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의 천재들이 설계한 F1 레이스카는 다운포스를 어떻게 만들까? F1 다운포스의 모든 것.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49

  • @눈누난나-h5m
    @눈누난나-h5m Рік тому +22

    비행기가 뜨는 원리는 베르누이의 원리가 아니라 작용 반작용의 원리입니다. 베르누이의 원리로 비행기가 뜨는 것이라면 비행기가 뒤집어져서 나는 배면 비행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베르누이의 법칙은 전체 양력의 매우 작은 부분을 차지할 뿐이고 날개의 받음각을 조절함으로서 작용 반작용의 원리로 비행을 할 수 있습니다. 달리는 차 창문 열고 손바닥 내밀고 각도를 이리저리 움직여보세요. 손에 양력이나 다운포스가 느껴질텐데 손에도 베르누이....?? 아니겠죠^^ 받음각에 따라 공기가 손을 밀고 손이 공기를 미는 작용반작용의 원리입니다.

  • @jongcheolkim9566
    @jongcheolkim9566 Рік тому +17

    레이스카는 잘 모르지만, 비행기에서는 베르누이 원리보다 받음각이 비행기를 띄우는 주요한 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베르누이원리가 작용하지만 전체 비행기의 띄우는 힘의 작은 부분만 차지할 뿐이고 받음각이 없다면 비행기가 뜨기 힘들것입니다. 프론트, 리어윙도 비슷할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 @동키잼잼
      @동키잼잼 Рік тому +2

      저도 이 댓글 달려고 들어왔는데 비행기는 세팅에 따라 다르지만 약 4에서 5도 정도의 받음각이 공기 분자와 충돌하면서 생기는 힘으로 양력을 생성하는게 베르누이 원리보다 압도적으로 영향이 큰데 좋은 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F1 리어윙이나 프론트 윙도 각도를 이용한 수평 방향의 공기와 만들어지는 각에서 기인하는 다운포스가 압도적으로 큰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 @하랑056
      @하랑056 Рік тому +1

      그쵸. 애초에 F1의 DRS라는 시스템부터 받음각을 줄여서 드래그와 다운포스를 줄여 직진성능을 높이는 기술이니까...

    • @surcai1108
      @surcai1108 Рік тому

      베르누이 원리가 양력 설명에 사용되나 실질적으로 가장 큰 요인은 작용반작용이라고 알고 있슴다!!

  • @sucheollee1404
    @sucheollee1404 Рік тому +12

    이런 F1카에 대한 기본적인 다양한 정보들을 다루는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앞으로 모터프레스의 새로운 컨텐츠들을 계속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danielkim7645
    @danielkim7645 Рік тому +7

    8:35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운포스가 증가하면 타이어 마모가 더 커지는데, 코너링시 슬라이드조건에선 반대군요

  • @speedgrade6
    @speedgrade6 Рік тому +5

    F1 머신의 힘! 다운포스. 윙의 원리도 일고, 벤추리터널도 알게되고 유익 만점! 지식 쏙쏙!.

  • @neodarin
    @neodarin Рік тому +5

    입문자가 봐야할 필수영상이네요!! 좋아요~~

  • @full7690
    @full7690 Рік тому +2

    에어로 다이나믹에 대해 매우 쉽고 간결한 설명이였습니다 다른 영상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 @snop397
    @snop397 Рік тому +2

    너무 기다렸어요!!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huminbatbayar8668
    @huminbatbayar8668 Рік тому +2

    고맙습니다 앞으로 많은 영상 부탁해요 너무 너무 좋아요

    • @MOTORTREND_KR
      @MOTORTREND_KR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재밌는 영상들 준비해볼게요~

  • @김상원-r7q
    @김상원-r7q Рік тому +2

    비행기가 뜨는건 유선형 단면이 원인이 아니고 받음각과 와류가 더 큰 영향을 줍니다. 이는 f1 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윙의 단면형태보다 받음각이 더 중요합니다

  • @fodr6542
    @fodr6542 Рік тому +3

    모터프레스는 언제나 좋음

  • @قناةالهدايهللعلموالمعرفه

    Vere vere nice
    Vere good
    سباق سيارات جميل ورائع جدا بالتوفيق والتقدم والنجاح

  • @kimzinon5351
    @kimzinon5351 Рік тому +2

    모터프레스는 언제나 추천

  • @zero80ng-b4e
    @zero80ng-b4e Рік тому +2

    좋은 내용 감사 합니다

    • @MOTORTREND_KR
      @MOTORTREND_KR  Рік тому

      더 좋은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dduit
    @dduit 8 місяців тому

    새로운걸 알아가는 재미..재밌다!으흐흐흐
    알기 쉽게 설명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MOTORTREND_KR
      @MOTORTREND_KR  7 місяців тому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VoteForPedro2000
    @VoteForPedro2000 Рік тому +1

    오. 설명영상 보니 이해가 쏙

  • @radioactivetea-v8h
    @radioactivetea-v8h Рік тому +2

    항공기 전공한 사람인데 이해가 안되서 혹시 방구석 전문가분들중에 아시는분 잇으시면 알려주십쇼.
    베르누이의 법칙만으로 날개꼴을 뒤집으면 다운포스가 생성되는걸 누구나 충분히 이해할수 있지만 이러면 문제가 생기는게 바로 비행기의 배면비행입니다. 에어쇼같은데 보시면 비행기가 거꾸로 나는걸 아주 쉬이 볼수 있게되는데 이게 전투기 뿐만 아니라 생각보다 많은 비행기가 가능합니다. 이게 비행기가 거꾸로 뒤집혓을때 다운포스가 아닌 똑같이 양력이 작용이 된다는건데 보통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 쿠타 쥬코브스키의 법칙을 이용해 출발와류와 속박와류로 인한 양력발생을 원인으로 표현합니다. 그럼 다시 다운포스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공기역학에서는 어째서 쿠타쥬코브스키의 법칙이 이뤄지지 않는걸까요?

  • @집돌이-d4g
    @집돌이-d4g Рік тому +2

    이해하기 쉬운 좋은 영상 잘보고갑니다

  • @modern_poetry
    @modern_poetry Рік тому +2

    모터프레스...! 기다렸습니다 :)

    • @MOTORTREND_KR
      @MOTORTREND_KR  Рік тому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chul4jang
    @chul4jang Рік тому +2

    잘보고갑니다 이해가 쏙쏙

  • @하빵-r3x
    @하빵-r3x Рік тому +5

    리뷰영상 왜 안올리시나요??기다리구있는댕..

    • @MOTORTREND_KR
      @MOTORTREND_KR  Рік тому

      당분간 리뷰 및 프리뷰 영상은 진행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아래 링크 영상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다리셨는데 죄송합니다. ㅠㅠ
      ua-cam.com/video/cD5vAmrQvbM/v-deo.html

  • @JamesIcardi
    @JamesIcardi Рік тому +3

  • @나이스-v3q
    @나이스-v3q Рік тому

    저 혹시 합성연료에 관해서도 한 번 이야기 풀어주실 수 있으실까요?

  • @watcher9892
    @watcher9892 Рік тому

    앞 바퀴 위에 날개 뭐에요???

  • @bjj-vl2ut
    @bjj-vl2ut Рік тому +1

    근데 다운포스는 몇 km 이상속도에서만 작용하지 않나요 저속 코너링구간에서 도움이안되지 않나요 적어도 100km이상되는 코너링에서 작용할텐데

  • @삼배형
    @삼배형 Рік тому +2

    차랑 전혀상관없는 음료수기업이 수십년역사를 가진 차렁 제조사들을 압살한다는게 신기할따름입니다.
    현행 머신레귤레이션티 바뀐게 2년째잖아요? 현행레드불머신과 해밀턴이 이끌던 메리세데스 왕조시절과 붙으면 누가 이길지 궁금하긴하네요.
    그래도 페라리머신이 젤이쁩니다 ㅋㅋ

  • @user-kh6jb5vt1e
    @user-kh6jb5vt1e Рік тому

    잼민이때는 어 마찰력을 줄이면 자기부상열차처럼 더 빨라지지 않을까 싶었는데 ㅋㅋ 이 영상보다보니 갑자기 생각났네요

  • @nalphd.3935
    @nalphd.3935 Рік тому

    이게 일반차에서도 영향이 있을까요? 제차가 A7인데 고속주행시 리어윙 올라오는게 충분한 다운포스를 줄것같지 않아서요.. 그냥 주관적인 플라시보 느낌 정도 주지 않을까 싶은데, 실제로 기능을 하나요??

    • @요리조리도히
      @요리조리도히 Рік тому

      꽤 큽니다. 대표적으로 리어윙을 제대로 쓰는 브랜드가 포르쉐인데 리어윙 하나가 대략 150kg정도 만들어준다 하더라고요. 영상에도 나오듯 리어윙말고도 전면부터 바퀴까지 흐름 차 위 공기 등 다 더하면 훨씬 더 많은 무게가 누르는 듯한 다웅포스가 만들어집니대

  • @오승민-e3c
    @오승민-e3c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베르누이의 원리는 거의 영향 없다고 그렇게 나와도 아직도 베르누이,, 베르누이가 잘못했지,, 이거 내가 어릴 때(70년대)에도 다 알ㄷㆍㄴ건데 아직도 이러니,,, 안타깝다

  • @Pista-k2s
    @Pista-k2s Рік тому

    직선에서는 드래그를 줄이고, 코너에서 다운포스를 많이 많들어내는게 젤 이상적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