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입석 한번 탄적 있는데 문앞 계단에 앉아서 티비보면서 사람들 타고 내릴때 일어나야지 하고 폰으로 드라마 보는데 한참 가도 멈추지도 않고 타고내리지를 않아서 이상한데 하던중에 드라마1편 끝날때쯤 익산에 멈춤. 멈추긴하네 하고 다음편 보는데 끝나기도 전에 도착해서 원래 이렇게 빨랐던가 싶었던 적이 있음.
이런 편성 열차가 애매한 시간대에 있어서 평일은 좌석이 넉넉하고, 주말에는 먼저 매진이 되버려요. 글고 광주 출발은 없다는게 가장 큰 리스크이지요. 저런 열차를 오전 오후 밤시간에 한번씩만 있어야 되고, 안그러면 일부 시간대에서 익산 무정차 통과 열차가 있어야 표정 속도 및 도착시간 단축이 됨. 그 이유는 익신 출도착 열차가 있기때문입니다.
저거 탑승하는 승무원 개꿀 ㅋㅋㅋ 출발시간도 오후4시라 여유부리기 좋고 승객도 없고 승객있어도 정차역이 1개라 검표할일도 거의 없음 ㅋㅋㅋ
3:38 원래 표정속도 200 조금 넘었던걸로 압니다만 왜 줄었는지는 모르겠네요😅
예전에...한번타봤는데 10분정도 지연출발해서 가는데 오송까지는 250~260으로 가다가 호남고속선타고 나서는 305까지 올려서 지연회복하고 익산에 지연2분도착 익산출발해서 무시무시하게 305까지 속력올려서 광주송정까지 정시도착하는거보고 놀랐던적이있습니다ㅋㅋㅋ
천안아산 분기였다면 표정속도는 어떠했을까 하는 아쉬움이..... 200km 할 수도 있었으려나
저 열차가 작년 여름까지만 해도 송정리까지 딱 1시간 30분 걸렸음요 ... 익산까지는 1시간 1분 ... 지금은 지연 문제 때문에 다이아를 널널하게 짠 것인지는 몰라도 많이 느려진 것임 ...
맞아요. 옛날에 저 열차가 10분정도 지연도착해서 5시50분 통근열차 놓치는 사람이 많았던 기억이 있네요. 아무래도 지연이 많은것 같아요.
이걸 보는 내 표정속도는... 무표정
정차역이 1개인 고속 노선이라니. 이게 경부고속선의 원래 계획과 가장 비슷한 운행계통인거 같네요. 하루에 1번 운행하는게 아쉽지만 나중에는 더 빠른 노선이 생기면 좋겠어요!! 좋은 영상 매번 감사합니다.
오 ㄷㄷ
나중에 서대동포(서울 - 대전 - 동대구 - 포항), 용익전순여(용산 - 익산 - 전주 - 순천 - 여수엑스포), 서대동마진(서울 - 대전 - 동대구 - 마산 - 진주) 등도 생겼으면 좋겠네요
동감입니다
추가로 서울 부산간의 중간 정차역 없는 직통ktx도 생겼으면 좋겠네요
@@seonggyun332있었다가생긴게서대동부
@@seonggyun332 2010년에 만들어졌었는데 수요가 적어서 얼마 안가 폐지됐습니다. 참고로 이 노선의 최단 소요시간은 2시간 8분이었습니다.
@@seonggyun332
옛날에 있었으나 수요 저조로 폐지됨
KTX산천 4032 포동대서 실제로 있는데 종착이 행신역이지만 동대구역 정차시간이 10분…
이 정도면 일본의 도카이도 신칸센으로따지면 "노조미"급이고, 호쿠리쿠신칸센은 "가가야키"급, 도호쿠신칸센으로따지면 "하야부사"급입니다!
오송역 경부고속선은 직선으로 빠르게 통과를 하지만 호남고속선으로 갈라지는 쪽은 느리긴 하지만 그래도 서대동부보단 빠릅니다
단연 역대급으로 뽑을 노선은 서울-부산 무정차가 있었죠. 이 노선은 2시간 8분 걸렸습니다.
저도 용익광 타봤는데 시원시원합니다😊😊
지금은 저 치량이 ktx 청룡으로 운행하고 있음요
언젠가 입석 한번 탄적 있는데 문앞 계단에 앉아서 티비보면서 사람들 타고 내릴때 일어나야지 하고 폰으로 드라마 보는데 한참 가도 멈추지도 않고 타고내리지를 않아서 이상한데 하던중에 드라마1편 끝날때쯤 익산에 멈춤. 멈추긴하네 하고 다음편 보는데 끝나기도 전에 도착해서 원래 이렇게 빨랐던가 싶었던 적이 있음.
425가 제일 빠릅니다.
17열차는 행서대동부, 22, 42는 부동서대서 65는 서대서동부
서울부산 무정차 ktx가 지금도 있었다면 용익광ktx는 명함도 못내밀었을텐데...
정차역 안내 화면을 보니
익산에서 광주송정까지 순식간에 내려가네요 ㅋㅋㅋㅋ
처음부터 고속선+동력분산식+천안분기 이러면 200 거뜬히 넘겠죠?
전 4번 타봤어요
SRT 수익광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SRT 603열차 수익광으로 변경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천안아산 분기가 아니라 오송 드리프트라 길이 20km 추가, 속도 5~7분 손해, 금액은 2200원 더 지불.
제 기억에 서울 부산 논스톱 열차편이 있었던 것 같은데 다시 편성될 확률은 없겠죠?
원래 용익광 KTX425는 1시간 30분이었고 유일하게 표정속도 200을 넘겼었는데. 선로용량 때문에 속도를 줄이면서 이제 190정도로 하향
이런 편성 열차가 애매한 시간대에 있어서 평일은 좌석이 넉넉하고, 주말에는 먼저 매진이 되버려요. 글고 광주 출발은 없다는게 가장 큰 리스크이지요. 저런 열차를 오전 오후 밤시간에 한번씩만 있어야 되고, 안그러면 일부 시간대에서 익산 무정차 통과 열차가 있어야 표정 속도 및 도착시간 단축이 됨. 그 이유는 익신 출도착 열차가 있기때문입니다.
내려갈땐 편하고빠르게 가는 올라가는거 없음새로개편하면 좋겟네요 목포 광주송정역 익산 천안아산 용산 정차역을해서
솔직히 이런 최속달 열차는 강릉선이나 효과가 있지 경부 호남고속선은 수익에 1도 도움 안됨. 코레일이 정차역 추가하고 있는데는 이유가 있음. 그리고 그렇게 정차역 추가해도 고속버스 다 바르고 다니는데 뭐
제가 탄 KTX 492열차는 (광)주송정, (익)산, (용)산, (서)울에 정차합니다
5:28 이거 무슨 열차인지 아시는 분? 귀엽게 생겼
여의도에서 판교 가는데 1시간 20분 걸려 빨간 버스 타고 갔는데..용익광 시간이랑 별로 차이가 안나는군요 ㄷㄷ
친환경 수소열차 입니다!
수소전기열차 시험차량입니다.
수소열차에요
용익광목은 언제 볼수있을까?
저거 보다 가성비에 최속달은 수원경유 KTX이고 부산-동대구-대전-수원-
영등포-서울 순인 이런 운행계통이
인기로 항상 만석입니다.
과거 경부구간에 서울 부산간 무정차도 있었는데 수요부족으로 사라짐 처음엔 KTX산천으로 나중엔 KTX-1으로 본인은 산천 무정차만 타봄
서대부도 수요없으려나 싶구요😅
용익광이 용산 익산 광주인가요?
네, 정확히는 용산-익산-광주송정 입니다.
강릉선에 만종역만 정차하는 열차도 있다네요
이름하여 청만강
금토일 한정 운행하는 857열차가 그렇죠. 타봤는데 청량리 강릉 1시간 25분
정차역 1개라는게 ㄷㄷ
진짜 서동부 생겼으면 좋겠다
2025년이면 용익광목 생기겠네요
어 실시간 끝난
원래 저게 정상인 정차역인데 여기저기서 세워달라하고 노선을 드리프트하게 꺾고 난리가 나서 참 안타깝죠. 고속철은 대도시를, 일반열차는 중소도시를!
목포까지 왜안가요?
근데 이거 할증 붙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