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양 심해에 이산화탄소 창고가 있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85

  • @강정원-h5l
    @강정원-h5l 2 місяці тому +36

    해저 화산 활동과 해저 용암 분출로 인해 방출되는 이산화탄소(CO₂)의 양은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우나, 연구에 따르면 이는 육상 화산 활동에서 방출되는 양과 비슷하거나 약간 더 많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 지구 탄소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추정 방출량
    연간 방출량:
    해저 화산과 용암 분출로 인한 CO₂ 방출량은 연간 약 0.1~0.2 기가톤(Gt)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체 지구 CO₂ 배출량(약 40 Gt, 주로 인간 활동에 의한 것)의 약 0.25~0.5%에 해당합니다.
    비교:
    육상 화산 활동: 연간 약 0.2~0.3 Gt CO₂ 배출.
    인간 활동(화석연료 연소, 산업): 연간 약 37~40 Gt CO₂ 배출.
    주요 방출 메커니즘:
    해저 용암 분출에서 방출되는 CO₂는 대부분 바닷물에 용해되거나 해저 암석에 흡수됩니다.
    일부는 열수 분출구(hydrothermal vent)를 통해 방출되며, 이는 지역적으로 CO₂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바다의 흡수 역할과 균형
    해저 화산과 용암 분출이 CO₂를 방출하지만, 바다는 동시에 전 세계 CO₂ 배출량의 약 25%를 흡수하기 때문에 방출량보다 흡수량이 더 클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해저 용암 분출의 CO₂ 방출량은 비교적 적으며, 대기 중 CO₂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인간 활동에 비해 미미합니다. 그러나 해저 화산 활동은 해양 화학, 순환, 그리고 장기적인 지구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해저 화산 활동과 해저 용암 분출로 인해 방출되는 이산화탄소(CO₂)의 양은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우나, 연구에 따르면 이는 육상 화산 활동에서 방출되는 양과 비슷하거나 약간 더 많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 지구 탄소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추정 방출량
    1. 연간 방출량
    - 해저 화산과 용암 분출로 인한 CO₂ 방출량은 연간 약 0.1~0.2 기가톤(Gt)으로 추정됩니다.
    - 이는 전체 지구 CO₂ 배출량(약 40 Gt, 주로 인간 활동에 의한 것)의 약 0.25~0.5%에 해당합니다.
    2. 비교
    - 육상 화산 활동: 연간 약 0.2~0.3 Gt CO₂ 배출.
    - 인간 활동(화석연료 연소, 산업): 연간 약 37~40 Gt CO₂ 배출.
    3. 주요 방출 메커니즘
    해저 용암 분출에서 방출되는 CO₂는 대부분 바닷물에 용해되거나 해저 암석에 흡수됩니다.
    일부는 열수 분출구(hydrothermal vent)를 통해 방출되며, 이는 지역적으로 CO₂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바다의 흡수 역할과 균형
    해저 화산과 용암 분출이 CO₂를 방출하지만, 바다는 동시에 전 세계 CO₂ 배출량의 약 25%를 흡수하기 때문에 방출량보다 흡수량이 더 클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해저 용암 분출의 CO₂ 방출량은 비교적 적으며, 대기 중 CO₂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인간 활동에 비해 미미합니다. 그러나 해저 화산 활동은 해양 화학, 순환, 그리고 장기적인 지구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yurij746
      @yurij746 Місяць тому

      해저 용암 분출의 급격한 증가로 바닷물이 1도 올라 간다면 더워진 물 (지구전체의 바닷물)에서 발생하는 CO2 양은?

    • @아재-r9d
      @아재-r9d Місяць тому

      이산화탄소가
      가장 많이
      묻혀 있는곳은 바다
      육지는 시베리아/ 북극

    • @dokdo-is-korean-territory
      @dokdo-is-korean-territory Місяць тому

      뭐 증거도 없이 길게도 쓰네

  • @테마테마-t2x
    @테마테마-t2x 26 днів тому

    우리나라는 더무 추워 기온 좀 올라도 될것 같은데~

  • @youngsamsong9993
    @youngsamsong9993 Місяць тому +5

    신경쓰지말자.
    그냥 살다 죽으면 된다.
    우리가 그런 것을 해결할 수 없다

  • @다들비슷하게늙어가네
    @다들비슷하게늙어가네 2 місяці тому +8

    박문호 선생님 만수무강하십쇼.

  • @hoyoungshin731
    @hoyoungshin731 2 місяці тому +10

    그 마그마는 내가 막으마

  • @정보강-e9l
    @정보강-e9l 2 місяці тому +18

    이산화탄소의 급격한 증가로 온실효과가 발생하고 그 급견하는 온도 상승으로 많은 동물들이 적응을 못하고 죽었는데 그 대표적인 동물이 매머드임, 불과 1만전에 이런 급격한 온도 상승이 있었음. 인간이 가속 페달을 발은건 맞지만 이미 지구온난화는 꽤 속도가 높은 편이었음

    • @캠핑조아-k5g
      @캠핑조아-k5g 2 місяці тому +3

      지금이 빙하기인데 역으로 기온이 상승하는겁니다.

    • @연속성
      @연속성 2 місяці тому +1

      @@캠핑조아-k5g 간빙기 아님?

    • @Uber-mensch
      @Uber-mensch 2 місяці тому +3

      그리고 기온이 높아지면서 자구에 생명체들은 넌처남.
      기온상승에 적응 못한 몇 종류를 제외하고 전체 생명체의 99%는 폭발적으로 증가했음.
      지금 이 순간에도 극 지방보다 적도부근에 생명체가 압도적으로 많고 다양함.
      우리나라(한반도)만 보더라도 기후적으로 보면 함경도, 평안도 보다는 경기도가 살기 좋고 경기도 보다는 전라도, 경상도가 더 살기 좋음.
      식물 개체수와 종류만 봐도 알 수 있음.
      정말 지구온난화가 지구 생명체에 악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건가?

    • @김지은-l4h4b
      @김지은-l4h4b 2 місяці тому +1

      ​​ 학자들이 왜 온난화를 걱정하는지 궁금하거나 틀렸다 생각들면 찾아보셨음 좋겠네요

    • @InitialJKJ790
      @InitialJKJ790 2 місяці тому +1

      급격한 변화가 만년단위냐 백년단위냐다. 분모 수준이 다른데 적응 될 것 같아?

  • @제세이화
    @제세이화 2 місяці тому +12

    산소도 이산화탄소도 바다에서 가장많이 나옵니다.

  • @황돈데크만
    @황돈데크만 2 місяці тому +1

    해수온이 올라가면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주요원인

  • @warden5055
    @warden5055 2 місяці тому +8

    박문호선생님?

  • @박인선-i5k
    @박인선-i5k 2 місяці тому +6

    이산화탄소가 지구주인. 인간도 만들어준 위대한 기체? 온난화 주범은 결코 아니죠? 과학 대중화위해 겸손에도 나와주시고

  • @만렙몽이
    @만렙몽이 2 місяці тому +10

    근데 그건 바다에서 나온건 바다가 거의 흡수 한다.

  • @행복창조-f9j
    @행복창조-f9j Місяць тому

    이산화탄소 온실효과는 구라다....

  • @gcg3208
    @gcg3208 2 місяці тому +5

    그러면, 화석연료도 조족지혈...

  • @michaelcho804
    @michaelcho804 2 місяці тому

    그말은 별짓을 해도 온난화를 막을수 없단건가?
    인구줄고 나무 졸라 심는거 밖엔 없나?

  • @ninzacap
    @ninzacap 2 місяці тому

    각자도생 합시다

  • @데스나이트-e4g
    @데스나이트-e4g 2 місяці тому +1

    가장 큰 부분은 동물의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벌목/동물사육을 늘림으로 인한 벌목/그리고 사육되어지는 동안 발생하는 동물들의 똥입니다..... 나무가 산소발생을 하지만 총 산소생성량에 비해 적다고 합니다...낮에는 산소를 발생하지만 밤에는 이산화탄소빌생, 하지만.. 매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있는 동물사육농지...잘려나가는 나무들,불타버리는나무들,사육중인동물들의 대변... 두배효과로 증가시켜버림...그리고 사막화...국민학교때... 선생님이 말씀해주더라구요...
    실제 이산화탄소의 창고는 사람들이 만들어간답니다...

    • @khc7703
      @khc7703 2 місяці тому

      그게 아니고 영상에서 바다에서 나온다잖아요

    • @데스나이트-e4g
      @데스나이트-e4g 2 місяці тому

      @@khc7703 사실 바다에서 생성되는 산소가 대부분이기에... 무시해도 되는 수준이란건... 알사람들 다 앎..... 산소는 나무보다 바다에서 만들어지는게 대부분입니다...전체 지구의 75%산소가 바다에서 생성되어진다...그 산소로 이산화탄소를 많이 품는거고....

  • @chans-k4w
    @chans-k4w 2 місяці тому +4

    온실효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물질은 수증기라고 하네요. 문제는 현재 인류기술로는 이걸 제어할 방법이 없는지 고정상수로 보고 언급 자체를 안하죠.
    나머지 10%중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등등 온갖 것들이 있는데, 이런 것들은 온실효과의 원인물질이기도 하지만 결과물이기도 하다네요
    이산화탄소가 늘어나면 온도상승하지만, 온도상승하면 땅속 돌속 바닷물속의 이산화탄소가 늘어나기도 한답니다. 어느게 우선인진 현재 기술로는 알 수 없답니다. 단지 확실한건 결국 이산화탄소가 늘어날 수록 온도상승할거란거
    더더욱 확실한건 이산화탄소따위가 아니라 수증기에 의해 원래부터 지구기온은 오르고 있다는거
    마치..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중국 미세먼지에는 눈 질끈 감고, 국내자동차와 공장의 매연이 미세먼지탓이라며 자동차요일제 만들어 강행하던 그 정권의 시각과 유사하죠.
    참고로 기온이 빠르게 올라간다며 가파른 곡선이 그러진 그래프 대충 보지말고 자세히 보세요. 얼마나 가파른진 학자들마다 다른데,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의 예측에 따르면 100년에 0.5도-1도 사이입니다. 그게 최악의 시나리오입니다. 1000년이면 10도 올라갈거라는거죠. 다 죽을거라는 주장을 하죠. 하지만 개인입장에선 100년을 살아도 1도의 변화도 체험하기 어렵다는거죠. 그게 미국 반탄소파 학자들의 주장이죠
    그정도면 대부분의 인간들을 충분히 적을할 수 있을거라네요.
    마치...티끌이 모이면 테산될거라는 시각과 티끌은 모여봤자 결국 티끌이다라는 시각 차이?

    • @motion9426
      @motion9426 Місяць тому

      근데 그 1도 변화로 인해 재난이 찾아 오는거 아닌가요? 태풍, 가뭄, 화재, 홍수,바다화 등등 비약적으로 늘어날거 잖아요

    • @chans-k4w
      @chans-k4w Місяць тому

      @motion9426 그런 재난들은 없건레 생기는게 아니고 원래부터 있어왔건겁니다. 고작 1도 차이로 폭증할거란건 과장이라 봐요. 최익의 경우 100년에 1도까지 서서히 변화하며 그에따라 전재지변이 일어난다한들 딱 그정도변화만큼 일어나는거지 폭증할거란건 명백히 과장선동이라 봅니다. 아마도 그 시절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그런 변화는 인식도 못할겁니다.

    • @motion9426
      @motion9426 Місяць тому

      @chans-k4w 근데 실제로 북극이 엄청난 속도로 녹고 있고 한기가 밑으로 쏟아지잖아요
      눈으로 확인 가능할 정도예요
      만년동안 4도가 올랐는데 100년동안 1도 오른게 과연 영향이 없다고 자신할 수 없죠

    • @chans-k4w
      @chans-k4w Місяць тому

      @motion9426 북극이 빠른 속도로 녹고있다는 코멘트 자체도 믿기 어려워요. 예전엔 북극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있다며 온갖 사진들과 자료들도 많았거든요. 두 주장의 공통점은 절대 남극대륙은 언급안한다는거.
      기후의 변화는 수백수천년을 걸쳐 서서히 일어나는데 반해 인간의 수명은 고작 100년도 안되죠. 그 변화를 인간이 체감할 수 없으니 막연하게 두려원만 한다는겁니다. 물론 어떤이는 그 수백수천년마저도 그래프 단위를 100만년 단위로 그려놓고는 기후가 근래들어 아주 가파르게 올라간다고도 주장하던데..
      결론은 지구의 기후변화는 그게 자연현상이라는겁니다. 자연스런 현상이죠. 인간이 어떻게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죠. 지구에 얹혀 기생중인 인류는 그냥 지구에 따라갈 적응해나갈뿐. 먼훗날 인류의 기술이 지구의 에너지 자체를 통제하는 수준까지 올라간다면 몰라도

    • @motion9426
      @motion9426 Місяць тому

      @@chans-k4w 그냥 검색해서 사진 보세요~ 남극도 녹고 있다는데요... 실제 녹색화 진행중이고 모기떼가 출몰했구요. 눈으로 보시고도 못믿으시면 어떡해야할지 쩝..
      온도 변화도 자연적이든 인위적이든 오른게 사실이고 대륙이 잠기고 재난이 늘고 있다면 늦추는데 노력해야 하는게 당연한거 아닙니까? 자연현상이야 그러니까 그냥 막써~ 하던데로 다해~가 맞는건가요?

  • @김한수-z4p
    @김한수-z4p 2 місяці тому +1

    대기와는 큰 연관성 없다던데?

  • @찬스찬
    @찬스찬 2 місяці тому

    그럼 이산화 탄소로 기온이 올랐다면
    현재 기온1도 올리는데 약(인간이) 100년걸렸다고하는데 그전에 해저에서 탄소를 소량 배출한게 아닌가???
    지구나이도있고.

  • @coc0c0co
    @coc0c0co 2 місяці тому +24

    온실가스 감축 시도는 의미없다
    이런 이야기로 귀결되는 것 같은데

    • @sisyphos7777
      @sisyphos7777 2 місяці тому +6

      월말 다른 편에서 박문호박사님이 빙하기 주기와 인류세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산업혁명이후 급격하게 대기중 탄소농도가 올라갔다는 설명 합니다.
      즉, 지구는 빙하기와 온난기를 반복하는데 현재의 기온상승은 인간의 산업화로 인한 탄소배출이 원인인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 @둘리-m5o
      @둘리-m5o 2 місяці тому +1

      자들 깨시민 아닌가?

    • @tashitelek
      @tashitelek 2 місяці тому +2

      저건 지구 수억년 기본값. 산업혁명이후 추가로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문제가 있는건 맞음

    • @앤디후욱
      @앤디후욱 2 місяці тому +1

      @@둘리-m5o 응 넌 들깨시민

    • @ian9magic
      @ian9magic 2 місяці тому

      결론은 인류의 탄소배출이 문제인 거 맞습니다.

  • @하울왕자
    @하울왕자 2 місяці тому +12

    해저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도 물에 녹아요

    • @차현섭-n8n
      @차현섭-n8n 2 місяці тому

      그걸 먹고 싸면 대기로 방출되것죠

    • @황돈데크만
      @황돈데크만 2 місяці тому

      봤어요? 하나도 없이 다 녹는거?

  • @puckinghand
    @puckinghand 2 місяці тому +1

    오 마이 씨오투

  • @sorakami
    @sorakami 2 місяці тому

    그럼 저사이에 있는 어류들은 이산화탄소로 호흡함??????? 저렇게 이산화탄소가올라오면 호흡이 가능함?

  • @석전73
    @석전73 2 місяці тому +5

    오 마이 사이언스!

  • @miyeella8421
    @miyeella8421 2 місяці тому +3

    화산이던 사람이던 무슨 탓을 하던 사람이 해결해야되는 문제 아닌가? 어디서 트럼프 쉴드를 쳐. 다 죽게 생겼는데 우리라도 줄여야지...우리는 뭐 산소 뿜어냈냐?

    • @richw8699
      @richw8699 2 місяці тому +1

      사람이 해결해야 된다는 명제는 맞는말인데
      그해결하눈 방법에 문제가 엄청 많은것은 한개도 모르지 ?
      트럼프고 나발이고
      탄소세 거두어 들이는 세계 국세청이
      인천 송도에 있고 , 탄소세가 어디에 쓰이고 있는지 알면
      그런말을 하지 못할거다

    • @miyeella8421
      @miyeella8421 2 місяці тому

      @richw8699 뭐래냐...ㅡㅡ. 그러면 그냥 두냐? 문제가 많으니 그냥 포기해? 더워 죽게 생겼는데 그냥 말아? 뭐 이런 짱찐이 있어.

  • @포도대장-p6u
    @포도대장-p6u 2 місяці тому

    막아라

  • @로비스트-j4g
    @로비스트-j4g 2 місяці тому +1

    암튼 온난화로 지구 온도 상승 했다가
    빙하기로 가는건 맞는듯

  • @catcatcatcat981
    @catcatcatcat981 2 місяці тому +5

    쇼츠만 보고 ㅋㅋㅋ 저사람은 박사야

    • @HSG868
      @HSG868 2 місяці тому

      전자공학 박사가 화산활동 전문가? ㅎㅎ

  • @juhyunglee2668
    @juhyunglee2668 2 місяці тому +4

    환경론자가 싫어하는 영상입니다.... 감히 온실효과를 건들다니 ㅋㅋㅋㅋ

  • @soo8695
    @soo8695 2 місяці тому +1

    바다때문에 이산화탄소도 만들어지지만 산소도 만들어짐

  • @안현민-n3c
    @안현민-n3c 2 місяці тому +1

    그러니깐. 우리는 신경 쓰지 말고, 화석 연료 펑펑 쓰면 되는 거네요 ~ 좋네요. ~~ 디젤차 환경 개선 부담금 내지 맙시다.

  • @Sam-hs2zy
    @Sam-hs2zy 2 місяці тому +3

    지금 덥다고 난린데 쌀농사는 더워야 잘된다 그리고 조금만 추워지면 조선시다 경신대기근 식인시대 가는거다

    • @ian9magic
      @ian9magic 2 місяці тому

      조선시대에 사시는 거 같네요.

    • @별헤는밤-t8y
      @별헤는밤-t8y 2 місяці тому +1

      에휴~ 이런 걸 댓글이라고 달고 있니?

  • @쉼표-b2d
    @쉼표-b2d 2 місяці тому

    호호~오

  • @smamets
    @smamets 2 місяці тому +2

    사회자 목소리가 김어준 같은데?
    이 얘기 믿을 수 있나?

  • @keithcho4535
    @keithcho4535 2 місяці тому +5

    바다밑에 산소도 많다메??
    그건 왜 빼놓누??

    • @WalkLikeAnAlien
      @WalkLikeAnAlien 2 місяці тому +7

      ㅎㅎㅎ 쇼츠에서 별걸 다 바라시네..
      혹시 풀버전에는 포함되어 있진 않을까요?
      풀버전을 보세요..

    • @chans-k4w
      @chans-k4w 2 місяці тому

      바다에 산소가 많다기 보다는 산소를 민들어내는거죠. 현지구상 산소의 85% 이상은 바다의 플랑크톤이 만들어냅니다. 지상의 식물들도 만들기는 하는데 10%정도?

    • @nicg6618
      @nicg6618 2 місяці тому

      이산화탄소 자체가 산소화합물이쟎아. 굳이 말할필요 있냐?

  • @별바래기
    @별바래기 2 місяці тому

    태양광 문디같은 소리단 얘기 이니

  • @findelmundo3831
    @findelmundo3831 Місяць тому

    뭐여? 해양 이산화탄소?? 제대로 알고 얘기하자

  • @wijunjkm814
    @wijunjkm814 2 місяці тому +2

    이런 엉터리 논리를 믿는 사람은 없겠지?

  • @myungkim5703
    @myungkim5703 2 місяці тому +4

    김어준도 출연시킬만한 인물이 없어져 가고 있나보네

    • @deepfield4969
      @deepfield4969 2 місяці тому +5

      헐 박문호 박사님을 까시는거임 ㄷㄷ😮

  • @kihojoa
    @kihojoa Місяць тому +2

    지구 기온은 이산화 탄소 농도가 결정하지 않는다. 이건 구라중에 구라다.

    • @chonkkaebi139
      @chonkkaebi139 Місяць тому

      대기중 이산화탄소 비율 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