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이 말해주는 저출산 해결법? [철권과 저출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781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34

    ◆ 지식공장장 (메인 채널)
    ua-cam.com/users/gsmooc
    ◆ 출간도서
    《돈, 역사의 지배자》 : tinyurl.com/2gag649p
    《일본졸업》 : tinyurl.com/2lnvovxk

    • @출산드라-u7t
      @출산드라-u7t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세가가 드림캐스트랑 쉔무만 안망했어도 버파는 계속 나왔을텐데 ㅋㅋ

    • @BiElseuki
      @BiElseuki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이건 멀티채널이군요 메인채널 구독하러 갑니다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10 місяців тому +249

    와 생각지도 못했던 뭔 듣도보도 못한 조합의 제목이라 진짜 안 들어올 수가 없었다 ㅋㅋㅋㅋ 철권과 저출산이라니

    • @스위-s3u
      @스위-s3u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동감합니다 저도 철권하고 저출산 왜? 라고 생각했는데.. 오늘 영상을 보고 저도 생각거리가 많아지네요..

    • @jinos_japikel_2223
      @jinos_japikel_2223 10 місяців тому

      신입으로 취직해서 일배운 주제에 경력직만 찾아대는 개새끼같은 86세대가 이 이야기를 잘 들을수 있게 30cm 송곳으로 귀를 뚫어줬으면합니다.

    • @ovellee711
      @ovellee711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스위-s3u 관심이 없으셨나보네요.. 이거 꾀나 말이많았던거 같은데.. 격투게임시장은 계속 상한을 낮춰야한다 얘기를해왔는데 그걸해온건 지금까지봐서는 길티기어만 있다고보고요.. 다른건 입문만 쉽게해놓은거고 결국엔 상한은 낮추지않았죠.. 길티는 벨런스가 망겜이라서 좀 그렇긴하지만요..

    • @김정현-m1s4z
      @김정현-m1s4z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실력게임인게 오히려 뉴비에게 장벽이 되고 고인물만 남다 고인물끼리 폐사하는거보고 저출산드립 치긴했는데 정리된게 나와서 홀린듯이 들어왔다

    • @내공냠냠-p3d
      @내공냠냠-p3d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저출산과 철권 이걸 이렇게 엮는다고? 싶긴 함

  • @KangShinMin
    @KangShinMin 10 місяців тому +30

    뉴비와 고인물의 실력 차이를 고인물의 자비심에만 맡기면 게임판이 어떻게 되는지를 보면, 빈부의 격차를 부자들의 자비심에만 맡기면 우리 사회가 어떻게 될 지 알 수 있다... 이렇게도 연결 되는군요. 탁월한 혜안이십니다. 정부의 역할이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거 같습니다.

    • @user-mk3wh9nw4i
      @user-mk3wh9nw4i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정확히 보심 ㅇㅇ.

    • @RegularTangguk
      @RegularTangguk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불필요한 권리가 해롭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 @박동준-x2y
      @박동준-x2y 10 місяців тому

      굥을 보면 한숨만...

  • @Kamielluna
    @Kamielluna 10 місяців тому +85

    뉴비를 부르는 방법의 교과서

  • @JSD-The_Forbidden_Road
    @JSD-The_Forbidden_Road 10 місяців тому +64

    대전게임과 저출산의 고찰 잘 봤습니다
    결국은 기득권이 자신의 몫을 나눠줘야 그나마 어느정도 해결이 된다는 말에 동감합니다
    하지만 쉽지 않을거 같네요 아마 거의 불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32

      그렇죠. 아파트 경비실에 에어컨 놓는 것도 반대가 많은 곳이 있으니, 쉽지 않을 듯 합니다.

    • @pastatuna2557
      @pastatuna2557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기득권층이 자신의 몫을 나눠준 역사가 있습니다. 근데 과정이 좀 과격했죠.
      그후 그나라들은 잘풀리기 시작했습니다.
      그건 바로 6.25 와 호텔르완다입니다. ㅋㅋㅋ

    • @자룡-h4i
      @자룡-h4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pastatuna2557아니 ㅋㅋㅋ

    • @clench4806
      @clench4806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거의 불가능이 아니라 아예 불가능

    • @윤경목-z4o
      @윤경목-z4o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기득권이 가진 몫을 나누게하려면 결국 가지고 있는 것을 내려 놓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어야 가능할 것인데 그런 상황은 많은 피가 흘러야만 가능할테니..

  • @서지호-v3y
    @서지호-v3y 10 місяців тому +86

    MMORPG가 망하는 과정과 저출산 사회가 참 비슷하다는 생각은 해본 적이 있는데 철권과 저출산은 참신한 조합이네요.
    한국에서 제일 유명한 격투 게임이라 철권을 예시로 드셨겠지만 철권이 참 절묘한게 격투 게임 국제 표준은 2D 인데 한국은 유독 철권이 압도적인 강세인 점이나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전환, 그 좁은 철권판에 수많은 사건 사고를 보면 이 게임만큼 한국 사회를 설명하기 좋은 게임도 드물 것 같아요. 재미있었습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8

      사회가 반영된다는 건 그만큼 훌륭한 게임이라는 뜻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Curse_of_Leo
      @Curse_of_Leo 10 місяців тому

      잠깐, 저런 평범한 사람도 게임을 저출산과 엮였는데...
      난 데체 왜 게임을 사회와 연관짓지 못한 거야... 재능이 없으니깐! 😢

    • @LCH0228
      @LCH0228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Curse_of_Leo저 사람과 님은 다른 사람이니까요
      다른것을 님은 잘하시겠죠

    • @user-wuhaha
      @user-wuhaha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LCH0228 멋진말이십니다

  • @김인성-o6r
    @김인성-o6r 10 місяців тому +19

    저도 최근 한 2년간 철권을 다시 잡았다가 놓았는데요. 딱 말씀하신 대로 아 나는 이제 더 이상 성장할 수 없겠다라는 생각이 들면서 포기하게 되었네요. 피지컬 딸리는 거야 어쩔 수 없다 쳐도 격겜의 역사만큼 쌓여온 공부거리들을 감당할 자신이 없더군요. 롤도 처음에는 단순했지만 지금은 수많은 챔프들의 특성과 각종 다양한 빌드, 전술을 이해해야 하듯이 격겜도 어느 정도 게임을 이해했다, 고수의 단계에 입문은 했다 치려면 배워야하고 숙달해야할 게 너무 많습니다. 이것을 수십년 간 서서히 익혀온 사람들은 쉽게 느껴지겠지만 이 모든 걸 한꺼번에 감당해야 하는 뉴비입장에선 다가가는 것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죠. 그리고 갈수록 이 문제는 심해질 수 밖에 없어서, 철권8과 스파6가 흥하긴 했어도 격겜의 미래는 그닥 밝지 못할 거라 생각합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요즘은 기술도 많고, 활용법도 늘고 해서 정말 공부를 해야 하는 수준이더군요. 롤은 밸런스 패치를 자주해서 초보들이 다 떨어져나가고... 요즘 사람들이 건담 안보는 이유중 하나가 그런 '공부'일텐데, 게임도 그런 시대가 되었을 줄은 몰랐습니다.
      스파6의 모던 모드는 정말 모범적인 사례더군요.

    • @김인성-o6r
      @김인성-o6r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inswrite 게임을 '공부'해야 된다는 게 참 아이러니죠.

    • @hotchoco3823
      @hotchoco3823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inswrite 캬 건담도 진짜 공감 됨 ㅋㅋ

  • @kynicosbios5093
    @kynicosbios5093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아주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부모님보다 가난해지는 세대가 이미 시작되었으니 겨울을 잘 대비해야겠네요.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최재천 교수님은 이미 포기해야 할 시기라고 하시더군요. 이젠 겨울날 준비를 각자 해야 할 듯 합니다.

  • @diablodoc098
    @diablodoc098 10 місяців тому +11

    이번 철권8과 스파6를 보면 성공한 전략과 실패한 전략으로 나뉘는게
    철권은 간편모드를 좀 넣어서 구색을 맞춘걸로 새로운 유저를 모으려고 하다가
    정작 뉴비들은 그동안 쌓인 어마어마한 기술 데이터를 보고 포기를 했고
    스파는 모던 모드라는 일단은 입문이 수월하게 해주는 입력 시스템을 만들어서
    캡콤이 공식적으로 일본내 유저 연령층이 30대 중반에서 20대 중반으로 내려갔다고 함
    이걸보면 겉으로 출산시 돈을 얼마 준다고 하는 한국의 떄우기식 정책에 비해서
    출산하면 어떤식으로 도움을 준다고 하는 유럽쪽의 정책을 보면
    저출산의 가장 큰 이유는 정책을 만드는 책임자들의 방향성이 문제라고 봄
    여담으로 지금 일본에서 스파6의 인기는 비정상적이여서
    정작 일본 게임관련 전문가들도 왜 이렇게 엄청난 인기인지 모르겠다고 함

  • @LeRanil
    @LeRanil 10 місяців тому +26

    스트리트 파이터6는 그런 면에서 되게 잘 만들었다고 드는게....
    전 월드 투어 모드만 하는 편인데, 신 캐릭터가 나올 때마다 짤막하게 새로운 이야기가 나오고 그걸 보고 싶어서 다시 들어가게 되더라고요.
    이 월드 투어에서 캐릭터를 간접 체험하고 그게 구매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도 아주 인상적이고요.

    • @carnby2k
      @carnby2k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와...월드투어 저는 진짜 재미없던데. 각자의 취향은 다 다르군요

    • @LeRanil
      @LeRanil 10 місяців тому

      @@carnby2k
      철권도 보면 비치 발리볼만 주구장창 하시는 분도 계시는 걸요 뭐 ㅋㅋ

  • @c91sy85
    @c91sy85 10 місяців тому +184

    제목만보고 댓글 쓰는 사람있다에 한표

    • @출산드라-u7t
      @출산드라-u7t 10 місяців тому +58

      한줄요약: 저출산되면 대전격투 같이 할 사람이 줄어들어서 격겜 위기.

    • @Olorine
      @Olorin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출산드라-u7t ㅋㅋㅋㅋ

    • @c91sy85
      @c91sy85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출산드라-u7t 노오오력이 부족하다ㅋㅋ

    • @FrostBlizzard1
      @FrostBlizzard1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출산드라-u7t아 쌍수호박을 익혀서 플레이하란 말이야

    • @리치-z6p
      @리치-z6p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출산드라-u7t 아 딜케를 익혀서 플레이를 하란 말이야

  • @sangjinlee6562
    @sangjinlee6562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와, 꽤나 신박한 비유입니다. 그러고 보니 두 가지 문제가 묘하게 닮았네요. 되도록 많은 사람들이 이 영상을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 @Kim-qb6hp
    @Kim-qb6hp 10 місяців тому +9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모두가 답은 알고 있지만 사실은 실현불가능한 답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현실을 받아들이고 사회를 조정하는데 주력해야한다는 의견인데 이또한 쉽지 않은 일이니 참..
    국가입장에선 이런 현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는 없으니 계속 저출산 대책을 만들겠지만, 유지하고 조정하는 쪽으로 하루라도 빨리 정책방향을 잡아야 그나마 사회질서가 유지될거라고 생각합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책 중에는 사회 조정은 더 어려우니 그나마 쉬운 저출산을 고른거라는 말도 있더군요.
      사회문제가 해결되면... 살기 좋으면 낳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 @추억이후의변화
      @추억이후의변화 10 місяців тому

      책 좋아해서 그런데 저출산 관련해서 어떤 책이 읽을만 했나요? @@inswrite

    • @pastatuna2557
      @pastatuna2557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런점에서 이솝이 참 천재같습니다.
      오늘날의 저출산 해결책은 딱 고양이목에 방울달기더군요.

  • @JJJ0391
    @JJJ0391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씁쓸하지만 묵직한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 @BiElseuki
    @BiElseuki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고급지식 영상에 매료되어서 자주오게 되었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 @레드원RedOne
    @레드원RedOn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4

    이걸 보면서 철권8의 대전격투의 문제점이 확실히 알 수 있죠.
    백대쉬, 웨이브를 버튼 하나로 넣어주면 뉴비들도 조금이나마 게임이 쉽지 않을까 했는데
    그걸 해주면 기존의 오래 동안 연습을 한 유저는 뭐가 되냐는 말이 있더라고요.
    게임을 쉽게 해주면 많은 사람들이 더 폭넓게 할 수 있는데 어려운 것은 연습으로 해라.. 아니면 하지마라.. 이런 식이라서
    너무 아쉽습니다. 유저 수가 많이 늘어나고 게임하는 사람이 많으면 전부다 좋은데 말이죠.

    • @kiyjy7
      @kiyjy7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대다수의 기존 유저들이 확실하게 모르는 듯 합니다.
      고인물은 썩을 수밖에 없고 새로운 사람이 들어오지 않으면 그 게임은 망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요.

    • @이창민-y1w
      @이창민-y1w 10 місяців тому

      ​스타크래프트도 리마스터하면서 드라군의 ai나 불편한 단축키, 버그 등등을 상당수 수정하려 했는데 기존 게이머들 반발로 그래픽만 고치고 내용적인 것들은 거의 건드리지 못했다죠.@@kiyjy7

    • @Doyeahjb
      @Doyeahjb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그래서 레이나는 원버튼 웨이브 넣어줬음 백대시도 44만으로 꽤 플레이 가능하게끔 된데다 정커맨드 백대시도 너프멕임

    • @user-jt1qq6ql6p
      @user-jt1qq6ql6p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지금 스파6상황임. 처음에는 모던 욕하는 사람 좀 있었는데 모던으로 우승도 하고 유입늘어나고 게임 ㅈㄴ 흥하니까 이제 모던 욕하는 사람들은 개씹틀딱 고려장 예정자로 여겨지고 조리돌림 당함.

    • @이재원-s2z6q
      @이재원-s2z6q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kiyjy7 대다수의 기존 유저들도 당연히 알죠 ㅋㅋㅋ
      근데 그게 제3자가 바라보는 입장과 본인이 닥치는 현실은 전혀 다릅니다
      예를 들어서 백대쉬나 웨이브 등등 그런 시스템을 입문자도 편히 쓸수있게 만들어주면
      그동안의 철권을 잘하려고 몇백 몇천시간동안 노력한 기존 유저들을 오히려 차별하는 시스템이 되는거죠
      나는 철권 잘하려고 이 게임에 투자를 얼마나 했는데 그 결과물이 막 입문한 입문자들과 별 차이가 없으면
      과연 철권이라는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 재미가 있을까요?

  • @hotchoco3823
    @hotchoco3823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섬네일 보고 어떤 참신한 댕소리를 할까 궁금해서 클릭했는데
    스킵도 없이 영상 내내 끄덕끄덕 하면서 봤네요
    정말 제대로 잘 짚으신거 같네요. 정말 위대합니다 선생 !

  • @hjh1895
    @hjh1895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인정받고 싶은 욕구도 철권같은 대전격투게임이 시들어버린 이유가 있을거같아요, 옛날에는 뒤에 보는사람도 있었고.요즘은 소통도 안되는 1대1게임을 이겨서 얻는 인정욕구보다 다대다 게임에서 이겨서 얻을수있는 인정욕구가 더 크다고 생각되거든요.

  • @baongjinwoo
    @baongjinwoo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대전격투 겜은 이제 추억이죠 손느려서 안되는 파동권 쏴보겠다고 책상에 낙서해서 연습했던 어린시절이 떠오릅니다 😆
    고교시절 제 친구는 철권 10단콤보 익힌다고 연습장에 버튼누르는 연습했고요
    격투겜은 기본적으로 피지컬싸움이라 진짜 피지컬싸움이죠. 근데 한국에서는 겜이 희안하게 퍼져버려서 고전게임시절 피지컬이 아닌 현질로 템맞춰 눌러버리는게 인식되면서 쌀먹같은 재테크 수단이 되는걸보고 이건 진짜 겜을 모독하는거라고 느꼈죠
    겜을 비트코인판으로 만들다니 이것도 능력인것같습니다
    이런 일확천금판에 당연히 격투겜은 도태되는게 당연하다고 봅니다
    그나마 피지컬겜인 롤이 아직까지도 인기가 많아 다행입니다,
    근디 이 롤도 이미 고인물싸움이라 ㅎㅎㅎ
    아 그리고 저출산은 대책없습니다 터이타닉은 이미 침몰했으니 눈치싸움만 할것같습니다 ,,,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러고보니 처음 할 때는 파동권 타이밍, 소닉 붐 모으는 타이밍 잡는거 힘들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저출산은... 저도 있는 사람들이 잘 사는 방법을 찾는데 힘쓰는게 낫다는데 동의합니다.

  • @젠첩학살자조강현
    @젠첩학살자조강현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상 잘봣습니다 저출산이유는 뭐 엄청많지만 그걸 해결하고싶지않게만드는 사회나 뉴스소식도 그렇고 생각할게 많은 시대인것같습니다

  • @user-gg2bs4yp2b
    @user-gg2bs4yp2b 10 місяців тому +11

    "하지만 이건 과거의 사실이긴 하되 현실의식이 결여된 의션이라고 봐요" 세대갈등을 제대로 표현한 명언인것 같습니다. 과거 세대는 이해하지 않으려하고 현재세대는 이해하고 싶어도 이해할수 없는 상황을 말하는것처럼요.

  • @MrShwiner
    @MrShwiner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통찰력이 대단하시네요. “기성세대의 욕심이 시장자체를 무너뜨리게 된다”

  • @rhfjsl
    @rhfjsl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진짜 통찰력이 대단하시네요
    평소에 생각하던 사실들이 완벽하게 정리된 느낌이네요

  • @김모두-t7n
    @김모두-t7n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참신하고 공감갑니다

  • @버서커버서커
    @버서커버서커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전 MMORPG장르에서 비슷한걸 느꼈었는데 생각해보니 대전격투에서도 같은 느낌이긴 하군요
    MMORPG도 PVP가 허용되는 게임은 먼저 앞서나간 유저가 중요 아이템을 드랍하는 보스를 통제한다거나 사냥터를 통제하는 경우도 많아서...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MMO로 해볼까 하다가 거긴 너무나 인간사회의 근원인지라 글 쓰다 불편해져서 주제를 바꾸었습니다.
      그나마 예전에는 인간사회의 정이라도 있었지만 요즘은 그야말로 약육강식이더군요.

    • @hitgirl6201
      @hitgirl6201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 이유중 하나는 영상 내용처럼 아이템이 돈이 되는 현금화때문이 크다고 봅니다. 하나의 거대한 사업이 되어 버렷지요. 리xx게임의 영향으로 한국유저들의 문화중 하나가 되엇달까요. 아마 한국형mmorpg의 문명은 그때 정해졋나봅니다. 좀더 말하면 그래서 월드오버워크래프트에 열광한 한국유저분들도 많앗다고 봅니다. 적어도 어느정도 선(?)은 지켜졋다고 보여졋거던요 물런 전쟁서버는 뒤치기 시체지키기등이 난립햇지만요...

    • @버서커버서커
      @버서커버서커 10 місяців тому

      @@inswrite 그렇군요 저도 공장장님 생각이 맞는거 같습니다

  • @인생역정-z9o
    @인생역정-z9o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좋은 인사이트를 가지셨네요. 회사 내부 환경도 딱 그러합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회사하니 떠오르는데 요즘엔 회사들도 채용을 줄이고 AI나 외부업체로 메우려고 하죠...
      굳이 사람을 뽑아야 한다면 경력ㅇ르 뽑는다고 합니다.

  • @Yorido_jua
    @Yorido_jua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완전한 새로운 기업이 세워져야 함을 느낍니다 😂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경쟁이 치열해지면 소비자에겐 좋죠.

    • @Yorido_jua
      @Yorido_jua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inswrite 경쟁 말고, 말씀하신 기성 세대, 즉 기득권이나 기존 회사의 많은 권한을 가진 간부들은 수익의 재분배, 차이가 나더라도 어느정도 평등한 분배에는 관심이 아예 전무한 것 같아서요. 경쟁이 치열해지면 소비자는 좋다는 말은 일견 맞는 말씀이지만 현재로서는 정보의 불평등 (현대 사회가 유튜브 및 뭐 인터넷이 발달해서 정보가 공개 되었다 이거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진짜 고급 정보는 업계만 알고 있거나 어느정도는 전공 분야 배워야 알게 됩니다), 또는 정보 공개가 투명하지 못함으로써 치열한 경쟁이 오히려 제품의 심각한 품질 저하로 오고 결국 소비자에게 피해로 돌아오는 분야도 있습니다. 저는 이 부분은 정말 화도 나고 놀랍더군요.,;
      경쟁이 치열해지면 소비자에겐 좋다? 그놈이 그놈일 수가 있습니다 ㅋㅋ 오히려 그놈이 그놈정도로 끝나면 다행이죠 ㅋㅋㅋㅋ

  • @topgun2326
    @topgun2326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정말 공감이 되네요😅😢

  • @내개인적인생각
    @내개인적인생각 10 місяців тому +30

    그 어떤 전문가도 접근 하지 못했던 내용이네요
    생각해보니 그렇군요.
    농경사회에서 가족 구성원은 곧 돈과 직결이 되기 때문에 사람이 많이 필요 했기 때문에 최대 12명도 낳고 그랬던 거고,
    지금은 농경 사회가 아니라 경쟁 사회가 되면서 사람이 줄어 들수록 경쟁율이 점점 낮아지기 때문에 사람을 줄이는 생물학적 선택을 본능적으로 했을 가능성도 있겠어요 ㅋㅋ 생각도 못했다 ㅋ

  • @rothmans_senna
    @rothmans_senna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지식공장장님의 영상을 보더라도 좋아요만 누르는 인원이었습니다.
    이번 영상은 정말 무릎을 탁 치게 하는군요. 좋은 자극 받고갑니다.

  • @이기영-m8z9o
    @이기영-m8z9o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걍 본인이 나이들어서 예전같지 않구나를 느낀 것같은데요.....
    여전히 격투게임,
    또 비슷한 논리로 fps게임은 여전히 성행합니다.
    그게 오버워치였다가 그게 발로란트로 간 것처럼말이죠..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사실 대전게임 예전같지 않은 건 맞죠. 철권3때만 해도 샤오유로 다 잡고 다녔는데 ㅎㅎ

    • @이기영-m8z9o
      @이기영-m8z9o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아 뭐.. 그건 그렇죠 ㅋㅋㅋ 하긴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그렇게 해석할순 있겠네요@@inswrite

  • @maricomkj
    @maricomkj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철권8 뉴비친화척이긴 하더군요. 잘모르고해도 꽤 올라가더군요....나이먹고 가리늦게 철권시작해서 주황단까지 올라가서 소확행중인 1인

  • @jhk6210
    @jhk6210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는 개인적으로 철권이라는 게임을 현실스포츠의 테니스와 유사하다고 생각하는데요 한게임을 제대로 즐기기위해 들어가는 기본자세 및 동작의 숙달과정이 테니스처럼 오래 연습을 해야 이루어진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연습을 심지어 지속적으로 꾸준히 해야 더 잘해질수있죠. 혼자 하긴 어려우니 배워야하는데 비용도 만만치않고 인프라도 생각보다 제한적이죠. 막상 동네 주변 코트가보면 동네 클럽에서 이미 주기적으로 쓰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 가볍게 한두판 치기도 어렵습니다 철권도 저는 오락실 플스 스팀경험까지 약 10년을 했음에도 아직도 매칭해보면 제가 부족하다고 느낍니다 뉴비들은 오죽할까요 절대 안하죠 인터넷방송을 봐도 기존에 젊은세대들이 잘하고 있던 롤 배그로 돌아가지 철권을 롤처럼 붙잡는 경우는 흔하지않습니다 철권8또한 마찬가지고요. 철권을 저출산과 연관짓다니 신선하고 재미있었습니다 ㅋㅋㅋ

  • @409Cecil
    @409Cecil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여기서 이런 주제에 대해서 보게 될줄은 몰랐네요.
    이 사회적 현상에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해주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시회가, 가치가 상승하던 시기엔 큰문제가 아니였지만 지금은 젊은사람들은 정말 벼락부자 아니면 선택할 기회를 빼앗겼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연차가 쌓이면서 it업계의 변화로 연봉에 큰 영향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가 불안정하다고 생각해 집을 사는것이나 연애, 나아가 결혼까지 리스크로밖에 다가오지 않더라구요.
    최근 이직할 때가 되서 최근 고용시장을 다시 보는데 사실상 경력직만을 뽑고있는 상황을 목도하니 사회에 입문조차 못하고 포기하는 사람들이 이해가 되서 착잡하더군요.
    오늘도 열심히 일하고 계신 여러분들 화이팅입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요즘은 팀의 인력구성을 특별한 역량을 가진 극소수의 경력직 + AI + 외부 자원 (컨설팅) 등으로 꾸려서 고정자원을 최소화 하려고 하더군요. 국민연금 나오는 날까지 10년 넘게 소득이 비는 세상인데, 이직으로 소득을 늘리는 것도 어려우니 참 어려운 시대 같습니다.
      응원합니다!!

  • @꿈꾸는모험가
    @꿈꾸는모험가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주 좋은 고찰입니다👍
    어찌보면 장기적 수명을 가진, 문명을 향유할 수 있다면 어떠한 곳에도 적용되는,
    인간이기에 어쩔수없이 안고 가야하는 태생적 한계인가 싶기도 하네요😢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halsu8433
    @halsu8433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와 이걸 이렇게 엮어서 정리하실줄은 몰랐네요. 댓글을 달 수 밖에 없는 테마였습니다. 꼭 철권아니더라도 비슷한 맥락이 적용될만한 게임들이 있을거 같습니다.

  • @CMVFactory
    @CMVFactory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흥미로운 내용 잘 들었습니다. 의사 파업이 계속 생각나네요.

  • @loadbang1
    @loadbang1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일단 멀티게임에 뉴비유저 유입은 힘들다고 보는게 제 의견인데요. 이유를 나열해보자면 그 뭐랄까 적응하다보면 결국은 멀티플레이는 한번쯤 들어가야 하는건 맞겠지요. 거기서 맞으면서 배우는거라고 해도 사람마다 다르기때문에 그게 어렵다고 보는겁니다. 근성이라고 부르는 요소가 있으면 버티고 버티면서 고인물이 될수있는 기반을 갖추겠지만 그게 아니면 처음 멀티플레이 몇판 해보고 게임삭제나 환불하겠죠. 뉴비유입하려면 적절한 밸런스패치가 필수인데 그게 양날의 검이라....어렵겠네요.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 돈을 주고 샀으니 한번은 들어가보는게 맞는 것 같긴 합니다. 대전게임은 사실 인간 VS 인간이 본질이기도 하니 더더욱 그럴텐데... 살아남는 것 자체가 힘들더군요...

    • @loadbang1
      @loadbang1 10 місяців тому

      @@inswrite 격겜에서 살아남기가 역대급으로 힘들죠.

  • @geunho__
    @geunho__ 10 місяців тому

    "격투게임에는 왜 뉴비가 없을까"라는제목이였다면 안봤을 영상인데
    저출산과 격투게임을 엮으니 완전 새로운 느낌이 들어서 영상을 끝까지 봐버렸습니다.
    영상 만드신 주인장님의 내공이 대단합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그 제목도 끌릴 것 같은데... 사실 제목 짓는게 어렵긴 합니다. ㅎㅎ

    • @geunho__
      @geunho__ 10 місяців тому

      @@inswrite 이번 제목 너무 잘지으신거같아요 ㅋㅋㅋ
      "격투게임은 왜 뉴비가 없을까?"이런거는 다은 유튜버들도 많이 올려서 크게 땡기는 제목은 아니에용 ㅠ
      아무튼 영상 잘봤습니당~

  • @rh8008
    @rh8008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게임이든 현실이든 뉴비 배려를 안 하면 뉴비가 안 생기는 건 마찬가지인데 우리 현실도 딱 그렇죠. 사회에서 먼저 자리 잡은 인간들이 라떼는 타령이나 하면서 모르면 맞아야지라고 줘패면서 낄낄거리고 있으니.. 다같이 초보이던 시절에는 이기고 지면서 실력을 쌓을 수 있지만 고수들만 있는 상황에서 뉴비들이 어떻게 이기고 지면서 실력을 쌓겠습니까, 다 도망가지.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말 저 같이 수십년만에 철권을 다시 잡은 사람은 아무것도 못하겠더군요. 얌전히 물러날 수 밖에 없었습니다.

  • @kangsoo
    @kangsoo 10 місяців тому

    공장장님 채널에서 철권 영상을 보게 될 줄이야.
    고인물이라 하기엔 좀 부족할 수도 있지만, 최소 수천~1만 시간 정도는 철권에 소비했던 유저로서 너무나도 반갑네요.
    건담 쪽 채널도 재미 있었지만, 이쪽 채널이 더 끌리는 주제가 많군요. 더 빠르게 채널이 성장할 것 같아요.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아... 사실 건담 채널은 1/3 이하인데...서브컬처와는 다른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 @ililililiilililll2384
    @ililililiilililll238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출산이 미래의 철권 유저들을 감소시킨다... 그렇군요!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 그렇죠. 맞네요!

  • @code_red_master
    @code_red_master 6 місяців тому

    꽤 그럴듯 합니다.
    저도 그래서 리듬게임 그만뒀어요.
    오투잼 난이도 72에서 실력 성장이 멈췄고 더 이상 성장에 대한 확신이 없었거든요. 나는 레벨 160대 곡을 칠 자신이 없습니다.
    저출산과 연결한 것이 굉장히 그럴듯하고, 생각을 해볼만한 것을 제공하는 좋은 영상입니다.

    • @inswrite
      @inswrite  6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비트매니아 DX 시절에 접었습니다. 7개 건반은 힘들더군요.

  • @freepaper00
    @freepaper0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철권이 새로운 유입만 생각한다면 어려운 기술들을 원버튼으로 해주거나 (웨이브 기술, 초스카이 등) 핸디캡을 만들어 (시작체력을 더 많이, 기술의 데미지 증가 등)
    기존유저들과의 격차를 최대한 줄여서 이길 기회를 주겠죠.
    하지만 그렇게 되면 기존유저들은 어려운 기술들을 연습했던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을 하고 핸디캡이 발생하는 게임을 피할려고 할겁니다.
    자신들은 패배를 하며 조금씩 성장했는데 아무것도 모르는 유저가 초풍을 자신보다 잘쓰고 원래라면 이기는걸 핸디캡 때문에 진다면
    기존유저들은 안그래도 불만이 많았던 철권에 더 불만이 많아질 겁니다.
    회사측은 신규 유입이 중요하겠지만 그렇다고 기존유저들을 버리지도 못하는 참 어려운 문제인거 같습니다.

  • @퓨네리온
    @퓨네리온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언제나 우린 역사책에서 봤왔습니다.
    그렇게 자신의 몫을 내놓지 않다가 피를 흘리게 되는 것을요.
    그렇게 새로운 기득권이 생기고 그들도 또 다시 피를 흘리게 됩니다.
    오히려 게임에서는 개발사라는 신이 있기 때문에 어떻게든 대전격투 게임에 뉴비가 없는 문제가 해결될 수 도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현실은 글쎄요.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역사가... 보다 보면 사람은 바뀌고 문명도 바뀌는데 사람이 하는 일은 조금도 바뀌지 않더라구요. 과거에 했던 일을 또...

  • @최규민-m6b
    @최규민-m6b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7:14 어? 이건..?

  • @개플러스
    @개플러스 10 місяців тому +11

    철권과 저출산이라니 색다른 접근 재밌네요. 본질적으론 같다고 봅니다. 타이밍 좋게 시작한 사람들이 고여서 생기는 문제점이 둘 다 동일하게 나타난다고 보여집니다. 되풀이 된 역사를 보면 결국은 인간 사회라는 것도 시간이 지나면서 알아서 자정이 되고 새로운 형태의 국가로 다시 태어나듯이 당장의 저출산이 해결되지는 않겠지만, 어느 시점에 알아서 자정을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그 시기까지 대한민국이란 시장이 버티고 남아있을까요? 캡콤, 반남, SNK만 남듯이 대다수 국가가 힘 있는 국가에 통합되고 소규모화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 중에서도 저출산 압도적 1위인 대한민국이 가장 빠른 소멸을 맞이하게 될 것이란 생각도 드네요.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상의 포인트를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자정작용이 일어나면서 본디 가야 할 길을 찾긴 하겠지만, 이미 한국의 저출산은 국가가 아니라 개인도 따로 대비해야 하는 수준이라는 저널도 있으니, 살아가야 할 입장에선 양쪽 다 생각해야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 @Dr.D-t3j
      @Dr.D-t3j 10 місяців тому

      @@inswrite 그럼 이미 망한 거예요? 기성 세대들 다 죽여야 신세대가 사는 건가요?

    • @Dr.D-t3j
      @Dr.D-t3j 10 місяців тому

      ​​@@inswrite 그럼 북한과 어떤 식으로든 통일하든가 미국처럼 이민자를 대량으로 받아들이든가 아니면 병력을 절반 이상 무인으로 전환하지 않는 이상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게 아닌가요?

  • @maokiki
    @maokik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어쩔수없이 리리와 제가 결혼하여 11명의 자녀로 저출산해결에 이바지 하도록하겠습니다

  • @elizanavyshuuu6873
    @elizanavyshuuu6873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40대 철권러입니다.. 시대를 관통하는 황당하지만 모두 맞는말인 해석에 생각이 많아지는 영상이군요.. 아주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 @Hifispace
    @Hifispace 10 місяців тому

    재밌는 분석 잘 들었습니다. ㅎㅎ

  • @JiwanChung
    @JiwanChung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흥미로운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seohenry922
    @seohenry92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런 의미에서 롤의 랭크 시스템은 좋은 면이 있어보입니다
    물론, 뉴비 학살한다고 부캐 돌리는 것들도 있지만
    수준에 맞는 사람들끼리 붙게 되니까요
    근데, 이제 신챔이 자주 나오고 패치로 밸런스를 계속 갈아엎는게 뉴비들의 진입 장벽이 되어버렸죠
    하다가 지칩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밸런스를 자꾸 바꾸면 아직 익숙해지지 않은 뉴비가 감을 잡기 힘들죠...

  • @gameyoung12
    @gameyoung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는 개인적으로 이걸 해결 하려면 생각한 방법은 20대에게 투표권을 10배로 배정해주고 30대 5배 40대 2.5 50대 부터 1배 이런식으로 하면 어떨까 고민 해봅니다. 미래에 대한 책임은 신세대가 지는데 미래를 지금 기성세대가 큰 영향을 주는 지금 방식으로는 암울한 출산율 극복이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 @JM-ol4pj
      @JM-ol4pj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이번에 출마한 후보자들 평균나이가 50대중후반인거보고 답이 없다고 느꼈음 평균이 그정도라면 60대인 후보자들이 얼마나 많은건지
      그 50대중후반부터는 살아온 환경이 완전 다르기 때문에 현재 젊은 세대의 고민을 1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해하는척할뿐이죠
      그러다보니 저출산대첵이라고 내놓는것들을 봐도 다 뜬금없는것들이 대부분.
      돈만 매년 조단위로 퍼붓는데도 효과가 없는 건 그 이유가 있음

    • @gameyoung12
      @gameyoung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JM-ol4pj그렇죠 여야를 떠나서 기성세대가 많은 형태에서는 점점 그들을 위한 정치를하다보면 뉴비없는 올드게임과 다를게 없을겁니다. 조금 있음 젊은세대들은 이민으로 떠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전에 전체적인 제도 변경을 해야지만 여야다 그냥 세금으로 해결하려하니 어짜피 미래세대가 갚아야 할 돈이기에 크게 메리트를 못느끼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정말 바뀐다고 노력한다고 말하려면 손에 있는걸 놓고 말해야 하는데 그러지는 않는게 보여서...

    • @mubik453
      @mubik453 10 місяців тому

      재밌는 생각이긴 하네요.

  • @벨벳언더그라운드-o1r
    @벨벳언더그라운드-o1r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와.... 기성세대의 우리 때는 원룸월세에서도 결혼했어를 이렇게 논리적으로 막는 사람은 처음봤어...

  • @JH-hr7ym
    @JH-hr7ym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공장장님 식견에 깜짝 놀랐네요 전 단순히 저출산의 원인이 지나친 경쟁 때문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철권으로 비유하니 깔끔하게 이해했습니다

  • @horus_simgadgets
    @horus_simgadgets 10 місяців тому

    스스로의 철학에 의거한 성취감이 아니라 오로지 남과 경쟁하고 비교하는 것만이 가치인 시스템의 말로가 대개 비슷하다고 봄. 초기엔 경쟁의식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지만 그만큼 빠르게 썩은물이 되어버리는…

  • @SunghoonKim-tj3wb
    @SunghoonKim-tj3wb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서 지금 일본의 국민게임중 하나가 되어있는 건담 익스트림 버서스 시리즈(EXVS)는 뉴비를 진입시키기 위해서 온갖 시도를 다 했습니다.
    먼저 스테이지 보스 레이드 컨텐츠를 내놓았고, 그다음에는 라인을 나누어 들어갈 수 있게 해서 라인이 겹치지 않으면 PVP에 진입하지 않도록 설정도 했습니다.
    거기다가 이건 매장마다 다릅니다만 3~5판 스테이지 미션플레이 후 대전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되기도 했고요.(뉴비는 미션몇판 하고 대전하세요 그런거죠)
    경우에 따라선 매장측에서 뉴비 전용 구역을 나누기도 했습니다.
    그러다가 나중에 전국 온라인 매칭 시스템이 나오고 나서는 승점포인트 구분해서 비슷한 랭크의 플레이어가 매칭되게 했고요. (ID카드 없이도 플레이 가능한데 그럼 알쨜없이 괴수들 내장파티)
    온라인 컨텐츠로 세력전을 추가해서 PVP뿐만이 아닌 PVE가 주가되는 컨텐츠도 만들었습니다.
    EXVS2 들어가서는 200엔을 투입하면 싹 다 지더라도 3패 연승으로는 5전까지 가능하게 하는 선택지가 추가됐었습니다.
    그리고 최근 가보니 이 고일대로 고인 게임이 무료 튜토리얼을 추가했더군요.
    이렇게 게임사/매장/플레이어가 맨땅에 헤딩하면서 똥꼬쇼를 하니까 고인물 썩은물 칭호 들고 가면서도 뉴비가 계속 확보되는게 보입니다.
    어떻게 보이냐구요? 건담가족소대, 여비서 제이도라, 커플DX 거기다 유튜브까지...이런 세대랑 성별을 아우르는 플레이어를 현지에서 직접 봐버렸으니까요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확실히 열심히 노력했네요. ...하기사 건담은 아이들 개발하지 않으면 정말 답이 안나오긴 하죠.

  • @antikim9821
    @antikim9821 4 місяці тому

    와... 멋진 통찰이네요. 하나를 보고 열을 아는 분이시네.

    • @inswrite
      @inswrite  4 місяці тому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현철박-g7s
    @현철박-g7s 10 місяців тому

    기울어진 운동장이 아닌 사회를 바라봅니다! 공장장님의 명쾌한 관점을 항상 응원합니다!😊

  • @박호영-z5i
    @박호영-z5i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너무 유익한 영상이네요.
    제목보고 진짜 혹해서 들어왔는데 이런 연관성이 있을줄은...
    격투 게임의 뉴비 입문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을 잠깐 말씀드리자면,
    안 좋은 말로 비 오는 날 먼지 나듯 맞는 게 오히려 옳다고 생각합니다. 위 영상 후반부에서 설명하시듯, 온라인에서 가르치는 건 한계가 있고, 또한 가르쳐서 배울 수 있는 것과, 맞아서 배울 수 있는 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딜레이의 개념은 가르쳐 줄 수 있지만 이지선다는 머리로 배운다고 배울 수 있는 게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맞고, 당해봐야 알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저보다 먼저 시작한 사람들에게 맞으면서 배웠고, 그 유명한 '무릎'님도 어릴 때 오락실에서 아무것도 못하고 죽으니 분한 마음에 계속하게 되었다고 하고요.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렇죠. 사실 대전게임은 당해가며 배우는 장르라고 생각해요.
      다만 요즘엔 너무 격차가 벌어져서 버튼 누를 시간도 없더군요. 그래서 자연히 또다시 은퇴하게 됩니다. ㅎㅎ

  • @양죠-z8g
    @양죠-z8g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신박한 접근법이었다...
    잘봤습니다.

  • @llliiilliliilllllliiilliii9109
    @llliiilliliilllllliiilliii9109 10 місяців тому

    무슨 소리를 하나 싶어서 들어왔는데 다 보고나니 그럴싸하네요. 스파6와 철권8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중에서 큰 이유가, 뉴비들도 쉽게 콤보를 쓸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준 것이었거든요. 물론 올드비들의 반발도 고려해서 단축키를 쓰면 데미지가 좀 적게 들어가는 장치도 되어있고요.
    신선한 관점이었습니다.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Hyegeo
    @Hyegeo 10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잘 봤어요. 주제가 흥미로워서 끝까지 잘 봤네요.ㅎㅎ 저도 평소 게임 좋아하고 철학이나 인문학도 좋아해서 두 가지를 재밌게 즐기고 있는데요. 친구들을 만나면 우리나라도 뉴비의 유입은 없어지고 고인물만 득실거리는 망겜 트리타는 게임에 비유하면서 우스겟소리로 대화한 적이 있습니다.ㅎㅎ 사회에서는 저출산에 대해 여러 다양한 의견들도 있고 영상에 나왔듯이 '자연적인 현상이라 우리가 어찌할 수 있는게 아니다' 와 '이렇게 지속되면 굉장히 위험하니 무조건 막아야한다' 두 가지로 갈리는 것 같아요. 근데 막상 미디어에서는 후자에 무게가 많이 실리는 거 같은데 실제 일상은 아직 먼 미래라고 느껴져서인지 전자에 더 가깝다고 생각되거든요. 그런데 이런 일들이 이해되기도 하는게 그동안의 정책들을 보면 예산을 얼마 투입할지 혹은 어떤 대책을 사용할지 발표만했지 오답노트를 만든적은 한번도 없었고 지난 시간동안 누구도 그걸 해보자 한 사람도 없었던것 같거든요. 때문에 틀린 문제를 계속해서 틀렸을 수도 있었다고 생각되네요. 이런 상황에서 저는 가장 많이 들었던 주장이 소위 유럽 강소국처럼 우리도 이제는 양보다는 질로 승부해야하는 것이 옳다며 질적으로 집중 투자한다면 평범한 100보다 우수한 1명이 더 좋을 수 있다는 관점이었는데요. 이 주장이 요즘 나오는 AI 생태계를 본다면 그들의 말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라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게임이나 실생활도 마찬가지로 '인원빨' 이 어느 정도 받쳐주지 않으면 세상에는 불가능한 것도 있지 않습니까? 마치 풀업을 끝낸 배틀크루저 1부대가 공격적으로는 우수해도 저글링 200마리를 방어할 수 없는 것처럼요. 방어는 시즈탱크나 마린들이 있고 어느정도의 다양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더 유리하겠죠. 뭘 그렇게 극단적으로 비유하냐고 할 수도 있겠는데 유럽 강소국들이랑 우리는 엄연히 환경 자체가 너무 다릅니다. 우리 위에는 매번 빡쳐있는 북한뿐만 아니라 러시아, 그 옆에는 또 중국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하는 말은 별로 들을 필요없이 그들의 옆나라 소국들 티벳, 위구르, 크림반도, 우크라이나 등을 상대로 어떻게 행동했는지만 보면 매우 확연히 방향성이 들어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 상황으로 지속된다면 후세는 전혀 다른 세상을 볼런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아직까진 걱정하는 사람들도 많고 이것저것 해보자는 사람들도 많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힘들거나 희망이 없거나 지쳐있는 이들에겐 위로의 말이나 용기를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일 좋은 방법은 말씀하셨던 해법과 비슷한 것 같은데 그들을 앞쪽으로 자리를 옮겨주는 것이 될거에요. 마치 등산 할 때 지쳐있는 사람을 그 누구의 엉덩이를 보며 따라가지 않게 맨 앞으로 옮겨주는 것처럼요. 그러면 그들은 다친것이 아니라면 올라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이상적인 것인지 아니면 말씀하셨던 것처럼 신세대를 위해 자기 몫을 나눠주는 역사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인지 아니면 그저 인간의 본성 때문인지는 몰라도 만약 누구 한명이 목소리를 높여 해보자고 한다면 그는 적어도 가진 많은 것을 포기하면서 말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릴 적에는 이상과 목표를 높이는 법을 배웠고 열정을 지니고 꿈을 꾸면 이루어진다고 했는데 막상 사회에 나와서 보니 전혀 다른 현실. 어쩌면 그동안 쌓아놓은 거짓말에 빚진 슬픈 자화상인 것 같습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많은 학자분들께서 이건 성적표이므로 이 성적표대로 살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즉 저출산에 맞는 생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씀하시는데, 그 방법을 찾는게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집에서 못 뛰어노는 세상은 층간소음때문에 그렇다쳐도 놀이터에서도 못 놀게 하는 세상이니까요.
      말씀대로 아직은 이런 현실을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아 다행입니다만, 최근에는 아예 아이가 태어나면 집에 매트리스 깔고 뛸때마다 혼내는 부모가 늘고 있죠. 그러다보면 그 걱정조차 안하게 될까 안타깝긴 합니다.

  • @codh6124
    @codh6124 10 місяців тому

    게임과 사회의 연관성으로 문제점에 대한 예리한 지적에 무릎을 탁치고 좋아요 누릅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달빛-v2d
    @해달빛-v2d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무언가 전부 뒤집어질 대격변같은 사건이 일어나면 다시 원점에서 시작되겠지요.(예로 세계대전전쟁 같은)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갑자기 북두의 권이 떠오르네요.

  • @ottertubetv9356
    @ottertubetv9356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철권에 있는 명대사: ” 모르면 맞아야죠!“ 인생의 쓴맛

  • @cspark8520
    @cspark852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멋진 통찰력이시네요. ㅎㅎ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칭찬 감사합니다!

  • @서지호-d5m
    @서지호-d5m 10 місяців тому

    11분 내내 다음에 할말을 기대하면서 보는건 처음이었습니다 정말 흥미롭게 잘봤어요

  • @5Gold
    @5Gold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제목만 보고 무슨 내용으로 연관지을까 대충 짐작은 갔지만 이렇게 명확하게 풀어 해석해주시니 공감이 많이 가네요.

  • @노스텔지아-t4d
    @노스텔지아-t4d 10 місяців тому +19

    저출산 전제가 내집마련과 기성세대가 원인이라는 것에서는 좋은 논평이네요.
    그러나 저출산은 말씀하신 것 + SNS와 드라마로 인한 신데렐라드림과 물질만능주의+물질만족도 등 온갖 사회현상이 결합된 키메라 같은 것이라 해결이 쉽지는 않죠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그렇죠. 게임의 문제가 이지라면 현실의 문제는 울트라 베리 하드 아니겠습니까.

    • @MazulMazul33-qi4dk
      @MazulMazul33-qi4dk 10 місяців тому

      키메라ㅋㅋㅋㅋ 아주 적절한 단어네요

    • @yyk192
      @yyk192 10 місяців тому

      기성세대도 처음 집을 살 때에는 지금처럼 최고급의 대기업의 규격화된 아파트가 아니라 단독주택 같은 것이었을 겁니다.
      푸세식 화장실에 연탄 피우는 집과 요즘 최신형 아파트를 동급으로 치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서양도 워낙 오래된 다가구나 단독주택에서 사는 경우가 많으니 주택의 경우는 우리가 너무 특수한 것 같습니다.
      물론 기성세대가 선점을 해서 자산을 불려왔으니 기성세대가 유리한 것은 분명하기는 합니다.

    • @MazulMazul33-qi4dk
      @MazulMazul33-qi4dk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yyk192 서울, 재개발 두 단어가 들어간다면 부의 말도안돼는 뻥튀기가 들어가버리죠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출산은 보육환경과 아무 상관도 없고, 오로지 훼니미즘과 역비례 할 뿐이다.

  • @44RONLEE
    @44RONLEE 6 днів тому

    분석이란거 자체를 너무 좋아하는사람입니다 왜 라는 말을 굉장히 많이하고 그런사람인데 저출산과 철권의 같은 현상을 보고 이렇게 영상을 만들 생각을 하시는게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됩니다 멋지시네요 좋은영상 잘봤습니다.

    • @inswrite
      @inswrite  6 днів тому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jhrhew
    @jhrhew 9 місяців тому +1

    공산주의도 계급 타파를 내세웠지만 그런 구실로 권력을 잡은 자들은 새로운 계급 더 착취하는 계급을 만들었다. 조지 오웰이 한 말이 정말 맞는 거 같다. "인간은 혁명을 하기 위해 독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독재를 하기 위해 혁명을 한다."

  • @일반인아니라2반인
    @일반인아니라2반인 10 місяців тому

    25년차 전작 류진까지 찍은 아재인데요, 이번 8탄 보면서 솔직히 별 기대안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생각보다 괜찮더라구요 ..뉴비들을 위해 시스템을 대폭 갈아엎었고, 고수들도 뉴비들의 죽창메타에 말리면 게임 터질 정도가 되었으니 말이죠. 헌데 중요한건 그 시스템 자체를 최대로 활용해서 득보는 것도 결국 고수인거죠 ... 물론 전작들 대비 허들이 낮아진 건 사실이지만, 뭔가 확실한 솔루션이 되게 하려면 뉴비 상대시 콤보데미지가 깎이게 하는 등의 어드밴티지나 핸디캡이 더 필요하다고 봅니다. 솔직히 이번작 대전격투게임 장르의 하나로써는 명작 반열에 들만한데 철권 시리즈로서는 거의 뒤에서 순위권을 다투지 않을까 싶습니다. 헌데 이 게임을 저출산과 연결시키다니 ... 감탄하고 갑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맞습니다. 뉴비를 위한 시스템을 잘 활용할 수 있는 것 또한 고수죠. 말씀하신 패널티는 좋은 아이디어이긴 한데, 기존 유저들이 반발이 심하더군요.

  • @estellkim8975
    @estellkim8975 2 місяці тому

    꾸역꾸역 맞는 얘기만 하셔서 뭐 할말이 없네요 ㅋ
    기득권도 뉴비도 아닌 어중간 하지만, 말씀하시는바에 공감합니다.

  • @먹태장인
    @먹태장인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현자다.
    부동산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돈 벌이가 된 시점부터
    현 사회 문제의 대다수가 일어나기 시작함.

  • @장찐찐
    @장찐찐 10 місяців тому

    어떤 지식과 지식을 잇는건 진짜 어려운일 인데 대단하시네요 저출산과 게임을 엮다니

  • @drakejoo3679
    @drakejoo3679 10 місяців тому

    공장장님 이런 서브채널까지 있었군요!
    바로 구독했습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잘 부탁드립니다^^.

  • @Puppytobee
    @Puppytobe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통찰력이 대단합니다만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뉴비와 고인물, 사회초년생과 기생세대의 차이를 갈등의 요소로 삼는 건 갈라치기 밖에 안됩니다.
    삼성 이재용 회장에게 시기 질투심을 느끼지 않는 것처럼 저는 기성세대가 이뤄놓은 것들에 대해 반감을 가지진 않습니다.
    현재 사회 초년생들 끼리 박터지게 경쟁하거든요.
    다만 기성세대가 만들어놓은 교육시스템에 대해서는 조금 불만이 있습니다.
    교육 수준이 높아졌다 한들 개인차가 심하고 대학교 간판으로 인해 신분이 변하는 시대에 살고있다 생각합니다. 아직도. 그러니 본인 스스로 고등교육을 받았다 생각해 창창한 미래를 꿈꾼다 하더라도 현실은 한정된 미래만 주어질 뿐이고 같은 곳에 사람이 몰리기 때문에 경쟁은 필수가 되었죠.
    누구나 대학, 대기업,서울,아파트 이런 것들을 원하니 저출산이 될 수 밖에요. 그것이 자의인지 타의인지 정확이 알 수 없겠지만요.

    • @user-mk3wh9nw4i
      @user-mk3wh9nw4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1. 루트의 획일화.
      2. 그 기형이 형성되게끔 방치한 열등한 시스템 및 민풍토 관리력
      정도로 정리될거 같네요.

  • @hun-j6n
    @hun-j6n 10 місяців тому

    대전격투게임이든 현재 사회든 승리자와 패배자가 명확하죠
    현재 대전격투게임에도 티어를 넣어서 실력에 따라 올라가고 경쟁하는 랭킹시스템이 있지만
    위로가서 맞든 부계정 고인물을 만나서 흠씬맞는것도 모자라 아예 능욕당하는 수준으로 관광당하는 경우가 아직도 있는게 격투게임이죠
    게임의 경우 RPG, 격투등의 시간길게쓰면서 노하우를 익히는 종류의 게임이 싫증나면
    한판에 경쟁과 성장이 적절하게 섞여있는 AOS종류를 하면 되는거고
    그것마저 싫증나면 싱글콘솔게임을 하면서 경쟁없는 게임을 선택할수있지만
    현실에서는 서로가 여태까지 해온걸 버리거나 양보하기 힘든게 문제인것같습니다.

  • @therelein
    @therelein 10 місяців тому

    연결, 확장되는 생각 좋네요 구독합니다

  • @rmcentell
    @rmcentell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많이 공감합니다. 어릴적 추억때문에 철권을 더 하고 싶어도 고여버린 환경 떄문에 부담스러워 손 대지 못하는 것, 그리고 아이를 좋아함에도 고여버린 교육시장 및 어려운 양육 부담에 섯불리 낳지 못하는게 정말 딱 같은 기분이에요.

  • @BooomJooon0109
    @BooomJooon0109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저 출산 문제와 부동산 투기등을 보니 대전격투게임보단 리니지류 게임들이 생각나네요. 소수의 돈이 많은 사람들(핵고래 유저) 눈치를 보다보니 정부(NC)가 다수의 사람들을 위한 정책을 못내놓는 것과 더욱 비슷하군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MMORPG는 인간 사회의 장단점이 그대로 들어간 사회죠. 그래서 더 심한 듯 합니다.

  • @N_rabbit117
    @N_rabbit117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격겜이 인기없어지는건
    남탓이 안되는 게임이라 그런거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경쟁게임이든 운이나 그때의 파티구성 같은 내가 아닌 무었인가가 게임내에 유의미한영향을 주는 요소가 있는편인데 대전 격투게임은 오로지 나하나 한테서만 모든 영향이 발생하는 구조라 속된말로 정글차이 같은 말을 못하니까요.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아 확실히 MMO에 비해선 본인 역량의 비중이 크겠네요.

  • @guraguracipal
    @guraguracipal 10 місяців тому

    구구절절 동의합니다. 참 씁쓸하네요.
    격겜은 아캄버스의 FreeFlow시스템을 적극 채용하면 좀 나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제로 지금 그런 걸 도입하는 중이지만, 정말 과감하게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아예 고인물을 단순 입력으로 이기는 걸 대놓고 보여줄 수 있다면 더 좋겠죠.)
    저출산은......지금 기득권이 교체되어야 좀 인식이 바뀔 텐데, 요즘은 예전처럼 투쟁하는 사회도 아니고, 결국 자연적으로 바뀌길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ㅜㅜ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페르소나4 얼티밋 시리즈에서 간단 커맨드로 기술을 쓸 수 있게 시도한 적은 있는데, 결국 거기서도 시스템을 잘 활용하는 고인물들이 몰려와서 다 정복해버리더군요. 어쩌면 폴가이즈처럼 운적인 요소를 강하게 하는 게 답이 아닐까 싶기도 한데... 대전액션을 그렇게 만들 수는 없겠죠.

  • @gameyoung12
    @gameyoung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저출산 분석 열심히 하셨네요.. 기성세대가 포기를 해야하지만 절대 그럴일이 없어보여서 희망이 없어보이네요 정부에서 엄청강한 정책으로 기성세대 이권을 20,30에게 나눠주지 않는 이상 불가능해보입니다. 문제는 그윗세대가 인구가 더많으니 더욱더 그런정부가 탄생하기도 힘들꺼라고 생각합니다.

    • @jinseokkim9300
      @jinseokkim9300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MIRINA-I 모든세대가 지들이 제일 힘들다고 함 ㅋㅋ

    • @gameyoung12
      @gameyoung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mubik453 다양하게 있을것 같지만 가장큰건 국민연금 축소 주택가격 거품축소가 있겠네요

  • @Gyangsal
    @Gyangsal 10 місяців тому

    스파는 젊은세대 유입에 성공했다고 합니다
    모던 조작과 상금많이해서 말이죠
    철권은 뉴비들을 위해 단순커맨드(?)를 도입하긴 했지만 철권이 기술이 워낙 많은 게임이라 큰 효과는 없습니다
    제 생각이지만 방향키+4버튼외에 남는 버튼이 많으니 내가 원하는 기술을 원 버튼으로 나가게 만들면 그나마 효과 있지 싶습니다

    • @dooferry2054
      @dooferry2054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봤자 동접 2만따리 철권스파 한줌단인데 뭔 성공한거처럼 말하네 하여간 격찔이들이란ㅋ

  • @k3vocal
    @k3vocal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설명하신 저출산의 원인이 일본같은 나라에는 해당되는 이유이겠지만 우리나라의 극단적 저출산 원인으로는 부족합니다. 일본 서민가구의 가처분소득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낮지만 출산율은 거의 두배입니다. 짝짓기는 본능 이거든요. 철권8 판매량 또한 디아블로4 마냥 빛좋은 개살구 입니다. 게임의 실태를 모르고 구입했다가 해보고 금방 접은 이들이 상당수죠. 철권 네임드들 조차 이번 철권은 많이 잘못되었다고 합니다. 철권도 한국 저출산도 미래가 암울하네요ㅋㅋ

  • @Bryan2010fly
    @Bryan2010fly 8 місяців тому

    훌륭한 내용입니다

    • @inswrite
      @inswrite  8 місяців тому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WNANF주물
    @WNANF주물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노인들이 과거 타령 하면서 청년들 배부르다 탓 할 거면, 과거 세대 처럼 빨리 죽어나 주던가.... 한국, 일본은 OECD 평균 80세 보다도 3년 이상 더 오래 살죠. 전교 1등이 전부 의사 되겠다고, 그 의사들은 죄다 노인들 오래 살려서 돈 뽑아 먹을 궁리나 하고 있으니... 국가 미래가 있겠습니까. 망조죠.

  • @하이젠버그-b3b
    @하이젠버그-b3b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더 아이러니한게 오늘날 로또 1등 당첨이 되도 서울 아파트 한채 마련 못 한다는 것...

  • @빈튜브-c8o
    @빈튜브-c8o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비유 적절추

  • @jc5246
    @jc5246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적절한 예시네요ㅋㅋ 철권은 정말 기형적이죠 다른 격투게임들 모탈컴뱃이나 스트리트파이터는 신작이 나오면 시스템을 갈아엎는데 철권은 아주 약간의 수정만 이뤄지고 30년간 같은 커맨드+같은동닥이 나오고있습니다ㅋㅋㅋㅋㅋ

  • @Lonely_Wolf89
    @Lonely_Wolf89 10 місяців тому

    철권을 비롯한 대전게임이 인기가 떨어진건 롤이나 베그,옵치같은 겜이랑 비교하면 답이 나오지않나 싶습니다만
    롤도 그렇고 베그,옵치 등은 적어도 기본적인 조작법이라도 간단한데 철권,스파같은 격투겜은 조작법부터가 각 캐릭마다 외워야될 기술커맨드만 해도 총 수십개는 되고 그걸 콤보를 만들어야 되는데 타이밍 조금만 엇나가도 삑살나는 경우가 허다함. 무릎같은 최상위 유저조차 콤보드랍이 간간히 나오는데 하위 일반유저들이 오만 심리싸움 하면서 순간적으로 커맨드 우겨넣어서 콤보를 넣는다는거 자체가 요즘 젊은친구들에겐 말도 안되는 진입장벽이라고 생각함

  • @이동희-p6u
    @이동희-p6u 10 місяців тому

    고견 잘 들었습니다.
    인간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존재이고 사회는 그런 인간들의 이상 실현 활동으로 발전한다고 하지만, 과해진 욕망에는 부작용이 있겠죠.
    그런 욕망들이 충돌해 나타날 부정적인 요소들을 관리하고 체계를 만들어야 하는 게 행정가가 해야 할 일이고 관리자가 존재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 @hoyaspapa
    @hoyaspapa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제목보고 뭔소리여...하고 들어왔다가 나도모르게 고개를 끄덕끄덕 하고 있음.

  • @hyades7
    @hyades7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내부 모순을 극복못한 문명과 국가들은 한번의 리셋을 통해 재구성을 거치는데 그 리셋이란 한번의 예외없이 모두 전쟁이었습니다. 상기문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고 옆의 중국 일본도 겪고 있으며 넓게보면 선진국에 속하는 나라들 전부의 문제입니다. 즉 가까운 시기에 세계대전은 한번 더 옵니다.

  • @박적절
    @박적절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제목만 봤을때는 응? 카즈야 같은 자식 낳느니 안낳는다고 저출산?? 이런 생각 들었습니다 ㅋㅋㅋ

    • @inswrite
      @inswri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카즈야 같은 자식도... 헤이아치 같은 아버지도 좀 그렇죠. 저 가문은 저출산 될만 하네요 ㅎㅎㅎ

  • @요역문
    @요역문 10 місяців тому

    철권유저 지만 공감 되는 부분도 많네요. 결국에는 경쟁 이라는 컨텐츠가..
    대전격투게임은 1vs1이라서 팀 사회랑 다른면도 있지만 기존의 고인물 기성세대의 유리한 점은 부정할 수는 없네요.

  • @corevista4171
    @corevista4171 10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조회수 올리기 위한 어그로이긴 하겠지만
    대전액션이야말로 화려한 액션연출이 감상과 재미 포인트일텐데 개인미디어가 발달한 지금 굳이 게임을 구입하여 내가 직접 그걸 플레이할 필요가 없어진 게 크지 않을까
    저출산도 비슷한 맥락으로 분석(?) 가능하다 봄
    무슨 영화를 누리겠다고 무한책임에 시달리는 2세를 만드느냐는 거임

  • @rottatooi
    @rottatoo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1. 지식공장장님이 철권, 격겜을 다룬다고??????
    2. 격겜을 저출산과 연관 짓는다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