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켓값 비싸게 받더니"…국민 영화관 CGV에 닥친 충격 사태 / SBS / 뉴블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요새 영화관 티켓값이 많이 올랐습니다.
    코로나 전에는 8천 원 정도였는데, 지금은 두 배가량 올라서 1만 5천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이러다 보니 코로나가 끝났지만, 관람객들은 좀처럼 영화관으로 돌아오지 않으면서 국내 최대 영화관 사업자인 CGV가 큰 위기에 몰렸습니다.
    코로나 위기에 국내 영화관 사업자들은 티켓 가격을 크게 올렸는데,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어렵게 영화관을 찾은 관람객들의 뒤통수를 친 게 아니냐는 비난을 받았습니다.
    코로나가 끝나도 영화관을 향한 발길은 점점 끊겨서 올해 5월까지 영화관 관객 수는 총 1천163만 명으로 지난 2019년 같은 기간의 4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CGV는 3년 넘게 적자 행진을 이어가는 중입니다.
    지난 2020년 3천800억 원이 넘는 영업 손실을 냈고 2021년에는 2천400억 원 지난해에는 768억 원으로 적자는 이어졌습니다.
    주가는 반토막 난 상황에서 CGV가 유상증자라는 카드까지 꺼냈습니다.
    1조 원의 자금을 조달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신사업을 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시장의 반응은 CGV의 위기가 예상보다 크다고 판단한 모양새입니다.
    유상증자를 결정하자 CGV의 주가는 21%나 내리면서 지난 2008년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이은희/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 : OTT의 한 달 구독료하고 그다음에 이 티켓값을 비교하면 OTT가 훨씬 더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리하다, 이렇게 볼 수가 있는 거죠. 가격이 또 1만 5천 원으로 올랐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1인당 영화관에 가서 구경(관람)을 할 때 드는 비용이 너무 과하다 이렇게 생각이 드는 거죠. 다른 엔터테인먼트하고 이렇게 좀 결합을 해야 가지, 영화관만을 주된 목적으로 해서 영화를 보기 위해 영화관을 간다, 그런 거는 거의 앞으로도 안 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들고요.]
    반면 OTT 시장은 더욱더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이미 국내 OTT 앱 설치자 수는 최근 증가세가 둔화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꾸준히 늘어서 지난 4월 3천8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 가운데 OTT 1위를 달리고 있는 넷플릭스는 한국 시장 잡기에 열성입니다.
    앞서 지난 4월 K-콘텐츠에 3조 원 이상 투자한다는 계획을 밝혔고 오늘(22일)은 2박 3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 넷플릭스의 최고 경영자가 한덕수 국무총리 등을 만나 OTT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
    #뉴스브리핑 #CGV #티켓 #영화관 #위기 #충격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
    인스타그램: / sbsnews

КОМЕНТАРІ • 8 тис.

  • @김재민-k9k4q
    @김재민-k9k4q Рік тому +11844

    표값을 다시 내릴 생각은 죽어도 안 한다는게 제일 신기해

    • @믹힐
      @믹힐 Рік тому +237

      Cj cgv 주가도 개박살 났던데..

    • @뚜따-c6i
      @뚜따-c6i Рік тому +93

      표값내리면 그것도 그거대로 악재라 조짐

    • @비트코인가즈앙
      @비트코인가즈앙 Рік тому

      이런 개같이 미개한 덧글...

    • @석기시대-x9z
      @석기시대-x9z Рік тому +190

      ​@@_notnice머든 가격을 올리면 다시 내리기도 힘들어요 위에 니 월급도 내려도 됨? 공감됨 ㅋㅋ

    • @Yoon이쏘아올린작은공
      @Yoon이쏘아올린작은공 Рік тому +713

      @@happyeeeeeeeeee 내려선 안되는 월급이 있냐? 물건 안팔리면 가격 내리고 직원들 월급 깎는게 맞는거지.

  • @cruxbin
    @cruxbin Рік тому +5926

    1. 티켓값이 너무 비쌈
    2. 티켓값에 비해 퀄리티가 너무 떨어지는 한국영화
    3. 영화를 안봐도 되는 미디어 환경

    • @LaTenka901
      @LaTenka901 Рік тому +648

      + 돈내고 영화 시작 전까지 광고봐야됨

    • @천사-g5o
      @천사-g5o Рік тому +402

      팝콘 작은것도 8500원ㅋㅋ

    • @얌얌쩝쩝-z6z
      @얌얌쩝쩝-z6z Рік тому +58

      근데 치킨 17000원에 잘도 사먹던데 왜 오락거리에 17000원 쓰는건 아까워함?

    • @백수마왕
      @백수마왕 Рік тому +258

      @@얌얌쩝쩝-z6z 치킨은 먹으면 뱃속에 남는데, 영화는 보고나면 재밌지 않은 이상 남는 게 없음.
      게다가 영화만 보는 경우는 거의 없이 팝콘과 음료수를 먹기에 영화관에서 소비되는 금액은 1인당 보통 23,000~25,000원 쓰니까 그게 더 아까움.
      요즘 사람들은 합리적 소비를 하기에 영화관에 가는 건 '아까운' 것이 아니라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음.

    • @COKCOK-j1h
      @COKCOK-j1h Рік тому +132

      @@얌얌쩝쩝-z6z 마동석 원툴 한국영화에 쓸 돈은 없음 듄이나 탑건2 슬램덩크 같은 건 몇번인든 보러감 ㅇㅇ

  • @frontman4409
    @frontman4409 Рік тому +527

    뭐만하면 가격을 올리는 것으로 해결하려는 못된 버릇을 고쳐야합니다.

    • @syjang42
      @syjang42 Рік тому +3

      집에 100인치 티비있으면 영화관갈필요가 없음ㅋㅋㅋ

    • @porsche6369
      @porsche6369 Рік тому

      니들월급은 매년오르잖아?

    • @네드베드-x7g
      @네드베드-x7g Рік тому +32

      ​@@porsche6369월급이 오른다고?이건 뭔 개소리지 물가는 상승하고 세금은 엄청 뜯어가는데 이건무슨ㅋㅋㅋㅋ

    • @구마적-j7j
      @구마적-j7j Рік тому

      @@porsche6369 너같은 백수따위가 논할일이아니다 아닥해 ㅋ

    • @말자-u7m
      @말자-u7m Рік тому

      @@porsche6369너 영화관하니?ㅋㅋ

  • @윤후-w5z
    @윤후-w5z Рік тому +33

    옛날에는 친구들이나 연인끼리 시간 때우려고 시원한 영화관 많이 갔는데, 단순히 시원하려고 가기엔 티켓값이 너무 비싸져 버렸음

  • @chpark4473
    @chpark4473 Рік тому +1049

    cgv가 영화관 요금을 대폭 올리는 바람에 ott시장을 더 크게 만들어준것 같은데...증자를 하던 말던 관객이 요금 비싸서 안가는데
    cgv앞날은 어려울듯 한데....그런데 이렇게 큰회사가 미래를 예상하지도 못해서 몇년동안 쪼그라든걸 보면 ...경영자의
    안목이 진짜 중요할듯 하네요

    • @킴정은-l7p
      @킴정은-l7p Рік тому

      내결정이옳았어! 우씨 쉬익 쉬익 가격 내리지마!

    • @KoreanBull
      @KoreanBull Рік тому +19

      ㅇㅈ 오히려 OTT 시장 폭풍성장에 영화 3사들이 큰 기여함

    • @bodhibosal2692
      @bodhibosal2692 Рік тому +1

      코로나 이전, 이후로 시대가 바뀐거지.
      저 정도면 어떤 경영인이 와도 힘들었어.
      투자설비를 바꿀수도 없고.

    • @석환김-x5p
      @석환김-x5p Рік тому +2

      1:06 ㆍㄴ

    • @건빵앤별사탕
      @건빵앤별사탕 Рік тому +4

      CGV보다 롯데시네마가 더 좋음

  • @user-qx3nb2kx7p
    @user-qx3nb2kx7p Рік тому +188

    코로나때문에 어렵다면서 티켓값은 있는대로 올려놓고 직원들은 다 짤라서 관객들한테 제대로 된 서비스도 없는데 영화관 갈 이유가 거의 없어졌죠.
    영화보러 가서 발권도 셀프 식음료도 음료는 셀프로 따라가라고 하고 심지어 입장까지 자율입장 이러는데 도대체 15000원의 서비스는 어디로 갔나요??

    • @두환이-c2y
      @두환이-c2y Рік тому +7

      그 1만5천원 서비스는 이미 땅으로 떠러지는걸 모자라서 지하까지 내려갔습니다.

    • @아키-p2m
      @아키-p2m Рік тому +4

      음식도 맛없고 값도 비싸고 영화는 그닥 재미없고 ㄹㅇ 데이트 아니면 갈일이없는듯

    • @ohsungc2
      @ohsungc2 Рік тому +1

      그냥 비싼거지.
      셀프래봤자 키오스크 사용하는거고, 당연히 자율입장에 당연히 팝콘도 직접 가져가는건데,
      그러면 만오천원 내고 직원이 직접 영화관 자리까 안내해주는 서비스 받을거임? 15000원에 서비스라도 좋아야지 라는 취지의 말인건 알겠는데, '심지어 입장까지 자율입장인데' 같은 소리는 너무 헛소리라서 꼭 얘기하고 싶었음. 영화관 실드 치는건 아님. 자기들이 이렇게 하면 돈벌겠다 싶어서 책정한가격이고 그에 따라서 손해보는것도 자기들 몫이지 뭐.

    • @user-qx3nb2kx7p
      @user-qx3nb2kx7p Рік тому +2

      @@ohsungc2 제가 언제 자리 안내 서비스같은 얘기를 했나요? 검표를 하라는 거죠. 최소한의 안전 관리, 극장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데요

  • @myeong91
    @myeong91 Рік тому +3288

    영화에서 마진을 남기는게 아니라 식음료에서 마진을 남기면서 영화를 자주보게 만들어야 마진이 더 남지 않을까 싶은데.. 솔찍히 너무 비싸서 전에 10번갔으면 지금은 1~2회정도로 줄어듬

    • @hyeonseocho6229
      @hyeonseocho6229 Рік тому +179

      PC방이 그런 표본이죠

    • @finalletter1
      @finalletter1 Рік тому +211

      신경을 안쓸수가 있나 돈 있는 사람은 더 안가지 다른 재밌는게 얼마나 많은데ㅋㅋ

    • @user-RIPX
      @user-RIPX Рік тому +11

      ​@@bestmin3447 신경 안써~(영업이익 박살) 엌ㅋㅋㅋㅋㅋㅋㅋㅋ 신경 좀만 더 안썼다가는 아예 망하겠노

    • @라몽-p9k
      @라몽-p9k Рік тому +238

      ​@@bestmin3447돈 있는 사람은 집에 영화관 만들죠 시사회 가고 ㅋㅋ

    • @보고보고-x3q
      @보고보고-x3q Рік тому +2

      ​@@bestmin3447영화관 혼자가는 너야 상관없겠지만 둘이가서 팝콘까지 4~5만원이면 모텔대실하고 놀겠다야. ㅋ

  • @nae99ze
    @nae99ze Рік тому +49

    영화가격은 크게올랐지만, 영화관 안내 직원 부재 및 관람 에티켓 안내 부족 등의 서비스 퀄리티가 여전히 문제일뿐더러 OTT 보급으로 대체제가 생겼기에 생긴 문제라 생각함 뭐든 발전이 없으면 도태되기마련

  • @D.RABBIT-d5o
    @D.RABBIT-d5o Рік тому +1147

    티켓값이 심리적 저항선을 많이 넘었다는 얘기지. 전에 쉽게 가던 장소가 이제는 마음먹고 필요할 때에 가는 장소가 되었으니.

    • @므흣-e8h
      @므흣-e8h Рік тому +16

      달에 4~5편씩 극장서 보는 취미있었는데... 난 그럭저럭한 영화도 그장서보는걸 좋아했거든 근데 재밌는게 ott로 빠져나간것도 있지만 지금수준이 많이... 요즘 1~2번정도감 가격도 가격이고

    • @김구어라
      @김구어라 Рік тому +11

      문화상품권이 생겼는데 극장 너무비싸 책구입하고 잘했다고 내어깨 두드려 줬습니다

    •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Рік тому +3

      어제 문화의 날 이어서 7천원에 봤더니 날아갈 듯 ㅎ

    • @williamyh7101
      @williamyh7101 Рік тому

      @@김구어라 멋지시네요~~~~~~~~~~~^^

    • @williamyh7101
      @williamyh7101 Рік тому

      @@김구어라 멋지시네요~^^

  • @yeons.4261
    @yeons.4261 Рік тому +329

    10대엔 청소년티켓이면 5-6천원이라 친구들과 매번 영화관으로 놀러갔고 20대엔 연애할때도 만원정도면 영화를봤고 무조건 나가놀면 필수코스였는데 이젠 비싸기만하고 부담스러워서 1년에 3번갈까말까 손꼽네요 망하던지말던지 자업자득 아니겠어요.. 시장경제가 그러한거니 ..

    • @사탕-x6p
      @사탕-x6p Рік тому +11

      그러게요. 영화 보러 가는 게 취미였는데.. 가격은 합리적이지 못 하고 상업 영화만 나오니 딱히 돈 주고 볼만한 것도 없고 잘 안 가게 되네요.. 못 해도 달에 1~2번은 보러 갔는데 말이죠.

    • @forzam3447
      @forzam3447 Рік тому +9

      2년전 코로나때 CGV 가격 올리는가 보고 주식 물린 사람들 빼라고 했는데
      코로나로 인한 소비 패턴 변화, 완벽한 대체인 OTT, 그리고 얇아진 주머니 사정이 있기 때문에
      근데 거기 반박글이 커플이 많이 본다는 둥, 거대한 화면, 사운드가 다르다는 둥, 아직 티켓값 싸다는 둥의 글로 반박해서 실소했었는데ㅋㅋㅋㅋ
      “오징어게임, 넷플릭스 비싸지 않나요?” ‘값싼’ 디즈니의 유혹 네이버 검색해서 뉴스 탭에서 봐봐 2년전 사람들 생각을ㅋㅋㅋ 주식 못 하고 돈 못 버는 사람들은 이유가 있음ㅋㅋㅋ

  • @야내가니친구냐
    @야내가니친구냐 Рік тому +2203

    티켓값이 말도 안되게 비쌈 진짜 코로나 전에는 데이트 때 영화보는 게 망설여지거나 아깝다는 생각이 그렇게 들지 않았는데 지금은 진짜 ㅎㄷㄷ함 데이트 시에 영화 배제 한 것도 지금 몇년째인지

    • @비리브
      @비리브 Рік тому +11

      우리나라가 티켓값이 세상에세 가장 저렴한 편이어서 그게 당연한 줄 아나보네...
      미국이나 일본, 유럽 가봐라..
      아직도 한국 영화값은 아무것도 아니다.

    • @니까-f8d
      @니까-f8d Рік тому +79

      @@비리브?비슷한데ㅋㅋㅋㅋㅋㅋㅋㅋ

    • @비리브
      @비리브 Рік тому +11

      @@니까-f8d 이제와서 가격을 인상해서 비슷해진거죠, 일본은한 편당 2만원입니다^^ 옛날에도 그냈구요~

    • @Darby808
      @Darby808 Рік тому +1

      ​@@비리브응 일본,유럽가서 살거라~

    • @김하위-k5u
      @김하위-k5u Рік тому +66

      근데 ㄹㅇ 두명이서 영화 한편 볼라하면 3만원이 말이 됨??

  • @찬-u1e
    @찬-u1e Рік тому +4

    코로나 풀리면 영화보러 많이 오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대응하셨나...
    티켓값으로 즐길거리가 얼마나 많은데..

  • @DonTtoTO
    @DonTtoTO Рік тому +763

    즐거움을 팔아야 하는 기업이 불쾌감을 팔고 있으니 망하는 게 당연한 수순.

  • @P트세이버
    @P트세이버 Рік тому +1055

    문제점이 참 여러가지죠.
    1. 티켓 값이 넘 비싸짐
    2. 티켓 값이 넘 비싼데 영화 퀄러티는 변함없음
    3. 티켓 값이 넘 비싼데 영화관 퀄러티는 변함이 없임
    4. 티켓 값이 넘 비싼데 팝콘, 콜라도 너무 비쌈
    5. 티켓 값이 넘 비싼데 통신사 영화 혜택도 계속 줄어듬
    6. 티켓 값이 넘 비싼데 OTT로 보면 훨씬 저렴함, 티켓 값에 비하면 공짜 수준
    7. 티켓 값이 넘 비싸서 화가남
    8. 티켓 값이...
    9. 아무튼 비싸다고...

    • @dhyu9033
      @dhyu9033 Рік тому +27

      인정.

    •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Рік тому +13

      영화 작품성 오락성은 주관적인 거다.

    • @XY-xd6vv
      @XY-xd6vv Рік тому +34

      @@LeadingWorshiper그래서 주관적으로 망했잖슴 ㅋㅋ 올해 한국영화 성적표봐라 손익분기점 넘기면 파티해야할판임

    •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Рік тому +5

      어제 문화의 날 이어서 7천원에 봤더니 날아갈 듯 ㅎ

    • @graycat_01
      @graycat_01 Рік тому +1

      그지가 따로없네

  • @운동가자-u8n
    @운동가자-u8n Рік тому +1202

    현명한 소비에 박수를 보냅니다.

    • @톰홀랜드
      @톰홀랜드 Рік тому +3

      ㅉㅉ 유튜버이나 방송인 모집해 영화관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판 만들어서 티켓 5천원에 팔아라 ㄹㅇ 답이다

    • @-__---___---___----
      @-__---___---___---- Рік тому +2

      가난뱅이들 영화관 안 오니까 쾌적함 ㅇㅇ

    • @심리상담
      @심리상담 Рік тому +2

      티켓값 2배로 올려서 아예 영화관 안가게 만드는게

    • @dove657
      @dove657 Рік тому

      비싸서 못감니다 5000원에 갑시다

    • @김현지-j5v
      @김현지-j5v Рік тому +7

      ​@@-__---___---___----못가는사람이 가난뱅이가 아니라,, 가는사람이 호구지!!

  • @Oooommzzz
    @Oooommzzz Рік тому +37

    진짜 몇년만에 남편과 낮에 시간이 맞아서 애들 없이 정말 오랜만에 영화보러 갔었는데 영화값이 두배정도 오른거에 화들짝 놀랐지만 거의7년만의 영화라 기대하고 들어갔는데… 불편한 의자에 꼼짝 않고 화장실도 못가고 옆사람 눈치보느라 헛기침 소리도 조심하게 되고 그러고 꼼짝말고 앉아있으려니 고문이 따로 없더이다…어릴땐 뭐가 좋다고 봤는지 나이드니 내집 소파에 편히 누워서 빵빵한 스피커에 언제든 화장실도 가고 간식도 맘껏 먹고 웃길땐 깔깔 웃고 코도 시워하게 풀고전화오면 핸드폰도 하고 내집 영화관이 최고라는걸 깨닳음…내 앞으로 영화관은 두번다시 갈일 없을듯 싶더이다

  • @세수하면장동건-d9v
    @세수하면장동건-d9v Рік тому +363

    가격도 가격이지만, 가격만 올렸던게 문제다. 시대가 변한만큼 뭔가 혁신이 있어야하는데 제자리걸음하면서 가격만 올리니 변화하는 시대흐름에 도태되는거지

    • @BB-te8gd
      @BB-te8gd Рік тому +10

      그래서 돌비나 아맥은 지금도 나쁘지않게 팔리는데 일반관은 안그래도 안보는데 값까지 오르니ㅋㅋ

    • @블베-z5i
      @블베-z5i Рік тому +1

      이제 영화는 집에서 비전프로로~

    • @dgreekim
      @dgreekim Рік тому

      영화제작을 영화관에서 하면 그렇게 말해도 되는데
      제작과 배급 유통 이 다 따론데 왜 영화 퀄리티 땜에 상영만 하는 영화관이 욕먹음?

  • @rabbit-snow
    @rabbit-snow Рік тому +2404

    OTT가 하루 아침에 나온게 아닌데 영화사가 대응할 준비를 못한게 신기하네요

    • @genzo8902
      @genzo8902 Рік тому +124

      그냥 하나씩 망해가는게 시대의 흐름이지, 냅두면 어련히 흘러감

    • @samkim20
      @samkim20 Рік тому +147

      요즘보면 진짜 ott도 정신차려야함 영화 티비시장 대체가능 매체로 뜨니 온갖 잡다한 퀄낮은 드라마 영화 만드는중....

    • @goen1213
      @goen1213 Рік тому +29

      능력이 없는거 아닐까요? 원래 줫도 없었는데 지가 쎈줄알고 나대다가 대항자 나타나자마자 개털리는거같네요

    • @숏츠볼거야
      @숏츠볼거야 Рік тому +15

      CGV나 tving이나 둘다 cj껀데 뭘..

    • @Darby808
      @Darby808 Рік тому +20

      영화관 언제 가본지 기억도안남 굳이 가고싶지도 않음 그냥 시간좀 지나면 다 볼수있음 급할꺼 1도없음ㅎㅎ

  • @tate_kim
    @tate_kim Рік тому +920

    티켓값이 아니라 사이드 판매 퀄리티 늘리고 높여서 수익구조를 형성해서 복합 미디어 공간으로 갔어야 했는데, 그걸 티켓값 올리면 그대로 영업이익으로 오를거라고 생각한 경영진의 무능함이 지금 상황을 만들었다

    • @theonewhoknocks9612
      @theonewhoknocks9612 Рік тому +108

      정답..차라리 프리미엄 상영관을 늘리고, 음식이나 와인을 제대로 팔아서 복합 공간으로 갔어야됬음..그리고 배급사도 CJ인데 배우들하고 만날 기회도 자주 주고 하면 될텐데..여러명 보낼 필요도 없고 영화 끝나고 말 몇마디하고 음료 한잔 마시고 사진 찍는 정도만 해도 갈텐데…

    • @권민성-u1h
      @권민성-u1h Рік тому +66

      진짜 공감..티켓값을 올리는 방법은 너무 1차원적인 생각을 한게아닌가

    • @theonewhoknocks9612
      @theonewhoknocks9612 Рік тому +51

      @@권민성-u1h 영화관이 3종류 밖에 없으니까요..담합한 적 없다지만 누가 총대매고 한번 올리면 죄다 따라 올리고..그러다 이번에 제대로 디인거죠…같이 가격 맞춰주던 롯데 메가박스 말고 변수인 OTT가 등장했거든요 ㅎㅎ

    • @서리야-m2l
      @서리야-m2l Рік тому +32

      단순히 가격 올리기전 관객수 보고 가격 올렸을때 그 관객수 그대로 방문한다는 전제를 깔고 수익을 계산하는 멍청한 짓을 하기 때문에 그런듯

    • @Spicapika
      @Spicapika Рік тому +11

      CGV는 투자를 잘못된 곳에 해서 그렇다고 들었습니다. 티켓값의 반이상은 하는 일도 없는 영화진흥위원회 기금으로 들어가요. 그거만 줄여도 사실 티켓값을 내릴 수 있다고 봅니다.

  • @xxholly5538
    @xxholly5538 Рік тому +2

    ㅋㅋㅋㅋㅋㅋ 티켓값 올리고 직원 수 줄이고
    매표소나 매점 가보면 가관임 직원도 별로없어서 이용하는 사람 응대도 제대로 못해주고
    응 티켓값 절대절대 내리지마 집에서 16000원 결제때리고 다같이 맥주 한캔씩 때리면서 보면돼~
    ㅋㅋㅋㅋㅋㅋ 누누TV 흥한게 언제부터였드라..... 흠.....

  • @SceneEnglish
    @SceneEnglish Рік тому +101

    이참에 메가커피나 컴포즈 등 저가 브랜드 커피처럼 5000원짜리 영화관 사업시작하는업체는 대박이 날거에요. 솔직히 영화관에 데이트겸 영화보러 가는 커플들도 많잖아요. 대부분이 OTT때문에 영화관은 이제 미래가 없다고 말하는데 가격이 착해지면 고객들은 분명히 돌아옵니다.

  • @semilla8413
    @semilla8413 Рік тому +1029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보면 답이 나오질 않나요?

  • @soheehan1748
    @soheehan1748 Рік тому +556

    집에서 편하게 보는 게 좋음... 딱히 나가서 볼 정도로 땡기는 영화가 별로 없음...

    • @chuchu3517
      @chuchu3517 Рік тому +38

      맞아ㅋㅋㅋㅋ퇴근해서 씻고 맛잇는거 먹으면거 혼자 영화보면 여기가 천국이구나 싶음

    • @2015시즌부터부천FC응원
      @2015시즌부터부천FC응원 Рік тому +3

      영화 개봉하고 1년만 기다리면 TV에서 무료 볼 수 있는데 빚 산둔 내고 영화관 갈 의미 없는 것 같아요

    • @2015시즌부터부천FC응원
      @2015시즌부터부천FC응원 Рік тому +3

      ​@@chuchu3517집에서 영화 보는 것도 좋지만 특별영화 개봉하면 영화관 가서 빛 산둔 내더라도 보는 맛은 있는 것 같아요

    • @Darby808
      @Darby808 Рік тому +1

      집에서 누워서 보는게 갸꿀

    • @메로나-u5u
      @메로나-u5u Рік тому

      스즈메가 내 마지막 영화관 영화당

  • @세븐-h3b
    @세븐-h3b Рік тому +51

    가격을 내려서 국민들에게 이득 되는건 죽어도 안하는 악날한 심보

  • @마이썬-q8z
    @마이썬-q8z Рік тому +762

    요즘엔 비싸면 안먹고. 안타고. 안봅니다. 이시기엔 그대로 요금을 유지하거나 더 내려야 사람들이 봅니다. 국민들 위기를 개인 사리사욕을 채우면 국민들은 돌아섭니다

    • @csApollo11
      @csApollo11 Рік тому +39

      기업이고 개인들이고 다들 사리사욕 채우면서 사는 거긴 한데... 그걸 빈정상하게 해서 문제.

    • @LikeDoggyStyle
      @LikeDoggyStyle Рік тому +24

      코로나 이전보다 훨씬비싸지면 안되지ㅋㅋ 코로나 이전보다 소득수준이 월등히 오른게 아니니 티켓값은 유지됫어여함

    • @후루룩쩝쩝-f9u
      @후루룩쩝쩝-f9u Рік тому

      배민을 비롯하여 한국국민을 호구로보는 기업들은 전부 망해야 정신차리지

    • @HAPPY21214
      @HAPPY21214 Рік тому +2

      대기업들은 가격을 올리고 세금은 오르고 자연스레 물가까지 오르는 셈이죠..

    • @djdjdkdwed
      @djdjdkdwed Рік тому

      돈은 둘째치고 걍 영화시장이 죽은거임 영화 볼것도 없는데 무슨 ㅋㅋ

  • @htjdmw
    @htjdmw Рік тому +96

    그냥 티켓값을 내리면된다 3년동안 적자봐도 티켓값 안내리는건 국민들이 나중가선 오른가격에
    또 적응하겠지라는 못된심보 아니냐
    코로나를 떠나서 극장에 들어가는 비용이 모가있냐 예를들어 이발소나 미용실도 따로 들어가는 비용이 없기에
    물가가 오르면 아주조금만 올리거나
    안올려야지 하여간
    코로나와 물가상승핑계로
    국민들 호구로보고
    가격올리는것들은 한번 혼나봐야한다

  • @jyh0910
    @jyh0910 Рік тому +149

    우리나라는 뭘올리면 다시 내리는꼴을 못봄 그러니 소비자들이 착한기업을 볼수가없다

    • @모래바람-v9f
      @모래바람-v9f Рік тому +3

      답입니다

    • @do-hyeonkim3924
      @do-hyeonkim3924 Рік тому

      우리나라뿐아니라 모든 자본주의국가에서 뭐든 가격이 내려가는게 더 망조에요.

  • @jaykim6062
    @jaykim6062 Рік тому +1

    넷플릭스 1달끊고 말지 그걸 왜가? 둘이서 영화보고 팝콘 콜라먹고 저녁먹으면 기름값어쩌구 포함해 십만원돈 깨진다. 영화비용 자체도 문제지만 부대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서 가기가 힘들어졌다.

  • @냥냥죽빵
    @냥냥죽빵 Рік тому +266

    친구들과, 연인과 영화관 이라는 장소에 가는것도 하나의 재미였는데 티켓값만 올리고 다른요소를 발전시키지못하는 것이 아깝다..

  • @춘선정-n9s
    @춘선정-n9s Рік тому +2941

    지금은 돈이 얼마나 귀한데 영화관을 가나😢😢😢

    • @명예로운개돌
      @명예로운개돌 Рік тому +153

      인어공주를 영화관에서 봐야 돈이 아깝다라고 생각할거임

    • @whereesset
      @whereesset Рік тому

      @@쌰롯트 사람 비꼬는건 니네 가족이 탑 일거야 ㅋㅋㅋ니네 아빠엄마 할아버지 할머니 다 사람 비꼬면서 살아왓나바 진짜 범접 할수가 없는 인성이네
      가족전체에게 박수를 보낸다 대단해!!!!!!!

    • @ilovejo1694
      @ilovejo1694 Рік тому +20

      올것이 왔네

    • @TheJay0704
      @TheJay0704 Рік тому

      @@쌰롯트 원래 있는 사람이 더 아끼고 없는 사람이 오늘만 사는 것 처럼 펑펑 쓰더라. 댓글 하나 보고 돈 없다고 깐죽거리는 거 보니까 너가 없는 사람 같다.

    • @김구름-i3e
      @김구름-i3e Рік тому +8

      @@쌰롯트 비유법을 했는데 진심으로 예기를 하네.ㅋㅋ 넌 영화관 갈돈이 있는데 넷플렉스 는 왜보냐?ㅋㅋ

  • @서인혁-n6c
    @서인혁-n6c Рік тому +471

    솔직히 너무 비싸다.. 할인 안받으면 1만원 넘어가는데 거기에다가 팝콘이랑 음료수 먹으면 4만원을 쓴다... 너무 비싸다...

    • @chaostar88
      @chaostar88 Рік тому +28

      극장에서 팝콘 사먹으면 호구지.......

    • @JackpotCode
      @JackpotCode Рік тому +9

      @@chaostar88음머어...

    • @알라이쿰쌀람
      @알라이쿰쌀람 Рік тому +4

      먹을거 포장해서 먹는게 개이득

    • @song3253
      @song3253 Рік тому

      안먹으면되지 팝콘 없어두 음료수만 마셔도 괜찮던데

    • @미군병사-z2t
      @미군병사-z2t Рік тому +8

      극장에 외부음식 가지고 들어갈 수 있어요 마트에서 팝콘이랑 음료수 사가지고 들어가면 돼요

  • @lowlanz
    @lowlanz Рік тому +4

    메가커피 다이소 잘나가는걸 봐라. 불황에 가격을 쳐 올린다는 발상은 누가 한거냐?

  • @MrTingYou
    @MrTingYou Рік тому +173

    표값이..비싸것도 비싼건데
    심리적 마지노선을 넘어버린게 큰거 같습니다.
    사람의 심리중 보상심리가 소비할때 크게 작용하는데 이돈이면 뭘 할수있고 저돈이면 뭘할수있고 자꾸 상대적인 비교를 하게된다는거죠..
    영화관의 대체제가 확실히 생겨버린게 너무 커요. ott 서비스죠.
    요즘은 지상파나 tv도 잘안보잖아요.
    ott가 성장하는시기에 맞게 코로나까지 덮쳐서
    더 가속화됐고..티켓값도 너무 올랐고
    그냥 모든게 딱 맞아떨어져서 쩝....이젠 지인들조차 영확한가잔 소리 안하더라고요.
    걍집에서 넷플릭스클고 맛있는게 먹으면서 집에서 보는게 익숙해졌어요.

    • @wsk9787
      @wsk9787 Рік тому +5

      넷플릭스도 비싸다고 가입 안하는 사람이 태반인데 영화 한편값으로 넷플릭스 가격을 지불한다고? 안하지

    • @CAKE-jv9ts
      @CAKE-jv9ts Рік тому +1

      한마디로 기회비용이 너무 큽니다

  • @TV-lf9nr
    @TV-lf9nr Рік тому +1703

    대기업 어려운걸 우리가 왜 걱정해야하지?

    • @용기-r8w
      @용기-r8w Рік тому +48

      ;;; 대기업 망하면 대한민국 전체가 망하는데...

    • @sunmelody
      @sunmelody Рік тому +318

      @@용기-r8w 님 집 팔아서 도와주셈

    • @hongyo122
      @hongyo122 Рік тому +15

      맞는말이넹

    • @poppin4953
      @poppin4953 Рік тому +6

      @@용기-r8wㅋㅋㅋ 아이고 아직도 박정희때 사세요?

    • @user-ix3fc9pn5n
      @user-ix3fc9pn5n Рік тому +201

      ​@@용기-r8wcgv하나 망한다고 나라망하는건 아니라서.. ㅎㅎ

  • @HDH-PolePosition01
    @HDH-PolePosition01 Рік тому +479

    멋지다... 본때를 보여줘야 한다.... 가격 내릴 때 까지 안가야 한다... 국민들 화이팅...

    • @Tukwk1592
      @Tukwk1592 Рік тому +4

      @@검정나비 언제까지 버티나 보자 ㅋㅋㅋㅋ 관심이 있으면 운영을 잘 하던지 해야 할텐데 ㅋㅋㅋ

    • @다비치-p2d
      @다비치-p2d Рік тому +12

      가격내려도 안가지 ㅋㅋㅋ 그냥 집에서 에어컨 틀어놓고 넷플이나 보는게 더이득인데

    • @DUl-RI
      @DUl-RI Рік тому

      ​@@다비치-p2d저번달에 가격 할인해서 예매로 가디언즈 보러 갔는데 ㅋㅋ 영화관 에어컨 튼건지 안튼건지 겁나 안시원하고 땀만 났음 집에서 에어컨 틀고 시원한거 먹으면서 보는게 훨 이득이긴 함

    • @지구-o6j
      @지구-o6j Рік тому +1

      @youone3584 국뽕영화 클리세 투성이영화 찍어내는 한국영화 사라져두됨

    • @Na9828-w9w
      @Na9828-w9w Рік тому

      누누티비 ㄱㄱ

  • @snicus76
    @snicus76 Рік тому +2

    최신영화 한편에 3만원이상 처받고 있으니 사람들이 갈 수가 없지
    이제 5천원으로 내려고 갈 생각 없음. 다른 물가들이 너무 올라서, 거기에 쓰기에도 버거움.
    집중력은 떨어져도 그냥 집에서 보는게 훨씬 이득임. 이제 그런 시대가 되었음. 극장은 사향산업임

  • @소복-n1n
    @소복-n1n Рік тому +158

    10대들도 부담없이 갈수있게 7-8천원이 적당합니다

    • @chiripin
      @chiripin Рік тому +2

      10대인구가 적어서 안할듯

    • @ain3475
      @ain3475 Рік тому +5

      인정. 10대 뿐 아니라 모두가 많이 갈거다

    • @johnconstantine7402
      @johnconstantine7402 Рік тому

      수요•공급 경제학 기본 원칙(Principles of Economics for supply and demand):가격이 오르면 수요는 줄어든다. 제 아무리 대기업이라도 이걸 제대로 모르면 응당 망하는게 맞다.

    • @1000sh
      @1000sh Рік тому

      미국에서도 극장마다 다를텐데 난 7-8천원에 봤었음

    • @손승욱-c9b
      @손승욱-c9b Рік тому

      ​@@johnconstantine7402 곱셈법칙(law of multiply): -100 에는 10억을 곱하든 1을 곱하든 마이너스이다.

  • @shyoon6151
    @shyoon6151 Рік тому +81

    영화관들이 어느정도 고용유지를 하면서 표값을 올렸으면 그래도 영화 가격 오른걸 이해를 좀 해주겠는데 코시국때 인력은 싹 날리고 표값은 확 올려서... 단순히 가격만 오른게 아니라 가격도 오르고 극장에서의 서비스 질도 확 떨어진 느낌? 뭐 가서 스크린만 보다 올거 아니냐? 하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요즘 가서 보면 티켓 판매하던 직원이 후다닥 가서 팝콘이랑 음료도 팔고 가끔 입장할때 표도 확인하고 그러던..

    • @아아아-g4w4j
      @아아아-g4w4j Рік тому +4

      ㄹㅇ 좌석도 엄청 더러움 ㅋㅋㅋㅋ

  • @추풍가람
    @추풍가람 Рік тому +976

    모든 제품에는 소비자가 생각하는 적정 가격이 있는것임 그 이상이 되면 비싸게 느껴져 한번 갈것도 한번도 안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됨 물가가 올랐으니 많이 올려도 된다는 생각은 오산이고 소비자가 생각 하는 적정수준 이어야 한다

    • @시간빌게이츠-h3w
      @시간빌게이츠-h3w Рік тому +6

      근데 치킨은계속쳐먹음...

    • @gibeomkim7101
      @gibeomkim7101 Рік тому +2

      음식은 다른것 같아요, 알바하려고 배민 도보 뛰었는데 여전히 먹을 사람들은 시키더라구요.

    • @B-zz6om
      @B-zz6om Рік тому +2

      @@시간빌게이츠-h3w댓글알바라도 풀었나 저능 댓글이 많네
      치킨은 맛이고, 영화는 재미인데. 전자는 맛이라도 있는데 영화는 재미라도 있음?
      스즈메, 슬램덩크, 범죄도시 딱 3개만봐도 그 가격에 보는거고 노잼인건 거르는거지
      혹시 맛없는 치킨 찾아서라도 돈으로 사먹는편임?

    • @psycofash
      @psycofash Рік тому +47

      ㄹㅇㅋㅋ 껌 2천원에 팔면 사겠냐고 그냥 가격이 싸가지가 없게 느껴지면 소비안함

    • @안광현-s4y
      @안광현-s4y Рік тому +8

      처음에 적자 보았을때, 돌렸어야 됬는데 자꾸 시간이 미루어 지니, 금액 내리는 것을 포기하지 못한 것으로 개인적으로 사료되네요.

  • @우리이웃
    @우리이웃 Рік тому +1

    이 불경기에 재벌이 운영하는
    영화관 바가지까지 국민이 감당해야 하나??

  • @SIUUUUUUUU__CR7
    @SIUUUUUUUU__CR7 Рік тому +441

    예전에는 영화관에 자주 갔는데 요즘은 좋은 음질에 몰입감 있게 보고 싶을 때만 간간히 가는 것 같아요 너무 비싸......

    • @성이름-m8n6v
      @성이름-m8n6v Рік тому +9

      음향효과 좋은 영화관도 몇곳 안됨...

    • @ohhyuunkwon7864
      @ohhyuunkwon7864 Рік тому +1

      큰 화면에서 봐야하는 대작들만 보러감. 탑건이나 마블 정도?

    • @Akm-8927
      @Akm-8927 Рік тому

      @@ohhyuunkwon7864 마블도 이제 손이 안가요..

  • @박성남-p7z
    @박성남-p7z Рік тому +378

    맨날 똑같은 배우들, 예고편만 봐도 느껴지는 결말, 비싼 영화표값 ..... 완벽한 조합

    • @chaostar88
      @chaostar88 Рік тому +58

      진짜 배우들 지겨울 만큼 돌려 씀..... 극단에서 새로운 애들 좀 뽑지......

    • @FLYINGTAUREN
      @FLYINGTAUREN Рік тому +14

      ​@@Encjwjdnfbejwks 꼭 연애를 해야 영화를 보는건 아닌데 그냥 재밌는 영화가 별로 없으니 안가는거지

    • @johnconstantine7402
      @johnconstantine7402 Рік тому +7

      수요•공급 경제학 기본 원칙(Principles of Economics for supply and demand):가격이 오르면 수요는 줄어든다. 제 아무리 대기업이라도 이걸 제대로 모르면 응당 망하는게 맞다.

    • @wom8280
      @wom8280 Рік тому +29

      백상에서 배우들 급 높은척 앉아있는 꼴이 너무 웃기던데 쌤통이누

    • @skek635
      @skek635 Рік тому +8

      감독 티켓파워보다 배우 티켓파워에 목숨거는 한국영화시장

  • @Guyul
    @Guyul Рік тому +73

    cgv 응원합니다. 앞으로도 적자 행보 응원합니다💕💕👍👍

  • @warr201
    @warr201 Рік тому +1

    음식값 재료처럼 오르는것도아닌데 2배는 뭔 베짱인지

  • @개그듀오다비치
    @개그듀오다비치 Рік тому +178

    제일 큰 원인은 티켓값이 많이 오른게 문제겠지만 영화관 말고도 다른데 물가가 많이 올라서 영화보러 안가게됨. 그렇다고 요즘 쿠폰을 많이 뿌리는것도 아니고 통신사 할인도 매년 줄어들고. 제일 중요한건 오른 티켓값에 비해 볼만한게 없다는거. 이 전에는 시간때운다는 생각으로 보러가는 영화들도 그냥 안보게됨.

    • @인절미-q4g
      @인절미-q4g Рік тому +2

      얘들은 그런 자잘한 영화보다
      대박작품 천만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더 많아서 절대 포기 안할듯

  • @lupin9305
    @lupin9305 Рік тому +198

    영화도 치킨도 ‘지들이 어쩌겠어’하면서 값 마구 올리는게 매우 열받는데 소비를 안해서 돌려줘야한다. 지들이 값 안내리고 어쩌겠음

    • @동국김-o2c
      @동국김-o2c Рік тому

      너가소비안해도아무타격없다

    • @RiseHigh333
      @RiseHigh333 Рік тому

      그라제.

    • @크리엘-u3l
      @크리엘-u3l Рік тому

      @@동국김-o2c타격있으니까 적자가있지 ㅋㅋ 돌대가리냐?

    • @슬잎-f7y
      @슬잎-f7y Рік тому

      @@동국김-o2c소비 안해서 직빵으로 쳐맞고 있는데 뭔 소리 하는거냐

    • @bighugemegasub
      @bighugemegasub Рік тому +21

      @@동국김-o2c 타격 없긴 ㅋ 교촌이랑 배달 어플들 소비량 확 줄어서 안하던 할인 행사랑 쿠폰을 뿌리고 다니고 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미 지표에서도 주문 횟수가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음

  • @평클리넝
    @평클리넝 Рік тому +367

    훈훈한소식이네요 ccv는 착해지길 바랍니다

    • @안녕-s6k7c
      @안녕-s6k7c Рік тому +6

      cctv

    • @coffee_love999
      @coffee_love999 Рік тому

      ​@@안녕-s6k7c뭐라는거야 cgv오타인거 같은게 cctv이러고 있네 ㅋㅋㅋ 잠결에 썼나~

    • @안녕-s6k7c
      @안녕-s6k7c Рік тому +1

      @@coffee_love999 그냥 쓴건데

    • @stka9799
      @stka9799 Рік тому +1

      근데 CGV는 VIP사건 나고도 정신 못 차리냐

    • @insu7777
      @insu7777 Рік тому

      Cex

  • @demon10333
    @demon10333 Рік тому

    cgv 적자는 코로나 때문에 아니라
    무리한 해외투자 실패 때문인데
    이걸 표값 올려서 매꿀려고 하니깐 안가지
    뭔 자꾸 ott 핑계냐
    vip 등급올리기도 엄청 빡세게 만들었더만
    실적 채울려다가 그냥 포기 그냥 안가

  • @뭘봐-m6z
    @뭘봐-m6z Рік тому +144

    대기업에서 영화관 생겨나고
    지역 소규모 영화관이 사라지기 시작했죠 시대의 흐름 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체할게 나오면 잊혀지고 없어지겠죠 많은 추억있던 영화관 수고 하셨습니다.

    • @donguklee1003
      @donguklee1003 Рік тому +1

      맞아요 시장경제 논리임니다 없어지는게 맞아요

    • @finalletter1
      @finalletter1 Рік тому

      대기업 영화관이 생길수 있는데 한 그룹에서 제작 배급 상영까지 다 한다는게 문제... 돌연변이 구조가 탈이 안날 수가 있나

  • @흑곰흑곰-k2w
    @흑곰흑곰-k2w Рік тому +763

    티켓이 비싸다는 것도 문제겠지만.
    솔직히 요새 1인당 13,000원이면 할 수 있는게 너무 많습니다. 예를 들면 OTT한 달 결제하면 고전명작이나 애니메이션 심심할때마다 볼 수 있지요.
    볼만한 영화가 없다는 것도 큰 이유겠죠. 특히 한국영화는 저 돈 주고 볼 영화가 하나도 없습니다.

    • @ktx3534
      @ktx3534 Рік тому +10

      근데 코로나터지기전인 19년도에도 나쁜녀석들,기생충,극한직업빼고 한국영화 재미1도없었는데 이미 ㅋㅋ

    • @86hepaduj
      @86hepaduj Рік тому +101

      ​@@ktx3534그 땐 표 값이 싸니까 재미 없어도 에잇 하고 넘길 수 있었는데 이젠 그럴 수 없는 가격이니까요

    • @sunungyang48
      @sunungyang48 Рік тому +3

      @@ktx3534​그거를 제외하니깐 재미없다는게 아닐까요..

    • @takelasmoor4336
      @takelasmoor4336 Рік тому +9

      ​@@ktx3534그땐 통신사 할인으로 영화 매달 공짜로 봤음

    • @덕현-x5c
      @덕현-x5c Рік тому +3

      @@takelasmoor4336 난 지금도 공짜로 보는중

  • @RacoonBoyTM
    @RacoonBoyTM Рік тому +343

    영화퀄리티가 개인이 부담하는 15,000원에 만족을 못주는 수준이라 발길이 끊어진게 아닐까요?
    비싸더라도 그만한 품질을 제공해준다면 분명 지금과같은 결과를 받지는 않았을텐데요...

    • @fsgd77777
      @fsgd77777 Рік тому +1

      솔직히 영화 보러가면 의자에 앉아서 빵빵한 사운드로 영상보는게 거기서 하는 전부라서 더이상 제공할게 뭐 없는듯

    • @RacoonBoyTM
      @RacoonBoyTM Рік тому +1

      @@fsgd77777 영화상영이 아닌 기타 제공서비스를 더 달라 한게아닌 표값은 올라가지만...
      요즘 상영 중인 영화 알맹이가 예전보다 더 신경 안쓰고 흥행성공작 다작찍어내기 바쁜 요즘 실태를 말한거에용...
      영화보러갔다가 끝맺음 애매모호한
      러닝타임에 맞춰 갑자기 끊어내는 스토리전개,
      기술발전은 점점 하는데 내용이라도 부실하면 시각적인 즐거움이라도 있었으면 하는데
      요새 찾기가 힘들죠.

    • @asgrimm8165
      @asgrimm8165 Рік тому

      ​@@fsgd77777영화보러 가지도 않는 모쏠백수들만 영화비 비싸다고 투덜대는중

    • @Ktk0627
      @Ktk0627 Рік тому +3

      영화가 재밋어도 넷플 생각하면 여전히 비쌈

    • @cea8631
      @cea8631 Рік тому +4

      걍 비싼게 젤 문제야 다른 이유는 없어

  • @또또-z4x
    @또또-z4x Рік тому +1

    대기업이 바보일까요. 올려도 올관객은 오고 안올 관객은 안온다고 데이터 분석해서 판단한겁니다. 저도 간간히 영화관 가지만요 요즘 영화 대부분 재미없어요. ott 오리지널 퀄리티가 높아지면서 영화가 상대적으로 재미없어진게 큰거 같고요. 갈때마다 그냥 집에서 쉴걸 할때가 점점 많아져요.

  • @하늘-u8c5f
    @하늘-u8c5f Рік тому +331

    가심비가 떨어지는게 제일 큰 문제같음
    표값 훨씬 쌀 땐 영화 퀄리티가 똥망이어도 그래도 뭐.. 나쁘지 않은 가격에 봤네 라면
    지금은 내가 낸 표값에 영화 퀄리티가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하면 돈쓰고 기분 나빠지는 상황이 발생하니
    가서 볼 영화 고르는데 훨씬 더 신중해지고 그만큼 덜 가게 되는듯

    • @KoreanBull
      @KoreanBull Рік тому +3

      그리고 영화값이 15000이나 되니까 사람들 명작기준이 너무 높아져서 입소문도 잘 안남 ㅋㅋㅋ 15000씩이나 냈는데 퀄리티 이거 밖에 안되고 설령 내가 재밋게 봣더라도 영화가격이 부담이니 쉽사리 추천도 못하는 구조 ㅋㅋㅋ 옛날에는 야 극한직업 재밋더라 니도 봐라 이게 됏는데...

  • @하얀늑대-d3k
    @하얀늑대-d3k Рік тому +288

    영화는 기본 1만원 이하여야 가벼운 마음으로 볼 수 있는 것이지 부담되는 가격으로는 영화관이 아닌 OTT로 가는 것이 훨씬 좋아보인다.

    • @Chaffchaffe
      @Chaffchaffe Рік тому +38

      만오천원 솔직히 과함
      둘이가면 3만원인데
      그돈으로 그냥 저녁 외식 사먹으러감

    • @성이름-m8n6v
      @성이름-m8n6v Рік тому +14

      @@Chaffchaffe 둘이가서 팝콘세트 까지 사먹으면 5만원임...

    • @남눈이
      @남눈이 Рік тому

      두당 3,000원이 적당. 22년전 가격임.

    • @fiesta0841
      @fiesta0841 Рік тому +3

      @@user-tb9bn3iz2q 솔직히 다들 별 생각 없이 가격을 까고 있기는 한데 진짜 걸작 영화가 나온다면 그때도 가격 까던 애들이 아... 비싸 안봐!! 이럴까??? 아니면 크으... 나 오늘 식사 포기하고 영화보러 간다!! 이럴까??
      말 그대로 돈아깝다는 소리 나오는 퀄리티로 만드는 제작사도 문제 아닐까???? 최근 인어공주같이

    • @jager0083
      @jager0083 Рік тому +5

      @@user-tb9bn3iz2q직원 수 엄청 줄였는데… 이건 설득력 없지..ㅋㅋㅋㅋㅋ 애초에 코로나 시절에 음식 판매 못하게 하니, 그걸 티켓 값에 반영한건데.. 코로나 끝나도 안내림. 뭐 망하겠지. 최저시급이고 나발이고, 안내리면 OTT 때문에 망함. 왜 고객이 티켓값 비싼걸 이해해야함? 요식업도 물가를 핑계로 과도하게 올린 곳들은 파리 날리더만… 이유가 어떻든 안내리면 망함

  • @LeeLee-zd9yb
    @LeeLee-zd9yb Рік тому +51

    만원도 솔직히 아깝고
    비싼데 만오천~ㄷㄷㄷ
    방만한 경영으로 발생된 손실을
    고객,주주들에게 떠넘김..

  • @16세교
    @16세교 Рік тому +1

    영화 말고도 재밌고 신나는게 넘치는 세상인데 ㅋㅋㅋ 무슨 배짱이야 ㅋㅋ

  • @user-C1004
    @user-C1004 Рік тому +306

    티켓이 너무 비싸서 못사겠다는 마음이 커졌고, 이제는 영화관 가서 보는 것도 귀찮아져서 통신사에서 주는 무료티켓도 안쓰고 있어요.

    • @남눈이
      @남눈이 Рік тому +4

      맞음 교통편의가 좋은 것도 아니고 돈독오른 것들한테 더는 돈을 주기 싫네요

    • @단비-t8y
      @단비-t8y Рік тому +9

      @youone3584넥플릭스가 왜 귀찮나요 누워서 앱에 들어가기만 하면 되는데😅

    • @fiesta0841
      @fiesta0841 Рік тому +1

      @youone3584 너 혹시 영화관련 업계 종사자냐????
      애초에 갈 이유가 없어서 안가겟다는데 아에 영화라는 카테고리를 지우려 드네???
      영화관 가서 보는게 귀찮다는 말은 그만큼 덕질할 영화가 없다는 소리고 집에서 보는게 영화관에서 보는 것 보다 퀄리티가 나쁘지 않으니깐 안간다는 거잖아

    • @user-C1004
      @user-C1004 Рік тому +10

      @youone3584 평소에 주변에서 맥락에 맞지않는 엉뚱한 소리한다는 얘기 많이 듣지요?
      이제는 미디어 소비자 개인의 시청 환경도 좋아졌고, ott 콘텐츠도 다양하며 개봉영화도 오래 기다리지 않아도 볼 수 있는데...굳이 공짜표 줘도 시간 들여 왔다갔다 하며 영화를 볼 필요성을 점점 덜 느껴간다는 얘기랍니다. 점점 소비자들의 마인드가 변화해간다는 거죠. 그리고 딱히 보고싶은 영화들도 줄어들었고. 영화관도 살아남으려면 기존의 방법으로는 힘들다고 생각해요.

    • @사랑해-e6r
      @사랑해-e6r Рік тому +1

      평일 사람없어 혼자보는맛도 좋음 빵빵사운드에 에어콘쐬며

  • @NRyu-gc2xq
    @NRyu-gc2xq Рік тому +118

    티켓값이 높지 않으면 모험하는 기분으로 잘 모르는 영화를 봐도 부담이 없어서 영화를 많이 봄
    티켓값이 높으면 검증되고 반응 좋은 영화만 한두편 보고 새로운 도전을 안함

  • @riolee1930
    @riolee1930 Рік тому +96

    코로나로 인해 삶의 패턴과 방식이 바뀐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음.. 거기에 물가까지 급등하니 소비 비용이 크게 느껴짐.. 굳이 영화를 밖에서 볼 이유가 없고 지금 당장 안 봐도 나중에 볼 수 있기 때문인데 이런 흐름을 빨리 파악해서 영화관의 장점을 어필하지 못하면 타격은 이어질 듯..

    •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Рік тому +3

      홀드백이 지나치게 빠른 것도 이유 아닐까요.
      한달 후 오티티로 볼 수 있어서 ㄷ

  • @영-m3o
    @영-m3o Рік тому +1

    영화관에서 보는것의 의미를 강화하고 관객들이 영화관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고민해야지 티켓값을 올려서 손실을 채우려는 것은 너무 게으른 방법 같음 ..

  • @Ukno493
    @Ukno493 Рік тому +65

    이제는 가격을 낮추는게 살아남는 방법이라는걸 왜 모를까..

  • @준-p2c
    @준-p2c Рік тому +115

    2014~16년 영화관에서 동료들끼리 북적북적대며 알바하던 것도 다 추억이네...이땐 한 타임에 적으면 7~8명 많게는 15명정도까지 같이 일했던 것 같은데
    요즘 영화관가면 티켓검사나 매표는 다 기계가 하고 매점에만 직원이 2~3명 보이더라구요 그것도 다 기계로 주문받고
    20대 초중반 행복한 추억이었습니다. 이런 게 없어져서 이상하게 약간 씁쓸하네요

    • @의원-t4x
      @의원-t4x Рік тому +3

      90년대는 너무옛날이라모르겠고 00년대-10년대초중반이때가 재밌었지..

    • @tokyokula7022
      @tokyokula7022 Рік тому +13

      저두 가끔 옛날이 그립다고 느껴지네요.
      그때는 사람이 항상 북적북적한 느낌.
      길거리엔 학생들이 바글바글 했는데..
      지금은 사람이 없어요. 사라지고 있는게
      느껴지네요. 기계로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그 속도가 엄청 심하네요. 이제..
      은행도 사라지고 있죠..

    • @greyvan7773
      @greyvan7773 Рік тому +2

      나도 구때 어찌됏건 재밋엇는데

    • @frenkie.
      @frenkie. Рік тому +3

      그렇긴해

    • @eunsohjjk5960
      @eunsohjjk5960 Рік тому +2

      저도 알바했는데 좋았는데요

  • @sikami1287
    @sikami1287 Рік тому +66

    가격을 올려서 적자라면
    내려서 좀 더 오게 만드는게 낫지않나요?
    극장 텅텅 비는 것보다는
    시간대별로든
    요일별로든 금액 더 낮추고 조금 더 관객 채우는게 낫지 않을까요?

    • @스티브-v9i
      @스티브-v9i Рік тому +1

      문제는 한 번 내리면 다시 올리기 또 힘들겠져 ㅋㅋ

    • @김상욱-o6i
      @김상욱-o6i Рік тому +1

      그런생각이 가능한 뇌구조가 아님 ㅋㅋㅋㅋ

    • @Nayeon6647
      @Nayeon6647 6 місяців тому

      한국 기업은 불친절 서비스에 갑질도 하면서 사람들이 오냐오냐 충성 해주기 바라는 놀부 심보가 대부분입니다.

  • @호호-k9x
    @호호-k9x Рік тому +1

    장사안되서 문닫는 소상공인
    천지삐까리다
    대기업도 장사안되면 문닫고하는거지머!

  • @kkkkjjjj6388
    @kkkkjjjj6388 Рік тому +242

    진짜 영화관가서 큰스크린으로 영화를 관람한다 이 향수가 가져다주는 파워보다
    집에서도 큰 티비로 충분히 편하게 볼수있고 넷플릭스같은거 한달결재하고 시간날때마다 봐도 볼게 넘쳐남

    • @낭만의지심
      @낭만의지심 Рік тому +5

      결재× >>>> 결제ㅇ 맞춤법 공부하세요

    • @퍽하키
      @퍽하키 Рік тому

      기업 대표인가보죠 ㅋㅋㅋ

    •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Рік тому

      오티티도 너무 믿지는 마라.
      넷플릭스 계정 제한 움직임.

  • @heep6175
    @heep6175 Рік тому +185

    가격이 올라서 그런것에다가, 코로나 시대를 지나면서 비대면이 익숙해지다보니 심리적으로도 여러사람 부대끼는 곳보단 집에서 조용히 넷플릭스나 유튜브 보면서 시간 보내는게 더 편해진것 같아요ㅠ

    • @빈즈라이프
      @빈즈라이프 Рік тому +7

      어짜피 영화라는게 한명이 보나 백명이 보나 뭔가 원가가 더 들어가는게 아니니, 원가는 똑같다고 보면
      가격을 적정가격으로 낮춰서 관객수를 두배로 늘리는게 더 수익이 클텐데. 간식거리로 두배로 팔릴테고
      한번 올린 가격을 낮추기가 싫겠죠.

  • @BlueIsland-o9d
    @BlueIsland-o9d Рік тому +63

    영화 티켓값은 5000원이면 충분하다,,,,,

    • @samuelroh6149
      @samuelroh6149 Рік тому

      맞아요. 인도는 1인당 4000원인데

    • @piy5288
      @piy5288 Рік тому

      ​​@@samuelroh6149교한다고 하는 곳이 인도;; 인도 최고대학 나와서 현지에서 삼성 같은 대기업가면 받는 월급이 얼만줄 앎? 백만원 내외임.. 뭔 인도하고 비교하고 자빠졌어 거기 빈부격차가 얼마나심한 국간데;;

    • @최s
      @최s Рік тому +1

      티켓값이 5000원이면 난 하루에 2편 연달아 볼거같음 ㅋㅋㅋㅋ 그것도 문제겠네 극장 미어터질듯

    • @붕붕이네-n1p
      @붕붕이네-n1p Рік тому

      ​@@최s그래야 좋은거 아닌가요?ㅠ

    • @DaftPunk2
      @DaftPunk2 Рік тому +2

      5천원이면 매주간다

  • @kbsky2017
    @kbsky2017 Рік тому +1

    계속 적자봐야 정신차린다 ㅋㅋ 요즘대세는 넷플릭스다 👍

  • @수봉-c8u
    @수봉-c8u Рік тому +26

    문화의날에 반값으로 봐도 싸다는 느낌을 못받을정도...

  • @goodpeople6433
    @goodpeople6433 Рік тому +125

    비싸긴 너무 비싸지. 할인도 적어지고 이젠 다른 OTT도 많이 생겼으니 당연히 떠나지요.

  • @쉐도우-g2n
    @쉐도우-g2n Рік тому +38

    솔직히 저 티켓 값으로 영화보느니 집에서 영화 구입해서 가족들과 보는게 났습니다.
    왜냐면 티켓 하나 값으로 몇명이서 볼 수 있고 요즘 티비는 상당히 큽니다.
    또한 OTT 때문에 굳이 영화관에 갈 필요도 사라졌죠. OTT보면 정말 볼게 많습니다.
    넷어쩌구도 있고 디어쩌구도 있죠. 티어쩌구도 있고.
    영화관은 진짜 미친듯이 큰 화면에 시원하게 뻥 뚫리는 맛을 즐기려는 사람만가지 왠만하면 안가는 곳이 됐습니다.
    극장으로 사람을 끌어 모으려면 티켓 값을 내리던가 해야 함.

  • @준캉이
    @준캉이 Рік тому +42

    비싸요.
    비싼 만큼 영화관에서 보는 메리트가 있어야 하는데 그런게 없어요.
    아이맥스, 돌비관 등은 특정영화관밖에 없어서 대작이 나오면 거의 콘서트 티켓팅마냥 스트레스가 있으니까 그거 예매도 실패하면 일반관으로는 안보러가는거 같네요.😢

  • @승주유-t1g
    @승주유-t1g Рік тому +37

    두배로 가격인상은 역대급이네 미쳤네

  • @주둥이-b6h
    @주둥이-b6h Рік тому +42

    이 나라의 대기업들은 지들이 힘들면 국민들의 애국심을 호소하면서 코로나로 회사이익에 손실을 입은것을 이참에 복구좀 해보겠다는 심사인지 몰르겠다...글타고 예전처럼 서비스라던지 머 그런것도 좋아진것도 아닌데 말이지...

  • @audilonk2883
    @audilonk2883 Рік тому +5

    바가지는 반드시 소비자가 거른다.

  • @bubbles_bebe
    @bubbles_bebe Рік тому +51

    시골 동네 작은 영화관은 그나마 관람료가 예전 그대로라서 편하게 볼 수 있어 좋더라구요

  • @limeedu81
    @limeedu81 Рік тому +42

    영화관람를 아예 끝게 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안보고 안가게 해주셔서 가계소비절약하게 해주셨네요

    • @전성호-l2t
      @전성호-l2t Рік тому

      영화티켓을 끊다.
      영화를 끊다.
      영화 관람은 끝이다.

    • @골라미사랑
      @골라미사랑 Рік тому

      어그로를 끌다

  • @일발필사저격왕
    @일발필사저격왕 Рік тому +27

    표값을 한 십만원 정도 올려서 현 상황을 해결해야된다

  • @arp6425
    @arp6425 Рік тому +3

    이러다 없어지겠지.. 이게 뭐 우리가 걱정할 일인가..

  • @iss9676
    @iss9676 Рік тому +123

    외식 물가도 제발 좀 잡혔으면 좋겠네요...밥 한끼 사먹기 너무 부담스러워요! 기름값 처럼 원재료 값이 떨어지면 외식물가도 좀 내려야되지 않나요?솔직히 너무 비싸요...

    • @Sun-rg7nr
      @Sun-rg7nr Рік тому

      쌀값도 올려야죠

    • @품위있는녀석
      @품위있는녀석 Рік тому +2

      앞으로 계속해서 인건비는 오르는데.. 원재료 식자재비에도 결국 인건비가 녹아있는거라. 물가는 내려갈 수가 없어요. 경제가 성장하면서 물가가 오르는 건 필연적 입니다... 서민 입장에서는 이걸 받아들이지 못하니 항상 힘들다고 느낄 수 밖에요..

    • @윤대성-j2t
      @윤대성-j2t Рік тому +2

      외식물가는 원자제보다는 인건비 입니다

    • @치치군
      @치치군 Рік тому +9

      외식물가 비싸다면서 최저시급 12000원 찬성하고 그러시는 건 아니죠?

    • @lorenzo7053
      @lorenzo7053 Рік тому +1

      유통라인 때려잡아야함

  • @bluesol4297
    @bluesol4297 Рік тому +128

    90년대 일본이 15,000원 이상이라 영화 안본다고 했는데 지금 우리가 그 상황임
    지금 모든 것이 너무 올랐음

  • @김상은-u7s
    @김상은-u7s Рік тому +17

    어쩌다 가끔 혼자 영화 보는 입장이라면
    15,000원 정도 기분 전환 삼아 쓸수 있겠지만
    2인 이상 또는 가족이서 영화 보러가면 진짜
    4~5만원 나오는거 보고,,, 깜놀

  • @happy1004jua
    @happy1004jua Рік тому +1

    나는 근데 영화값 보다 식비가 훨씬 비싸다고 생각함. 영화값이 예전에 많이 쌌던 거지, 다른 나라에 비해 멀티플렉스 영화관 퀄리티도 좋고 어차피 2~3시간은 앉아있으니 15000원도 뭐 납득은 감.
    근데 식비 특히 야채나 과일 샌드위치 값이 하나에 만원 넘는 게 말이 되냐!! 이건 선진국들 보다 더 비싸 각 국가 물가랑 자연환경 고려해도 너무 비싸다
    한국 물가 특히 식비가 너무 비싸다고 생각함!!

  • @jwinhs
    @jwinhs Рік тому +28

    코로나때보다 지금이 더 살기 힘들어요...ㅠㅠ

  • @묭룡이
    @묭룡이 Рік тому +18

    예전엔 진짜 영화관 가서 별 영화 다봤는데, 요즘엔 웅장한 사운드, 스크린이 주는 압도감과 컬러감 같은게 중요한 영화가 아니라면 굳이 그 비싼 돈 주고 가서 볼 이유를 못느끼겠다..

  • @kimkneel99
    @kimkneel99 Рік тому +34

    스타트 업을 제외한 대부분 한국 회사들의 문제는 지금 회사 대표를 포함한 임원들이 한국의 상황을 모름. 본인들이 회사를 인계 받던 시기의 한국 시장만 기억하고 있음. 경쟁도 없고, 서로 담합하고, 국가는 성장하던 그 시절의 기억만 있으니 뭔가 문제가 생기면 그 때 그 시절의 해법을 지금 다시 시도함. 하지만 지금은 국가에서 막고 있는 분야가 아니면 해외 기업들이 경쟁으로 들어와 있고 국가는 저 성장 또는 역 성장의 시대로 들어섬. 당연히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심각해짐. 회사에 전문 CEO를 앉히고 임원들 싹다 물갈이 하지 않으면 망하는 게 자연스러운 수순. 그리고 국가에서 막고 있는 산업도 지금처럼 계속 국가에서 자국 산업 보호라는 이름으로 경쟁자를 국가에서 막고 있으면 우리나라 제품은 하루 하루 경쟁력을 잃을 게 뻔함. 국가에서 무조건 막을게 아니라 적당한 경쟁을 만들어 줘야 회사들이 발전을 함.

  • @youngman-j2m
    @youngman-j2m Рік тому +76

    우선은 티켓이 비싸져서 처음에 안갔는데 안가다보니 사람들이 굳이 갈필요를 좀 덜느끼기도 하고
    경기도 안좋아져서 이제는 다시 만원정도로 내려와도
    전처럼 아마 회복하긴 안쉬울듯

  • @matthewkim3718
    @matthewkim3718 Рік тому +12

    코로나로 모든 사람들이 힘들었지만, 자기들은 절대 손해를 봐서는 안된다는 마인드를 가지면 저렇게 되는 거지

  • @니드D
    @니드D Рік тому +31

    영화관에가는건 영화만 보는게 아니라 함께 되는 여러경험을 포함해서 즐기는 문화였는데
    그냥 현행유지만 했어도 당장 코로나시기의 손해본게 복구되진않아도
    보복소비하듯이 영화도 더많이 보러갔을지도 모를텐데
    거위의 배를 갈라버리더라도 당장 배고픈걸 해소하려고했다면 이제 그책임을 지실때인듯

  • @iren4983
    @iren4983 Рік тому +5

    싸게 해서 식음료로 남기던가, 비싸게 해서 다양한 체험거리나 개인이 집에서 못해보는 특이한 기기들을 도입하거나...
    OTT에 대비했어야했다.

  • @user-kt4ub8kn6j
    @user-kt4ub8kn6j Рік тому +72

    제가 있는 지역은 군청에서 운영하는 영화관인데 규모는 작아도 티켓값이 7천원이라 최근 범죄도시3 봤네요. 재밌고 좋았어요. 최근 시설도 좋아서 한번씩 오기 좋더라구요.

    • @bora1105
      @bora1105 Рік тому +1

      제가 사는 곳도 군청에서 운영하는 곳인데 7천원이요 ㅋ

    • @송원량-c7b
      @송원량-c7b Рік тому

      저는 하동에서 봅니당 ㅋ

    • @minjeongkim6060
      @minjeongkim6060 Рік тому +2

      와 진짜 싸다 대박

    • @bora1105
      @bora1105 Рік тому +1

      전 울주군이요 ㅋ

  • @Giggle958
    @Giggle958 Рік тому +21

    올라도 너무 올랐음
    2배나 올려받고 당연히 누가 가냐... 생각안하냐
    티켓값 내리든가해야지

  • @피터팬-r3v
    @피터팬-r3v Рік тому +274

    역시 cJ입니다.
    소비자를 우습게 보는게 식품이나 영화나 같습니다.
    소비자에게 큰게 당해봐야 합니다

    • @dgreekim
      @dgreekim Рік тому +4

      소비자를 우습게 보는데 오ㅑ cj는 HMR 냉동식품 영화관 각 업계 1위인가요?
      어떻게 당해야 크게 당하는건지 모르겟습니다
      알려 주십시오!!

    • @konggeun1027
      @konggeun1027 Рік тому +4

      생각의 차이죠 돈을 내리면 사람들이 더올건데 적자나니깐 티켓값올리는생각만 있어서그런거겉아요

    • @jaejae3294
      @jaejae3294 Рік тому +1

      cj는 다들 물가따라서 가격올릴때 가격안올려서 영업이익 많이 낮다던데?

    • @Chaffchaffe
      @Chaffchaffe Рік тому +5

      Cj식품은 괜찮은데
      유일하게 맛있는 군만두가 cj비비고꺼임

    • @피터팬-r3v
      @피터팬-r3v Рік тому +1

      맛있는 식품이 있긴 합니다,
      만두도 맛은 있더군요..^^

  • @어텐션-t1z
    @어텐션-t1z Рік тому +2

    식당이 장사가 안되서 두배로 올렸어 손님들의 반응은 어처구니 없겠지

  • @kiyjy7
    @kiyjy7 Рік тому +16

    영화관의 인기가 시들해진 이유...
    OTT서비스와 비교하면 이용이 훨씬 불편하기 때문.
    OTT서비스 보다 비싼 가격을 내고 영화관에 들어갔는데 시작하기 전까지 광고를 강제로 시청해야 할 뿐더러 중간에 화장실을 갔다오거나 급한 일이 생겨서 잠시 영화관을 나와가지고 처리를 한 뒤에 다시 와도 그 중간에 영화는 멈추지 않기 때문에 일을 처리하는 시간 동안의 부분은 시청을 못하게 됨.
    게다가 그렇게 비용을 들여서 가더라도 영화를 온전히 관람할 수 있을거라는 보장이 없음.
    틀림없이 진상을 부리는 민폐족들이 있기 마련.

  • @FC-ry5uc
    @FC-ry5uc Рік тому +58

    아이맥스나 4dx나 돌비 같은 특별관이 더생기길 바란다. 영화관이 존재이유지

  • @꼬맹잇
    @꼬맹잇 Рік тому +57

    식품이나 물품이나 영화나 한번 오르면 절대 안내리지 이게 한국입니다

  • @plutos9516
    @plutos9516 Рік тому +1

    영화표값을 그렇게 처올리는데 사람들이 영화를 보러가겠냐? 지금이라도 가격내려 처망하고싶지않으면

  • @30sungboo
    @30sungboo Рік тому +69

    학생때에는 영화보는게 데이트필수코스였는데 지금은 으른이 됐는데 오히려 가기가부담스럽다ㅜㅜ

  • @윤영미-k9m
    @윤영미-k9m Рік тому +39

    진짜 다 너무 비싼 것 같아요😢

    • @아드레노크롬
      @아드레노크롬 Рік тому

      신자유주의 시대에는 다 비싸요..ㅋㅋㅋㅋㅋ 당연한 거에요...

    • @김수환-b5q
      @김수환-b5q Рік тому

      평일 오전에 분노의 질주 보러
      혼자 롯데시네마 갔는데
      영화상영 15분 까지 혼자 였는데
      나중에 커플와서
      242석 영화관 3명이서 봄 ㅋㅋ
      첨에 혼자 있을때 기분이 묘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