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에서 불교가 사라진 이유. 불교와 힌두교가 대립하던 인도에서 이슬람은 불교의 완벽한 대체재였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1 січ 2025

КОМЕНТАРІ • 1,9 тис.

  • @bigfund
    @bigfund 3 роки тому +101

    아주 오랜 궁금증인 인도에서의 불교증발에 관한 답설명 잘들었습니다.
    다음에 더 깊게 파고드는 비데오를 볼준비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changeup1918
    @changeup1918 3 роки тому +104

    영상 주제가 사람들이 궁금해 할법한 질문이면서도 쉽게 답을 알수 없는 내용들을 잘 선별해서 설명해 주시네요. 지식이 풍부해지는것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 @KoreliKeremshw
    @KoreliKeremshw 3 роки тому +21

    중동에서 중동사와 문화를 공부하고 있는 유학생입니다. 이란지역을 통해 헬레니즘, 브라만교 그리고 이슬람교와 같은 사상과 종교가 인도로 유입되어온 것에 반해 왜 반대방향으로 불교가 중동에 자리잡지 못했는지에 대한 호기심이 최근들어 있었는데 덕분에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바로 좋아요와 구독 눌렀습니다.👍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5

      불교가 중동에 전파되지 못한 것은 불교가 세속권력의 우산 아래 세금과 권력을 소유하지 않는 특이한 아웃사이더의 종교, 대부분 수도원의 집단이었기 때문이죠.. 그러니 한때 지금의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등 서인도와 중앙아시아를 지배했던 불교가 이슬람에게 박살난 것은 그 평등사상이 재가의 신도들에게는 인도사회의 소위 카스트 신분제도에서 이슬람 개종시 세금혜택도 주고 일등주민도 되고 당연히 개종했겠죠.. 20세기 후반 한국사회에서 경제적 이득 및 더 강한 평등을 보장해주는 개독교로 많은 한국인들이 개종한 것처럼..ㅋㅋㅋ 암튼 많은데 입이 아프네요 ㅋ

  • @spinehong
    @spinehong 3 роки тому +83

    최고의 강의네요.같은 주제를 다룬 다른 유투버들 보다 훨씬 깊이가 있네요. 감사합니다^^

  • @흐잌크힠
    @흐잌크힠 3 роки тому +1515

    제 오랜 궁금증이 사라졌습니다.
    왜 인도에선 불교를 더이상 믿지 않는지 항상 궁금했는데
    이 영상으로 지식이 조금 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32

      왜 이스라엘에선 예수의 기독교는 믿지 않는가? ㅋㅋㅋㅋㅋ

    • @해변스케치
      @해변스케치 3 роки тому +93

      @@yunmonkjm 지들이 죽였기때문

    • @seung-jeyang3746
      @seung-jeyang3746 3 роки тому +67

      @@yunmonkjm 유대교는 오직 유대인만이 하느님(아훼)로부터 선택받았고 구원받는다 믿었고 예수님은 유대인뿐만 아니라 다른민족도 구세주인 하느님만 믿으면 구원받을수있다고 말했기때문

    • @왕건-q7r
      @왕건-q7r 3 роки тому +73

      @@seung-jeyang3746 그것도 있지만 가장 핵심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자칭하고 다녔기때문이죠. 유대인들은 하나님을 믿는 또는 하나님에게 선택받은 민족이라는 선민 우월주의에 가득찬 민족인데 어느날 갑자기 나사렛 마을의 목수 아들이자 그 자신 또한 목수인 자가 갑자기 하나님의 아들임을 참칭하고 다니면서 기존의 뿌리깊은 유대교에 대항하는 세력을 만드니 기존 세력이 가만 둘리가 없죠.당시엔 이스라엘이 로마의 식민지였기에 로마의 총독이었던 본디오 빌라도에게도 정치적으로 부담스러운 사건이었죠.즉 이스라엘내에서 기존의 보수세력과 진보세력의 권력다툼의 하나인데 총독입장에서는 부리기 쉽고 다루기 쉬운 보수세력을 두고 세로이 등장하는 진보세력인 예수편을 들 필요가 없었기에 기존 보수세력의 손을 들어줌으로 해서 예수가 사형 당한 사건이죠.

    • @덕이-t2u
      @덕이-t2u 3 роки тому +20

      @@yunmonkjm 당연한 것 아닌가? 유대교 따라서 만든 기독교를 유대인들이 왜 믿겠냐?

  • @김경민-q8s8o
    @김경민-q8s8o 3 роки тому +211

    와아... 인도에서 불교가 사라진 이유에 대한 많은 강의를 들어봤지만 이렇게 딱 정리해서 귀에 쏙 들어오는 내용은 처음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hibamishra4106
      @hibamishra4106 5 місяців тому

      나는 힌두교인이고, 여전히 부처님을 숭배합니다.

  • @TheLastOrc
    @TheLastOrc 3 роки тому +953

    강의 내용이 유투브 지식채널들 중에서도 보기드문 퀄리티입니다. 똑같은 내용이라도 불필요한 사족은 최대한 배제하고 숙련되고 고급스러운 전달방식이 돋보입니다.

    • @송승한-b6i
      @송승한-b6i 3 роки тому +26

      최고입니다

    • @느브갓네살
      @느브갓네살 3 роки тому +9

      @YuriYA 놀자 종교라는게 세속적으로 유지될려면 정치이데올로기화 되는것. 개신교도 목사의 정치선동에 의해 유지 될뿐. 누가 성경을 이해하고 믿겠음?

    • @freefrom3948
      @freefrom3948 3 роки тому +8

      유튜브를 넘어 최고중 최고!
      간결함과 깊이까지

    • @바다좋아-b1n
      @바다좋아-b1n 2 роки тому

      @@송승한-b6i aàaaaaaaaàaaàaa

    • @IllIIllllIIllIIllI
      @IllIIllllIIllIIllI 2 роки тому +5

      이 댓글 보고 구독을 누르게 되었다

  • @masiart_studio
    @masiart_studio 3 роки тому +16

    그동안 많은 인문학적인 채널을 봐왔지만 가장 깔끔 명료하고 듣기 좋은 채널입니다. 바로 구독하고 가요~~~

  • @jeunages
    @jeunages 3 роки тому +471

    우와... 평생 막연하게 의아하다 생각했던 의문이 한방에 해결되었네요.
    "불교는 원래 개인의 해탈과 깨달음을 추구하는 종교인데, 왜 부처님한테 소원을 비는 문화가 생겼지?"
    결국은, 소신과 중심을 잃고 남의 것을 함부로 따라하다가 저지른 자충수인 것 같네요.

    • @시원한밥
      @시원한밥 3 роки тому +44

      우리나라 현개신교와 같은 모습이죠.

    • @ssambary15
      @ssambary15 3 роки тому +78

      불교의 궁극적인 목적은 깨달음을 얻어 붓다(깨달은자) 일명 부처가 되는것이 맞죠.
      그런데 이건 수행자에게 해당하는 말이고 일반 사람들은 무수한 윤회사상을 기본으로
      죽은후 극락세계(천국)에 가는것이 목표가 된거죠.
      소원을 비는 행위도 불교에서 관세음보살은 소원을 들어주는 존재?이기 때문에 어려움을 비는거죠
      간단히 불교에 관해서 설명하자면
      불교세계관에서 부처는 무수히 많은데 수행자는 부처가 되기위해서는 원(목표)을 세우고 수행을 하여
      깨달음을 얻으면 부처가 되죠. 예를 들면 아미타부처님은 천국을 관리하는 부처가 되겠다는 원을 세우고 부처가 되어
      불교의 극락세계 부처님이 되죠. 관세음보살은 모든 민중의 어려움을 다스리겠다는 원을 세우고 수행을 하여
      부처가 될만큼의 깨달음을 얻었지만 모든사람의 어려움을 없애주지못해 부처가 되지않고 사람들을 도와준다고 하죠.
      일명 천수천안이라하여 천개의 눈과 천개의 손로 온세상을 살펴보는데 누군가 자신을 간절히 부르며 소원을 말하면 도와준다고하죠.
      그래서 나온게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이라는 진언이죠.
      뜻풀이하자면 아미타부처님과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한다는 뜻으로
      불교에선 주문에는 힘이 있고 부처님의 이름만 말해도 공덕(복)이 쌓인다고 하는데
      저 진언만 외어도 극락에 갈수있고 소원을 이룰수있다고 원효대사가 전파해서
      불교가 우리나라에서 완전 대중화가 되었죠.
      그전만해도 어려운 불교사상때문에 귀족만의 전유물이었는데
      그렇게 민간으로 널리 퍼진거죠.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11

      @@ssambary15 고것은 미끼고 중생은 고것을 콱 물어분 것이여 ㅋㅋㅋㅋㅋㅋ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10

      @매매 붓다는 상좌불교도 대승불교도 조계종도 천태종도 조까 몰랐을 거요..ㅋㅋㅋㅋ

    • @skrksmsdlwl4043
      @skrksmsdlwl4043 3 роки тому +5

      @@ssambary15 파계승 원효가 구라를 엄청 많이 친 거네요. 과거 가톨릭 에서 면죄부 팔았듯이.

  • @imklara
    @imklara 3 роки тому +30

    큰문제를 이토록 명쾌하고 조리있게 설명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 @livelybuddha
    @livelybuddha 3 роки тому +232

    비교적 짧은 시간에 짚을 것은 다 짚은 훌륭한 강의입니다.
    '사회적 역할'을 다하시 못하는 종교는 아무리 오래된 종교라도 사라질 수 있다는 교훈을 주었다는 아픈 지적이 가슴 깊이 다가옵니다.
    잘 새겨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마하반야바라밀()()()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4

      그쵸 그런데 불교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일까요? 이슬람이나 기독교의 흉내? ㅋㅋ

    • @livelybuddha
      @livelybuddha 3 роки тому +54

      @@yunmonkjm 저는 불교의 역할과 이슬람이나 기독교의 역할이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모든 종교가 궁극적으로 모든 존재가 함께 행복해지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종교만 그런 것이 아니지요. 학문이나 예술, 기술이 모두 그렇다고 봅니다. 다만 행복해지기 위한 방편이 달라서 장르가 나눠질 뿐이지요. 여러 종교 중에서 모든 존재가 함께 행복해지는 데 불교의 가르침이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는 불자가 되었구요. 불교의 가르침을 통해 부처님께서 매진하셨던 모든 존재의 행복을 위해 미력하나마 정진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상 부족한 답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njimkolgutyu
      @njimkolgutyu 3 роки тому +37

      @@yunmonkjm 뭐가 그리 불만이세요? 댓글마다 딴지 걸고, 시비걸고 스트레스 푸시나요.

    • @dnltldnl
      @dnltldnl 3 роки тому +1

      덧글과 답글만 보고 동의한다고 생각들었는데 프사가 불교ㅎㅎ 저도 괜히 불교 믿는건 아닌듯

    • @lIoveo0v
      @lIoveo0v 3 роки тому +24

      @@yunmonkjm 흡혈귀 기독교보다야 백만배 나을듯

  • @gildongkim5817
    @gildongkim5817 3 роки тому +27

    체계적으로 설명을 아주 잘 해 주신 것 같습니다. 덕분에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sayboy21
    @sayboy21 3 роки тому +94

    완전 짧은 시간에 평생 궁금했던게 이렇게 쉽게 해결 될 줄이야. 앞으로도 많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 @kluencros
    @kluencros 3 роки тому +68

    진짜 영상 퀄리티, 내용, 극전개, 중후한 성우까지 완벽하다 이 채널..오아시스 찾은 듯한 느낌.

  • @nawsaelee8055
    @nawsaelee8055 3 роки тому +17

    아, 이 영상으로 제가 지금껏 살아오면서 갖고 있었던 가장 큰 의문점 하나가 풀리게 되었습니다 ! 즉, '아니, 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했다는데 어째서 현재 인도엔 불교의 모습이 전혀 안보이고 힌두교의 나라로 되어버린거지?'하는 의문 말입니다. 너무 이상했었죠.
    저는 불교신자는 아니지만 오래동안 철학으로서의 불교에 매우 큰 관심을 갖고 있었고 그 과정에서 항상 의아했던 것이 바로 이 문제였습니다. 이제야 해결된 느낌입니다.
    한편으로는 제가 가졌던 의문이 결국 나 혼자만의 것이 아니었음을 알게된 것도 흥미롭습니다. 이러한 주제를 다룬 채널이 있을 줄 몰랐습니다.
    제 의문을 해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1

      이스라엘에도 예수의 기독교는 없습니다만 ㅋㅋㅋ

    • @nawsaelee8055
      @nawsaelee8055 3 роки тому

      @@yunmonkjm 그래서요?

  • @메탈고고
    @메탈고고 3 роки тому +163

    부처가 없다 해도 부처님 말씀대로 살면 내가 부처라 라고 분명 말씀 하시고 너가 행복해야 한다 너가 행복하려면 집착 하지말라...내가 없어도 착한 마음으로 심심을내어 전해지리라 1500년전 말씀 임다 ^^ 멋있어

  • @badukimotchi
    @badukimotchi 3 роки тому +105

    종교를 믿지 않고 사실적.과학적 원리를 중요시 여기는 사람으로서..
    제일 인정할수 있는 종교가 불교인듯..
    개인의 명상과 수련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 누구나 부처가될수있다는 말이 제일 현실에 부합되고 이해할수 있을듯헌데...
    바로 이러한 이유가 불교가 다른 종교(캍ㄹ릭.기독교 .이슬람등)에 밀리는 이유일듯...
    인간은 사람이 무서워서 국가를 만들고 죽음이 무서워 종교를 만든다 라는 말이 있는데..
    불교는 인간이 필요한 needs를 총족시켜주는 방법이 어려움. 너무 이성&합리 적인 면이 다른종교와의 싸움에 불리하게 작용함.
    특히 종교가 번성하려면 무지한 사람들은 거짓말로 세뇌시켜야 하는 작업과 타종교를 배타하는 전투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명상을 통한 깨달음을 강조한 불교는 무지한 사람들에 대한 세뇌와 그닥 맞지 않고 상대적으로 타 종교보다 배타적이지 않아서 살아님기 힘듦.(힌두교에 흡수되고 도교에도 흡수되고..)
    구약성경에서 파생된 종교( 카톨릭.기독교.유대교.이슬람교) 들이 발전한 가장 큰 요인은 바로 자신만이 선이고 절대적 진리이며 다른것들은 전부 가짜이며 악이다라고 단정짓어 버리는 전투적인 교리가 한몫했을거라 생각됨.

    • @Angelainmusical
      @Angelainmusical 3 роки тому +29

      통찰력이 있으시네요. 불교는 배타적인 생각을 하는 것도 번뇌에 사로 잡힌 불선법으로 여기는 정도니...타종교와의 싸움에서 불리하죠. 변하지 않는 '나'라고 할 만한 게 없다는 가르침과 자기신만이 진리라는 도그마는 너무 차이가 나니깐요. 그래도 다행히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배타적이고 나만 옳다는 독재형 종교가 전세계적으로는 인기가 사라지고 있는 거 같아서 다행이라고 생각됩니다.

    • @심경미-x7s
      @심경미-x7s 9 місяців тому

      왜 그런지 이유를 알아보세요 진리가 정말 무엇인지

    • @fyyj968
      @fyyj968 8 місяців тому

      지금에 한국의 무지 몽매한 집단이~
      거짓과 선동,내로남불의덧으로~
      세력을 확장해서 정권을 찬탈하고 편향된 무덤으로 이끄는 이치와 같음~
      종교의 확장 원리가~

    • @cathochi
      @cathochi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말이 맞음 요즘 무당들도 석가모니 어쩌고 저쩌고 하고 불교사이비들이 너무 넘쳐남

    • @Nd-fu5iy
      @Nd-fu5iy 4 місяці тому

      ⁠@@artfishingfactory1535과학과 종교의 차이는, 과학은 우리가 직접 지금 이 순간에 현실에 대입해볼 수 있다는 것이죠. 물론 그렇다고 100% 사실이라고도 장담 못하지만, 적어도 종교보다는 합리적이라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 면에서 불교의 논리와 설명방식은, 물론 부처가 오래전 사람이라 그런것도 있겠지만, 과학적 실험을 통한 방법론이 아닌 우리 모두가 직접 경험하고 느끼는, 또 만약 그리하지 못했더라도 추후에 느끼는게 가능한 설명들을 지니고 있기에 더욱이 진리라는것과 가깝다고 생각해요

  • @lookatyou2900
    @lookatyou2900 2 роки тому +15

    인도에서 불교가 자취를 감춘 이유가 궁금했는데 명쾌하게 이해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v8804
    @tv8804 3 роки тому +26

    굉장히 중요한 내용입니다.
    많이 배워 갑니다.

  • @rollingbear9789
    @rollingbear9789 3 роки тому +3

    어렵게 말하기 한 없이 쉬운 내용을
    쉽게 말하기는 한 없이 어렵죠.
    어렵게 다뤼지기 쉬운 종교사를
    이렇게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시니
    너무도 감사합니다

  • @stevenkim1618
    @stevenkim1618 3 роки тому +16

    우와~~ 궁금했으나 알수없었던 질문을 명쾌하게 설명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 @Kimbighead
    @Kimbighead 3 роки тому +304

    불교 발상지인 인도에서 왜 불교인구가 전체의 10% 도 되지 않고 오히려 이슬람교 비중보다 적은지 역사적으로 정말 궁금했던 부분이었는데 간단한 몇 가지 설명으로 말끔하게 정리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팀장이팀장
      @이팀장이팀장 2 роки тому +18

      ​@턱시 현재의 인도와 네팔에 걸처 있어요🙂

    • @muzukun119
      @muzukun119 2 роки тому +3

      @Byong Min 힌두교에서 믿는 수많은 신들중 하나가 7대 부처입니다. 즉, 힌두교 속에 불교교리가 일부 녹아있는거죠 . 불교 신자가 적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

    • @jeonsuyeong
      @jeonsuyeong 2 роки тому +23

      @@muzukun119 이슬람과 유대교,기독교가 같은신을 믿는다고해서 같은 종교가 되지는 않는것처럼 마찬가지로 힌두교가 불교가 되지는 않죠
      물론 힌두교와 불교도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 처럼 서로 연관이 깊기는 하지만요

    • @subhadramahanta452
      @subhadramahanta452 2 роки тому +6

      @턱시 Nepal is the birth place of Siddharth Guatam, he became Buddha in India and then, both Nepal and Indian kings and people spread it. India, having more reach, spread it more ig.

    • @countryboy_1971
      @countryboy_1971 2 роки тому +1

      그 10%라는 것도 정확하지 않고, 근래 특정 지역의 불교 부흥운동 결과로 잡히는 통계입니다. 최근 부흥운동 일어나기 전까지 불교 자체는 인도에서 완전히 사라졌었다고 봐야죠.

  • @martincho7398
    @martincho7398 3 роки тому +78

    간결하고 명쾌한 해설로 오래 묵혀두었던 의문이 해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lilylily6875
    @lilylily6875 2 роки тому +5

    평소에 궁금해하던 내용인데 이렇게 궁금증을 풀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user-mi9dz7iq1y
    @user-mi9dz7iq1y 3 роки тому +28

    명쾌한 강의입니다.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윤남현-t4p
    @윤남현-t4p 3 роки тому +21

    간단 명료하게 군더더기없고 깔끔한 영상 야무지십니다

  • @이현정-w1z
    @이현정-w1z 3 роки тому +61

    이건 진짜 알짜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 @버스커케이
    @버스커케이 2 роки тому +3

    우와...이런 영상은 정말 귀중한 영상입니다. 어떻게 8분 만에 제가 50년 넘게 가졌던 질문에 대답을 할 수 있나요...정말 감사합니다.

  • @lowlanz
    @lowlanz 3 роки тому +547

    시장에 만두 맛집이 돈 더벌겠다고 떡볶이도 팔고 오뎅도 팔다보면 이젠 거긴 흔한 분식집이 되어버리는거지...

    • @james21st.66
      @james21st.66 3 роки тому +14

      자금과 (홍보할)힘만 있다면 맛의 성지가 될 수도 있죠. 프랜차이즈가 될수도 있구요.

    • @완별남
      @완별남 3 роки тому +35

      @@james21st.66 그게 바로 이슬람의 인도 유입.

    • @james21st.66
      @james21st.66 3 роки тому +9

      @@완별남 그걸 비유해서 적은겁니다^^;;

    • @jayhind4640
      @jayhind4640 3 роки тому +4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식 히즘은 사 나타나 법의 가지입니다. 모든 종교는 매우 평화 롭고 함께 산다. 그러나 일부 이슬람 침략자들은 인도를 침략하여 수천 개의 힌두교, budhhism, Jainism, Sikhism 사원을 파괴합니다. 이슬람은 증오의 종교입니다. 인도의 이슬람 이전에는 모두가 매우 평화롭게 살고 있습니다. 영국인들이 왔을 때 그들은 인도를 나눌 수 있습니다 1876 ​​년-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은 힌두교 불교의 대다수 였고 인도의 일부 였지만 이슬람 침략자들은 천천히 인구를 늘리고 별도의 국가를 요청했습니다) 1904 년과 1906 년-네팔과 부탄 1907- 그들은 티베트라고 불리는 인도 자치 지역을 분리했습니다. 1932-스리랑카 1937- 미얀마 그리고 1947-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 (다시 한번 종교의 이름으로 나라를 깬다) 이슬람이 평화롭게 인도를 떠나기 전에

    • @user-dr4ey3ub9v
      @user-dr4ey3ub9v 3 роки тому +1

      @@jayhind4640 뭐 어쩌겠습니까. 이슬람 초기때부터 유대인 죽이고~그들만의 명분은 있겠지만요. 초기부터 그랬는데 .

  • @개냥냥-v3z
    @개냥냥-v3z 3 роки тому +6

    너무재밌어요 퀄도 훌륭합니다♡♡♡ 응원해요♡♡♡ 저도 역사 전공자인데 함께 공부하고 배우겠슴니다!

  • @unclebong
    @unclebong 3 роки тому +7

    평소에 정말 궁금했던건데 오늘도 잘봤습니다~~ 꾸준한 업로드에 늘 자극받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knowledgebrunch
      @knowledgebrunch  3 роки тому +5

      스스로 약속한 시간에 맞춰 꾸준히 올리는 것, 이게 유튜버로서 가장 어려운 점인 것 같습니다~. 사실 꼭 지켜야하는 것도 아닌데...

  • @jennyahn5577
    @jennyahn5577 2 роки тому +10

    우와 이렇게 명확하게 설명해주시다니요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 부처님 가르침과 불교의 모습이 달라서 이해가 안되었어요

  • @kayh150
    @kayh150 3 роки тому +421

    부처는 바른것을 말하고 진실한것을 가르겼으나
    인간들이 자기 소욕대로 써먹은것..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39

      그건 예수도 무함마드도 공자도 하물며 마르크스도 ?? ㅋㅋㅋㅋㅋㅋ

    • @해변스케치
      @해변스케치 3 роки тому +47

      결국은 다 허상이죠 권력에 필요해서 이용되고. 달보고 소원 비는게 가장이상적이고 경제적인 거죠

    • @yadontthink
      @yadontthink 3 роки тому +5

      @@yunmonkjm 뭐래니

    • @화지진
      @화지진 3 роки тому +7

      @@yunmonkjm 매독걸려 죽은 마르크스가 왜 나와?

    • @호롤롤로-o1y
      @호롤롤로-o1y 3 роки тому +4

      @@yunmonkjm 무함마드가 바른걸 가르친 것 같진 않은데...

  • @fitologykr
    @fitologykr 3 роки тому +29

    무릎꿇고 경건하게 듣습니다 쓰앵님

    • @heeellion9950
      @heeellion9950 3 роки тому +1

      우수형인가요?

    • @KS_K
      @KS_K 3 роки тому

      와 피톨로지다!

  • @DN-syw.1s5ar
    @DN-syw.1s5ar 2 роки тому +35

    이 분 좋아요
    목소리도 점잖으시고..쓸데없는 어그로 없으시고 핵심만 신뢰가는 채널입니다.

  • @Ttriple_III
    @Ttriple_III 3 роки тому +566

    와 해탈의 가르침인 불교에 왜 기복신앙적인 존재가 있나 했는데 이런 영향이었군요... 많이 배워갑니다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42

      기복은 미끼고 낚아올려서 해탈로 가자는 듯 보이나 실은 그 반대죠..ㅋㅋㅋ 해탈을 미끼로 기복을 유인하는 거죠..ㅋㅋㅋ 해탈하고 싶으나 힘들제 그러니 돈을 내 급행료!! 아 면죄부!! ㅋㅋㅋㅋ

    • @user-dr4ey3ub9v
      @user-dr4ey3ub9v 3 роки тому +36

      어느 나라나 민간신앙... 기복이 전부인 신앙...이 우세한것같습니다. 그만큼 감정적이고 나약한... 나부터가 ㅠ

    • @더블8
      @더블8 3 роки тому +51

      @@yunmonkjm 한번도 우리나라 불교에서 그런거 유인한적 없는거같은데... 적어도 기복신앙적인 존재는 그냥 대중들의 인식일 뿐인거같아요

    • @홍찬영-g4b
      @홍찬영-g4b 3 роки тому +56

      @@더블8 한불교가 얼마나 세속적인데... 사실 한국은 종교 대부분이 기복신앙으로 변질된게 있긴해요
      기독교 천주교 불교 전부 다른 문화권에 가면서 토착 신앙이나 정서에 따라 변질 되더라고요

    • @더블8
      @더블8 3 роки тому +85

      @@홍찬영-g4b 세속적인 곳이 있을 수 있지만 적어도 교회처럼 십일조 헌금 강요하지는 않아요. 온전히 그사람의 자유에요 헌금은.
      그리고 불교같은 경우는 신을 믿는 종교가 아니기 때문에(인도에서 변질된 불교 말고 ) 기복신앙이랄것도 없어요 사실. 다 마음 수양하러 절에 가는거죠.
      게다가 교회처럼 도심 한복판에 몇백억 짜리 대형 건물 짓고 장사하는게 아니라 속세를 떠나 산속에 절을 지어놨기때문에 나머지 종교와 싸잡아 엮기에는 차이가 크다고 봅니다

  • @edmondkim461
    @edmondkim461 3 роки тому +12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좋아요 열 개쯤 주고 싶은 영상이네요 단순히 지식만 전달하는 게 아니라 현상에 대한 분석과 통찰이 있네요

  • @keepscent
    @keepscent 2 роки тому

    이 분 영상 몇 개 보고 있는데 참 애매하게 알고 있던 주제들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느낌이 많이 드네요. 좋습니다~

  • @보경장-s8p
    @보경장-s8p 2 роки тому +11

    불교가 인도에서 사라진 이유를 사회적인 맥락 속에서 너무 재미있게 설명해 주셔서 감탄하고 갑니다. 추후 초기불교 및 대승불교나 상좌부 불교 사이의 차이, 지역적 특색 등을 조금 더 추가적으로 다루어주셨으면 하는 바람도 듭니다. 불교는 당시의 브라만교에 대항한 혁명이었으나, 기존에 뿌리 박혀 있었던 주술, 의식 등을 모두 소멸시키는 건 불가능했어요. 이 때문에 석가모니 부처님도 병든 사람에게 행하는 주술적 의식 등은 부분적으로 허용한다고 말씀하시기도 하였구요. 불교의 힌두화, 즉 밀교는 7세기 이후 동인도를 중심으로 본격화된 것이 사실이지만, 보살상 등에 대한 제작은 기원전 간다라 미술, 아잔타 석굴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아주 오래 전부터 이루어졌죠. 무불상 시대가 지나자마자 시각예술품이 생겨나기 시작한 건데 그때부터 불교 신상은 힌두 신상과 별다른 차이가 없어 보여요. 다양한 신이 존재하는 힌두교에 익숙해져 있던 대중들에게 신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하였던 바람이 반영된 경향도 크기 때문에 불교의 힌두화를 악수? 라고 하기에는 조금 어폐가 있을 것 같아요. 같은 둥지에서 파생해 나왔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던 시대적인 흐름인 부분도 있죠. 또한 중생에 대한 타력 구제라는 가장 큰 화두를 가지고 있는 대승불교에 있어서, 수많은 신들이 존재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흐름이었어요. 따라서 당시 인도 불교를 둘러싼 다양한 요소들이 인도에서 이슬람교가 불교를 대체하는 배경 중 하나가 되었을지언정 불교미술은 찬란하게 발전할 수 있었고 동아시아에 전파된 대승불교와 불교미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죠. 특히 네팔과 티베트는 이슬람교에 의해 소멸된 인도의 밀교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티베트 불교 나름대로의 전통을 구축해 간 점도 독특합니다. 그러나 스리랑카처럼 석가모니 부처님의 직접적인 말씀을 최고로 받드는 상좌부 불교의 거점지에서는 초기불교의 철학이 상대적으로 고스란히 존속된 반면, 석가모니상을 제외하고 다양한 불보살에 대한 시각예술품은 찾아보기 힘든 것도 사실이구요. 불교도 시대적, 지역적, 교파적인 흐름을 반영하여 각기 다른 대응을 해 왔다는 점도 재미있는 포인트가 될 것 같아요.

    • @혁우차
      @혁우차 2 роки тому +1

      훌륭하십니다 탄복하고 갑니다

    • @kangmw94
      @kangmw94 Місяць тому

      👏👏👏👏 👍👍👍👍

  • @김권석-u6w
    @김권석-u6w 3 роки тому +1

    완전 이해가 잘되는 방송이었습니다. 머리에 설명이 쏙쏙 들어오게 하는 것이 좋은 영상입니다.

  • @보고보고-x3q
    @보고보고-x3q 3 роки тому +283

    이 영상 1분 보고 구독했음. 진짜 한국인 마음에드는 속도.

    • @김경민-f3b
      @김경민-f3b 3 роки тому +36

      ㄹㅇ 영상 시작하자마자 본론 들어가야제~

    • @yunaaa3861
      @yunaaa3861 3 роки тому +8

      음 정말 속도 맘에 드네요ㅎ

    • @deto_on
      @deto_on 3 роки тому +2

      저도 항상 2배속으로 보는데 이거는 배속조절 안했어요ㅋㅋ정말 마음에드는 속도

    • @junostock
      @junostock 3 роки тому +2

      인정 ㅋㅋㅋ 자기전에 항상 틀어놓고 자는데 목소리가 거의 수면치료제

    • @berryyellow1198
      @berryyellow1198 3 роки тому +2

      현실> 무쇠남 같은 쓰레기영상에 '한국인이 제일 좋아하는속도' 이지랄떨고있음

  • @박상현-x3r
    @박상현-x3r 2 роки тому +11

    오랜시간 궁금해오던 문제에 대한 답을 얻었네요. 고맙습니다

  • @jedztv6479
    @jedztv6479 3 роки тому +58

    와...하루도 안되어서 1천명씩 느네ㅋㅋㅋ 모든 영상 정주행한 사람으로, 진짜... 정보란 이런거다를 잘보여주십니다^^

    • @이키-f9l
      @이키-f9l 3 роки тому +2

      신규 유입잡니다
      반가워요 ㅋㅋ

    • @성윤-s1l
      @성윤-s1l 3 роки тому

      @@이키-f9l 저도 구독자라서요ㅎㅎㅎ 좋은 영상 올려주시는 운영자님께 감사할뿐입니다~

  • @beginofsquare
    @beginofsquare 2 роки тому +9

    불교의 역사를 깔끔하게 배운거 같네요 잘 듣고 갑니다

  • @늘해랑-f9z
    @늘해랑-f9z 2 роки тому +2

    와우. 강의라고 불러도 되겠어요. 흥미로운 이야기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이해가 쏙쏙 잘 될만큼 설명을 잘해주시네요.

  • @뭉게구름-p7l
    @뭉게구름-p7l 3 роки тому +45

    자막을 길게 펼쳐놓으면 가독성이 높아질것 같아요

  • @ssambary15
    @ssambary15 3 роки тому +217

    원래 힌두교의 전신인 브라만교가 인도에 자리 잡고 있었다가 불교가 잠시 빤짝했다가 힌두교에 먹혀버린게 맞죠.
    권력자들도 모두가 평등하다는 불교보다 계급이 나눠지는 힌두교가 통치에 더 편했던 이유도 있고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11

      세금과 무력을 갖지 못한 불교가 비인도계 아시아 제국에서 더 살아남았던 것은 그게 더 통치에 유리했기 때문이죠 ㅋㅋㅋㅋㅋ

    • @sjeoendiowksbsjsel
      @sjeoendiowksbsjsel 3 роки тому +14

      그래도 지금처럼 멸종은 아니고 힌두교와 어느정도 공생은 할수 있었을 수준인데 이슬람 정복 시기에 완전히 복구 불능으로 박살 난게 큼.

    • @성이름-l9p9x
      @성이름-l9p9x 2 роки тому

      하지만 그 불교를 받아들인 조선은 노비가 넘쳐나는데..

    • @i492t
      @i492t 2 роки тому +4

      @@성이름-l9p9x 조선은 불교를 박해한거지 불교를 받아들였다니?

    • @slgneignlswererer5035
      @slgneignlswererer5035 2 роки тому +3

      @@성이름-l9p9x 불교가 잘나갈땐 번화가에 있었는데 박해받아서 산으로 튄거임

  • @김한비-p6h
    @김한비-p6h 2 роки тому +54

    학교 교과서에서는 굽타왕조시기에 불교가 쇠퇴하고 힌두교가 드세했다고만 나와있어서 근본적인 이유가 궁금했는데 정말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 @Gupta_Dynasty
      @Gupta_Dynasty Рік тому +1

      नाही हे खोटे आहे

    • @ajesha15s40
      @ajesha15s40 10 місяців тому

      That's the biggest lie ever. Looks like your korean textbook teach you lies. Your government should correct the information. Most of the times I see that you guys are told lies and miss information by west.

  • @김학곤-t1p
    @김학곤-t1p 3 роки тому +88

    불교공부를 오랫동안 했는데도 잘 몰랐는데 명쾌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손창석-l7w
      @손창석-l7w 3 роки тому

      8:19 8:20 8:20 8:20 8:20 8:20

    • @ryan_2568
      @ryan_2568 3 роки тому +10

      잘봤습니다.
      막연하게 궁금증을 갖고있던 인도에서 불교의 소멸이유에 대해 알게됐네요.

  • @babayaron1
    @babayaron1 3 роки тому +10

    정말 좋은 지식 알려주어서 감사합니다.

  • @박병준-m5z
    @박병준-m5z 3 роки тому +10

    간명하고도 정확한 해설 감사드립니다..

  • @firezean
    @firezean 3 роки тому +1

    지나가다 구독 하고갑니다. 문장사이에 조금만 텀을 주시면 더 편하게 들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k.lascotbean3644
    @k.lascotbean3644 3 роки тому +11

    와...진짜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중용의파수꾼
    @중용의파수꾼 2 роки тому

    평상시에 궁금하지 않았는데 보고나니 무릎을 탁 치게됩니다.제 지식이 한층 두터워 진 느낌입니다.감사합니다.

  • @수보리-f4r
    @수보리-f4r 2 роки тому +4

    거룩하신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지구소풍보헤미안
    @지구소풍보헤미안 2 місяці тому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tomboy_k1
    @tomboy_k1 3 роки тому +6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불교발상지에서 왜 사라졌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알수있었어요

  • @우주선장-m3x
    @우주선장-m3x 3 роки тому

    늘 궁금했던 내용이었어요. 최고의 유투브 채널입니다~~^^

  • @이재호-l6b
    @이재호-l6b 3 роки тому +41

    불교는 부처님의 말씀을(경전) 바탕으로 해탈이 목적입니다
    마음공부지요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1

      주술도 기복도 우리네 찐 중생심입니다.. ㅋㅋ 욕망이 없는 마음은 정말 희유하기에 .. 마음은 본래 진화사에서 생존의 욕망에서 발전한 것입니다.. 근데 버리라니요 ㅋㅋㅋㅋ

    • @해변스케치
      @해변스케치 3 роки тому

      불교의 핵심은 윤회죠,

    • @deadpool113
      @deadpool113 3 роки тому +1

      @@해변스케치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나는게 불교지. 본인 인생부터 열심히 사는게 먼저임

  • @KindLunaTeacher
    @KindLunaTeacher Рік тому

    막연히 궁금했던 점이었는데 상세히 귀에 쏙쏙 들어오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_gehcijjehfjejncj
    @user_gehcijjehfjejncj 3 роки тому +4

    컨텐츠에 깊이가 있습니다
    구독 했어요

  • @wonder3747
    @wonder3747 3 роки тому +1

    머리에 쏙쏙 들어오네요ㅡ 궁금했던 부분을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 주시네요

  • @더블8
    @더블8 3 роки тому +439

    결국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제외한 다른 종교는 통치수단이었을 뿐임. 왕의 다스림을 정당화할 도구였던거지.

    • @jhshin9413
      @jhshin9413 3 роки тому +25

      삼국시대 왕권강화의 도구로 쓰인
      불교.왕은 부처의 환생이라고
      숭배하게 하는 정책이 중요.

    • @더블8
      @더블8 3 роки тому +10

      @@user-ki6sp7uf7k 맞아요 신을 대신해서 통치하겠다는 정당화용 도구였을 뿐이죠.

    • @러킬-k5v
      @러킬-k5v 3 роки тому +8

      이슬람의 시아파와 수니파를 보면 더욱 심각하고, 특히나 모하메드의 일대기를 보면 더욱 그러하지요. 불교의 무소유는 소유를 금하는 것이 아니라 소유의 한계를 지적한 매우 철학적인 깨달음인데, 이것을 탐욕적일 수 밖에 없는 해탈하지 못한 인간인 승려와 절이 부자가 되는 방법으로 이용했으니 어이가 없고, 가톨릭은 아예 돈 권력을 위해 전쟁을 획책했으니 가장 사악한 면이 있습니다. 최고의 향수를 쓰고 거대한 제단을 만들고 수많은 규칙을 만드는 것은 그만큼 악취가 나기 때문이지요.

    • @러킬-k5v
      @러킬-k5v 3 роки тому +9

      @@user-ki6sp7uf7k 종교에서 중요한 것은 자유죠. 조건과 증거없는 믿음이 종교의 요체인데, 이것을 자유롭게 자유의지로 한다는 것이 현대문명의 특이점이죠. 이 부분이 안되는 사회, 이슬람이나 배타적 기독교, 종교를 금지하는 북한같은 독재,또는 지도자를 신격화하는 이란 같은 사회는 미개한 .

    • @sapst971
      @sapst971 3 роки тому +12

      @@더블8 종교는 돈 이 되는 사업이니까
      절대 못 그만둠.

  • @s198051
    @s198051 3 роки тому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만 녹음기의 상태가 아쉽습니다! 마이크를 새로 구해보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ㅠ

  • @sealjjang
    @sealjjang 3 роки тому +4

    이렇게 길고 복잡한 과정을 일목요연 논리정연하게 정리하신것 자체가 참 대단하십니다. 더 일찍 알았으면 지식인이 될 시간도 많았을 것을..뒤늦게 구독누르고 갑니다

  • @jungle0303
    @jungle0303 3 роки тому +1

    좋은 내용으로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부하는 자세로 천천히 끊어가며 다시 봤습니다. 말씀을 조금만 천천히 해주시면 더 좋을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 @위소보-f8i
    @위소보-f8i 3 роки тому +14

    콘텐츠 좋네요

  • @goodman4321
    @goodman4321 3 роки тому +1

    참...참 흥미롭고 재미집니다....작가 수준의 원고네요. 감사합니다!!!

  • @jinu0613
    @jinu0613 3 роки тому +27

    정말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저도 오랜 궁금증이었는데 막연하게 알고 있던걸 잘 정리해 주셨네요. 저는 이 내용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고 싶은데 특히 인도에서 탈출한 불교가 같은 왕정국가였던 중국이나 동남아에는 왜 잘 정착이 되어서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지에 관해서 궁금합니다. 후속 영상 기다리겠습니다.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13

      그게 불교가 고대국가와의 공존 과정에서 제국 및 민족체의 안정성과 관련되죠.. 인도와 중국의 차이 특히 제국의 토대인 강력한 주류 민족과의 습합 여부가 중요해요.. 인도는 이미 강력한 아리안족의 브라만 계급과 카스트에 근거한 토착 종교가 후발 불교의 강력한 경쟁자로 존재했고, 중국은 후한제국 시절과 그 이후 위진남북조 수당시대를 거치면서도 불교에 대항할 강력한 토착 종교가 없었죠.. 도교는 오히려 불교의 카피캣에 불과했고요.. 동남아의 경우 11, 2세기경의 버마 타이 크메르 등지의 상좌불교는 강력한 주류 민족의 외호 아래 이슬람의 침략에서 비껴가고 이슬람은 다양한 부족들이 혼재했던 말레이 인니 등에 여러 술탄국으로 자리잡앗죠.. 대략 역사는 다양한 우연의 연속이기도 해요 ㅋㅋ

  • @peterjung4506
    @peterjung4506 3 місяці тому

    와우,,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J레옹
    @J레옹 3 роки тому +47

    중학교 때부터 의문을 가졌던
    거를 57세 되어서야 알게됐네요 ㅎ
    해적단님 감사합니다

    • @사화와환국
      @사화와환국 3 роки тому +17

      여긴 브런치 ㅎㅎ

    • @김진우-z5q5z
      @김진우-z5q5z 3 роки тому +1

      @@사화와환국 ㅋㅋㅋㅋㅋ

    • @하얀고양이-d2v
      @하얀고양이-d2v 3 роки тому +3

      브런치 인데 해적단이라니

    • @가나-m1t
      @가나-m1t 3 роки тому +1

      40년 동안 않 찾아보고 뭐했나?ㅎ 무지한거 티 내나? ㅋ

    • @f35alightning
      @f35alightning 3 роки тому +2

      @@가나-m1t 잼민아 돌아가렴

  • @rim3373
    @rim3373 3 роки тому +1

    알고리즘에 떴는데 궁금했던 주제라서 들어왔어요~~ 주제, 내용, 속도 다 좋네요! 앞으로도 잘 부탁드려요~
    Ps. 목소리 뒤로 약하게 삐- 소리하고 잡음이 들리는데 그것만 고쳐진다면 더 편하게 들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산단구라데쇼
    @산단구라데쇼 3 роки тому +4

    영상 퀄리티에 놀라 구독 박았어요...ㄷㄷㄷㄷ

  • @unimind8106
    @unimind8106 2 роки тому

    궁금했던 내용 시원하게 잘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청하쥐손이
    @청하쥐손이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제 불교를 우리나라 우리 불교인들이
    부처님의 옳은 가르침을 세계로 퍼트려 나갑시다
    우리모두 스님들 재가 불자들 피나는 노력이 필요할 때 인것 같습니다.
    부패한 불교인들은 진심으로 반성하시기 바랍니다
    부처님이 이 사실을 안다면 얼마나 가슴 아플까를 생각하니
    울컥해 집니다.

  • @susu_c
    @susu_c 3 роки тому

    항상 궁금했었던 부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SB_ROH
    @SB_ROH 3 роки тому +8

    인간에게 가장 설득력이 강한 것 중 하나가 종교인데, 그 종교가 해당 지역에서 송두리째 사라진다는건 정말 큰 사건이죠..
    이런 배경이 있다니 정말 놀랍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 @saintcho7425
    @saintcho7425 3 роки тому +1

    녹음기 때문인지 모르겠으나 높은 주파수대의 삐소리가 귀에 울려서 듣기 힘듭니다.
    좋은 내용을 잘 정리해주시는 지식 브런치님의 채널이 더 번창했으면 좋겠습니다!

  • @김성현샘
    @김성현샘 3 роки тому +262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리면 죽도 밥도 안된다.

  • @차아차아차차
    @차아차아차차 3 роки тому +1

    명쾌합니다! 요점을 딱 짚어주셔서 좋았습니다.

  • @paloma184
    @paloma184 3 роки тому +282

    대한민국 불교도 사라진 인도의 불교와 다를게 없음. 원래 불교는 소원을 비는 종교가 아니고 각자 수련을 통해 해탈에 이르게 하는 종교임.

    • @choichoimj
      @choichoimj 3 роки тому +23

      영상에서는 오히려 해탈 등 철학적인 것만 강조하다 망한 것으로 나오는데요.

    • @jjpark21
      @jjpark21 3 роки тому +53

      그래서 불교가 망함. 한국에서 번성한 이유도 소원을 빌어주는 도구로 사용되었기에 수천년 설아남았음 90 % 민중에게 먹고 사는게 젤 중요함 현재도 마찬가지. 기독교가 천당가는것과 극락 가는것 이외에 다른 것은 관심이 없음. 물론 종교 자체가 노약자 이외에 는 불필요 하긴 하지만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15

      그러나 역사는 불교도 대중에게는 소원을 비는 종교 중 하나였죠..ㅋㅋㅋㅋ

    • @감기조심하세요
      @감기조심하세요 3 роки тому +44

      기독교도 그래요 우리나라에만 오면 죄더 기복신앙이 되어버려서 성경에 삼신할미가 안 들어간게 신기할 지경..

    • @Vincent_de_Paul
      @Vincent_de_Paul 3 роки тому +5

      기복신앙 ㅉ
      개신교와 별반 차이가 없는

  • @겨울-r9v
    @겨울-r9v 2 роки тому

    우와 그동안 궁금했었는데 간단명료한 설명 감사합니다

  • @오상진-y2p
    @오상진-y2p 3 роки тому +3

    감사합니다...재미있게 봤습니다.

  • @_Expected_Return
    @_Expected_Return 3 роки тому

    궁금 했던 내용이었는데 영상으로 보게 되네요 잘 봣습니다

  • @홍수몬-g1q
    @홍수몬-g1q 3 роки тому +12

    기복신앙이 나쁘다 생각 하지 않는다. 그것이 인연이 되어 불법에 연이 닿으면 그것으로 제 역할을 하는 것 이라 생각한다.

    • @jnj2112
      @jnj2112 3 роки тому +6

      일단 지혜로운 말씀이시긴 하지만.. 좀더 길게보면 틀린 발상이십니다.
      기복신앙을 위해 진리(종교)에 입교한사람들이 10명이면... 그중 진리에 다가가는 사람들은 1,2명밖에 안되기때문입니다.
      그 한두명도 귀하다볼수있겠지만
      문제는.. 나머지 절대다수가 계속 기복자세를 유지하며 그 무리에서 활동하게 되는건데
      그게 반복되다보면 진리를 구하는자는 극소수에머무는반면 기복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결국엔 그 무리 자체가 기복집단으로 변질되고말지요.
      이미 한국내 교회(기독교)에서 확인된 수순입니다.
      1990년대 중반부터 한국교회가 미친듯이 양적성장을 해낸 비결이
      미국식 열린예배(Open Worship)를 도입하면부터 였습니다.
      님께서 말씀하신.. 기복신앙 관심자라도 그계기로 신앙을 받아들이면된다는 접근법으로 시작된거였는데
      실제로 예배에서는 일반인들이 화려하게느끼는 음악,미술을 앞세운 공연에가까운 쑈를 자주열었지요.
      그 효과는 상당해서 정말 미친듯이 성도가 늘었었습니다. 여기저기 크고작은 교회에서.
      문제는... 그렇게 모여든 사람을 진리로 이끄는 다음단계인데
      리더들이 아무리 진리를 말하고 아무리 열심내고 아무리 다독여도
      입교계기가 기복이었던 사람이 바뀐다는건 정말 낮은확률이었습니다.
      오히려 주객이 전도되기시작하며 진리를 구하던사람들은 물론 집단의 리더인 목사,전도사들조차
      다수가되어버린 기복자들에게 크게 영향받기시작하며 지금의 개독먹사들이 생겨나는 결과로 이어졌지요.
      결국 사회적으로 비웃음당하는 지금의교회를 만든 첫계기는
      기복신앙이라도 그것을 계기로 진리에다가선다면 좋은것이다 라는 발상이었습니다.

    • @KyleLee_
      @KyleLee_ 3 місяці тому +1

      @@jnj2112그정도 수준도 안되는 인간이 있어요. 그걸 근기라 합니다. 상근기 중근기 하근기로 나뉘죠. 왜 불교는 경전이 한권이 아니라 팔만 대장경이나 되는 방대한 경전을 말했을까요? 어마어마한 다양한 사람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방편법을 이야기 다하여도 제도가 안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거 여러 생동안 정법과 인연이 없어요. 그래서 선근이 없기에 올바른 생각을 가지려 들지 않습니다. 늘 사견이 많죠.
      그런 사람들 마저도 그들이 악도의 길에 떨어지지 않게라도 칠성이니 산신이니 독성이니
      각종 재공의식이 있는 것입니다.

  • @해야해야-c9t
    @해야해야-c9t 2 роки тому

    궁금했던 내용인데 알기쉽거 잘 설명해주시네요.

  • @oinkoink6906
    @oinkoink6906 3 роки тому +88

    주술주의 기복신앙. ㅋㅋㅋㅋ 메이저 종교 필수품이자너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8

      더 강한 주술만이 더 교묘한 주술과 기도만이 거대종교의 속살입죠 ㅋㅋㅋ

    • @100-y1s
      @100-y1s 3 роки тому +5

      인간이라는 존재가 결국 현란한 시각적 효과와 욕망을 성취해주리라는 절대자에 기대는 것이 본성이니까 그런 걸까요 ㅋㅋㅋ

    • @joshua-io3jk
      @joshua-io3jk 3 роки тому

      @@100-y1s ㅂㅂ

    • @손현창-h7p
      @손현창-h7p 2 роки тому

      @@yunmonkjm ⁰

  • @휀더-x1z
    @휀더-x1z 3 роки тому

    굿입니다.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 @kissman0120
    @kissman0120 3 роки тому +2

    공부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bunnybottle2821
    @bunnybottle2821 3 роки тому

    항상 감사하며 듣고 있습니다

  • @Gusdiary
    @Gusdiary 2 роки тому +12

    재미있게 읽 아니 들었습니다. 이렇게 불교가 왜 사라졌는지 들으니 몇권 읽어야 될 내용이 한번에 정리 되는 만족감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seungyeophan3701
    @seungyeophan3701 2 роки тому

    강의 내용은 좋은데, 녹음에 뭔가 굉장히 미세한 고음으로 ‘삐’ 하는 소리가 계속 나서 영상을 보기가 어렵네요. 영상 중간에도 멘트가 없는 부분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아마 녹음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로또팡팡-l7j
    @로또팡팡-l7j 3 роки тому +202

    인도에서 시작한 종교인데 어떻게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불교인데 어이가 읍네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16

      그 어이는기독교에게 돌려주죠 ㅋㅋㅋ

    • @올인-f3b
      @올인-f3b 3 роки тому +40

      지적수준이 높으면 불교철학을 이해하고 수긍하게 되지만 지적수준이 낮아 개념이해도 못하는데 그럼 자신에게 불편한 것이 되는데 받아드리지 못함. 쉽게 믿을수있는 미신을 찾게 되지. 오랜 농경문화민족이고 지적소양이 높고 문화적이던 우리 조상들과 달리 우리의 이웃들인 기마족들은 살인 강간 약탈 약육강식 짐승의 생리로 살아가던 야만인들이였슴. 그들은 바로 이웃의 문화인 유불선이 아니라 멀리 서역에서 전례된 기독교 이슬람에 빠져들었지.... 수세기 접하고 살아도 한족의 문물은 소화못시켰슴. 기독교 이슬람같은 미신적 종교들은 지적수준이 낮은 대중들에게 통하기 때문에 성공한 것이지.

    • @eo8652
      @eo8652 3 роки тому +2

      @@yunmonkjm 갑자기..?

    • @해변스케치
      @해변스케치 3 роки тому +1

      @@올인-f3b 오~~~~

    • @user-v385bad38glj
      @user-v385bad38glj 3 роки тому +6

      @@올인-f3b 먼저 우리조상들은 기만민족에 그 뿌리를 두고 있었고 이웃의 기마민족들에게 기독교와 이슬람이 전파되기 시작한것은 한참 후대의 일이며 그들 상당수가 불교의 일파인 라마교도들이거나 하늘숭배신앙을 가졌다는 점에서 오류와 저열한 편견이 보임
      기마민족들만이 살인,강간,약탈, 약육강식의 짐승생리를 가진것이 아니었다는 점
      대륙원주민들의 무능하고 수구화되어있으며 계급질서를 유지하는 유교프레임으로 인해 세계열강과의 경쟁에서 한참이나 뒤떨어지게 됨
      기독교나 이슬람은 기본적으로 평등사상을 내재해 있었고 모순적이게도 권력지향적인 절대신앙이 있었기에 대중들에게 평등이념으로 인해 지지를 얻고 현실적으로 지배세력과 야합하여 크게 영향력을 행사하게되었던것
      기마민족들을 단순히 야만인으로 생각하며 업수히 여기는 것은 대륙의 무능하고 나약하여 아무짝에 쓸모없는 황하원주민들의 졸렬한 편견일뿐 실제 인류역사에 있어서 유목민들은 무수히 많은 문화와 기술의 이동에 큰 역할을 하였던 반면에
      정주짱꼴라들같은 놈들이 만들어낸것이라곤 감옥과 신분제도 정도라고..
      그래서 대륙의 짱꼴라들은 거의 대부분의 역사에서 지배당하는 노비들이었고 그들 자신의 문화 정체성 자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

  • @autarch62
    @autarch62 3 роки тому +1

    궁금했던걸 정말 잘 정리해주시네요

  • @gorae3417
    @gorae3417 2 роки тому +21

    인도가 불교의 발상지임에도 불교하면 티벳이고 인도하면 힌두교인 것이 이제 이해가 되네요
    불교 관련 인문학서적을 읽는 중인데 이 영상을 통해 책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집니다
    종교학 강의하시는 거 다 너무 재미있어요 불교 관련 강의 한 번만 더 해주세요 네?!

  • @김환-n7g
    @김환-n7g 2 роки тому +1

    항상 주제가 좋은거 같아요
    아이디어 내는것도 정말 고된 일일텐데

  • @yechanhan9917
    @yechanhan9917 3 роки тому +37

    불교의 근본은 종교가 아닌 철학이라는 걸 다시한번 느끼게 만드는 영상이군요.

  • @hyeonjaelee1938
    @hyeonjaelee1938 Рік тому

    Great video 🙏🙏🏻🙏🏼🙏🏽🙏🏾🙏🏿

  • @byungchankim9879
    @byungchankim9879 3 роки тому +217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등 보살들이 나타난 것은 힌두교 영향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는 이야기 군요
    제가 공부할 때도 초기경전에는 이런 보살 들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 @after718
      @after718 3 роки тому +40

      관세음보살은 중국 도교의 관음신앙과 힌두교 시바가 합쳐져 여성성별까지 부여돼 재탄생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 @성이름-o1l
      @성이름-o1l 3 роки тому +8

      @@after718 헐 관음이 원래 도교였나요

    • @권력의그림
      @권력의그림 3 роки тому +7

      @@after718 아 관세음보살이 중국신앙에서 비롯됐군요

    • @minjae92
      @minjae92 3 роки тому +11

      @@성이름-o1l 서유기에서 나오는 거보면 도교가 맞을겁니다
      서유기가 걍 도교 그 자체라

    • @yunmonkjm
      @yunmonkjm 3 роки тому +25

      @@after718 무슨 헛소리 ㅋ 관세음보살은 인도에서 발생한 게 맞고 이는 구마라집이 번역한 술어이며 도교와 관음신앙은 도대체 무슨 상관? 노장 혹은 도교의 신선사상은 선종과 칠성신앙 등에 영향을 미침 ㅋㅋ 모르면 배우시라 ㅋ 다만 대승불교의 보살들은 대다수 힌두교의 다신들에서 표절한 것은 맞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