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al reason Microsoft abandoned Gaming Console?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349

  • @inswrite
    @inswrite  День тому +11

    ◆ 지식공장장 정보
    《돈, 역사의 지배자》 : tinyurl.com/2gag649p
    《일본졸업》 : tinyurl.com/2lnvovxk
    ◆ 마이크로소프트가 모바일 비즈니스에서 좀처럼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
    ua-cam.com/video/wnOZj2OhYjk/v-deo.html
    ◆ 세계를 독점한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
    ua-cam.com/video/JkyJ440qPOI/v-deo.html

  • @bskpjw
    @bskpjw День тому +47

    마소는 애초에 XBOX_XS 내놓을때부터 '유저를 늘리는 수단'으로서만 생각한듯함.
    경쟁할 생각보단 어느진영이던 게임만 팔면 더 이득이니..

    • @doradora1471
      @doradora1471 9 годин тому

      그럴거면 콘솔만든 이유가 없는데 게임만 만들면 된다는거아님?

    • @bskpjw
      @bskpjw 9 годин тому +1

      @doradora1471 그 이유라는게 유저가 생각한 개념이 아니라고 생각함. 게임을 즐기는 수단만 늘어나면 된다고 생각한듯 싶어요

  • @ganadaramabasajachakatapaha
    @ganadaramabasajachakatapaha День тому +63

    마소가 왜 여기에 처음으로 손을 댄 건지 먼저 알아야 함. 빌 게이츠랑 마소는 시장점유율 위주의 기업임. 이 기업은 솔직히 윈도우 판매량에는 큰 관심이 없고, OS점유율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회사임. 그래야 오피스랑 클라우드를 끼워팔 수 있기 때문임. (익스플로러로 브라우저도 끼워팔다가 구글이 크롬으로 소송걸어서 참교육 당하긴 했음) 근데 플스가 처음 나왔을 때, 플스가 미국 가정집에 한 대씩 보급되는 거 보고 빌게이츠가 이러다가는 소니한테 다 먹히겠다 큰 일 나겠다 생각해서 울며 겨자먹기로 내놓은 게 엑박임. 그리고 게임에 관심이 없었다는 데 그건 아님. 빌 게이츠 자체가 겜돌이임. 게임을 정말 좋아했음. 그래서 웃긴 소리긴 하지만 게이츠는 게임을 위해서 윈도우를 만들었고 잡스는 일을 하려고 매킨토시를 만들었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음 ㅋ 그게 실제로 윈도우랑 맥에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

    • @tukjukaria997
      @tukjukaria997 23 години тому +7

      빌게이츠 게임기 하니 생각나는게 빌게이츠가 본인 개인 전용 에디션 엑박을 가지려고 국내에 유명한 나전칠기 장인 한테 부탁해서 세상에 단 한대뿐인 나전칠기 엑박을 소유하고 있죠

    • @고쿠릉
      @고쿠릉 21 годину тому +6

      윈도우가 os인데 뭔소리임?

    • @으아아아아아-e3g
      @으아아아아아-e3g 21 годину тому +3

      대체뭔말임

    • @유원선-t7q
      @유원선-t7q 19 годин тому +7

      ​@@고쿠릉윈도우가 os인데 이를 파는 것에 집중하지 않고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할인을 하든 불법으로 다운하는걸 적당히 넘어가든 상관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그러한 독점적인 os점유율로 오피스나 익스플로러를 끼워팔기식으로 수익을 챙길 수 있기 때문인데 게임기의 os가 소니로 넘어가기 시작하니 게임기를 어쩔 수 없이 팔기 시작했다라는 내용으로 유추해 봅니다

    • @객관맨
      @객관맨 18 годин тому +5

      @@유원선-t7q 당연히 이렇게 이해하는 게 맞는 거 같은데..

  • @ericyoon6053
    @ericyoon6053 22 години тому +19

    마소의 문제는 소비자 중심이 아니라 자기 중심적으로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라는... 모바일 혁명이 일어나기전 IT를 주도하는 업체로 다른 자신들을 쳐다보고 있으니 중세시대 천동설을 믿었던것 처럼 자신들을 중심으로 세상이 돌아간다고 생각했었음...

  • @sean7082
    @sean7082 День тому +7

    솔직히 엔터테이먼트 기기라는 발상 자체가 실패라고 보네요. 애초에 TV 또는 모니터를 대체 하지 않는 TV 주변 기기 이상이 될 수 없는 것이 엔터테이먼트 기기라고 봅니다. 그리고 이미 노트북/랩톱/데스크톱 등이 PC이면서 방에서의 엔터테이먼트 기기 대용으로 쓰였었고요.
    이건 플스에게도 느낀 것이었는데, 플스도 다른 기능 집어넣는다고 게임에서 조금씩 일탈을 했었는데, 솔직히 플스의 UI가 구려서 굳이 플스에서 앱을 써서 영상을 보거나 하지 않죠. 필요 없는 기능을 열심히 달지만, 그걸 쓰는 사람은 소수였다고 봅니다. 물론 그 실패는 스마트TV란 것이 고속으로 따라잡은 면이 있지만요. 그 동안 닌텐도는 게임만 집중했고, 닌텐도는 계속 게임 기기로서 남아있고 제일 잘 팔리죠.
    게인적으로 엑박은 게임 하나라도 잘 만들고 다른 것을 진행해야 점유율을 높이는데, 플렛폼 독점으로 큰 기업이라서 그런지 점유율이 낮아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플렛폼 독점하듯 운영하는 방식은 여전하다 보니 점유율도 낮은데, 서드 파티는 싫어하는 그런 형태가 되어버렸다고 봅니다. 게임 패스도 게임 플렛폼인데, 게임에서 벗어나서 문제가 일어나고 있고요.
    옛날에 엑박 하는 꼴 보면서 엑박도 세가 꼴 나겠구나 했던 기억이 있는데, 요즘 엑박을 보면서 그 때 내가 생각했던 것이 맞았네~하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 @inswrite
      @inswrite  День тому

      편한 UI를 제공한건 꽤 최근의 일이라고 기억합니다. 엑스박스는 게임을 잘할 수 있는데 뭔가 꼭 결정적인 실수를 하더군요.

    • @Kinglang100
      @Kinglang100 9 годин тому

      개인적으로도 그냥 엑박에 윈도우11이랑 엑박콘솔모드(스팀빅모드?) 2가지 지원하고 출시하는게 훨씬 나아보이더군요.😂

    • @doradora1471
      @doradora1471 9 годин тому

      외국은 잘활용한다고 들었는데요? 잘못 알았던가요?

    • @김인성-o6r
      @김인성-o6r 7 годин тому

      지금보다 PC 보급률이 훨씬 낮았고 인터넷 TV 같은 것도 없던 시절에는 종합 엔터 기기라는 발상은 당연히 할 법한 것이었습니다. 다만 지금 와서 보면, 기술력에 비해 너무 이른 시도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당시로는 기술적 한계로 저렴하고 쓸만한 게임기로 나왔고 소비자들도 그렇게 인식했는데 갑자기 고가의 엔터 기기로 성격이 바뀌었으니 시장의 반응이 안좋았을 만도 합니다. 만약 엑박이나 플스1이 처음부터 종합 엔터 기기로서의 완성도를 가지고 출시되고 소비자들도 그렇게 받아들였더라면 마소와 소니의 꿈이 어느 정도는 이루어졌을지 않을까요?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지들이 애플이 아닌데 하려는건 애플처럼하려니 망한거임ㅋㅋㅋ

  • @MrParkjaejung
    @MrParkjaejung День тому +17

    MS가 다음 차세대 하드웨어를 개발할지도 미지수네요 저도 당연히 플스5만 가지고 있지만 라이벌이 없다면 서비스의 질과 양이 줄어 드는것이 걱정되네요

    • @geehoon1985
      @geehoon1985 22 години тому

      이미 그렇잖아요..플5 프로 100만원대 ㅋㅋㅋㅋ

    • @한불새-x3c
      @한불새-x3c 21 годину тому +2

      @@geehoon1985 플5 프로 살 필요 없음 지금 플5도 제대로 돌리는 게임이 없음.... 프로 살바에 5쓰다가 6로 바로 가면 됨

  • @koo90
    @koo90 День тому +4

    마소는 그냥 삽질만 죽어라 하다 이꼴이 나는구나

  • @JamesKang-ji9js
    @JamesKang-ji9js День тому +25

    마소는 게이머들의 감성을 전혀 이해 못하는 듯

    • @pel3798
      @pel3798 6 годин тому

      게이머 x
      콘솔 게이머 o
      PC 게이머 입장에서는 이상하고 질도 떨어지는 콘솔 개발 다 집어던지고 PC에만 집중하라고 시위라고 하고 싶은 심정임.
      문명 7도 콘솔 UI 때문에 망함. 왜 질도 떨어지고 재미도 없는 콘솔을 지원하는지 이해 못함.

  • @ym-rw2hk
    @ym-rw2hk 22 години тому +14

    마소는 책임감이라는게 없는 놈들임 VR 한창 유행일때 MR얼라이언스들 모집해놓고 기기만 팔아먹고 정작 소프트웨어 제데로된놈들 한개가 안나왔음. 심지어 윈도우11 24h2 베타에서는 멀쩡한 기기까지 완전히 못쓰도록 소프트웨어까지 내려버리는 미친짓을 함... 마소에서 하드웨어 내놓는다고 하면 절대 건드리지 않는게 상책임...

  • @diablodoc098
    @diablodoc098 21 годину тому +2

    소프트웨어 회사가 홈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위해서
    시작한게 엑스박스인데 20여년동안
    휴대폰.스마트 기기등 여러가지를 했지만
    전부 미미한 실적으로 접어버림
    결국 그 자리는 미국 내수시장은 애플이 가져가고
    글로벌은 구글하고 화웨이가 가져가버림
    아이러니하게 이 와중에서 벌였던 사업중에
    그나마 성공한게 엑스박스지만
    2012년 E3에서 충격과 공포의 쇼케이스 이후
    소니와의 경쟁은 사실상 거기서 끝나버렸음
    그때 북미 게이머들은 마소는 어짜피
    나중에 가면 게임쪽 고객들은 중요하게 안 볼거라며
    게임에 집중적으로 하는 닌텐도와 소니로 돌아섰고
    게임 패스도 PC와 겹치면서 사실상 메리트가 없게 되어버림
    이제는 사실상 세가와 같은 포지션으로
    콘솔에 대한 미련은 버리고 소프트웨어로
    수익을 노리는 방향으로 가고 그게 맞는거 같음
    아무리 본사가 자본이 많다고 해도
    그 많은 돈을 부어서 스튜디오로 데려온 회사들에
    실적이 표면적으로 들어나는것도 아니니
    이제는 그 회사들로 직접적인 실적을 내는게 현실적이긴함
    돈이 너무 많으니 엑블 인수에 천문학적인 돈을 쓴거지
    다른 관점으로는 말이 안되는 인수이긴했음

  • @acpcline
    @acpcline 22 години тому +4

    철밥통 공무원 마인드... 특히 한국 마소.

  • @leechanghyun
    @leechanghyun 10 годин тому +2

    결국은 성장하던 마소여서 과연 이 선택이 어떤 미래를 가져올지가 너무 궁금함. 윈도우 시스템에서도 계속 엑박류 콘솔과 연계하려고 하고 시도하던데 결국 포기한걸지 아니면 새로운 전략을 세운걸지..... 개인적으로 마소 운영진이 게임을 조금만 좋아했으면 더 좋은 콘솔과 IP 게임 개발을 할 수 있었을텐데 싶어서 조금 아쉬움 ㅠㅠ

  • @미륵법사-p3h
    @미륵법사-p3h 20 годин тому +2

    마소는 이제 하드웨어가 아닌 게임패스에 집중할 것 같습니다
    그러다가 한편으로 세가의 전철을 밟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 @monday314
    @monday314 19 годин тому +1

    플랫폼도 단순히 게임만 판매하는 것이 아닌, 한번 구매하면 계정 귀속되어서 모든 기종에서 즐길 수 있게 하고,
    게임에서 업적 달성하면 머니 지급해서 그 머니로 다른 게임 구매할 수 있게 하면 더 열심히 게임할 것 같음.
    게임계정 하나로 평생 써야하니, 결국 SNS화 되는거고 그럼 수익도 높아질듯

  • @vhrtlsvhrtls
    @vhrtlsvhrtls 23 години тому +8

    근데 마이크로 소프트가 내놓는 기대작 AAA 게임들이 별로 좋은 평가는 못받는다는거. 소프트웨어가 탄탄한데 플랫폼을 개방하면 그럴듯 해 보이지만 사람들을 끌어모을 게임이 없는데? 소프트웨어도 소니가 이겼지.

    • @DemianVonFrios
      @DemianVonFrios 21 годину тому +3

      소니가 이기다니 pc한테 다 먹혔지

    • @Cha_Duck
      @Cha_Duck 21 годину тому +1

      라오어2: ???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DemianVonFrios 엑천지답게 기승전pc팔이ㅋㅋ 이제 지들쳐발리니 할게 pc에 기생해서 자위질뿐이지

  • @numnam5229
    @numnam5229 День тому +7

    처음 게임 콘솔 사업 진출의 계기는 세가의 드림캐스트 포기임.

  • @이상현-l7s
    @이상현-l7s День тому +5

    엑스박스 1TB 확장하려면 가성비가 너무 떨어져 정말 못쓰겠습니다.
    게임패스도 이제 끝냅니다.

    • @inswrite
      @inswrite  День тому +2

      PS5와는 달리 전용 SSD를 써야하니 부담이 크더군요.

  • @밤에만용감
    @밤에만용감 День тому +6

    물리디스크는 맘에 안들면 팔수라도 있지만 DL로 산건 사고나면 5개중 4개는 버려지는...
    1시간이내라도 환불 해주면 좋겠음.

    • @헐퀴-u1e
      @헐퀴-u1e 12 годин тому

      그래서 독점작 외에는 다들 스팀쓰죠

  • @문학가
    @문학가 День тому +26

    소니도 자사 독점 게임들 PC 발매 주기가 짧아지고있죠
    얼마전 나온 마블 스파이더맨2 도 1년1개월 만에 PC로 나오면서
    2~3년 주기로 낼꺼라던 초기 소니 CEO 발언과 완전 반대됐죠

    • @inswrite
      @inswrite  День тому

      매출이 확실히 좋은 듯 합니다.

    • @김인성-o6r
      @김인성-o6r 8 годин тому

      AAA급 게임들은 제작비가 천문학적이다 보니 멀티 플랫폼으로 판매를 해도 손익분기점 넘기가 쉽지 않다더군요.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응 소니는 pc발매로 실적줄어들면 다시 쇄국정책 돌아가면 그만이야ㅋㅋ 스스로 망한 엑박이랑 물귀신짓 그만

  • @jw.p4015
    @jw.p4015 16 годин тому +3

    지금도....엑박게임들은 피시 게임패스에서 잘만 돌아감...클라우드로는 폰에서도돌아가고.....엑박 콘솔에서도 서로 세이브파일 공유되고...소니는 옛날처럼 패키지나 dl로 플스5사야 돌아가서 매니아나 일뽕덕후맛이 있고 얼마나 갈지 모르겠지만.....이미 마소는 겜기기 팔어먹기 소니때문에 포기하고..엑박게임패스라는 구독제형 플랫폼에 집중하는듯...... 각자 장단점이 다 있으니 ...지켜봐야.ㅋㅋㅋㅋ 중요한건 플스는 피시에서 못돌리는데..엑박은 스팀처럼 손쉽게 돌릴수 있음..굳이 쓸만한 pc 있으면 콘솔안사도됨.....반대로 소니 psn이나 구독제plus는 레알 손도 못될정도로 개판임 ..게임 독점작으로 버티는중임 소니는....본질은 게임재미라 아직까지 소니가 선방하고 있지만...독점작이 사라지고 멀티플랫폼 시장가면 소니는 마소와 스팀한테 작살날거임 ㅋㅋㅋ 엑박콘솔 피시엑박게임패스 ps5 콘솔 다써본 유저가....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8 годин тому

      엑천지의 마지막 발악ㅋㅋ

    • @희망의전사
      @희망의전사 4 години тому

      일뽀오옹 이란다 ㅋㅋㅋㅋ 콘솔게임기 원조가 일본인데 진짜 구시대인간

  • @KimCoder_
    @KimCoder_ 19 годин тому +2

    한국 기준으로 보면 클라우드로 게임 하는 사람 많이 없는데...
    공정위에서 21년도에 클라우드 게임 시장이 37억 이라는데 21년도 게임시장이 19조 1109억에서 0.02% 밖에 안된다고 나오네요
    클라우드 게임 패스 가입 하고 해보면 답답해서 그냥 게임 사서 하게됩니다
    기술의 발전이고 자시고 게임 자체가 클라우드 게이밍 기반으로 만들어진게 아니고
    각 기기들의 컨트롤러에 맞춰서 개발 되어 나오니까 키보드로 하는 불편함, 터치로 하는 불편함 등이 오히려 그 게임의 재미를 더 반감 시키거든요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8 годин тому

      클라우드빠는애들은 엑천지밖에 없음

    • @9642-l9h
      @9642-l9h 4 години тому

      정답. 게임사는게 속편함. 키보드로하면 일하는 것 같음.

  • @skipping84
    @skipping84 11 годин тому

    선생님 잘 보고 갑니다. 흥미로운 얘기였어요.

  • @spacekim7492
    @spacekim7492 День тому +5

    엑박은 삽질많이 했지. 스스로무덤 팜

  • @gödoryoun6
    @gödoryoun6 23 години тому +3

    플엑대전이 이걸로 끝나는구나 싶습니다... 남는 건 플닌대전인가 보네요. 물론 게임이 되겠냐만은요.

    • @doradora1471
      @doradora1471 9 годин тому +2

      둘이 경쟁은 안되고 독점체제로 갈꺼같아요 플스는 고사양게임 닌텐도 자사 독점게임으로요

  • @MrLikewind
    @MrLikewind День тому +18

    아이러니하게 엑스박스가 플스에도 게임을 내기로 결심한 4분기는 엑스박스가 역사상 처음으로 분기 매출 1위를 했습니다
    그것도 2위 텐센트 3위 소니 4위 ea를 크게 앞질렀죠
    매출 1위를 하는분기동안 엑스박스 판매량은 전세계 10만대도 안됩니다
    결과적으로 게임기 판매댓수와 돈을 버는건 아무 상관이 없는 시장이 되버렸다는 소리죠
    결국은 게임기를 얼마 파냐 경쟁보다 매출을 극대화하는걸 ms는 목표 삼는거같고 그 극대화를 위해 플스와 닌텐도에도 게임을 팔고 그걸 넘어서 게임패스도 넣겠다가 궁극 목표가 아닌가 싶군요

    • @inswrite
      @inswrite  День тому +2

      그렇죠. 이젠 플랫폼, 서비스, 디지털에서 누가 잘하나가 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닌텐도는 따로 노는 것 같지만요.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엄빠돈으로 인수해서 매출딸쳐서 뭐함? 현실은 엑박부서는 100조 부채잡혀서 하루빨리 인수금액회수하라고 본사에서 명령떨어져서 플스에도 게임 다내줘야하는 현실인데ㅋㅋㅋ

  • @LoonPigHead-Dandudae
    @LoonPigHead-Dandudae 23 години тому +4

    Ms야 게임이나 잘만들고 애기하자

  • @마이돌-s7m
    @마이돌-s7m День тому +3

    MS는 서드파티의 중요성을 몰랐던게 초기실패에 컸다 봅니다.. MS의 XBOX시절 초기 서드파티는 드캐시절부터 지원으로 든든한 세가와 거기 같이 따라온 테크모(DOA3에 닌자 가이덴을 여기에 최초 냄), 그리고 바이오하자드 더 팔고 싶어하던 캡콤(철기같은 괴작도 내긴함), 코나미나 남코도 내긴했지만 드캐에 데여 PS에 주력하고 스퀘어는 방관... 훌륭한 서드파티를 육성하고 일본내 우수 제작자들을 많이 확보했어야 했는데 너무 양키스러운게임들이 많다보니...딱히 XBOX가 끌리지 않게 됨.. ..빌게이츠는 뛰어난 경영자지만 게이머입장엔 겜알못인 사람일뿐.. XBOX의 클라우드 미래도 딱히 밝진 않음..클라우드는 스토어와 병행이 아닌 부분도 있다보니 ... 게다가 스팀이란 유통플랫폼도 있고 이제 게임을 다운로드방식으로 하다보니 어느 콘솔이어도 어느기기로 즐기는 시대가 되어서..360레드링사태나 XBOX ONE의 이상한 게임정책.. XBOX SERIES S등 마소 윗선의 게임정책은 유저들이 이해못하는게 많네요..

    • @inswrite
      @inswrite  День тому

      브로드밴드 서비스가 안되니 드캐 게임 호환은 못해주겠다고 했었죠. 요즘같은 마인드라면 '일부 게임은 미지원'이란 형태로 호환되게 해줬다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소프트웨어 풀도 팍 늘어났을테고, 서드파티 참여도 쉬웠겠죠.

    • @purplehaze7572
      @purplehaze7572 День тому +1

      구엑박 시절 서드파티는 소니의 호작질이 컸습니다
      당시 콘솔 가장 많은 개발사가 포진되어있던 일본 개발사들더러
      엑박에 타이틀 내는 회사에겐 페널티를 주겠다고 겁박했었습니다
      이미 골수 엑박 유저들은 다 알고 있는 비화에요
      드림캐스트에 윈도우 CE를 제공하며 마소는 세가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터라 세가 산하의 개발사들이나
      특정 몇몇 일본 개발사들만이 구엑박으로 출시하는게 전부였고
      태반에 달하는 비율이 서양 게임사만 나오게 된 겁니다
      플스 유저이신지 몰라도 이 역사를 모르신채 이야기를 하시니
      앞뒤가 안맞는 얘기들만 하시고 계시네요
      그리고 360 플3 시대에 들어선
      더욱 더 일본 개발사들 구애를 위해
      개발사에 투자하고 개발자들 출장보내고 오만 짓 다 했지만
      완전판이나 특정 DLC를 플스로 내도록 또 구엑박때 하던 짓을
      반복하기도 했었죠
      그리고 윈도우 친화적인 시스템이라 커스텀펌웨어가
      좀 일찍 풀리는 것과 동시에 갓오브워3, 라오어와 함께
      풀3이 중후반기부턴 확실히 탄력을 받아버린 게 큽니다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purplehaze7572네 엑천지다운 음모론 발동~ㅋㅋ그런다고 느그 망한엑박 안살아남

    • @purplehaze7572
      @purplehaze7572 6 годин тому

      @testyment5203 엑박이 지금 줫망한거 부정 안함ㅋㅋ
      근데 이거 사실임
      느그 플스충 슨배임들 가득한 근근웹가서 물어보렴ㅋㅋㅋㅋㅋㅋㅋㅋ
      당장 블자 인수할때 게임패스에 게임 올리는 개발사한테
      페널티 주겠다고 지랄한 전적 멀리 안가도 바로 있음ㅋㅋㅋ

    • @purplehaze7572
      @purplehaze7572 6 годин тому

      @testyment5203 구엑박 당시에 그래서 일본 게임들
      나온거 리스트 읊어줘볼까? 딱 세가와 세가 산하 및 연관 개발사들 뿐임
      구엑박으로 여신전생 스핀오프작 나온적 있다하면 믿을래? ㅋㅋㅋ
      그런거 아니면 죄 하꼬 일본 개발사들이나
      원래도 멀티로 내놓는 캡콤같은데서
      메인작품이 아닌 사이드 곁다리 자투리 타이틀 낸게 전부임
      드캐시절 친분도 그렇고 그래서 구엑박이
      드림캐스트 정신적 후속기란 얘기가 나온거임
      뭘 좀 알고 씨부렸음 좋겟다 ㅋㅋㅋㅋㅋㅋㅋ
      마소가 병신같이 장사한 영향도 분명히 있는데
      소니가 이제껏 업계에서 닌텐도가 과거 패미컴 슈패 이 시절 그 이상으로
      얼마나 좆같이 마케팅하고 장사질 해왔는지 똑띠 들여다보고 오셈ㅋㅋ
      이런 과거 사실 언급하면 눈 감고 귀 막고 어버버 하면서
      피해자 코스프레한다 지랄하지 ㅋㅋㅋㅋ
      딱 민주당 애들같음

  • @gozarani
    @gozarani День тому +2

    다른걸 떠나서 플심 2024는 진짜 너무 실망했습니다.
    전작에서도 끝까지 안 고쳤던 버그가 그대로 있고
    자잘한 버그나 서버 문제도 심각하고
    요즘 미완성 게임을 그냥 출시해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MS도 그럴줄은 몰랐네요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요즘 문명 VII도 그렇고 미완성 게임이 많네요...

  • @김주원-s5v
    @김주원-s5v 22 години тому +2

    사실 한국이 pc 시장 규모가 워낙 커서 생기는 관점차도 있을거 같습니다.
    해외만 해도 게이밍 pc가 콘솔에 비해 훨씬 적어서(가령 gta5 판매량만 봐도 pc(2.1%), xbox(37.7%)) pc에 그냥 풀어도 잡아먹힐 염려는 없겠구나 생각하는데
    한국은 반대로 콘솔보다 게이밍 콘솔 자체의 숫자가 열세니 콘솔중에서도 마이너인 엑박은 자생력 자체가 사라져버렸지요

    • @roahtgor
      @roahtgor 20 годин тому +1

      우선 XBOX는 콘솔과 PC뿐만 아니라 모바일 시장까지 생각하고 있어서 모바일 시장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서 구글과 애플이 견제로 앱스토어에서 XBOX 앱 구동을 제한하고 있죠. 애플과 구글의 게임 수수료는 조단위이고 애플은 아케이드 구독 서비스도 하고 있으니까요. 그리고 엑박은 앞으로 정말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갖고 OTT 서비스를 겸비한다면 완전히 사라지진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애플TV처럼 말이죠.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그런걸 보면 GTA V PC판이 늦게 나온 것도 이해가 가지요.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День тому +5

    그냥 윈도우에 xbox를 최적화 시키고 스팀처럼 플랫폼만 제공하면 되는데 왜 저런 개짓거리를 하는지 이해불가...
    이미 운영체재 점유율을 장악하고 있는데도 말이지
    게임사는 왜 산거야

  • @gojakim972
    @gojakim972 День тому +7

    게임기 이야기를 할 때면 자주 등장하는게 가격과 멀티미디어 라고 생각합니다.
    멀티미디어 쪽에 뭔가 애매한 시기에 도전했던 소니나 MS가 어려움을 겪어야했던 이야기 이기도 하죠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더 다양한 경쟁과 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항상 하고 있기에
    MS 소니 닌텐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회사들을 응원하는편입니다.
    그런점에서 하드웨어 경쟁은 끝나가 보이지만 선두주자격이였던 MS 닌텐도 소니가 뚜렷한 특징을
    갖게된 지금의 모습도 저는 아주아주아주 나쁘다고는 생각하지 않게되는것 같아요

    • @inswrite
      @inswrite  День тому +1

      결과적으로 소니, MS의 방향성은 맞았던 것 같습니다. 소니도 콘텐츠를 운영하니 궁극적으로 멀티미디어를 봤고, MS는 드디어 자신들만의 플랫폼 시장을 찾았으니...

  • @edwardjeon3255
    @edwardjeon3255 20 годин тому +1

    게임기의 역사에 대한 영상을 볼때마다 이해는 가지만 공감은 안가네요.
    게임기가 저렴해서 많이 보급될 수 있었다고 하고, 14:13에서는 소득수준이 낮은 국가는 게임기가 가장 게이밍 접근성이 좋다는 뉘앙스지만,
    막상 제가 어렸을때 집에 게임기가 있다 하는 친구집은 전부 잘사는 집뿐이었거든요.
    일본,미국과 우리나라의 사정이 달랐던건지, 그래서 우리나라의 콘솔 점유율이 낮은건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그렇습니다.
    이제는 그 친구들이 잘살던 못살던 게임기 하나쯤 구매하는것이 어렵진 않은 어른이 되었지만,
    그래도 어렸을적 기억때문인지 여전히 게임기=비싸다 라는 막연한 인식이 있어서인지 이런 영상을 보고 있으면
    논리적으로는 맞는 말이라 그렇구나 하면서도 뭔가 아닌것같은데 하는 기분적 위화감도 드네요.ㅎ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1

      80~90년대는 한일간의 격차가 컸기 때문이겠죠. 당시 한국의 1인 명목당 GDP는 일본의 25% 수준, 삼성전자 초봉이 90년대 초 900만원이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25000엔짜리 슈퍼패미컴 등은 아무래도 고가품이겠지요.

    • @고길동-d2f
      @고길동-d2f 9 годин тому +1

      컴퓨터보다 게임기가 더 저렴한건 사실이기 때문이죠...컴퓨터는 잘사는 친구들집조차 보기 힘들었거든요...

    • @doradora1471
      @doradora1471 9 годин тому

      어른 기준으로 싼거아니였을까요? Ps2 130만대로 꽤 팔렸어요

  • @코르누코피아-z3u
    @코르누코피아-z3u День тому +4

    타사 플렛폼에 게임 공급하면 그게 소프트회사지 플렛폼 회사는 아니잖아요. 그동안 베테스다등 게임사들 엄청나게 사들였는데 그거 독점작 만들어서 엑스박스 키우려고 했던거 아닌가요? PC에는 스팀에 밀려 에픽에게도 밀려 게임기에선 플스와 닌텐도에 압살당해 마소는 그냥 떠나는 겁니다. 그동안 돈들였던거 다 허사가 된거고요. 게임사는 되팔렘시도 할거고요. 게임기 산업에 사운을 걸지 않으면 그 업계에서 생존못합니다. 그냥 숫자만 보고 음 적자네 정리해 이린식이면 그 사업 유지못해요. 인텔과 보잉이 망한 이유죠.

    • @inswrite
      @inswrite  День тому +1

      MS는 그 게임들이 전부 MS의 클라우드를 쓴다면, MS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타 게임기에 서비스 된다면이란 관점에서 보는 것 같습니다.

  • @shiratori317
    @shiratori317 14 годин тому

    공장장님 영상을 보고 무릎을 탁 쳤습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이제 수많은 소프트웨어들을 하나의 기기에서 사용하는 미래가 펼쳐지겠군요. 그런 의미에서 더더욱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는 스마트폰이 계속해서 중요한 비즈니스가 될 거라 생각합니다. 전세계의 모든 게임들을 소니나 엑스박스라는 플랫폼을 통해 스마트폰에서 즐길 미래가 보이네요!

    • @shiratori317
      @shiratori317 11 годин тому

      밖에서 폰으로 게임하다가 집에 오면 그 데이터 그대로 스마트티비로 연동하는거죠. 쩐다!! ㅋ

  • @rargoprid
    @rargoprid 22 години тому +2

    애초에 플스 닌텐도와 경쟁한다는게 어렵긴함

  • @tenshinoangel77
    @tenshinoangel77 21 годину тому +1

    엑박을 다양한 멀티플랫폼으로 만들기 위해서 세가에 접촉 했었지 그 증거로 드림캐스트에 윈도우ce가 있었고
    실제로 드캐 망한후 상당수를 엑박발매후 상당수를 흡수한후 360을 거쳐서 one까지 행보 보면 콘솔없는 플랫폼을 위한 작업이라 봐도 될듯

  • @용꼬리-h5k
    @용꼬리-h5k День тому +7

    그래서인지 엑원때부터 디스크를 구매 안하게 되고 본격적으로 게임패스로 시작하게 되니깐 콘솔기는 그냥 게임을 즐기기 위한 용도일뿐 꼭 구매 해야 할 필요 없고 pc로만 족하다 생각이 들게 되더군요. 어차피 내가 하고 싶은 게임들은 스팀,게임패스로 거진 대부분 나오고 있어서 콘솔기를 구매해야겠다는 생각이 날이 갈수록 적어지고 있습니다. 예전에 같았으면 당장 구매 했을 플스5프로도 이번에는 구매 할 생각 아예 안날 정도이니...

    • @bitwhale-s4m
      @bitwhale-s4m День тому +1

      플스5 듀얼센스 사용해보면 그 진동과 사운드에 맛 한번 들이면 다시 pc 게임으로 못돌아가죠. ㅎㅎ 저도 스팀만 했었는데 ps5 프로 4k 대형 TV로 게임하면서 듀얼센스 진동 맛본 후로 스팀은 자고 있습니다. 스팀도 듀얼센스나, 엑박 조이스틱 가능하나 ps5 의 듀얼센스 진동은 특허라서 pc에서는 반의 반도 구현 못합니다.

    • @용꼬리-h5k
      @용꼬리-h5k День тому +3

      @@bitwhale-s4m 개인적으로 컨트롤러의 진동은 잘 쓰지 않습니다. 게임 플레이시 진동이 꼭 필요한 게임들은 어쩔 수 없이 켜놓고 하지만 이런 경우는 진동의 강약수치를 최대한 약하게 하고 나머지는 진동때문에 손의 간질간질함이 불편해서 전부 다 끄고 합니다. 플삼3,삼돌이때는 즐겨 썼는데 그 이후로는 나이 먹어가니깐 손도 나이 먹어가는지 오히려 진동이 없는게 편할 정도로 진동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더군요.

    • @inswrite
      @inswrite  День тому +1

      그래서 그런지 제 주변도 요즘엔 PC 위주로 옮기고 있습니다.

  • @명익-s6p
    @명익-s6p 12 годин тому +2

    저번주에 망치사서 엑박뿌셔버렷음😢

  • @hcl4934
    @hcl4934 20 годин тому

    MS에게 하드웨어는 크게 중요하지 않아보이고 밸브에선 새로운 스팀 콘솔을 개발하는거 아니냐는 루머가 나오는게 참 흥미진진합니다. 이래서 게임판은 내일이 어떻게 될지 모른다고 했던건가요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지금 나오는 밸브 콘솔은 꽤 경쟁력이 있을 듯 합니다.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밸브 그거 헛소문으로 뜬지가 언젠데 아직도 그소리질ㅋㅋ

  • @JoJaeAlDo
    @JoJaeAlDo Годину тому

    의외로 모르는 사람들이 있던데 플스4만 해도 드라마나 영화 넣은 usb를 플스4에 꽂으면 재생 가능함

  • @인생떡상-h6p
    @인생떡상-h6p 2 години тому

    왠만한 게임들이 스팀 혹은 휴대폰에도 발매되면서 따로 게임기를 살 필요가 안느껴집니다 솔직히 스팀으로 받아놓고 1주일하다가 안하는게임들도 많아서요 ㅜㅜ

  • @meguming9005
    @meguming9005 23 години тому +2

    독점작은 아무래도 플스쪽이다보니까 엑박쪽에는 한정판 독점작이 거의 없는거같네요

  • @기타치는아재
    @기타치는아재 12 годин тому +1

    그냥 드림캐스트 지지한 세가랑 같다

  • @초보모델러
    @초보모델러 17 годин тому

    그런데 최근에 소니에서 블루레이디스크의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게 단순 소비자용만인지, 아니면 기업용까지인지 모르겠지만, 아마 아에 생산을 중단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마도 PS6는 디스크버전이 없는 버전만 나오고 다운로드방식의 판매만 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요즘 PS5 용 디스크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인걸 보니 소니도 나름 준비하는 듯 합니다.

  • @조희성-l1h
    @조희성-l1h День тому +16

    꿈은 꿈일뿐이죠. 소니도 콩코드로 큰 꿈을 꾸긴 했으니까요. 말아먹기 전까진... 지금까지의 MS행보도 그리 좋은평가를 받고있진 못하고 엑박 클라우드도 점점 적자를 보는 상황일테니...멀티미디어 시장을 선도하고 싶었으면, 아마존프라임이나 넷플릭스, HBO같은 회사를 매입했어야 하지 않나 싶네요.

  • @도엽-d4o
    @도엽-d4o 12 годин тому +1

    하지만 엑박 플랫폼은 아직도 업뎃이라든지 게임 다운로드라던지 윈도우에서 잘 구동이 안되서 잘 이용안하게되죠

  • @WonYongJung
    @WonYongJung День тому +13

    xbox게임을 게임패스로 윈도우즈로 돌리게 해준 시점에서, 윈도우즈가 xbox 매출을 갉아먹고 있었을테니… 예견된 상황

  • @kimandre336
    @kimandre336 22 години тому +1

    미국 유투버 SomeOrdinaryGamers의 옛날 동영상 보니까 마소가 망할 것 같은 느낌이 듬

  • @함종완-s1q
    @함종완-s1q День тому +6

    스팀 유저에서 요즘 게임 패스싸서 결제해봤는데..
    이거..이거.. 구독제 스팀을 만들려고 하는거 아닌가? 생각을 하게됨. 거기다 스팀에서 게임을 사면 상속이 안된다.. 지금 내 스팀 라이브러리에도 수백만원어치가 있음에도 내자식에게 전달이 안된다 생각하니 음.. 차라리 구독 시스템이 좋은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 @pocketoy
    @pocketoy 22 години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걸 보면서 옛날 기억을 많이 떠올리게 되네요... 확실히 옛날에는 거실이 엄청 중요한 것처럼 다들 생각했었죠. 다들 모여서 저녁에 밥먹고 거실에서 함께 TV보는게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던 루틴이니... 근데 미래가 되고 보니 거실이 중요하다 이딴 생각 자체가 낡은 생각이었죠... 거실에서 가족들이 함께 게임과 영화를 즐겨..? 다들 핸드폰 쥐고 조용히 각방에서 노는게 진짜 미래였죠. 다들 자기 놀거리가 있다보니 가족이 모여서 같이 영화 한편 보기도 힘듭니다. 다들 취향이 틀려서... 뭐 게임기는 TV 옆에 있어야 해서 여전히 거실에 많이 두긴 하겠지만 사실 가족용이라기보단 그냥 개인용 장비죠... 빌게이츠가 꿈꾸었던 PC가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이 되는 세상은... 사실 제대로 오기도 전에 지나가버린 느낌이기도 합니다. PC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집에선 그저 조연이었고... 그런 의미에선 빌게이츠의 미래 예측도 많이 틀렸네요. 그리고 사실 거실을 차지하기 위한 PS과 XBOX의 싸움도 좀 웃긴게... 왜 TV가 스스로 발전해서 혼자 스스로 스트리밍도 하고 웹서핑도 하고 이것저것 다 할 수 있게 될거라는 생각은 못했던걸까요... 스마트TV의 가능성은 제껴놓고 싸우는걸 보니.. 참 웃기기도 하네요... 미래 예측이란게 참 한계가 있는듯... 결국 할 수 있는 현재의 기술은 한계가 있는데... 그 현재의 기술만 가지고 상상하다보니 상상력이 제한되는것 같아요... 그냥 당장 지금 이 순간의 최선... 그리고 바로 다음 세대 정도까지만 고민해야지... 이거 한방으로 뭐 엄청난 개혁과 변화를 일으키겠다.. 미래 주구장창 먹거리를 만들어내겠다.. 이런 류의 지나친 미래지향적 야심어린 계획은 다 삑사리나는거 같아요... 얼마전에 올려주셨던 스팀덱 성공 스토리만 봐도... 결국 때가 되었을때 시도해야 뭐든 성공하는 법...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말씀대로 스마트폰이 생기면서 각자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이제 거실을 윈도우가 장악하는게 문제가 아니라 그 개인을 MS가 장악하는게 문제가 되어버렸죠. 빌 게이츠는 예전에 그에 관한 예측을 정확히 했음에도 윈도우폰에선 선택이 늦어서 실패했으니 참 세상 일 알 수 없는 듯 합니다.

  • @kiva9583
    @kiva9583 23 години тому +2

    헐 이젠 기어워에 이어 헤일로 시리즈까지 ps5로 발매하는건가 보네요 ㄷㄷㄷ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아직은 그 말이 없지만 앞으로 더 낼거라고 하니 그렇게 될 지도요?

  • @CielDeNoir4357
    @CielDeNoir4357 20 годин тому

    엑박이 예전부터 소비자친화적이지 않은 정책을 펼치면서 부진하는 거는 그렇다 쳐도 마소가 아예 콘솔기기 개발에서 손을 떼버리고 소니가 코어게이밍콘솔 시장을 독점 하게 되는건 게이머 입장에서 매우 악재로 작용하죠. 포기하지는 말아줬으면 하네요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그렇죠. 독점은 소비자에겐 안 좋으니까요.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응 넌 pc esd독점걱정되서 스팀대신 에픽스토어만 쓰고 그얘기하는거지? ㅋㅋㅋ

  • @도라지-d3g
    @도라지-d3g День тому +1

    나만해도 콘솔이없음
    다운받을 필요도없고 겜패라 저렴하고 구매도해서 클라우드로 플레이 가능해지기 시작
    서버를 대규모로 늘리고 있다하니 기대중

  • @Wing-Zer0
    @Wing-Zer0 20 годин тому +1

    이런 애들이 닌텐도 보고 sw만 만들라고 ㅋㅋㅋ
    자기들 하드웨어도 못지키는 애들이 뭔 닌텐도 인수여

  • @샷다이
    @샷다이 День тому +2

    왜 윈도에 xbox가 있는지 이해가 되네요

  • @꽃갱이-o5e
    @꽃갱이-o5e 9 годин тому

    엑박 몰락해서 가장 크게 안타까운건 엑팝패드의 업그래이드가 이제 더이상 없을꺼란게 너무 크다...개인적으론..

  • @eel6031
    @eel6031 11 годин тому +1

    X박스 목적중 하나가 다이랙트x 보급으로 알고 있음 게임 이부분은 성공했나?
    루머로는 소니에 게임패스 넣으려고 노력중 이라는거 같음

  • @Chatneuf
    @Chatneuf 19 годин тому +2

    마소의 가장 큰 문제점은 모바일 시장을 장악하지 못했다는 점이라고 봅니다.
    현재 게임시장은 사실상 모바일이 기반인 게임들이 장악하고 있어요. 원신 명조 등등..
    그런데 그 모바일 게임시장을 현재 중국이 점령했다시피 하고 있습니다.
    반면 마소는 아직도 피씨기반의 게임들에 주력하는것 같네요. 마소게임 해본적이 없어서 모르겠지만 마소게임 기억나는게 없어요.
    중국은 모바일 기기에 기반한 게임을 만들면서 피씨로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피씨게임시장까지 장악해 가고 있습니다.
    심지어 모바일 게임은 피씨만이 아니라 ps등 콘솔에서도 구동되게 해서 거의 모든 게임시장을 점령한 상태라고 봅니다.
    마소뿐만 아니라 미국의 게임회사는 실질적으로 현재 중국에게 너무 뒤쳐져 있는것 아닌가 싶군요.
    지금 게임시장은 거실만이 아니라 침대와 집밖 모든곳에서 게임이 가능한 모바일 게임이 대세입니다.
    마소는 이전이나 지금이나 게임시장을 너무 모르는것 같습니다.
    그나마 마소가 강점인건 엑박패드(컨트롤러)라는 하드웨어 기기인데 그것을 너무 간과하고 있는것 아닐까 싶은데요.
    모바일 기반 게임에 자신없으면 그것을 잘 만드는 회사를 인수해서라도 모바일 기반의 게임시장에 뛰어들어야 하는데 그러지 않을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볼때 앞으로 모든 IT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모바일 기반의 게임이 이끌어갈 것이고 그게 핵심이라고 봅니다.
    20세기 비디오 시장의 폭발적 확대가 포르노 산업과 관련해서 성장한것 처럼 말이죠.
    한때 한국이 게임산업 강국이었는데 nc의 한마디 "원신? 저게 돈이 되나?"라는 말로 축약되면서 점점 쇠락해 가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도 한국은 여전히 묻지마 혐중을 하고 있으니 진짜 적을 몰라도 너무 모르는것 같습니다.
    게임시장만이 아니라 알리만 보더라도 다품종 소량의 온라인 마켓을 중국이 장악해 가고 있습니다. 쿠팡조차 위기감을 느껴 출혈경쟁을 하고있는 실정이죠.
    (트럼프의 중국때리기가 괜히 나온게 아닙니다. 트럼프 조차 중국의 다품종 소량 판매라는 물량공세에 위기감을 느끼는거죠)
    그런데 알리나 쿠팡이나 둘다 국내 토종기업이 아니고 한국은 그냥 cj등 택배 물류만 겨우 유지하고 있군요.
    요즘 유튜브등을 보면 여기저기에서 중국경제가 망해가고 있다고들 하는데 실제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진짜 망해가고 있는건 한국이 아닐까 싶은데요. 경제나 정치나 리더도 없고 비전도 없는게 한국인것 같습니다.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원신 등을 보면 확실히 중국이 치고 올라오는 속도가 빠르다는게 느껴집니다.

  • @김인성-o6r
    @김인성-o6r 8 годин тому

    저는 탈 콘솔화 현상, 즉 디지털 플랫폼으로의 이행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왜냐면 디지털 플랫폼은 소비자 입장에선 구속될 것이 없기 때문에, 철저히 소프트웨어의 질과 서비스 품질로 승부할 수 밖에 없을 거라고 보기 때문이죠. 사실 물리적인 하드웨어가 중심이던 시절에도 결국 중요한 건 소프트웨어였지만 한 번 독점적 영역을 구축하면 유지하기가 쉬웠던 것에 비해 디지털 플랫폼은 소비자가 훨씬 쉽게 다른 플랫폼으로 옮길 수 있죠. (계정 하나만 더 만들면 되니, 옮긴다기보단 확장일까요?) 그러니 앞으로는 디지털 플랫폼 간에 소프트웨어 독점 경쟁이 심해질 가능성도 있을 겁니다. 지금은 아직 디지털 플랫폼과 하드웨어 콘솔이 혼재하며 콘솔의 시장 장악력이 약해져 가는 입장이니 기업 입장에선 자사의 콘솔만이 아닌 다양한 기기로 게임을 발매하는 것이 이득이지만, 디지털 플랫폼이 시장의 중심으로 자리를 굳히고 나면 그들 사이에서, 과거 콘솔 경쟁과 같은 경쟁이 일어나게 될 거라 봅니다. 그렇게 되면 과거와 마찬가지로 누가 양질의 소프트웨어를 많이 독점하는 지와 누가 더 편리하고 저렴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가 관건이 될 텐데요. 후자는 콘솔로 치면 하드웨어 성능과 가격 경쟁에 해당하겠네요. 이렇게 보면 경쟁의 장이 하드웨어 콘솔에서 디지털 플랫폼으로 옮겨왔을 뿐 경쟁의 성격 자체는 변하지 않을 거라고 예상 할 수 있겠습니다.

  • @방랑의게이머
    @방랑의게이머 День тому +16

    이미 몇년전부터 엑스박스는 하드웨어만을 지칭하는게 아닌 MS의 총체적인 게이밍 브랜드 네임이 되어버렸습니다.

    • @아메리카노-z1v
      @아메리카노-z1v День тому +2

      ​@@moneybugvic라고 엑박 진영이 정신승리하는게 웃음벨임 그냥 마소가 시장에서 패배해서 어쩔수없이 노선을 바꿀수밖에 없는건데ㅋㅋㅋ

    • @elpresidente124
      @elpresidente124 День тому +2

      엑박 원 발매시점에선 이미 그렇게 된거라고 보는게 맞지 않나요? 그러니 독점작 전부 풀어버렸지​@@아메리카노-z1v

    • @doradora1471
      @doradora1471 9 годин тому

      ​@@elpresidente124진짜 그랬으면 엑시엑 안만들었죠 하드웨어를 중심한건 맞아요 근데 ps5한테 완패해서 후속기기가 어떨지는 모르겠네요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lg도 스마트폰접으면서 비슷한 소리하면서 자위한거다ㅋㅋㅋ

  • @aibada6594
    @aibada6594 9 годин тому

    게임을 모르는 MBA들이 나서면 생기는 문제
    게임 소유권을 없에고 서비스로 만들려는
    닌텐도와 소니의 오랜 염원을
    마소가 이룰 지도 모르나

  • @germanydesign
    @germanydesign День тому +1

    닌텐도는 스위치 팔아 먹어야 하는데 왜 pc로 내놔 ㅋㅋㅋㅋ pc 로 나오면 스위치 반토막 아니 아예 망해 버릴텐데 ㅋㅋㅋ

  • @youseha562
    @youseha562 23 години тому +4

    패배한자의 비겁한 변명으로 보입니다.

  • @yujoeingan
    @yujoeingan 18 годин тому

    마소의 엑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한 이유는 무엇으로 해석해야 할까요?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나중에 한 번 다뤄보겠습니다.

  • @ramg1617
    @ramg1617 День тому +2

    게임기는 원가보다 싸게 파니까 팔면 팔수록 손해
    게임기는 게임을 팔기위한 플랫폼이었지만
    이제는 콘솔 게임기 말고도 클라우드와 PC로도 게임을 팔수있으니 마소의 선택은 옳은 선택이 될것입니다.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네 콘솔경쟁 쳐발리고 자위는 엑평ㅋㅋ

  • @임수천-f6x
    @임수천-f6x День тому +4

    저에게는 마소는 그냥 개양아치 기업이라고생각함 그리고 피씨는 지금도 구매하는유저는 적어지고 애플쪽으로 유입은 늘어감 마소의문제점은 고객불만점을 고칠생각이없어보임 게임개발하라고 그렇게 얘기했지만 돈으로 해결할생각만하는 양라치일뿐

  • @neoneo440
    @neoneo440 День тому +6

    40대중반도 어려운 건담보다 이런게 재밌어요 👍

  • @ahnmincheol
    @ahnmincheol 5 годин тому

    동전넣고 조이스탁 돌리며 보턴을 누르던 갬성 게임기와 게임CD를 가지고 소장한다는 즐거븜이 사라진 게임사회는 죽은사회다

  • @giparangjin5885
    @giparangjin5885 22 години тому

    PC용 게임이 XBOX 게임기에서 굴러가도
    그것도 매력있겠네

  • @ilaukyoon9062
    @ilaukyoon9062 День тому +3

    영상 잘 봤습니다. MS의 게임과 연계한 클라우드 사업의 구체적인 수익모델또한 궁금하네요.

    • @roahtgor
      @roahtgor 21 годину тому +1

      MS는 게임보다는 클라우드를 중점으로 수익모델을 생각한거 같습니다. 우선 게임은 애저 클라우드 포트폴리오에 쓰기 용의하죠. 예를 들어 과거 배그가 떴을 당시 배그는 AWS로는 부족해서 애저까지 썼는데 콘솔 진출 준비 할 당시 바로 적극적으로 투자해준게 MS 였고 콘솔 버전 최초로 XBOX버전이 나왔었죠. 당시 배그 동시접속자 수를 생각해보면 클라우드의 영향력은 컸을 겁니다. 그리고 클라우드와 앞으로의 클라우드 게이밍쪽으로 좋은 견본, 실험이 될 수 있을거라고 봅니다. 아직도 베타 딱지를 완전히 떼지 못했고 이런 저런 클라우드 데이터를 모으기 위해서 그리고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서 경쟁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보다 착한 가격으로 서비스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진율이 75%인 엔비디아 조차도 클라우드 게이밍은 시간 제한과 가격도 비싸죠. 아마존의 루나, PS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등도 비슷하죠. 아 그리고 PS의 클라우드도 MS의 애저를 사용하고 있으니 MS가 클라우드를 밀어주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게임을 활용하는거라고 봅니다.

    • @ilaukyoon9062
      @ilaukyoon9062 20 годин тому

      @@roahtgor 고견 감사드립니다.
      이미 클라우드에서 게임의 체험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점점 재미있어지겠네요. ^^
      MS가 단지 소니나 닌텐도, 타 플랫폼 업체들에게 자사의 클라우드 홍보목적으로만
      엑스박스 사업을 제한 하지만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긴 했는데
      그간 투자한 액수를 보자면 게임사업을 허투루 운영할것 같지는 않습니다~

  • @piofrancisco
    @piofrancisco День тому +5

    글쎄요? MS가 사업 방향을 그렇게 정했다 해도, 게이머가 이를 수용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게임사 이전에 게임이 우선이고, 게임 이전에 게이머가 우선이어야 합니다. 그런데 MS가 여태 반복적으로 여기에서 실수를 하지요. 게이머의 마음을 잃는다면 거기서 끝입니다.
    저는 MS의 ‘내 방식 따르라‘는 식의 접근이 전혀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XOX, XSX 다 써왔지만 다음 세대엔 글쎄요??

    • @재밌는놀이90
      @재밌는놀이90 День тому +3

      하지만 매출액과 영업이익률은 전혀 정반대로 흘러가고 있음. 그리고 MS를 보고 소니가 따라하고 있을 정도로 시대의 정답은 결국 MS임.

    • @inswrite
      @inswrite  День тому

      원래 MS가 좀 밀어붙이기를 잘하긴 하죠. XBOX ONE의 TV라던가...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1

      ​@@재밌는놀이90엑박은 이익률1도 안까는데 날선은 엑평ㅋㅋㅋㅋ 그리고 느그부서 액블인수한다고 100조쓴거는 쏙빼고 언플을쳐하네ㅋㅋ

    • @재밌는놀이90
      @재밌는놀이90 7 годин тому

      @@testyment5203 영상, 댓글 하나도 안 보고 그저 콘솔에 매몰되어서 아무튼 엑박 이익률 안 깠다!!!!!!!! 라는 플스충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 @polonaise2213
    @polonaise2213 23 години тому +1

    게임은 콘솔로 TV에 연결해서 해야 젬있지.

  • @haginarum
    @haginarum 21 годину тому +9

    MS는 콘솔을 포기하지 않았어요. 이미 여러차례 차세대 하드웨어를 개발 중에 있다고 이야기 했구요. MS가 콘솔 산업에서 진 것은 맞아요. 하지만 마소는 자신의 강점인 윈도우와 애저 서버와 함께 게이밍 사업을 계속 이어가고 있고 xbox 콘솔도 중요한 일부라고 말하고 있어요. 저도 xbox의 독점이 없어진 것은 아쉬워요. 하지만 MS가 게임 사업을 접는 것 보다 이렇게 이어가 주는 게 좋구요. 언제나처럼 좋은 영상입니다만 제목이 아쉽습니다. 최근 여러 매체의 기사들을 보면 MS와 xbox는 경쟁사에 비해 지나치게 비난 받고 있다고 봅니다. xbox가 정말 사라졌으면 하는 건지 아니면 만년 3위로 조롱 받길 바라는 건지 모르겠군요.

    • @dynt1111
      @dynt1111 15 годин тому +3

      차세대기가 거치형 콘솔이 아니라
      그냥 윈도우깔린 umpc일수 있다는 루머도 있더군요
      맞다면 포기 맞죠 사실.
      아직 기다려봐야할듯 합니다.

    • @정규나으리
      @정규나으리 15 годин тому +2

      엑박이 최근에 잠시 언급되는걸 두고 지나친 비난이라 말씀하시지만 타 진영이 돌려지거나 억까당하는 빈도나 강도가 늘 언제나 훨씬 높았습니다. 이 채널에서도 다른 채널에서도요.
      어딘가에 무언가가 언급될 때는 사실과 맞는 부분과 어느 정도 다른 부분이 다 존재할 수 있겠으나 뭐 엑박이 그리 억울해 할 포지션은 아니지 않나 싶네요. 지나친 비난이라기엔 똥싸지른게 엄청 많은데 만년 3위라서 그나마도 덜 부각된거라고 보는게 맞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언급할 가치가 없었어요.
      엑시엑 엑시스같은 정신나간 투트랙에 무지성 출혈 패스난사로 데이원무새나 양산하고, 기업 합병같은거 스타트 끊어서 업계에 똥이나 뿌리면서 돈지랄만 하다가 몇년을 실적 안나오니까 곳간털면서 화면달린건 다 엑스박스 이러고앉았는데 조롱 당할만 하죠.
      당장 뭐 금붕어똥같이 주렁주렁 매달린 패스유저들 먹어살리면서 장사안되는 우리나라같은 곳은 방치되고 신공정기기 정발도 거르잖아요. 기기판매야 애저녁에 박살났지만 PC로도 이용가능한 겜패스 서비스를 엄연히 운영중인데도 다 방치하고 있는데 콘솔이 아니라도 조롱할 거리는 넘쳐납니다. 예/ 아 같은거나 스타필드라던가 3월발매하는 어바우드 한글화가 미뤄진 것도 공지 안해준다던가, 월 커피두잔값 푼돈으로 겜받아잡수면서 더내놓으라고 뻗대는 분들도 모욕감을 외칠 정도로 엉망진창인건 사실이고요.
      대 마소라 여태까지 그래왔고 앞으로도 버틸 여력이 충분할테니 결국 오래가면 끝까지 살고 더 높이 올라가겠죠. 피씨든 클라우드게이밍이든 플랫폼 사업이든 다 좋으니 무슨무슨 독과점 견제니 뭐니 구색갖출 정도나 남겨놓고 콘솔시장에서 꺼져주는게 모두가 윈윈하는게 아닌가싶기도 하네요. 부품도 싸구려로 다 바꾼 싸구려 알리패드 팔이 콘솔 된지 오래아닌가요?
      엑박이 정말 꺼지든 조롱받든 달라질건 별로 없지싶습니다.

    • @inswrite
      @inswrite  14 годин тому +2

      그렇죠. 영상에서 말했듯 게임기도 계속 가져갈 걸로 보입니다.

    • @haginarum
      @haginarum 13 годин тому +1

      @@정규나으리 경쟁사에 비해 지나친 비난을 받고 있다는 부분은 취소하겠습니다. 말씀을 듣고 보니 객관적 비교는 무리일 것 같네요. 그런데 쓰신 글을 보고 있으니 단어 선택이 지나치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목조목 나열한 내용들이 사실에 근거하기는 하나 너무 공격적입니다. 게임사 뿐만 아니라 엑박 유저들을 향한 원색적인 비난으로 가득 차 있네요. 굳이 이렇게 까지 눈살이 찌푸려질 단어들을 선택해가며 비하를 해야할 이유가 있습니까? 단어만 순화시켜도 충분히 좋은 글이고 원래 제 글을 무의미 하게 만들어버릴 수 있었을 겁니다.
      제 첫 게임기가 수퍼알리딘 보이였고 새턴과 드캐를 플레이 했습니다. 세가가 콘솔 사업을 접는 다는 소식을 듣던 날은 꽤나 슬펐죠. 플스는 2까지 소유하고 있었는데 scek 주최 대회에 나간 적도 있습니다. 패미컴과 DS를 가지고 있었고 지금은 엑박만 가지고 있죠. 하지만 그보다 오락실 게임들을 더 사랑했던 세대입니다. 제가 중립이라고 생각하거나 양비론을 펼칠 생각은 없습니다. 그저 엑박이란 콘솔과 게임이 계속 이어지길 바라고 더 나아가 줄어들어만 가는 콘솔 시장을 바라보며 앞으로는 콘솔을 얼마나 플레이 할 수 있을 지 걱정하고 있을 뿐입니다. 전 마소가 잘 되길 바라지만 다른 회사들이 망하길 바라는 사람이 아니에요. 훗날 엑박이 사라지는 날이 온다면 그 다음은 닌텐도와 소니를 응원하게 될 겁니다. 그 다음은 콘솔을 만들 회사가 나오지 않을 것 같거든요.

    • @정규나으리
      @정규나으리 11 годин тому +3

      ​​@@haginarum​@haginarum 댓글을 보고 다시보니 진짜 지나치게 원색적이었네요.죄송합니다. 수정하기엔 너무 늦었긴 하고 없던걸로 돌려서도 안되니 심했던 부분 사과드리겠습니다.
      새벽이었고 술이깨던 중이었지만 지나치게 날카롭게 각을 세웠고 예의가 없었네요. 다시한번 새벽부터 불쾌감을 드려 죄송합니다.
      저도 개인적으로는 패미컴부터 시작한 게이머이고 꽤 오랜시간 게임계를 나름의 관점으로 아껴왔고 지켜봤다고 생각했던 사람입니다.
      슈퍼패미컴, 플레이스테이션 새턴 드림캐스트를 겪어오고 3ds와 스위치, 엑박의 변천사도 쭉 봐왔지만 게임계란곳은 그 어느때도 등수같은거 생각않고 앞서거니 뒷서거니하는 나름 조화롭고 평화롭고 그저 즐거운 곳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허나 이번 세대 마소의 선택들이 경계선을 뭉개면서 온 순기능보다는 부작용이 더 심하다고 초기부터 생각해서 주변인들과 끊임없이 얘기해왔고 사람들의 인식이 변해가는것을 꽤 부정적으로 보았기에 그런 부분이 엑박유저분들에 대한 공격적으로 표현된것 같습니다. 부지불식간도 아니고 그냥 적대적으로요.
      이번세대 엑박에 대해 부정적 인식과 불쾌감을 가진 이유는 여럿이 있고 위의 부끄러운 댓글에 적은 것들을 순화하고 또 희석해도 그게 잘 드러날것 같지않아 몹시 송구하네요.
      일단 두서없이 변명하자면 어떤 게임이든 제작과 개발에 사람의 공과 노력이 들어가고 그 규모가 크던 작던 그들을 키우고 노고를 치하해주고 다시 시작할 원동력을 줘 시장을 돌리는 것은 결국 돈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가치를 개발사가 스스로 책정해 제시하고 소비자가 직접 구매를 결정하며 그 결과로 판단받음으로서 제작사는 자신들이 내놓은 것의 가치와 한계, 할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진부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입장인데요,
      게임패스가 패스자체의 보급률을 늘리는데 성공했을지는 모르겠으나 이러한 부분에 대한 기존의 형태를 붕괴시키고, 그 붕괴된 형태가 타인이 만든 결과물을 구매할때 댓가를 지불하는 당연한 행위를 조롱하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게임 전체의 가치를 얕잡아보는 계층을 낳았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엑박 자신들의 초기가 의도는 그게 아니었을 지언정 패스시행 몇년이 지난 지금 남아있는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마인드나 구매형태가 어떤 모양새인가 보면 크게 틀리지 않았다는 생각이고요.
      다음으로는 게임패스에 입점한 일부 게임사들은 겜무원 소리를 들으면서 낮은 퀄리티의 조악한 본편을 데이원으로 내놓고 그 엉성함을 조각케잌처럼 자잘하고 빈약한 DLC로 메꾸고, 유저들은 신작이 나온다고 하면 무지성 데이원 요청에 우린 이거 공짜로 한다고 여기저기 다니면서 분탕을 치는 모습도 꽤 인상깊게 보았습니다.
      제공되는 결과물의 질도 제공받는 이들의 인식도 하향평준화된 느낌을 많이 받았는데 이것은 제 비약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또한 기기나 진영간의 개성과 차별점,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가장 큰 자산이 퍼스트파티의 독점작이라 생각하는데 이번에 그 벽을 허물어버리는걸 보고 진짜 궁한것도 궁한거지만 아예 콘솔계통 판을 다 흐려놓고 본인들이 세팅하는 주전장으로 떠나가려는 의도가 아닌가하는 생각도 들었네요.
      엑박이 게임패스를 발표했을때 소니가 구독제를 다시 건드린다해서 가장 바랐던게 엑박의 정책을 그대로 따라가는게 아닌, 독점작의 위치와 퀄리티를 닌텐도처럼 더욱 폐쇄적이고 공고히하면서 멀티플랫폼 게임에 관대한 형태이길 바란건데 이도저도 아닌게 나와버린것도 좀 그렇고...
      요즘의 게임판은 넘쳐나는 게임방송, 온라인 공략과 가치없이 제공되는 수많은 게임들로 인해, 돈내고 요리를 하나하나 사먹는 사람을 병신취급받게하는 거대한 잡탕샘플러같이 변한것같아 개인적으로는 참 아쉽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자신을 게이머라 칭하는 이들이 게임을 위해 가치를 지불하는 행위를 아까워하고 오히려 조롱하며 폄하하는 풍조라는게 누군가로 인해 생겨났다면 복돌이들 다음으로 저들이 지분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평소에 가지고 있었던게 날카로운 댓글로 튀어나온것 같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으로 상스럽게 표현해 새벽을 망친점 다시한번 사과드립니다.
      이제는 정말 끝이 보이나싶은 콘솔바닥이라 슬프지만 그래도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어느 진영이든 끝까지 버텨주었으면 하는 마음은 선생님도 저도 다르지않을것 같습니다.
      옛날 소울칼리버 게스트캐릭터로 각 콘솔별로 헤이하치, 링크, 스폰을 각각 줬을때 그런 아이디어를 재밌어하며 마냥 즐거워했던 때가 문득 그리워집니다.
      게임은 언제나 즐거운 주제였었는데 스스로 망치는 모습보여 더 민망해지네요.
      다시한번 사과드리고 날선 댓글에 불편하셨을텐데 너무 점잖게 말씀해주셔서 크게 반성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lIIlIlII
    @lIIlIlII 12 годин тому

    4:44 그래서 윈도우10 타이틀에 오피스365까지 결합되어 출시 되지 않을까? 싶은 마음에 (하드웨어도 이미 일반 PC와 동일하구요) 엑시엑을 샀지만... 결과는 아직도 미출시 입니다.

  • @따랑딴딴
    @따랑딴딴 День тому +1

    엑박게임기amd 인텔 riscv arm에뮬 자유선택해서 서드파티생산으로 😮😮😮

  • @안희목-p5p
    @안희목-p5p 21 годину тому

    ms가 게임기를 포기하네ㅠㅠ 근데 포기하지 않는 상황임

  • @tukjukaria997
    @tukjukaria997 23 години тому +2

    포르자 호라이즌 시리즈가 플스에 진출하면 아마 플스 독점인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가 조금 위험해질듯 함 그란 특유의 그래픽과 커리어 모드는 뛰어나지만 포르자 호라이즌 시리즈를 높게 평가하는것중 하나인 공도 주행을 할 수 있는 자유성과 창작,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절때 그란이 못 이김 더군다나 업데이트 주기도 포르자가 훨 짧기 때문에 그란도 다른 방안을 내놓아야 할 듯함

  • @정현영-u1j
    @정현영-u1j День тому

    세가 시즌2엑박😂🎉플스2시절도 어둠에서 모드하신분봄

  • @QqqQqwdas
    @QqqQqwdas 10 годин тому

    결국 업계에서 승리한 진정한 강자는
    독점을 과거부터 아패로도 쭈~~웈~~~ 유지한
    순수 일본인들만 있는 머기업이어따.

  • @germanydesign
    @germanydesign 29 хвилин тому

    닌텐도가 확답안한건 안한다는것 ㅋㅋㅋㅋ PC 로 내놓는 순간 스위치보다 스펙좋은 경쟁 휴대용 게임기로도 다 할수 있을텐데 닌텐도가 미쳤다고 승인하나 ㅋㅋㅋ 더구나 스위치 2 발매 앞두고 있는데 미래는 모르지만 아주 머나먼 얘기

  • @도깨비-m7j
    @도깨비-m7j 6 годин тому

    xbox360 온라인 연결하려고 2년 고생했음
    왜 안 되는지 알려줘야 뭘 하지. 매크로 답변만 싸질러 놓고 제대로 대응 안 해줌.
    다른 유저가 올려놓은 글과 링크로 겨우겨우 해결했음.

  • @염상몬
    @염상몬 21 годину тому +10

    그냥 게임패스가성비가 넘사벽임 불법토렌트랑 맞짱뜨는 수준의 가성비라서 대화자체가 불가능함

  • @user-cx5pl1c
    @user-cx5pl1c 23 години тому

    그 와중에 폐쇄적인 악세서리 정책은 정말.. 블투는 막아버리고 여럿 악세서리 가격은 뭐.. 그리고 엑스같은 키보드 제한..
    윈도우를 만든 회사가 키마를 이따구로 제한해서 일부에만 겨우 쓰게끔 하는것 자체가 웃길 뿐이죠.
    개인적으로 엑박 콘솔을 2개만 ㄱㄷ 와중에 패쇄적인 악세서리 정책은 정말.. 블투는 막아버리고 여럿 악세서리 가격은 뭐.. 그리고 엑스같은 키보드 제한..
    윈도우를 만든 회사가 키마를 이따구로 제한해서 일부에만 겨우 쓰게끔 하는것 자체가 웃길 뿐이죠.
    개인적으로 엑박 360으로 콘솔에 입문해서 지금은 X로 플레이 하고 있긴하지만 가끔 내가 이걸 왜 콘솔에서 어렵게 게임을 해야 하지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쩝 와중에 패쇄적인 악세서리 정책은 정말.. 블투는 막아버리고 여럿 악세서리 가격은 뭐.. 그리고 엑스같은 키보드 제한..
    윈도우를 만든 회사가 키마를 이따구로 제한해서 일부에만 겨우 쓰게끔 하는것 자체가 웃길 뿐이죠.
    개인적으로 엑박 콘솔을 2개만 ㄱㄷ 와중에 패쇄적인 악세서리 정책은 정말.. 블투는 막아버리고 여럿 악세서리 가격은 뭐.. 그리고 엑스같은 키보드 제한..
    윈도우를 만든 회사가 키마를 이따구로 제한해서 일부에만 겨우 쓰게끔 하는것 자체가 웃길 뿐이죠.
    개인적으로 엑박 360으로 콘솔에 입문해서 지금은 X로 플레이 하고 있긴하지만 가끔 내가 이걸 왜 콘솔에서 어렵게 게임을 해야 하지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 @pp0ppoable
    @pp0ppoable 53 хвилини тому +1

    과거 닌텐도와 세가의 구도와 비슷하게 결말이 나네

  • @hanjin2ya
    @hanjin2ya День тому +5

    MS의 전략은 뭔가.. 좀 게임을 하지 않은 우등생이 기획을 짠 느낌임
    딴건 아니고, 일단 게임에는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 패드로 하는 게임과 마우스로 하는게임으로 나뉜다고 봄, 둘의 장단점을 떠나 절대 이 둘은 서로를 침범할수 없는 영역이 있다고 생각됨
    그리고, 제3세계(?)를 위한 복제(?)를 조금은 열어줄 필요가 있음, 물론 정품써야지.. 하지만 MS-DOS가 불법복제로 성공했다는걸 잊지말자.. 선진국은 필요없음, GDP 1만불 이하 국가의 어린이들(?)을 위해 배려정도는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봄, 근데 현재의 MS 전략은 위 2가지를 부정하는 전략이라서...

    • @studiobiondaparis2136
      @studiobiondaparis2136 23 години тому +1

      서양권에선(비한국권)에선 패드가 압도적입니다

  • @LinksArc
    @LinksArc День тому +2

    마이크로소프트 회사의 큰 전략에 합승하는걸로 보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와 소프트웨어에 집중하려고 엑스박스 하드웨어는 그냥 포기해버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소프트웨어에 집중하는게 수익이 훨씬 크다는거죠.
    어찌 되었건, 승자인 소니는 이제 하드웨어에서도 수익을 많이 올릴 수 있게 되겠죠.

    • @LinksArc
      @LinksArc День тому

      아;... 영상도 같은 이야기 하고 있네요 ^_^;;;

    • @ytb4ssong
      @ytb4ssong 22 години тому +1

      지금도 프로버전 100만원이 넘어가서 이제 일반인이랑은 관계 없어짐. 근데 플스6이 더 싸게 나올 확율은 제로에 수렴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응 걱정마 플6나올때 지포스 6070은 120만원이야ㅋㅋ

  • @아수라-e5j
    @아수라-e5j День тому +4

    플스와 엑박의 콘솔대전이 드디어 끝났네요.

  • @68chun28
    @68chun28 14 годин тому

    시장조사를 게을리한 죄.

  • @용하재
    @용하재 22 години тому

    게임계의 상황을 잘봤어요 ...
    플스2국내 정발때 바로샀었고 데빌메이크라이 철권 테그 니포니스피드 피파등등 사서즐겼고
    닌텐도스위치 정발때는 바로사서 아들에게준 x세대임니다.

  • @Way-hv3xn
    @Way-hv3xn 4 години тому

    마소의 꿈은 거창하지만 솔직히 스팀이라는 플랫폼을 가진 중소기업 밸브사 한테도 밀리는 것 같은데요. 엑박은 망했어요

  • @만두-l2k
    @만두-l2k 22 години тому +1

    끝나다

  • @MsHitman332
    @MsHitman332 День тому

    와우를 게임패스에서 넣어줬으면

  • @ytb4ssong
    @ytb4ssong 22 години тому

    게임기 독점 타이틀이 더이상 돈이안됨. 소니도 플스6는 미지수...

    • @testyment5203
      @testyment5203 7 годин тому

      물귀신짓하지마시고 엑천지님ㅋㅋ

  • @rollindc8022
    @rollindc8022 21 годину тому

    우리나라 기준에선 다 필요없고
    한글화 안해주고, 독점작 없고
    그 2개지 뭐야!

  • @hyoren2
    @hyoren2 19 годин тому

    플스있어 xsx 사보니 겜패는 컴퓨터로 이미 해본거뿐이라 콘솔만 한글더빙된 어크1이나 xbox one/360 게임만 가끔 켜서 끄적임

  • @송대진-l3e
    @송대진-l3e День тому +4

    그냥 세가2 였는데 세가는 게임이라도 맛깔나게 잘 만드는데 마소는 그것도 못 하고 돈 잔치만 하다 끝났내

  • @soloracer7189
    @soloracer7189 День тому +1

    패드장인 이러면 안돼요!~

  • @osolgil719
    @osolgil719 День тому

    올드 게이머 입장에선 게임하려고 하는게 버거울때가 있음. 게임 자체가 귀찮아짐. 영화.드라마 정주행도 귀찮아서 유튭만 봄. 쉽게 쉽게 가야겠죠.

  • @danieljung121
    @danieljung121 22 години тому

    엑박 360 부터 시작해서 플스4 그러다가 다시 엑스박스 One S, 그리고 시리즈 X 이렇게 하다가 이번에 플스 5 프로로 갈아탔는데 정말이지 플스 스토어 보니까 게임패스는 정말 질보다는 양으로 밀어부쳤고 마소 정책은 정말 폭망했음. 그냥 쓰레기라고 할 정도로 너무 뒤떨어짐.

  • @QqqQqwdas
    @QqqQqwdas 10 годин тому

    빌게이츠 분노한건 한번쯤 직관하고 싶을지도?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