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피아노 입시곡이 나왔습니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521

  • @ucmcc
    @ucmcc 4 місяці тому +4757

    엄청난 자신감이다.. 학생이 그래도올거란 확신

    • @heavenlymelody-km6iw
      @heavenlymelody-km6iw 4 місяці тому +30

      빙고!

    • @Smalwil-x4i
      @Smalwil-x4i 4 місяці тому +548

      ⁠@@깁슨기타는에휴 경희 중앙? 음대입시 알긴아는거냐

    • @i_just__wanna
      @i_just__wanna 3 місяці тому +242

      @@깁슨기타는너는 음악인을 자칭할 자격이 없다

    • @하연-u1v
      @하연-u1v 3 місяці тому +1

      ​@@깁슨기타는존나 한남같노

    • @꽃슈카
      @꽃슈카 3 місяці тому +8

      음대는 순위가 어케되나요?
      1도 몰라서

  • @msc1978
    @msc1978 5 місяців тому +2517

    한국 학생들이 워낙 열심히 연습해서 테크닉적으로 어렵든 음악적으로 어렵든 어떻게 해서든 완성해 내겠지만 이번 2025년 음대 입시곡들은 도대체 무엇을 위해서 이렇게까지 어려운 곡들을 출제했나 이해하기 좀 어려운 것 같아요..
    그만큼 예전보다 한국 학생들의 실력이 상향평준화 되어서 변별력을 가리기 위해 어려운 곡들을 출제할 수도 있고 다른 분이 말씀하셨던 대로 진입 장벽을 높임과 동시에 재학생들의 전공 실력 상태가 안 좋아서 애초에 입시 준비할 때 정말 어려운 곡들을 연습시켜서 학생들의 실력 편차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그렇게 할 수도 있는데 음대 입시의 방향성이 이런 식으로 가면 되는 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물론 학문의 깊이가 남다른 교수님들의 뜻을 다 헤아릴 수 없겠지만 아무리 입시가 경쟁이라고 하더라도 노력하면 충분히 소화할 수 있을 정도의 곡을 내야 학생들도 단순히 좋은 학교를 들어가려고 하는 목적에만 치중하지 않고 입시를 준비하면서 공부가 되고 학생 스스로 곡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여백이 생긴다고 생각하는데 이대처럼 사람에 따라 자신의 신체의 한계와 좌절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연습곡을 한 개도 아닌 두 개씩 내거나 연대처럼 그 나이대에는 절대 이해하기가 힘든 부분이 있는 함머 클라이버를 내는 것은 정말 교수님들이 왜 이런 곡을 입시곡으로 출제할 수 밖에 없었나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고 해당 입시곡 출제의 타당성에 비해 난이도가 과하다는 생각이 들면 반성하셔야 된다고 생각해요.

    • @신영우-w7s
      @신영우-w7s 4 місяці тому +200

      그냥 인문계생들 연주 듣기 귀찮다 이거지 뭔 말을 그렇게 배배 꼬면서 고매하게 하려 함ㅋㅋ 우리나라 음악 전공자들은 참 이상함, 실적은 학생들 버스타가고 취업률도 최하위권인데 돈은 공대보다 비싸게 퍼주는 음대 교수들 상대로 항상 죄인된거 마냥 저자세임 30년째 이런듯

    • @정멀따구
      @정멀따구 4 місяці тому +2

      😅

    • @신영우-w7s
      @신영우-w7s 4 місяці тому +176

      학생들한테 받는 돈, 배운 시간, 활동해온 시간에 비해 아무 비젼도 없고 업계에 뭔가 공헌하려는 생각같은거도 쥐뿔 없이 그저 자기 앉은자리만 지키는데 골몰하고 남들 앞에선 교수랍시고 꺼드럭대면서 뒤로는, 아 사실 뒤도 아니지, 겸업금지조항 같은건 대놓고 씹어버리면서 시간당 50~100은 우스운 불법 고액과외는 기본 옵션이요, 입시곡 유출, 시험장에서 제자 혜택같이 온갖 관행적인 사학비리로 꿀통 빠는거만 골몰하는 교수들한테 제일 이용당하고 착취당하는건 학생들인데 몇 십년동안 그 누구도 집단적인 문제제기는 커녕 일부는 암만 고압적인 자세를 취한들 오히려 그런 태도에 감사해하기까지 함. 얼마나 우습고 만만해 보이겠음ㅋㅋ 다른 장르에서 이런 실상이었으면 진작 업계인들 사이에서 자정 목소리 나고도 남았을텐데

    • @msc1978
      @msc1978 4 місяці тому +69

      무슨 말씀을 하시려는 건지 알 것 같습니다. 저도 공감하는 바구요.. 물론 좋은 음악가들, 교수님들도 계시지만 진심으로 사람을 아끼고 사랑하며 후학을 귀하게 여기는 분들이 많지는 않은 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대개 음대 교수님들은 자신들의 명예와 밥그릇을 지키기 위해 음대가 존속되길 바라면서 음악교육의 주축이 되는 학생들에게 그와는 반대되는 행태를 보이시니 어불성설이죠..
      가정교육이나 거장으로부터의 도제교육과 같이 보면서 배운다는 말이 있죠. 스승이라 한다면 학생들이 스승의 그림자도 밟고 싶지 않을 정도로 본받을 점이나 배울 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음대 교수님들은 보고 배움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시나?’하는 그런 생각이 들었던 적이 있습니다.
      학생들도 변화를 원한다면 학교와 교육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올바른 신념과 도덕적 판단을 기준으로 삼아서 선생을 비판할 줄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의 기본권을 지키고 피라미드식 권력 구조에 의한 피해를 없애려면 학생들이 올바른 정신으로 깨어있어야 합니다.

    • @chobbcho
      @chobbcho 4 місяці тому

      함머 클라이버도 들어봐야겠네요,,,

  • @brahmsite2878
    @brahmsite2878 5 місяців тому +2001

    이건 그냥 어릴적부터 피아노친 경험을 묻는 입시 아닌가...
    3 4 5번 손가락인대가 묶여있어서 연습한다고 칠수있는 작품이 아닐텐데

    • @moppo6112
      @moppo6112 4 місяці тому +19

      어릴 적부터 피아노를 치면 인대가 다른 사람들과 다른가요?!

    • @이현석-l6h
      @이현석-l6h 4 місяці тому +532

      ​@@moppo6112 3번 손가락과 4번 손가락이 붙어있어 분리가 잘 되지 않는데 이걸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 @moppo6112
      @moppo6112 4 місяці тому

      @@이현석-l6h 와 신기하네요..감사합니다

    • @yeonlyn
      @yeonlyn 4 місяці тому +82

      ​@@이현석-l6h 와 그냥 해본 말인줄 알았는데 진짜 근거가 있는 말이었구나 😮

    • @何もない物語
      @何もない物語 4 місяці тому

      ⁠​⁠@@이현석-l6h정확합니다
      손이 굳기전에 3,4손가락을 독립시켜줘야하는데
      보통 쉽지않죠.
      아무리 손이 굳었다고해도 독립시킬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매우 힘들겠지만요
      해머건반기준, 오른손 123번 손 위치를 도,미,파에 놓고 45번 손위치를 솔,라에 놓고 45손가락을 계속 아주 천천히 트릴하는겁니다 여기서 3번손가락은 들리면 안되며, 45번손가락을 최대한 위로 들어주셔야합니다
      꽤 자유로워 진다면 영상속 입시곡 10-2를
      천천히 연습하면 독립됩니다.

  • @lycheepiano
    @lycheepiano 4 місяці тому +867

    쇼튀드 op.10 최고난이도곡+op.25 최고난이도 곡이라니 가슴이 웅장해진다..

  • @user-thronmelon
    @user-thronmelon 4 місяці тому +779

    가르쳐야할 대학이 이미 완성된 인재를 원하는 건가😢

    • @0lee184
      @0lee184 3 місяці тому +3

      어차피 상대평가 아님?

    • @qwer00-n4m
      @qwer00-n4m 3 місяці тому +26

      예체능을 대학 가서 가르친다고 하면 좀.. 잘하는 애를 더 잘하게 만들기 아닐까?

    • @아끼면서주는나무-g4r
      @아끼면서주는나무-g4r 3 місяці тому +4

      대학은 가르치는 곳이 아니라 졸업장 인맥 쌓으러 가는건데요?

    • @valch-y2x
      @valch-y2x 3 місяці тому +5

      원래 고3 수험생때가 실력의 전성기란 얘기가 있죠 ㅋ

    • @무인텔델루나
      @무인텔델루나 2 місяці тому

      왜 피겨 축구 노래도 대학가서 배우는거라하지

  • @Yeiwbsj
    @Yeiwbsj 5 місяців тому +896

    서울대 음대 간 언니를 초등학교때 봤었는데 교회에서 초딩때부터 반주했었다. 어린 나도 느낄 정도로 다른 사람이 반주할때보다 깔끔하고 아름답게 쳐서 확연히 비교될 정도였고 아파도 힘들어도 울면서 8시간씩 매일같이 피아노 연습한다고 해서 평소엔 별거 없는 그 언니를 우러러봤던 기억. 그렇게하면 넉넉히 좋은 대학가는구나 커서 깨달았음.

    • @Hiirooshii
      @Hiirooshii 4 місяці тому

      와 8시간이면 나머지 8시간 공부에 쓰셨겠네 ㄷㄷ..

    • @댓글계엄
      @댓글계엄 4 місяці тому +24

      서울대음대는 음대교수한테 개인레슨 오랫동안 받아야돼. 레슨비 얼마나 비싼데...

    • @lavlala-zp8tr
      @lavlala-zp8tr 3 місяці тому +1

      에에 그런일도 있군요

  • @그냥저냥-q7j
    @그냥저냥-q7j 4 місяці тому +209

    솔직히 학교 가고싶으면 저거 연습하면 됩니다 근데 입학 후 그냥 노는 학생들이 있죠 난 입학했다 이거죠.. 대학 생활을 즐기겠다 난 입시때 열심히했으니라고
    재학생들이 실력이 나쁠리가 없죠
    한국대학은 그게 너무 아쉽더라구요 유학생활하면서 차이를 너무 크게 느낀 사람으로서 드는 생각이에요

    • @user-tq6wh5wr1c
      @user-tq6wh5wr1c 4 місяці тому +41

      나도 입시 후 그림이 싫어져서 그림을 안그리게 되더군요ㅜㅜ
      디자인과라 딱히 그림그릴일이 있던건 아닌데
      입시후 그림이 너무 싫어짐

    • @햄ham시sii
      @햄ham시sii 3 місяці тому +3

      마자 졸업을 어렵게 입학을 쉽게가 답인듯😢

    • @user-kd4cv2oj4y
      @user-kd4cv2oj4y 2 місяці тому +7

      걍 한국 전반적인 특성임… 대학교 내내 공부를 진짜 안함…

  • @kim.serenaemery7569
    @kim.serenaemery7569 4 місяці тому +192

    완성도 있게 치는 사람을 보고 싶은게 아니라.. 제대로 치는 사람을 가리기 위해. 쉬운 곡(쉬운곡이 어디있나요ㅠㅠ)에 가려 보이지 않는 탈락자를 가리기 위한..변별력을 위해?

  • @saptap387
    @saptap387 5 місяців тому +950

    저거 두 곡 평생 해도 못 칠 수 있는 곡이라고 하네요 ㅎㅎ 다른 에튀드는 그래도 죽도록 연습하면 비슷하게라도 가는데 저 2개는 구조상 안되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 @운운-h8q
      @운운-h8q 4 місяці тому

      구조상 안되는건 어떤경운가요?

    • @_K_GeNon
      @_K_GeNon 4 місяці тому +6

      뭐 손 구조상 못 치는 곡인가?

    • @이리-h3d
      @이리-h3d 4 місяці тому +303

      손가락 독립이 안 되어 있으면 아예 시작을 못하는 곡이에요! 손가락 독립도 솔직히 재능의 영역이여서

    • @Awwwesome_Guy
      @Awwwesome_Guy 4 місяці тому +17

      ​@@이리-h3d 재능도 없으면서 부모고혈빨고 예체능가는게 잘못아닐까요

    • @이리-h3d
      @이리-h3d 4 місяці тому +77

      @Awwwesome_Guy 예체능중에서도 피아노 하는 애들은 집에 돈 많은 편이여서 상관 없어용

  • @서혜원-c3e8v
    @서혜원-c3e8v 5 місяців тому +644

    25-6을 피아노과더아닌 작곡과입시곡으로낸 연세대는 ㄹㅇ좀반성해라진짜

    • @리스트-Jo
      @리스트-Jo 5 місяців тому +108

      작곡과도 고생이긴 하지.. 근데 잘하는 애들 많아질수록 더 어려워짐............

    • @익웅효
      @익웅효 5 місяців тому

      4

    • @y4525
      @y4525 4 місяці тому

      ㄹㅇ 이건 아니잖아

    • @user-19a6ri26
      @user-19a6ri26 4 місяці тому +41

      엥 작곡과는 진짜 그정도 실력이 필요하냐고 ㅋㅋㅋㅋㅋ ㅠ 어이없네

    • @강지민-g8u
      @강지민-g8u 4 місяці тому

      ㅇㅈ

  • @user-frypan
    @user-frypan 4 місяці тому +105

    대학생을뽑아서 가르치는게아니라 이미 완성된 피아니스트를 찾는거같은데..?

    • @bartholomew_j30
      @bartholomew_j30 4 місяці тому +20

      취업시장 트렌드가 대학입시 트렌드까지로도 이어지려는 중인 듯 ㅋㅋㅋㅋㅋ

  • @luda1224
    @luda1224 3 місяці тому +61

    지나가던 이대 피아노과 졸업생이에요. 저 입시때랑 똑같은 곡이 나와서 깜짝 놀랐어요. 베토벤 4악장 까지… 입시생 분들 모두 화이팅!

    • @얌-w7u
      @얌-w7u Місяць тому

      혹시 제가 지금 고2인데 지금 입시 준비하기엔 많이 늦었나요…? 어릴때 피아노 몇년 배우다가 그만뒀는데 최근에 흥미가 생기고 피아노 칠때가 행복해서요 ㅠㅠ

    • @Yoohue749
      @Yoohue749 Місяць тому

      @@얌-w7u 재수 몇 년 하실 생각으로 하셔야 할듯요

  • @skbskjbwkj
    @skbskjbwkj 4 місяці тому +37

    수능판에서 사라지는 킬러문제를 여기서 내고 있네 ㅋㅋㅋㅋ

    • @lmn_sqzy
      @lmn_sqzy 3 місяці тому +6

      악보만 봐도 도망가야 될 것 같은데 ㅋㅋㅋㅋㅋ 이거 뭐냐

  • @lilibet83
    @lilibet83 3 місяці тому +22

    저렇게 힘들게 들어간 대학… 졸업하고 몇은 잘 되겠지만 나머지는?ㅠㅠ 예술인의 삶은 겉으론 화려해 보여도 평생 무한경쟁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거네요…

  • @baha231
    @baha231 5 місяців тому +253

    어려운 입시곡 내놓고 개인 레슨으로 한탕하려고 그러는건가...

  • @유유-o1m
    @유유-o1m 5 місяців тому +29

    '혹은' 과 '와' 의 차이는 아주 크고 멀고 넓고 깊네요.

  • @삐삐-g6i6z
    @삐삐-g6i6z 4 місяці тому +65

    교수님들 치는 거 보고 싶네요ㅋㅋ

  • @Hero-if9qt
    @Hero-if9qt 4 місяці тому +18

    악보 아예 볼줄 몰라서 댓글 보는데 진짜
    괴물같은 악보인건 알겠네요..

  • @zxsoo
    @zxsoo 4 місяці тому +8

    악기 다루는 사람들 너무 멋있당…

  • @Ne-kn4nb
    @Ne-kn4nb 4 місяці тому +19

    쇼튀드 중에 가장 악명 높은 곡 두 곡이라니.. 베토벤 소나타 13번도 손가락 굴리기 어렵기로 유명한 곡인데 이대가 원래 이렇게 테크닉에 미친 학교인가요ㅠㅠ 피아노과는 아니지만 작년 연대 작곡과 지정곡이 25-6이었는데 피아노과 친구들이 본인들도 치기 어려운 곡이라며 같이 욕해줬던 기억이 납니다..

  • @ABC-bf8ru
    @ABC-bf8ru 4 місяці тому +108

    진짜 솔직히 말하면 이 곡을 소화할 정도로 엄청난 인재를 품을 능력이 되는지 묻고 싶음 중요한 건 키우고 싶은 제자보단 내가 잘 키우는 거잖아 이게 되는 애들이 뭐하러 국내를 다녀 더 큰 물에서 놀 수 있는데

    • @jfhe-v5f
      @jfhe-v5f 4 місяці тому +52

      국내 음대 나와서 해외대 석박 루트도 많아요~ 무조건 해외에서 시작하는 게 성공 보장도 아닙니다
      그리고 클래식은 서울대 이대가 국내 탑이에요. 이 두 대학은 실용음악전공이 없습니다. 여기 나오면 해외대 석박 대학 레벨 올려서 충분히 들어가요

    • @성이름-g7t7m
      @성이름-g7t7m 4 місяці тому +21

      예체능은 서연고서성한 순서 아님 그리고 애초에 음대는 타 공대 인문대같은 일반 학과랑 다름 거기는 대학생이 배우러 간다는 느낌이면 유명 음대는 이미 준프로 정도는 되어야 들어갈 수 있음

  • @양기훈-n9c
    @양기훈-n9c 5 місяців тому +694

    혹시 이대 입학처같은데에서는 음대 오지 말라고 시위하는건가요..?

    • @cocokim7327
      @cocokim7327 4 місяці тому +52

      입시곡은 입학처가 정하지 않고 교수님들이 정합니다

    • @나랏말_32
      @나랏말_32 4 місяці тому +17

      그냥 대체로 음대 입시판 곡이 기괴합니다

    • @인정-z4x
      @인정-z4x 3 місяці тому

      우리대학은 아무도 못들어와ㅋ

  • @modotv7330
    @modotv7330 4 дні тому +1

    대학을 간다고 음악을 더 배울 수 있는 세상이 아니지. 이미 대부분의 정보가 널리고 널렸다. 단지 거기서 인맥을 더 쌓고, 자신의 음악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는 곳이기에..

  • @오예스-s2i
    @오예스-s2i 3 місяці тому +3

    이거 약 20년전 입시 준비하던 학원 언니들이 죽어라 욕하면서 치던 곡들인데 ㄷㄷ 이게 또 나오네요

  • @bicpigture-n7k
    @bicpigture-n7k 5 місяців тому +74

    확실히 클래식 쪽이 계보가 있는게 느껴지네 제한된 곡을 선정하고 그 안에서 최대한 느낌을 살려보라는 취지.
    그에 반면에 실용음악과는 자유곡 준비하라는데. 이런게 입시지.

    • @무인텔델루나
      @무인텔델루나 2 місяці тому

      경희대이상 상위권음대들이 지정곡이고 그아래 학교들은 대개 자유곡임

  • @Pakkens_Backyard
    @Pakkens_Backyard 5 місяців тому +21

    아니 미친놈들아 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거 둘다 제가 오디션용으로 준비(준?비)했다가 대차게 말아먹고 3트에 운빨로 붙은건뎈ㅋㅋㅋㅋㅋㅋㅋㅋ
    긴장하면 절대 못치는곡 ㅠㅠㅠㅠㅠㅠ

  • @nubicumwotblitz892
    @nubicumwotblitz892 3 місяці тому +6

    이번 입시 키워드는: 345번 손가락 독립이 되냐. 이거구나.... 그리고 월클 피아니스트들 중에서도 저 곡은 컨디션 안 좋으면 연주하기 포기하는 경우도 있음,,, 야구선수로 치면 약간 구속? 같음.. 연습과 타고남, 컨디션이 모두 따라줘야 하는 영역임... 그래서 고난도라고 불리는 것
    고양이 꼬리 6도 전개... 이건 안나와서 다행이네 ㅋㅋㅋㅋ 이것도 비슷한 이치

  • @HSK9134
    @HSK9134 4 місяці тому +11

    저거 쇼튀드 중에서 가장 어려운 2곡이고 인체 구조적으로도 못치는 경우가 있는데 저걸 대학교 입시곡으로 내네 ㄷㄷㄷㄷㅋㅋㅋㅋㅋ

  • @fidelion
    @fidelion 5 місяців тому +305

    이대는 예로부터 서울대를 능가하는 높은 수준의 입시곡으로 학생들을 뽑아서 예중수준의 강의로 학생들을 가르쳐서 졸업시킵니다.

    • @fidelion
      @fidelion 5 місяців тому +96

      어렵게 화성학 가르쳐서 작곡과 보냈더니 작곡과 학생들이 성악과 학생들과 화성학(이라면서 음정 음계) 배우고 앉아있음. 작곡과 학생들 등록금 아까워서 미치려고 함. 그런데 경희대는 더 심함

    • @detobodomotan
      @detobodomotan 5 місяців тому +18

      그래도 서울대는 못 이겨요

    • @가구가구
      @가구가구 5 місяців тому +216

      @@detobodomotan말뜻을이해못하셨나요?

    • @민정-m6l
      @민정-m6l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음대의 맹점이죠 ㅋ

    • @Melon_Pink
      @Melon_Pink 5 місяців тому +90

      ​@@detobodomotan 불쌍하다 자기도 이렇게 멍청하게 태어나고 싶지 않았을텐데

  • @louisdaddyatparis
    @louisdaddyatparis 5 місяців тому +146

    판정측면에서 차별화가 극단적으로 쉽기때문.

    • @쿠우우우웅
      @쿠우우우웅 4 місяці тому +34

      그 피아노 입시생 정도 되면 테크닉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어요....
      아마 곡 해석 정도로 평가할 것 같습니다

    • @티큐스큐
      @티큐스큐 3 місяці тому

      테크닉에서 큰 차이 없는건 10-4, 10-5, 10-8, 10-12 좀 이런 무난한 에튀드 기준이고요..😅
      저 두 에튀드는 안되는 사람은 절대 안되는 종류의 테크닉을(345번 손가락의 극단적인 독립성) 다루고 있어서 차별화가 정말 쉬울 겁니다.
      음대 입시생이 아니라 유학 준비하는 음대 졸업생들도 저 두 개를 다 주 레퍼토리로 삼을 수 있는 연주자는 극히 드물겁니다.
      교수들은 두 개 다 인템포로 연주 가능한지 솔직히 의문이네요ㅋㅋ
      걍 본인들 심사 편의성을 위해 연령 고려 안하고 과도한 곡 배정했다고 밖에 생각이 안들어요

    • @쿠우우우웅
      @쿠우우우웅 3 місяці тому

      ​@@louisdaddyatparis 근데 저거 예중 셤곡 으로도 많이 쳐요
      예중에서 실기시험 볼때도 저곡 찬구들이 많이 칩니다. 또한 이번 예고 입시에서는 라흐마니노프의 곡이 나왔기 때문데 대입 셤 곡이 그렇게 어렵다(?) 라고 볼 수는 없을것 같아용 ( 아 뭐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

  • @나랏말_32
    @나랏말_32 4 місяці тому +3

    진짜 오고 싶어 하는 학생들만 뽑겠다는 의지가 보임

  • @younghopark8887
    @younghopark8887 5 місяців тому +71

    연대는 하머클라비어… 한국 무슨일이에요

    • @MusicLifeBalance1
      @MusicLifeBalance1  5 місяців тому +59

      @@younghopark8887 ㅋㅋㅋ 이러다 연대는 함머 내겠어~ 했는데 진짜 나와버리더라고 ㅋㅋㅋㅋㅋㅋ

    • @ravell193992
      @ravell193992 5 місяців тому +1

      1악장만요…

  • @dusdl3411
    @dusdl3411 3 місяці тому +5

    임윤찬이 15세때 윤이상에서 전곡친게 대단하군

  • @cloudk3177
    @cloudk3177 4 місяці тому +19

    이대면 거의 탑급 음대인데 손가락 독립을 요구하는 쇼팽 에트뒤면 충분히 나올만하지 않나...선천적으로 못 칠 수 있는 사람이 뭐 얼마나 된다고 생각함? 선천적으로 안되면 못하는게 예체능이 맞음. 이거도 안되면 앞으로 배울 수십 수백개의 테크니컬한 곡들은 다 못한다고 할거임? 또 너무 테크닉만 보는거 아니냐는 건 진짜....해봤자 19살 애들이 뭐 얼마나 대단한 음악적인걸 보여줄 수 있음? 그래봤자 선생님이 알려준대로 치는건데.. 그리고 테크닉 좋은 애들이 보통 음악도 더 잘함 ㅋㅋㅋㅋ

    • @그냥저냥-q7j
      @그냥저냥-q7j 3 місяці тому +1

      @@cloudk3177 테크닉이 좋아도 음악적표현이 한계적인 학생들도 있어요
      근데 음악적 표현이 뛰어나도 테크닉이 안 받쳐주면 또 연주가 안된다는... 참 어려운 악기연주...

  • @dongpark6941
    @dongpark6941 4 місяці тому +9

    너무어려워보인데 이게 학문을 배우게하기위한 기본실력테스트인가 아니면 프로입단 테스트인가 ㄷㄷ

  • @GlennGould_
    @GlennGould_ 5 місяців тому +37

    x같은 대한민국 음대 입시

  • @좌코비노꽈르띠아노
    @좌코비노꽈르띠아노 2 місяці тому

    와...광기랑 땀까지 흘릴정도로 열정이 느껴지네요 ㅋㅋㅋ

  • @갱이-f1j
    @갱이-f1j 4 місяці тому +5

    진짜 열받는 입시곡이다 3,4,5손가락 분리....미쳤...

    • @EleanorCharlotte8855
      @EleanorCharlotte8855 4 місяці тому

      그럼 여러분 다음곡 베토벤의 좌절 광시곡 감상하시겠읍니다

  • @dskim5957
    @dskim5957 5 місяців тому +86

    임윤찬 15살 나이로 2019 윤이상 콩쿨 25 전곡 다 친 것 보면 천재는 천재.

    • @yakinikuuuu354
      @yakinikuuuu354 4 місяці тому +1

      15살이면 치는사람꽤많음 요즘은 10살도 에튀드완곡함

    • @BudamNo
      @BudamNo 4 місяці тому +37

      ​@@yakinikuuuu354 초딩 때 부터 전공한 사람인데 말이 안됨요.. 에튀드 다 칠라면 적어도 바흐 인벤션, 심포니, 평균율, 하농, 모차르트 소나타, 쇼팽 왈츠, 베토벤 초기 소나타, 슈베르트 소나타, 슈베르트 즉흥곡 정도는 다 쳐봐야하는데 그걸 10살 안에 다 칠라면 전공 수업을 6살 때 부터 해야해요.. 에튀드도 한번에 다 칠라면 말한 것 보다 할거 되게 많은데 임윤찬 만 15세에 해낸 것도 정말 대단한겁니다..

    • @yakinikuuuu354
      @yakinikuuuu354 4 місяці тому +1

      @@BudamNo ㅋㅋㅋㅋㅌㅌ전공? 아는 클래식 다 동원해서 써놨누 줌마야

    • @BudamNo
      @BudamNo 4 місяці тому +30

      @@yakinikuuuu354 남자고 고3이다 ㅋㅋㅋㅋㅋ 뭔 전공도 안했을 것 같은놈이 말을 하누..

    • @BudamNo
      @BudamNo 4 місяці тому

      @@yakinikuuuu354 10살에 에튀드 다 치면 영상이라도 있겠지 ㅋㅋㅋ 가져와보세요 난 한번도 본 적이 없는데

  • @들국화-f9z
    @들국화-f9z 3 місяці тому +3

    치는 학생들이 있다는 거👍💙🇰🇷

  • @AnyoneCanQT
    @AnyoneCanQT 4 місяці тому +7

    너무 잘하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어려운거 낸거 아니겠어요? 개나 소나 들이지 않으려는 명문대의 벽이죠~ 그래야 변별력이 생기죠~ 나아가 세계적 무대에 나설수 있는 인물도 생기고요~ 쉬운건 너도 나도 다하니 윈윈해서 머하니? 특출해야지요~

  • @iiliilliiiliiliiiiiliiiiii
    @iiliilliiiliiliiiiiliiiiii 5 місяців тому +37

    콩나물들이 실하네요. 콩나물 국밥 맛집인가😅

  • @hyunlee4956
    @hyunlee4956 5 місяців тому +33

    이대는 올해 음대 신입생 안 뽑겠답니다 다들 돌아가세요

  • @I_M_GOD
    @I_M_GOD 3 місяці тому

    하필 에튀드 중에 저 두 곡이면 재능+노력 전부 다 있는 완벽한 인재만 뽑겠다는 거네...ㅠㅠ

  • @user-od9ne2kc6j
    @user-od9ne2kc6j 3 місяці тому +1

    손가락의 완벽한 독립을 좋아하는 모교수님의 의도

  • @btv2011
    @btv2011 3 місяці тому +12

    와.. 이래서 이대이대 하는구나.. 저기 간 여자학생들도 대단하다 진짜.. 리스팩bb

  • @choppa-vj1en
    @choppa-vj1en 3 місяці тому

    “이래도 올거야? 이래도 올거야??”

  • @iloveHAYDN
    @iloveHAYDN 3 місяці тому +5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현역 클래식악기 입시생입니다. 이대 입시곡은 난이도는 있지만 분량은 굉장히 적은 편입니다.. 그리고 저런 쇼팽에튀드같은 곡들은 어차피 대학교 가면 칠수있어야 하구요. 이대는 곡이 굉장히 적게 나옵니다. 서울대나 한예종, 연세대 곡들은 날이갈수록 분량이 늘어나더군요,, 올해는 인간이 할수있는게 맞나 싶을 정도였습니다. 난이도는 말할것도없죠. 지금 이 영상에 등장한 곡 난이도보다도 훨씬 어렵습니다. 분량도 많은데 말입니다!!!! 기본적으로 1차때 콘체르토 혹은 소나타 전악장과 숏피스 하나, 2차때 콘체르토 전악장과 또다른 곡.... 이런식으로 내는데 둘다 합치면 2시간이 넘는 연주분량입니다. 유명한 프로연주자들의 독주회 프로그램이 그정도 길이일겁니다. 그걸 다 외웁니다. 단 두세달만에요. 모든 부분을 통째로 외워서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에 완벽을 기해야 하죠. 그런다음 실기날 현장에 가야지 어느부분을 연주할지 알려줍니다. 그럼 그걸 또 외워요. 근데 간단하지가 않습니다. 이부분 저부분 골라서 들어요. 어디를 연주하는지 마디 하나까지 정확하게 외워야 하는데, 음 하나라도 틀리면 바로 실격입니다. 부정행위로 간주되니까요.
    피아노도 그렇고 현쪽에선 특히 비올라 첼로 바이올린 분량이 어마무시해요. 한예종은 음악적으로 굉장히 어려운 곡들을 주고, 서울대는 아주 기상천외하게 곡을 냅니다. 혹시 서울대 첼로곡 들어보셨나요..? 코달리 소나타 라는 현대곡인데 백만년 살아도 못할것같은 그런 곡입니다. 연세대는 곡분량도 많은데 가장 어려운부분만 골라듣기로 유명합니다.

    • @228xndje9ej
      @228xndje9ej Місяць тому

      그래봤자 국내클래식은 우물안개구리

    • @228xndje9ej
      @228xndje9ej Місяць тому

      그래봤자 국내클래식전공은 우물안개구리

  • @Chichipp55
    @Chichipp55 3 місяці тому +1

    빡세네요.. 음대 입시생들 응원합니다..

  • @symphony-128
    @symphony-128 5 місяців тому +16

    이번년도 입시곡들이 다 미쳤음 그냥..

    • @Hiirooshii
      @Hiirooshii 4 місяці тому

      미대도 그럼… ㅅ같다 그냥

  • @lim3982
    @lim3982 4 місяці тому +2

    쇼팽 에뛰드 중에서 젤 어려운거 2개 나왔네요.ㄷㄷ
    가끔 저두곡을 내는 학교가 있을까 했는데 있네요.
    op25-6은 서울대 입시곡 이기도 하네요.

  • @햔햔-w4q
    @햔햔-w4q 2 місяці тому

    열심히 하세요 피아노과 후배님들~~ 원래 우리학교는 무자비한 곡만 내줍니다

  • @orange0830
    @orange0830 4 місяці тому +3

    윤찬님 쇼팽 에튀드 앨범이 잘 되니까 기류에 편승하는 건가.......??;; 그건 윤찬님 실력이니까 그라모폰 어워즈 최종 후보까지 간 거지... 그만큼 잘 칠 수 있는 학생들도 있겠지만... 너무 힘들겠다.

  • @SunghoonHa
    @SunghoonHa 4 місяці тому +2

    음대 음시에 관해서 전혀 모르는 1인 입니다 근데 저 악보만 봐도 숨이 헉 막히는데 고난이도의 곡을 그것도 2곡씩이나 암보로 연주해야 하는 게 완벽하게 가능할지 의문이 드네요 이것도 변별력을 높이기 위함인지 궁금해집니다 어쨌든 이대 입시생들 정말 대단하고 노력을 높이 사야겠습니다! 😅

  • @bboo3794
    @bboo3794 4 місяці тому +1

    오히려 입시곡 빡세면.. 이대에 올인하는 학생들만 응시하기에 학교측은 잃을게없죠 학생들도 어렵다고해서 너무 긴장할거없구요 .. 어차피 상대평가니깐..ㅎㅎ

  • @zhdlskdkdl
    @zhdlskdkdl 4 місяці тому +1

    지금 배경음이 임윤찬인 친 쇼팽 연습곡이란것만 알겠어요

  • @모아아모-s4c
    @모아아모-s4c 7 днів тому

    어 물론 쉬운 곡은 아니지만 그렇게까지... 는 아닙니다. 아무래도 예전에 비해 피아노 하는 사람도 더 많아지고 매체의 발달로 아마추어들 수준도 제법이고... 명문대로서 변별력이 더 필요하긴 하지만 예전에도 저 정도는.. 😅

  • @hamaranda
    @hamaranda 3 місяці тому +1

    원래 예체능은 재능없으면 살아 남기 힘들잖아요 ㅋㅋ 재능있는 학생 뽑겠다는거지 뭐

  • @김하람-n9t
    @김하람-n9t 4 місяці тому +2

    이거 한국제목이 발레리나? 인가 암튼 그건데 진짜 발레리나 춤추는 느낌 듦 ㄹㅇ

  • @robertsaint6495
    @robertsaint6495 4 місяці тому +1

    시험이 말도 안되게 어렵다면 평가자의 판별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세밀한 능력판별의 목적이 아닌 합불감별만을 위한 것은 아닌지 의심해보자. 한국의 입시 시험들이 대부분 그러함

  • @mightyfirsthands
    @mightyfirsthands 4 місяці тому +3

    이대 피아노 멋지다! 화이팅!!

  • @background__
    @background__ 4 місяці тому +1

    하 진짜 만만치 않구나 …

  • @COYS-xy5wc
    @COYS-xy5wc 5 місяців тому +29

    Op 10 - 2 는 어떻게든 치겠는데 Op 25 - 6 은 어떻게 치라고…

    • @pf.byeong_chan_kim
      @pf.byeong_chan_kim 5 місяців тому +23

      둘 다 쳐봤는데 25-6는 연습 많이하면 소화해낼 수 있는데, 10-2는 진짜 선천적으로 칠 수 있는 사람이 정해진 느낌임

    • @saptap387
      @saptap387 5 місяців тому +4

      @@pf.byeong_chan_kim 오죽하면 누구였더라 이 곡 칠때 옆에 외과 의사가 있어야된다고 ㅋㅋ

    • @Pakkens_Backyard
      @Pakkens_Backyard 5 місяців тому +8

      25-6은 가다 쉬었다 가다 쉬었다 하는데 10-2는 숨돌릴틈 후반에 딱 한박자 (한마디도 아니고 한박자) 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urasia1003
      @yurasia1003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와..학교 오지 말라는거가? 저거 반음계 천천히 해도 안되고 빠르게는 더더욱 안되던데
      옛날만큼 명성이 자자하지 않은데 너무 무리수 둔거 아님?

    • @느티나무-x1z
      @느티나무-x1z 4 місяці тому +7

      현재 서울예고 피아노과 2학년인데
      25에 6은 연습 좀 하면 안 막히고 잘 굴러가요
      10에 2가 쇼팽 에튀드 중에서 제일 어렵다 생각합니다 이건 답이 없어요 345번 완벽히 독립된 사람만 칠 수 있는데 진짜 선택받은 사람만 치는 느낌

  • @ls-qq4iv
    @ls-qq4iv 4 місяці тому +1

    근데 수능도 물보다는 불이 낫듯이 어려운 입시곡이 쉬운것보다 나은게 아닐지..

  • @i1l1ii1li1
    @i1l1ii1li1 4 місяці тому +18

    이대 예술대는 공부도 잘해야

  • @steen9450
    @steen9450 4 місяці тому +18

    그냥 일반 피아노학원 5년 다니면서 에뛰드 했는데.. 엄..10-2는 안단테 속도를 못벗어남 생각보다 손꾸락이 잘 굴러 가고 손 어려운악보인데도 잘 쳐지니 쉬운 느낌은 받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옥구슬 굴러가듯 하는사람본다고해서 동기부여도 안됌.. 연습 하면 할수록 일반 취미였던 전, 지금 쳐봐도 3, 4손가락 삘 것같고 손목은 악보배열상, 스킬 없는 상태라 걍 사이드 최대치 꺾인 상태로 무리주게 됌 손가락 3, 4 모양이 🤞🏻🫰🏻이렇게 꺾여.. 이 곡은 감상만 하는걸로🥲

    • @김혜신-v3m
      @김혜신-v3m 4 місяці тому

      ㅋㅋㅋㅋ

    • @뷰티보틀
      @뷰티보틀 4 місяці тому +4

      일반 피아노 학원 5년 다닌거는 그냥 취미고.. 전공은 차원이 다르지

    • @steen9450
      @steen9450 4 місяці тому +1

      @@뷰티보틀 그니까요 되게 어렵더라고요🤭 그래도 도전해보기 좋은 곡이에요❤️‍🔥

  • @sssun._.g
    @sssun._.g 4 місяці тому +1

    둘다 미친 곡임

  • @거누거
    @거누거 4 місяці тому +6

    이화여대 원래 나때부터도 입시곡 악랄하기로 유명했음ㅋㅋ 쟤들 리스트 도깨비불 낸적도있고, 슈만 토카타, 브람스 파가니니바레이션등등 고등학생들이 치기엔 너무나도 극악인곡들로 많이 냈었음 ㅋㅋㅋㅋ 쇼팽에튀드 10-2,25-6도 극악이지만 놀랄일도아님 ㅋㅋㅋㅋ

    • @MusicLifeBalance1
      @MusicLifeBalance1  4 місяці тому +3

      @@거누거 지금 적어주신것들은 그럴수있지 한 곡들인데 이번 곡은 좀 그럴수없지 곡들인것같습니다…

    • @거누거
      @거누거 4 місяці тому

      @@MusicLifeBalance1 뭔소리에요? 피아노 전공 맞아요? ㅋㅋ 리스트 도깨비불이나 슈만토카타같은 곡들이 어떻게 그럴수있는 곡이에요?실제로 저때 합격생들 저 많이 알고있는데, 이대만 준비하면서 저 위곡들 잘쳐서 드가는애들 한명도 못봤습니다 ㅋㅋㅋㅋㅋ합격생수준도 개판이던데, 어떻게 붙었는지 아직도의문이네요 ㅋㅋㅋㅋ 하긴 이대야 성적도 무시못하니~

    • @MusicLifeBalance1
      @MusicLifeBalance1  4 місяці тому +7

      ⁠@@거누거 네 제가 저 곡들 가르쳐서 다들 이대 보냈으니 잘 압니다^^ 서울예고 학생들이 한때는 이대를 많이 갔으니 칠만 했어요 서울대도 저 곡들 나온적 있었구요 그런데 저 곡들보다 지금 곡이 더 세요 10-2와 25-6을 연달아 치라니요 저보고 전공이 맞냐는 이상한 소리를 하시는데 저는 지금 학생이 아니라 가르치는 사람이니 뭐 전공생은 아니고 전공 출신이었던건 맞습니다만… 이상한 소리를 하시네요 참😅

    • @거누거
      @거누거 4 місяці тому +2

      @@MusicLifeBalance1
      뭔 서울예고 애들이 이대를 많이가요?
      무슨 2000년대 극초반얘기를 하고계시네ㅋㅋ;;
      솔직히 까놓고 서울예고생들 사이에서 이대간다하면 그냥 시집 잘갈라고 저 학교 간단말 있을정도로 교내에선 그리 좋은학교 취급안했죠 ㅋㅋ 저 위 입시곡 나올 당시만해도, 설예고 출신들중 이대쓰는 애들 가슴으로 안타까워했고, 수많은 홀연주,입시평가회 다 다녀봐도 이대 합격생중 잘치는 애들을 본적이 없는데 ㅋㅋㅋ;
      그렇게 할만해서 그렇게들 못치던가요?
      오죽하면 이대교수님들이 신입생들 하면서 혀를 끌끌차셨다는 말이 있을정도였는데 ㅋㅋ
      그렇지만 그럴만도 게 저 시절엔 이대가 제일 지정곡도 늦고, 실기시험도 빨리 봐서 완성도야 어쩔수없다치지만 ㅋㅋ
      너무 말씀하시는게 어불성설이시네요ㅋㅋ
      제가 댓글쓴 요지를 전혀 파악못하시고 댓글을다시네 ㅋㅋ제가 그렇다해서 지금 출제곡을 후려치기 한것도아닌데 ㅋㅋ 왜 하필 제댓글에서 이러시는지 원 ㅋㅋㅋ 저는 지금은 업으로 삼고있진않지만 저도 내노라하는 학교 나오고 음악에 몸담궜던 사람으로써 쓰신댓글은 참 이해가안가는 멘트네요 ㅋㅋㅋ 고생하십쇼~

    • @MusicLifeBalance1
      @MusicLifeBalance1  4 місяці тому +21

      @@거누거 참 저도 여기서 이러고 있는게 한심하지만 너무 얼탱이가 없어서 글 마지막으로 쓸게요
      제가 쓴 ‘한때는’ 이라는 글도 못보고 혼자 급발진해서 이상한 소리하시네요 제가 서울예고 나오고 지금까지 입시 학생들 가르치고 보내고있는데 저보다 더 잘 아시나요
      심지어 말씀하신 도깨비불, 슈만토카타, 브람스파가니니는 서울예고생이 가장 이대를 많이 쳤을 시기입니다.
      서울예고생이 왜 이대를 많이 쳤냐면요 정시로 서울대 나군 이대 가군 연대 나군 한양대 나군이었어요 그러니
      서울대 다음 이대를 같이 넣을 수 밖에 없었고 반수를 하더라도 이대를 들어가고 반수하는 경우가 많았죠
      2000년대 초반이라구요? 아니요 뭘 알지도 못하면서 비꼬면서 말하지 마시죠 서울대가 전부 수시로 바뀐 2013년도까지는 서울예고 생들이 죄다 이대를 걸쳐놓고 갔습니다. 그 이후로는 서울대가 수시로 변경되면서 이대 대신 서울대N수생이 정말 많아졌죠
      시집 잘갈려고 이대 이딴소리는 제 주변엔 있지도 않았구요 무슨 90년이 이전에 고등학교 나왔습니까 뭐 저런 얘기는 언제나 장난으로 있어왔기때문에 장난으로는 누가 했을수도 있겠네요
      그리고 님의 저런 이상한 글에 요지 파악할게 뭐 있나요 뭐 얼마나 내로라하는 학교를 나오셨는지는 모르겠지만 귓동냥으로 듣고 이상한 소리는 하지마세요 그리고 비꼬지도 마시구요 지나가다가 기분 나빠서 처음으로 장문의 글 씁니다.

  • @송시현-c6w
    @송시현-c6w 4 місяці тому +3

    33년 전에 나와 내 동기들도
    이런 정도의 곡으로 입시했는데....
    음...

  • @댓글계엄
    @댓글계엄 4 місяці тому

    얘들이 점점 잘하니까, 입시곡도 높아져야지. 당연한거 아냐? 요즘 동네학원 애들도 잘쳐.

  • @luvluvcho
    @luvluvcho 4 місяці тому

    마지막에 화이팅 하는게ㅋㅋㅋㅋㅋㅋ진짜 화이팅 맞냐고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

  • @Castellacakes
    @Castellacakes 4 місяці тому

    음대를 가고 인생이 끝나는게 아니고
    언젠가는 프로 음악가가 될 사람을 뽑는 거니까
    어려운 곡이 나온것 같네요😊

  • @tmk7454
    @tmk7454 3 місяці тому

    여기에 리스트 초절 5번까지 있었으면 완벽

  • @23블루워터
    @23블루워터 2 місяці тому

    우리학교 오지말라는 시그널 아닐까요? 그걸 눈치없이 가는 학생들이 한두명은 있을듯하네요

  • @fpsmania
    @fpsmania 3 місяці тому +1

    저건 개인레슨해도 안됨ㅋ 3도는 진짜 손가락 타고나는거아니면 중지 약지 힘줄염증생길때까지
    독립연습 계속해야함 의도는 벼락치기하는 사람 컷트하는거같은데ㅋㅋㅋ 경쟁 빡시겠네요

  • @mimiharin813
    @mimiharin813 3 місяці тому

    2007년 설문조사잖아요 ㅋㅋㅋㅋ

  • @Ninanino2
    @Ninanino2 4 місяці тому +5

    20년 전 내 입시곡들이네요. 새삼 새록새록ㅎㅎ손 등의 근육도 중요하지만 손 안쪽의 근육들도 잘 사용하면서 어깨와 팔꿈치는 릴렉스한 상태로 쳤던 기억이 납니다ㅎㅎ

  • @sooyeonkim162
    @sooyeonkim162 3 місяці тому

    못 할꺼 같은 학생은 알아서 빠져달란 건가…. 실기볼라면 교수도 학생도 힘드니까

  • @kuksun00
    @kuksun00 4 місяці тому +10

    ”나 이대 나온 여자야~“아무나 하나 어느 누가 쉽다고 했나~

    • @alphyfish
      @alphyfish 4 місяці тому +1

      그거 1970년대하던소리 아직도 하고앉았냐? 요즘 설카포연고 성한서 중경이시 건외동홍숙 된지 얼마나 오래됬는데

  • @user-10-c8d
    @user-10-c8d 5 днів тому

    2번 미칠것같음

  • @kpop-vw8xz
    @kpop-vw8xz 5 місяців тому +16

    저걸 치고가는 학생은 대학에서 뭘 배우나요

    • @njtubo
      @njtubo 4 місяці тому +9

      저걸 못치는 교수들에게 시간을 뺏기고 대학에는 돈을 뺏기겠지요~ 현실수업

    • @QDQDQQD
      @QDQDQQD 4 місяці тому +4

      @@njtubo저걸 못치는
      교수는 없다 게이야

  • @kumyoong
    @kumyoong 4 місяці тому +3

    이화는 참 10-2를 좋아하는듯

  • @maxarong
    @maxarong 4 місяці тому

    쇼팽 에튀드 저렇게 두 조합인게 먼가 충격적이다

  • @Yoohue749
    @Yoohue749 Місяць тому

    10-2 학생들 정말 어려워 하죠~~

  • @칸솔
    @칸솔 4 місяці тому +1

    제일 어려운 것만 골라냈네요

  • @user_f777fff
    @user_f777fff 3 місяці тому

    읽을줄 몰라도 악보가 무섭게생김

  • @lut157
    @lut157 2 місяці тому

    손작은내가 유일하게 잘칠수있었던곡 3도

  • @glass-coefficient-your
    @glass-coefficient-your 3 місяці тому

    ㅋㅋㅋㅋㅋ이건 피아노 손도 안대본 나도 미친거라는 걸 깨달음

  • @목이짧아슬픈기린
    @목이짧아슬픈기린 4 місяці тому

    겨울바람 같은건 걍 어려운곡인데
    저건 찐이다

  • @같이눈나람만들래
    @같이눈나람만들래 3 місяці тому

    배우기 위해 가는 곳인데 이미 안 배워도 될 만큼 잘하는 사람만 갈 수 있다는 게 아이러니

  • @2288_saee
    @2288_saee 4 місяці тому

    오...우와..................

  • @prohibitedmetamorphosee
    @prohibitedmetamorphosee 4 місяці тому +3

    3도화음을 저 속도로 치다니 구조상 가능한가?

  • @kyen4234
    @kyen4234 4 місяці тому

    후덜덜 ㄷㄷㄷㄷ

  • @luna_archive_
    @luna_archive_ 4 місяці тому +1

    악보 첫장만 봐도 흉악해보이고 무서워보이는 곡을 내네...

  • @lilli-s8t
    @lilli-s8t 4 місяці тому

    어떤 곡이든 연습하면 되긴 되는 입시의 세계😅 (될놈될…)

  • @글박
    @글박 4 місяці тому +2

    너 피아노에 평생 진심이었니? 라고 묻고 있는 거 같은데

  • @거지일기베지타
    @거지일기베지타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예림이가 입학할땐 안저랬을텐데

  • @persu2099
    @persu2099 4 місяці тому

    쩐다

  • @qwertysburg
    @qwertysburg 4 місяці тому

    천하제일 리듬게임 경연대회

  • @An-tb7yz
    @An-tb7yz 4 місяці тому

    저 입시곡 낸 교수님은 개인레슨 이곡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