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난 지 2년 만에 신체를 망가뜨리는 희귀병, 치료할 수는 없을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лют 2023
  • 과학쿠키는 여러분의 후원을 통해 성장합니다.
    과학쿠키를 후원해주시는 가장 좋은 방법, 멤버쉽 구독! ▼
    / @snceckie
    구글, 카카오로 후원하기!▶toon.at/donate/sciencecookies_
    =============================================
    #헌터증후군 #뮤코다당류 #KISTEP
    Shooting Info
    - SONY A7C, A6600 with SONY LENS
    - SONY FDR-X3000 Action CAM
    - IPhone12 PRO
    Edit Software Info
    - Adobe Premiere Pro CC
    - Adobe Aftereffect CC

КОМЕНТАРІ • 25

  • @KISTEPTV
    @KISTEPTV Рік тому +28

    과학쿠키님, 어렵게 느껴지는 희귀병과 연구성과를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매년 우수한 과학기술 성과 100개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기술자들이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열심히 연구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려요.

    • @snceckie
      @snceckie  Рік тому +9

      금번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큰 도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신 구독자분들께서는 NTIS에서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를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감사합니다!

    • @user-01000
      @user-01000 Рік тому +2

      사물궁이도가고 과학쿠키도가고 바쁘노 ㅋㅋ

  • @hjp7250
    @hjp7250 Рік тому +7

    더 많은 희귀병 치료제가 개발되어 난치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었으면 좋겠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jl2hw4mw9v
    @user-jl2hw4mw9v Рік тому +5

    기업의 이윤추구와 인류애가 동시에 성립할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해볼거릴 던져준 좋은 영상이네요

  • @sharin3489
    @sharin3489 Рік тому +5

    많은 생각이 드는 영상이군요.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layeekimm792
    @layeekimm792 Рік тому +4

    과학이 첨단기술이나 눈에뜨이는 곳 외에도 이런 의미있는 연구에도 힘쓰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jt6vo1mm4c
    @user-jt6vo1mm4c Рік тому +3

    쉬운 설명,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rp0823
    @srp0823 Рік тому +1

    다양한 분야의 영상 좋네요 돋보적인 채널인것 같습니다

  • @user-ib7si9ur3o
    @user-ib7si9ur3o Рік тому +1

    인터뷰와 에니메이션으로 이해하기 쉽게 잘 만드신것 같아요! 우리나라 연구성과의 우수성을 다시한번 실감하게 됩니다~

  • @herz_yeonu
    @herz_yeonu Рік тому +2

    잘 보고 갑니다! 환자들의 빠른 쾌유를 빕니다 🙏

  • @clade8659
    @clade8659 Рік тому +4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의학 분야도 상당히 발전하는 것 처럼 보입니다
    7:15초 정도에 보면 분해 효소인 IDS가 [ 결핍 ] 되어있다고 알려 주시고 있습니다.
    결국 효소가 없으니, 그 이후의 동작을 수행 못하는 것은 당연할 것입니다.
    영상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 질병의 근원을 이해하는 것 ] 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후에 말씀하신 [김수정/GC녹십자] 분의 말씀도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질환자분들이 몸 안에서 안만들어지니 [ 외부에서 만들어서 ] 넣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여기까지라도 밝혀 내고 알아내신 성과는 정말로 대단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그런 병에 걸린 분들이 약에만 [ 계속 의존하지 않고 ]
    일반적인 건강한 사람처럼 일상 생활에서 먹는 음식 만으로도
    자연적으로 몸에서 IDS같은 효소가 적당히 몸에서 결핍이 되지 않게 만들어져
    유지하는 ...... 근본적인 치유 연구도 이루어 졌으면 좋겠습니다.
    노고에 박수를 보냅니다

  • @sinhwa1030
    @sinhwa1030 Рік тому +2

    정말 중요한 연구성과입니다. 어려운 내용을 잘 풀어 설명해주신 쿠키님 감사합니다.

    • @snceckie
      @snceckie  Рік тому

      앗 박사님 항상 감사합니다! 조만간 재밌는 영상 쏟아질 거예요!

  • @user-rv5ow4jb6g
    @user-rv5ow4jb6g Рік тому

    항상 감사합니다

  • @hwj0915
    @hwj0915 Рік тому +1

    녹십자연구원 분께서 되게 잘설명을하시네요 ㅎ

  • @seonghunan9306
    @seonghunan9306 Рік тому

    제약회사의 이런 잭 팟 많이 기대해 봅니다^^이윤 추구도 하고 인류애도 나누고~~꾸준히 연구해서 성과를 내셨음에 박수 보냅니다 👏 👏 👏

  • @user-rz8dp4yn5i
    @user-rz8dp4yn5i Рік тому

    재밌네요~ ㅋ

  • @KangShinMin
    @KangShinMin Рік тому +2

    이런 희귀병 치료제를 시장에만 맡기면 제약사는 이윤의 문제가, 환우는 치료비의 문제가 있습니다.
    결국 이런 소수자들을 보호하고 도움을 주려면 정부가 큰 역할을 해야합니다.
    모든걸 시장에 맡기고 역할을 줄이는 작은 정부가 좋은지 아니면 이런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나서는 큰 정부가 좋은지는 고민해봐야 할 문제 같습니다.

  • @user-cz7zl9bs6s
    @user-cz7zl9bs6s Рік тому +1

    라제로 끝나는걸 보니 효소인걸 알겠네요

  • @ptahoteff
    @ptahoteff Рік тому

    이런 걸 놔두고 노화는 병이라며 안늙고 장수 누리는 법에만 투자를 하니...

  • @user-oi6cn6dn1q
    @user-oi6cn6dn1q Рік тому

    존재하지않는 바이러스

  • @333handle
    @333handle Рік тому +2

    인터뷰를 들어도 반이 영어로 말하니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 @cho8963
      @cho8963 Рік тому

      너는 글 읽는거 말고 이해하는 것 부터 배워야겠다

  • @user-oi6cn6dn1q
    @user-oi6cn6dn1q Рік тому

    존재하지도않는 바이러스에 걸려죽었다고 하는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