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영상속 투수를 보고 와인드업이 아닌 셋포지션이라고 말씀하시는데 영상속 투수는 셋포지션이 아니라 명백한 와인드업입니다. 셋포지션에서도 자유발을 축발 뒤쪽에 배치 시키는 투수들이 있긴 합니다만 와인드업과 셋포지션의 명백한 차이는 상체의 방향입니다. 셋포지션의 경우 타자와 홈을 향해 상체를 일직선상에 두고 고개를 돌려 타자와 홈을 바라보는게 셋포지션입니다. 반면 와인드업은 영상과 같이 타자와 홈을 정면으로 바라보거나 또는 약간 비스듬이 사선으로 바라본 후 투구에 들어갑니다. 따라서 영상속 투수는 셋포지션이 아니라 와인드업이 맞습니다. 일단 보크라는 룰은 투수의 주자기만을 방지하기 위해 생성된 룰입니다. 해당 투수는 사인교환후 자유발을 뒤로 빼고 오른손을 글러브속에 넣어 두손을 모았습니다. 이 경우에는 상체를 움직일 수 없습니다. 물론 와인드업의 경우 주자를 기만하는 동작을 설령한다고 해서 발을 풀어 견제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주자에게 별다른 피해는 없으나 어찌됐든 주자를 기만하기 위한 불필요한 동작을 취한것으로 봐야하기 때문에 이는 보크로 보는것이 맞습니다.
투구 자세는 와인드 업이 맞구요 1. 규칙서 대로 투수는 와인드 업시 양손을 모았으면 변경하거나 정지됨이 없이 투구에 들어가야 합니다. 양손을 모았으면 타자를 향해 투구에 들어간 것으로 간주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양손을 모았는데 2루에 있는 주자를 보기 위해 정지 동작이 들어 갔기 때문에 그래서 일단 보크구요 2. 주자를 견제 할때는 1루는 곁눈으로 이때는 어께가 열린다라는 상체의 움직임이 있으면 안되구요 , 나머지 루는 상체는 움직이지 않고 고개를 돌리는 것은 괜찮습니다. 그런데 위 상황은 상체를 움직여 2루 주자를 보았기 때문에도 보크입니다 당연하겠죠 와인드 업 포지션인데 2루를 보려면 상체가 안돌고서는 2루를 볼수 없으니. 3. 와인드 업시 중심발을 뺄 수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와인드 업에서도 투수판 뒤로 중심발을 뺄 수 있습니다. 단 세트와 마찬가지로 중심발을 빼고 양손은 양옆으로 내려야 합니다.
이 투수는 싸인보고 어떠한 동작없이 바로 팔만 접어 자세 잡고 잠시 멈추고 고개를 돌렸잖아요... 투수마다 스타일이 다양하기때문에... 몇번에 걸쳐 봐야해서 이게 습관이면... 이건 셋포지션이라고 봐야합니다. 그리고 고개만 돌렸으니 어느 경우든 해당없으니 보크는 아닌걸로... (보통 와인드업 때에도 3루 쪽을 보고 던지는 경우도 많음.) 다만, 심판이 미리 투수에게 경고를 주고 상대팀 감독에게 설명하면 됩니다. 와인드업이란 정확히 말헤서 셋포지션이 아닌 모든 행위이며... 단, 중요한 한가진 반드시 타자에게 공을 던지는 행위에만 해당한다는 개념(견제없는 투구)입니다. 한미다로 말해 투수 폼만 가지고 몇가지 잣대로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투수의 폼을 억지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입니다.
보는 시각에 따라 셋이 될수도 있고 와인드 업일수도 있는데..1구 던지고 두번째 투구 동작을 할때는 다른 셋인걸로 보아 첫번째 투구시 와인드업으로 보입니다. 심판이 마스크 쓰고 보다 보니 못 볼 수도 있는 거 같다고 보임..보크는 맞는 거 같네요 ..어깨 움직이는 게 ... 우리는 영상으로 보이니깐요...^^.. *사회인 야구 이것 저것 다 따지면 4부쯤 가면 진행이 안될 때도 있어요.. 거의 다 보크 임..어느 분 말씀 마따나 이닝 후 알려는 줘야 함..*
일단 보크는 아닙니다 근대 사회인 야구 심판 중에는 알바식으로 하는 분들이 대부분이라 보크 못잡아 내는경우 많아요 예를 들어 주자 만루에서 투수가 포수랑 싸인본다고 허리숙이는 동작이 셋포지션인데 여기서 와인드업으로 전환시 보크인데 이걸 보크아니라고 하는 심판 있더군요 제가 따지니 오히려 절 보고 어이없다는 듯 말을 하길래 얼마나 열받던지 ...모르면 배워야지 ㅋ
보크 어필 이유는 모르겠으나 내야에 5명 서있는데 와인드업 시작하자마자 도루 가면 됨 안뛴 주자가 나이스 주자다 ㅇㅇ 0:00 아저씨들 투수가 저렇게 다리 벌린순간부터 투구 시작이에요 손 모으는거랑 상관 없음 0:22 투수가 공 받고는 셋포지션이니까 지 마음인데 다리 벌리면 그냥 주자 마음대로임 룰에 대한 태클은 받아드림 셋포지션에서 다리가 한발이상 벌어진상태 = 투구상태 왼발이 움직인 상태 = 투구 상태임 거기서 타자한테 안 던지면 뭐다?
1.와인드업시 왜 주자를 체크하냐? ㅡ보크 2.주사 상황이 2.3루나 풀 베이스여서 와인드업했나? 아니면 주자는 당연 스타트해야죠. 3 깐깐하게 다 잡으면 경기 진행이 안됨. 바로 주의줘도 대부분 손이 곱아서 제구망. 4.보크는 그 순간이 지나가면 소급적용되는 룰이 아님
와인드 업은 타자에게 투구 동작 중 현혹을 주지만 않으면 보크 아닙니다. (이중동작 등) 대신 주자가 있을 땐 견제를 못 하는 것이지요. 심지어 견제가 아닌 발을 푸는 것도 보크입니다. 와인드 업은 그렇게 제약이 많은 대신 자유로운 것입니다. 주자 견제를 위한 세트포지션과는 다르게 말입니다.
@@fvwsaga ⑴ 와인드업 포지션 투수는 타자 쪽을 향하여 서고, 중심발(pivot foot)은 전부 투수판 위에 놓거나, 투수판 앞쪽에 발이 닿도록 하고(투수판 양 옆 으로 벗어나서는 안 된다) 자유로운 다른 발은 투수판 위나 투수판 뒤에 놓는다. 이 자세에서 투수는, (A) 타자에 대한 투구와 관련된 동작을 일으켰다면 중단하거나변경함이 없이 그 투구를 완료하여야 한다. (B) 타자를 향해 실제로 투구할 때를 제외하고 어느 발이든 땅으로부터 들어올려서는 안 된다. 단, 자유로운 발은 한 발 뒤로 뺐다가 다시 한 발 앞으로 내디딜 수 있다. 투수가 중심발 전부를 투수판 위에 놓거나 투수판 앞쪽에발이 닿도록 하고(투수판 양 옆으로 벗어나서는 안 된다) 다른 발은 어디에 두든지 간에 신체 앞에서 두 손을 모아공을 잡으면 와인드업 포지션에 들어간 것으로 간주한다. [원주] 투수는 중심발이 아닌 자유로운 발을 투수판에서 떼어 투수판 뒤쪽의 연장선상에 편한 대로 놓을 수 있다. 그러나 투수 판의 양 옆으로 빠져서는 안 된다. 투수는 자유발을 한 발 뒤로 뺐다가 다시 한 발 앞으로 내디딜 수는 있으나 투수판의 양 옆 즉, 1루 측이나 3루 측으로 내디딜 수는 없다. 이 자세에서 투수는, ① 타자에게 투구하여도 좋고, ② 주자를 솎아내기(pick-off) 위해 베이스 쪽으로 내디디면서 송구하여도 좋고, ③ 투수판에서 발을 빼도 좋다(이럴 경우 반드시 두 손을 신체의 양옆으로 내려야 한다). 투수판을 벗어날 때는 중심발부터 빼야 하며 자유로운 발을먼저 빼서는 안 된다. 이런 자세에서 세트 포지션으로 바꾸 거나 스트레치 동작을 하여서는 안 된다. 위반하면 보크가된다. 뺄 수 있는거 아닌가요?
많은 분들이 영상속 투수를 보고 와인드업이 아닌 셋포지션이라고 말씀하시는데 영상속 투수는 셋포지션이 아니라 명백한 와인드업입니다. 셋포지션에서도 자유발을 축발 뒤쪽에 배치 시키는 투수들이 있긴 합니다만 와인드업과 셋포지션의 명백한 차이는 상체의 방향입니다. 셋포지션의 경우 타자와 홈을 향해 상체를 일직선상에 두고 고개를 돌려 타자와 홈을 바라보는게 셋포지션입니다. 반면 와인드업은 영상과 같이 타자와 홈을 정면으로 바라보거나 또는 약간 비스듬이 사선으로 바라본 후 투구에 들어갑니다. 따라서 영상속 투수는 셋포지션이 아니라 와인드업이 맞습니다. 일단 보크라는 룰은 투수의 주자기만을 방지하기 위해 생성된 룰입니다. 해당 투수는 사인교환후 자유발을 뒤로 빼고 오른손을 글러브속에 넣어 두손을 모았습니다. 이 경우에는 상체를 움직일 수 없습니다. 물론 와인드업의 경우 주자를 기만하는 동작을 설령한다고 해서 발을 풀어 견제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주자에게 별다른 피해는 없으나 어찌됐든 주자를 기만하기 위한 불필요한 동작을 취한것으로 봐야하기 때문에 이는 보크로 보는것이 맞습니다.
보크는 아닙니다 와이드업 자세에서 자유롭게 몸을 움직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저기서 견제를 하면 보크죠.
와인드업 정지 자세에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다시 정지 상태를 취했구요
@@duruduru_ju 정지상태에서는 움직이면 안됩니다 준비동작이 들어갔기 때문에 거기서는 다리를 빼야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근데 저 부분은 괜찮다고 보여집니다 고개만 돌린거라서^^
@@YND_YJWtv 어깨가움직였는데 괜찮은건가요?
와인드업인데 2루 주자가 안뛴게 더 문제 아닌가요.,? ㅋㅋㅋㅋㅋㅋㅋㅋ 모두가 주자2루에 와인드업을 해서 다 당황한거 같은데 ㅋㅋㅋㅋㅋㅋㅋ
@@바디보디-i9u 셋트모션 아닌가요?? 셋트 같은데.. 왼발이 앞이 아닌 옆에 있을뿐이지.. 투구 준비할때부터 정지자세까지 그자리에 있는데..
ㅎㅎ 4부라면 저 정도는 이닝 끝나고 주의 혹은 투구 후 주의 이후 다시 발생시 보크 주는경우가 많죠 일일히 다 보크잡으면 진행이 안되다 보니 ㅋ
2년전 영상이네요,
와인드업이든 세트포지션이든 그것보다 2루 볼 때 어깨가 들썩거려서 이미 보크의 여지는 충분합니다
견제도 못하는데 돌아본 투수
못잡아낸 심판
와인드업인데 안뛰는 주자
3박자가 완벽한 상황ㅋㅋㅋ
이 분이 천재다...
투수가 알고 그랬다면 투수가 똑똑한 거임.
투구 자세는 와인드 업이 맞구요
1. 규칙서 대로 투수는 와인드 업시 양손을 모았으면 변경하거나 정지됨이 없이 투구에 들어가야 합니다. 양손을 모았으면 타자를 향해 투구에 들어간 것으로 간주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양손을 모았는데 2루에 있는 주자를 보기 위해 정지 동작이 들어 갔기 때문에 그래서 일단 보크구요
2. 주자를 견제 할때는 1루는 곁눈으로 이때는 어께가 열린다라는 상체의 움직임이 있으면 안되구요 , 나머지 루는 상체는 움직이지 않고 고개를 돌리는 것은 괜찮습니다. 그런데 위 상황은 상체를 움직여 2루 주자를 보았기 때문에도 보크입니다 당연하겠죠 와인드 업 포지션인데 2루를 보려면 상체가 안돌고서는 2루를 볼수 없으니.
3. 와인드 업시 중심발을 뺄 수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와인드 업에서도 투수판 뒤로 중심발을 뺄 수 있습니다. 단 세트와 마찬가지로 중심발을 빼고 양손은 양옆으로 내려야 합니다.
와인드업시 중심발을 뺄수있는건 주자가 없을시 가능입니다
투수 발판을 뗀단 얘기는 투수가 아닌 야수가 되는 개념이기때문에 "어디든 던질 수 있다"입니다.
반대로 투수 발판 붙인다는 투구를 해야만 합니다.
따라서, 주자 있을때는 와인드업일지라도 보크입니다.
@@KC.LEE.Peter628 잘못알고 계시네요 자유발을 빼기전까진 와인드업이래도 중심발을 뺄수 있습니다. 룰북을 잘 읽어보세요
이건 와인드업이 아니죠 셋포지션으로 봐야죠
타자는 와인드업이라 판단했지만
저투수는 저자세 그대로 공을 글러브에 모으는거보니
저게 셋인듯
사회인야구에서 심판님들 부업으로 고생하십니다 당연히 모를수 있고 말도안되는 상황까지 일어날수있습니다 사회인야구는 그저 알쏭달쏭 자체입니다
진짜 별별일 다 벌어짐 ㅋㅋㅋㅋㅋㅋ
사회인 야구심판들도
동계때4주정도 교육받습니다
굳이 따지면 주자가 왜 가만 있을까요 무조건 3루 갔어야했는데…아쉽
이게 핵심이죠
용병겜인가
제가 볼 때는 변형된 세트모션 같네요 고개는 돌릴 수 있지만, 어깨까지 돌아 간 것으로 보크 라고 생각 됩니다.
세트 포지션을 처음부터 발 뒤로 빼고 하는 투수도 있다고 본거 같네요. 투구 시작하면서 발뒤로 빼는게 아니라 처음부터 발 뒤로 빼는것도 세트 포지션으로 인정한다고 본거 같아요...
세트여도 손모으고 멈춤동작 이후에 어깨 움직이먼 보크잖아요
궁금해서 그러는데 저게 왜 와인드업이죠?? 셋 아닌가요?? 발이 앞이 아닌 옆에 있는거 말고는 셋 같은데..
그러게요 세트포지션 같기도 하구요..
ㅇㅇ 셋자세가 저거인듯
이 투수는 싸인보고 어떠한 동작없이 바로 팔만 접어 자세 잡고 잠시 멈추고 고개를 돌렸잖아요...
투수마다 스타일이 다양하기때문에... 몇번에 걸쳐 봐야해서 이게 습관이면... 이건 셋포지션이라고 봐야합니다.
그리고 고개만 돌렸으니 어느 경우든 해당없으니 보크는 아닌걸로...
(보통 와인드업 때에도 3루 쪽을 보고 던지는 경우도 많음.)
다만, 심판이 미리 투수에게 경고를 주고 상대팀 감독에게 설명하면 됩니다.
와인드업이란 정확히 말헤서 셋포지션이 아닌 모든 행위이며... 단, 중요한 한가진 반드시 타자에게 공을 던지는 행위에만 해당한다는 개념(견제없는 투구)입니다.
한미다로 말해 투수 폼만 가지고 몇가지 잣대로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투수의 폼을 억지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입니다.
제가 알기론 와인드업 상황에서 고개 정도는 움직일 수 있는데 어깨가 움직여서 보크인거죠 저 상황은
보는 시각에 따라 셋이 될수도 있고 와인드 업일수도 있는데..1구 던지고 두번째 투구 동작을 할때는 다른 셋인걸로 보아 첫번째 투구시 와인드업으로 보입니다.
심판이 마스크 쓰고 보다 보니 못 볼 수도 있는 거 같다고 보임..보크는 맞는 거 같네요 ..어깨 움직이는 게 ... 우리는 영상으로 보이니깐요...^^..
*사회인 야구 이것 저것 다 따지면 4부쯤 가면 진행이 안될 때도 있어요.. 거의 다 보크 임..어느 분 말씀 마따나 이닝 후 알려는 줘야 함..*
일단 보크는 아닙니다 근대 사회인 야구 심판 중에는 알바식으로 하는 분들이 대부분이라 보크 못잡아 내는경우 많아요 예를 들어 주자 만루에서 투수가 포수랑 싸인본다고 허리숙이는 동작이 셋포지션인데 여기서 와인드업으로 전환시 보크인데 이걸 보크아니라고 하는 심판 있더군요 제가 따지니 오히려 절 보고 어이없다는 듯 말을 하길래 얼마나 열받던지 ...모르면 배워야지 ㅋ
심판들이 재량껏 해야되지만 투수가 모르면 알려줄 의무는 있겠네요.
보크 어필 이유는 모르겠으나
내야에 5명 서있는데
와인드업 시작하자마자 도루 가면 됨
안뛴 주자가 나이스 주자다 ㅇㅇ
0:00
아저씨들 투수가 저렇게 다리 벌린순간부터 투구 시작이에요
손 모으는거랑 상관 없음
0:22
투수가 공 받고는 셋포지션이니까 지 마음인데
다리 벌리면 그냥 주자 마음대로임
룰에 대한 태클은 받아드림
셋포지션에서 다리가 한발이상 벌어진상태 = 투구상태
왼발이 움직인 상태 = 투구 상태임
거기서 타자한테 안 던지면 뭐다?
보크잖아요.누가 보크가아니래.와인드업하고.저렇게 고개를 돌리는거는 보크에요.투구동작 즉 다리를 들고 고개를 돌리고 움직이는건 괜찮지만.와인드업때 고개를 돌리거나 다리.머리.몸 움직임은 명백하게 보크입니다
사회인에서 많은거 바라는게 사치인거 같아요 그냥 많이 치고 나가서 이기는게 상책이에요
저런걸로 시비붙으면 개싸움나기때문에 최대한 공정하게 하는게 맞음.
투구동작은 와인드업이 맞습니다 / 와인드업시 고개는 어디를보던 상관없습니다
주자 상황을 몰라서 그런데 2루 주자는 투수가 와인드업인데 왜 안뛰는걸까요 ??
다시보니깐 주자도없는데 와인드업인데 주자는 왜안뛰는걸까요 ??? ..... 같은팀 주자 한테 뛰라고 해야죠 ㅎㅎ 보크는 둘째치고 ㅎㅎ
수준이 낮아서
와인드업이 아닌 세트로 봐야합니다
와인드업이 주자 견제를 안하겠다는건데.. 주자에게 견제를 한다거나, 투구 동작이 진행중에 멈추지 않았다면 보크는 안일듯 합니다. 보크보다 . 2루 주자는 투수가 와인드업인데 뭐하고 있는지 ?
이제와서 이게 왜 알고리즘으로 떳는지 모르지만... 일단 보크는 맞으나 댓글들이 죄다 와인드업이라고 하는데 애초에 처음부터 발을 뺀모양의 셋포지션자세를 취하신겁니다.
손을 모은뒤에 고개를 돌리는것은 상관없으나 어깨가 돌아갔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 보크입니다.
고개만 돌리는 경우는 상관없는데 어깨가 움직이면 보크죠 영상은 보크가 맞는듯요
저건 무조건 보크
경고 정도는 줄 수 있지만 리그 수준이 어떻든 그냥 넘어갈 판정은 아닙니다
투수분이 많은 경험이 없어서인지
어설픈 셋포지션을 한채로
주자는 봐야겠지,공은 던져야겠지(feat.어깨 들썩).. ;;
다리를 모았다가 저런식으로 빼면 보크를 주던데
저분은 애초에 빼놓고 셋모션을..
투수분의 저 폼 자체가 좀 문제가 있어 보이네요
그럼 노모처럼 와인드업 할때마다 특유의 토네이도 폼으로 자연스레 2루 보여지는데 보크인가?
노모가 아마추어인가 주자 있을때 와인드업으로 던지게 ㅋㅋㅋ 보크는 주자있을때만 적용 되는겁니다
이분 노모 주자있을때 던지는거 못본듯.. 맨날이상한 노모만 보지말고 노모투구영상 딱 한번만 보고오소
와인드업은 주자가 없을때만~~
머리 아래 움직이면 보크인데 저 정도면 어깨 돌아가는 거 같기도...
와이드라고 보기보단 세트에 가까운것 같다
2루 볼수있으나 어깨가 움직였으므로 2중동작이다
타자 기만행위 이므로 보크이다
1.와인드업시 왜 주자를 체크하냐? ㅡ보크
2.주사 상황이 2.3루나 풀 베이스여서 와인드업했나? 아니면 주자는 당연 스타트해야죠.
3 깐깐하게 다 잡으면 경기 진행이 안됨. 바로 주의줘도 대부분 손이 곱아서 제구망.
4.보크는 그 순간이 지나가면 소급적용되는 룰이 아님
애초에 투수가 셋모션을 할 줄모르는구만. ㅋㅋㅋ
고개는 상관없는데 팔과 몸통이 움직이는게 화면상으로 보이네요 보크선언해도 될듯
이게 맞는것 같습니다!
2루 주자는 도루를 해야죠.
저 상태에서 오른쪽 축발을 빼면 보크입니다
저기서 포수쪽 안보고 던지면 보크ㅋㅋㅋㅋ보크규정 어려워요ㅋㅋ
나도 심심한데 심판이나 해볼까
이게 왜 셋모션이라고 하는거지 다들..
옛날에 노모 히데오가 그랬어 . 보크아냐 야구 첨 하나
노모는 다리를 올린순간 고개를 돌리는거고..노모 영상 다시 보세요
고개는 상관없습니다. ㅋㅋ
다산 심판들 수준이 그렇죠 뭐
주자가 있는데 저런 투구를 하는게 더 신기하다
투수가 와인드업하는데 가만히 보고만 있는 2루주자가 더 신기함
방금 저거 100% 보크임 ...
와인드업인지 셋업인지모르겠지만 주자가 2루에있으면 포수보다가 셋업하고 2루 처다봤다가 포수봤다가 2루봤다가 그리고 투구하는데...그런거아닌가?
저사람은 저게 셋업자세인듯
인터넷에 규칙봤는데 딱히 보크라고 하기에는 애매한데요.
ㅋㅋㅋㅋㅋㅋㅋ사야에서 웃기고 어이없는상황 많이나오긴하지 ㅋㅋㅋㅋㅋ
와인드업인데 안뛰는주자들은 야알못 신입들인가요?
2루심은 진짜 집에 가고싶나보다ㅋㅋㅋㅋ
고개 움직이는건 보크가 아니지만 어깨가 움직였으니 보크
와중에 도루 안한 2루주자 본헤드 플레이임
보크입니다
피쳐 보크 맞습니다
다산야구장이군요
사실 와인드업이라는 개념이랑 셋포지션이 확실히 구분되는 동작은 아니지만. 셋포지션은 반드시 전에 멈춰야합니다. 고개는 상관없습니다.
와인드업을 해야되는지 세트포지션을 해야 되는지 모르는 사야인들 천지입니다~언더베이스도 모르고 야구한다고 모자위에 고글처끼고 나오는거 보면 정말 꼴배기 싫다!!
돌아보는건 상관없어요 견제를 못할뿐이지
글러브가 포갠상태에선 포크 맞네요
저분들은 프로가아닙니다 ㅎㅎ
너무 타이트하게하면 진행이안되요 ㅋ
4부에서는 흔히들 있는일 ㅋㅋ
보크 맞구만 아니다고 한 사람들은 뭐임??? 야알못인가? 투구동작이 들어간 상태에서 투수글러브에 손이 들어간 상태는 축이된 발을 뺴고 움직여야함... 까딱만 움직여도 보크인데.
와인드 업은 타자에게 투구 동작 중 현혹을 주지만 않으면 보크 아닙니다. (이중동작 등)
대신 주자가 있을 땐 견제를 못 하는 것이지요.
심지어 견제가 아닌 발을 푸는 것도 보크입니다.
와인드 업은 그렇게 제약이 많은 대신 자유로운 것입니다.
주자 견제를 위한 세트포지션과는 다르게 말입니다.
보크가 아니라 와인드업이라 주자는 걍 뛰면되는데 안뛰었네ㅋㅋ
보크
보:보크를 잡아네다니
크:크
셋 상태도 아닌대 목만 돌았다가 의미가 있나???ㅋㅋ
명백한 보크 입니다
주자2루인데 와인드업하는 투수나 처다본다고 2루쪽으로 움찔 들어가는. 주자나ㅋㅋ
ㅋㅋ 어필할시간 충분한데 헛스윙하고 어필하는거 보소 으.... 동네야구에서 저 정도로 보크 잡는것도 웃기고
심판들이 그냥 수준이하임 ㅋㅋ 안뛰는 주자는 뭐임? ㅋㅋㅋ
와인드업에서 견제도 못 하는데
2루는 왜 본거지 ㅎㅎ
투구판에서 발 빼고 견제 가능
@@김시현-i2d 와인드업은 발 빼면 보크
@@fvwsaga ⑴ 와인드업 포지션
투수는 타자 쪽을 향하여 서고, 중심발(pivot foot)은 전부 투수판 위에 놓거나, 투수판 앞쪽에 발이 닿도록 하고(투수판 양 옆
으로 벗어나서는 안 된다) 자유로운 다른 발은 투수판 위나 투수판 뒤에 놓는다. 이 자세에서 투수는,
(A) 타자에 대한 투구와 관련된 동작을 일으켰다면 중단하거나변경함이 없이 그 투구를 완료하여야 한다.
(B) 타자를 향해 실제로 투구할 때를 제외하고 어느 발이든 땅으로부터 들어올려서는 안 된다. 단, 자유로운 발은 한 발
뒤로 뺐다가 다시 한 발 앞으로 내디딜 수 있다.
투수가 중심발 전부를 투수판 위에 놓거나 투수판 앞쪽에발이 닿도록 하고(투수판 양 옆으로 벗어나서는 안 된다)
다른 발은 어디에 두든지 간에 신체 앞에서 두 손을 모아공을 잡으면 와인드업 포지션에 들어간 것으로 간주한다.
[원주] 투수는 중심발이 아닌 자유로운 발을 투수판에서 떼어 투수판 뒤쪽의 연장선상에 편한 대로 놓을 수 있다. 그러나 투수
판의 양 옆으로 빠져서는 안 된다. 투수는 자유발을 한 발 뒤로 뺐다가 다시 한 발 앞으로 내디딜 수는 있으나 투수판의
양 옆 즉, 1루 측이나 3루 측으로 내디딜 수는 없다. 이 자세에서 투수는,
① 타자에게 투구하여도 좋고,
② 주자를 솎아내기(pick-off) 위해 베이스 쪽으로 내디디면서 송구하여도 좋고,
③ 투수판에서 발을 빼도 좋다(이럴 경우 반드시 두 손을 신체의 양옆으로 내려야 한다).
투수판을 벗어날 때는 중심발부터 빼야 하며 자유로운 발을먼저 빼서는 안 된다. 이런 자세에서 세트 포지션으로 바꾸
거나 스트레치 동작을 하여서는 안 된다. 위반하면 보크가된다.
뺄 수 있는거 아닌가요?
@@fvwsaga 제가 알기로는 뺄 수 있는걸로 아는데요 ??
@@김시현-i2d 셋 포지션 처럼 발을 빼자마자 송구동작 취하면 보크입니다 빠르게 양팔을 빼고 송구를 한다고 해도 견제의 의미가 없겠죠? 와인드업은 그래서 견제가 안 된다는 겁니다
심판 ㅋ ㅋ 목만돌아간게 보크야
영상은 보크 맞으나 목만 돌린다고 보크는 아닌데요...?
난 저 2루 주자가 더 의심됨..
투수가 저 왼발을 뒤로 뺀 자세는 즉 셑포지션이 아닌 경우는 무조건 포수한테만 던져야함.
그럼 볼것도 없이 3루로 뛰야지 모해
뭘그래 진지하게들 보시나이까 사회인야구는 너무 진지하면 재미없습니다. ㅋㅋ 하나둘 초짜들에게 아기걷는법알랴주듯 경고도 주고 하면서 경기진행하는겁니다.
보크입니다 와인드업 하기전 글러브가 신체에 닿아 일시적인 움직임 없는 정지상태에 뒤돌아본건 보크가 맞습니다
보크 아닐 것 같네요! 와인드업 상황이라도 고개정도는 돌려도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노미현-l6y 시작하는데 어쩌라는건가요;;
@@노미현-l6y 고개정도 돌려도 됩니다.
@@ehtdh 상채가 돌았는데요? 와인드업하면 투구 시작인데 ㅋㅋ 왜 보크아니라는건지 모르겠는데요 ㅋㅋ 빼박 보크인데
@@ehtdh 셋모션에서 몸 부동자세에서 고개 돌리는거 가능하지만 투구 시작시 저렇게 상채 돌리면 보크입니다. 애초에 저투수는 와인드업 과 세트모션도 구분 못하는거 같은데요. 님도 그렇고
저거 보크지ㅋ
이건 무조건 보큽니다
어깨가 움직였어요
맞습니다!!
보크구만..ㅋㄹ
뻑
사회인 야구가 제일 쓸데 없는것 같음
만루도 아니고 3루에 있는것도 아니고 아님 선출급으로 좆나게 잘던져서 아웃카운트나 주자 어디에 있던 걍 나몰라라 뛸테면 뗘 와이드업식 아닌데 3루가 벼있는데 와이드업은 쫌 아무리 몇부든 실력을 떠나든 초딩도
저런짓 않한다 걍 동네야구 선수임 때려치는게 답임
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