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볼펜을 발명한 연도와 관련이 있을거 같을거 같네요. 종이와 금속 볼의 마찰력으로 굴려서 글씨를 쓰는 현대식 볼펜은 1899년 헝가리 출신 유대인 언론인 라슬로라는 사람이 발명했다고 나와있는데 세계대전으로 유대인으로써 망명을 갔다가 영국의 사업가 마틴이라는 사람이 특허를 사와서 1946년 볼펜 생산을 시작하면서 대중에게 전파되었다고 합니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는 1947년에 출범하였으며, 영국은 20세기 후반에서야 야드파운드법을 버리고 미터법을 도입하였으니 그렇게 된거라고 생각이 되네요. 혹은 서양 볼펜의 이미지를 찾아보면 우리가 아는 볼펜심보다 훨씬 두껍다고 느껴시는데, 이는 서양은 주로 알파벳계열을 쓰는 나라가 많아 두꺼운 글씨를 써도 무방한거에 비해 동양권은 한자권 나라들이 많아 협소한 공간에 글자를 적어야 할 일이 많아 볼펜심이 동양권에서만 가늘어진 걸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일상 생활 중 궁금한 거 하나 있어요! 세차를 할 때 고압수세건으로 차표면을 쏘아도 큰 이물질은 떨어지지만 아주 얇은 먼지층은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습니다. 100~200bar 고압수로 씻기지 않던 이 먼지층은 손가락으로 살짝만 문질르면 쉽게 닥아지는데, 왜 강한 고압수로는 닥이지 않고 손가락으로 스치면 닥이는 건가요? 세차 유튜버 채널에 질문을 남겨봐도 속시원한 댓글이 없어 이곳에 질문드려봅니다.ㅎ
소탐대실의 거의 모든 영상을 봤지만 이렇게 마음에 들고 자세한 설명과 출처가 넉넉한 내용은 처음이다
와 진짜 정보 출처 퀄리티가 ㅋㅋㅋ
이렇게 해야 반박하기 어려우니까 정보 구하는거도 기자들이라 좀더 구하기 쉬울듯
@@johnclayton9379 그게아니라 더 정확한 정보를 주고싶은거겠죠 뭔 반박입니까
@@Hezzi09 사람들이 태클걸거나 ㅈ문가 나와서 하는말임
@@johnclayton9379 ㅇㅋ
@@Hezzi09 ㅋㅋㅋㅋㅋㅋ 빠른 수긍 멋집니다
22년도에 나타난 스펀지 아니냐구요ㅋㅋㅋㅋㅋ 레이저로 깎아낸다는게 너무 신기해요!
그냥 몇천원 더 주고 pc소재 사라.
미끄럽고 딱딱하지 않나요? @@woney3813
정보) 소탐대실은 jtbc에서 운영하는거다
ㅋㅋㅋㅋㅋㅋ 어캐 알았누
양아치아니냐? ㅋㅋㅋ jtbc라고 밝혀야지 수익은 jtbc가 다쳐먹노
@@신우현-l3x구글에 검색만해도 아는 사실이다...
헐 첨 알앗넹ㅋㅋ
저런;
결론요약: 싼 거 사서 쓰다가 누렇게 변하면 새로 사!
넘 귀찮은데
이거짘ㅋㅋㅋ
과학적 근거와 그에 따른 실행력이 정말 대단합니다 ㅋㅋㅋ
소재 신청합니다.
다리를 꼬거나 구부정하게 앉는 게 척추에 안 좋다면 왜 이렇게 편한 걸까요? 신체에 적합하지 않은 자세라면 오히려 불편해야 할 텐데 그렇지 않은 이유가 궁금해요.
반대로 꼬우면 불편해요 보통 척추랑 골반이 틀어져서요
원래 올바른 자세라는 게 근육으로 지탱하는 방식인데 편한 자세는 인대로 지탱하는 거라서 힘이 덜 들어요 대신 인대에 스트레스가 쌓이겠죠
다리를 꼬는게 편한이유가 다리를 꼬는쪽으로만 꼬게 되는데 그방향으로 골반이 틀어져서 편한거구요, 구부정하게 앉는게 편한이유는 기립근이랑 배근육에 힘이 들어가서 바른자세로 앉아야하는데 근육에 힘을 빼고 앉다보니 편하게 느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근육이 아니라 뼈로 몸을 지탱해서 그렇습니다. 근육은 편히 쉬지만 그 대가로 뼈가 뒤틀리지요
좋은자세는 연골과 인대를 사용하지 않고 근육을 사용하는 자세입니다 왜냐하면 연골과인대는 재생되지 않지만 근육은 재생되니까요.
할 수 있어도 하지 않는 게 나을 떄가 있지만,
한번쯤 해보는 사람이 나와줘야 세상이 발전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영상 잘 보고 갑니다 ㅎ
섭외력 대박이네 이채널은 거를타선이 읎음
궁금한 주제가 하나 있어서 제보드려요!
볼펜이나 펜을 만들 때, 얇은 심을 그냥 0.4, 0.3으로 하는 게 더 만들기 편할 거 같은데 왜 굳이 0.38, 0.28같은 두께를 채용하는지 궁금해요.
@아루로로로롤 웰케 꼬였냐
아마도 볼펜을 발명한 연도와 관련이 있을거 같을거 같네요.
종이와 금속 볼의 마찰력으로 굴려서 글씨를 쓰는 현대식 볼펜은 1899년 헝가리 출신 유대인 언론인 라슬로라는 사람이 발명했다고 나와있는데 세계대전으로 유대인으로써 망명을 갔다가 영국의 사업가 마틴이라는 사람이 특허를 사와서 1946년 볼펜 생산을 시작하면서 대중에게 전파되었다고 합니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는 1947년에 출범하였으며, 영국은 20세기 후반에서야 야드파운드법을 버리고 미터법을 도입하였으니 그렇게 된거라고 생각이 되네요.
혹은 서양 볼펜의 이미지를 찾아보면 우리가 아는 볼펜심보다 훨씬 두껍다고 느껴시는데, 이는 서양은 주로 알파벳계열을 쓰는 나라가 많아 두꺼운 글씨를 써도 무방한거에 비해 동양권은 한자권 나라들이 많아 협소한 공간에 글자를 적어야 할 일이 많아 볼펜심이 동양권에서만 가늘어진 걸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루로로로롤 말투 극혐이네 진짜 으
@@user-dj1ln5st7m너무행
@아루로로로롤 사과해
와 소탐대실 기승전결 완벽한 영상이었다.. 제작자 분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개인적으로도 폰을 구입할 때 받은 투명 케이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더군요.
정말 변색만 없으면 평생 쓰고 싶을 정도로 폰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 케이스 본연의
역활까지 해주는 제품이라.
역할 (ㅇ)
역 ㅘㄹ (x)
역할임
Rrrrrrrrrrrrrrryeokwal
려콸
@@리토-q5g 맞아 병아...
Pc재질 말하심?
소탐대실님!! 새제품들을 사용하기 전에 씻거나 혹은 빨아서 써야 하는지 그냥 바로 써도 되는지 궁금해요!! 새옷이라든가 샤워타올, 화장품 브러쉬, 이런 것들이요!
소중한 탐구정신
대단한 실험정신
박사님 존나 카리스마있어
아니 이 미친 퀄리티는 누구의 아이디어 입니꽈!!!👍🏼👍🏼
그럼 콤파운드로 겁나 문지르면 안돼나...?
일상 생활 중 궁금한 거 하나 있어요!
세차를 할 때 고압수세건으로 차표면을 쏘아도 큰 이물질은 떨어지지만 아주 얇은 먼지층은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습니다.
100~200bar 고압수로 씻기지 않던 이 먼지층은 손가락으로 살짝만 문질르면 쉽게 닥아지는데, 왜 강한 고압수로는 닥이지 않고 손가락으로 스치면 닥이는 건가요?
세차 유튜버 채널에 질문을 남겨봐도 속시원한 댓글이 없어 이곳에 질문드려봅니다.ㅎ
유체역학에 따르면 자동차 표면의 속도는 0이므로 세척수를 쏘아도 표면에서의 속도는 0입니다 그래서 작은 먼지는 떨어지지 않습니다
@@typebin 뭔소리지 이건 유체역학 배웠지만 이건 이해할 수 가 없네 ㅋㅋㅋ
@@typebin 무슨 말인지 잘은 모르겠지만, 입자가 매우 작은 먼지는 유속과 수압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의미인가요?
@@xxnunoxx 작은 먼지일수록 표면에 더 가까이 있을것이고 표면에 가까울수록 유속은 0에 수렴합니다 따라서 작은 먼지에는 물살ㅇ ㅣ닿지 않지요
@@typebin 정답 👍
역시 소탐대실! 제가 원하는 부분을 그대로 속 시원하게 취재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뭐야... 폰케이스에 왜 이렇게 진심인건데 ㅋㅋㅋㅋㅋ 1:07 부터는 좋아요를 안 누르고 배길 수 없었다..
아니 그냥 케이스 닦는거 좀 보여주는 영상 생각하고 들어왔는데
무슨 화학 연구소하고 레이저 가공 업체가 나와ㄷㄷ
저도 물질 자체의 구성이 바뀌면서 변색 된다는건 알았는데
그 부분이 극히 얇으니까 긁어내면 된다는건 몰랐네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도와주신 대표님 설명이 넘 찰떡이네요 ㅋㅋㅋ
정말 소탐대실팀은 유튜브 최고의 순기능채널중 하나임❤
Jtbc 콘텐트리 ㄷ ㄷ ㄷ
일반 유튜버들하고는 차원이 다르네요. 교수님 등장!!
'세상에는 할 수 있어도 하지 않는게 나을 때가 있습니다' 명언이네요
초장기부터 구독한 한 사람으로써 점점 더 퀼리티가 좋아지네요 ㅎㅎ 앞으로도 늘 응원합니당
내용도 넘 좋구요
와 여기 구독자 백단위일때부터 봤었는데 27만이라니.. 역시 퀄리티가 좋으니까 사람들도 알아보나보네요!
흐뭇하게 발암물질이 녹는 연기 앞에서 여유있게 웃으시다니 ㄷㄷ
전문적으로 잘 풀어주시고 마지막에 메시지도 인상적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불투명한 게임기나 PC 제품 플라스틱 황변은 용액에 담아서 UV 라이트 쪼여서 황변 되돌리던데 그거랑은 다른건가요??? 궁금해요!
아마 다른 플라스틱일듯
누렇게 될 때까지 쓴 사람은 압니다.
진짜 문제는 지 혼자 찢어지기 시작한다는 거예요...
알코올에 검정네임팬액을 한두방울 넣고 누런 케이스를 30분? 담궈두면 살짝 투명한 검정으로 되는데 그렇게 쓰면 좀 괜찮음
선글라스 끼고 색상이 선명해보이는 그 원리인가요 ㅋㅋ
연마제를 통해서 연마를 하는건 어떨까요?
동전닦기 컨텐츠를 하는 분들이 쓰는 공업용 연마제를 면봉에 묻혀서
계속 일정하게 문지르면 레이저처럼 큰 열을 내지 않고 TPU를 삭각할텐대요.
ㄴㄴ
동전은 오랜세월동안 사람 손거치며 녹과 때가 끼니까 연마제로 되지만 영상 자세히 보면 아시다만 케이스변색은 먼지나 때가 아닌 자외선으로 변색 됩니다
아무리닦아도 못뺍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그냥 케이스가 썬텐한거라보시면됩니다
궁금했었는데 해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소탐대실님 궁금한게있어서요
안경쓰면 물체가 더 작아보이잖아요. 그러면 라섹이나 라식한 사람도 물체가 작게보이나요.????
4:45 대표님 말하다가 삑사리 나는거 왜케 귀여움 ㅋㅋㅋㅋㅋ
아니,,, 이런정보는 어떻게 얻는거죠??? 항상 볼때마다 감탄하네요. 번외로 어떻게 정보를얻고 어떻게 조사하는지 과정도 영상으로 만들어주시면안될까요..
궁금해서 질문드려요
UV램프 진짜
살균소독 되는거 맞나요?
궁금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솔직히 변색방지기술이 지금 없진 않을거고
저거 하나 사서 반영구적으로 쓰면 케이스업체가 지속적으로 수익을 낼 수 없어서
소비자가 주기적으로 구매하게 일부러 변색방지제품 안내는 거란 게 내 뇌피셜임
그 동안 구독은 안눌렀었는데 이번영상보고 구독눌렀습니다
레이저 사장님이랑 화학연구원 박사님 진짜 너무 멋지다. 나도 내가 일하는 분야에서 저렇게 고인물되고싶다.
ua-cam.com/users/OddTinkering 이런 골동품 전자제품류 복원하는 채널에서 황변온 플라스틱을 과산화수소수로 표백하는 방법이 나오는데, 투명케이스에도 먹힐까요?
오천원도안되는 오염된 투명휴대폰 케이스를 저렇게 해결해주는 소탐대실.
와... 퀄리티에 감탄하고 구독박습니다
이건 뭐 얫날에 호기심천국 퀄...?
이 채널 진심이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소탐대실이네요😂
궁금한 것 있어요!
일회용 수저로 뜨거운 국밥 같은 걸 먹으면 환경 호르몬이 나올까요?
진짜 정성이..ㅎㄷㄷ..대단해요
거울로 사물을 보면
멀리 보고 있는 것과 같이 착각을 하는 걸까요?
아니면 뇌가 실제로 멀리 보는 것을 인지해서 수정체도 실제로 얇아지는 걸까요?
와우 ㅋㅋㅋㅋㅋ 이걸 끝까지 알아보시다니 대단하십니다
엄청 도움주는 정보
감사 드립니다!!
결론은 투명하게 만들 순 있는데 그걸 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과 결과를 보면 그냥 새로 사는게 더 낫다.
연구원님이랑 레이저기사님이 핵심만 짚어주셨네
누렇게 된 플라스틱을, 과산화 수소에 넣고 UV 레이저로 지지면 색이 돌아온다던데, 그쪽 관련도 되나요?
'1분안에' 라는 정의가 0분00초 부터 0분59초 까지인지 아니면 0분00초 부터 1분59초 까지 인지 궁금합니다!
핸드폰 새로 나오면 리뷰하는 유튜버 많은데, 빌리기도 하고, 사기도 하는데
사는 경우 대부분 중고로 다시 파나요?
핸드폰 케이스 구입 할 때 인터넷으로 TPU범퍼케이스 10개정도 삽니다. 개당 가격은 6~7백원 정도 합니다. 배달비용 포함해서 만원정도 생각하고요. 케이스는 3개월정도 사용하면 변색이 진행되어 새걸로 바꿔주면 항상 기분좋게 새 폰같이 사용 할 수 있어요.
와.. 이건 노력 인정해야한다 이런게 유튜브의 순기능이지bb
역시 케이스 같은거는 새로사야 제맛 ㅋㅋㅋ
ㅇㅈ 꼭 할수있는건 있지만 굳이 해야되냐는 말인거지
궁금한게 있는데 little puffle cat같은 채널에 나오는 영상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오 이거 궁금했고 시도해본적도있었는데 속시원하네요ㅋㅋ 자외선때문이라는건 놀랍네요
오우. 흰색 하이그로시 가구 변색도 되돌릴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찾아봐도 안된다는 말만 있고. 역시 안되니까 안된다고 하겠죠.
헤어 산화제9%(과산화수소수) 바르고 랩핑한 다음에
햇빛(자외선) 쐬어주면 (하루~이틀)황변 된것 돌아옵니다
클리어창 신발, 플라스틱, tpu 계열 모두 황변된 것 복원 됩니다.
자외선 램프로도 되는데 전기값이 생각보다 많이 나옵니다
뭔가 사소한거같지만 역시나 흥미롭네..ㅎㅎ
대단한 깊이의 정보에 감동 합니다.
실제로 재활용 제품이 많이 안쓰이는 이유가 대부분 재활용하느니 새로 만드는게 더 싸기 때문임
그래도 알루미늄 캔 같은건 재활용 하는게 더 싸게 먹히니 재활용은 합시다.
걷표면이 아니고 소제 라기보다는 안쪽이 구워진것 인데 그걸 해결해 내는 방법 이 이론상으론 있고 실제로는 불가능 하다는건가???
시중에 파는 TPU투명 케이스는
무황변 TPU 소재도 있습니다만 가격과 원하는 투명도가 아직 안나와서...앞으로 기술의 발전과 레진 코스트 다운으로 인해 서서히 사용 하겠죠~
변색없는 케이스를 만드려면 일단 소재 자체를 바꿔야하는데 그에 맞는 소재가 있는지가 불투명하니 문제겠죠.
PC 소재는 변색안됩니다
애플 정품 케이스가 그나마 PC + TPU 소재라 늦게 변하죠...
좀 비싸더라도 pc소재 쓴 투명 케이스 쓰세요. tpu 같은 말랑함 없이 딱딱하지만 변색 걱정은 없음
궁금한게 있습니다. 닭이 알을 낳으면 유정란인지 무정란인지 구분할 수 있나요?
변색되는건 퀴논계열로의 열반응 등에 의한 변질에 따른거라 초반에 박사님이 말씀하셨듯 자외선 등에 의한 화학반응이 주요원인이죠
그런데 투명한만큼 코팅이 1차적으로 막아주지 않으면 TPU전체에 자외선이 투과되서 레이저 에칭(?)을 거쳐도 저 케이스는 이미…★
에칭맞음? ㅋㅋㅋㅋㅋㅋㅋ
와.... 쩐다 .. ...영상 내용 수준, 퀄리티가 100만 유튜브 수준인데....
궁금한점! 차량의 마력은 무엇을 기준으로 마력을 잡는지 알고싶어요 그리고 기차같이 7천마력 이렇게 높은 마력은 어떤 기준이 있나 궁금합니다
말1마리가 끄는 힘=마력
735w
제가 투명 케이스는 아닌데.. 의자가 흰색이였는데 누렇게 변색되서 머리 염색 중화제를 구해서..
바른후에.. 랩핑해서 햇빛에 쬐었더니.. 3일정도 보니 하얗게 돌아왔더라고요..
투명케이스가 이걸로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왜 중화제가 아닌 산화제로 하셨는지..
이거 예전에 손때인줄 알고 갖가지 방법 다 동원해서 지워보려고 생쑈했던거 기억나네
결국 헛수고였지만
그리고 폰 바꿔서 케이스 2년 묵혀뒀더니 케이스가 저절로 깨짐
근લા 투명케이스 자체가 색이 변하는거라서 새거로 바꾸면 되는લા 버리기 너무 아까워서 더 누렇게 되면 버릴라고 아직 누런거 쓰고 있..
또 궁금한게 달리는 자동차 안에 파리가 날아다닌다면 그 파리는 어떻게 달리는 공간 안에서 평화롭게 날아다닐 수 있나요?
지하철에서 울리는 에서 넓은 기준이 얼마인지 궁금해욜
01:23 두께가 이게 아닐텐데 ㅋㅋㅋㅋ
그 레이저 각인기로 문신도 될까요? 그거 구경하다가 궁금증이 생겨서요.
미친퀄리티네요 정말 잘봤습니다😂😂
덕분에 제가 쓸떼없는 시도를 않하게 됐네요. 감사합니다^^
뭔가 채널이 긱블식으로 바뀐느낌임 난 이게 더 좋은듯
1마이크로미터만 깍아내면 되는 거라면 미니연마기로 케이스를 폴리싱 하면 되겠네요
연마제를 써 보면 조금은 도움이 되려나요?^^
안됩니다
연마제는 성분 자체가 다른데 될리가...
4:50 멋지네요..
작은탐사 큰 결실 응원합니다
진짜 힘들고 민감하고 영상 만들기 힘들지도있지만 왜 비속어중 하나임 개★★인지 궁금합니다 고양이,말,소,닭 많은 동물중
어흑 어제 예고 보고 버렸던 폰케이스 혹시나 해서 주워놨는데 다시 버리러 갑니다😂
근데 누래진이야, 누레진이야? 누래진이 더 잘어울리는 것 같아서…
정보) 올pc소재의 초슬림케이스(근데 떨어뜨리면 ㅈ박음 생폰대비 좋은건 긁힘만 막아주는거뿐) 아니면 아이폰 정품케이스는 tpu가 없어서 변색이 안되긴한다 다만 일반 스테디셀러 라인에 비해 턱없이 비싸거나 떨어뜨을 때 보호가 안되거나 할 뿐
해외 유툽 영상들 중에 오래된 콘솔기기 누래진거 복원할때 특정 액체에 담궈서 UV처리하니까 완전 말끔해지던.
레전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게 바로 유튜브의 순기능이다
대박ㅋㅋ대단합니다~^^
이 영상 하나보고 구독박앗습니다 대단합니다
시트지나 메탈스티커 같은걸 붙여서 시선을 분산시키는게 낫지 않을까 새로 사도 한 보름 지나면 누래지던데
저도 예전에 TPU산화 이론보고 옥상 테라스에서 과산화수소수 얕게 부은 통에 누런케이스 넣고 햇빛에도 둬보고 자외선도 쏴봤는데 아무런 변화도 없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