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남아있는 부동산 규제 중, 개인적으로 가장 강력한 것 하나를 뽑으라고 한다면 저는 취득세 중과라 생각합니다. 당초 '23년 2월에는 일부 완화가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전혀 진전이 없는 상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취득세 중과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특히 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에 해당하는 분양권, 입주권의 경우 잘못 취득하는 순간 취득세 폭탄을 맞는다는데, 이건 어떻게 줄여야 할까요? 오늘 영상 내용만 잘 보셔도 취득세 수 천 만원은 아끼실 수 있습니다! ☞ 도서, 김철종 세무사 절세술사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163974 ☞ 김철종 세무사 칼럼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semugonggan
안녕하세요. 3주택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이미 3주택이 되어있는 상황인데 어떻게 대처를 해야할지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1. 현거주지 입주 4년차거주중 2. 영광 24년 8월 입주 약 3.4억 - 투자용 3. 장성 26년 10월 입주 - 실거주용 동영상 청취후 이해하기로는 이미 3주택이 되어 2번주택을 매도 한다고 하더라도 3번주택에 입주시에 3주택으로 해당되어 취득세를 납부해야되는걸로 이해됩니다. 2번주택은 이미 마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어 현재 -500에 매도중이고 최대 -2000까지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찌됐든 2번은 매도를 해야되는게 맞는거 같고... 3번주택 세금폭탄을 안맞으려면 3번주택도 전매로 매도를 해야되는게 맞을까요?? 3번주택의 경우 1년전매제한이 있어 25년 10월부터 전매거래가 가능합니다. 무지한 상태에서 아파트를 매수하여 고민이 많습니다. 세금문제를 빗겨가려면 전부 매도하고 현재 거주지에서 1주택이 될때까지 거주할 생각입니다. 추가로 2번주택 매도, 그다음 25년 10월경 3번주택 매도(전매)시에 얼마나 경과해야 1주택으로 인정받는건지도 궁금하네요.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분양권 취득세가 항상 애매한데요, 이런경우 어떻게 될까요? 2주택상태에서 분양권 취득 이후 2주택 매도후 50:50 부부공동명의로 변경 부부공동명의 변경시점에 무주택인데, 부부공동명의시점으로 분양권취득일이 변경 되어 취득세 중과에서 벗어날수 있을까요?
현재 남아있는 부동산 규제 중,
개인적으로 가장 강력한 것 하나를
뽑으라고 한다면 저는 취득세 중과라 생각합니다.
당초 '23년 2월에는 일부 완화가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전혀 진전이 없는 상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취득세 중과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특히 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에 해당하는
분양권, 입주권의 경우
잘못 취득하는 순간 취득세 폭탄을 맞는다는데,
이건 어떻게 줄여야 할까요?
오늘 영상 내용만 잘 보셔도
취득세 수 천 만원은 아끼실 수 있습니다!
☞ 도서, 김철종 세무사 절세술사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163974
☞ 김철종 세무사 칼럼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semugonggan
취득세 중과 50%도 과합니다. 거기서 더 조율이 아니라 그냥 폐지가 답이죠.
정말 분양권에 대해 헷갈리는 부분을 너무 정확히 알려주셔서 속이다 시원하네요...!!!!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댓글 잘 안 남기는데 취득세 관련 헷갈리는 부분 가려운데를 완전히 긁어주시네요
😅 분양권 취득쪽에서 헷갈렸는데
큰일날뻔 했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제네시스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취득세중과 세금 맞았습니다 ㅠㅠㅠ
저도 그렇습니다 ㅠㅠ
힘내요...ㅠㅠ
이동영상 미리봤더라면 ㅠㅠ.1주택.1분양권상태서 비조정3번째 분양권 구매했는데.기존 1분양권은 매도한 상태입니다. 나중 취득한 분양권 지인에게 팔았다 동일물건 다시 구매하면 취득세 중과 안되는건가요? 매도자가 지인이면 부동산 거래교란법에 위배되나요?
안녕하세요. 3주택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이미 3주택이 되어있는 상황인데 어떻게 대처를 해야할지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1. 현거주지 입주 4년차거주중
2. 영광 24년 8월 입주 약 3.4억 - 투자용
3. 장성 26년 10월 입주 - 실거주용
동영상 청취후 이해하기로는 이미 3주택이 되어 2번주택을 매도 한다고 하더라도 3번주택에 입주시에 3주택으로 해당되어 취득세를 납부해야되는걸로 이해됩니다.
2번주택은 이미 마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어 현재 -500에 매도중이고 최대 -2000까지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찌됐든 2번은 매도를 해야되는게 맞는거 같고...
3번주택 세금폭탄을 안맞으려면 3번주택도 전매로 매도를 해야되는게 맞을까요??
3번주택의 경우 1년전매제한이 있어 25년 10월부터 전매거래가 가능합니다.
무지한 상태에서 아파트를 매수하여 고민이 많습니다.
세금문제를 빗겨가려면 전부 매도하고 현재 거주지에서 1주택이 될때까지 거주할 생각입니다.
추가로 2번주택 매도, 그다음 25년 10월경 3번주택 매도(전매)시에 얼마나 경과해야 1주택으로 인정받는건지도 궁금하네요.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분양권 취득세가 항상 애매한데요, 이런경우 어떻게 될까요?
2주택상태에서 분양권 취득
이후 2주택 매도후 50:50 부부공동명의로 변경
부부공동명의 변경시점에 무주택인데, 부부공동명의시점으로 분양권취득일이 변경 되어 취득세 중과에서 벗어날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