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처럼 달리는 아이오닉…곧 드럼 브레이크가 대세가 됩니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
    구독해주세요 : bit.ly/2NCioiE
    김한용 hy.kim@mocar.kr

КОМЕНТАРІ • 394

  • @rennylee1315
    @rennylee1315 2 роки тому +310

    분명 들어올땐 개같이 달리는 아이오닉이었는데

    • @구피9
      @구피9 2 роки тому +4

      ㅋㅋㅋㅋㅋ

    • @이거북-u5w
      @이거북-u5w 2 роки тому +4

      ㅋㅋㅋㅋㅋㅋ 가뜩이나 울렁거려서 멀미나는데 개같이 달리면 ㅋㅋㅋㅋ

    • @natome132
      @natome132 2 роки тому +5

      ㄹㅇ 개같이 ㅇㄷ?

    • @mmnn3603
      @mmnn3603 2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ㅋㅋ

    • @ing0441
      @ing0441 2 роки тому +3

      나가실 땐 게같이 ㅋ

  • @mindDYG
    @mindDYG 2 роки тому +43

    마지막에 하신 '다들 원하는 방향으로만 가지 않는다'란 말이 크게 공감되는것 같습니다~

  • @아우구스토
    @아우구스토 2 роки тому +18

    대사 전달력 좋고 내용 이해도 좋아서 정말 편하게 오디오만 들어도 쑥쑥 들어오네요. 감사합니다.

  • @jihyunkim8040
    @jihyunkim8040 2 роки тому +41

    확실히 전기차가 효율이 좋네요 거기에 인휠 모터까지 쓰면 효율이 더 좋아지는군요.

    • @dpcks0333
      @dpcks0333 2 роки тому +8

      효율이 좋기는 한데 비교가 조금 잘못 되었다고 생각하는게 가솔린차는 석유를 바로 태워서 화학에너지 -> 운동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이 19~30% 정도이구요, 전기차는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는게 80%입니다. 시작점과 끝점을 동일하게해서 전기차도 화학에너지를 시작점으로 잡으면 발전소 효율을 곱해서 총 40~% 정도 나오는 걸로 알고 있어요.

    • @칼라거펠트-v8o
      @칼라거펠트-v8o 2 роки тому

      @@dpcks0333 맞는 말씀

    • @닉넴은귀찮아
      @닉넴은귀찮아 Рік тому

      @@dpcks0333 19-30퍼라는 내연기관보단 높긴하군요...

    • @부엉이-i9c
      @부엉이-i9c Рік тому

      ​@@닉넴은귀찮아그래서 전기차 발전시키는거 같아요 특히 도심 환경서는 압도적이니

  • @7catpapa
    @7catpapa 2 роки тому +14

    아 진짜 유익한채널.. 기자님 최고

  • @クモハ-i6o
    @クモハ-i6o 2 роки тому +4

    11:27 에 나온 단어(영어)는 화산재로 생기는 규성진폐증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고, 그냥 진폐증은 Pneumoconiosis인 것 같네요..

  • @ginmax96
    @ginmax96 2 роки тому +9

    일부 고급차에 있는 조향장치는 비싼 파트입니다. 반경이 크다면 그만큼 복잡해지고 내구성도 장담못합니다 방지턱이 많은 우리나라엔 힘들겠죠 또한 바퀴 인치도 18인치 이상 되기 힘들것같네요

  • @윤솔-m7t
    @윤솔-m7t 2 роки тому +11

    가끔 저걸 최신첨단기술이라고 말하시는분들도 꽤 있는데.......
    조선소 가면 이미 오래전부터 보이는 기술입니다

  • @이상호-y9t
    @이상호-y9t Рік тому +1

    말씀을 너무 잘하시네요
    머리에 쏙쏙 들어옵니다

  • @95jisue
    @95jisue 2 роки тому +39

    인휠모터는 고속주행이 어렵죠 내구성 문제도 해결해야하고 그래도 얼른 상용화도 되었으면 좋겠네요

    • @taeyounga
      @taeyounga 2 роки тому

      전문지식은 없지만 상식선에서 접근하면 모든 충격을 휠 안에 있는 모터가 모든 노면진동 충격을 서스펜션 없이 받기때문 아닐까요

    • @mandooplantmanager
      @mandooplantmanager 2 роки тому +9

      ​@김광덕 모터 사이즈가 제한되니 출력이 낮을 수 밖에 없고 그럼 가속력 확보를 위해 큰 기어비를 가져가야 하는데 그럼 고속 주행 시 불리함이 있구요. 그렇다고 모터 회전수를 증가 시키자니 모터가 고속으로 돌 때 발생하는 열을 관리해 주기가 힘들구요. 구동 계 부품이 오밀조밀 하게 모여있어 내구성 확보도 힘든데다가 소음 제어도 힘들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기억하기로 18년에 현대 전기버스가 인휠모터였는데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서 21년형 부터인가 인휠 모터 뺀 걸로 압니다.

    • @ybrid33337
      @ybrid33337 2 роки тому

      @@mandooplantmanager 인휠모터면 스프링하질량이 더 늘어날거같은데 그러면 승차감이나 회두시에도 불리할것 같은데 맞나요..??

    • @mandooplantmanager
      @mandooplantmanager 2 роки тому

      @@ybrid33337 저도 그렇게 아는데 그건 설계로 해결할 수 있다는 의견도 봐서 덧글에는 뺏습니다

    • @ds-k7878
      @ds-k7878 Рік тому +2

      고속 주행이 어려운게 아니라, 효율이 좋아져서 고속주행에 오히려 더 유리함. 모터 용량은 어차피 휠 사이즈 키워서 모터 직경을 늘리면 그만이고, 구동력을 4바퀴에 분산해서
      직접 구동으로 바꾸기 때문에 당연히 효율도 극대화 할 수 있음.
      다만 인휠모터는 기본적으로 현가하 질량이 엄청 늘어나기 때문에 고속 주행을 하게 되면 승차감이 최악이 되고, 서스팬션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도 엄청나게 증가함.
      휠과 모터가 합쳐진 일체형 구조이기 때문에, 결국 현가하 질량이 휠무게 + 모터무게가 되고 도로가 유리판 처럼 평평한 형태라면 모를까
      현재의 울퉁불퉁한 도로에서 고속으로 달리다간 극악의 승차감을 맛 볼 수 밖에 없음. 자동차 제조사들이 인휠모터 시스템 못 만들어서 자동차에 적용안하는게 아님.
      시내에만 다니는 50키로 미만으로 제한된 도심형 셔틀버스 정도에나 적용 가능하지, 시속 100키로 넘어가는 고속 주행도 하는 일반 승용차에 적용하면 승차감 더럽다고 살 사람 없을듯.ㅋ

  • @PaPriC4
    @PaPriC4 2 роки тому +3

    브레이크가 파열되거나 하면 바퀴를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긴급 제동도 가능할듯

    • @ho-wonjeong835
      @ho-wonjeong835 2 роки тому

      그렇겠네요...

    • @BBang_Lee
      @BBang_Lee Рік тому

      그냥 회생제동 이빠이땡기는게낫죠 바퀴꺽이고 부품 다 작살날텐데 ㅋ

  • @하구냥나나아아
    @하구냥나나아아 2 роки тому +3

    내공있는 브레이크 정보분석에 감사드리며 건강하시고 좋은 나날들 되십시요^^!

    • @d2341a
      @d2341a 2 роки тому

      시요->시오

  • @EyesLog
    @EyesLog 2 роки тому +4

    우리나라 도로 상황상 과속방지턱이 너무나도 많아서 고장율이 상당하지 않을까 합니다. 더군다나 조금만 바퀴가 틀어지더라도 타이어 편마모 올테니 이슈가 많을거 같네요^^

  • @GeoMeTry-yj7ze
    @GeoMeTry-yj7ze 2 роки тому +3

    곧 그 교주 신도들이 몰려온다ㄷㄷㄷㄷㄷ

  • @MI_western
    @MI_western 2 роки тому +27

    한문철 TV 역대급 레전드 영상이 매주 기록을 갱신하겠군요 저런기능이 있으면 얼마나 기상천외한 사고를 칠련지.......

    • @7catpapa
      @7catpapa 2 роки тому +1

      어 진짜 그건 공감합니다 현재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사람들이야 다 고려하며 사용하겠지만 그런ㄴㄴ들은 지만 편하게 사용하겠죠 크렙웤하다 옆차 받아먹고 하는등.아니면 얌체끼어들기도 하는등 세상에 없던 문제들이 많이 만들어질것같습니다

    • @d2341a
      @d2341a 2 роки тому

      칠련지->칠는지

    • @d2341a
      @d2341a 2 роки тому +1

      ​@@7catpapa 렙->랩

    • @9918kth
      @9918kth 2 роки тому

      피봇턴으로 불법유턴하는 차 만나면 피꺼솟 할듯

    • @타노스-e9r
      @타노스-e9r 2 роки тому

      그런거 따지면 차를 타고 만들면 안돼지 ㅡㅡ

  • @user-ca28fjd738kw
    @user-ca28fjd738kw 2 роки тому +22

    한용이형 설명은 얄미울정도로 중립적이고 객관적이고 깔끔 명료하다

  • @mw-pd4qc
    @mw-pd4qc 2 роки тому +3

    단순 자동차 리뷰가 아님 전문성. 자동차 전문 기자라는 타이틀에 걸맞는 인사이트를 가진 분이다.
    이분은 찐이다 라는 생각이 드네요

  • @보면-h2n
    @보면-h2n 3 місяці тому

    중장비에서 많이 사용하는 오일 디스크 사용하면 될듯합니다
    기아도 오일 디스크 박스에 같이 쓰면 윤활로 소음 발열도 감소 할듯합니다

  • @normal77079
    @normal77079 2 роки тому +4

    바퀴가 자유롭게 움직이면 주차는 정말 편해지겠네요.

  • @0911moo
    @0911moo 2 роки тому

    암튼 많이 배워요~ 감사합니다!! 모카 짱!!!

  • @iu7772
    @iu7772 2 роки тому

    말이 정말 예술이네
    적시적소에 필요한말만 쏙쏙
    외국인들 한국말 공부할때 이것보소~~^^

  • @느타리-n5c
    @느타리-n5c Рік тому

    드럼 브레이크가 그렇게 나쁜것은 아닙니다. 화물차들 드럼브레이크 써요. 일반 승용차 수준에서 성능 문제는 없습니더. 다만 가혹 주행에서 열관리가 힘들다는거죠.
    그런데 전기차면 대부분의 제동력을 회생제동으로 걸기 때문에 물리적인 브레이크가 그렇게 과열 될 일이 없어서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전기 스포츠카가 아닌 이상 드럼 장착해도 불편을 느낄 일 없을 것 같습니다.

  • @afad8662
    @afad8662 2 роки тому +3

    차 시동 키면 주요부품 이상 유무를 자동으로 체크해주는거 나왔으면 f35전투기처럼

    • @레알아재-w4s
      @레알아재-w4s 2 роки тому +1

      몇년식 차를 끄시는지는 모르겠으나
      요즘 웬만한 차들 전면 계기판 보면
      시동간에 시스템 점검 합니다

    • @mog9158
      @mog9158 2 роки тому

      @@레알아재-w4s F-35 이야기 하셨잖아요.

    • @레알아재-w4s
      @레알아재-w4s 2 роки тому

      @@mog9158
      설마 일반 양산차에 전투기 조종석에 준하는
      어떤걸 바라나요? 돈만 있음 되죠 ㅎ
      양산에 걸맞게 다 시스템 점검 있다는 겁니다

  • @eXplOrer-b3l
    @eXplOrer-b3l 2 роки тому +1

    지금도 뭐 하나 수리하면 어셈블리로 교체하는데, 모터/서스/브레이크 셋 중 하나 나가면 모듈 통째로 교환 하려고 할 거고 자연스레 수리비 폭탄으로 이어질 듯...

  • @homerjaysimpson9110
    @homerjaysimpson9110 2 роки тому

    다양한 시각이 좋죠.
    누가 구라인지 판단하는 건 본인의 몫.

  • @siso1117
    @siso1117 Рік тому +1

    이번 리뷰 게 같이 가볍 게 볼 게 아니네요.
    리뷰초반에는 학사과정이었는데 다보고나니 박사.👨🏻‍🎓
    해박한 지식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mobis_official
    @mobis_official 2 роки тому +34

    현대모비스가 CES 2023 에서 소개한 이코너시스템 기술입니다.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현대모비스 기술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 @easynone26
      @easynone26 2 роки тому +1

      앞으로도 더욱 더 훌륭하고 멋진 기술들 기대하겠습니다!

    • @엄청난달고나
      @엄청난달고나 2 роки тому +1

      응원합니다👍🏻👏🏻👏🏻👏🏻👏🏻👏🏻

    • @백-j4o
      @백-j4o 2 роки тому +2

      니들도 소비자한테 관심좀 갖자

  • @정원규-g5w
    @정원규-g5w 2 роки тому

    유익했습니다~~

  • @theduck3311
    @theduck3311 Рік тому

    8:00 제가 자동차 잘 몰라서 그러는데 그럼 어떤 구조로 만들었어야 했나요?

  • @이거북-u5w
    @이거북-u5w 2 роки тому +1

    넓은 공터에서 두 대의 아오5가 왈츠 추는 영상도 나오겠네요~

  • @roamingcloud
    @roamingcloud 2 роки тому

    정리 잘 해주셔 감사합니다. 저도 드럼은 못생겨서 싫습니다. 캘리퍼가 남아주길 기원함니다.

  • @양성희-v8c
    @양성희-v8c 2 роки тому +29

    인휠 모터가 중량과 공간에서 이득이 매우 커서 효율성은 정말 좋은데, 기존의 차동기어 대비 내구성이 개판이라 최근에도 국내에서 전량 리콜 후 차동 기어 + 메인모터로 바꿨죠. 물론 언젠가는 내구성이 해결 되겠지만 소재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서 가격이 문제가 될거 같네요.
    그런데 이중화는 너무 약한데 항공기처럼 4중화를 기본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요?

    • @인프레드릭
      @인프레드릭 Рік тому +1

      이 답글이 좀 아시는 분이네요.

    • @이상호-y9t
      @이상호-y9t Рік тому

      진짜 전문가시네요

    • @hi-th5er
      @hi-th5er Рік тому

      소재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의 문제입니다.

    • @김상우-n3s
      @김상우-n3s Рік тому

      내구성 문제는 아닙니다.

    • @우공이산-e8i
      @우공이산-e8i Рік тому

      인윌 모터가 어떻게 중량에 이득?

  • @후루밍-u6s
    @후루밍-u6s 2 роки тому +1

    드럼브레이크!? 하면 그분 생각이 ㅎㅎ

  • @아이바네즈-m2j
    @아이바네즈-m2j 2 роки тому +1

    근데 조인트 없이 하는건 이점은 생기는데 대신 안전성에서 엄청나게 문제가 생길듯 한데..
    주행중 고장나면 그냥 즉사임...

  • @Locomango
    @Locomango Рік тому

    데일리카에서 자율주차에는 혁신적인 도움을 줄것 같습니다. 자율주차가 완전 현실화 될것 같네요,.

  • @한만규-c3r
    @한만규-c3r 2 роки тому +1

    일반 버튼 있어야 겠네
    일반식으로 도로다닐때 많이 꺽이면 사고날 확률놓아짐
    2륜 4륜 버튼있듯이

  • @창정비
    @창정비 Рік тому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는 항공기의 경우도 Fly-by-wire 를 사용하고있고 또한 여차 문제가 생겼을 경우를 대비하여 당연히 이중화가 되어있기에... 당연히 기계적으로 하면 그 원리로 바로 확인되나 똑같이 무언가가 망가지면 사고가 나기에 둘다 비슷하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하나의 장치가 고장나서 다른 하나로 사용하게되면 이를 알려주는 장치 또한 있음 좋지않을까요.

  • @강우석-f7e
    @강우석-f7e 2 роки тому +2

    드럼브래이크 간극조정에 정말 갈기 번거롭던데

  • @moakim4930
    @moakim4930 Рік тому

    인휠모터.. 자전거나 전동킥보드에서 많이쓰죠. 거기선 허브모터라고 하지만..
    전동킥보드의 경우는 허브모터 + 드럼브레이크 통합된 휠을 판매하고 많은 제조사에서 사용하는듯

  • @user.luke.22.42
    @user.luke.22.42 2 роки тому +2

    아직은 멀었지만 곧 다가올 미래

  • @이런세상에별게다있네
    @이런세상에별게다있네 2 роки тому +1

    스노우체인 걸 때 편하겠군.

  • @bongkyuPark
    @bongkyuPark Рік тому

    화석연료을 사용해서 전기생산하는데 효율은 알마인가요?

  • @tourgourmet2991
    @tourgourmet2991 2 роки тому

    역시 훌륭한 유투버 이십니다

  • @kimbukbuk4287
    @kimbukbuk4287 2 роки тому +4

    인휠모터가 언젠가는 상용화가 되겠죠.
    등속조인트의 시대가 저물어 가네요

    • @BBang_Lee
      @BBang_Lee Рік тому +1

      등속조인트의 뚜두둑 거리는 맛?이있는데 말이죠

  • @명상록-q8r
    @명상록-q8r 2 роки тому

    4:10 내가 이광고 보고 썰풀었다가 능욕많이 먹었지 ㅋㅋㅋ

  • @jwc3104
    @jwc3104 Рік тому

    인휠모터의 근본적인 문제는... 휠 안의 협소한 공간에서는 기어없이 높은토크를 뽑아내는 모터디자인을 만들기가 힘들다는겁니다. 기본적으로 전기모터는 속도를 내는데 유리한 물건이니까요. (전기차의 토크빨은 속도를 토크로 맞바꿔주는 높은 기어비에서 오는거 다 아시죠?). 인휠모터의 출력을 높이려고 기어를 넣으면... 생기는 문제가 한두개가 아닙니다. 기어 윤활유도 같이 들어가야하고, 무게도 부피도 너무 커지고요. 휠안의 공간에 모터를 넣고나면 승차감/핸들링 좋은 멀티링크 서스펜션이나 더블위쉬본은 넣지도 못해요. 내구성도... 서스펜션은 항상 충격을 머금고있는 부품인데, 거기다가 고전압 전자부품들 (코넥터, 반도체, 콘덴서 등등) 붙이는것도 쉬운일이 아닙니다.
    코너모쥴 시스템의 아이디어는 아주 멋진데... 일반 승용차에 상용화 되는건 다른문제죠. 벤츠, 사브, 포드 에서는 이미 90년대에 시도해봤던 콘셉이에요.
    하지만 자동차 기술이란게 항상 그랬듯... 어느정도 임계점이 되면 빵 터지게 되는거. 기술의 발전이 기대가 됩니다.

  • @camel_jm2344
    @camel_jm2344 2 роки тому +1

    최근 결함들보면 전동화에 대한 불신과 불안감이~꼭 내차가 아니더라도 다른차 결함생겨서 사고나면~아무튼 전동화로갈수록 더욱 완성도 높은 품질이 필수일듯 합니다

  • @박데아-o4g
    @박데아-o4g Рік тому

    가장 어려운 문제는 실내 공간, 충돌 문제를 빼더라도 막다른 골목에서 180도 턴 한다고요? 근처에 사람이라도 있으면 큰일 납니다. 진행 방향을 예측 못해 사고가 많아 질겁니다. 인휠로 고속주행은 아직 무리가 있고 자율주행 시대로 가면 편의성은 I don't care 이므로 편의 효과는 떨어지고 첩첩 산중입니다. 그래서 기술로만 접근하면 안되거죠

  • @조용한-t9s
    @조용한-t9s Рік тому

    쓸데없는 이야기가 아님니다,아중요한 이야기입니다..후륜차 전륜차에관한 상식을제일쉽게표현해주셔서 감사함니다 역시 ~복잡한 차의 상식은 김한용대표의 설명이 ~전문가를 다모은듯 폭넓은 상식과 조리있고 쉬운예를 항상, 보여주는 김한용대표가 최고입니다,,^^

  • @HeyMrJee
    @HeyMrJee 2 роки тому

    꺽->꺾, 깍->깎 입니다. 여러 영상에서 동일오타가 있네요. 자막 검수 잘 부탁드려요..

  • @casco2599
    @casco2599 2 роки тому +1

    항공기에서 먼저 플라이 바이 와이어를 쓰던게
    이제 자동차로 와서 스티어바이 와이어가 되었군요.
    항공기술이 차로 내려온다는게 이런건가보네요.

  • @신승훈-z1h
    @신승훈-z1h 2 роки тому +1

    이상한거 하지 말고 기본이나 충실한 뒤에 하셨으면...

  • @pigsal
    @pigsal Рік тому

    이중화에 고장 감지용 피드백 회로 추가하면 안전하겠네용 ㅋ

  • @florida181
    @florida181 2 роки тому +3

    아 역시 폭스바겐은 다 계획이 있었구나?

  • @user_yong
    @user_yong Рік тому

    전기차에 드럼브레이크가 적절한 이유 몇가지가 빠졌습니다.
    - 오염에 강하다. 디스크 브레이크와 달리 드럼 브레이크는 흙먼지나 물 같은 것을 뒤집어써도 브레이크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즉, 제동력에 영향이 없고, 오염으로 인해 브레이크가 고장나는(브레이크가 고착된다거나) 일이 거의 없어집니다.
    -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는 회생제동을 사용하기 때문에 마찰식 브레이크가 정지 직전이나 급정거에만 개입합니다. 드럼 브레이크의 단점은 과열되기 쉽다는 것인데, 회생제동이 있으면 브레이크가 과열될 일이 거의 없어집니다. 당연히 브레이크가 잘 마모되지도 않아서 수명이 거의 반영구적입니다

  • @태민김-o6l
    @태민김-o6l 2 роки тому +1

    이 영상을 모트라인이 좋아합니다

  • @vnfma7
    @vnfma7 2 роки тому

    내연기관의 동력은 결국 휘발유 or 경유인데, 전기차가 같은 출력으로하면 훨씬 무겁다는걸 생각해볼때 휘발유와 경유의 근간이 되는 석유의 수억년을 축적한 에너지 밀도는 현재기술의 배터리를 압도하는 수준이라 할수있음.. 효율이 몇배차이나는데도 주행거리로보면 석유가 에너지밀도로 압도하니까.. 역시 석유만세임

  • @dnrhsdl1
    @dnrhsdl1 2 роки тому +2

    하루 빨리 전기차가 가격, 안전, 충전등 안정화가 되면 좋겠어요

  • @hl1aqz
    @hl1aqz Рік тому

    이중화도 제대로 작동하는지 압력값을 감시하면 작동여부를 알수있게 전자적으로 만들겟죠.
    비행제어기술에 이미 사용하고있듯이.
    작동결과를 피드백하도록 .
    설계해야합니다

  • @justinkim148
    @justinkim148 2 роки тому

    오늘도 좋은내용 잘보고 갑니다.

  • @vnfma7
    @vnfma7 2 роки тому +1

    인휠모터가 꿈의 구동방식이긴한데...

  • @쭈영쭈
    @쭈영쭈 2 роки тому +1

    잘 보고 갈게요.

  • @3KKK-v7l
    @3KKK-v7l 2 роки тому +2

    처음부터 귀에 착착 감칠맛이 도네 ㅋ

  • @다빠다까
    @다빠다까 2 роки тому +4

    그리고 인휠모터가 모두 드럼방식으로 제동하는게 아니라 디스크로도 제동가능합니다. 모비스에서도 두가지 브레이크 시스템이 같이 가능하다고 소개 했음

    • @mocar_official
      @mocar_official  2 роки тому +2

      암요암요. 심지어 영상에 나오는 해당 모듈은 드럼이 아니라 디스크 방식으로 돼 있습니다. 그런데 무게가 증가하고, 교체가 쉽지 않을것 같아서 양산에서는 드럼으로 넘어가지 않을까 하는거죠. 버스에선 이미 인휠모터를 많이 쓰니까 검증도 어느 정도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됐구요.

  • @nanchogem8386
    @nanchogem8386 2 роки тому

    사진에 드럼 브레이크는 갤로퍼 슈타입을 보는거 같네여.

  • @fortunatekorea6429
    @fortunatekorea6429 Рік тому

    전기자동차의 최종적 구동방식은 인휠구동방식이겠죠, 아울러 브레이크시스템은 퇴출이 아닐까요? 굳이 필요하다면 파킹브레이크정도는? 그 예를 본다면 드론의 프로펠러동력을 보면 되겠지요. 4개 또는 6개,8개의 프로펠러를 동력으로 사용하는데 브레이크는 무! 각각의 모터를 전자적제어를 통해 비행합니다. 여기에 지상 이동체에서 필요한 정지 기능을 추가한다고 하면(비행체의 역추진) 그 또한 역회전이겠지요? 이 기능을 모터의 역회전 부하를 이용하여 정지(브레이크) 기능으로 사용하면 지금의 자동차 브레이크 기능는 필요 없어지겠지요. 즉 타이어의 환경오염을 제외하면 완전 친환경 이동체가 될 것 같네요. 좀더 진보하면 육공 병행 이동체가 나오지 않을까요? 하지만 그게 필요할 것 같진 않네요... ㅎㅎ 편하게 날아다니는데 굳이 굴러다닐 이유가 많진 않은 것 같네요.. 이후 교통수단은 드론이 아닐까? 합니다. 새로운 교통법이 필요하긴 하지만... 사견입니다..~!

  • @shkwon6556
    @shkwon6556 Рік тому

    steer by wire의 redundancy 크게 걱정 안해도 되실겁니다. 이미 항공기에서 multi channel fly by wire가 대중화 된지 수십년. 충분히 검증된 기술이라고 봐야죠. 물론, 자동차라는 다른 응용플랫폼에 이식하는데 시간은 걸리겠으나.

  • @changchoi4124
    @changchoi4124 2 роки тому

    이미 양산차에 적용한 케이스가 있는데 저렇게까지 극단적인 방향은 실험용뿐이지 양산차에는 각도를 작게만 넣을껍니다. 저게 좋아보여도 문제는 내부공간을 그만큼 잡아먹어버림. 벤츠나 EV허머만 보더라도 실제 꺽이는 각도는 심하지않음.

  • @sunghankim9002
    @sunghankim9002 Рік тому

    현기차는 인휠을 저가형 저출력 차에 단가 낮추기 용으로 쓴다고 예전에 들은거 같네요...예전에 카이스트에서 현기랑 협력 연구 했던 학생한테 들은거임...
    지금부터 10년 넘게 전부터 현기차는 전기차 연구를 했더군요...인휠모터도 꽤 오랫동안 연구한걸로...
    차 단가가 낮아진다고 하네요...

  • @멸공특공701-88
    @멸공특공701-88 2 роки тому +1

    나는 평행주차를 1%급으로 잘하는 편이지만...게같이 움직이는 차는 주차시 편해서 좋겟다....

  • @llux1278
    @llux1278 2 роки тому +1

    새로운 빌런들이 생성되겠군요

  • @손경민-l6h
    @손경민-l6h 2 роки тому

    포니의 전륜구동 성냥갑 선전 재미있네요.
    반대로 설매를 앞에서 끌어주는 것보다 뒤에서 밀어주는 것이 훨 신나죠~
    인 휠 스티어링, 전자식 브레이크 전자장비 에러시
    어떤 문제가 생길지 걱정이 됩니다

  • @최우석-v7g
    @최우석-v7g 2 роки тому +1

    또 얼마나 많은 결함이 생길런지.

  • @GHK-g2n
    @GHK-g2n Рік тому

    세차환자들에게 엄청 좋은기능 일 듯 ㅋㅋ 휠바퀴는 이제 ㅋㅋㅋㅋ

  • @ksong5589
    @ksong5589 2 роки тому

    정말 유익한영상 잘봤습니다. 근데 배터리에서 전기를 발생시킬때의 손실에너지도 고려한게 80-95% 인건가요?

  • @kseattle79
    @kseattle79 Рік тому

    미국에서 지금 HUB motor Lordstown Endurance truck 을 팔고있어요 모터가 4개죠

  • @성호김-i6f
    @성호김-i6f 2 роки тому +4

    신기술 나오면 차값 올라갈 걱정에 반갑지가 않네요
    휠 먹으면 수리비도 오지게 나오겟지..

  • @kiyan258
    @kiyan258 2 роки тому

    모형자동차 어디서 구입 가능할까요?

  • @ho-wonjeong835
    @ho-wonjeong835 2 роки тому

    제가 운전 중에 졸다가 옆에 갑자기 끼어드는 차 때문에 제 차가 스스로 회생제동으로 급브레이크를 밟았는데, 제동력이 제가 브레이킹 하는 것 보다 더 높더군요..

  • @이십분-f6z
    @이십분-f6z Рік тому

    조향과 브레이크는 안전의 최후의 보루로, 기계식으로 놔둬야한다고봅니다. 전자식은 불안하네요..

  • @cloud-kr
    @cloud-kr 2 роки тому

    천장크레인이 저런브레이크 쓰는데...좋음..

  • @이이솔-s2n
    @이이솔-s2n 2 роки тому

    리비안이 바퀴마다 모터가 있는걸로 아는데 탱크턴이랑 대각선 주행은 상용화가 가능하단걸 알려준

  • @r3c7w
    @r3c7w 2 роки тому

    주차모드가 따로 생기려나? 나름 유용한 기능을 추가했네. 물론 구현이후 문제없는지까지 확인해야겠지만.

  • @kbsla
    @kbsla 2 роки тому

    나중엔 게임패드로도 운전할 수 있겠네요. 안에서도 하고 밖에서 원격조정도 하고...

  • @황선용-m8t
    @황선용-m8t Рік тому

    그럼 김한용씨는 100프로 전기차
    소지하시시고 사용하십니까?

  • @Roy-cl2wi
    @Roy-cl2wi 2 роки тому

    급발진 나오면 제자리에서 헬리콥터 되는건가요?ㅎ

  • @L111OVE23
    @L111OVE23 2 роки тому +6

    이걸 테슬라가 보여줬으면 역시 머스크 혁명적이라고 했을거면서 현대가 하니까 까고 보는 사람들도 있네 ㅎㅎ

    • @nurungiiii
      @nurungiiii 2 роки тому

      대부분이 급뚜라서그럼

    • @Jacob-qs9bq
      @Jacob-qs9bq 2 роки тому +1

      테슬라가 저딴 뻘짓을 할까ㅋ

    • @bleechun5583
      @bleechun5583 2 роки тому

      @@Jacob-qs9bq 테슬라가 시도하다가 포기한게 인휠모터기술임

  • @leeyjkorea
    @leeyjkorea Рік тому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들어가는 리소스가 최종적으로 전기차를 움직이는데 얼마이 효율이 있는지를 봐야 제대로된 비교가 아닐까 싶습니다.

  • @진지함
    @진지함 Рік тому

    와 2종 오토 면허자들이 대박 환영할 기능이군요 ㅋ

  • @하준아빠-v8b
    @하준아빠-v8b 2 роки тому

    인휠모터.. 또 하나의 혁신..

  • @jason_cha
    @jason_cha Рік тому

    브레이크 이중화는 자동차 미생님 채널에서 본 거 같네요. 여러가지 방식이 있더군요.

  • @촐기찬
    @촐기찬 2 роки тому +1

    현대야 오바하지말고 지금 차나 잘 만들어라 제발 기본기 부터 하고 제발좀

  • @enftpt23
    @enftpt23 2 роки тому +1

    이 기술은 20년 전부터 신라공고 자동차과에서 실험 했었음

  • @치킨환자
    @치킨환자 Рік тому

    어..몇달전에 드럼 가지고 열변 토하던 두채널이 생각나넹😂

  • @캣닢-r3c
    @캣닢-r3c Рік тому

    근데 이거 저렇게 되면 얼라인먼트는 잘 되고 직선주행은 잘될까?

  • @이영수-m3i8t
    @이영수-m3i8t 2 роки тому

    BMW 2시리즈 액티브투어러 신형 시승 점 해주세용 가정용으로 사용 할건데 김한용님에 얘기 들어보고 싶네요 부탁드립니다

  • @mbj0605
    @mbj0605 2 роки тому

    드럼브레이크는 일반인이 슈잔량을 확인할 방법이 있나 궁금하네요
    검색해도 나오는건 없던데…

  • @야로롱
    @야로롱 2 роки тому +8

    자동기어보다 역시 모카~~♡♡

    • @강한-x8t
      @강한-x8t 2 роки тому +1

      구독자수가 말해주죠 ㅋㅋ

  • @dongki000
    @dongki000 2 роки тому +1

    이제 급발진이 아니고 급회전 이슈 나오겠네 ㅋㅋㅋ

  • @spacebee8
    @spacebee8 2 роки тому

    쓸데없는 얘기 많이 해주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