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과세부분에 질문있습니다. 기본급에서 차량유지비(비과세)를 빼버리니 업무수행에 자차를 이용한 것에(차량유지비보고서에) 대한 보상으로 사업장에서 근로자에게 추가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이 아니라 책정된 연봉(기본급)에서 일정부분 비과세로 바꿔버려서 세제혜택만을 받게 한다는 느낌이 들어서요
자가운전 수당 관련하여 질문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급여대장에 보면 자가운전이라는 항목으로 20만원이 지급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저는 자가운전자도 아니고 차량 출퇴근자도 아닌데 이 항목으로 급여대장에 기재 되어 있다면 회계세무소에서 잘못 처리한 부분이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이 금액이 기본급으로 받아야 할 금액인데 편법으로 나중에 퇴직금을 줄이기 위해서 비과세 항목으로 비용처리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대로 받아도 되는걸까요? 의견 부탁 드립니다.
@@mood_lace655 월 연장근로를 5시간 한 경우이고 사업장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인 경우 월 연장근로수당은 5시간 * 1.5배 * 9,090원 = 68,175원 정도가 됩니다. 여기1.5배를 왜? 했는지가 궁금하신거에요? 이건 5시간 연장근무에 대한 가산임금을 해드린것 입니다~
원천세 신고, 4대보험 신고 컨텐츠도 만들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와 감사합니다... 인사 준비하는데 급여가 가장 핵심인걸 알면서도 어려웠어요... 이거보니 확 이해가 갑니다 !!!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초보 경리인데 너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 ㅎㅎ 저희 회사엔 아직 급여대장 엑셀 파일이 없는데 저렇게 하나 정리해놔야겠네요 ~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당 🙇🏻♀️🙇🏻♀️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에요~^^*
선댓 후시청
굿!!!
감사합니다 ㅎ
인사쪽으로 가보려하는데 도움이 많이 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합격하면 또 감사하다고 댓글 남기러 오겠습니다 👍🏻
아 맞다 합격했어요!! 도움 꽤나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급여 업무라는 게 구체적으로 어떤 프로세스인지 궁금했는데요, 상세하고 이해가 쏙쏙 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깔끔한 설명, 영상 잘 봤습니다 급여업무를 오래 담당하셨나요? 설명이 너무 간단하면서도 깔끔해서 감탄햇습니다.
좋게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강의 입니다. 감사합니다.
육아휴직 중에 업무 다 까먹어서 보고 있는데 영상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네요. 감사합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선댓후 시청 올해부터 급여담당하게됬는데 해야할것도 많고 알아야할것이 많네요 ㅠㅎ
급여업무를 하나? 시작하게 된다면 급여, 보험, 퇴직연금, 원천세 신고등 많은 업무가 수반되어 집니다.
그만큼 업무양도 많아지는거지만 할 수 있는 업무도 많아지는 장점도 있습니다.
EDI까지 들어가서 하시는것도 알려주셨음 좋겠어요 ㅠ
업체에 기장업무 맡기다가 올해부터 자체로 하면서 해당업무 하게됐는데 많은 도움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아하~
직접하는게 좋아요~
저는 웬만하면 기장없이 합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급여업무중 중도입사자의 일할계산 방법(포괄임금제)도 알려주세요.
엇!
이건 회사마다 다를텐데요
월급여 / 해당월의 일수 * 재직일수
월급여 / 209시간 * 실근무시간( 8시간 * 재직일수)
재직일수는 평일 그리고 주말 포함입니다~
선생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널 전체 정주행하면서 인사 업무가 어떤 것인지 감을 잡아가고 있습니다. 혹시 급여 업무 뿐만 아니라 자주 사용하시는 엑셀 수식이나 OA 활용 팁같은게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취업을 했는데 급여담당 업무를 맡게 되었어요
이런일이 처음인데 걱정입니다 궁굼한거 있으면 여쭤봐도 될까요?
아 그렇다면 만약 본인 명의 차량이 있으면 출퇴근 시 사용하지 않더라도 비과세기때문에 회사에 차량유지비 등록하는 것이 유리한 거죠?? 세금을 덜 떼니까요..?!
본인차량이 있다면 비과세 처리하면 직원에게 유리하니까 좋습니다 그래서 웬만하면 비과세처리 해주는데...
원칙상으로는
차량소유자가 회사업무수행에 본인의 차를 이용해야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비과세부분에 질문있습니다.
기본급에서 차량유지비(비과세)를 빼버리니
업무수행에 자차를 이용한 것에(차량유지비보고서에) 대한 보상으로 사업장에서 근로자에게 추가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이 아니라
책정된 연봉(기본급)에서 일정부분 비과세로 바꿔버려서 세제혜택만을 받게 한다는 느낌이 들어서요
안녕하세요~^^*
이 부분은 그냥 비과세 혜택을 주기위함이에요
연봉외 별도의 차량 지원금이랑 다릅니다~^^
@@hrstory 늦은시간 답글달아주셔서감사합니다
부끄러움이 많아 원댓글 수정했습니다.. 양해부탁드려요
이런 경우 그냥 급여대장에 차량유지비 항목을 만들어서 기본급에서 분리해주면 됩니다.
4대보험은 포털싸이트 들어가서 납부한 금액을 넣는거 맞아요??
만약 잘못 넣으면 나중에 연말정산할때 환급되는거 맞아여?
혹시 급여대장이나 간이세액표 등등 파일들 양식 공유 부탁드려도 될까요???
자가운전 수당 관련하여 질문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급여대장에 보면 자가운전이라는 항목으로 20만원이 지급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저는 자가운전자도 아니고 차량 출퇴근자도 아닌데 이 항목으로 급여대장에 기재 되어 있다면 회계세무소에서 잘못 처리한 부분이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이 금액이 기본급으로 받아야 할 금액인데 편법으로 나중에 퇴직금을 줄이기 위해서 비과세 항목으로 비용처리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대로 받아도 되는걸까요? 의견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그럼 좋은거에요~
비과세는 평균임금에 산입됩니다
퇴직금과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계속 이대로 받으시는게 가장 이득이 되실거에요~^^*
비과세급여를 기본급에서 빼면 시급이 그만큼 떨어져야하는거 아니에여??
안녕하세요~
비과세 급여도 통상임금에 해당되잖아요
모든 근로자에게 일률적, 정기적, 고정적으로 지급이 되니까요 그러니 이부분도 포함이 되어야 하는게 맞지않을까용?
아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말씀은 통상임금도 시급에 반영이 되어야한다는 말씀이시지요~?
원단위랑 소수점 나오는 값은 어떻게 설계 하시나요?
급여는 직원들에게 손해가 가지않도록, 해요
그래서 십원단위로 올림합니다
21일이 급여일인데 사대보험 금액적용 어떻게 해야하나요? Edi에서 사대보험 개인부담금은 18-20일 전후로 올라오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아... 그럼 방법이..
1. 전월 청구분을 반영해서 공제하기
2. edi청구분이 아닌 요율로 직접 계산해서 공제하기 이렇게 두가지 방법이 있겠네요 ㅠ
시급계산 할 때 왜 209가 아니라 242로 해야하죵???? 다른 분 계산 봤는데 209로 나누시더라구요 ㅠㅠ
3:38초 다시 보시면 될듯합니다
209시간에 연장근무 포함해서 242가 나온거에요~^^
그 부분은 알고 있었는데 다른 계산 보니까 209시간 나눈 거에 1.5배를 하시던데 어떤 게 맞는 걸까요ㅠㅠ
그냥 209에 1.5를요?
어디서 확인이 가능하죠?
한번 봐야 알수있을거 같아요
@@mood_lace655
월 연장근로를 5시간 한 경우이고 사업장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인 경우 월 연장근로수당은 5시간 * 1.5배 * 9,090원 = 68,175원 정도가 됩니다.
여기1.5배를 왜? 했는지가 궁금하신거에요?
이건 5시간 연장근무에 대한 가산임금을 해드린것 입니다~
이 영상은 애초에 연장근무 1시간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거인가용???
안녕하세요 선생님 엑셀 자료에는 수식을 넣으니 자동으로 올림처리+"시간"이 표기되어서 나오던데, 이건 어떻게 설정하신 건가요? 넘 기초적인 질문이라 민망하네요ㅠㅠㅎㅎ
셀서식에서 수정했어요~
##"시간" 이렇게 하시면됩니다
8분시간대 영상에 대한 질문인데요, 시간급을 구할때 총근로시간에 연장근로시간이 포함되어있는데, 제외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포괄임금에서는 이렇게 연장시간에 미리 1.5배를 해서 급여에 포함시킵니다~^^
5인미만인데요 8시에서 6시까지근무시간이면 연장근로도 1배만 계산하면 되는거지요? 그리고 소수점이하 금액은 어떻게 처리하는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하신것처럼 5인미만이면 연장근로수당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소숫점의 경우 저는 올림처리하여 지급합니다
돈은 민가하다보니..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