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에 쌓인 눈은 어떻게 치울까? - 제방빙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1 січ 2020
  •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제방빙에 대한 간략한 소개 영상입니다.
    보통 재빙할 때는 물을 가열하여 쓰다보니 용액에서 김이 많이 납니다.
    #항공,#비행기,#제방빙, #착빙,#제빙,#방빙,#Deicing,#antiicing,#디아이싱,#안티아이싱,#Cold-soaked,#비행기세차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94

  • @cloud_wind5343
    @cloud_wind5343 4 роки тому +29

    인트로 그 이륙할때나는 띵 소리 넘좋네요 ㅋㅋㅋㅋ

  • @nunnunanna4444
    @nunnunanna4444 4 роки тому +59

    예전에 Captain Joe 해석해서 둗느라 귀찮았는데 이분 넘 좋아

  • @Im.Flying_SOONG
    @Im.Flying_SOONG 4 роки тому +21

    대한민국 1등 항공이론 채널 입니다! 오늘도 잘보고 잘배우고 갑니다! :)

  • @gnnnn1780
    @gnnnn1780 4 роки тому +12

    항공 정비 공부중인데 이해에 아주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air-plane
    @air-plane 4 роки тому +6

    정말 영상 하나하나 준비하시는데 오래걸리실것같은데, 내용도 좋고 영상퀄리티도 정말좋네요! 흥미있는내용 재밌게봤습니다👍👍

  • @luciashon7643
    @luciashon7643 4 роки тому +4

    가랑비님~ 이번 영상도 잘 봤습니다ㅎㅎ ditching 버튼이 있다는게 신기하네요... 바쁘신 가운데서도 명절 잘 보내시길 바래요~!🥰

  • @user-rw5el2cy6e
    @user-rw5el2cy6e 3 роки тому +1

    정말 놀랐습니다. 외국 유튜버는 영어로 말하는 데다가 그림을 잘 보여주지 않아서 어려웠는데.. 진짜 정리 잘해주십니다!

  • @No11player
    @No11player 3 роки тому

    너무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 @skyphile6994
    @skyphile6994 3 роки тому

    이분 영상은 정말 강추합니다~ 최고예요

  • @CaptainKog
    @CaptainKog 4 роки тому

    👨🏻‍✈️이번 보수교육도 정말 알찼습니다. 감사합니다 🤔
    Have A Safe Flight ~ ✈︎

  • @user-td7cg3xc7d
    @user-td7cg3xc7d 4 роки тому

    와....진짜 이런 가르침을 주신다니...대박입니다

  • @bluestar_earth
    @bluestar_earth 4 роки тому +1

    너무 재밌게 보고 있어요 가랑비님~!

  • @ABC-op7ko
    @ABC-op7ko 3 роки тому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너무 유익하네요!

  • @dongoneseo3672
    @dongoneseo3672 4 роки тому +9

    12월 25일 새벽 1시~2시경 인천은 De-icing으로 바빴으나 공항에 있었음에도 보지 못했습니다.(그 좋은 기회를...)

  • @user-bo6bg4jt5p
    @user-bo6bg4jt5p 4 роки тому +2

    공사,항공대 ,항공사 전유물로 여겼던 비행기,비행기술을,이 실제 유체 역학: aerodynamics 분야에 지식을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tf1qs9om8j
    @user-tf1qs9om8j 4 роки тому

    영상이 전부 꿀잼이네요.

  • @flytothemoon12
    @flytothemoon12 4 роки тому +1

    내용 참 실하네요

  • @minsung319
    @minsung319 4 роки тому

    오늘도 잘보고 가요

  • @whitepink111
    @whitepink111 4 роки тому +1

    썸네일 보니 비행기 세차에 대해서도 궁금해 졌네요. 시간 되면 가볍게 한번 다뤄주세요 ㅋㅋ

  • @yoonha_0
    @yoonha_0 3 роки тому +1

    예전에 눈이 와서 비행기가 게이트에 오지도 못하고 제방빙까지 해서 거의 한시간 지연 돼서 왜 이렇게까지 하나 했는데 영상을 통해 이해가 되었습니다..! 날개 창가에 앉아서 제빙 방빙 작업 둘다 봤는데 신기했었어요 ㅎㅎㅎ 한번 뿌리고 초록색 콧물같은거 한번 더뿌리던데 그건 타입1과 타입4였군요~!! ㅎㅎㅎ 실제로 봤던 장면이라 영상이 더 이해도 잘가고 재미도 있네용~~~~

  • @user-pi9tu9wv2s
    @user-pi9tu9wv2s 2 роки тому

    이야...완벽한 강의다

  • @user-xy7bi4wm6y
    @user-xy7bi4wm6y 3 роки тому

    궁금한 항공지식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 @hsh4887
    @hsh4887 4 роки тому +1

    음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yunkyoungyang2417
    @yunkyoungyang2417 3 роки тому

    예전에 눈이 와서 비행기에 탄 상태로 한시간정도 있었던 적이 있는데 주황색 액체 날개에 분사한것이 타입 1 이었네요 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os7628-v3t
    @os7628-v3t 4 роки тому +1

    인천공항의 가장 뼈때리는 추억이 2017년 겨울 크리스마스죠
    폭설때문에 총체적 난국에 계류장 유도로 꽉 막혀서 공항마비 직전까지 갔었던...

  • @my5678you
    @my5678you 4 роки тому

    작년에 홋카이도 갈 때 제가 탄 비행기가 제방빙 작업하더군요.
    그냥 물뿌리는 줄 알았는데 아니군요~

  • @davc4724
    @davc4724 4 роки тому +1

    glycol 은 차량 방빙
    용액에서도 쓰입니다

  • @hongyo122
    @hongyo122 Рік тому

    엊그제 한번 경험해봣는데 신기하더라구요 ㅋㅋㅋ

  • @minsung319
    @minsung319 4 роки тому +2

    가랑비님 PTU관련해서도 영상만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hyungsubjung1838
    @hyungsubjung1838 4 роки тому +3

    가랑비님!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늘 도움받고 있습니다 :D 글리콜 사용관련 궁금한게 있습니다!
    항공기 제·방빙장 환경관리지침 : "제6조(제·방빙 재료로서 사용금지 품목) 공항에서는 항공기 제·방빙 또는 제빙작업을 위한 목적으로 에틸렌글리콜 종류의 제·방빙재료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라고 언급되어있습니다.
    실제로 글리콜류가 사용이 되는건가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5

      글리콜이 함유된 부동액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보통은 환경과 건강을 생각해 propylene glycol 이 많이 쓰입니다. 하지만 공항이나 해당 국가의 법령에 따라 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 @hyungsubjung1838
      @hyungsubjung1838 4 роки тому +1

      @@user-ic8cz1qs8k 감사합니다! 궁금했었는데 해결해주셨어요! 항상 응원합니다 :)

  • @user-zf7fr3bc4n
    @user-zf7fr3bc4n 3 роки тому

    해브어세이브 플라이트 발음 간지납니다!

  • @parkjh0821
    @parkjh0821 2 роки тому +1

    5년전쯤 갑자기 폭설이 내려서 안내방송으로 쌓인 눈 치우고 간다길래
    "치우는데 10분정도 더 걸리겠지..." 했는데
    그날 6시 출발비행기가 눈치우는 대기 기다리고, 눈치우고, 다시 이륙준비하고 하는데 2시간인가 더 걸려가지고
    원래도 지연이었던게 더 늘어나서 비행기 타고 날아가는 시간보다 기다리는 시간이 더 길었던적이 있었죠...

  • @anticplanet
    @anticplanet 4 роки тому +4

    영상 잘 봤습니다! 혹시 예전에 비행중에 고열 엔진압축공기를 날개 아래 등으로 흘려서 온도로 착빙을 방지한다는 것을 읽은적이 있는데, 혹시 그런 기능들도 방빙 장치 안에 포함되나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4

      네 맞습니다. 다만 국소적인 부분이라 지상에서는 제빙을 위해 용액을 뿌리는 작업을 합니다.

    • @anticplanet
      @anticplanet 4 роки тому

      @@user-ic8cz1qs8k 용액 성분이라던가 평소 슬쩍 궁금했던 것들도 풀려서 되게 좋았어요ㅋㅋ 늘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 @romeokilo6640
    @romeokilo6640 4 роки тому +1

    가랑비님 우리나라에서는 단거리여도 수요가 많으면 대형기를 투입하는데, 유럽과 미국은 그렇지 않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왜 그런지 들어보고 싶습니다.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항공사가 갖고 비행기의 종류에 따라 유동적이고, 공항이 갖고 있는 교통량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들어 교통량이 많다면 소형기 두 대 대신 대형기 한 대만 투입하곤 합니다.
      만약 사람이 적고 굳이 대형기를 투입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거리라면 더 많은 수의 소형기를 투입하게 됩니다.
      기타 이유로는 보통 LCC 경우, 737 내지 320으로 기종을 통일하기 때문도 있겠습니다.

  • @cherryautw
    @cherryautw 4 роки тому +2

    사실 저는 못 알아듣는게 절반 이상인데요..
    뭔가 주제가 흥미롭고 듣고있으면 제가 유식해지는 느낌이에요 ㅋㅋㅋㅋㅋ
    어쩜 이렇게 똑똑하세용.. 다른 공부도 다 잘하실 것 같아.....
    그리고 영상듣는내내 비행기타고있는 느낌이에요!!!!! 항상 열심히 구독중입니다~~~😉

  • @SSIMM_KR001
    @SSIMM_KR001 4 роки тому +5

    비행기 탄 상태로 디 아이싱 하면 개꿀잼일듯.....

  • @user_edylsb3655
    @user_edylsb3655 3 роки тому

    여기 배경음악 비행기 탑승할 때에 많이 들어봤어요 마치 비즈니스석에 앉아서 이륙준비전에 기내방송으로 승객들에게 PA하는 캡틴같네요

  • @milnya
    @milnya 4 роки тому

    저번에 그렇게 춥지않은데도 디아이싱 한 이유가 있었군요.....그덕에 30분정도 지연됐는데..

  • @user-bd2uj6kz1o
    @user-bd2uj6kz1o 4 роки тому +1

    겨울철 비오는 날 고고도 운행시 결빙이 더 심해질 것 같은데, 그럴 땐 따로 특별히 취하는 조치가 있나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2

      비행기는 지상에 있을때 문제이며 비행중에는 anti icing이나 deicing 장비가 있습니다. 지상에서 눈을 제거하는 이유는 날개표면이나 동체에 쌓인 눈은 이러한 제방빙 장치가 닿지 않기 때문입니다.

  • @juseong0323
    @juseong0323 4 роки тому

    인천공항은 어떤 안전장치를 갖춰서 제방빙을 엔진 켠 상태로 할수있게한건가요?

  • @jeonjooeun
    @jeonjooeun 4 роки тому

    ⭐️

  • @personal3
    @personal3 4 роки тому

    1등 놀이.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 @KungYaTube
    @KungYaTube 4 роки тому +1

    알콜기반이라면 금방 증발해서 효과가 없어지는거 아닌가요?..

  • @zzangon8
    @zzangon8 4 роки тому +1

    Type 1 으로만 De-icing, anti-icing 둘다 해야할경우 똑같이 Two-step 으로 진행해야합니다.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용액의 비율을 달리 하신다는 말씀이시죠? 그러한 경우엔 투스텝이 될 수 있겠군요.

    • @zzangon8
      @zzangon8 4 роки тому +1

      @@user-ic8cz1qs8k 아뇨 북미같은경우에는 정말 가끔 Type4 가 없을경우 Type 1 으로 Anti-Icing 까지 할때가 있는데, 그럴경우 De-icing process 끝마친후에 Tactile check 하고 De-icing 하는 크루가 라디오 통해서 De-Icing process 끝났고 Anti-Icing 시작한다고 알려줍니다. 그후에 Fluid Type 부터 해서 Anti-Icing 시작한 시간 알려주고 그 시간으로 Holdover time 계산합니다. Type 1 같은경우에는 Holdover time 자체가 너무 짧아서 Anti-Icing 으로는 거의 못쓴다고 보시면됩니다.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그런경우에는 그런 것이 가능하겠군요. 그러한 경우는 국내에선 좀 특수한 경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보통 국내에선 타입1, 4가 다 구비되어있는 편이라서 타입1으로 주로 제빙, 타입4는 방빙으로 합니다. 만약 방빙용도가 필요하다면 굳이 타입1을 쓰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 @HoneyBadger1111
    @HoneyBadger1111 4 роки тому +1

    최근에 베트남다녀올때 출발하는데 방빙작업 뿌리는건 함 10분정도걸리던데 바로 출발안하는 이유가 있나요? 옆 비행기도 보니깐 원스텝작업으로 작업이 끝났는데도 쫌 대기하다가 가더라고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Sequence(출발순서) 때문입니다. 방빙작업 이후에 조종사는 관제사로부터 Clearance(비행허가)를 받아야하고, 출발순서에 따라 출발합니다. 허가를 받는데에는 보통 3~5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허가를 받는 것이 끝이 아니라 활주로의 변경내지, 허가를 확인해야하는 작업을 거쳐야하기 때문)
      제방빙의 완료순이 아닐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선 노선에 따른 항로상 간격분리가 필요할 때도 있어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인천발 비행기의 경우 크게 4개의 항로 중 하나를 이용하는데 항로가 많이 북적일 경우 다른 항로를 사용하는 비행기들을 먼저 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예. 동남아로 가는 비행기가 많은데, 일본으로 가는 비행기가 대기할 경우 일본행 비행기를 먼저 보낼 수 있습니다)

    • @HoneyBadger1111
      @HoneyBadger1111 4 роки тому

      @@user-ic8cz1qs8k 앗..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아마 밤비행기라 중거리 동남아편수가 많아서 밀렸나봐요!

  • @mifan6894
    @mifan6894 4 роки тому

    공항 직원이였는데 진심 겨울에 보딩 끝나고 디아이싱 차 오는데 심각할때 몇시간 걸리면 입이 바짝 바짝 마름. 눈보라 심한날은 옆에 다른 항공사 게이트 보니 오전에 나갔어야 하는데 11시간동안 승객 태우고 문 닫고 디아이싱차 오길 기다리는거 보고 기겁함. 그런데 우리 항공사는 보딩 끝나고 도어 닫고 20분 후 바로 와서 뿌림 ㅋㅋ 푸쉬백 볼때 기준 좋음. 신기한건 디아이싱 하면 항공기가 개운해 하는것 같이 보임

  • @uuniverse1337
    @uuniverse1337 4 роки тому +3

    보잉 항공기는 디칭 스위치가 없는데 방빙 제빙 절차가 어떻게 되죠?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보잉은 타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연관되는 스위치는 있을 듯 합니다.

  • @fhana97
    @fhana97 3 роки тому

    kt-1 인가 kt-100에도 디아이스 안티아이스 스위치가 있었지...

  • @mar_cor_1303
    @mar_cor_1303 4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 @user-uu5be5um7s
    @user-uu5be5um7s 4 роки тому +1

    요즘 항공기도 제빙부츠를 사용하나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작은 소형기에 사용하는 편입니다.

  • @user-yb9kp2dq4g
    @user-yb9kp2dq4g 4 роки тому +1

    Fly K님하고 목소리가 비슷해요. 설마 같은분인가요?

  • @user-ps2rj6bh1g
    @user-ps2rj6bh1g 4 роки тому +1

    320에 Ditching 어디 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오버헤드 패널의 CAB PRESS에 있고 Air Cond 오른쪽 아래에 있습니다.

  • @arm4254
    @arm4254 3 роки тому

    군에서 방빙액 머리에 많이 맞았더니 탈모가 생겼네요 큽ㅠ...

  • @jung92523
    @jung92523 4 роки тому +1

    3:36 가랑비님 apu를 키는 이유가 있을까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apu없이는 엔진 시동을 걸 수 없어서 그렇습니다.

    • @jung92523
      @jung92523 4 роки тому

      아 제방빙 이후 움직일때를 생각하는 거군요
      감사합니다!!!

  • @honeypark1287
    @honeypark1287 4 роки тому +1

    표면에 열선을 깔면 안되나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열선은 무게 증가와 화재의 위험도 동반하기 때문에 주로 쓰이지는 않습니다(기종에 따라 쓰이는 것이 있긴 합니다). 또한 비행 중에 발생하는 아이싱은 특정부위(날개, 기수, 엔진 등의 앞부분)만 생기기 때문에 비행기 전체 표면에 열선을 까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입니다. 지상 한정 디아이싱 작업을 해주는 것이 경우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 @honeypark1287
      @honeypark1287 4 роки тому

      @@user-ic8cz1qs8k 아하. 감사합니다^^

  • @gg_user
    @gg_user 3 роки тому

    제/방빙: 빙빙(?)

  • @galaxybearkim693
    @galaxybearkim693 3 роки тому +3

    엔타이 아이싱에서 개뿜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3 роки тому

      뭐가 웃기시죠?

    • @user-er2be3ho1b
      @user-er2be3ho1b 3 роки тому

      @@user-ic8cz1qs8k 보통 안티 아이싱이라고 해서 그런거 아닐까요?

  • @user-nt7sz1vy6e
    @user-nt7sz1vy6e 3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가랑비님. 항공정비사가 되고싶은 학생입니다. 혹시 엔진 intake에 눈이 쌓여있는 경우에는 어떤 방식으로 눈을 없애는지 알려 주실 수 있으신가요? 영상에서와 같이 글리콜을 이용해 눈을 없애는 걸까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3 роки тому

      해당 deicing 절차는 잘 모릅니다만 intake에 쌓인 눈은 크게 중요치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user-nt7sz1vy6e
      @user-nt7sz1vy6e 3 роки тому

      @@user-ic8cz1qs8k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들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_ _)

    • @kyu5435
      @kyu5435 Рік тому

      빗자루로 쓸으면 됨

  • @user-un4cf4fq6v
    @user-un4cf4fq6v 4 роки тому

    737항공기는 디칭시스템이 없는데 디칭시스템이 있는320도 30분이 걸리는데 737의 경우는 디칭시스템이없어 피토프로브 스태틱포트를 테이프등으로 막아야하는데 그럼 제방빙시간은 320보다737이 더 걸리겠네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피토 계통은 320도 마찬가지로 가리고 해야되는 것이 맞습니다. 디칭 버튼은 주로 애비오닉 베이라던지 그런 곳의 구멍을 막아줍니다. 제빙은 모든 부위를 한다기 보다는 기장의 요청에 따라 원하는 부위만 제빙할 수 있어서 디아싱 절차 소요시간은 그날 착빙이 된 곳에 따라 다를수도 있겠습니다.

  • @Law-assistant
    @Law-assistant 4 роки тому +1

    에틸렌글리콜 뿌리는거면 되게 위험하겠다. 마시면 쥬금 ㅠㅠ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용액은 다른 재료로도 많이 만들지만 영상속 설명과 같이 글리콜이 들어간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주로 프로핀글리콜과 말씀해주신 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합니다. 이 때문에 기내에 들어오는 것을 최소화하기위해 영상의 절차를 수행합니다.

  • @180sec_hs8
    @180sec_hs8 3 роки тому

    해버셒프라잎

  • @sung1837
    @sung1837 4 роки тому

    예전에 모 언론사 기자가 디아이싱에 대해 알지도 못하면서 지연된다고 ㅈㄹㅇㅂ떨다 욕먹은거 생각나네.......

  • @bluestar_earth
    @bluestar_earth 4 роки тому

    아 1등 놓침.. ㅜㅜ

  • @ah-rang
    @ah-rang 4 роки тому +1

    어떻게 치울까??치우는거만 이야기하면 될걸 와나..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뒤에 제방빙은 안 읽어보셨나 보네요. 제방빙방법과 절차에 대한 영상 요청으로 제작된 영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