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바관련용어 정말 헷갈립니다ㆍ이러니 한자를 배우도록 했어야 합니다ㆍ저는 한문을 병행해서 항해용어에 표기했으면 좋겠습니다ㅡ 사실 한글의 모태인 훈민정음이 본디는 중국말을 쉽게 표기하기위해서 만든게 참으로 과학적인 한글로 된거지요ㆍ 예를들면 전타 라고 하면 앞으로 타를 가는건지 전속력으로 타를 치는건지? 前舵ㆍ全舵 항해용어 및 노가다용어도 거의 일본이 만든거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거 아닌가요? 한자 안배우는 세대들 어려움이 많겠어요ㆍ선박관련용어 정말 난해하고 어렵네요ㆍ영어로된건 제외하고요ㅡ
조선소에서 선박운항업무를 하고 있어 후배님의 설명과 실험을 충분이 이해가 잘 됩니다. 어려운 공부 내용 알기 쉽게 전공 학생 뿐 아니라 일반인도 이해 할수 있도록 앞으로도 계속 수고 부탁 드립니다. 수고하십시오. 저도 잊었던 내용들 다시 리마인드 하게 되어 잘 배우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잘 봤습니다 ㅎㅎ 다름이 아니라 이해가안되는 부분이 있어 댓글로 남겨봐요! 전진시 좌우 타면에 부딪치는 압력 차 만큼 선미를 좌현으로 미는 경향의 이유로 선박 프로펠러 기준으로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압이 높아지므로 즉, 수압차에 따른 타의 좌우 압력차가 발생하여 타가 좌측으로 밀린다라고 하셨는데 예를 들어 설명해주신 선풍기와 휴지와 같은 경우도 상하 공기밀도 차이 때문에 휴지의 좌측 상부 압력보다 우측 하부 압력이 더 강한것인가요?? 수면 하 밀도차이로 이해하면 되겠다 싶었는데 공기중에서도 밀도차이가 그렇게나나... 생각이 들어서 아리송하네용ㅜㅜ
안녕하세요! 제 영상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펠러에 의한 선체운동을 이해할때 각각의 힘을 나누어서 이해하셔야 합니다. 횡압력은 수심(깊어질 수록 수압이 커짐)에 의한 수압차에 의해 프로펠러가 회전할때 반작용을 하는 겁니다. 즉, 밀도차가 아니고 수심에 의한 수압차에 의해 반작용력이 달라지는 것임. 선풍기 예는 횡압력이 아니고 배출류를 설명한 실험입니다. 우선회 단추진선을 기준으로 전진시 프로펠러가 우선회 하면 배출류(프로펠러의 회전으로 회전하듯 흘러나옴)가 타의 우현 하부를 더 강하게 치는 것이지요. 즉,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으로 인해 타면에 부딪치는 배출류의 입사각과 부딪치는 힘이 다르기 때문에 일어남. 7:32 영상을 보시면 각각의 작용력(반류, 배수류, 횡압력, 흡수류)에 의한 결과적인 선체운동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6:04 일반적으로 횡압력에 의해 우선회 단추진기의 경우 우선회권이 약간 크게 나타납니다.
선바관련용어 정말 헷갈립니다ㆍ이러니 한자를 배우도록 했어야 합니다ㆍ저는 한문을 병행해서 항해용어에 표기했으면 좋겠습니다ㅡ
사실 한글의 모태인 훈민정음이 본디는 중국말을 쉽게 표기하기위해서 만든게 참으로
과학적인 한글로 된거지요ㆍ
예를들면 전타 라고 하면
앞으로 타를 가는건지 전속력으로
타를 치는건지? 前舵ㆍ全舵
항해용어 및 노가다용어도 거의 일본이 만든거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거 아닌가요? 한자 안배우는 세대들 어려움이 많겠어요ㆍ선박관련용어 정말
난해하고 어렵네요ㆍ영어로된건
제외하고요ㅡ
설명에서 기관사용 말기에는 우회두 경향이라 하셨는데 그럼 왜 우선 선회권이 좌선 선회권 보다 더 큰건가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추월, 헤드온시츄에이션시 선박상호간 흡인배척작용 다뤄주실수 있으신가요
조선소에서 선박운항업무를 하고 있어 후배님의 설명과 실험을 충분이 이해가 잘 됩니다. 어려운 공부 내용 알기 쉽게 전공 학생 뿐 아니라 일반인도 이해 할수 있도록 앞으로도 계속 수고 부탁 드립니다. 수고하십시오. 저도 잊었던 내용들 다시 리마인드 하게 되어 잘 배우고 있습니다.
설명 잘 하시네요. 명강의 입니다. 천문항해 시리즈도 한 번 부탁합니다.
와 선풍기 ... !! 한방에 이해되네요 선생님 감사합니다!
좋은 동영상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날로 고와지시네요 선생님ㅎㅎ
노란색 옷이 너무 잘어울리십니다~~
항해여신 화이팅!!
선수 우회두를 최대우타각으로
멈추는 이유가 있나요?
좌타각 주어야 하지 않나요?
큰 도움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카페리여객선입니다.
내선식 쌍추진기 CPP 인데 관련하여
교육 영상이나 가지고계시는 자료좀 부탁드려도될까요 .. 공부중인데 자료가 많이 없어가지고요..
저도 따로 갖고있는 자료가 없네요ㅠ
현직 해군인데 도움이 많이 됐어요!
관련된 영상 또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잘 봤습니다 ㅎㅎ
다름이 아니라 이해가안되는 부분이 있어 댓글로 남겨봐요!
전진시 좌우 타면에 부딪치는 압력 차 만큼 선미를 좌현으로 미는 경향의 이유로
선박 프로펠러 기준으로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압이 높아지므로
즉, 수압차에 따른 타의 좌우 압력차가 발생하여 타가 좌측으로 밀린다라고 하셨는데
예를 들어 설명해주신 선풍기와 휴지와 같은 경우도
상하 공기밀도 차이 때문에 휴지의 좌측 상부 압력보다 우측 하부 압력이 더 강한것인가요??
수면 하 밀도차이로 이해하면 되겠다 싶었는데 공기중에서도 밀도차이가 그렇게나나... 생각이 들어서 아리송하네용ㅜㅜ
안녕하세요! 제 영상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펠러에 의한 선체운동을 이해할때 각각의 힘을 나누어서 이해하셔야 합니다.
횡압력은 수심(깊어질 수록 수압이 커짐)에 의한 수압차에 의해 프로펠러가 회전할때 반작용을 하는 겁니다.
즉, 밀도차가 아니고 수심에 의한 수압차에 의해 반작용력이 달라지는 것임.
선풍기 예는 횡압력이 아니고 배출류를 설명한 실험입니다.
우선회 단추진선을 기준으로 전진시 프로펠러가 우선회 하면 배출류(프로펠러의 회전으로 회전하듯 흘러나옴)가 타의 우현 하부를 더 강하게 치는 것이지요.
즉,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으로 인해 타면에 부딪치는 배출류의 입사각과 부딪치는 힘이 다르기 때문에 일어남.
7:32 영상을 보시면 각각의 작용력(반류, 배수류, 횡압력, 흡수류)에 의한 결과적인 선체운동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항해여신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배출류, 횡압력 제가 잘못이해하고 있었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배의 브레이크 원리나 그림이나 동영상관련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상선은 브레이크가 따로 없고 엔진을 멈추거나 역회전 시키는 방법을 쓰기때문에 미리미리 조치해야합니다.
전진이나 후진시 프로펠라가 좌측을 밀어내는 영향으로 전진이나 후진시 모두 선수가 우회두되는 결과네요ㅡ
ㅁ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