는데 그런 환경에서 생존해보는 경험은 너무 귀중할것 같습니다.

    • @Godjunpyo
      @Godjunpyo  26 днів тому

      어떤 환경이 향후 커리어에 더 좋을지는 모르겠지만, 저에게 버클리에서의 연구경험은 굉장히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 @박준서-o4g
    @박준서-o4g 26 днів тому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Godjunpyo
      @Godjunpyo  26 днів тому

      도움이 됐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hello-sb8dx
    @hello-sb8dx 26 днів тому

    싸이언스 본지를 공1저자로 2번째로 쓰셨는데 그 부분도 정확히 안내해주시고 어떤 기여가 있었는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ㅎㅎ

    • @Godjunpyo
      @Godjunpyo  26 днів тому +2

      안녕하세요. 본 영상에 언급된 논문의 경우, 저는 공동1저자이고, 제 이름은 2번째에 위치해 있습니다. 저자의 기여는 논문 말미에 저자 기여도에 보면 상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공동1저자인데 왜 이름이 2번째에 위치한 것인지가 궁금하신 거라면, 제가 죄송하지만 여기서는 말씀드리기 곤란할 것 같습니다. 아시겠지만,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답변이 도움이 됐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김수현-w4p9m
    @김수현-w4p9m 26 днів тому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Godjunpyo
      @Godjunpyo  26 днів тому

      부족한 깜냥으로 너무 어려운 얘기를 한 것 같아 부담스럽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어 학업에 도움이 된다면 기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ori5581
    @ori5581 26 днів тому

    근데 한국 대학원의 논문은 본인이 쓴게 맞는지 의심감...박사과정생 친구 보니까 연구소 사람들 논문도 대신 써주던데

    • @Godjunpyo
      @Godjunpyo  26 днів тому

      친구 경험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만, 워낙 다양한 내부 사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일반화하면 곤란할 겁니다.

    • @blackmagic9006
      @blackmagic9006 25 днів тому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지도교수가 다 고치다시피 합니다.

    • @YJLee-l7s
      @YJLee-l7s 24 дні тому +1

      무슨 소리신지... 거의 지도교수가 다 고치다시피 하다뇨? 이런 헛소문 좀 내지 마세요. spk 에서 박사한 사람인데 머리에 쥐나면서 논문 써온 사람한테 너무 치욕적이네요

    • @lllllliiiIIII
      @lllllliiiIIII 24 дні тому

      과제 경쟁할 좋은 논문내기도 바쁜데, 그걸.... 연구비처럼 몇억씩 주는 것도 아니고 뭣하러 대신 써주냐. 그리고 그런 건 외국이 더 심함. 광고로 메일도 대량으로 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