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목고/자사고 vs 일반고..."대학가기 유리한 고등학교 선택" | 2028 대입 개편안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2028 대입 개편안 핵심 + 대비법▼
    • “내신 5등급, 수능 선택과목 폐지”가 ...
    특목고나 자사고를 가야, 대학 가기 유리하다고 하던데 정말일까?
    일반고에서는 좋은 대학에 가기 어려울까?
    앞으로 바뀔 2028 대입 개편안에서는,
    학생부 교과, 학생부 종합, 정시 각 전형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어떤 학교가 유리한지 알려드립니다.
    ===============================
    📢 고등학교 공부법의 모든 것을 한번에 대비하고 싶다면?
    스터디코드 예비고1 패키지
    www.studycode....
    #공부법 #고등학교공부법 #선행 #스터디코드

КОМЕНТАРІ • 56

  • @STUDYCODEofficial
    @STUDYCODEofficial  Рік тому +4

    🔻예비고1 생기부 컨설팅 프로그램 상세보기🔻
    www.STUDYCODE.com/buy/detail?uid=10001&m=N663
    ▼2028 대입 개편안 핵심 + 대비법▼
    ua-cam.com/video/7KDgts-Jn5s/v-deo.html

  • @이리버-r6h
    @이리버-r6h Рік тому +9

    특목,자사가 수능준비에 불리하다 보는데요.수능,내신 둘다 일반고가 유리하죠.특목은 이미 상위권 아이들이 가니 입결이 좋고 학종에는 유리해도,,그 아이들이 일반고갔다면요??

  • @bk4995
    @bk4995 Рік тому +8

    일반고라는 말 자체가 주는 보편적인 느낌 때문에 학생도 교사도 학교도 아무런 노력을 안 한다면 당연히 대입 결과도 일반적인 대학만 붙을 수밖에 없는 것 아닐까요?

  • @리틀보이-t9c
    @리틀보이-t9c Рік тому +11

    특목고에서 전과목 1등급 받기가 쉽냐를 따져야지 막연하게 등급 % 늘었다고 유리한건 아니라고 봄

  • @이현주-n4r8b
    @이현주-n4r8b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아직 초보입시맘이라 제가 알기론 자사고 출신인건 블라인드라서 면전관들이 모르지 않나요? 특목 중 외고는 과목명 보고 알 수 있겠지민요. 제가 잘못 알고 있다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뽀뇨-e9j
      @뽀뇨-e9j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설명회에서 말씀하시길.. 블라인드여도 일반고는 공립이라 양식이 다 같고, 그외 특목자사고는 다르다고 합니다. 그래서 블라인드여서 알수 있다고 하네요. 특히 유명한 자사고 경우 과목명도 다르더라구요;;;

  • @heehwakim8358
    @heehwakim8358 Рік тому +2

    경기도 학군지 예비 중3이고 문과보다 완전 이과형 남자아이 2학년 기말 올백입니다..
    영과고 준비중인데 거긴 넘사벽이라 떨어진 이후 고민이 많네요.. 아들딸의대 보낸 친구가 내신따기 힘들다고 절대 자사고 보내지 말라하는데.. 이런 전문가들은 자사고 유리하다하니 넘 어려워요..
    제발 조언 좀 해주세요

    • @페페-n4j
      @페페-n4j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의대는 수능실력으로 가는 것임. 입결만 봐도 자사고,갓반고에서 N 수 하면서 대부분 의대가는데..일반고 내신 1.0 목표에서 한 번이라도 망치는 순간 자퇴외에는 답이 없음. 실적과 통계를 믿어야지. 자사고 (갓반고) + 유명입시학원 = 의대

    • @메타인지-x9s
      @메타인지-x9s 6 місяців тому

      @@페페-n4j 갓반고가 뭔가요? 😮

  • @주주맘-i4f
    @주주맘-i4f Рік тому +5

    아이고 엄청 고민이네요.. 09년 생이고 시험에 전체 시험 중 한두개 틀리고 예능까지도 100점이지만.. 전사고 생각하는데 다들 그 친구들도 잘하니까... 고민이 많네요..

  • @lofimusiccafes2
    @lofimusiccafes2 6 місяців тому

    제생각에도 내신점수가 1.xx로 소수점으로 떨어지니 변별력이 없어졌다고 하는데 1.1과 1.9의 차이는 클거같은데 어떤가요?

  • @박현주-k3n
    @박현주-k3n Рік тому +5

    08이고 중학교 최상위권인데 충분히 명문고 갈 점수인데 갓반고 안가고 일반고 갑니다..이유는 아이가 점수 떨어졌을때 회복탄력성이 거의 제로에 가까워요
    근데 이 동영상보니 그래도 명문고를 보내야하나 싶네요ㅜㅜ
    명문고만이 답인가요?
    평반고에서 1등급 하면 안되는건가요?

    • @LUXnit
      @LUXnit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2028 대입개편안은 현 09년생부터 적용됩니다. 상관없어요

  • @리코디언수쌤
    @리코디언수쌤 Рік тому +3

    전 고3담임을 4년간 맡았고, 내년에 저희 지역 대입상담센터로 파견을 떠나는 현직 교사입니다. 제가 현재로서 가장 궁금한건
    2028학년도에 학생부교과전형에 어떤 변화를 줄지 의문이 든다는겁니다. 왜냐면 자사고가 가장 불만인 전형이 학생부 교과인데, 그걸 유지하겠다는게
    지금 교육부의 입장이니까요.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예측하길, 수능 최저등급을 강화하거나 현 수도권 대학처럼 정성평가의 요소를
    적게는 20%에서 50%까지 가미할 것 같네요. 물론 비중이 아~~주 크진 않을겁니다. 그렇게 되면 학생부종합전형과 차이가 없을테니까요. 그런데 고급수학을 반영
    하지 않겠다는게 지금 교육부의 방침인 이상 최저를 강화시키는 선택을 대학들이 하진 않을 걸로 봅니다. 변별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으니까요~

    • @mse-e2y
      @mse-e2y Рік тому +5

      1등급이 많아지는 상황에서 교과만으노 뽑는건 불가능하죠. 결국 서류와 수능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 @KSA-pq4xv
      @KSA-pq4xv 8 місяців тому

      현중3부터 전사고 진학시 지역인재 혜택을 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고3까지 상대평가를 받는 현상황에서 일반고 학생들이 수능에 포함되지 않는 미적 기하 심화물화생지등까지 선택 할까요?
      심화인 과목들을 선택했는데 극소수가 들어서 성적에 압박감을 엄청 받거나 1등급 유지를 위해 상대평가가 아닌 융합과목을 선택한다면 특목고 자사고와의 생기부 격차는 극복 불가능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얼마전 서울대에서 발표한 내용을 보면 교과전형이 아닌 종합전형의 수능 최저의 미실행의 필요성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지방 및 일반고 학생들의 대입 허들이 오히려 높아지는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 @리코디언수쌤
      @리코디언수쌤 8 місяців тому

      @@KSA-pq4xv 한양대처럼 학추의 조건을 강화시키는 방법도 하나의 경우의 수가될겁니다. 이공계열을 희망할경우 고급수학이나 고급과학에서 몇학점 또는 몇과목 이상 이수를 하도록 하는거죠~ 의료보건계열은 지정교과중에 단 한과목이라도 이수하지않으며는 추천불가라는 초강수를 두거나요~ 대학들도 바보가 아닌이상 그럴가능성은 충분하다고봅니다. 더군다나 오늘 서울고법에서도 결국 정부의 손을 들어준걸보면 답은 빤하죠~ 자사고애들도 결국원하는건 의대일테니까요. 그리고 일반고도 상위권학생들은 물론 종합전형을 쓰겠지만 정량적인 내신등급이 훨씬유리한데 무리해서 학종을 4~5개씩 쓰진않죠~ 일반고 대부분의 쌤들이 학생부가 아무리좋아봐야 교과와 학종의 비율을 2:4 혹은 3:3 정도까지만 권하니까요.
      보통은 4:2정도죠~ 내신이 뭐 1.0대 찍으면서 최저해볼만하면 당근 6교과에 의대도 포함시키라하고요~ 학종으로 위험부담을 떠안을 필요가없으니까요

    • @리코디언수쌤
      @리코디언수쌤 8 місяців тому

      @@mse-e2y 교과전형의 경우 100분의 1등급만 밀려도 학종에 비해 손실을 크게 안고시작하는게 문제지요~ 일반고도 초상위권아이들은 sky나 의대 학종 최소 1차는 뚫어내는걸보면 서류가 자사특목고한테 그리 밀리지는 않는다는걸 알수 있었어요~ 그리고 현행 학종역시나 너무나많은 정성평가요인의 미반영으루인해 반정도는 교과전형ㅇ로 가는 느낌 즉, 정량평가가 결국 당락을 좌우하는 느낌이 강하다는게 대입오래하신분들의 중론입니다.

  • @수신재가
    @수신재가 11 місяців тому

    영재고 졸업하고 재수할 경우 졸업한 고등학교에 내신이 들어가는건가요?

  • @darkcirclecrow6291
    @darkcirclecrow6291 8 місяців тому +2

    2028년 이후부터는 자사고인데 누구는 1.0 vs 1.9 하늘과땅되는거 아닌가요

  • @mse-e2y
    @mse-e2y Рік тому +2

    최상위권 입장에서는 당연히 특목자사 학군지가 유리해진 것이 사실입니다. 최상위권의 경우다보니 반감을 가지는 분들이 많겠지만 일반고 전성시대가 끝나가는 건 맞는 것 같고 지역마다 명문고로 생길 것 같습니다.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onetime_go
    @onetime_go Рік тому +28

    중2부턴 특목이 유리하단건 모르는소리줘. 중3도 재수생이 명문대는 대부분이므로 중2에 맞춰가는게 나쁘지않아요.
    1. 대학이 정시를 거의 50프로를 반영하는데 수능준비 어려운 학교가 유리해지다니요. 수능은 학원에서 준비해야 되기때문에 인강으로 하도록 시간이 많거나 아님 학군지가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특목고 전형은 숫자가 제한되어있어요. 특목은 유불리 변화가 크게 없는데 오히려 선택과목이 전체가 상대로 바뀌면 고3까지 너무 내신이 치열하니 특목자사는 지금보다 더 정시준비 안되서 정시로 가기가 더 힘들어집니다. 특목서 4등급안에 못들면 수능준비 더 안되서 입시 망할수있어요.
    2. 일반고 비학군지 학교의 교과전형 티켓을 학군지 일반고가 뺏어올수있어졌어요. 수시도 면접도 없어지는 추세고 최저를 점점더 다 늘리고있어서 수시형일반고는 수능 대비안하면 앞으로 매우 불리해집니다. 일반고샘들 제발 수능대비시키세요. 학종전형준비말고..최저가 다 딸려요.
    3. 학군지 학교는 학점제로 이제 전사고나 특목의과목을 얼마든지 개설할수있어서 원하기만 하면 종합전형도 이전보다 더 유리해질수있어졌어요. 정시가 더 확실하고 많이 보낼수있으니 쉬우니 집중하도록 그딴걸 안할뿐이지 휘문고에서 전사고 나 과고 개설인 유기화학이런과목 고3에 여는게 뭐 어려워요.이상태에서 특목보다 교과점수가 좋기에 종합도 더 유리해질수있구요.
    정시형 학군지 강남등의 일반고는 앞으론 모든 전형을 이전보다 나은조건으로 준비할수있어 너무 유리해진 변화입니다. ㅠㅠ

    • @mse-e2y
      @mse-e2y Рік тому

      휘문이나 세화를 일반고로 분류하면 안되죠 학군지 일반고를 특목자사로 묶어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 @onetime_go
      @onetime_go Рік тому +4

      @@mse-e2y 휘문 세화는 지역자사로서,그리고 학군지고둥도 다 일반고와 같은 커리를 가지고 있어서 일반고라고 봐야합니다. 두학교 다 종합전형에 유리한 커리가 아니라 정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수능특화 학교입니다. 학교에서 뭘하는게 아니라 학원에 일찍 보내기로 유명한 학교예요. 수행평가가 모의고사 풀어오기이고 쓸데없이 시간뺏는 어떤 행사나 레포트 숙제를 내지않습니다. 다 정시라서요. 수시생이 많아야 특목카테고리줘. 지역자사는 학군지에서는 과목에 다른점 없으나 내신시험이 수능형이고 수준이 높아서 내신하면서 좀더 쎄게 수능 준비할수있는 일반고로 생각합니다. 아래와 같은겁니다.
      쎈일반고,지역자사고: 수능이 주전형, 교과와 종합이 더 추가로 가능해짐
      약한일반고: 교과가 주전형, 교과와 종합가능성 줄고 수능이 더 필요해짐.
      특목전사고:종합이 주전형, 교과가능성 높아졌으나 수능준비가 더 어려워짐.

    • @mse-e2y
      @mse-e2y Рік тому +2

      @@onetime_go 학교 분류를 논하고자함이 아니라 방송에서 일반고와 특목을 비교하는 건 평범한 일반고라는 의미입니다. 휘문이나 세화를 일반고의 전형으로 말씀하시면 오류가 있다는 거죠. 바뀐 입시는 학군지에서는 일반이든 특목이든 더 유리해진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휘문 세화는 방송에서 언급하는 일반고에 넣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 @onetime_go
      @onetime_go Рік тому +5

      @@mse-e2y 아닙니다. 방송에서 얘기하는건 특목고 즉 세특을 잘 쓰기위한 활동위주 커리를 가진 학교가 유리해 진다고 말하는건데 그건 세화고나 휘문고의 특징이 절대 아닙니다. 두 학교 모두 교내 활동 아무것도 하지않고 수능준비하는 학원만 갑니다. 그들 대부분 생기부 매우 허접하며 교과나 논술, 수능으로 대학가요. 학교세특관리 별로 안하고 활동도 안합니다. 따라서 이 방송이 부정확한 정보를 준다고 생각하는겁니다. 활동위주로 종합전형인 특목은 차이가 크게없거나 살짝 불리해졌어요. 고3까지 내신챙겨야해서 수능을 준비할 시간이 없는데 최저반영이 늘어나고있습니다.
      정답은 정시위주수업을 하는 학군지 일반고가 교과나 수능 전형 둘다 유리해진다입니다. 세특화려한 특목고가 아니라..

    • @mse-e2y
      @mse-e2y Рік тому

      @@onetime_go 특목고 친구들이 수행하느라 수능준비가 안된건 내신 9등급 시절입니다. 5등급 내신에서는 이런 부분이 많은 부분 상쇠되겠지요. 내신 인플레로 자사고 1.0이 나오는 시국에 5등급제는 자사 친구들에게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 @esw0328
    @esw0328 11 місяців тому

    09년생인데, 화성고라도 가는 판단이 맞겠죠? 생기부를 잘 써줄 지를 모르겠네요..😢

    • @페페-n4j
      @페페-n4j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대학 입결 좀 보길...수시 x ,생기부 x , 내신 x , 대부분 수능 + 재수. 내신 2~5등급이 수능으로 의약학계열,SKY 간다. 각자 알아서 자유롭게 수능 공부하기 좋고 그런 학생에게 관대한 학교. 학교의 수준보다는 경기도 전역에서 모인 공부에 진심인 학생들 대부분이라 면학 분위기가 좋은 학교. 문제는 화성고 입학 자체가 너무 힘들어. 기숙사 100% 도 아니고...학종으로 SKY 보내지도 못하면서 내신시험은 엄청 까다롭지...멘탈과 배짱이 아주 강해야 함.

    • @sosowhat
      @sosowhat 2 місяці тому

      님아 나도 화성고 고민하던 사람인데 그냥 집앞 평반고 가서 분위기 평타치고 시험 적당히 쉬운 곳 가서 내신양학이 나아요 화성고 입결도 정시 수시 비율이 9:1 이렇게 되는데 집에서 재수 지원해주거나 본인이 암기 위주 내신 시험에 자신이 없다 하심 가세요.. 정시에서도 내신 반영 된다고 하는데 (다른 대학들이서울대 따라하는중) 내신 어려운 곳은 절대적으로 불리하죵.. 아무리 5등급 체제가 되더라도 일반고 올1 애들이 넘쳐나는데 화성고에서 올1? 정말 극상위권만 가능하다 봅니다

    • @esw0328
      @esw0328 2 місяці тому

      좋은 답변 감사해요 ㅎㅎ 이제는 생각 바꿔서 학종으로 대학 잘 보내는 갓반고 가려고 해요.. 과기원 가고 싶은데 주변 고등학교는 몇 년에 한 번 보내는 수준이라 과기원 꽤 잘 보내는 학교로 골랐어요

  • @Kskskshhh
    @Kskskshhh Рік тому +4

    09년생부터 적용되는건가요?

  • @m1v5t
    @m1v5t Рік тому +3

    화이팅할수있는 환경으로ㅠ 아후
    울애 C등급인데...그냥 면학분위기좋은
    자사고 보낼찌,일반고 보낼찌 난감하네요

    • @bori0620
      @bori0620 Рік тому

      담주에 원서 쓰는데 저도 고민이네요.

    • @핫초코-q1i
      @핫초코-q1i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지금 새학기 인데 어디로 진학 하셨을까요?

    • @m1v5t
      @m1v5t 11 місяців тому

      @@핫초코-q1i
      본인이 원해서 집가까운
      일반고 입학했어요

  • @물방울-t4g
    @물방울-t4g Рік тому +16

    내 인생도 모르겠는데
    내 자식 인생에 조언을 해야하니 넘 어려운 문제더라고요
    부모에게 너무 큰
    짐을 주는 입시제도

  • @82가즈아
    @82가즈아 Рік тому +4

    교과전형에 수능최저를 없애지않으면 지방 일반고는 다 죽겠군요. 지방고 소멸

    • @페페-n4j
      @페페-n4j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의SKY서성한이 교과 전형에 수능최저를 없애도 되는데...그러면 추첨으로 뽑아야 함.

  • @긍정lee
    @긍정lee Рік тому +6

    두분 결국 특목을..ㅠ

  • @Arabiatacheese
    @Arabiatacheese Рік тому +5

    예비 고1이면 2027대입을 고려해야죠
    당연히 수많은 재수생들이 정시로 몰릴테고
    현역들 사이에서 대학 잘하는 법은 현재로써 교과가 짱이고 그래서 2027대입때까지도 교과가 짱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