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아이로 키우려면! 만 3세까지가 중요합니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чер 2022
  • #발달 #뇌발달 #발달지연 #언어발달
    안녕하세요 육아닥터 김숙자입니다.
    ------------------------------------------------------------------------------------------------
    숙자병법은 환자와 보호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컨텐츠 입니다.
    본 질환과 관련하여 질문 또는 의문점이 있으시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_^
    추후에 질문에 대한 대답을 엮어 영상을 제작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Навчання та стиль

КОМЕНТАРІ • 869

  • @s0jeong
    @s0jeong Місяць тому +196

    엄마는 저 낳고 도망갔고, 아빠는 저 네살때 돌아가셨어요. 그래서 전 백부모 집에서 크다가 보육원으로 가게되었습니다. 힘들다면 힘들수 있는 상황에서 컸음에도 불구하고 저는 세상 낙천적이고 긍정적인 사람입니다. 제가 기억 못하는 그 어린시절에 울아빠는 엄마가 없는 저를 참 많이 사랑하셨나봐요. 감동이네요.....

    • @user-wy3tp7xc9n
      @user-wy3tp7xc9n 17 днів тому +6

      이젠꽃길만걸으셨으면좋겠습니다

  • @qkrsy02
    @qkrsy02 6 місяців тому +240

    어릴 때 오진으로 죽을뻔한 저를 살려주신 선생님이십니다. 이젠 제가 아기 엄마가 되어 선생님 유튜브를 보고 있네요. 살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sy7nn8gh1z
    @user-sy7nn8gh1z 6 місяців тому +184

    울남편이 사랑 신뢰 듬뿍받고 자랐는데, 꼬인것없고 멘탈도 세고 건강하고 참 좋아요. 낙천적이고 우울함이 없어요 저도 제아이 그렇게 키우고싶어요ㅎㅎ

    • @user-kz9zr1ub2w
      @user-kz9zr1ub2w Місяць тому +2

      그런배우자만나는거 복이더라구요

    • @user-xc2nq1cr2p
      @user-xc2nq1cr2p 28 днів тому +1

      님이 그런분이시라 그런 분 만나신걸거에요 😊

  • @vanessajmlee
    @vanessajmlee 3 місяці тому +102

    세상에.. 선천성 대사이상 문제로 아이 신생아때부터 뵙던 분입니다
    대학병원에서 진료 받기까지 긴 시간이 걸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맘카페에서 검색하고 찾아갔는데 검사 결과도 이틀 안에 나오고, 정상판정 받기까지 많은 도움을 받았어요
    24시간 전화 받을테니 걱정말고 언제든 연락달라는 말씀에 울기도 했습니다
    이제는 멀리 이사해서 갈 수 없지만 마음의 고향입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늘 건강하세요❤

  • @mzliop3655
    @mzliop3655 8 місяців тому +152

    그냥 자신이 하고싶은 성취를 하며 가능한 선에서 최선을 다해 키우면 아이는 따라옵니다. 아이를 위해 다 희생하며 우울해 하지 마세요. 자신의 행복도 중요히 생각하세요. 우울해하며 자신에게 집착하는 엄마 보다 자기 인생 살며 자신의 삶과 아이의 의지와 선택을 사랑해주면 충분합니다. 아이의 힘을 무시하지 마세요. 모든 엄마들 화이팅입니다~

    • @dklee3602
      @dklee3602 8 місяців тому +1

      ㅇㄷ

    • @user-gz5um6et1l
      @user-gz5um6et1l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위안

    • @user-ce7uh8fm3b
      @user-ce7uh8fm3b 4 місяці тому +7

      낳아놓고 애가 필요로 하는데 자기인생 사는건 이기적인 것. 길게 쓰는덴 이유가 있지

    • @kfjdjsk
      @kfjdjsk 3 місяці тому

      ⁠@@user-ce7uh8fm3b꼬였네 이분. 아니면 난독증이던가.

  • @nu_hazzi2098
    @nu_hazzi2098 3 місяці тому +62

    자연스럽게 떼고 싶어 첫째 아이 모유수유 21개월, 둘째 아이는 모유수유 27개월 했습니다. 첫애는 서툴러서 양을 너무 불려 젖이 막혀보기도 했고, 처음에는 자세잡기가 어려워서 엉덩이가 다 짓무를만큼 땀흘리며 해왔어요. 그 덕에 둘째는 직수로만 잘키웠어요. 이따금 싸울때마다 불쑥 모유수유할 때 힘들어했던 제 모습을 얘기하며 제가 무슨 대단한 자부심을 부리는 것 마냥 분유가 아닌 모유를 선택한 건 너라며 쉽게 말하는 사람이 제 남편이라는게 너무나 한스러웠는데.. 그냥.. 조용히 위로받고 갑니다.. 만3세까지 아이의 발달에 중요한 것은 거창한 것들이 아니겠지만 엄마를 중심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음을 알고.. 주변 가족분들, 남편님들은 부디 배려해주는 말과 행동을 해주시길..

    • @dl499
      @dl499 3 місяці тому +7

      17개월 모유수유 중인 엄마예요~ 원래 돌 지나면 단유 하려고 했는데 철분결핍성 빈혈 와서 철분 보조제 먹이면서 될수 있으면 유제품 먹이지 말라고 해서 어찌어찌 지금까지 왔네요~ 편한점도 많지만 절대 쉽지 않은길 대단하세요!

    • @nu_hazzi2098
      @nu_hazzi2098 2 місяці тому +1

      @@dl499 따뜻한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

    • @nu_hazzi2098
      @nu_hazzi2098 2 місяці тому +1

      @@mango9946 네 감사해요!! 가장 가까운 곁에 있는 사람이 주는 상처를 신경 안쓰긴 쉽지 않지만 말씀해주신 것처럼 제 자신을 위해 신경쓰지 말고 해주신 말씀들 기억할게요~~ 감사합니다!!

    • @juehyunkang1294
      @juehyunkang1294 Місяць тому +2

      저도 한창 신생아 지나고 어린 아기 직수하며 힘든 시간 보내고 있던도중... 저 어릴 때 3개월 모유수유하고 제 뒤 남동생은 남자라고 당시 잘나가던 분유 먹이느라 백일도 안되게만 모유수유 경험이 있던 저의 친정엄마가, 타국에서 혼자 아기 키우며 고군분투하는 제게 전화기너머 "모유수유가 뭐가 어렵니? 난 또 모유수유하면서 힘들다는 사람은 또 첨봤다~ 까르르르' 하며 조롱하던 것이 생각이 나네요. 참 생각 짧은 사람인건 아는데, 부모라 멀리하기더 어렵고. 싫지만, 미워해서는 안되는 그런 저희 원가족.. 님 댓글 읽으면서 어디서 엄마 흉보는 거 같아 꺼내보지도 못한 수치스런 이야기 남겨봅니다. 힘내요 우리.

    • @nu_hazzi2098
      @nu_hazzi2098 Місяць тому

      @@juehyunkang1294 타국에 계시군요~~
      주현님❤️ 함께 터놓아주셔서 감사해요.. 저도 댓글을 남겨놓고, 누군가는 이런 날 바보같다고 하지 않을까 두려웠는데..님께서 원가족에게 배우지도, 느껴보지도 못한 따듯한 마음을 스스로 품으셔서제게도 전달해주셨어요..! 충분히 멋진 사람이셔요 :-) 저도 응원해요🌹

  • @user-oz9tu7hx2p
    @user-oz9tu7hx2p 7 місяців тому +53

    저 어릴 때 선생님 병원에서 치료도 많이 받았고 커서는 충남대의대에서 후배가 되어서 강의도 들었었고 이제는 유튜브에서도 만나뵈니 반갑습니다. 언제나 아이들과 우리 엄마들을 위해 애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7 місяців тому +4

      반갑습니다. 이렇게 유튜브에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g1fu6st4f
      @user-zg1fu6st4f 6 місяців тому +2

      11개월 손주를 돌보는 할어니 입니다 유아검사 때 머리가 좀 작다고 말씀하시던데 걱정이 되네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6 місяців тому +5

      @@user-zg1fu6st4f 머리둘레가 꾸준하게 자라면 걱정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emperor68188
    @emperor68188 9 місяців тому +72

    별다른 질문은 없고... 댓글 하나 하나에 정성어린 대답 해주시는 점이 참 인상깊습니다. 감사합니다.

  • @33wednesday
    @33wednesday 3 місяці тому +20

    🩷🩷🩷모유를 먹인 거에 대해 정말 다시 한 번 영상 보고 나 잘했구나 생각이 들어 정말 감사합니다.

  • @yefamily
    @yefamily 7 місяців тому +22

    질문도 참 좋다

  • @user-sh4xi5ll1x
    @user-sh4xi5ll1x 8 місяців тому +24

    감사합니다 구독합니다

  • @user-yw8gb2ll7k
    @user-yw8gb2ll7k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알고리즘에 감사함을.. 구독하고 열공할게요❤

  • @user-dn6gh4gp7x
    @user-dn6gh4gp7x 8 місяців тому +26

    어머 세상에나 ........
    댓글 다 달아주시는 거 보고 감동 받았습니다ㅠㅠ 하나하나 다 보게 되네요ㅠㅠ 내이야기 같기도 하고 도움되는 것도 많아서요. 바로 구독 눌렀어요. 박사님 건강하세요😊

  • @user-dj1lm7tn7r
    @user-dj1lm7tn7r Місяць тому +5

    30개월 아이가 있는 부모입니다. 매 순간 아이에게 최고의 부모는 되지 못하겠지만 항상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 @babastudio2008
    @babastudio2008 Місяць тому +3

    영상속의 좋은 말씀들과 솔루션😊

  • @user-hl3hg9lk4e
    @user-hl3hg9lk4e 7 місяців тому +33

    선생님 저 마흔살인데 어릴 때 진찰해주셨던 그 모습 그대로시네요~
    항상 건강하셔요❤ 멀리서지만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user-hn6zu7zs5g
    @user-hn6zu7zs5g 2 місяці тому +5

    영상 속 질문들이 쪽집게같은 질문들로 퀄이 좋네요. 영상 좋아 구독합니다

  • @user-zk3pw6vu5s
    @user-zk3pw6vu5s 7 місяців тому +37

    애기 둘다 돌때까지 완모했는데 자랑스럽고 대단한일이라고 생각할수 있도록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TV-is4vu
    @TV-is4vu 2 роки тому +4

    김숙자 박사님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편안밤되세요 🙆‍♂️🙋‍♂️👍🙏🏻

  • @mihyangpark-doussot4949
    @mihyangpark-doussot4949 2 місяці тому +3

    우연히 영상을 접했는데 너무 마음에 들어 영상 하나보고 바로 구독 누룹니다 ^^

  • @mingbling03
    @mingbling03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영상 고맙습니다❤

  • @user-hq4ef6rj8c
    @user-hq4ef6rj8c 7 місяців тому +25

    10개월까지 모유수유했고 완모를 하기에는 아기가
    통잠을 못자서 혼합수유 했습니다.
    어린이집은 10개월 부터 다녔지만
    부모가 같이 양육해주고 그리고 저희아기는 금방 적응해서 친구와 선생님을
    좋아합니다! 아이의 성향에따라다르겠지만 그만큼 선생님들도 애써주신거겠죠!
    어린이집에서 해주는 놀이들도 제가 못해주지만 그런것도 좋고 주말에는
    열심히 놀아줄려고합니다! 밥도 안먹어도 여러가지 음식들을 접해주고 그래서인지 다른아이들보다 야채를 잘먹는다는 소리를 듣습니다! 😊

  • @user-hn6ky6ls9o
    @user-hn6ky6ls9o 2 місяці тому +2

    이렇게 뵙게돼서 넘 감사해요

  • @gloria636
    @gloria636 Рік тому +41

    박사님 채널 처음 방문햇는데 자세하고 실질적인 정보와 따뜻한 느낌이 9개월 아이 키우는 엄마로써 와닿습니다. 미국 아리조나에서

  • @user-ux8kv3ho7m
    @user-ux8kv3ho7m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돌지낫는데 벌써 시기의 3분의 1이 지낫네요,,, ㅎㅎㅎ 나머지 3분의 2는 말씀주신내용 새겨듣고 꽉꽉 채워 아기에게 최선을 다해보겟습니다😮

  • @user-ne5oc5eu7g
    @user-ne5oc5eu7g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 @user-hc8tb9bj1y
    @user-hc8tb9bj1y 3 місяці тому +9

    선천성 대사 이상을 가져 고생한 우리 조카를 잘 치료해주시고 돌봐주신 선생님을 여기서 뵙네요. 우리 가족은 모두 선생님을 존경하며, 늘 감사한답니다.

    • @14-xd6mw
      @14-xd6mw 3 місяці тому

      병원이 어디에 있나요
      ?

  • @solsol4594
    @solsol4594 2 роки тому +8

    항상 감사하게 영상 보고 있습니다.

  • @user-xu6mv3xp7h
    @user-xu6mv3xp7h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선생님 안녕하세요😊 답변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아기 머리둘레로 질문을 드렸었는데요~ 키와 몸무게는 계속 비슷한 퍼센트로 나오구 있구요~ 머리둘레가 두돌까진 85퍼센트 전후 나오다가 세돌 영유아검진에서 머리둘레만 56퍼로 작아졌어요 저도 잘못 측정했을지 해서 다시 재봤는데 영유아 검진표랑 같았어요ㅜ 이부분이 문제가 되련지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지속적으로 머리둘레의 변화가 있다면 걱정하지 마세요.

  • @user-ow3vo6kd8o
    @user-ow3vo6kd8o 4 місяці тому +19

    6개월째 모유수유중인 엄마입니다. 잘 하고 있는걸까 문득문득 걱정되는데, 선생님의 말씀 보고 자신감(?)을 얻어갑니다^^ 저희 아기에게 모유 줄 수 있음에 감사함을 느끼게되네요 ❤

  • @user-vr6sj6gt5k
    @user-vr6sj6gt5k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바로 구독 눌렀습니다

  • @user-sw8qh5uq5e
    @user-sw8qh5uq5e 2 місяці тому +1

    너무 좋네요 ㅎㅎ머리둘레도 재어보아야겠네요 정말 어른한테말하듯이 ㅋ말하며 지내왔는데..ㅎ맞는말같아용

  • @user-xv2ob2zg1y
    @user-xv2ob2zg1y 4 місяці тому +3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개월 되가는 쌍둥이 키우기 힘들지만 조금 더 힘내야겠어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4 місяці тому +1

      쌍둥이 키우는 것이 처음에 쉬운줄 알았는데 손자 둘을 키워보니 무슨 뜻인지 알겠어요.

  • @isk9901
    @isk9901 4 місяці тому +3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cv7jx3cb6x
    @user-cv7jx3cb6x 3 місяці тому +3

    유튜브 순기능 신뢰감을 주는 의사 쌤

  • @romikim4548
    @romikim4548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잘 봤어요

  • @user-xu6mv3xp7h
    @user-xu6mv3xp7h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안녕하세요 선생님😊 영상 잘 보고 질문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아이가 태어날때부터 머리둘레가 좀 큰편이여서 두돌까지 영유아 검진때 85퍼센트 전후로 나왔었는데 세돌때 56퍼센트로 작아졌더라구요~
    이 부분이 계속 좀 마음에 걸렸었는데 이상있는부분은 아닐지 질문 남겨 드립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어머님께서 눈끔이 있는 줄자를 사용하여 앞 눈썹에서 뒤꼭지 가장 돌출된 부분까지 머리크기를 측정해보세요. 머리 둘레를 한사람이 계속 측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몸무게와 키, 머리둘레가 자기 퍼센타일에 맞게 자라고 있는지 비교도 해보세요. 머리만 안크는 것인지, 몸 전체가 퍼센타일이 내려오는지 비교해보시고 몸 전체가 그렇다면 영양상태를 확인해주세요.

  • @user-ut8vy8rm1m
    @user-ut8vy8rm1m 3 місяці тому +4

    구독부터 누르고 육아팁 얻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jaceworld3260
    @jaceworld3260 Рік тому +6

    원장님, 영상 너무 감사하고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저희 14개월 아이는 다른거는 다 정상발달인거 같은데 아직 박수를 안치고, 안녕할 때 손을 흔들지 않는데 이런거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특이한 질문해서 죄송해요. 교감도 잘하고, 잘웃고, 활달한데요 ^^;;;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Рік тому +12

      손과 몸으로 표현하는 언어가 좀 미흡한 것 같다면 억지로 아기한테 시키지는 말고 자연스럽게 유도 했으면 좋겠어요. 우선, 손을 많이 쓸 수 있게끔 슈퍼마켓이나 시장볼때 아기를 데리고 가세요. 아기로 하여금 물건을 담게 해보세요. 그러면 오감각이 모두 자극을 받아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사과나 귤을 집었을 때 엄마가 칭찬을 아끼지 마세요. 우리애기 너무 잘했다고 박수도 치고 엄마가 껴안아 얼굴도 부벼 주세요. 스킨쉽이 상당히 중요할 것 같습니다. 질문에 대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ella9544
    @ella9544 Рік тому +9

    만3세전엔 어린이집 안보낼생각이였는데 독박육아라 저도 힘들고 아기도 지루할거같아서 이제 돌지나지만 곧 보낼 생각입니다..
    엄마랑 매일 둘이 노는게 나은지
    어린이집에서 여러경험을 하는게 나은지 정말 모르겠어요 ..
    제가 힘들어지니까 괜히 어린이집가면
    배우는것도 많고 잘놀거라고 합리화를 하게되네요..
    어린이집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Рік тому +10

      어린이집을 가는 것은 많은 또래들이 있어서 서로 의사소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엄마가 가르칠수 없는것을 많이 배우고 뇌발달에 아주 좋다 생각합니다. 단, 단체생활을 하면서 생기는 많은 감염이 걱정이라 어린이집 중에 사람이 많지않은 곳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같습니다.

  • @ketchupochiai5336
    @ketchupochiai5336 3 місяці тому +1

    안녕하세요 선생님, 댓글 달아주시는 정성 대단하신것 같아요. 하나하나 읽어보고 공부 하고 있습니다.
    저는 15개월 아기가 있어요.
    영상시청은 성인한테도 뇌가 죽는 느낌이라 아이에게는 절대 보여주지 않아서 아기가 영상을 먼저 찾거나 하지는 않는데요. 핸드폰 터치하는걸 너무 좋아해서 핸드폰만 보이면 집착하듯 달려들어요. 어른행동을 모방하는게 신나는것 같은데 이런건 괜찮을까요.
    평소 기계버튼이나 전등버튼 조작하는것도 너무 좋아해요(세상의 모든 건 다 만져보고싶어해요 ㅎ)
    혹시 시간 되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3 місяці тому

      아기들의 호기심이 중요하긴 하지만 휴대폰의 전자파는 아기들의 뇌발달에 좋지 않습니다. 영상을 선택해서 보여줄 때 휴대폰을 아기에게 절대 주지 마시고 어느 정도 간격을 띄워두고 시청을 시키면 좋겠습니다. 동물실험에서 휴대폰의 전자파가 암을 유발시킨다고 나오지만 인체에서 그렇다는 보고는 아직은 없습니다.

  • @user-ln7jo7dt7w
    @user-ln7jo7dt7w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안녕하세요 선생님
    108일 애기를 키우고있는 초보맘입니다
    복직으로 담달부터 어린이집에 가게되었는데(130일정도) 애기가 적응을 잘 할지 걱정이됩니다. 이제 엄마도 알아보고 애착형성이 잘되어졌다고 생각하는데
    하원 후 외할머니, 친할머니, 아빠가 교대로 볼 예정인데 양육자의 변화로 애기가 더 힘들어할까요? 차라리 제가 퇴근할때까지 어린이집에서 지내는게 좋을까요?
    또한 제가 퇴근해서 아이에게 어떤방법으로 사랑을주고 어떻게 애착형성을 꾸준히해야할지 알려주세요ㅜㅜ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어린이집 보내기에는 너무 이른 감이 있습니다. 특별히 어린이집에 아기들이 많지 않은 곳을 선택하면 좋겠고요. 가족들이 서로 교대로 아가를 봐준다면 사회성 쪽으로는 훨씬 좋을 수 도 있습니다. 그러나 엄마가 퇴근하시면 아기와 시간을 좀 보내시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즐겁게 근무는 하시고 아기 키우는 것은 가족들이 도와준다면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 @user-dq4ld3fs2l
    @user-dq4ld3fs2l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안녕하세요~우리 아들이 선생님 덕분에 중이염으로 고열로 입원도 많이 했었는데요
    그때마다 잘 봐주셔서 너무 잘 커서 벌써 중2 예요^^
    이렇게 감사의 마음을 전달 합니다^^
    건강하세요^^
    구독 좋아요 할게요❤

  • @jeongc3098
    @jeongc3098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아기가 지금 21 개월 인데 양쪽 목옆에 멍울까지는 아닌데 약간 동그랗게 양쪽에 만져지는 작은게 있는데 이거는..? 원래 성장이 덜되서 있는건지..병원을 가봐야하는건지ㅠ 여쭤봅니다
    그리고 아기가 태어날 당시 뒷통수 아래 쪽에 멍울? 같은게 있었는데 초음파 했는데 괜찮다고 했는데 아직도 안없어지고 있는데 없을질때까지 기다려야할까요?ㅠㅠ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누구든지 정상임파절이 있습니다. 너무 크게 만져지거나 여러개 만져지거나 멍이들면서 만져지거나, 얼굴색이 유난히 창백하면서 만져지면 좋지 않습니다. 목에 있는 임파절이 너무 빠른 속도로 크기에 변화가 있거나 임파절 부위가 만졌을때 통증이 있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 @gdvh-zo8dd
    @gdvh-zo8dd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안녕하세요 선생님~! 저는7세 5세 아들 둘키우고 있는 맘입니다. 패드수업하고있는데 첫째아이는 장난기가 심해서 그런가 돌발행동? 갑자기. 뜬금없이? 웃긴표정 짓고 그러는데
    1.패드노출되면 정말 지능낮아지고 뇌발달에도 안좋은건가요? 2.교육연계되어있는패드 조금씩 활용이 나을까요?
    패드 끊고 학습지만 따로사서 3학년까지만 교육해줘도 충분할까요?
    3.10살까진 패드 안보는게 좋을까요?
    4. 영어 중국어도 패드( 시각적)으로 말고
    음성지원으로도 노출시키는건 괜찮은 거죠?
    답변부탁드립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요즘은 대부분 학습지도 사용하지만 패드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것에 노출되면 그 내용에 대해서 엄마가 꼭 확인하시고 아이한테 노출시키면 좋겠습니다. 가능하면 패드랑 엄마랑 같이 하시는게 어떠실까요?

  • @momo-wn9ip
    @momo-wn9ip 8 місяц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 @leafbuds2
    @leafbuds2 4 місяці тому +3

    안녕하세요 선생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머리둘레가 작은 편(5-7퍼센트 정도)인데 조금씩이라도 자라고 있고 3퍼센트 이상 크기면 정상수치로 봐도 괜찮을까요? 그리고 혹시 불빛이 나오는 장난감들은 아기에게 노출시키지 않는게 좋을까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4 місяці тому

      불빛이 나오는 장난감이 아기에게 크게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단, 자극 정도가 너무 강하지만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 @user-fb6fo2nj4o
    @user-fb6fo2nj4o 3 місяці тому +6

    정말 오랜만에 뵙네요.
    당시 해외봉사 자주 다니셔서 뵙기 힘들다 했는데 제 아이가 자주 아파서 입원했는데 다른쌤은 오진으로 아이는 밤낮으로 울기만 하고 병원선 이상없다고 퇴원하라고 답답한 마음에 혹시? 하는 마음에 오전 8시 선생님 진료실 앞에 서성거리다 아이상태 말씀 드리니 들어오시라고 꼼꼼히 봐주시고 아이도 회복하고 엄마 입술이 다 부르튼걸 보시고 엄마가 더 안좋다며 평생 낫지도 않던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김숙자선생님이 주신 일주일동안 하루4번 먹는 약 먹고 그뒤 15년이 넘도록 한번도 재발도 안되었네요.
    참 고마우신 선생님. 감사했고 늘 존경합니다. 건강하세요.

  • @lappy3808
    @lappy3808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안녕하세요 선생님, 10개월된 아기를 키우고 있습니다. 아기가 전신마취가 필요한 수술을 해야합니다. 그러나 그 시기를 정할 수 있습니다.
    1. 1시간 가량의 전신마취가 뇌발달에 영향이 있을까요? 있다면 어느정도 일까요?
    2. 뇌발달 황금기인 3돌 이후에 수술을 하는 것이 좋을까요?
    바쁘신 와중에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수술은 필요할 때면 필요하고 마취를 이길 수 있으면 어느 때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술을 하는 시간 동안 먹지 않아도 될 정도의 정맥 수액이 필요합니다. 수술하는 동안 먹지 못하는 것을 포도당 전해질 수액을 투여한다면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 @ysk2584
    @ysk2584 6 місяців тому +6

    바로 구독 눌렀어요~♡

  • @Dreaming_Angel1004
    @Dreaming_Angel1004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안녕하세요 선생님!머리둘레를 재보라 하셨는데 문득 머리 크기와 뇌 크기의 연관성도 어느정도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영유아검진때 머리가 늘 상위권에 들정도로 큰아기가 머리도 좋을까요? 아님 미신인가요?
    더불어 이건 다른 궁금증인데, 현재 30개월 아기 인디
    부모와 애착형성이 잘된 아기는
    부모랑 잘 떨어질 수 있나요?
    아님 오히려 많이 찾나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7 місяців тому +5

      머리둘레와 뇌발달이 100% 관련성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아기들은 나이에 따라 뇌가 잘 자라고 있나 확인하는 척도로 머리둘레의 변화를 봅니다. 머리의 크기는 엄마아빠 머리크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머리둘레크기가 전혀 변하지 않을 경우 걱정을 해야하지만 머리 둘레가 정기적으로 잘 자라고 있다면 아무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아기와 접촉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부모랑 잘 떨어질 수 있으며 엄마랑만 시간을 대부분 보낼 경우 떨어지는데 힘들수 있습니다. 모든 가족들이 자주 아기와 접촉하는 것은 아기사회성 발달이 아주 중요합니다.

  • @solsol4594
    @solsol4594 2 роки тому +11

    정말 큰 힘이 됩니다..

  • @user-fq9yy1qr2s
    @user-fq9yy1qr2s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설명 감사합니다‼️ 요새 37개월 아이가 왜? 만 무한반복이라 지치던 참에 보고 갑니다😂
    지쳐도 놓치지 않고 대답 잘 해줘야겠어요

  • @user-lk3ee6st6n
    @user-lk3ee6st6n 12 днів тому +1

    모유수유중이에요. 모유수유 정말 너무 편하고 수유시간이 제일 행복한데 아기에게 가장 큰 선물이라니,, 알고 있었으면서도 뿌듯하네요.

  • @user-rc9go9km3k
    @user-rc9go9km3k 4 місяці тому +2

    안녕하세요, 영상보고 많이 배웠습니다. 곧 7개월되는 남아 키우고 있습니다. 신생아때부터 곁에 사람이 없으면 울곤했는데 지금까지도 여전히 그렇습니다. 까꿍놀이를 해주고 눈앞에 안 보일때 목소리도 들려줘도 울고, 바로 앞에 보이는 곳에서 서있는데도 옆에 올때까지 계속 웁니다. 정상발달인건지 아기의 기질인건지 궁금합니다ㅜㅜ
    이렇다보니 항상 옆에 붙어서 놀아주고하는데 계속 이렇게 해주는게 아이한테도 안정이되고 좋은걸까요?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4 місяці тому +1

      이 시기에는 엄마와 떨어질까봐 불안해하는 분리불안증이 가장 높을 때 입니다. 엄마가 있거나 말거나 관심이 없는 것보다 마음이 놓입니다. 항상 집에서 엄마가 같이 있다는 확신이 있어야 아이들이 맘놓고 놀게 됩니다. 화장실에 갈때마저도 엄마 바지를 잡고 엄마가 용변을 봐야할 때도 있습니다. 지극히 정상반응입니다.

  • @JSH_family
    @JSH_family 3 місяці тому +1

    알고리즘으로 찾아왔습니다^^
    태아땐 원인 모를 성장지연으로
    더디게 자라다 결국 33주에
    태반조기박리되어 1.15kg로
    힘들게 태어난 아이가
    이제 44개월 되었어요! ^^
    출산당시 다른곳은 괜찮지만
    소뇌 반 정도가 손상되어(MRI사진상 왼쪽)
    1년 재활을 했고. 지금은 작고 느리지만
    그래도 조금씩 정상 궤도에는 들어가고 있습니다 ^.^
    소뇌출혈 예후가 아무리 검색해도 잘 나오질 않아 늘 궁금했는데 어떤지 너무 궁금합니다 !! 그리고 키/체중 모두 하위 3%미만인데 내분비과 진료받아 호르몬 치료 받는게 나을까요? ㅜㅜ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3 місяці тому +1

      태반조기박리로 인해 아기에게 충분한 혈액이 가지 못해서 생기는 중추신경계 영향을 받은 것 같습니다. 다행히 대뇌보다는 소뇌출혈이라 다행스럽기는 하지만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여러가지 호르몬에 대한 확인과 성장에 대한 추적이 필요합니다. 여러가지로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난 것은 천만다행이지만 여러가지 다방면으로 일찍 태어나서 생긴 신체 전반에 걸쳐 재활, 물리치료, 조기 작업치료등으로 최대한 회복 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대책이 필요 할 것 같습니다.

  • @leejackie
    @leejackie 3 місяці тому +5

    헝... 나 이마 좁은데 ㅠ 어릴때 뇌발달시기에 문제가 있었나보네요..
    예민하고 감정적으로도 ㅈㄹ맞아서 아직도 사는게 피곤한 이제 마흔된 사람의 푸념입니다
    태어날 아기는 교감을 많이 해줘야겠어요

  • @user-xk5ym5en2g
    @user-xk5ym5en2g Рік тому +5

    안녕하세요~~ 34개월 남아를 키우고 있습니다. 아직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기저귀를 차고 있는데, 괜찮을까요? 만 3세까지 2개월 남았는데.. 무엇을 많이 해주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Рік тому +3

      어른들이 소대변 보는 것을 보여주고 아기도 소대변 보고싶어하면 변기에 앉혀보세요. 그 대신 아기가 앉을 수 있는 크기의 변기를 준비해주세요. 소변을 변기에 앉아서 소변이나 대변을 봤을 때 껴안아주고 뽀뽀도 해주고 잘했다고 확실한 칭찬을 해주세요.

  • @hyesooni
    @hyesooni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코로나 시기에 태어나서 재왕절개로 미숙아 출산을 한 탓에 응급이라
    캥거루케어는 고사하고 면회도 한번 제대로 못했습니다.. 너무 가슴이 미어지네요.. 그래서 우리아가 눈썹이 짙은 걸까요,,,??? ㅠㅠㅠㅠ ㅠ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이마가 좁고 눈썹이 짙으면 뇌의 어떤 영향을 받았나 확인을 하지만 엄마아빠의 눈썹이 짙을 경우 아기도 따라서 닮는 것 같습니다. 아이 이마가 충분히 넓으면 전혀 그런 걱정 할 필요는 없습니다.

  • @goodnighttv8411
    @goodnighttv8411 3 місяці тому +1

    안녕하세요 선생님의 따뜻한 댓글에 너무 감동스러워서 바로 구독했습니다♥ 저는 지금 만3세 (38개월)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원래는 대소변을 잘 가리는 아이였는데 밤마다 소변을 싸기 시작하고 대변도 보기도 합니다. 혹시 찾아보니 야뇨증이라고 있는 것같은데 치료를 어떻게 받아야할까요?
    그리고 문장까지 말할 수 있는 아이인데, 한국말 특정발음에서 유아적인 발음이라고, 언어치료해도 좋을 것 같다는 심리선생님 의견을 받았어요.. 평상시에 가족들 말고 다른 분들이 조금 의사소통하면서 안되는 부분이 느껴지긴 하다고하는데 언어치료를 받아야할까요?..ㅠ ㅠ애매하게 느껴져서요 ㅠ ㅠ 그리고 아이가 책이나 학습에 관심이 많아서 영어를 배우는 곳에 가려고생각중이었는데요, , 한국말 언어치료를 받게되는 이런 상황에서 영어를 동시에 배워도 괜찮을까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3 місяці тому +1

      야뇨증은 한번도 소변을 가려보지 못할 경우에 야뇨증이라고 표현합니다. 소/대변을 잘 가리다가 못가리는 것은 야뇨증이라기보다 원인 문제를 확인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우선 소변 검사, 소변 배양검사, 소변의 비중검사, 그리고 혈액에 혈당과 전해질, 신장 기능을 확인해서 원인을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직은 만3세이기 때문에 언어치료보다는 모든 가족과 아기가 친구들과 노출되어 의사소통이 가능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친구들이 많으면 자연스럽게 언어를 많이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언어치료를 받는 도중에 영어를 동시에 배우는 것은 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조금은 간격을 두고 영어를 배우는 것이 어떨까요.

    • @goodnighttv8411
      @goodnighttv8411 3 місяці тому +1

      @@PediatricianKimsookza야뇨증은 한번도 안가려야되는군요,, 원인을 찾아보도록하겠습니다. 언어도 환경조성 더욱 해보겠습니다. 소중한 조언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 행복한 저녁 되셔요 💛

  • @ellyhouse
    @ellyhouse 8 місяців тому +36

    안녕하세요~박사님~저 어릴때 매일 치료해주시던 선생님이 이렇게 똑같은 모습으로 계셔주셔서 너무 반가워서 댓글 남겨요~제가 다른병원에서 약을 잘못 써서 밥을 엄청 먹기 시작하고 몸에 털이 막 나서 저희엄마가 데리고 가서 선생님께서 고쳐주셨었어요.친정엄마는 벌써 칠순이시고 전 40대가 되었네요.선생님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8

      반갑습니다. 그리고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해요.

  • @vitabowwow
    @vitabowwow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박사님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뇌손상 입은 아이는 왜 눈썹이 짙은 건가요? 우리 아이들은 이마가 좁진 않지만 눈썹이 어릴 때 부터 진해서 갑자기 걱정이 되네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7 місяців тому +4

      눈썹이 진한 것은 대부분 부모님으로부터 유전되는 경우가 많고 이마가 전혀 자라지 않고 눈썹이 진한 경우가 뇌손상, 점액다당증일때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엄마나 아빠의 눈썹이 진 할 경우는 아무 병과 상관 없습니다.

  • @user-oj6cn3ny8w
    @user-oj6cn3ny8w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원장님 안녕하세요. 11개월아가인데 곧 해외여행 할일이 2번있습니다. 남편직업이 항공쪽이라 겸사겸사 가기로했는데. 아기에게 스트레스가될지, 스트레스는잠깐이고 새로운자극으로 뇌발달에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낯을 전혀 가리지않아 엘레베이터나 마트에서 처음보는사람들을 만지고 웃고 인사하고 (사람들은 다들 너무좋아해요ㅠㅠㅋ) 하는데, 낯가리는아이가 똑똑하다는 썰이 있어서 믿거나말거나한 소리인지 아니면 낯을 너무 안가리는부분에 있어서 제가 따로 신경을 써야할 것이 있을지 걱정입니다. 맞벌이로 8개월때부터 어린이집 다니는데 적응도 엄청빨리하고 어린이집다니는것도 너무좋아합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여행은 하셔도 무방합니다. 비행기내에 압력 때문에 아기가 문제가 될 수 있으나 너무 덥지 않게 비행기 타시기전에 아기가 누워서 재울 수 있는 바구니를 항공사에 부탁해보세요. 아기와 접촉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일찍 어린이 집을 갈수록 낯가림은 없어지며, 사회성이 좋아집니다.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은 또래들에게 감염병을 옮는 것입니다.

  • @laim4you
    @laim4you 7 місяців тому +5

    선생님 안녕하세요,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좀 웃기는 질문일 수 있는데요, 하필 선생님께서 기저귀 갈때를 예시로 들어주셔서요...요즘 제 모습이 오버랩되가지고...😂
    저희 애가 6개월인데요. 요새 눕히면 뒤집고, 못뒤집게 하거나 기저귀 가는데 시간이 지체되면 얼굴 시뻘개져서 끄응끄응 화내다가 소리도 막 지르거든요ㅜㅜ저는 아이 붙잡고 아 쫌 가만있어!! 하면서 갈기 급급하구요.. 애기를 억압하면서 윽박지른다고 애기는 느낄 수도 있겠다누 생각이 급 드네요...이거 괜찮은건가요ㅜㅜ그리고 아이랑 놀아줄때 어떻게 놀아줘야될까요? 아이랑 둘이 있는 하루가 1년같이 길고 시간이 너무 안갑니다ㅜㅜ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7 місяців тому +2

      하루종일 쉴 시간 없이 아기를 보는 엄마의 고충 이해합니다. 엄마가 아기에 대한 반응은 지극히 정상입니다. 엄마는 아기를 세상에서 가장 튼튼하고 똑똑한 아이로 키우고 싶거든요. 그러나 엄마도 사람인지라 너무 피곤하고 때로는 쉬고도 싶고 잠도 푹 자고 싶을거예요. 아빠에게 한시간이라도 맡기고 바람이라도 좀 쐬러 나가세요. 아기가 잘때 엄마 자신을 위한 계획을 세워보세요. 실내에서 하는 운동이라든지 책을 읽는다든지 엄마가 좋아하는 악기나 그림그리기나 등등 무엇이든지 해보세요. 파이팅입니다!

  • @user-jv7wq4ik3z
    @user-jv7wq4ik3z 8 місяців тому +11

    선생님^^ 좋은 영상 감사하게 잘 봤습니다. 저는 30개월 딸을 키우는 엄마인데요. 아기가 어린이집 적응을 잘해서 잘 다니고 있고 신체나 언어발달도 다른 아이들에 비해 빠른 편인데요. 걱정되는 한가지 문제가 티비 보는 것을 너무 좋아해요. 예전에 장염이나 요로감염으로 입원했을때 아기가 너무 힘들어하니까 영상을 자주 노출시켰는데 그때 이후로 티비를 틀어달라는 말을 자주 하는데요. 키즈 영상을 아침에 10분 정도 잠깐 보여주고 저녁에 30분정도 보여주는데 이정도 티비 노출이 아기의 뇌발달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까요? 티비는 가만히 보고만 있을때도 있고 율동 나오는 영상 틀어주면 보면서 따라서 춤추고 그래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3

      텔레비전 시청을 잠깐씩 시켜주는 것은 나쁘지 않습니다. 단, 아기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면 좋겠습니다.

  • @user-uq6fv5ex5k
    @user-uq6fv5ex5k 2 місяці тому +2

    저두요

  • @jennyA4605
    @jennyA4605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안녕하세요 박사님. 어제 책육아 관련 댓 남겼었는데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박사님 영상 처음 봤는데 바로 구독 눌렀습니다^^
    우유에 대해서 질문 한 번 더 드리고 싶은데, 이유식 하면서 자연스레 우유 섭취량은 줄었고 두 돌 이후에는 하루 한 팩(200cc) 만 먹어도 많이 먹었다 생각들 정도, 31개월인 요즘은 하루 100cc도 안 마시는 것 같아요.
    치즈는 어릴 때 거의 매일 줬더니 질려서인지 요즘 안 먹구요, 플레인 요거트 작은 거 하나씩은 매일 먹습니다.
    두돌 검진시 50~70%대 키체중이고, 식사는 야채 위주로 잘 먹는 편, 단백질은 꼬박꼬박 정량 챙겨주지는 못해도 주1회는 고기집에서 충분히 먹이려 하고 있구요.
    이 개월수에 우유를 얼마나 마시는 것이 좋을까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7 місяців тому

      현재 나이로 나이는 칼슘 섭취를 위하여 최소한의 용량(100cc 미만)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양이 많으면 우유가 유당으로 탄수화물 부분이 높아 비만과 연관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현재 성장도 정상이고 단백질은 매일 빠지지 않게 유지 하면서 너무 야채 위주로 주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 @user-kl4vt4qs7j
    @user-kl4vt4qs7j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선생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현재 23개월 아기 가정보육 하고 있는데 언제쯤 어린이집 보내는게 좋은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만 3세까지 계속 엄마가 키우는게 좋은지, 그 전이라도 어린이집에 좀 더 일찍 가는게 좋은지 궁금해서요~ 현재는 엄마가 키우고 일주일에 2번정도 할머니 만나고 매일 저녁 아빠랑 놀고 매일 1번씩은 외출하고 이렇게 지내고 있는데, 혼자 방치되는 시간은 많지 않은 편이지만, 동네 아저씨 아줌마 등 다른 사람들을 궁금해하고 가끔 약간 일상이 심심한가 뭐 새로운 자극 없나 찾는 것 같고 그래서 어린이집 가는게 아기에게 더 자극에 도움이 되나 싶어서요~ 선생님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어린이집에 다니면 엄마아빠가 해줄 수 없는 또래들간의 대화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며 인지능력과 사회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우리가 해줄 수 없는 또래들간의 사회생활이지요. 단, 문제는 단체생활하면서 걸리는 감염질환이 문제입니다. 태어나서 엄마로부터 받은 면역이 소실된 후 다시 어른만큼 획득하는데 2년이 걸립니다. 두돌지나면 면역상태는 어른과 비슷한 상태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두돌 지나면 어린이집에 보내도 괜찮을 것같습니다. 그러나 감기에 자주 걸려요.

  • @user-cf3ie2lq7u
    @user-cf3ie2lq7u 3 місяці тому +1

    핵심 뇌발달과 애착

  • @Level6
    @Level6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잘보고 갑니다

    • @Level6
      @Level6 Місяць тому +1

      아이 8개월입니다. 다시 잘보고 갑니다.

  • @hjoo7022
    @hjoo7022 3 місяці тому +4

    ❤❤육아에힘을얻고갑니다♥️♥️

  • @qjsdjs12
    @qjsdjs12 2 місяці тому +1

    원장님 영상보고 모유중인게 한없이 뿌듯합니다. 현재 16개월 아기 키우고 있는데 소아학회 권장대로 24개월까지 모유수유하면 되는걸까요?아니면 24개월 이후까지 먹이는게 정서에 더 좋을지요? 그리고 애기가 젖집착을 하는건지ㅠㅠ 하루종일 쭈쭈를 찾아요 하루 한 10번 이상은 하는거같아요 그냥 물때도 있고 꿀떡꿀떡 먹을때도 있구요 수유를 자주 하는게 저는 힘들지는 않은데 애기한테 문제가 있는건 아닌지 해서요ㅠ 24개월까지 이런다면 단유하기 많이 힘들거같아요 흑흑ㅠ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2 місяці тому

      모유는 아기가 크는데 필요한 모든 영양소가 9개월이 지나면 모자랍니다. 돌이 지나면 낮에는 이유식을 많이 먹이고 되도록이면 모유를 주지 않는 것이 좋겠어요. 잘 때만 좀 물려주다가 서서히 중단해주세요. 모유를 너무 좋아하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중단하기가 힘들어지거든요. 저도 어렸을 때 모유를 먹기 위해서 엄마를 3살 때까지 따라 다녔다고 합니다.

  • @user-tq5zy5nn5r
    @user-tq5zy5nn5r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안녕하세요. 아기가 이마가 좁다는게 마음에 걸려서요..이마가 좁은 아이도 있을수 있지 않을까요?ㅜㅜ 저희 아기는 태어날때부터 머리가 너무 작았는데 지금은 많이 커지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작은 편이거든요ㅠㅠ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엄마아빠의 이마와 비교해보세요. 비슷하면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눈썹이 너무 찐하지 않은지 보시고. 머리둘레가 잘 자란다면 전혀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 @user-lt2ne6rd4b
    @user-lt2ne6rd4b 4 місяці тому +1

    요즘 너무 일찍 유치원 보내는데.. 돌전에도 보내는 경우도 있는데 이부분에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무조건 최소 3살까지는 엄마가 키워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4 місяці тому +3

      또래 아이들과 일찍 노출 되는 것은 발달에 도움은 되나 감염에 노출되어 병에 걸릴 가능성이 많아서 걱정입니다. 적어도 두돌이상 지나야 아이들의 면역이 단체생활을 할 만큼 형성이 됩니다.

  • @user-mo5ey6tb6j
    @user-mo5ey6tb6j 8 місяців тому +19

    만5개월 완모중인데.. 혼합할까 고민하던 중에 이 영상을 보게 되었어요..!!
    최대한 모유를 줄 수 있을만큼 줘야겠어요 그리고 육아가 힘들어서 점점 말수도 줄고 교감이 적었는데 ,, 자극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jumiilly
      @jumiilly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혼합 유혹 저도 한번있었는데요 세상에 안하길 정말 잘했구요^^ 혼합은 결국 올분유로 간다는 법칙이 있다보니 ㅠ
      전 18개월 모유수유중이고 매번 느끼는거지만 분유안하길 세상 잘했다고 매일 느끼고 산답니다 정말이예요
      일단 우유통안씻어도되서 좋구요 ㅋㅋ (다른일도 많은데 진짜 일이랍니다ㅠ) 그리고 교감 진짜 최고인것같아요 돌정도까지 눈만 마주쳐도 아름다워서 울었답니다 ㅎㅎ
      그리고 애가 쫌 먼가 더 발달?되 보여요 ㅋㅋㅋ
      어미뇌피셜 ㅋㅋㅋ
      하이튼 화이팅입니다^^

    • @dl499
      @dl499 8 місяців тому +7

      저는 13개월 모유 완모인데 아이와 교감하는게 너무 좋아요~ 특히 애가 커갈수록 모유 먹는 자세를 자기가 바꾸고 별 웃긴 자세를 취하는데 진짜 웃겨요 ㅋㅋㅋ 내가 모유 포기했으면 이런 면들을 못 봤었겠구나 하면서 뿌듯해요 ㅋㅋ
      다만 이유식 전환기에 이유식 양이 잘 늘지 않는다면 철분이 부족해서 빈혈 있을수 있으니 꼭 철분 강화 된 이유식 챙겨주시고, 피검사 해허 철분제 챙겨줘야 할수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힘내세요 ^^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이유식을 아기가 잘 먹지 않는다면 엄마가 아기에게 주기전에 한번 맛을 보세요. 그리고 모든 분유에는 나트륨이 들어있는데 엄마가 해주는 이유식은 너무 소금간을 안하는 것은 아닌지 확인을 해보시고요. 우리나라는 매스컴에 소금을 많이 먹으면 좋지 않다는 평가가 있기 때문에 많은 엄마들은 웬만하면 소금끼를 안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무조건 소금이 나쁜게 아니고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양이 있습니다.

  • @user-su4gu1ti2g
    @user-su4gu1ti2g 4 місяці тому +5

    두개골조기유합 진단받고 수술앞두고 있어요 이 영상보고 더걱정이네요 이제 14개월인데... 아직 만 3세까지 시간이 남았으니 수술시켜주고 더 잘자랄수있게 케어해볼게요 부디 아무 문제없이 뇌발달 잘 되길 바랍니다 🙏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4 місяці тому +2

      대천문이 다 닫혀지는 시기는 18개월정도 입니다. 머리둘레의 변화가 전혀 없고 대천문이 사진상 닫혀있다면 신경외과 선생님과 상의하여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choonsik_lover
    @choonsik_lover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저는 쌍둥이 둘 키우고 있는데, 둘이 동시에 울다보면 한명은 잘 못챙기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챙김을 덜 받는 한명이 발달이 안될까봐 너무 두렵고 걱정되는데, 애가 태어날때부터 머리가 작게 태어나서 더 걱정이 크네요. 모유수유도 애한테 더 하려고 노력하고 손발도 많이 만져주는데... 우리 아기 괜찮겠죠? 요즘 짜증도 늘고 잠을 잘 못자고 직수도 거부해서요....ㅠㅠ 쌍둥이 육아는 너무 어렵네요. ㅠㅠ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저도 쌍둥이 할머니입니다. 겉으로 닮은 것 같지만 성격이 확실히 다릅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두 쌍둥이를 모두 울리지 않고 키울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직수를 거부 할 경우에는 젓꼭지 보호대를 사용하여 모유를 빨릴 수 있다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쌍둥이로 자라는 것은 서로 발달에 상호작용이 현저히 높아 단태아보다 뇌발달은 앞서 갈 수 있습니다. 아기들은 어른보다는 자기 또래 아이들과 잘 의사소통이 되기 때문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둘다 울리기도 하고 웃기도 하고 다양하게 자극을 주면서 키우시면 좋겠습니다.

    • @choonsik_lover
      @choonsik_lover 5 місяців тому +1

      @@PediatricianKimsookza 따뜻한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ㅠㅠ 안그래도 유두보호기 쓰니까 다시 직수를 잘 하더라구요. 큰 도움이 되었어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행운 가득한 한해 보내세요!🥹🙏🏻

  • @user-jj6rn4kw9v
    @user-jj6rn4kw9v 2 роки тому +3

    제가 단각자궁이어서 아이가 뱃속에 있을때 움직임이 많지 못했고 조산의 위험이 있었지만 잘 넘기고 37주 4일 2.68로 제왕했고 인큐에는 들어가지 않았어요
    그래도 미숙아였는지 잠복고환 있어서 수술 잘 마쳤구요
    태어날때 머리가 가로로 좀 많이 큰 편(두돌때 51cm) 이었는데 크면서 뇌가 자릴 잡았는지 계란형이 되면서 좀 작아졌어요(태어날때 머리숱은 아주 많은 편이었구요)
    그래선지 아이가 뒤집기,서기,걷기부터 언어까지 발달이 다 늦은편인데 좁은 뱃속에서 그래서 뇌발달이 미성숙?늦다?고 볼 수 있을까요?
    만약 그렇다면 어떤 도움이나 해결책이 있을까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2 роки тому

      아기는 3주 일찍 태어났기 때문에 모든 발달은 3주를 더해서 계산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조산하지 않고 잘 태어나서 천만다행이예요. 머리크기가 정상이라면 늦는거에대해서 조금 걱정이 덜 됩니다. 그러나 머리크기가 아주 작다면 (엄마아빠의 머리가 작지않다면) 아기 뇌성장에 영향을 받았나 생각해보는것이 좋겠습니다.

    • @user-jj6rn4kw9v
      @user-jj6rn4kw9v 2 роки тому

      @@PediatricianKimsookza 우와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ㅜ 머리 크기가 두돌때 51cm로 상위였을 정도이지 아주 작지 않아요😂
      그러나 발달은 3주 이상 늦단게 문제에요ㅜ
      40개월인데 아직 의미있는 발화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요ㅠ
      일단은 출생요소가 발달지연과 연관있을 수 있으니 더 열심히 달려야겠네요ㅜ

  • @ZionSoyul
    @ZionSoyul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선생님 안녕하세요
    저는 첫째 두돌까지 완모 했고 현재 6개월인 둘째 완모 중인 엄마입니다.
    첫째 완모할 때도 친정이며 시댁이며 요새 분유 잘 나오니까 모유 끊으라고 귀에 닳도록 말 듣고 끈질기게 모유수유 했는데 이번 둘째는 아직 6개월인데 벌써부터 끊으라고 성화이십니다.
    요새는 분유 영양이 더 좋고 모유는 6개월 지나면 영양가 없다고 계속 말씀하시는데 정말로 모유는 6개월 지나면 물젖인지, 분유가 영양가가 더 많은지 궁금합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기들 영양에서 모유는 최상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분유는 칼로리는 보충되어서 아기가 살이 찔지는 몰라도 모유처럼 뇌의 좋은 음식은 없습니다. 다만, 엄마로부터 받은 철분저장량이 6개월이면 고갈이 나서 빈혈이 올 수 있는 시기입니다. 모유는 그대로 하시고 서둘지 마시고 이유식을 서서히 시작하시면 됩니다. 모유로만 키우고 이유식을 해서 키우면 평생동안 알레르기와 관련된 질환을 덜 앓게 됩니다 . 이유식에 소고기가 6개월에는 하루에 10g정도 시작하시면 빈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bominasalam1161
    @bominasalam1161 Рік тому +8

    선생님 안녕하세요! 저는 가능한 아기에게 모유를 먹이고 싶었지만, 임신중독증으로 급히 아기를 낳게 되면서 약을 먹어야하는 상황에 처해 모유를 단 한방울도 먹이지 못했습니다. 그 부분이 지금까지 죄책감으로 힘들어 분유를 탈때 여러가지 초유 성분이 들어가 있다는 것들을 추가로 넣어서 주지만 그것은 결국 소의 젖이라 모유만 못하다는 생각에 늘 마음이 괴롭습니다. 모유를 못 먹더라도 어떤 다른 영양제라던지 음식으로 부족한 부분을 최대한 채울수 있는 방법은 없을런지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Рік тому +6

      초유에 너무 집착하지 마십시요. 엄마초유에는 엄마가 가지고 있는 면역을 넘겨준다는 큰 의미가 있습니다. 엄마의 이야기대로 송아지면역을 넘겨받는다고 아기에게 큰 도움은 안됩니다. 그리고 그것때문에 죄책감 느낄필요없고 아기가 병 안나면 잘 자라는걸로 생각하면 될것같습니다. 오히려 좋다는 것을 여러가지 먹이는 것이 아기한테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user-xb9xi8uu6r
    @user-xb9xi8uu6r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아기가 정말 잘 안 먹는 아기인데요 너무 안먹던 아기라 어떻게 해서든 먹이려고 장난감을 많이 주면서 그 틈에 많이 먹였어요~그래서인지 지금도 뭘 주지 않으면 먹지를 않네요~ 잘 먹는것이 좋다고 하셨는데 그렇게 해서라도 먹이는 것이 좋은건가요~?
    그리고 저는 아기를 4살쯤에 어린이집에 보내려고 하는데 사회성이 많이 떨어지지않을까~ 걱정도 됩니다!
    적당한 시기에 어린이집에 보내는 것이 뇌발달에 더 좋은지 궁금해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기가 잘 안 먹는다면 빨리 우유를 끊어주세요. 그리고 안 먹는 것이 불안해서 정신을 다른 곳에 집중을 시킨 다음에 먹이는 것은 자제해주세요. 충분히 아이가 배고플 수 있는 시간을 주세요. 그리고 아기 앞에서 엄마,아빠가 음식을 아주 맛있게 드세요. 아기한테 절대 먹으라는 소리를 하지 말고요. 그리고 아기가 먹는 음식이 간장이 조금은 들어가야 해요. 아이에게 이유식을 먹이기 전에 엄마가 맛이 있는지 한번 먹어보세요. 우유를 당분간 끊어주시면 고형음식에 적응이 빨라집니다. 아기가 한 끼라도 안 먹으면 엄마가 불안한 것을 먼저 해결해야 할 것 같습니다.

  • @user-du8rq3fb7r
    @user-du8rq3fb7r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박사님! 아기가 50일차 입니다
    걱정 되는 부분은 육아하면서 신랑이랑 자주 말싸움을 해서 아기에게 영향이 갔을까봐 .. 불안하네요
    말싸움 하고 나면 아기가 눈치를 보는거 같아서요 가장 좋은 방법은 싸우지 않는건데! 전에 싸웠던거는 영향이 많이 없겠죠?ㅠㅠ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살다 보면 싸울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바로 화해를 하셔야 하지요. 되도록이면 아기 앞에서 싸우는 것은 조금은 자제하도록 노력해보세요. 싸움이라는 것은 두 분이 똑같아야 싸우죠. 한 사람이 좀 지면 안될까요?

  • @lights6220
    @lights6220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또담. 5년. 만 3세까지 뇌 발달과 애착 육아가 중요한 이유.

  • @theo0827
    @theo0827 4 місяці тому +1

    박사님 안녕하세요 저는 캐나다에서 육아중인 한 아빠입니다. 아이의 머리를 재는데 저희 아기의 경우는 두상이 엄마쪽 그러니까 서구형을 따라가서 순수한국아기랑은 형태가 좀 다른데, 캐나다의 사이즈기준으로는 또래보다 큰편에 속하는데요 이렇게 혼혈인 경우에는 무슨기준으로 잡아야하는건지 아니면 이 경우는 꾸준히 사이즈를 재서 성장그래프라도 만들어서 판단을 해야되는걸까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4 місяці тому

      나라마다 평균치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꾸준히 머리둘레를 측정하여 자라나는 속도가 한달에 1cm정도 1년에 11cm이상 자란다면 정상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머리둘레는 만4세까지 성장이 완료됩니다.

  • @user-ei8ow6yf2t
    @user-ei8ow6yf2t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안녕하세요 원장님~
    아기가 인지 등 발달은 평균이상인데 영유아검진할때마다
    머리둘레는 20~25퍼센트로 나오네요
    몸무게,키는 90프로 정도이구요
    뇌발달이 잘 안되고있는걸까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7 місяців тому

      엄마가 아빠 두분 중에 한 분이 머리가 작은 분이 계신지요. 머리가 작다 하더라도 일정한 속도로 머리 성장이 이루어 지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 @user-dj5nw7gq7s
    @user-dj5nw7gq7s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안녕하세요~ 이제야 이 영상을 보았는데요~! 만3세까지 뇌발달이 중요한데~ 요즘에 많은 교육들이 있는데 이런 학습이나 문화센터수업이나 방문수업 등등 교육적으로 많이 알려주고 경험시켜주면 더 좋을까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7

      아기들은 하루에 5분정도 아기주도의 대화소통이 필요합니다. 엄마의 주장은 없고 아기의 주장이 있어야 하고 엄마가 하라는 말을 절대로 하지 말고 아기 의견을 존중하고 아기가 좋아하는 쪽으로 집중해서 대화를 해보세요. 오히려 가르치는 것 보다 아기에게 선택할 수 있게 유도해 보세요. 앞으로 평생공부해야하는데 너무 많은 것을 많은 것을 가르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 @user-uo6dw5nr6q
    @user-uo6dw5nr6q Місяць тому +1

    존경하는 우리김숙자원장님,
    우리아이 희귀병 진단 받고 모르는게 너무 많아 눈앞이 캄캄할때
    24시간 언제든 전화하라며 전화번호를 써 주시는데 놀란 가슴을 누르고 있던 두려움이 사라지고 보호받고 있다는 따뜻함을 느끼며 안도의 숨을 내쉬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우리아이가 몇 달 전에도 폐렴으로 입원해서 숨을 못쉬어 힘들어 할 때도 쉬지 않으시고 한달음에 달려와 옆에서 지켜봐 주셨죠.
    17년간 아이를 키우는 동안 숨막히게 힘든 순간 순간에 원장님이 옆에 계셔 주셔서 견뎌낼 수 있었습니다.
    원장님을 보내주신 하나님아버지께 감사드립니다.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건강하세요.❤

  • @sliver3434
    @sliver3434 4 місяці тому +1

    안녕하세요 너무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3개월 아이 모유수유 중인엄마입이다. 아이가 녹변만 보는데 전유후유불균형일때 이럴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또 전유만 먹이면 발달에 문제가 된다는 말을 들어서 걱정이 되더라구요. 이럴땐 모유를 포기하고 분유를 먹이는게 더 나을까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4 місяці тому

      대변의 색깔을 결정하는 것은 담즙이 산화되어 녹색이나 진회색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대변색깔은 걱정안하셔도 될 것 같고 아기 몸무게, 키, 머리둘레 3가지 성장이 잘 되는지 비교가 필요하며 전유만 먹일경우에는 탄수화물 성분이 더 많아 살은 찌는데 단백질과 지방부분이 약간 모자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쪽 유방을 확실하게 비운 다음에 그 다음 모유수유를 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쪽 수유만 해도 모유양이 너무 많을 경우 유축기로 짜서 충분히 비우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유축기로 짠 모유는 냉동에 보관해서 급할 때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모유는 신생아에게는 최상의 음식입니다. 모유를 포기하고 분유를 먹이는 것이 좋은 것 같지 않습니다.

  • @user-vk6nr1qi8u
    @user-vk6nr1qi8u 2 роки тому +9

    안녕하세요 선생님~ 영상을 보고 많은 도움받고 있는 5개월 아기엄마 입니다. 영상보니 고민되는 부분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출산후 지금까지 남편빼고는 제가 모든시간 육아를 해왔는데... 그래서 그런건지 4개월때부터 일찍 낯가림이 시작되서 밖에 나가면 많이 울고 보채고 집에서도 혼자 노는건 잠시 10분정도이고 엄마와 떨어지려 하지않고, 계속 엄마만 찾아서 걱정이 많이됩니다. 책이나 다른 육아하는 사람들 보면 아기가 혼자노는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데. . . 그냥 좀더 기다려주면 자연스럽게 나아질지? 아니면 어린이집이라도 보내야 하는지 고민입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2 роки тому +7

      어린이집에 가기는 너무 이르고 많은 가족들이 아기와 얼굴을 노출시켜 엄마 이외의 가족을 친근히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접촉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어린이집에 가면 감염위험이 있고 아직은 엄마와 떨어지는 것이 마음의 상처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엄마가 안보여도 문제가 없도록 아빠와 시간을 많이 보내도록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user-vk6nr1qi8u
      @user-vk6nr1qi8u 2 роки тому +1

      @@PediatricianKimsookza 네 감사합니다. 선생님^^

    • @user-mz5zg2jt4n
      @user-mz5zg2jt4n Рік тому +2

      선생님, 좋은 영상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40세 노령의 산모입니다. 해외에서 출산을 했고 아이가 60일경에 온가족이 코로나로 고생했어요 ㅠ 그때쯤 아기가 많이 울어서 제가 몸이 너무 힘들고 정신 육체적으로 고되서 수면교육을 한답시고 낮잠에서 깬 아기가 우는데 20분가량 무표정으로 스스로 울음을 그칠 때까지 지켜봤어요.. 책에서 그리고 많은 미디어에서 낮잠 연장을 위해 20분정도는 개입하지말고 지켜보라고 하드라규요 ㅠ 그런데 정말 그 이후로 아이와 애착이 되지 않는다고 느끼고 아이가 저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아요 ..ㅠ 이 외에도 자기통제가 중요하다는 소리를 들어서 아기가 울때에 안아서 달래지 않고 스스로 그칠 때까지 지켜본적이 두번 더 있습니다..ㅠ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면 어린 아가가 정말 무서웠을 거 같다는 생각을 해요 ..ㅠㅠ 아기때의 이러한 기억이 뇌발달이나 애착에 문제가 생길까요.ㅠㅠ 그냥 제가 힘들어도 많이 안아주고 보듬었어야 했다는 죄책감이 너무 심해요.. 하지만 그 외에는 정말 먹놀잠 패턴을 지키키위해 트림도 30분 시키고 무릎에서 눈맞춤을 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isaacchoi8280
      @isaacchoi8280 Рік тому +5

      @@user-mz5zg2jt4n 저도 애기 키우고 있습니다 수면교육이라고 토닥접도 따라햇지요 애기가 다음날 저랑 눈을 안마주칠려고 하는게 느껴졋습니다 그냥 무조건 사랑으로 대해주는것이 좋습니다 물론 부모님 컨디션이 제일 중요하고요
      지금 저희 아기는 30개월정도 됐습니다 또래 아이들을 관찰하며 느낀건 정말 사랑을 많이 줘야한다는 겁니다 아이가 싫어하는 느낌이 들면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민감한 부모가 아이와의 애착 형성을 잘합니다 어렸을때는 그렇게 키우기 힘들었던아이가 지금은 잘놀고 잘웃으며 즐겁게 보내고 있습니다 화이팅 하세요 ^^

  • @dfsfgasdfg
    @dfsfgasdfg 3 дні тому +1

    애기가 원하는거 제깍제깍 해주는 편인데요. 대화가 안되다보니 애기때부터 빨아먹는 주스 뚜껑에 뽀뽀하면 확실하게 먹는구나 하고 줬어요. 이제 25개월인데 뚜껑 입에다가 갖다대니 오늘은 처음으로 뽀뽀 안하고, 말로 먹을래요. 하네요.. ㅎㅎ 이젠 말이 편한가봐요

  • @user-jt7wm3ry7v
    @user-jt7wm3ry7v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이제 이런 영상을 보면 분유 먹이고 키운 저는 굉장히... 슬퍼지고 얻을 게 없는 영상이 되어버리죠 슬픔만 얻은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7 місяців тому +9

      저도 모유가 좋은 줄은 알지만 아들이 모유를 빨지 않아 억지로 짜서 한 달 밖에 못 먹였습니다. 죄의식 느낄 거 없습니다. ^^

  • @user-vh1ng4ep7c
    @user-vh1ng4ep7c 2 місяці тому +4

    진짜 이마 짱구들이 똑똑한 애들이 많았던거 같아요~

  • @user-su2wi3hq6h
    @user-su2wi3hq6h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안녕하세요 유튜브 잘 보고 있습니다.
    출산 6일후부터 딱 1주일정도 아주 소량의 모유를 먹였어요. 이후에 계속 분유로 아기를 키웠는데,
    그때 더 모유수유 노력을 할 걸 그랬나봐요 ㅠ ㅠ

    • @Log283
      @Log283 24 дні тому

      그닥 관련 없어요 ㅎ 모유수유하고 자연 분만한 사람들이나 중요하다고 가스라이팅하지; 오히려 모유가 위생 질병적으로 좋지 않은 유해 물질이 빌견되었다고 하던데요; 이건 뭔 조선시대같은 소리인지 모르겠네요 ㅎ

  • @elly2064
    @elly2064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저는 7개월만에 27주생 미숙아를 낳았던 엄마입니다. 모유를 열심히 유축했었는데, 당시 거대세포바이러스 문제로 약2주 밖에 못먹인 후, 3개월 반만에 퇴원후 1달반 정도 먹였었네요. 퇴원후에도 수유중 무호흡문제가 있어 직수도 못하고 유축만 하다 결국 양이줄어 자연단유가 되고 그동안 모아뒀던 냉동 모유를 1년간 보관하다 얼마전에 결국 처분을 했습니다. 박사님의 영상을 보니 모유를 양껏 못먹인 것에 대한 아쉬움이 정말 많이 남습니다. 다시 돌아간다면 꼭 만삭 출산을 하여 직수로 모유를 주고싶네요. 그래도 저희 아기는 1키로도 안되는 무게로 두번의 수술을 겪고도 뇌손상 하나없이 아주 건강히 자라고 있습니다. 모유는 원하는 만큼 못먹였지만 박사님의 영상을 참고하여 건강한 아이로 키우고 싶습니다.

    • @tokee1234567
      @tokee1234567 8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국제모유수유 전문가 과정 듣고 있는 해외간호사입니다. 모유는 6개월 지나면 언제든지 아이 목욕물로 쓸 수 있으니 꼭 버리진 않아도 됩니다. 다음 아이 가지게 되면 모유수유 잘 할 수 있길 바래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모유 수유를 못했다고 하나 모유를 짜서 먹인 것은 엄마의 정성입니다. 여러가지 어려운 여건에서 아기가 벗어난 것에 대하여 찬사를 보냅니다. 엄마의 소원대로 꼭 아기가 잘 자랄 것으로 확신합니다. 화이팅!

  • @user-lr7dr3mk1y
    @user-lr7dr3mk1y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안녕하세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유투브 해당 영상 보다보니, 머리 크기가 자라야 한다고 하셨는데,
    저희 아이는 1차 영유아 건강검진부터 36개월 지금까지 머리 크기가1타일 미만으로 추적관찰요망이라고 하는데, 괜찮은 걸까요… 대소근육, 사회성, 의사소통, 인지, 기본생활 발달들은 정상입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6 місяців тому

      머리둘레를 뒤통수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앞 이마 눈썹까지 측정해 보세요. 그리고 엄마 아빠가 머리가 작은 편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user-oj8dk1tu8l
    @user-oj8dk1tu8l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정보 얻고 여쭙고 싶은게 있어 댓글씁니다. 저희 둘째 아들이 tof로 태어나서 5개월차에 수술했고 수술하면 회복하는 시간이 필요하니 엎드리면 안된다기에 애기때부터 일부러 터미타임을 많이 안했어요. 수술하고 자꾸 뒤집을까봐요ㅠ 지금 갓7개월 됐는데 몸 옆으로 돌리는 건 하는데 뒤집기는 아직 못해요. 발달이 대근육부터 먼저 발달해서 다른것들이 따라온다는데 이러면 다른 언어라던가 인지 등등 다른 발달도 느릴 가능성이 있을까요? ㅠㅠ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5 місяців тому +1

      tof를 가진 아기들이 심장문제만 있는지 염색체22번의 미세결실과 동반되어있는지에 따라 면역문제와 발달이 약간 영향을 받을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tof일경우 폐동맥으로 혈액이 얼마나 갈 수 있는가에 따라 뇌순환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심각한 지능장애를 동반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user-oj8dk1tu8l
      @user-oj8dk1tu8l 5 місяців тому

      @@PediatricianKimsookza 임신 때 심장기형 발견하고 대학병원에서 낳은 거라 염색체 검사는 다 한걸로 압니다. 다행히도 다른 문제는 없었던 걸로 알아요. 큰 걱정없이 터미타임 같은 운동 열심히 하게 하면서 발달 도와줘야겠네요 ㅎ 답변 감사합니다!!

  • @guslmini
    @guslmini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선생님 안녕하세요.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저는 4개월 아기를 키우고 있는 엄마 입니다.
    아기의 하루일과가 모빌, 터미타임, 책읽어주기 등 매일 반복적인데요.. 매일매일 조금씩 다르게 놀아줘야 할까요? 아니면 매일 똑같이 놀이시간을 보내도 괜찮을까요?(아기가 지루해하진 않을까 합니다^^;;)
    또, 몸으로 놀아주는 것과 책읽기 등 정적으로 놀아주는 것의 비율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아직 너무 빨리 변화를 주는 것보다 충분히 자고, 먹고, 싸는 루틴에서 엄마, 아빠가 아기를 사랑하고 있다는 느낌, 뽀뽀를 해주고, 안아주고, 기저귀를 갈아주면서 자연스러운 대화가 중요합니다. 아직 책읽기는 이른감이 있습니다.

    • @guslmini
      @guslmini 8 місяців тому +1

      @@PediatricianKimsookza 답변 감사드립니다 :)

  • @mothree1004
    @mothree1004 8 місяців тому +13

    13개월 남아 키우고있습니다. 한달후 어린이집 보낼 예정인데 확신이 없었어요. 답변해주신 댓글들 통해서 아기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겠다는 점 알고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아기뇌발달에 큰도움이 되지만 감염의 기회가 많아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되도록이면 아기수가 많지않은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user-wn6kp7ys8v
    @user-wn6kp7ys8v 4 місяці тому +1

    ㅎㅎㅎㅎ 애기랑 라포형성은 잘 되어있는거 같습니다. 전 너무 잘먹어서 탈. 애가 22개월차인데 엄마보다 훨씬 더 많이 먹네요. 비만은 아니고 먹으면 배나오고 싸고 자고나면 쑥들어가고.. 신체발달은 빠른편이네요. 키 87?보다 큰듯. 몸무게 16kg넘고, 머리둘레 상위 99%인가..

  • @user-fh6nh4xn3j
    @user-fh6nh4xn3j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안녕하세요 20개월 남자아기 키우고있어요
    얌전하고 조심성 많은 아기입니다
    제가 규칙적인 생활, 건강한 식단을 중요하게 생각해서
    그렇게 키워왔는데 저랑만 집에있다보니 언어가 느린편입니다
    모든 육아전문가들이 세돌까지 엄마가키우는것이 좋다고하는데 제가 아이와 같이있긴하지만
    저는 집안일을 많이하고 아이는 주로혼자놀게됩니다
    제가 말수도 적은편이라 아이에게 말을많이걸지도 않구요
    뇌발달 측면에서는 어린이집을 두돌쯤 보내는게 좋을것같은데
    어린이집에서는 아무래도 식재료등이 집에서보다 건강하지않을것같고, 세돌까지 가정보윸이 정서적안정에 좋다고하니
    어느시기에 보내는것이 좋을지 박사님 의견듣고싶습니다

    • @PediatricianKimsookza
      @PediatricianKimsookza  8 місяців тому

      집에 있으면 대화할 수 있는 기회와 사람과의 사회적 접촉의 기회가 적습니다. 또한 엄마가 많이 바빠 아기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시간이 한정됩니다. 어린이집을 보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