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의 러시아워와 이른보딩을 하는 이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3 гру 2019
  •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인천공항에서 발생하는 러시아워는 왜 발생하고,
    항공사에서 이른 보딩을 하는 이유에 대한 영상입니다.
    -무주수하물에 관한 추가 설명
    다른 영상에서 무주수하물에 대한 댓글이 있어 추가 설명을 붙였습니다.
    자신의 항공편이 아닌 다른 항공편으로 자신의 짐이 운송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러한 무주수하물의 경우는 정확하게 말하자면 unaccompanied baggage(같은 편으로 운송되지 않은 수하물)입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해당 수화물은 운송이 가능합니다.
    1) 비행기 좌석부족 또는 중량 초과 등 승객의 귀책이 아닌 이유로 승객이 해당 편에 탑승하지 못하였으나 위탁수하물은 탑재된 경우.
    2) 승객은 해당 편에 탑승하였으나 비행기 중량 제한등의 이유로 하기된 위탁수하물을 후속 편으로 송부할 경우
    .
    3) 항공편 지연, 결항, 기타 공항 운영 요건 등 항공사의 운영상의 이유로 승객과 위탁 수하물이 분리된 경우
    .
    4) 사내 우편물, 급송 수하물 또는 항공사의 귀책으로 잘못 도착한 위탁수하물이 적절한 보안검색을 완료했을 경우.
    위의 예외 규정과 같이, 무조건적으로 무주수하물은 싣지 못한다기 보다는 무주수하물을 발생시키는 주체가 승객인가 항공사인가에 따라 달라집니다. 왜냐하면 위의 경우는 그리 자주 있는 일이 아니며 승객이 통제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자살폭탄테러가 아닌이상, 자신이 오버부킹 되어 자신의 짐이 다른 항공편으로 실리게 된다는 것을 미리 알고 폭탄가방을 부칠것이란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의도성을 띄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항공사가 무주수하물(정확히는 Unaccompanied Baggage)을 운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승객의 입장에서 잘못 전송된 짐이 발생했다는 것을 나중에 알게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과 관련해서 해당 이용 항공사마다 다른 절차와 정책이 있기 때문에 짐을 찾는데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이것은 법을 어겼다기 보다는 법대로 진행하였으나 후속 조치의 방향은 항공사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명백히 무주수하물로 되어 항공사는 이에 해당하는 과징금을 내게 됩니다.
    #항공,#인천공항,#러시아워,#보딩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305

  • @jsy5485
    @jsy5485 4 роки тому +210

    저도 나리타공항에서 체크인카운터 게이트 일해본사람으로서 굉장히 공감가는 내용들이 많네요
    체크인할때 330명을 해야되는데 카운터 인원은 총 6명이이서 해야되니
    한사람당 최소 60여명을 채워야 되죠
    정말 빠른시간 내에 체크인을 완료하지 못하면 그만큼 비행기 출발 시간도 늦어지게 되니
    엄청나게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받아서 빠르게 짐을 넘겨야될때고 많습니다
    특히 노쇼같은경우도 영상에서 설명하셨듯 미리 짐을 빠르게 찾아두고
    원래 출발비행기 시간 15분전까지 탑승이 완료 되어야만 하지만 그게 안되어 늦어지는 승객이 있을경우 미리 빼둔다음
    최대한 빠르게 승객을 찾으러 다니려고 소리지르며 다닙니다
    매번 시간과의 싸움인지라 환승 승객들도 있고 하다보면 피말리는 싸움이죠

    • @youngraelee4598
      @youngraelee4598 4 роки тому +8

      그래서 무인 수속이 많아지는 거구나

  • @BJ_Umai
    @BJ_Umai 4 роки тому +343

    면세점 즐기다가 늦게 보딩하는 진상은 기내 방송으로 알려주면 좋겠다 지금 도착해서 탑승하신 손님이 계십니다 큰 박수로 맞이해 주시기 바랍니다

    • @__saddo__
      @__saddo__ 4 роки тому +30

      치욕 꿀잼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oomkim9629
      @joomkim9629 3 роки тому +10

      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 훼손으로 고발 당할껄요?ㅠㅠ

    • @slacho
      @slacho 3 роки тому +8

      @@joomkim9629 그럼 그사람 인성문제있는거지

    • @llliiililiiil
      @llliiililiiil 3 роки тому +21

      @@joomkim9629 대한민국 명예훼손법 없애야 하는 이유 : 돈있는 것들이나 써먹을 수 있는 법, 일반 소시민들은 변호사선임, 소송을 위한 시간 및 돈 없음
      미국의 소수 주를 제외한 과반수 이상의 주는 명예훼손법 폐지시킴

    • @joomkim9629
      @joomkim9629 3 роки тому +4

      @@slacho 대한민국은 인성 문제 없으면 도퇴됩니다
      ㅅㅂ것들이 성공해서 더 많이 개같이 뜯어고치시거등요ㅋㅋㅋㅋ

  • @ek19930603
    @ek19930603 3 роки тому +15

    현직 지상직으로 있는데 정말 공감 가는 내용이네요ㅎㅎㅎ... 늘 면세점 쪽에서 목 터져라 페이징 하고 손님 찾으면 같이 뛰는 것도 고통인데 뛰어주면 양반이죠
    적반하장으로 어차피 나 없으면 출발 못하잖아 라고 말을 하는 손님들^^^...
    백만 빨리 찾으면 오프로드 바로 가능한데 백이 너무 많으니 백을 찾는 것보다 그냥 손님 찾아서 태우는게 시간이 더 절약 돼서 태우는 거지 손님 탈 때아지 기다리는게 아닙니다!!!!!!!!
    제발 늦지 말아주세요!!!!!!!!!!!!!! 제발!!!!!!!!

  • @bangdongkr
    @bangdongkr 4 роки тому +55

    공항직원인데여. 레알 공감하며 봤네요.

  • @_desaix9174
    @_desaix9174 4 роки тому +40

    가랑비님이 면세 쇼핑하는 손님 때문에 딜레이 되어 빡처서 만들었다는게 학계의 정설?

  • @aloha9468
    @aloha9468 4 роки тому +271

    늦게 탄 사람들 진심 뚜까패고 싶을정도로 딥빡치게 만듭니다. 죄송하다는 말 한마디 없이 면세품이 담긴 쇼핑백들고 타는데 부디 버리고 가는게 가능해지는 날이 오길 기원합니다.

    • @user-vo2qg8zq9d
      @user-vo2qg8zq9d 4 роки тому

      @@holylee30 국내선도 아닌 국제선은 그런게 불가능합니다 서류나 전산상으로 A라는 사람이 한국을 떠났고 비행기안에있다고 나오는데 비행기 안에 A라는 사람이없고 도착국가에도 도착하지않으면 큰문제가 생기기에 불가능합니다

    • @TV-og3oc
      @TV-og3oc 4 роки тому +15

      @@user-vo2qg8zq9d 국제선도, 국내선도 법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인도항공 182편 테러 사건과 팬암 103편 테러 사건 이후, 이 사건의 수법이 보딩 게이트에 들어가지 않고 수화물만 배송해서 생긴 사건이란 것을 안 NTSB는, 의무적으로 항공기 승객과 수하물이 같아야만 이륙할 수 있게 하라는 권고를 내렸습니다. 이로 인해, 어느 비행기를 타든, 불가능합니다.

    • @user-vo2qg8zq9d
      @user-vo2qg8zq9d 4 роки тому

      @@TV-og3oc 국내선은 헷갈려서 제외했는데 역시 국내선 포함이였네요 감사합니다!

    • @limbaksa
      @limbaksa 4 роки тому

      그리고 버리고 가도 아무 말도 없는 세상이 왔으면...

    • @bluebetta39
      @bluebetta39 4 роки тому +1

      오늘 제가 탄 비행기에서도 지각한 승객들 때문에 푸쉬백이 15분은 밀린 것 같아요.. 정작 본인들은 떳떳..

  • @JJYiT
    @JJYiT 4 роки тому +55

    지각하는거 때문에 은근 짜증나더라고요.. 특히 동남아나 일본 노선 갈때 연예인 이랍시고 늦는 어휴 연예인이고 뭐고 치고싶던... 요즘은 해탈수준 이지만..

  • @llzweill
    @llzweill 4 роки тому +64

    다낭가는데 아저씨가 10분 늦더라
    비행기는 1시간 늦게 뜸
    씁 ㅡㅡ

    • @taeseongcho584
      @taeseongcho584 4 роки тому +7

      저도 몇 년 전에 이른 오전 비행기로 도쿄 가는데요.
      무주수화물 뺀다고 1시간 늦게 이륙했어요.
      그리고 도쿄에 가서 첫 날 스케쥴 엉망 되었죠.

  • @hst870
    @hst870 4 роки тому +21

    오프로드 발생하면 짐 꺼내는 직상직원부터 조종사,승무원,정비사,관제사,항공사까지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죠... 제일 큰 피해는 손님이구요. 대책이 필요합니다.

  • @dlime1811
    @dlime1811 4 роки тому +85

    보통 비행기 타기 1시간 전부터 대기하는데, 몇몇분들은 그렇지 않나 보네요.

    • @SmithPole
      @SmithPole 4 роки тому

      1시간 전부터 게이트앞에서 기다리지는 않지않나요?

    • @user-kw6mb9zu7h
      @user-kw6mb9zu7h 4 роки тому +1

      10분 전에 오면 늦은건데 말이죠

    • @user-bb6ig2dk4o
      @user-bb6ig2dk4o 4 роки тому +3

      보딩게이트 오픈은 보통 30분전이죠...

    • @user-vj6hf4le3t
      @user-vj6hf4le3t 4 роки тому

      난 공항에 한 시간 전에 가는데?

    • @user-vd5kw4qy7j
      @user-vd5kw4qy7j 3 роки тому +3

      @@user-vj6hf4le3t 너냐?

  • @aby0805able
    @aby0805able 4 роки тому +5

    현직 항공사 부기장으로 근무하면서 느낀 부분을 제대로 정리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정말이지.. 특히 온타임에 레디 콜을 해도. 중국지역을 거치는 노선은 딜레이 되기 마련인데.. 승객으로 인해 딜레이가 되면 무척이지 스트레스 받습니다.
    비행준비를 마치고 지상직원으로 w&b 를 넘겨줄때는
    승객 다 탔나요?
    몇분 남았습니다 라고 하면
    컨택 됬나요?,
    아니요 라고 하면
    수하물있나요? 라고 묻습니다.
    네.. 라고 하면 한숨만 나옵니다. ㅠㅠ
    그때부터는 그냥 제발 늦어도 되니 와주길 바랍니다... ㅠㅠ
    정말이지 작년 베이징 비행에는 1시간을 지상에서 기다린적도 있었습니다.
    그 한명 때문에 항상 우리 지상직원들과 승무원들은 승객들에게 눈초리와 욕을 먹어야 하고.. 비행다녀와서 기다리느라 지친 연결편 편조들에게 미안함은 우리몫이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간만에 부들부들하네요..

    • @__gongssi381
      @__gongssi381 4 роки тому +1

      진짜 짐다찾아내는거도 개빡치고 지상직원들이 받아야할 뱅기도 급하게 받아야되죠...여러므로 전부 피해받고 사고위험도 커지는거 같더라구요...저 토잉급하게하다가 뱅기미끄러지는거 보고 식겁한적있습니다..

  • @user-yk6nv8ft5q
    @user-yk6nv8ft5q 4 роки тому +4

    이해하기 쉽게 영상이 정말 잘 제작 되었네요. 비행기 탈 때 정말 늦지 않게 주의해야겠네요. 머리 속에 콱 박혔습니다, 감사합니다!

  • @goldenrabbit7993
    @goldenrabbit7993 4 роки тому +20

    동남아 놀러갈 때마다 왜 동남아 가는 비행기는 저녁 늦게만 있는걸까??? 라는 궁금증이 많았는데, 이런 이유가 있었군요!! 정말 유익한 뒷이야기입니다!

    • @JASONLEE4242
      @JASONLEE4242 4 роки тому +2

      흐르는강물처럼 동남아 중에서도 방콕이랑 마닐라,싱가포르 홍콩은 몇몇 메이저 항공사에선 하루 비행편 3번 있습니다....대한항공,아시아나,타이항공,싱가포르항공,케세이 퍼시픽 이렇게요

  • @b2spirit86
    @b2spirit86 4 роки тому +16

    승객 입장에서 모를 수도 있는 점을 찝어주시는 게 매우 유익한 영상입니다. 저도 공항 근무자로서 승객분들이 왜 게이트에 완전히 도착할때까지 안전벨트를 메고 앉아 있어야 하는지도 영상 만들어 주시면 매우 좋을 것 같습니다. 게이트 주변이랑 택시위이 주변에서 운전하고 있는 차량들이 엄청 많은데 그걸 모루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더라고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비슷한 내용으로 APU영상에서 다룬적이 있었습니다만 차후 영상에 다룰수 있다면 다뤄보겠습니다.

  • @leesmond3313
    @leesmond3313 4 роки тому +13

    3:05 군머식 계산법 ㅋㅋㅋ

  • @user-jp4yo1rj6f
    @user-jp4yo1rj6f 4 роки тому +11

    아하. 보딩시간마감을 왜 빨리하나생각했는데.. 정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 @ramido1403
    @ramido1403 4 роки тому

    늘 좋은 목소리로 차근차근 잘 설명해주어 많이 이해하고 갑니다 ㅎㅎ

  • @HoneyBadger1111
    @HoneyBadger1111 4 роки тому +1

    항상 좋은 자료감사합니담!!

  • @luciashon7643
    @luciashon7643 4 роки тому

    오랜만에 올라온 영상이었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ㅎㅎ

  • @user-tp6op3iy2s
    @user-tp6op3iy2s 4 роки тому +5

    2:30 가랑비님에 깊은빡침

  • @sujeongpark4371
    @sujeongpark4371 4 роки тому +1

    이런 사연이 숨어있었군요. 수고하세요.

  • @user-th5be8gh3m
    @user-th5be8gh3m 4 роки тому +16

    얼마전에 보딩을 예정보다 10분일찍한다고해서 뛰어갔던 일이 생각이나네용ㅎㅎ
    왜 그런지 궁금했었는데 정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 @user-if2zh5zq4i
    @user-if2zh5zq4i 4 роки тому +1

    궁금한게 너무나 많은데 채널의 영상을 보니 궁금증이 많이 풀렸네여
    감사합니다 구독!!

  • @user-sl9il7xc4p
    @user-sl9il7xc4p 3 роки тому

    이번 영상의 목적이 확실하네요ㅎㅎㅎㅎㅎㅎ 늦지 맙시다

  • @user-xt2nj4cx8n
    @user-xt2nj4cx8n 4 роки тому +2

    영상감사드립니다😊

  • @ynlee7
    @ynlee7 4 роки тому +4

    유튜브 최고의 독창적인 컨텐츠

  • @minsung319
    @minsung319 4 роки тому +1

    오랜만에 영상이네요 잘보고갑니다.

  • @user-vw1ot1tl6r
    @user-vw1ot1tl6r 4 роки тому +1

    어디계시든지 메리크리스마스 입니다 가랑비님~:)

  • @noah5242
    @noah5242 4 роки тому +41

    그래서 짐뺀다고 방송하고도 한시간을 가만히 서있었구나 답답해서공황장애올뻔했네

    • @user-uo4ep4ph2r
      @user-uo4ep4ph2r 4 роки тому +1

      수하물하기 후 다시 도어클로징 출항준비보고 등등 한번 틀어지면 최소 30분이상 지연이라 보면 됩니다

    • @noah5242
      @noah5242 4 роки тому +4

      안그래도 14시간비행에 말도안되게 불편한 이코노미에서 빨리 잠들어서 조금이라도 편할려했는데 자고일어났는데도 땅이길래 도착한줄알았는데... 이륙 이후로 잠도안들고 답답해서 죽는줄알았슴다

    • @LivingUS2013
      @LivingUS2013 3 роки тому

      공항이서 공항장애

  • @pito2822
    @pito2822 4 роки тому +2

    유익하게 잘봤습니다 ㅎ

  • @melonsojufilms5694
    @melonsojufilms5694 4 роки тому

    가랑비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영상 기다렸습니다 ㅠㅠ

  • @hlan88
    @hlan88 4 роки тому

    유익하고 좋았습니다♡♡♡

  • @user-lr6ny9hc8k
    @user-lr6ny9hc8k 4 роки тому

    좋은정보 감사합니당

  • @keith4843
    @keith4843 4 роки тому +3

    좋은자료 잘 보고있습니다 👍🏻

  • @tvgonout
    @tvgonout 4 роки тому +1

    알기쉽게 잘 만드셨네요.
    실제 파일럿, 아님 심 파일럿? 구독하고 갑니다.

  • @SSIMM_KR001
    @SSIMM_KR001 4 роки тому +22

    형의 설명은 정말 유용해요
    저 비행기탈때마다 설명한 내용을 복습한답니다 :D

  • @user-fk5mz2ud4m
    @user-fk5mz2ud4m 4 роки тому +4

    그런 승객땜에 늦은 출발을 한다면 탑승한 승객들과 손해본 항공사가 손해배상소송을 진행해야겠습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lo6ci4pw7q
    @user-lo6ci4pw7q 4 роки тому +1

    와 정말 유익한 동영상

  • @moonkyeomkim1205
    @moonkyeomkim1205 3 роки тому +2

    이 설명을 들으면서 공감됩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기내용캐리어도 왠만하면 수화물로 보냅시다. 면세점쇼핑한것 주렁주렁달고 기내용캐리어 끌고 통로를 제대로 걷지도 못하고 선반에 올릴 힘도 없어서 승무원이 도와줘야하고 그러면서 뒤에 탄 승객들은 줄줄히 기다리고 답답합니다!

  • @user-lp3my2ly9v
    @user-lp3my2ly9v 3 роки тому

    복습중인데 가랑비님 혹시 비발디 좋아하세요? bgm이 너무 좋아서요

  • @xwarp7
    @xwarp7 4 роки тому

    가랑비님 처음 시작 뿅~과 음성이 너무나 좋아요. ㅋ
    오늘 예시 표는 이해 쏙쏙~ 이네용^^
    게다가 지연이 그리 크게 차이나는건 처음 알았어요.
    앞으로 더욱더 신경쓸께요 ^^

  • @user-dq8rz7zl8r
    @user-dq8rz7zl8r 4 роки тому +11

    진짜... 지상조업하는데 가방 탑승 시켜놔도 승객 탑승 안했다고 연락오면 그거 찾으러 다시 나가서 까야함... 컨테이너에 들어가는 수하물이면 모르겠는데 제주항공이나 에어아시아 같은 중저가 항공사 같은 경우면 모든가방을 다 꺼내서 일일히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10~20분이 아니라 재수없으면 처음부터 싹 다시 작업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애초에 이러한 가방들은 출발시간 -30분 전 부터 작업함. 근데도 연락와서 나가본적이 한두번이 아님.
    그리고 체크인 카운터 게이트 말씀하시는 분 공감가는게 우리같은 지상조업 작업자들은 가방만 찾아서 인계시키면 끝임. 저분들은 더 문제인게 우리는 까는거야 까는거고, 항상 있는 일이고 재수가 좋으면 일도 많이 안일어 남. 미리미리 스캔할때 빼두는 경우도 있어서 괜찮은 경우가 있음. 근데 저분들은 우리가 찾아서 무전 넣으면 내려와서 가방이 맞는지 택 넘버 확인하고, 우리가 벨트로 넣어줘서 빽 인계받으면 저거 건네줘야해서 승객 찾아다녀야 하고 ㄹㅇ 미치실듯. 시간은 촉박하지+거기에 가방 내려가는 시간있지+승객 가방은 전달해서 건네줘야지+근데 사람이 부족하네?=야발!
    공항일 하면서 느끼는건데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그것도 로테이션 돌아가면서 하느라 잠도 제대로 못자는데 게이트 직원들은 승객 짜증까지 받아줘야함.
    고로 가방 늦게 나온다고(ㄹㅇ 제일 많이 터지는 문제), 왜 출발 빨리 안하냐고, 뭔 문제 터지면 좀 시작부터 짜증내지 맙시다. 우리도 비행기 밀려서 빨리빨리 작업하고 끝내고 싶은데 사정이 생겨서 안되는거니까 버럭 화내지 말고 힘든 직원들한테 그냥 물어봅시다.ㄹㅇ

    • @llliiililiiil
      @llliiililiiil 3 роки тому

      정말 수고가 많으십니다ㅠㅠ
      제발 사람들이 생각의 깊이를 키웠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user-gg3vr5ev6q
    @user-gg3vr5ev6q 2 роки тому

    그런이유가 있었군요~감사합니다!

  • @rohjunchul
    @rohjunchul 2 роки тому

    깊은 빡침이 느껴지네요~~~

  • @jiminkim4688
    @jiminkim4688 3 роки тому +8

    지상승무원 언니들 구두신고 꽉끼는 유니폼 입고서 무전기들고 탑승하지 않은 승객 울부짖으며 뛰어다니는 모습 보면 진짜 맘아픔.. 제발 쇼핑에 눈 멀어 이사람 저사람 피해주지마세요ㅠㅠ

    • @user-tp4cp1qi4m
      @user-tp4cp1qi4m Рік тому +4

      상상만해도 섹시하누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Рік тому

      유니폼은 항공사와 직원들 선택이죠 승객탓하면 안되죠.

  • @jsbstar
    @jsbstar 4 роки тому +10

    사실 그래서 동남아 출발 항공편의 경우 해당국가에서 새벽에 출발하는 편이 많이 있습니다.
    제 허브중에 하나가 방콕 발인데 많은 항공사의 비행기가 오후 10시~익일 오전2시 사이에 많이 출발하는 편입니다. 방콕의 경우 오후 11시 출발시 다음날 오전 5시 30분 정도에 도착하여 다음 연결편을 오전 7시~9시에 띄울 수 있다는 점이 있기 때문에 태국발 노선의 경우 대부분(제주, 타이, 대한항공 오전 노선제외) 밤에 출발하게 됩니다. [코타키나발루도 동일]
    * 그나저나 연결편을 빡빡하게 배정하는 것은 시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네요

    • @lsj818
      @lsj818 4 роки тому

      와 안녕하세요~

    • @hyeon8652
      @hyeon8652 3 роки тому

      그래서 올때 비행기가 밤12시였구나

  • @user-og2wq9ze3x
    @user-og2wq9ze3x 4 роки тому

    오 정보 좋네요.

  • @jeffsong5653
    @jeffsong5653 4 роки тому +2

    무주수하물 내리고 컨테이너 다시 올리는 시간 평균 40분은 걸립니다. 거의 1시간 늦게 이륙한다고 보면되죠.

  • @cxvcvxuoadsfjoqe9287
    @cxvcvxuoadsfjoqe9287 4 роки тому +1

    쩐다 잘만들도 설명도 좋네요. 구독박을라고 보니까 박혀있음. 근데 토우카랑 푸쉬백이 뭔지몰라서 따로 찾아봄ㅋㅋ 다설명하긴 그러니까 용어써주시면 제가찾아보면되니까 좋네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몇몇 용어는 전에 APU 편에서 설명한 적이 있어 생략했었습니다. 다음번엔 좀 더 직관적인 영상설명을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zn5dc7jd4r
    @user-zn5dc7jd4r 4 роки тому +2

    버리고간 승객들 뒷처리도 해야함.. 가방 다시 찾아주고 출국심사 취소해야하고 단 재예약은 고객이 알아서 ^^ 정말 공감갑니다 시간이 금이에요... 체크인도 클로즈시간이 중요한게 그래야 load sheet을 빨리받고 비행기를 정확하고 빠른시일 내에 보낼수 있음

  • @EngineerKim
    @EngineerKim 4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전직 프로출장러입니다.
    회사다닐 떄 출장때문에 한달에 두번정도 비행기 탔습니다.(중국에서 회사다녔었어요. 중국 땅이 크다보니 국내선 엄청 타고다녔습니다.)
    우아.. 비행기 탈 때 마다 전쟁..
    겨울철에는 안개때문에 아침에 자주 지연되고..
    저녁에는 연결편 꼬여서 공항에서 5~6시간 대기 탄 적도 많았어요..
    흑흑흑 ㅜㅜ 빨리 집에가서 쉬고싶은데..
    저런 스케줄로 돌아갔었군요.. 새로운 지식 하나 배우고 갑니다 ^^

  • @user-vh2kx7qv6c
    @user-vh2kx7qv6c 4 роки тому +11

    저도 인천에서 호치민 최근에 갈때 대한항공 탔는데 10분정도 비행기에서 안에서 기다렸는대 이륙안하고 저는 또 무슨일 생긴줄 알았내요 ㅜㅜ

  • @user-ox8sp5cr1r
    @user-ox8sp5cr1r 4 роки тому +3

    저거 진짜 화나요... !
    조업하는분들 미쳐함 가방 찾으라고 하면요..
    그냥 욕이 바로 나와요

  • @user-vu6pi7hq1o
    @user-vu6pi7hq1o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lp3my2ly9v
    @user-lp3my2ly9v 4 роки тому +3

    작년에 비행기탈때 시간이 좀 있었는데 승무원이 전화해서 나만 안 탔다는 말 듣고 깜놀해서 막 뛰었던 기억납니다. 시간이 있었는데 왜 그랬는지 당시에는 어리둥절이었는데 영상보고 알았어요.

    • @parkvictor5824
      @parkvictor5824 4 роки тому +1

      채성 시간 적어드린건 마감시간이었을 거에요. 보딩 마감. 마감 시간이라고 얘기해드려도 승객분들은 그게 탑승 시작 시간인줄 아시더라고요...

  • @leopoldlee4698
    @leopoldlee4698 4 роки тому +3

    항상 보딩시간이 생각보다 빠른네 했었는데 이유가 있었군요

  • @user-dw6cd2mu4w
    @user-dw6cd2mu4w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cholloh8087
    @cholloh8087 3 роки тому

    조곤조곤 설명하는데 그 내용 안에 깊은 빡침이 느껴지는 건 기분탓이겠죠.

  • @user-rq2ip3oz9i
    @user-rq2ip3oz9i 4 роки тому +5

    이게 당해보면 기분 짜증나는 건 둘째 문제고 ... 환승해야 함+대기 시간 그리 넉넉하지 않음+짐 검사 빡빡하기로 유명한 공항+환승객 많은 공항 이 콤보에 걸리기 딱 좋다는 것.....꼭 환승객 많고 짐 검사 빡센 공항을 앞두고 저런 일이 자주 발생함

  • @FlywithMiguel
    @FlywithMiguel 4 роки тому

    항공편이 딜레이 늪에 빠져 계속 늦어지면 언제 정상화가 되나요? 늦어지고 늦어지면 대체편을 사용하는건가요? 딜레이 늪이 어디까지인지 궁금합니다 ㅎㅎ

  • @user-lx6nn6wy1s
    @user-lx6nn6wy1s 4 роки тому +8

    4:38 거의 뭐 x날두 급

  • @gegenpressing00
    @gegenpressing00 2 роки тому +1

    여행할때 크게 둘로 나뉘죠.
    공항에 최소 서너시간 먼저 도착해서 식사하고 커피한잔하고 기다리는 분들과
    일부러 시간에 딱 맞게 오는 분들...
    심지어 자기는 그 스릴을 즐긴다며 자기모에화 하는 분들 있는데,
    그러다가 놓치면 저렇게 됩니다. 공항까지 차가 막히거나 환승이 늦어지는 건 어쩔수 없지만
    일부러 그러지는 맙시다ㅠㅠㅠ

  • @Drunken_GoeRoe_SSuggle_Yoon

    볼만 합니다
    계속 만드세요

  • @ASIANA_AIRLINES
    @ASIANA_AIRLINES 4 роки тому +1

    늦으면 늦을 수록 항공사 입장에선 손해졍.. APU시간,텍시웨이에서 대기하는시간 딜레이를 줄이기위해 CI값을 올리는현상... 만약 기상이 안좋으면 몇분차이로 이,착륙이 가능할수도 있고 불가능할수있고
    좋은영상 보고감니당~! 혹시 인천게이트에 관련된 영상은 언제 올라올까영??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대본정도만 대충 만들어 놓았는데 재미없는 내용같아 보류중에 있습니다.

    • @ASIANA_AIRLINES
      @ASIANA_AIRLINES 4 роки тому +1

      @@user-ic8cz1qs8k 아하 그렇군용ㅎ ㅎ
      가랑비님 영상 내용과 관련이 없지만 궁금해서 질문드려봅니다 그 현실에서도 라이트는 랜딩라이트 택시라이트 로그라이트 비콘라이트 윙라이트 nav라이트 가 있잖아요 근데 그중 윙라이트는 회사마다 선택사항인가요?
      실제 인천 야간이착륙을 봤는데 예를들어 아시아나를 들면 A321은 랜딩라이트가 윙라이트를 대신한다고하지만 A330 A350 A380 B777 같은기종은 랜딩라이트로 엔진확인이 불가하더라고여 근데 그러면 윙라이트를 써야하는데 윙라이트가 있어야할 위치를 봤는데 그쪽에서 불빛이 없더라고여 다른 외항사는 켜져있는걸 확인했는데 개속 찾아보고있지만 현제 에어라인에 종사하고있지않는이상 잘 모르시고계시는분이 많아서 여쭈어 봅니당.....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ASIANA_AIRLINES wing light 가 옵션인지는 모르겠지만 보통은 다 가지고 있습니다. 야간에 wing light를 키고 안키고는 회사규정에 의한 절차이거나 혹은 PIC(Pilot In Command)에 의해 키게 되며, 보통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야간에 엔진이나 윙을 확인해야하는 일이 없다면 꺼져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ASIANA_AIRLINES
      @ASIANA_AIRLINES 4 роки тому +1

      @@user-ic8cz1qs8k 그렇군요 소형기체들은 랜딩기어쪽에서 불을비춰 엔진확인하는게 보이지만 나머지는 안보여서 궁금해서용..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오늘 크리스마시인데 좋은 하루 보네세용~!!!

  • @user-mw3qc8yw9d
    @user-mw3qc8yw9d Рік тому

    도심공항에서 체크인하고 짐도 부치고 출국심사까지 했는데 인천에 두시간 전에 도착했음에도 시간이 모자랐어요 ㅎ lcc라 기내식이 없으니 미리 밥 먹고 타러거자~ 했는데 도착하니 벌써 보딩중 ㅎㅎ 아니 삼십분 정도 여유 있다 생각했는데 맘이 급해졌었네요 ㅎ 말씀하신대로 단거리 노선 오전시간이라 그랬나봐요 ㅎ 덕분에 정시출발하고 빨리 도착했네요~

  • @whobecomes
    @whobecomes 2 роки тому

    공항을 크게 짓고 지을 떄는 확실하게 활주로를 여러 개 해 놓는 것이
    항공사 입장에서는 가장 좋은 대안이겠네요.

  • @mintchocoL_
    @mintchocoL_ 4 роки тому +1

    오랜만입니다

  • @redcarpetJH
    @redcarpetJH 4 роки тому +3

    그렇군요. 비행기 시간표를 보다보면 순서가 있는데 나중 편수가 일찍 출발하는데에는 이유가 있었군요. 김포나 인천의 경우에는 비행기 러시아워도 있지만 카운터에서 길게 줄 서는 사람들 보면 애가 타는 것도 있어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 @user-pv9cn5nk1s
    @user-pv9cn5nk1s 4 роки тому +11

    인천이랑 김해는 진짜 여기 저기 찾는사람들 때문에 시끄러워뒤짐ㅋ

  • @uflix4491
    @uflix4491 3 роки тому +1

    비행기인데도 자가용처럼 생각하고 타는 사람들이 문제죠.. 기차는 늦어도 출발하지만 비행기는 기다려주는 여지가 있으니 그런 걸 수도 있고요. 전 그냥 비행기 딱 생각하면 거기에 붙는 수많은 인력들을 생각해서라도 항상 30분 전에 타는데..

  • @yanggun1004
    @yanggun1004 4 роки тому +2

    무주수하물 때문에 사고난 사례가 에어인디아 182편 폭파사건이고, 그 이후에도 강화되지 않았다가 팬암기 103편 폭파사건으로 무주수하물은 더이상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 @user-rz5oi6qn1z
    @user-rz5oi6qn1z 4 роки тому +1

    어쩐지 왜 이륙안하나했네
    이거보니 이해가네요

  • @LanguageMaster
    @LanguageMaster 4 роки тому +1

    영상 잘 봤습니다! 몇 가지 질문이..^^
    1. 수하물이 없는 승객이 지각을 하는 경우에는 보통 이륙시간이 되면 승객을 기다리지 않고 정확히 이륙을 하는지요?
    2. 이건 경험인데요. 환승이 촉박해서 승객인 저는 뛰어서 탑승을 했는데, 수하물은 환승이 되지 않고 그 다음 비행기로 오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엄밀히 따지면 이것도 그 다음 비행기가 무주수하물을 싣고 출발하는게 되는데요.
    이런 경우에 적용되는 예외 법칙이 존재하는거겠죠.?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1. 경우에 따라 혹은 항공사에 따라 다릅니다. 가장 좋은건 출발시간이 아닌 보딩시간까지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짐은 다른 편명으로 전달될 수 있고 해당 관련 법규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 승객이 짐이 다른 편명으로 전달 될 것을 사전에 모르고 있어야 합니다(테러의 위험 때문에)

    • @LanguageMaster
      @LanguageMaster 4 роки тому +1

      @@user-ic8cz1qs8k 아 그런거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alankim6016
      @alankim6016 2 роки тому +2

      미탑승 승객의 수하물 여부는 미탑승이 결정되었을 때 수하물을 찾아 내려두는 시간 차가 있을 것이라는 전제로 질문하신 건데요, 수화물 찾는 추가로 걸리는 것은 맞습니다. 반면 기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화물칸은 구간이 나뉘어 있고 승객의 수화물이 어느 구간에 있는지 알기 때문에 미탑승 승객의 수화물을 찾는데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아요. 물론 Case by case 입니다. 지연의 사유는 모든 승객 탑승 후라도 기상, 공항혼잡도, 지상서비스 준비 상태 등에 따라 추가될 수 있으므로 수하물 없는 승객을 미탑승 시켰다고 반드시 정확한 이륙(정시 이륙)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 @user-gu5bd7fe2k
    @user-gu5bd7fe2k 4 роки тому

    다 이유가 있었구나~~~

  • @plotsame3373
    @plotsame3373 4 роки тому +1

    궁금한 게 하나 있습니다. 보통 비행기를 예매하게 되면 몇시 몇분에 도착한다고 예상 시간도 뜨잖아요? 그런데 예전에 2시간 정도 시간이 예정되어있던 비행기가 원래 일정보다 30분 정도 늦게 떴는데도 도착시간은 예상 시간과 똑같았거든요. 즉, 총 비행 시간이 2시간이 걸린다고 예상하고 있었는데, 1시간30분만에 도착한 것이죠.
    이런 경우에는 항공사가 원래 비행시간은 1시간30분인데 거기에 평상시 이 시간대가 붐비는 것과 관제탑의 이륙 허가 타이밍 등을 미리 계산해서 그것을 전부 크게 포함해서 넉넉잡아 2시간으로 사전 도출해서 알려준 것인가요, 아니면 파일럿 분이 좀 무리(?)하셔서 좀 빨리 비행을 하신건가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1. STA와 ETA의 차이
      STA(Scheduled Time of Arrival)는 스케쥴상의 도착예정시각, ETA(Estimated time of Arrival)은 항공기가 실제운항하여 도착예정시간을 말합니다. STA는 보통 ETA보다 여유롭게 잡히는 편입니다. 제트기류등의 영향으로 시간이 많이 바뀔 수 있습니다.
      2. 예정된 순항 속도보다 조금 빠르게 가기
      이 방법은 사실 그렇게 효과적이지는 않습니다. 보통 순항에서는 2시간 비행이면 5분 정도 당길 수 있습니다.

  • @user-sh8lg5xd2n
    @user-sh8lg5xd2n 4 роки тому

    영상 잘 봤습니다.....미소 가득한 행복한 새해 되세요..^..~

  • @user-pb3ib4ly3i
    @user-pb3ib4ly3i 3 роки тому

    인천공항은 규모도 크고 수속이 참 빠른편입니다. 신치토세에서 3시간전 도착했는데도 면세점 구경도 못한거 생각나네요 2번이나..

  • @user-pv9cn5nk1s
    @user-pv9cn5nk1s 4 роки тому +1

    무주수하물은 처음알았어요

  • @moontracer
    @moontracer 3 роки тому +2

    그렇다면 비행사는 무주수하물의 보안문제 때문에 수하물을 꼼꼼하게 관리한다는 뜻인데요. 가끔 인터넷에 보면 자신의 수하물이 엉뚱한 비행기에 실려서 다른 곳에 가는 케이스가 있는데요. 이러면 무주수하물이 다른 비행기에 실렸다는 뜻 아닌가요?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 @yanggun1004
    @yanggun1004 4 роки тому +2

    3:45 에어인디아 182편 폭파사건이 실제 무주수하물에 의한 사고입니다.

    • @TV-og3oc
      @TV-og3oc 4 роки тому

      @Baba Yaga 스캔 했는데, 당시 폭발물 탐지 기술이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어서....그냥 보냈다고 합니다. 여담으로, 당시 범인은 비행기 1대를 더 테러하려고 했다 합니다. 나리타공항 테러사건 검색해 보세요.

    • @storyflight8762
      @storyflight8762 4 роки тому

      @@TV-og3oc 그리고 팬암 103편도 폭팔했죠...같은 방법으로요.
      그 뒤로 더 이상 무주 수화물과 같이 가는 일은 없게 되었죠.

  • @rodumani
    @rodumani 4 роки тому +3

    혹시 1:21초에 인천공항 일어스티는 직접 제작하신건가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3

      네 그렇습니다. 영상의 모든 일러스트는 제가 제작했습니다.

  • @solcamino5343
    @solcamino5343 4 роки тому +1

    탑승 지연도 없고 승객입장에서는 모든 것이 정상적인거 같은데 이해 할 수 있는 설명없이 한 30~40분씩 애매하게 늦는 경우.... 정말 맨붕이었습니다. 그래서 두어번 겪은 뒤로는 무조건 도착시간 2시간 정도는 그냥 일정을 비워두지요.. 최대 서너시간까지도 비워두는 경우도 있어요. 막연히 무언가 사정은 있으리라.. 하는게 속편함.

  • @hjh8792
    @hjh8792 4 роки тому +17

    연예인들 특히 가수들이 공항 늦게 도착하면 매니저들이 수화물먼저보내놓고 비행기 일부러 잡아놓는다고하죠

    • @DHShin-wn4wr
      @DHShin-wn4wr 4 роки тому

      ㄹㅇ 양아치들이네요

    • @user-lp3my2ly9v
      @user-lp3my2ly9v 4 роки тому +1

      그래서 그 짐들은 따로 처리한다는 말도 있습니다

    • @SmithPole
      @SmithPole 4 роки тому

      근데 수하물을 부치려면 체크인때 부쳐야하는데, 보딩패스 받을 때 본인 아니면 안주잖아요?? 근데 수하물을 매니져가 어떻게 부쳐요??? 본인게아닌데...??

    • @luansen0
      @luansen0 4 роки тому

      연예인마다 다를거긴한데 유명할 수록 특권같은거 있긴하죠.
      유명해서 특권이 주어졌다기 보다 유명하기때문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일반인에 불편을 주지 않는 선에서 혜택이 주어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소위 급낮은 연예인은 일반인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고..

    • @ChoiPQ
      @ChoiPQ 4 роки тому

      요즘은 본인확인해야, 표주고 짐넣습니다.

  • @JW-7
    @JW-7 4 роки тому +1

    흑흑흑 반성합니다

    • @user-vd5kw4qy7j
      @user-vd5kw4qy7j 3 роки тому

      지각을 하섰나 보군요.... ㅎㅎ 반성하면 됐죠 뭐

  • @romeokilo6640
    @romeokilo6640 4 роки тому +2

    가랑비님 공항 터미널에 붙어있는 게이트가 있고 버스가 와서 타고 가서 탑승하는 게이트 두 종류들이 있잖아요. 근데 걔네들 정식 명칭은 뭔가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2

      보통은 탑승교를 브릿지라고 하고 브릿지가 있는 곳을 게이트(gate)라 합니다. 버스로 이동하여 스탭카를 통해 비행기에 타는 곳은 리모트 스탠드(remote stand)라고 합니다.

    • @romeokilo6640
      @romeokilo6640 4 роки тому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 @brillian2you
    @brillian2you 4 роки тому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국 국내선 주요 노선(김포-제주)에서 항공사를 가리지 않고 수시로 15~20분의 출발 지연이 생기는데, 가장 그럴듯한 이유는 무엇이 있을까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보통은 항로와 공항혼잡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 @hkthedev
      @hkthedev 3 роки тому

      김포-제주 항로는 세게에서 가장 혼잡한 노선으로 매년 꼽히고 있습니다

    • @alankim6016
      @alankim6016 2 роки тому +1

      그 비행기가 그날 처음으로 운항하는 노선이 아니라면 어딘가로부터 도착한 비행기(예를 들어 제주-김포 도착)가 다시 김포-제주로 연결됩니다. 이를 연결편이라고 하는데 앞서의 연결편이 지연되면 후편의 지연으로 연결되는 것이죠. 수시로 15~20분 발생되는 주된 이유일 것입니다.

  • @turboromy
    @turboromy 2 роки тому

    혹시 원래시간보다 탑승이 먼저 끝나게 되면 일찍 출발하는 경우나 있나요? 비행기 안에 일찍 들어가 있고 싶지는 않아서 바로 안가고 5~10분쯤 전에 도착했던거 같은데 이름대면서 맞냐고 해서 네 하니까 무전기로 "탑승완료" 하시고 바로 문 닫으시더라구요.

  • @user-rm9cr2ne8s
    @user-rm9cr2ne8s 3 роки тому +1

    홍콩에서 A380 No Show 승객 발생해서 무주수화물 내리느냐고 진짜 delay 엄청 됐는데.....그것도 이젠 그립다. 코로나 빨리 사라지길 희망하며 잘 봤습니다.

  • @snowflakeperv
    @snowflakeperv 4 роки тому +1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드네요.. 첫비행기때. 너무 이른 시간에 잡아서.. 경험미숙으로 놓쳤었는데..
    1명으로 저런 꼴 당한다고 생각하니 어후..

    • @topbest21c
      @topbest21c 4 роки тому +2

      체크인(발권) 안하고 놓친 비행기에는 아무런 영향 없습니다. 아마 눈꽃변!태! 님때문에 피해는 없었을거에요 ㅎㅎ

  • @user-yx6sr4dq3z
    @user-yx6sr4dq3z 4 роки тому +9

    러시아워 라길래 러시아 비행기 입국이 되게 복잡한가 보네 라고 생각했는데 ㅋㅋ

  • @zxcvqwer8437
    @zxcvqwer8437 4 роки тому

    아오.....상파울루에 사는데....상파울루 공항 좀 답답해요 ㅠㅠ 방송 자체가 안나오고......비행기 지연이 좀 잦아요 ㅠㅠ

  • @letahy8853
    @letahy8853 4 роки тому +1

    예정 시간보다 늦게 출발한 비행기가 어떻게 더 빨리 도착할 수 있는건가요?
    (가끔 심심할 때 flightradar24를 보는데, 예정시간보다 20분 늦게 출발한 항공편이 도착지에 5분 일찍 도착하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보통 제출된 플랜의 도착시간은 도착예정시간으로 실비행의 도착시간과는 다릅니다. 보통은 예정시간은 좀 더 여유를 잡는편입니다.

    • @letahy8853
      @letahy8853 4 роки тому +1

      @@user-ic8cz1qs8k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ㅎ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intj9639
    @intj9639 2 роки тому

    지방 국내선의 경우 15분 전 보딩 시작할 때도 있습니다. 사정이야 있겠습니다만 뒤에 스케줄이 있는 사람이라면 어휴…. 너무 쫄깃해여

  • @sindorim_
    @sindorim_ 4 роки тому +1

    공항 시스템을 유튜브에서 배우게 될지 상상도 못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 시스템을 알게 되니 우리나라 인천공항이 얼마나 편한지 다시한번 알게 되네 동남아 몇몇 공항은 에어컨도 안틀어져 있고 맨날 공항에 도착해도 하늘에서 뺑뺑이 돌다가 내림;;

  • @youngchae7468
    @youngchae7468 4 роки тому

    휴대폰에 공황안에만 쓰는 앱이나 연락 번호를 주면 안되나 가령 찾아갈수있는 게이트 코스도 알려주고 시간도 알려주어 빨리탑승가능 하도록 그리고 쇼핑도 앉아서 스마트폰으로 하도록하면 될텐데

  • @polska9333
    @polska9333 4 роки тому +4

    rush hour 을 rusia war로 생각햇엇네요 ㅋㅋㅋ

  • @Myung0505
    @Myung0505 4 роки тому +1

    기다렸습니다!!
    항공기가 왜 태평양 상공을 플라이트 안하는지 알랴주세용~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4 роки тому +1

      말씀해주신 EDTO는 생각해보겠습니다.

    • @jpmorgenmorgen7959
      @jpmorgenmorgen7959 4 роки тому

      그거는 타 유튜브 정보 사이트에 가면 있어요 .한마디 기억 낳은건 혹시 태평양 상공에서 문제가 생겼을 경우 가까운 척륙 공항 찾기가 어렵고 바다속애 뻐지는것보다 육지에 불시착 하는게 찾기가 수미다고 들었네요

    • @user-xv7dk3op8w
      @user-xv7dk3op8w 4 роки тому +1

      항공기가 엔진 하나로 얼마나 비행할 수 있는가의 기준(?)을 ETOPS라고 합니다.
      이게 90분이냐 280분이냐 등등 시간에 따라 나뉘는데요, 해당 기종의 비행 가능 시간에 맞춰서 항로를 짜야 합니다. 90분짜리 비행기로 항로를 짰는데 근처 어느 한 지점에서 최단공항까지 100분이 걸린다 그럼 항로를 변경해야 하죠.
      근데 태평양 상공을 지나게 된다면, 비상시에 착륙할 만한 공항이 없습니다. 따라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항로는 불가능하죠.

  • @N.A665
    @N.A665 Рік тому

    중국비행기는 시간되면 얄짤없이 문닫고 출발 하더군요.
    국내선 비행기였는데, 무주화물은 어떻게 처리하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 @soniatwo5857
    @soniatwo5857 4 роки тому +3

    몇년전에 j항공. 중국인3명 쇼핑하다 늦게와 3명뺀 꽉찬뱅기서 한시간넘게 기다림. 짐빼는 방법 잘안쓰는듯.

    • @user-vd5kw4qy7j
      @user-vd5kw4qy7j 3 роки тому

      와....5분도 아니고 1시간 쭝꿔답다

  • @Natara65535
    @Natara65535 3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승객입장에서도 짜증나죠 쇼핑하느랴고 늦은사람때문에 두시간 기다린적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