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이 아니다! 명왕성은 도대체 왜 행성 지위를 박탈당했을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우리 부엉이들도 '윌라 오디오북'에서 '알아두면 쓸데있는 유쾌한 상식사전' 무료로 들어보세요!
    쿠폰 등록에서 '리뷰엉이'를 치면 '윌라 오디오북' 1개월 무료 + 3개월 50% 할인 받을 수 있어요!
    리뷰엉이 쿠폰 등록하기 www.welaaa.com...
    본 링크를 통해 회원 가입시 쿠폰이 미리 들어가 있는 상태가 됩니다!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옛날에 우리는 학교에서 태양계를 구성하는 9개 행성의 순서를 이렇게 외웠다. 그런데 이제는 수금지화목토천해 까지만 외운다. 명왕성은 더 이상 없다. 왜냐? 명왕성이 행성지위에서 박탈당하고 왜행성으로 분류됐거든! 명왕성의 지위가 갑자기 엄청나게 추락한 거다. 도대체 명왕성은 무슨 짓을 했길래 행성 지위를 박탈당한걸까?
    참고 자료 및 서적 정보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유쾌한 상식사전: 과학경제편
    www.hani.co.kr...
    www.bbc.com/ne...
    m.dongascience...
    www.as.utexas.e...
    www.nasa.gov/m...
    n.news.naver.c...
    C.B. Olkin, L.H. Wasserman, O.G. Franz (2003)

КОМЕНТАРІ • 1,5 тис.

  • @리뷰엉이
    @리뷰엉이  2 роки тому +512

    우리 부엉이들도 '윌라 오디오북'에서 '알아두면 쓸데있는 유쾌한 상식사전' 무료로 들어보세요!
    쿠폰 등록에서 '리뷰엉이'를 치면 '윌라 오디오북' 1개월 무료 + 3개월 50% 할인 받을 수 있어요!
    리뷰엉이 쿠폰 등록하기 www.welaaa.com/membership/purchase-form/premium?crmCode=리뷰엉이
    본 링크를 통해 회원 가입시 쿠폰이 미리 들어가 있는 상태가 됩니다!

    • @voICE_ICE
      @voICE_ICE 2 роки тому +8

      혹시 과학책 전용 쿠폰인가요

    • @리뷰엉이
      @리뷰엉이  2 роки тому +19

      @@voICE_ICE 모든 도서 다 들을 수 있어요!

    • @검에찔린사과
      @검에찔린사과 2 роки тому +2

      오 개꿀인데

    • @sgngsonsing5139
      @sgngsonsing5139 2 роки тому

      형 이거 구글로결제되??

    • @강루비-s1s
      @강루비-s1s 2 роки тому +2

      형 근데 정말 궁금한게 왜 과학 유투버로 전직한거야? 평소 과학에 지식이 많았었나? 근데 이게 가능한건가? 아직도 인터스텔라 리뷰중인건가? 여전히 과학 유투버 부정하겠지? 내가 다중우주관에서 과학 리뷰엉이를 보고있는건가? 여전히 혼란스럽다ㅋㅋ

  • @보더콜리-u6w
    @보더콜리-u6w 2 роки тому +5108

    리뷰엉이는 더 이상 영화유튜버가 아니다! 리뷰엉이는 도대체 왜 영화유튜버 지위를 박탈당했을까?

    • @salixq84
      @salixq84 2 роки тому +109

      ㄹㅇㅋㅋ

    • @iPhone16Ultrapromax
      @iPhone16Ultrapromax 2 роки тому +53

      ㅇㅈㅋㅋ

    • @TAEVE
      @TAEVE 2 роки тому +336

      박탈당할만 했지 ㅋㅋㅋㅋㅋ

    • @huminbatbayar8668
      @huminbatbayar8668 2 роки тому +156

      영화 오펜하이머 기다리는중이라 이것 저것 하는것 같음 ㅋㅋㅋ

    • @Yeon489
      @Yeon489 2 роки тому +56

      이런게 더 재밌다

  • @kingsangun
    @kingsangun 2 роки тому +1537

    명왕이 그때 논란 많았지...
    박탈당하고 많이 힘들어하던데
    자기가 어떻게 그자리에 갔냐면서
    울고불고...ㅠㅜ

    • @잼민이
      @잼민이 2 роки тому +328

      과학자,,,,여러분,,,,명왕이,,,욕하지,,,,마세요,,,,명왕성도,,,,,상처받는,,,,존재라고요,,,,,입장,,바꿔,,생각해보세요,,,흥칫뿡,,,

    • @토리-q4i
      @토리-q4i 2 роки тому +52

      왕따주제에

    • @lucidair1903
      @lucidair1903 2 роки тому +32

      명왕 레일리

    • @user-yl5ie5kr4e
      @user-yl5ie5kr4e 2 роки тому +143

      그래도 명왕성만한애가 없다..

    • @lucidair1903
      @lucidair1903 2 роки тому +28

      @@솔까이말한다 명무룩 ㅠㅡㅠ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2 роки тому +743

    7:25 에리스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불화의 여신인데 에리스의 등장으로 인해 명왕성에 대한 논란이 일어나게 됐고 그로 인해 명왕성이 퇴출된 걸 생각하면 적절한 이름이 아닐 수 없죠

    • @리뷰엉이
      @리뷰엉이  2 роки тому +173

      오오 불화의 여신...

    • @mocabun0827
      @mocabun0827 2 роки тому +43

      디스코드의 여신..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2 роки тому +99

      @@mocabun0827 마침 에리스의 로마식 이름은 디스코디아(Discordia)이기도 하죠

    • @평범한사람-e2j
      @평범한사람-e2j 2 роки тому +9

      오오

    • @스마일맨-x8g
      @스마일맨-x8g 2 роки тому +17

      @@Supergolem12345 ㅁㅊ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ris500
    @pris500 2 роки тому +503

    초등학교 3학년때 과학시간에 수금지화목토천해명 까지 외웠는데, 그 해에 명왕성이 행성 지위 박탈되어서 담임쌤도 말씀해주셨고 교실에 공지문 붙여놓는곳에도 명왕성 지위 박탈 기사 붙여놓으셨던게 아직도 기억나네요

    • @시커즈
      @시커즈 2 роки тому +54

      그게 한국도 그렇고 꽤 큰일이었구나 난 2004년생인데도 약간 명왕성 기억남

    • @밍빠에요
      @밍빠에요 2 роки тому +37

      초등학교때 과학이있었어?? 우와 나땐자연이었는디

    • @juhyeog563
      @juhyeog563 2 роки тому +62

      @@밍빠에요 아저씨.. 사랑해요

    • @거래요
      @거래요 2 роки тому +46

      @@밍빠에요 아재요...

    • @lianyujin8239
      @lianyujin8239 2 роки тому +1

      도대체 뭔말인지 모르겠네.....

  • @pikipaca
    @pikipaca 2 роки тому +2158

    명왕성: 내 지위 박탈 "왜행성"

  • @tpalsfl4375
    @tpalsfl4375 2 роки тому +272

    그냥 단순히 명왕성이 크기가 작아서 행성에서 빠진 줄만 알고 있었는데 리뷰엉이님의 영상을 보니 정말 쉽게 이해가 되었습니다. 정말 설명을 잘해주시는 거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루루애오-j3s
    @루루애오-j3s 2 роки тому +338

    00:54 궁금한게 지구의 질량 0.2%에 자기 바로 옆 위성도 제대로 컨트롤 못하는 명왕성이 십몇억km 떨어진 해왕성의 궤도에 영향을 줄 수 있나요? 플래닛 x는 명왕성이 아닌 다른 행성이 따로 있는거겠죠?

    • @당근-f9i
      @당근-f9i 2 роки тому +104

      네 미지의 행성이 있는걸로 추측하고 있대용

    • @클라우디-l6s
      @클라우디-l6s 2 роки тому +51

      아주 예리했어.

    • @user-ulmi
      @user-ulmi 2 роки тому +5

      오 천재?

    • @aaaazaaaza
      @aaaazaaaza 2 роки тому +98

      저도 이게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해왕성의 궤도는 해왕성의 중량을 실제보다 크게 계산해서 생긴 오차였다고 하네요. 하지만 해왕성 바깥 천체의 비정상적인 공전궤도를 설명하기 위해 플래닛 나인(x랑 다름) 가설을 사용하기도 한다고 하네요.

    • @천기신-z5j
      @천기신-z5j 2 роки тому +31

      명왕성이 해왕성 궤도 안쪽까지 들어오기도 하죠 궤도 이심률 차이가 심하게 나는 것도 행성 퇴출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이 드네요

  • @_ssu.vely1
    @_ssu.vely1 10 місяців тому +16

    안녕하세요. 저는 도덕 수업에서 선플 달기 활동 중인 성주중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리뷰엉이님의 영상을 보고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퇴출당한 이유를 알게 되어서 너무 좋아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GTR2645
    @GTR2645 2 роки тому +160

    현재까지 관측된 왜행성들 중에서 세드나가 가장 멀리 있다고 하는데, 카이퍼 벨트 밖에 있고, 오르트 구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공전 주기가 무려 만년이 넘는다고 합니다.

    • @오렌지-n3o
      @오렌지-n3o 2 роки тому +6

      오우~ 오르트 구름 범위까지 생각하시다니 ㄷㄷ 생각 못해봤습니다~!! 근데, 오르트 구름은 은하만큼 큰게 아닌가요?
      뭔가 획기적으로 암흑에너지를 먼저 관측해보아야 될것 같아요, 우리가 아는 범위는 5%정도이니, 공부 좀 더 하고 오겠습니다~

    • @seonkyeongkim7097
      @seonkyeongkim7097 2 роки тому +9

      @@오렌지-n3o 오르트구름이랑 은하단위는 비교가 불가 할만큼 크기가 차이납니다. 오르트구름 범위는 1광년 언저리로 보고있지만 은하는 몇만광년단위에요. 우리은하가 지름이 10만광년이죠.

  • @Saiph40
    @Saiph40 2 роки тому +53

    8:14 '항성' 주위를 도는 천체일텐데 워낙 자막이 많으니 자막 작성하시다가 실수하셨나봐용. 8:18 '행성'으로 치는 게 맞소! 아닐까용?

    • @TuftedCloud
      @TuftedCloud 2 роки тому +2

      ㅇㅇ

    • @kingssaewoo
      @kingssaewoo 2 роки тому +2

      그러게 말입니다 수정하셔야할듯

    • @윤상윤-d5c
      @윤상윤-d5c 2 роки тому +2

      내가 지적할려고 했는데 이미 지적한사람이있넹

  • @오타니쇼헤이-l6t
    @오타니쇼헤이-l6t 2 роки тому +28

    세일러 머큐리, 세일러 마스, 세일러 쥬피터, 세일러 비너스, 세일러 우라누스, 세일러 넵튠, 세일러 플루트, 세일러 새턴, 세일러 문...
    우주과학을 세일러문으로 배웠습니다.

    • @thinwood
      @thinwood Місяць тому

      세일러문 변신할때 옷 다 벗고 변신한다고 선정적이다고 학부모들이 kbs에 엄청난 항의를 해서 잘 보던 만화가 갑자기 사라졌습니다. 배틀볼도 마찬가지

  • @Qwerty_-vx5gz
    @Qwerty_-vx5gz 2 роки тому +333

    아쉽긴 한데 그래도 가장 유명한 왜행성이 됐으니 아무래도 좋은거 아닐까

    • @OldGlory-yw4yx
      @OldGlory-yw4yx 2 роки тому +4

      그게 좋기는 할거같진...

    • @냠냠-s1v
      @냠냠-s1v 2 роки тому +99

      뱀의 머리ㄷㄷ

    • @아김-d7u
      @아김-d7u 2 роки тому +18

      태양계가 아니게 되어서 아쉬웟는데 잘살고잇다고생각하면...다행...

    • @heeyabooboo5954
      @heeyabooboo5954 2 роки тому +2

      저랑 상관없는 이야기입니다.
      당신도요.

    • @Red-Creeper
      @Red-Creeper 2 роки тому +9

      @@아김-d7u 태양계에는 다 속해있는데요? 태양계가 먼지 모름??

  • @ysm7767
    @ysm7767 2 роки тому +309

    이 유튜버가 우주와 과학을 누구보다 쉽게 이해시켜줄줄은 그의 가족은 커녕 그조차 몰랐습니다...인터스텔라가 나오기 전까지만해도

  • @cpakdy
    @cpakdy 2 роки тому +33

    수많은 별들 사이에서 단 하나의 빛이 윙크하는것 같았다니 너무 낭만적이잖아

  • @EvanLongoria5975
    @EvanLongoria5975 2 роки тому +20

    제가 고등학생때 명왕성이 퇴출당했고 그때당시에는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 편해서 퇴출에 대해 반대했었는데 지금은 명왕성은 왜행성이 맞는것 같아요

    • @OldGlory-yw4yx
      @OldGlory-yw4yx 2 роки тому +1

      저는 명왕성이 외행성같지는 않아보입니다

    • @클립아재
      @클립아재 2 роки тому

      저도~ 반대표 에 1표씩~ (그런 이야기 있을때 마다) 추가했던 사람 인데요~
      다른사람들 도 여러 주장 이 있지만! 저~ 같은경우 는 줬다가 도로 빼앗아간다! 라는 ~~
      그런~ 정도 의 느낌! 이었습니다! (지금 은 딱히~ 꼭! 번복~행성복귀! 해야하나? 정도 로 식었지만)

  • @Noname-zx1qe
    @Noname-zx1qe 2 роки тому +129

    인터스텔라로 인해 영화유튜버 세계관에서 밀려난 리뷰엉이...ㅎㅎ

  • @BOILED__POTATO
    @BOILED__POTATO 2 роки тому +121

    다른 영화유튜버 다 닥스랑 문나이트 얘기할동안 묵묵히 우주이야기만 하는 그는 역시 과학유튜버

  • @뇽냥-j6y
    @뇽냥-j6y 2 роки тому +35

    초등학생때 명왕성까지 외웠었는데 갑자기 선생님이 명왕성은 이제 외우지 말라고 하셨던 기억이 아직도 나네요 어릴 땐 우주에 대한 얘기는 항상 귀를 활짝 열어서 들었었는데 참 추억이네요

  • @Subinjjang
    @Subinjjang 2 роки тому +48

    초등학생때 과학선생님께서 명왕성이 퇴출됐다고 하면서 덧붙인 설명으로 궤도에서 밀려나서 더이상 태양계 행성이 아니다 그려셨는데.. 선생님은 어디서 들으신거지..

  • @토토예요
    @토토예요 2 роки тому +152

    리뷰엉이님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
    오류가 있는 것 같아서 말씀드려요.
    8:12 지점에 행성의 정의가 "행성 주위를 공전하며 중력으로 안정적인 형태를 지닌 천체"라고 되어 있는데 "행성"이 아니라 "항성"이 맞는 것 같아요.

    • @skybluewindy
      @skybluewindy 2 роки тому +5

      이거 맞습니다.

    • @통조림-t5o
      @통조림-t5o 2 роки тому +1

      이거 틀립니다.

    • @skybluewindy
      @skybluewindy 2 роки тому +2

      @@통조림-t5o 항성이 맞습니다.

    • @통조림-t5o
      @통조림-t5o 2 роки тому +9

      @@skybluewindy 이거 드립입니다.

    • @Dhark_1780
      @Dhark_1780 2 роки тому +2

      @@통조림-t5o 진실이 아니라 님니야말로 님 닉의 정반대를 말하시는 군요

  • @태움
    @태움 2 роки тому +711

    진짜.. 수학익힘처럼 과엉이 과목도 생겼으면 좋겠음 🙏🙏

    • @niaemi2
      @niaemi2 2 роки тому +24

      과학책+실험관찰+과엉이?

    • @ShallSetmefree
      @ShallSetmefree 2 роки тому +30

      리뷰엉이 익힘

    • @ssang7508
      @ssang7508 2 роки тому +11

      과엉이 과목은 ㅋㅋㅋ과학인가요?? 사회(영화)인가요? ㅋㅋ

    • @wiki12wr
      @wiki12wr 2 роки тому +15

      선넘네

    • @미친개정강지
      @미친개정강지 2 роки тому +21

      @@ShallSetmefree 좀 잔인할지도?

  • @gwanzong
    @gwanzong 2 роки тому +21

    와 전 명왕성이 퇴출당한 이유가 공전궤도가 다른 천체들과 아슬아슬하게끔 불안하여 퇴출당했다고 알았는데...

  • @AWACS_area
    @AWACS_area 2 роки тому +8

    오,,,,오늘 채널 찾았는데 재미있어서 계속 보게 됩니다. 리뷰엉이님, 미국의 달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다뤄주실 수 있으실까요. 대한민국 기업도 참여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 @moosimja
    @moosimja 2 роки тому +10

    저런 정의는 혼란을 막기위해 있는건데 힘있다고 정치나 이해관계에 영향을 받으면 되나
    명왕성을 미국이 아니 힘없는 나라가 발견했으면 이렇게나 할까 역사가 짧으니 꼭 저런거에 집착하더라

  • @user-kongmile
    @user-kongmile 2 роки тому +9

    리뷰분엉이넴은 과학에 대해서 모르는게 없는거 같아요...리뷰부엉이님 영상보고 '이만큼 설명잘하는사람 없다~(?)'라는 생각듬ㅋㅋㅋㅋㅋ

  • @kapetane2155
    @kapetane2155 2 роки тому +26

    4:46 목성 자전하는거 왤케 웃기지 ㅋㅋ

    • @nopain2948
      @nopain2948 2 роки тому +2

      가스행성들은 자전속도가 빨라서 가로줄이 있는거라고도 하죠

  • @Brunhild_
    @Brunhild_ 2 роки тому +40

    다른 멀티유니버스에선 행성이길..닥스 대혼돈의 멀티버스 리뷰 기대합니다

  • @can_I_go_home
    @can_I_go_home 2 роки тому +19

    어렸을 때는 명왕성이 원래 행성으로 들어갔었는데 명왕성의 궤도의 각도가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다른 행성과 달라서 지위가 박탈됐다고 배웠던 기억이 있는데 많은 이야기가 있었네욬ㅋㅋㅋㅋ 그리고 또 어렸을때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라는 인소를 읽었던 기억이…ㅋㅋㅋㅋㅋㅋ

    • @Megaaim-i7m
      @Megaaim-i7m Рік тому +2

      우주 0.1%도 모르는 인간이 태양계를 만들고 거르는거보면 참 어리석은거같긴해

  • @crystalpark8002
    @crystalpark8002 2 роки тому +4

    나 초딩때가 2008년인데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민왓을때다. 그때당시 한국에서도 명왕성을 행성으로 배웠고 미국에 와서도 명왕성을 행성으로 배움 그래서 행성박탈이라 행성이 아니다라는걸로 쫌 아는 학생들이 들고일어난게 내가 중학생때 과학시간에 배울때엿음. 그니까 2010년때에도 교과서는 안바꼇다는거. 그때 되게헷갈렷는데 뭐가뭔지 모르고 그냥 지나갓고 고등학생때도 플루토를 자연스럽게 행성으로 알고지나갔음. 미국은 교육수준이 한국처럼 엄청나지않아서 특히 나처럼 지방에 사는 사람은 고등학교까지는 더더욱 그래서 아마 나처럼 계속 옛날교육에 머물러있는 사람이 다수일거임 ㅋㅋㅋ 아리까리 했는데 이런유튜브나 뉴스보고 좀 바로잡아가는즁... 유튭보니 말이맞네요 30년대에 발견한게 기술이발전하며 보니 아닐수도 잇는거지 굳이 그걸 빽빽 우겨가지고 자기들 자존심을 위해 비스무리한 별들을 전부 행성으로 만드는건 쌉오바죠. ㅋㅋㅋㅋㅋㅋ

  • @알로에-y1w
    @알로에-y1w 2 роки тому +67

    궁금한 게 있습니다. 제가 고등학교 때 배웠을 때는 공통질량중심이라고 태양와 다른 행성들도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게 아니라 태양과 행성들 사이의 공통적인 어떤 중심을 축으로 공전해서 태양도 미세하게 공전을 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지구 또한 마찬가지로 알고 있고요. 명왕성과 카론도 마찬가지로 공통질량중심을 축으로 도는 게 왜 명왕성이 행성계에서 빠지는 조건이 되는 지 잘 이해가 안 가서요. 제가 아는 것 중에 틀린 것이 있다면, 알려주세요ㅠㅠ

    • @kzaurus7836
      @kzaurus7836 2 роки тому +96

      글 쓰신 내용대로 잘 알고 계십니다.
      다만, 공통질량중심이 어디에 있느냐의 차이입니다.
      태양도, 지구도 미세하게 공전을 하지만 태양과 다른 태양계행성의 공통질량중심은 태양과 행성 사이가 아니라 태양 내부에 위치합니다.
      지구와 달도.. 질량과 거리를 통한 공통질량중심을 구해보면 지구의 중심에서 약4,700K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데 지구의 반지름이 6,400Km니까 지구 내부에 위치하게 되겠죠.
      그러나 명왕성은 공통질량중심이 명왕성 내부가 아니라 명왕성에서 벗어난 거리에 위치합니다.
      이 차이가 명왕성의 행성지위 박탈의 결정적 이유가 된 것입니다.

    • @TuftedCloud
      @TuftedCloud 2 роки тому

      오오ㅗ오옹

    • @Laimi0020
      @Laimi0020 2 роки тому +7

      @@kzaurus7836 그러니까 교과서에서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공통질량 중심을 과장해서 태양 밖에 있는 것처럼 표시를 하지만
      실제로는 태양 내부에 공통질량중심이 존재하고, 명왕성은 아니므로 조건에 맞지 않다
      이게 맞는 건가요?

    • @kzaurus7836
      @kzaurus7836 2 роки тому +20

      @@Laimi0020 네 맞습니다.
      교과서를 포함한 수 많은 우주관련책들에 나오는 그림들은 이해를 돕기위해 과장한 것들이 많습니다.

    • @PIGeon0515
      @PIGeon0515 2 роки тому +14

      2006년의 행성 정의에 따르면 명왕성은 질량중심이 행성 바깥인것만이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결정적 요인은 자신의 궤도 내에서 지배적인 천체가 아니라는 것이 3번째 조건에 걸렸죠. 명왕성의 궤도 주위는 카이퍼 벨트라고 하여 명왕성보다 크고 작은 수많은 천체들이 존재하고 명왕성은 이 천체들을 밀어내거나 자신의 일부로 만들 만큼 중력이 강하지 않았어요. 쉽게 말해 작다는 뜻이죠. 에리스도, 세레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이 3번째 행성 기준을 도입한 큰 이유는 영상에서 나온 '이름 외우기의 복잡성' 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그래서 이 기준도 '태양계에 한정한 행성의 정의' 이고요.

  • @ruiven9405
    @ruiven9405 2 роки тому +3

    애초에 어떤 천체든지 서로 영향을 받고 서로 밀어내고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함. 지구든 해왕성이든 명왕성이든 혜성이든 태양이든.
    단지 질량이 달라서 덜밀리고 더밀리고, 덜 당겨지고 더 당겨지고의 차이가 나서 달라보일 뿐 칼로 자르듯 구분할 수 없음.
    천체의 구분하는 정확한 기준은 모르지만 영상에서 설명한 회전 중심이 천체 안이냐 밖이냐 하는 것도 굉장히 애매한 기준임.
    지구도 달에 의해서 당연히 궤도가 틀어졌을텐데, 틀어진 정도가 적으니까 태양계 행성으로 인정한다는건데 수많은 오류들이 생김.
    예를 들면 지구와 질량이 같은데 크기가 매우 작은 행성이 있다면 달과같은 위성에 의해 회전 중심이 천체 바깥에 있을 수 있고 그러면 행성이 아니게 되는데 사실 부피 말고는 궤도상 다를게 없는데, 지구와 달리 행성이 아니게 되니까.
    따라서 행성이니 항성이니 혜성이니 하는건 그냥 편하게 나누려고 과학계가 임의로 '대충 이정도면 이렇게 말하자' 라고 약속하는 것일 뿐임

    • @ggg-wt3lq
      @ggg-wt3lq 2 роки тому

      천체는 우주에서 관측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뜻하고 밀고당기는건 만유인력이라고해서 공식이 있어 확실히 구분 할 수 있고여 달과 지구가 서로 작용을 하니까 현재의 궤도가 되어 지구는 행성 달은 위성으로 정해진 것이구요 수많은 오류가 생기는게 아니라 현재 행성들의 궤도 공통점을 따서 행성이라 칭하는 것이고여 만약 님이 말한대로 지구와 질량이 비슷하고 크기가 작은 천체가 있다면 영상에서 나온 행성의 3가지 조건에 맞아떨어질 때 행성이라고 칭하겠죠 천문학자들이 님처럼 천체도 모르고 만유인력이란 단어도 모르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물론 마지막 편하게 분류하려고 이건 이렇게 부르고 저건 저렇게 부르려고 정해놓은건 맞지만 대충정한건 아니죠

    • @ggg-wt3lq
      @ggg-wt3lq 2 роки тому

      즉 님 주장은 단편적인 지식만 가지고 그럴듯하게 설명하려고 했지만 그럴듯하지도 않고 그냥 무지함만 과시하게 된 것이네요 책 좀 더읽으세요

    • @ruiven9405
      @ruiven9405 2 роки тому

      @@ggg-wt3lq 학교에서 이제 막 우주에 대해서 배움? 뭔 의미없이 언뜻언뜻 들은말을 뒤죽박죽 섞어서 내뱉으시네. 천체는 말한대로의 의미로 쓴건데 문제있음? 우주에 떠다니는 먼지도 인력작용하는데요? 그리고 뭔 만유인력으로 구분을 할수 있다구요? ㅋㅋㅋㅋ 모든 물체가 다 만유인력이 존재하는데 어떻게 구분하심? 그리고 천문학자가 만유인력을 모른다는 얘기는 어디서 나온 얘기임? 과학만 모르는게 아니라 한글도 모르는듯 한데요? 친절하게 설명해주자면 그 사람들이 몰라서 그렇게 나눈게 아니고 알지만 대충 나눠둬야 편하기 때문에 나눈겁니다. 그러니 그들이 내린 분류에 의미부여할 거 없이 한 쪽에 분류됐으면 그런 성향이 강한가보다 정도로 받아들이면 된다는 얘기임. 행성이라고 위성으로부터 인력을 안받는게 아니니까요.

    • @ruiven9405
      @ruiven9405 2 роки тому

      @@ggg-wt3lq 그리고 적어도 만유인력 공식이 뭐고 어떻게 도출된건지는 알고 떠드셨길 바랍니다. 근데 그걸 알면 이런 멍청한 댓글을 안썼겠지만요. 이불킥하지마시고 본인이 읽었던 만유인력책 다시 정독해보세요.
      무슨 기초수준의 물리법칙을 무시하려드니 어디서부터 말해야할지도 모르겠네

    • @ggg-wt3lq
      @ggg-wt3lq 2 роки тому

      @@ruiven9405 기초법칙을 제가 어디서 무시했죠? 무시한부분좀 말좀 해주시겠어요?

  • @Syeon_o7
    @Syeon_o7 2 роки тому +2

    이 영상 보니까 방탄의 134340 노래가 떠오르네요...
    RM씨 작사 능력 정말 미쳤답니다... 꼭 들어보세용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알려드리자면 방탄의 134340 이라는 노래는 이 영상의 주제인 '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박탈당한 이야기에 대한 노래입니다!! 해당 노래의 가사를 보면 '넌 정말로 Eris를 찾아낸 걸까' '무너진 왕성에 남은 명이 뭔 의미가 있어' 같은 가사들도 있어요)

  • @includingyo
    @includingyo 2 роки тому +31

    명왕성 탐사선인 뉴호라이즌스호도 참 기구한거 같음. 기껏 태양계 마지막 행성 탐사하자고 쐇는데 쏘자마자 바로 행성 아님 해버렸으니

  • @mwk9179
    @mwk9179 2 роки тому +2

    왜 사람은 어찌보면 의미없는것에 집착할까..
    명왕성에 지위가 어디있나.. 뭘 누리기에 지위란 말을..
    행성이 되었다 왜행성이 되었다기보다 그냥 행성의 범위를 축소해서 그 정의가 변했을 뿐인데...
    명왕성의 지위? 가 추락했다던가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
    강등..? 부당..? 적합한가 부적합한가 옳은가 그른가가 아닌 부당하다 라는 말이 왜 별에 쓰여야 했을까...

  • @피타고라스-e5l
    @피타고라스-e5l 2 роки тому +9

    행성 지위를 박탈 당한 유일한 행성.. 오히려 좋은거 아닌가..? 행성 지위 박탈 당했다고 책에도 언급이 없을까? 오히려 더 언급되고 두고두고 회자되지 않을까

  • @wjywjy0508
    @wjywjy0508 2 роки тому +51

    명왕성 킬러 마이클 브라운의 를 읽어 보시면 그 당시 상황을 더 자세히 보실 수 있을겁니다.

  • @rhythm_guy
    @rhythm_guy 2 роки тому +40

    명왕성의 지름은 달의 1/5수준이아니고 지구의 1/5수준입니다

    • @정모구-j2r
      @정모구-j2r 2 роки тому +5

      지구의 1/5이였든 달의 1/5였든 달보다 더 작은건 사실이군.

  • @NoBrand0
    @NoBrand0 2 роки тому +14

    명왕성: 정작 난 관심도 없는대 왜 재들이 난리야...

  • @민재-o7w
    @민재-o7w 2 роки тому +6

    제외됐다, 명왕성!

  • @ejwd5834
    @ejwd5834 2 роки тому +5

    이제껏 영화얘기 1도 없어놓구 "다음" 영화 컨텐츠로 "또" 찾아온다는 마무리멘트 괴리감5지네

  • @o3o9.
    @o3o9. 2 роки тому +5

    그럼 명왕성하고 카론은 보이지않는 무언가를 기준으로 도는 동시에 태양계를 돌고있다는게 맞는거죠?
    그럼 명왕성과 카론은 무엇을 기준으로 돌고있는거에요? 우주 한가운데에 보이지않는 어떤 중력이 있다는건가...?

    • @하백실
      @하백실 2 роки тому

      서로의 이끄는 중력이 만난 공전의 중점이 우주 어딘가라는거일거에요

    • @dri13829
      @dri13829 2 роки тому

      @@하백실
      근데 질량비가 8.5:1 수준인데 그게 가능할까요?

  • @TV-yk7ne
    @TV-yk7ne 2 роки тому +19

    국민학생때 선생님이 외우는 방법을 가르쳐준것이 생각나는군요. '(수)상한 사람이 (금)을 가지고 (지)구에서 (화)투를 쳤다. 도박하다 벌을 받았는지 (목)구멍에서 구(토)를 했다. 그 이름 천해명. 옛날 기억이 나네요^^ 오늘도 유익한 영상 잘보고 갑니다.

    • @위티-d4y
      @위티-d4y 2 роки тому +3

      와우

    • @SJ-K
      @SJ-K 2 роки тому +13

      그냥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외우는게 빠를듯 ㄷㄷㄷㄷㄷㄷ

    • @tree_planets
      @tree_planets 2 роки тому +3

      @@SJ-K ㄹㅇㅋㅋ

    • @pfe2821
      @pfe2821 2 роки тому +3

      @@SJ-K ㅋㅋㅋㅋ

    • @456shigoroku
      @456shigoroku 2 роки тому +4

      그 이름 천해

  • @wasjin85
    @wasjin85 2 роки тому +3

    이름 따라갔다는 생각도 드는게...
    올림포스 12신에서 쫓겨나 지하세계로 떨어진 하데스(플루토)나
    태양계에서 쫓겨나 왜소행성으로 지위가 떨어진 명왕성(플루토)나...
    운명이 비슷비슷하단 생각까지도......

    • @Kyubiwan
      @Kyubiwan 2 роки тому +3

      태양계에서 제외된 건 아닙니다

  • @afterallthistimealways
    @afterallthistimealways 2 роки тому +14

    어릴적 KBS2에서 방영하는 세일러문 보고 자라서 자연스레 명왕성 알게 됐는데... 언제였지 중학생때였나? 태양계에서 명왕성 퇴출 결정이라는 뉴스보고 놀랐던 기억이 있네요ㅋㅋㅋㅋㅋ 더군다나 당시 네이버웹툰에 정글고가 한창 연재중이었는데, 하필이면 작중에 명왕성이란 캐릭터가 있었고 ㅋㅋㅋㅋㅋ 작가 Q3님께서 명왕성 퇴출된거 다루셨던게 아직도 생각납니다.

  • @Blue_DolPhin62
    @Blue_DolPhin62 2 роки тому +4

    마지막에 내가 생각했단게 그대로 나오네ㅋㅋ
    명왕성은 그저 명왕성이 있던 장소에서 떠돌아 다녔을 뿐인데 행성이다 아니다 이라면서 분류당하고..ㅋㅋ

    • @krauskim7662
      @krauskim7662 2 роки тому

      지금에서야 왜행성이라고 불러도 아무 상관이 없는거임
      명왕성이라고 불러야 할 이유도 없는거

  • @rkdgoflsN
    @rkdgoflsN 2 роки тому +5

    진짜 우주유튜버 중에는 최고인듯

  • @경북영양군
    @경북영양군 2 роки тому +5

    명왕성 궤도가 해왕성 궤도 안으로 들어오기도 한다던.. 그리고 이름이 134340으로 불린다고.. 책에서 본적이있네요

    • @Kyubiwan
      @Kyubiwan 2 роки тому +3

      이름이 바뀐 적은 없습니다

  • @stdhabitpark6661
    @stdhabitpark6661 2 роки тому +12

    1. 명왕성 크기와 질량
    2. 공전중심, 카론의 위성 여부
    3. 망원경 개량, 명왕성과 비슷한 별들

  • @auteur-
    @auteur- 2 роки тому +12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이유 :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을하며 안정적인 중력을 갖기는 하지만 주위의 모든 천체를 위성으로 갖지못함 즉 주위천제에 대한 힘의 지배권을 갖지 못한기 떄문

  • @엄-m5u
    @엄-m5u 2 роки тому +29

    와.. 명왕성이 영어로 플루토인건알았는데
    명계의 왕 이라는뜻이라 명왕성이구나

  • @천사의덫
    @천사의덫 2 роки тому +3

    명왕성 : 니들이 뭔데 날 행성이네 아니네, 임명을 했다가 박탈을 했다가 하는거냐. 먼지 만한 존재들 주제에

  • @함재현-t4q
    @함재현-t4q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또한 명왕성이 지구형 행성인지(수금지화), 목성형 행성인지(목토천해) 애매해서 행성 지위에서 박탈시킨 건 아닌가요?

  • @voICE_ICE
    @voICE_ICE 2 роки тому +4

    명왕성의 박탈이 문제가 아니라 그 기준이 애매한 게 문제다
    ㅡ누구였더라ㅡ

  • @Claymore-chobo
    @Claymore-chobo Рік тому +1

    명왕성 발견한 미국인 정말 천재인데.. 명왕성이 너무 작아서 행성에서 탈락한게 아쉽긴함😢
    만화 세일러문에도 각 행성별로 캐릭터들이 나오는데 세일러 플루토도 명왕성때문에 빠지게 되는 건가 싶네요😅 세일러 문.. 신기한건 세일러문에 세일러 어스 즉 지구는 안나옴

  • @common_newbie
    @common_newbie 2 роки тому +5

    저런 소행성이 행성이면 태양계행성은
    수금지화세베에히아팔주목토천해키명콰오하마에세--- 였을수도…

    • @Kyubiwan
      @Kyubiwan 2 роки тому +2

      정정부탁드립니다.
      -소행성- → *왜소행성*

  • @user-Estard
    @user-Estard 2 роки тому +6

    아, 명왕성을 행성으로 복귀 시키면 외워야 할 행성 이름이 거의 20여개로 늘어날 거라구..
    싫어! 싫어! 싫단 말야!

  • @프레소s
    @프레소s 2 роки тому +23

    난 아직도 수금지화목토천해 에서 끝내면 먼가 응가 덜누고 나온 느낌이듬

  • @kimsungken3685
    @kimsungken3685 Рік тому +2

    TMI: 명왕성을 찾은 톰보의 유해 일부는 무인 탐사 우주선 ‘뉴 호라이즌스’에 실려 지금 명왕성을 향해 항해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톰보는 MLB LA다저스의 투수인 클레이튼 커쇼의 외할아버지의 형제로 커쇼는 명왕성에 큰 애착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뷰 밝히길 명왕성 행성지위 박탈에 매우 아쉬워 했습니다.

  • @잉잉-e6k4n
    @잉잉-e6k4n 2 роки тому +6

    행성지위를 박탈당했다했지만 다르게 분류한 이름마저 왜행성이다

  • @memoria_99
    @memoria_99 2 роки тому +37

    퇴출에 결정적인 이유까진 아니지만 또 하나 조금 문제가 되었던 게 명왕성만 공전궤도가 다른 행성들에 비해 많이 기울어져 있던 걸로 알고있어요... 아니면 말구요 쭈글

    • @과제멈춰-s6g
      @과제멈춰-s6g 2 роки тому +22

      맞워요~ 이심률이 다른 행성들과 달리 컸다고 하네요. 혜성처럼요(물론 혜성만큼은 아니지만) 그리고 다른 행성들은 공전궤도면이 서로 어느정도 수평이지만 명왕성은 공전궤도면도 많이 기울어져서 왜소행성에 더 가깝기도 하구요

    • @susemi123
      @susemi123 2 роки тому

      영상에서는 빠져있지만 퇴출되는 이유 중 하나인건 맞습니다.

  • @INE_TAIL
    @INE_TAIL 2 роки тому +9

    행성이 12개라면 황도 12궁이랑 수도 맞아서 괜찮을것 같은데 아쉽다
    태양까지 합치면 13개로 행성에서 추방될뻔한 명왕성을 뱀주인자리랑 연관지어 볼 수도 있었을텐데

  • @Hoochoo_Soguem
    @Hoochoo_Soguem 2 роки тому +12

    리뷰엉이님 영상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우주와 인간, 과학 같은 분야에 관심이없다가
    외계인 인터뷰 라는 책을 읽고난뒤 부터 이것저것 찾아보는데요,
    외계인 인터뷰 내용도 과학적 수학적으로 풀어 주시면 안될까요? 말도안되는 거짓같으면서도 믿음이가는 이상한 책이라서 논리적으로 타파하여주세요!

  • @김영훈-e9i8c
    @김영훈-e9i8c 2 роки тому +3

    솔직히 그냥 원래 자리에서 그냥 돌고 있을뿐인 돌덩이를 인간 멋대로 행성이다 아니다 멋대로 지정했다 빼는 것 뿐임 아무런 의미 없죠

  • @DOHA33
    @DOHA33 2 роки тому +1

    이거 보면서 아니 명왕성은 그냥 거기 계속 있어온 건데 왜 먼 지구별 사람들이 명왕성 가지고 싸우나 몰라 생각했는데 마지막에 가려운 곳 긁어주셔서 체증이 싸악..

  • @직원-p9m
    @직원-p9m 2 роки тому +19

    윌라 회사 복지의 일환으로 신청하면 개인 아이디 하나씩 주고있어서 쓰고있습니다. 덕분에 출퇴근할때 노래만 듣다가 요즘은 책을 듣고있어요. 성우님들 연기까지 하시며 읽어주셔서 아주 몰입감이 있더군요!! 다만 듣는 것이다보니 읽는 것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고 운전할땐 살짝 잠이 올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합니다.

  • @웅엥-i8y
    @웅엥-i8y 2 роки тому

    헐 넘 궁금했는데 학교애서는 설명 안해줘서 아쉬웠음ㅜㅜ 영상 넘 감사합니다

  • @Jly132
    @Jly132 2 роки тому +8

    어쨌건 태양중심 뭐가 이렇게 더 많았구나.. 정말 더 미스테뤼어스 재밌고 놀랍다..😶‍🌫️

  • @hazzisssluv5066
    @hazzisssluv5066 2 роки тому +8

    지금까지 당연하게 너무 많으면 좀 그렇지?? 라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마지막 명왕성입장 듣다보니 태양계행성이 많아지면 안되는 이유가 굳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진짜로 인간이 정했던 기준을 바꿔가면서 수금지화목토천해만 가져가려는 이유가 교육용, 자주바뀌면 혼란스러워진다... 등의 이유가 와닿지가 않네요

    • @GukGuk9
      @GukGuk9 2 роки тому +2

      명왕성 세레스 등 왜소행성을 행성이라고 치면 발견된 또 다른 왜소행성들, 앞으로 발견되는 왜소행성들 또 분류가 애매해지고
      시간을 거쳐 분류를 한다해도 왜소행성과 지구,목성,화성 등 행성 두 천체사이에 확실한 구분이있어서 결국 행성으로 쳐도 안에서 또 다시 구분을 해서 결국 지금이랑 똑같이 되니까 그런거아닐까요?

    • @krauskim7662
      @krauskim7662 2 роки тому

      명왕성을 행성으로 분류하면 행성이 될 왜행성들이 너무 많다니까요.
      도대체 뭘 들은건가요??

    • @hazzisssluv5066
      @hazzisssluv5066 2 роки тому

      @Kraus kim 2달전 댓글에 갑자기 알람떠서 들어왔는데 왜 많아지면 안되는지를 댓글쓴건데
      도대체 뭘 읽으신건가요??
      이유에 대한 설명은 없고 많으면 안된다라고 쓰셨네요 ㅎㅎ

  • @duk6046
    @duk6046 2 роки тому +17

    리뷰엉이는 더 이상 리뷰어가 아니다! 리뷰엉이는 도대체 왜 평론가 지위를 박탈당했을까?
    근데 우주 과학이란게 역사나 언어 처럼 완전히 정해진 기록물이 아니라 그냥 교육 체계를 바꿔먹는게 더 맞는 방향이 아닌가 싶네요

  • @짜림-f9n
    @짜림-f9n 2 роки тому +3

    이거 명왕성 행성에서 박탈된거 과학쌤께 진짜 많이 들었는데 이유 알게 됐네요ㅎㅎ 이유 진짜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ㅎㅎ

  • @이름쉬운
    @이름쉬운 2 роки тому +6

    형 명왕성 퇴출이 언제였지
    06년 아닌가?? 그정도면 이제 젊은이들은 명왕성 존재도 모르지않을까 학교에서 안배워서 ㅋㅋㅋㅋ

    • @liketak96
      @liketak96 2 роки тому +1

      2000년생 이후는 안배우지 않나요?

  • @Life_Is_Science
    @Life_Is_Science 2 роки тому +3

    8:10 행성의 정의가 잘못 나온거 같네요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게 아닌 항성 주위를 공정하는 것입니다.

  • @투영-x9u
    @투영-x9u 2 роки тому +8

    실상
    명왕성: 공전할때까지 다살지도못하면서 ㅈㄹ들이여

  • @보현조-l6p
    @보현조-l6p 21 день тому +1

    한번 행성으로 되있는 걸 바꿀수는 절대 없다

  • @다람-w3w
    @다람-w3w 2 роки тому +20

    ㅋㅋㅋㅋㅋㅋㅋㅋ시간 역행 터넷 영화를 시작으로ㅋㅋㅋㅋ과학 유튜버가 된 것 같은 리뷰엉이

    • @insoos
      @insoos 2 роки тому +7

      아니에요. 인터스텔라 때가 시공 분리점. 다른 평행우주의 지구에서는 계속 영화유튜브 하신데요. ㅋ

  • @iiiwwwii
    @iiiwwwii 2 роки тому +1

    인간이 행성 지위를 박탈해서 우습다는 댓이 더 웃김. 인간이니 인간 나름의 기준으로 천체를 구분하고 연구하는 건데, 그게 우습다는 건 행성을 인격체로 생각해서 행성 입장을 공감하는 건가? 이해가 안됨.

  • @73comin
    @73comin 2 роки тому +36

    마치 영화와 과학 그 어딘가의 공간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리뷰엉이 채널을 보는 것 같네요

  • @karu_gameworld
    @karu_gameworld 2 роки тому +1

    자세하게 알고 싶었는데 감사합니다!

  • @이화세계수
    @이화세계수 2 роки тому +36

    요즘에 명왕성에 대한 행성에대한 직위복위가 주장되고 있음 이 영상에 나오는 기준이 원래 행성의 기준이 아니라 점성술에서 따온게 많다면서 원래 과학자들이 주장하던거에 따르면 행성은 좀더 폭넓은 범위인 현재의 위성하고 행성 둘다 통칭했었으니 그걸로 바꾸자고
    그거 주장하는 영상 ua-cam.com/video/_U-vlWAPR1I/v-deo.html

    • @PIGeon0515
      @PIGeon0515 2 роки тому +10

      요즘이 아니라 저분들 2006년쯤부터 주구장창 주장하던 내용이 드디어 논문으로 나온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2006년에 정해진 이 행성 기준은 태양계 한정 행성의 정의이기 때문에 단순히 우리가 태양계를 배우기 편하게 하기 위한 조치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조금 비관적인 시선에서 저 논문을 보면 자기네들 논문 쓸 거리가 많은 천체를 행성이라 부르자는 것 같단 생각도 들어요

    • @이화세계수
      @이화세계수 2 роки тому

      @@PIGeon0515 제가 봤을 때는 의도가 불순하다고 가정해도 논문이 나온것이 오히려 좋은것 같아요 그래도 토론이라도 할수 있고 뭐가 맞는지에 대해서요

    • @PIGeon0515
      @PIGeon0515 2 роки тому +1

      @@이화세계수 맞아요. 과학이란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기때문에 새로운 규칙의 제시와 변화는 언제나 열려있죠. 그래서 과학이 매력적인것같아요.

    • @krauskim7662
      @krauskim7662 2 роки тому +4

      @@이화세계수 의도가 매우 불순한거 맞아요.
      미국인이 처음 발견한 행성이 명왕성이고 지금도 주장하는 이들이 미국학회임
      그외는 다 행성지위박탈에 찬성했고
      미국이니까 이렇게 우기는거지. 다른나라였으면 의견제시도 못했음
      그리고
      명왕성의 행성회복운동을 하면 에리스도 행성으로 만들자 라는 논리도 같이 펴야죠. 그들에겐 에리스 따위는 관심밖임
      너무너무 불순하죠.

  • @바다-u6i
    @바다-u6i 2 роки тому

    0:02 전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외울때 수금지화목토천해 까지 있었어요(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

  • @asrok76
    @asrok76 2 роки тому +10

    가끔 잊고사는데 리뷰엉이가 언제를 기점으로 과학유튜버가 된거지??

    • @_Airway
      @_Airway 2 роки тому +8

      인터스텔라 리뷰해서 영화유튜버의 자격조건을 박탈당함

    • @mcmin-m7m
      @mcmin-m7m Рік тому

      인터스텔라

  • @hypedout7633
    @hypedout7633 2 роки тому +2

    134340이라는 노래 예전에 진짜 많이 들었는데 이 영상 보니까 가사가 다시 이해되네요ㄷㄷ

  • @연이-n7v
    @연이-n7v 2 роки тому +35

    이쯤되면 리뷰엉이님은 전공이 물리학과나 천문학과 이실거같아요 ㅋㅋㅋㅋㅋㅋㅋ

  • @shinygracekim8897
    @shinygracekim8897 2 роки тому +1

    창세기 1장 [개역개정] 대한성서공회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하나님이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라 하시고
    하나님이 궁창을 만드사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이 궁창을 하늘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둘째 날이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천하의 물이 한 곳으로 모이고 뭍이 드러나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이 뭍을 땅이라 부르시고 모인 물을 바다라 부르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어
    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셋째 날이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하늘의 궁창에 광명체들이 있어 낮과 밤을 나뉘게 하고 그것들로 징조와 계절과 날과 해를 이루게 하라
    또 광명체들이 하늘의 궁창에 있어 땅을 비추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이 두 큰 광명체를 만드사 큰 광명체로 낮을 주관하게 하시고 작은 광명체로 밤을 주관하게 하시며 또 별들을 만드시고
    하나님이 그것들을 하늘의 궁창에 두어 땅을 비추게 하시며
    낮과 밤을 주관하게 하시고 빛과 어둠을 나뉘게 하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넷째 날이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들은 생물을 번성하게 하라 땅 위 하늘의 궁창에는 새가 날으라 하시고


    하나님이 큰 바다 짐승들과 물에서 번성하여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날개 있는 모든 새를 그 종류대로 창조하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여러 바닷물에 충만하라 새들도 땅에 번성하라 하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다섯째 날이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내되 가축과 기는 것과 땅의 짐승을 종류대로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이 땅의 짐승을 그 종류대로, 가축을 그 종류대로, 땅에 기는 모든 것을 그 종류대로 만드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들로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내가 온 지면의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의 먹을 거리가 되리라
    또 땅의 모든 짐승과 하늘의 모든 새와 생명이 있어 땅에 기는 모든 것에게는 내가 모든 푸른 풀을 먹을 거리로 주노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여섯째 날이니라

  • @DancingSoap
    @DancingSoap 2 роки тому +3

    명왕성 퇴출 때문에 왕언니 대학생 마법소녀 세일러 플루토
    메이오 세츠나가 세일러문에서 퇴출당하게 생겼다~~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복구 시켜라~

  • @야근문어
    @야근문어 2 роки тому +2

    정작 우리들이 리뷰엉이는 과학유뷰터다! 영화유튜버디! 해고 리뷰엉이는 그냥 처음부터 있었을 뿐이었고, 언제부턴가 우리들이 과학이나 영화라는 기준으로 나누고 있을 뿐이다

  • @모모-w9w
    @모모-w9w 2 роки тому +4

    명왕성이 지구보다 작죠? 근데 귀여워 하트모양이 보여서 ㅜㅜ

  • @JPeclipse
    @JPeclipse Рік тому +1

    명왕성이 공전하는 중심에 작은 행성같은게 있을수도있음 그래서 명왕성과카론은 어떤 것의 위성일수도있음

  • @seungminlee5308
    @seungminlee5308 2 роки тому +4

    8:16 에 항성 주위를 돈다고 해야하는거 아닌가요??
    아니면 태양만 항성이고 나머지는 다 행성인가요?
    행성 주위를 도는 천체가 행성이라고 되어있어서요!!
    확인 부탁드립니당

    • @Nashernamzak
      @Nashernamzak 2 роки тому

      태양만 행성이예요

    • @user-mangoketchup
      @user-mangoketchup 2 роки тому +2

      @@Nashernamzak 태양은 항성인데요

    • @seungminlee5308
      @seungminlee5308 2 роки тому

      @@Nashernamzak 항성이 恒星으로 항상 그 자리에 있다는 뜻으로 항성으로 알고 있습니다

  • @otto0204-m6r
    @otto0204-m6r 2 роки тому +2

    명왕성을 예측한 저 퍼시벌 로웰이란 양반은 구한말에 우리나라에서 벼슬살이도 했었고 본인도 그걸 대개 뿌듯해 했었다고 합니다. 아뭏튼 저양반이 저승에서 이 사실을 보면서 가슴아파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 @안승현-p5x
    @안승현-p5x 2 роки тому +8

    이 이야기가 시트콤 빅뱅이론에서도 나오죠.
    무려 현시대 가장 유명한 천문학자 닐 타이슨이 나온 편인데 주인공 셸든이 하필이면 개빡쳐 있는데 아는척 했다가 타이슨박사한테 내 명왕성 뺏어간 나쁜시키라고 욕박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angHwaLee-v6i
    @SangHwaLee-v6i 2 роки тому +1

    우주에는...과학도 있지만 낭만도 있잖아요
    태양에서 가장 먼 해왕성을 관측하다가 발견된 미지의 행성
    다른 행성들보다는 좀 다르고 잘 못하는 깍두기 같은 녀석
    그래도 우리 은하에 없으면 슬프고 섭섭해질것같은 녀석
    그냥 우리 명왕성 행성으로 다시 복원시켜줘요

    • @자유시간-s5p
      @자유시간-s5p 2 роки тому

      그러면 다른것도 전부 넣어서 안됌

  • @고양이-g2r
    @고양이-g2r 2 роки тому +10

    명왕성은 어떤걸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는건가요?
    짧은 지식으로는 태양과 우리 지구의 관계처럼 공전은 어느 한 행성의 중력으로 인해 가능한걸로 알고있는데 궁금하네요

    • @GukGuk9
      @GukGuk9 2 роки тому

      영상으로는 그냥 빈공간인가봐여 그 이전에 뭔가가 있었는지는......모르죠......!

    • @geralt1987
      @geralt1987 2 роки тому

      이중행성이 중심천체 밖에 무게 중심이 있는 행성인데 카론의 질량이 명왕성과 비교했을때 워낙커서 카론이 명왕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명왕성 중심이 아니라 둘사이 우주공간에 있게 됩니다.

    • @고양이-g2r
      @고양이-g2r 2 роки тому

      그럼 서로 공전을 시켜주고 있다고 보면 되겠네요? 아슬아슬하게 붙지도 않고 떨어지지 않는 적당한 중력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건가보네요 ㅋㅋ

    • @GukGuk9
      @GukGuk9 2 роки тому

      @@고양이-g2r 그걸 쌍성 이라고 부르는데
      제가 아는 쌍성은 서로 비슷한 궤도로 돌면서
      서로의 공전에 영향을 주는걸로아는데
      동영상에 나오는건 제가 아는거랑 다르네요
      명왕성보다 질량이 크다면 서로 공전궤도 영향을 주고 있을테니
      쌍성이라고 부를수있을지도..?

  • @damonkim2921
    @damonkim2921 2 роки тому +2

    근데 궁금한게 대체 명왕성이 행성에서 빠진게 사람들에게 무슨 피해가 있어서 시위까지 하는거에요? 정말 저게 뭐길레 저렇게 시위까지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damonkim2921
      @damonkim2921 2 роки тому +2

      @Siu Goh 아 감사합니다! 한번 보고 저게 이해 안되서 적었는데 보자마자 생각나네요!

  • @hyujitong8452
    @hyujitong8452 2 роки тому +5

    명왕성은 행성도 아니고 소행성도 아니니 "중성"이라고 칭합시다.

  • @뒤통수핥짝
    @뒤통수핥짝 2 роки тому +2

    8:12 오타!! 행성->항성

  • @명품현기차
    @명품현기차 2 роки тому +3

    명왕성보다 훨씬 더 태양둘레를 모범적인 루트로 공전하는 군소행성이
    발견된 것만 수십개랍디다.

  • @퐝엘
    @퐝엘 2 роки тому

    재밌는 얘기 감사합니당
    뒤 쪽 나레이션이 약간 장기하 비트랑 찰떡이네용

  • @RuruuSS
    @RuruuSS 2 роки тому +4

    명왕성 이야기 나올때마다..
    세일러 플루토 생각이 나서 안타깝습니다...

    • @liketak96
      @liketak96 2 роки тому +1

      페르세포네 하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