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껏 고지서대로 떼다가 올해 4월부터 요율 대로 뗐는데요 문제가 될까요? 올해는 작년보다 급여가 줄어서 요율 대로 떼다 보니 적게 떼고 고지서에 나온 대로 납부를 하게 되어서 사무실 운영비에 어려움이 있었는데요. 그럼 내년 4월 정산 때 더 납부한 것에 대해서는 회사 운영비로 쓰면 되는 거 맞나요?
아래 댓글 내용중에 국민연금만 고지서 대로 하는게 낫다고 하셨는데.. 그냥 고지서대로 또는 요율대로 둘중하나를 선택해서적용하는게 더 좋지않을까요? 직원이 9명인 회사인데 어떤방법을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요율대로 할 경우 시간외나 명절수당이 지급되는 달에는 공제금액이 커져서 직원들이 부담스러워하는거 같더라구요 제가 11월부터 일하고 있는데 그동안에는 고지서대로도 아니고 요율대로도 아니고 좀 이상하게 적용 했더라구요 ㅠ
2:02
짱이에요! 정산분 반영해야하는지 안해야하는지 몰랐는데 이제 이해가 됐어요. 다만 5:25 보험료할인 부분 이해가 안되는데 쉽게 설명 가능하실까요 ㅠ 구독하고가요~
요새 청년고용과 같은 걸로 할인되는 부분이 있는 걸로 알고있어요
안녕하세요. 강의 전부 정독중입니다 :)
신규 직원의 경우 사대보험 보수총액 기준을 어떤 걸로 잡아야 하나요? 신규 직원은 그냥 올해 보수총액을 기준으로 하나요?
지금껏 고지서대로 떼다가 올해 4월부터 요율 대로 뗐는데요 문제가 될까요? 올해는 작년보다 급여가 줄어서 요율 대로 떼다 보니 적게 떼고 고지서에 나온 대로 납부를 하게 되어서 사무실 운영비에 어려움이 있었는데요.
그럼 내년 4월 정산 때 더 납부한 것에 대해서는 회사 운영비로 쓰면 되는 거 맞나요?
사대보험포털에서 검색한결과 근로자부담 보험료보다
실제보수월액에서 떼는금액이 큰데 보수총액을 터무니없이 낮은금액으로 신고해놓고 월급여에서는 요율 대로 떼고있음 4년간 사업주가 한번도 정산해주지 않음
이럴때 어떻게 해야죠
상담 하려면 어떤방법이
있나요 도와주세요
아래 댓글 내용중에 국민연금만 고지서 대로 하는게 낫다고 하셨는데..
그냥 고지서대로 또는 요율대로 둘중하나를 선택해서적용하는게 더 좋지않을까요?
직원이 9명인 회사인데 어떤방법을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요율대로 할 경우 시간외나 명절수당이 지급되는 달에는 공제금액이 커져서 직원들이 부담스러워하는거 같더라구요
제가 11월부터 일하고 있는데 그동안에는 고지서대로도 아니고 요율대로도 아니고 좀 이상하게 적용 했더라구요 ㅠ
고지서대로 하던 요율대로하던 사대보험은 1년에 한번 보수총액 신고와 퇴사정산으로 인한 정산을 하여 총 금액은 동일합니다 영상을 다시 봐주세요
급여가 인상된 직원은 보수월액을 변경해야 정산 보험료 폭탄을 안 맞는다고 대충 알고 있는데 사이트 어디서 어떻게 변경하면 되는지 알려주세요 아니면 공단에 팩스로 신청해야하나요?
건강보험edi나 각 보험공단 홈페이지 혹은 팩스도 가능합니다
정산금이라는게 뭐에요? 직전연도 4대보험 납부금인가요?
영상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직원이 500명 이상인 기업은 고지서대로 적용할 수 없지않나요? 그럼 요율로 적용하몀 될까요?
네 요율로 적용하시면됩니다
@@KyungRiTV 답변 감사합니다! 만약 매달 급여가 인상되면 기준소득월액 신고했던 금액과 상관없이 매달 국민연금 외 3 보험도 매달 금액이 바뀌는것인가요?
@@bb8_b283 네 요율대로하면 매월급여가 바뀐다면 사대보험도 매월 바뀔수 있습니다
고지서대로 보험료를 산정하면 상여금은 따로 신고하지 않아도 되는건 어떤 이유에서 인가요?
나중에 보수총액에 포함되어 정산보험료로 고지됩니다
어떤 교재인가요. 소개에 나와있는 링크는 그냥 홈페이지 링크네요. 책 제목 좀 알려주세요.
초보를 위한 회계경리실무 입니다
과외 사이트는 아직 오픈 전인가요?
네이버 카페에서 과외 신청하시면됩니다~
어떤 방법이 사업장한테 더 좋을까요?
결국에는 동일한 금액이 되니 사업장한테 더 좋다는 건 딱히 없습니다
국민연금은 고지서
건강보험과 고용보험은 요율로
따로 공제해도 되나요?
네 그래도 됩니다 그게 제일 낫더라구요
감사합니다~
즐거운 추석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