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ant Brain Development, This is basic! The Core of Brain Development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кві 2022
  • #Newborn #Infant #Braindevelopmnet
    Child Care Medicine Channel, Child Care Information Channel No. 1 "Our Neighborhood Children's Hospital"
    - Dr. Son, a motherof three children and pediatrician,
    Dr. Park , a psychiatris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Get the medical information you need for parenting
    It's easy to understand, it's accurate, it's fun to communicate
    This channel was created to communicate with everyone who is raising children.

КОМЕНТАРІ • 157

  • @woorikidss
    @woorikidss  Місяць тому +1

    📚‘우리동네 어린이병원 육아대백과‘ 출간! 국내유일 소아과&소아정신과 의사엄마들이 쓴 육아책👇🏻👇🏻👇🏻
    🔷예스 24
    m.yes24.com/Goods/Detail/125091799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413688
    🔷알라딘
    aladin.kr/p/gQeyo
    📚소아정신과 아들 엄마&딸 아빠가 쓴 우리 가족 첫 성교육 책! ‘세살부터 알아야 해, 내 몸 네 몸’👇🏻👇🏻👇🏻
    🟣예스 24
    www.yes24.com/Product/Goods/125577911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757378
    🟣알라딘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36582759&start=slayer성.교.육

  • @user-bp5ti6by4n
    @user-bp5ti6by4n 2 роки тому +417

    1.영양균형이 맞는 식사
    2.안정된 애착
    3. 충분한 수면
    4.다양한 경험 및 적절한 자극
    5.즐거운 놀이
    와..콕 찝어주시니 정말 쏙쏙들어오지만
    실전은......정말 어렵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 @woorikidss
      @woorikidss  2 роки тому +16

      알고 있는것만으로 50%, 실천하려고 노력하는것으로 90%입니다! 화이팅이에요!

    • @user-jp5xz8bg1d
      @user-jp5xz8bg1d 3 місяці тому +1

      ​@@woorikidss대뇌,사이뇌,소뇌,뇌간,척추,기저핵,뇌실,뇌척수액,변연계,편도체,해마의 모든기능,발달시키려면?

  • @joydmusic1993
    @joydmusic1993 Рік тому +23

    아이셋아빠인데요
    첫째때 13년직장 미련없이 정리하고
    서울>시골
    아파트>주택
    먼직장>가까운직장
    평일5시반>7시반 아이와함께놀았더니
    셋째까지 이제 누구찾지않고
    스스로잘놀고 스스로자기방가서 시간되면 자는
    안정적인 아이들로 자라더라구요
    바운서,모빌,각종놀이감
    첫째때준비해줬지만 이제는 이런거
    다치운지오래됬어요
    좀있으면 넷째나오길기다리고있습니다

    • @user-to7dk4zm8z
      @user-to7dk4zm8z 24 дні тому

      이시대의 진정한 애국자! 멋져요

  • @user-iz6kw8qt8u
    @user-iz6kw8qt8u 2 роки тому +76

    잘 먹는 아이, 잘 자는 아이 두신 부모님들 너무 부럽습니다. 그렇게만 돼도 육아가 더 편할 것 같다고 생각하고 2년 이상이 흐른 지금은 그냥 건강한 것만으로도 감사하네요.
    잘 웃고, 건강하면 그냥 잘 크고 있고 뇌도 잘 발달하고 있다고 믿고 싶습니다. 저와 같은 상황의 분들이 계시다면 힘내세요!

  • @h0e0e1hsy2o
    @h0e0e1hsy2o 2 роки тому +5

    애기들 재우고 이유식만들면서 보니 기분이 좋아지는 ㅋㅋ 샘들 영상이예요❤

  • @gnbindang
    @gnbindang 2 роки тому +30

    기본에 충실하고 함께 해주는게 중요하다는걸 다시 느낍니다 선생님들 감사합니다♡♡

  • @ujooooo
    @ujooooo 2 роки тому +3

    정말 중요한 다섯가지인것 같아요 눈이 반짝반짝 빛날때 우리아기가 밖에서 꽃이나 풀, 강아지나 길고양이 비둘기만 봐도 눈이 반짝반짝해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jbb7960
    @jbb7960 2 роки тому +307

    실망보다 큰 위안이 되었네요. 집에서 미술놀이니 촉감놀이니 하는 사람들 사진이나 영상 보면서 ‘나는 우리 아이한테 이런걸 못해주네..’하는 죄책감이 늘 들었거든요. 펼쳐주는 것도 치우는 것도 너무 힘들잖아요ㅠㅠ 현실적으로 저런걸 하는 엄마가 진짜 많은가..싶기도하고 그랬는데… 이 영상 보면서 사실 우리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기본적인 것들은 잘 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어서 안도가 됩니다. 늘 감사해요^^

    • @BBBBBBBang
      @BBBBBBBang 2 роки тому

      위안이라 ㅠㅠ

    • @user-ol9cf8bb2l
      @user-ol9cf8bb2l 2 роки тому +16

      촉감놀이는 충분히 해줄수있는 기본 레벨에 포함될거같은데요.. 너무 지저분하고 집안 난리나는 것만 촉감놀이가 아닙니당!

    • @forever1662
      @forever1662 Рік тому +10

      미술놀이 촉감놀이 그다지 어렵지 않은데요

    • @user-id9qn8ic9f
      @user-id9qn8ic9f Рік тому +5

      촉감놀이 미술놀이는 5번에 포함되지 않을까요..너무 대단하게 생각하면 힘들지만 간단하게 한번씩, 몰입을 방해하지만 않는다면 충분히 오랜시간 놀더라구요. 죄책감 느끼면서도 못할정도로 많이 힘들지는 않아요. 욕조에서라도 간단하게 시켜주세요!

    • @woohello5179
      @woohello5179 Рік тому +6

      저도... 아이한테 못해줘서 봤는데 위안이되네요 눈물나네요...

  • @user-ky5ox9si9z
    @user-ky5ox9si9z Рік тому +1

    따숩다 따수워 항상 볼때 마다 두분 참 쉽게 잘 살명해 주시려는게 느껴져요

  • @TommyMom887
    @TommyMom887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아기 잘 때 마다 틈틈이 보면서 공부해요😊 매번 병원가서 물어보거나 책으로 찾아보기 쉽지 않은데 이렇게 영상물로 정리해주셔서 너무 좋습니다👍

  • @user-bi2js8yd5t
    @user-bi2js8yd5t 2 роки тому +8

    언제나보면서 공부하고있습니다
    좋은말씀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kyungeunhan6181
    @kyungeunhan6181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만 3세까지 엄마의 희생을 기반으로 하는 양육방식에 대한 추천의 말들이 많더라구요. 그 와중에 이런 과학에 근거한 영상을 보게되어 '지금도 충분히 잘 하고 있구나'하며 안도하는 워킹맘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user-ik8lk1cm9l
    @user-ik8lk1cm9l 2 роки тому +34

    궁금했던 내용 감사합니다. 산책 부지런히 하는데 다행이네요.
    노산이라 같이 아이 키우는 친구도 없고, 15개월이니 아직 어린이집 갈 시기도 아니고, 놀이터도 나가보면 또래 아기도 없고 제가 열심히 놀아는 주지만 너무 엄마하고만 시간을 보내는 거 같아 걱정 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코로나 시대라 더 어려운 거 같아요. 사람 보라고 문화센터에 가봤는데 다른 아이들은 잘 노는데 저희 아이는 조용히 관찰하고 엄마랑 놀다오기 바빠요. 이게 정상인지 걱정도 되고요. 너무 엄마만 보고 지내서 이러나 제 탓같고요. 아기들이 엄마만 보며 집콕하는 문제, 문화센터 다니는 시기등에 대해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kejung90
    @kejung90 2 роки тому +3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ㅜㅜ 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 @gracecho9540
    @gracecho9540 2 роки тому +18

    아이들 발달에 중요한 사항을 공유해준 영상도 감사하구, 워킹맘 쌤들의 시간도 감사합니다!👍🏻👍🏻👍🏻

  • @tiffanylee4849
    @tiffanylee4849 2 роки тому +2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purplecloud36
    @purplecloud36 2 роки тому +8

    코로나 시기에 키즈카페나 어린이집, 유치원 등을 접하지 못해서 내 아이만 뒤쳐지는게 아닌가 외부 자극이 부족한건 아닌가 했는데 이제 곧 만3세가 되니까 예쁜 꽃이 피고 초록잎이 생기고 물이 흐르고 개미나 벌레가 기어가는것 등등 많이 보여줘여겠어요!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아~~

  • @sunnychoe295
    @sunnychoe295 2 роки тому +6

    오늘도 선생님들 주옥같은 영상 올려주셔서 아주 잘 봤습니다! 기본에 충실한 육아를 해볼게요!! 감사합니다.

    • @user-ly9ri3ed2o
      @user-ly9ri3ed2o Рік тому

      111ㅣ기ㅣㅣ1111111111ㅣㅣ11ㅣㅣㅣㅣㅣㅣㅣ1

  • @user-jz4ci1go1q
    @user-jz4ci1go1q 7 місяців тому

    박소영쌤 완전 프로페셔널~~ 팬이에요

  • @jiwonha6146
    @jiwonha6146 Рік тому

    너무 감사해요~^^ 영상 정말 완소입니다!

  • @jk5380
    @jk5380 2 роки тому +1

    존 정보 감사합니다!

  • @happyhalmang
    @happyhalmang Рік тому

    좋은말씀 넘넘 감사합니다 😀😃😄

  • @Joymom
    @Joymom 2 роки тому +7

    우와 전문의 분들이 나오셔서 귀에 쏙쏙 들어오는 설명으로 너무 잘 이해됐어요~오늘도 잘 먹이고 많이 안아주고 열심히 놀아줘야겠어요~감사합니다❤️❤️❤️

  • @Comin_shu
    @Comin_shu Рік тому +3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6개월 아들을 키우고 있어요~ 아기가 기어다니고 만지고 하는 것을 지켜보고 말을 걸고 필요하면 안아주고 기저귀를 갈아주면서 내가 아이를 그냥 방치하는건가 무엇을 더 해줘야 하는건가 싶었는데 용기와 위로을 얻고 가네요🤩 아기가 좋아하는 것, 새로운 것을 볼 때 눈이 반짝이는 것을 보면서 귀엽다고만 생각했는데 그게 뇌가 발달하는 과정이라니 또 고맙고 기특해요 잘 키워볼게요(?) ㅋㅋㅋ 👍🏻😘

  • @user-bt2ls6kl2q
    @user-bt2ls6kl2q 2 роки тому +2

    안녕하세용~ ^^
    다른질문이지만..혹시 아이가
    혼자서 놀땐 개입하지않고 보는게좋은가요? 21갤아기 말 하면서 가끔 인형들과 혹은장난감과 혼자머라머라노는데
    제가 끼어들어같이놀려고말걸면
    급 멈추고 딴데가버려요🤣
    어린이집갔다오면 저랑놀시간이 많이는없어서…한창 말 많이 트이고 하는시기라서
    대화나 언어자극 많이 주고픈데 ^^;
    1춘기가 와버려서.. 제가 뭐든 터치하고 개입하는걸 너무싫어하네요!
    요즘엔 책읽는것도관심없구 ㅎㅎ
    도움청하지않고 혼자 놀때 좀 놔둬야되는걸까요?

  • @sunflower_ssun
    @sunflower_ssun 2 роки тому +4

    세상세상 주양육자인 엄마를 너무 좋아합니다ㅠ 수면분리를 시작했는데 매일매일 깨서 안방으로 찾아오는데.. 아직은 이른걸까요ㅠ 애도 저도 숙면을 못하고 있어요.

  • @stellajihyelee8680
    @stellajihyelee8680 2 роки тому +20

    모든 영상들이 전부 좋았지만, 이번 영상은 정말 최고 도움되었어요~ 18개월 첫 아기라 모르는게 많았는데, 궁금한점, 모르는 점, 알아야 할 점에 대해 설명을 조근조근 잘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bandal2112
    @bandal2112 Рік тому +4

    선생님~저희아기는 주방조리대 올라가서 상부장에 있는 물건들 빼내고 노는걸 젤 좋아해요. ㅎㅎ 이걸 위험하다고 못하게 해야하는건지 고민됬는데 어느때보다도 반짝반짝 하는 눈빛을 볼때마다 냅두게되네요 ㅎㅎㅎㅎ 영상보고 마음을 조금 놓았어요~제가 안전하게 옆에서 잘 탐색할수있도록 봐줘야겟어요

  • @annjsun
    @annjsun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잘먹이고 싶어도 잘안먹고 잘안잘때마다 좌절하는 엄마 여기있네요😂 밝고 건강하게 안아프면 잘 자라고 있는거겠지 하네요

  • @user-is9kt3hg3v
    @user-is9kt3hg3v 2 роки тому

    이렇게 다 할수 있다면... 정말 좋겠네요. ㅎㅎ
    예비맘인데... 이것저것 걱정이 넘쳐납니다.
    좋은정보영상 감사합니다

  • @jin2ism
    @jin2ism Рік тому +3

    첫째고 겨울이라 집콕육아만 하다보니 잘 키우고 있는건지 고민이 되는데 영상보니 기본적인거에 충실해야한다는 걸 다시금 되새깁니다. 조금 날씨도 풀렸으니 산책도 매일 조금이라도 데리고 나가면서 부지런히 세상을 탐색하게 해줘야겠어요! 지나치게 위생이랑 조심성이 많아 안돼를 달고 사는데 줄여보도록 해야겠구요ㅜ

  • @user-sh3iy6ub4m
    @user-sh3iy6ub4m 2 роки тому +6

    선생님들!! 늘 잘보고 많이 공유하고있어용ㅋㅋ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장난감 불빛관련 괴담아시나요?
    저는 100일 막지난 아가엄마인데
    장난감들에 불빛이 자극이 너무 심해서 불빛을 가려야한다는 이야기를 꽤 들어요;;
    아가는 막상 그런 불빛들 보면서 좋아하고 눈이 반짝반짝해지는데 말이죠..!
    말도안되게 3시간 방치 이런거 아니고
    10분, 20분 이렇게 노는건 괜찮은게 아닌가요ㅜ?ㅎ

  • @user-be6tw2rh9k
    @user-be6tw2rh9k 8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kim__3131
    @kim__3131 2 роки тому +2

    연년생 둘째를 키워도 육아는 어려운거 같아요..ㅠㅠ
    항상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보다 아이들을 잘 키울 수 있을거 같아요🥲

  • @ningkimono
    @ningkimono 2 роки тому +3

    저도 항상 잘 하고 있는 건지 궁금했는데, 큰 위안이 되는 영상이었어요. 아이가 저 다섯가지를 모두 적절히 잘 해주고 있어서 너무 다행이에요^^ 앞으로 좀 더 못하게 하는걸 하게끔해주어야겠어요 ㅎ

  • @user-xy8en2dy3x
    @user-xy8en2dy3x 2 роки тому +5

    감사합니다^^

  • @Nuntingdoli
    @Nuntingdoli Рік тому

    질문이 있습니다. 저희아이는 32개월 여아인데 밤에 자기를 싫어해서 20개월인가 2돌 전후?쯤부터 11-12시는 되야 겨우 재워서 아침 9시 이후 일어납니다. 그전에는 9시수면-7시 기상이였다면 잠드는 시간만 미뤄진건데 일찍자고 일어나는게 뇌발달에 영향이 있을지요, 아이 발달은 어린이집 또래와 비교해 빠른편이라 문제는 없어보이긴 하지만 어떻게든 고쳐야할지몰라서 질문드려봅니다.

  • @hok1049
    @hok1049 2 роки тому +5

    지금은 어딜 나가기가 힘드니
    진짜 아이에게 미안해요
    여행도가고
    이런 저런 경험도 하고 해야 하는데
    아쉽고 시간도 아깝고..
    그렇습니다.ㅜ

  • @user-jg1ws3so4w
    @user-jg1ws3so4w 2 роки тому

    굳이 특별히 만들어서 놀이를 해준다거나 한적이 없어서 조금 걱정했는데요 그냥 소소하게 장보러 같이 가면서 생쌀한줌 들고나와서 공원에 노는 비둘기 밥도주고 개미 기어가는것도 보고 바람불면 떨어지는 벚꽃잎 잡으러 뛰댕기는것까지 아이에게는 즐거운 놀이겸 열심히 성장하는중이였군요 앞으로도 일상속에서 소소한 즐거움을 찾아 아이에게 선물해야겠어요 영상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Naranim00
    @Naranim00 2 роки тому +2

    선생님ㅠ 39개월 아이인데 1년정도 발달이 늦고 극단적 편식쟁이라 자기가 먹는 것 외에 갈수록 새로운 음식을 거부하는 아이예요.(입에도 안대요) 식사류는 밥(잡곡류로 점차 변경 중) 돈&우양념육만 먹고 김치 깍두기 짜장 김 외에는 다 거부하구요. 그외에는 빵, 과일은 바나나 사과, 귤, 요구르트, 두유 정도만 먹어요. 액상 비타민D(밥에 1~2방울)영양제 외에는 절대 거부하구요ㅠㅜ 근데 밥 양은 많아서 키 몸무게는 50~60%수준이래요. 이런 경우는 계속 아이가 먹겠다는 것만 줘도 되나요..ㅠ 영양 불균형이 걱정되서요.. 아님 상담을 받아야 할까요.. 상담 받으려면 소아과 말고는 없나요? 소아과 몇군데 갔더니 발육이 정상범위라고.. 정 걱정되면 알레르기 검사하면서 피검사 해보는 방법을 권유하더라구요.. 그게 최선일까요?
    그리고 유제품은 두유만 먹는데 두유가 있으면 밥을 거부하고 두유만 먹으려 해서 두유를 끊을까 고민되는데.. 그건 안될까요? 해라마라 좀 해주세요.. 이 고민 땜에 흰머리가 증폭하고 있습니다ㅠㅜ

    • @sodapop519
      @sodapop519 2 роки тому

      다행히 양념육과 짜장을 먹으니 재료를 다양하게 해서 만들어주면 먹을 것 같은데요?? 그밖에 먹는다고 말씀하신 것들(잡곡, 과일, 유제품, 육류, 김치깍두기 3대 영양소가 그래도 들어가네요ㅎㅎ)만 먹어도 부족할까봐 심하게 걱정할 수준은 아닌 것 같아요.
      저는 채소를 너무너무 안 먹는 애긴데 짜장 카레는 먹어서 채소(시금치,양배추,당근,양파 등)를 푹익혀서 갈아서 물 대신 넣어 짜장 카레 만들어요.

  • @user-gr5wh3wl5y
    @user-gr5wh3wl5y 2 роки тому +1

    넘좋은영상 감사해요 근데 숙면을 위해서 백색소음 틀어주는건 어떨까요?

  • @user-bm3qe1sf1e
    @user-bm3qe1sf1e Рік тому +3

    2월 출생 예비맘인데 너무 유익해요❤️

  • @yujeonglee9824
    @yujeonglee9824 2 роки тому +17

    코로나 조심한다고 집콕을 많이 했는데 이제 날씨도 좋으니 아기랑 산책도 한번씩 해야겠어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 @woorikidss
      @woorikidss  2 роки тому +3

      봄바람 불어올때 벚꽃도 한번 만져보고 벚꽃잎 흩날리는것도 같이 보공~~ 홍홍홍

  • @kmjin3310
    @kmjin3310 Рік тому +1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나이별 적정 수면시간을 알려주셨는데 0~2돌, 3돌 ~5yr 의 기준으로 설명 주셨는데 2돌~3돌 사이의 연령대의 적정 수면시간의 지침은 무엇인가요?

  • @user-xl2ip1nh1f
    @user-xl2ip1nh1f 2 роки тому +7

    돌 아기 키우는데 영상들 보며 도움 많이 받았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 @user-xf4we4eg2b
    @user-xf4we4eg2b 2 роки тому +3

    아.... 아직 두돌 안된 아기가 .... 9~10시간 정도만 자요..... ㅠㅠㅠㅠㅠ 어떻게해도 안자려고하는데 ㅠㅠㅠㅠㅠㅠㅠㅠㅜ 낮잠도 잘 안자거든요.... 그동안도 계속 신경 쓰였는데 안자려는걸 싸워가며 애도 저도 스트레스 받느니 싶어 그냥 뒀었는데 영상보고 나니까 시름이 깊어지네요 ㅠㅠ 어떡해야할까요 ㅠㅠ

  • @user-oz1qb3yh8s
    @user-oz1qb3yh8s 2 роки тому +10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희 아인 21개월인데 무서워하는게 너무 많아요ㅠㅠ
    불, 호랑이, 사자, 소, 염소 등등 동물 실사나(작은 동물 제외) 불을 연상케하는 삐용삐용 사이렌소리, 다른 아이나 캐릭터의 부정적인 감정 표현 등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울면서 빠빠!! 빠빠!!라고 해요🥲)
    그냥 지나가는 과정이라 생각해야할지, 아이가 두려움과 공포를 느낄때 단지 괜찮아 라고 달래는게 최선인지 늘 고민이 많습니다ㅠㅠ 혹시 저와 애착형성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2번에서 말씀하신 '기댈 곳'이 되어주지 못한건지ㅠㅠ 걱정입니다ㅠㅠ

    • @user-zu3zh1fs2e
      @user-zu3zh1fs2e 2 роки тому

      저희 아기도 그래요 ㅠㅜ 지금 14개월되가는데 ㅜㅡ동물 울음 소리랑 사이렌 소리 등등 ㅜㅜ

    • @hok1049
      @hok1049 2 роки тому

      남아 입니다
      동물을 너무 좋아하는데요
      진짜 울음소리는 무서워 합니다
      사자나 호랑이 뭐 이런거요;;

    • @user-uq1gi8lz5e
      @user-uq1gi8lz5e 2 роки тому

      @@user-zu3zh1fs2e 두돌지났는데도 화재경보기 드릴공구 강아지 짖는소리 무서워해요~애착형성 문제라기보다 기질의 차이인듯요!!세탁기소리는 또 시끄러운데도 싱기방기해 하거든요

    • @lalalamom3024
      @lalalamom3024 2 роки тому

      제 아이도 21개월인데 참새 짹짹 거리는 소리도 무섭다고 합니다 ㅎㅎ

  • @user-gz9du1iy9f
    @user-gz9du1iy9f 2 роки тому +2

    복직 때문에 11개월에 어린이집 보내고 적응중인데요
    어린이집 적응 하면서부터 밤에 잠도 잘 깨고 낯선 환경에 가면 제 품에서 떨어지지 않아요..
    애착형성에 금이 가기 시작한걸까여ㅠㅠ...넘 안쓰럽고...문제 생기면 어쩌지 걱정도 되네오ㅜㅠ

  • @jooyoo3593
    @jooyoo3593 Рік тому +1

    23개월 여아를 키우고있습니다. 맞벌이고 최대한 허용적으로 사랑으로 키우려고 애쓰고있습니다. 집에서 엄마랑 둘이 있게됐을때 무섭다는 말을 자주하고 꼭 옆에 붙어있으려고학니다. 스스로 놀이하는 시간은 아주 짧고 늘 같이 하려고해요.보이는곳에 가까이 있어야되구요. 언어는 또래보다 빠른편이라 얘기는듣는편인데, 혹시 불안정애착인걸까요? 너무 걱정됩니다

  • @user-go1fz8wz6c
    @user-go1fz8wz6c 2 роки тому +5

    저희 아가는 신생아부터 34개월인 지금까지 수면을 잘 못해요... 돌 이전엔 12시간 전후 돌부터 30개월까지는 밤새깨고 울어서 나누어서 잔 시간 합쳐서 7시간+낮잠2시간 ... 현재 34개월 기준으로는 평균 8시간을 자고 낮잠은 아예 안자요.. 편식도 심해서 영양제 보충은 해주고 있지만 이 영상을 보니 세돌에 이미 가까워졌는데 80%나 뇌가 발달하는 시기에 너무나 많은 것을 놓친거 같아 걱정이네요ㅠㅠ 이미 놓친 시기를 되돌릴수도 없구요ㅠㅠ

    • @user-fp8lg9cv9f
      @user-fp8lg9cv9f 2 роки тому

      저희 애도 그래요ㅠㅠㅠㅠㅠㅠ흑흑 미치겠어요

  • @jlee4552
    @jlee4552 2 роки тому +3

    선생님~ 18개월 여아 육아중인데요?,
    아기가 겁이 많고, 새로운걸 잘 못받아들여요..
    저는 적절한 자극을 주려고, 매일을 숲에 데려가 활동적으로 놀아주려고 하려고도하고,..손으로 발로 느끼라고 맨발로 돌아다니게도 하고.. 책도다양히 읽고.. 놀이도 적절히 하는데 아기는 쉽게 못받아들이는거같아요.. 이런경우는 그냥 아기를 기다려야하나욤..??
    얼마전엔 길을걷다가 넘어져 다쳤는데, 다리에 살짝긁힌 상처를 보고 걷지도 않으려하고.. 목욕도 안하려고 하고.. 본인스스로가 무서워서 움직임을 제한하려고 하는거같아요..ㅠㅠ

    • @woorikidss
      @woorikidss  2 роки тому

      기질적으로 안전하고 친숙한것을 더 선호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아이가 적응할수 있을정도로 조금씩 노출해주세요~ 무작정 아이가 준비될때까지 기다리거나 혹은 아이가 싫어하는데도 많은 자극을 주기보다 천천히 조금씩 경험할수 있게 아이를 배려해주시면 자신의 속도대로 경험할거에요~!

  • @user-ej9gt5vp9o
    @user-ej9gt5vp9o 2 роки тому +1

    2번. 3번관련해서 궁금한 것이 있어요.ㅜㅜ 6개월 아가 낮잠인데요, 아기가 엄마 찾으면서 세게 우는데도 할머니 본인께서 아기를 업고 재우시려고 해요. 제가 재운다고 말씀드려도 저 잠깐이라도 쉬라고+아기 푹 재우려고(눕혀재우면 40분밖에 못자고 안아 재우면 2시간 정도 자거든요) 계속 업어 재우시는데 이런 식으로 엄마 찾는 아기를 데려가서 재우는 게 애착에 문제가 없을까요? 아니면 할머니가 안아서라도 낮잠을 푹 재우는 게 나을까요? 6개월이면 분리불안이 생길 때라 걱정이 많습니다.

    • @user-er9wu9es1i
      @user-er9wu9es1i 2 роки тому +1

      습관이 중요한것 같아요
      업어서 재우기 시작하면 크도록 업어달라고 조르더라고요
      저희도 비슷한 상황을 봐왔어서 미리 미리 습관들이시는게 좋으실거예요

    • @user-pq2ez4zy1y
      @user-pq2ez4zy1y Рік тому

      정말 저희 아들 바닥에 내려놓지 않고 안고 업고 그렇게 키웠는데 이거 진짜 나중에 어어어어어어엄청 고생 합니다.2주 정도 잠 못잔다 하고 애 바닥에 누워 재우면 나중에 졸리면 엄마 옆에만 누워있으면 옆에 같이 누워 잠잘자요. 진짜 저도 난 계속 안아 키우겠다고 너무 예뻐서 그렇게 생각하고 키웠는데 둘다 개고생 합니다 ㅠㅠ 얼른 습관 고쳐요 ㅠㅠ 지금은 그 고생끝에 고쳐서 좀 칭얼거리다 바닥에 누워서 자요

  • @user-tl4gi1cl3o
    @user-tl4gi1cl3o 2 роки тому +6

    선생님~~! 돌 막지난 님매쌍둥이 키우고있어요! 태어나서부터 혼자 키웠아사 아기들이 동시에 울면 바로바로 반응도 못해주고 본의아니게 방치아닌 방치를 하게되는경우가 많은데요ㅠㅠ 그래서 좀 걱정입니다...! 하나인 애기보다 많이 못안아주고 못놀아줘서...! 쌍둥이에 관한 동영상도 한번 만들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 @user-kg7xj6qt8i
      @user-kg7xj6qt8i Рік тому

      맞아요 ㅠㅠ 저도 쌍둥이인데 둘다 울면 진짜 ㅠㅠㅠㅠ 맴찢입니다

  • @SH-bj9jy
    @SH-bj9jy 2 роки тому +1

    편식하는 아기 키우는데 너무 힘드네요ㅠ괜히 미안해요

  • @user-t39eicn58o4
    @user-t39eicn58o4 Рік тому +3

    저희 애기는 13개월인데 집에 고양이를 키우다보니 함께 놀며(?) 감각, 운동, 감정 모든게 활발해지고 도움이 되는것 같아요 ^^

    • @user-vb1vr3tl4q
      @user-vb1vr3tl4q Рік тому

      터레끼는 어떠케하나요.. 입에 다들어갈건데

    • @user-t39eicn58o4
      @user-t39eicn58o4 Рік тому +3

      @@user-vb1vr3tl4q 수의사 말로는 구조상 기관지까지 들어갈 순 없고 일부 먹더라도 배설로 배출이 된다합니다. 근데 여태 배출된 털은 없었고 입술에 묻더라도 바로 떼주는 편입니다

    • @newyorksub6278
      @newyorksub6278 7 місяців тому

      우유알러지 있는 아기는 유제품균 어떻게먹어여하나요ㅠㅠㅠㅠ

  • @choeunjungcho8944
    @choeunjungcho8944 Рік тому +1

    선생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만 3세까지라면 한국나이로 5세 일까요?

  • @jkkim837
    @jkkim837 Рік тому +72

    1. 균형잡인 식사(곡류, 어육류, 채소, 과일, 유제품군): 어느 걸 많이 주는 것보단 특정 영양군이 모자르지 않게.
    2. 안정적 애착(주양육자의 일관되고 민감한 반응→안전하다는 신뢰): 탐색, 탐험을 가능케하는 안전기지
    3. 충분한 숙면(뇌발달은 잘 때 잘 이루어짐): 기억력, 집중력, 학습력이 높다는 보고가 있음.
    - 돌~24개월: 11~14시간
    - 3~5세: 10~13시간
    - 6~12세: 9~12시간
    4. 다양한 경험과 적절한 자극: 다양한 신체움직임을 권장(너무 과하거나 적지 않게)
    5. 즐거운 놀이(아이들에게는 모든 것이 놀이): 다양한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아이에게는 사소한 것조차 즐거운 놀이가 된다.

  • @user-ve8uq4ot4f
    @user-ve8uq4ot4f 2 роки тому +1

    두돌아기 낮잠을 두시간 자게하면 너무 늦게자서요 한시간만자게 깨워도 되겠죠?

  • @user-gy5jn4vb2g
    @user-gy5jn4vb2g 2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다섯가지 포스트잇에 적어서 잘보이는데 붙여두었어요:) ❤️

  • @user-yw3eq3qy8t
    @user-yw3eq3qy8t Рік тому

    13개월차이 연년생을 키우고있어요..제가 너무 힘들어서 친정엄마가 첫째를 월~목요일까지 친정집에 데리고 갔다가 데리고 오는데 .. 친정엄마에게도 첫째가 애착이있는데 주양육자가 2명일수도 있는거겠죠..?

  • @user-wz3dx6hk1k
    @user-wz3dx6hk1k 2 роки тому +5

    하.. 만 20개월 아들.. 공원이나 놀이터 가면 몇걸음 걷고 계속 안아 달라고만해요. 조금이라도 더 걷게 하려고 갖은 노력을 하고 옵니다. ㅜㅜ 집에서는 정말 잘 노는데 밖에서는 안그래요;; 외부 환경이 낯설어서 그럴까봐 매일 똑같은 놀이터, 공원을 데리고 가고 가끔 생태공원 갑니다. 활동량이 적어서 그런지 갈수록 낮잠 밤잠 잠드는데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요;; 잠은 총 12-13시간 정도 자긴합니다.
    어떤 자극들을 어떻게 줘야 할까요...? 아니면 기질이 원래 그런 건데 제가 이해를 못하는 걸까요?
    선생님~~ 이런 궁굼한 점은 어디서 상담을 받으면 되나요? ㅜㅜ 저도 아이도 심층 기질검사 이런거 해보고 싶어요~~

    • @woorikidss
      @woorikidss  2 роки тому +2

      20개월 아이라면 매일똑같은 놀이터라도 아이에게는 똑같지 않을수 있어요. 꼭 새로운 장소 새로운 사람을 만나야먄 좋은 자극을 받는것은 아니니 너무 걱정마세요~ 육아에 관한 상담은 소아정신과 혹은 발달심리센터등에서 받아보실수 있어요!

  • @user-il6bm2io2f
    @user-il6bm2io2f 8 місяців тому

    장난감을 가지고 놀 때 눈이 반짝거리는데 에듀테이블이나 불빛 나오는 장난감들이 한 방향으로 소통이 안 돼서 미디어로 구분된다고 하더라고요 ㅠ 이런거 가지고 놀 때도 뇌 발달이 될까요? 뭔가 미디어는 최대한 덜 노출시키고 싶은 마음인데 어렵네요 ㅠ

  • @jesong4439
    @jesong4439 Рік тому

    아이가 15개월인데 이전까지는 아이에게 해준 것이 정말 없는 것 같아요 ( 책 읽어주기, 다양한 장난감으로 놀이해주기 등)
    이제부터 바뀌더라도 괜찮을까요...? 지금까지 아이를 망쳐 놓은 것 같아서 걱정되는 마음이 듭니다!

  • @user-rt8cd9mc6w
    @user-rt8cd9mc6w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선생님. 80일 아기 놀이 문의 드립니다.
    고정된 모빌과 라마즈 헝겁책을 여러번 꼬아 빠르게 빙글빙글 돌리며 보여줍니다. 그리고 색깔이 여러가지인 공을 아이와 30cm정도 거리에서 색이 섞여 보이도록 빠르게 흔들어 보여주는데요. 아기 눈이 커지며 팔다리를 쭉쭉 펴고 흥분하며 주시합니다.
    혹시 이 방법이 과잉자극을 주는 것이라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인지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minimaljane2915
    @minimaljane2915 2 роки тому +2

    21개월아기엄마인데요.. 저희애기는 밥먹을때 남 먹여주는걸 너무좋아해요ㅜㅜ 저랑같은 음식을차려도 저 먹여주는걸 좋아하는데 이것도 아기가좋아하는탐색 놀이라고 해줘야하나요?

    • @LoveLove-xo1ee
      @LoveLove-xo1ee 2 роки тому

      흐잉 ㅠㅠ 먹여준다니 귀여웡

  • @user-bq1cd7jp4g
    @user-bq1cd7jp4g 2 роки тому +8

    근데 이기본적인게 키워보니 참힘들더라구요...워킹맘이라 일찍어린이집보낸다고 자는애깨워서보내고 놀기좋아해서 늦게까지 안자려하는애 재우는거 밥잘 안먹는애 달래가며 골고루밥먹이는거..이것도 말은쉬운데 어려운거같아요ㅠ

  • @a0_calli
    @a0_calli 2 роки тому +1

    잘못놀아주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제가 다하고 있었단 사실에 안도가됩니다 감사해요~

  • @essentialist_hyun
    @essentialist_hyun 8 місяців тому

    변연계에서 감정을 느끼지만 감정 조절은 3층 뇌에서 (전두엽) 하는 것 아닌가요? 궁금해서 남겨요~

  • @user-mv7yy6tl5r
    @user-mv7yy6tl5r 2 роки тому +3

    그 기본이 너무 어렵습니당 ㅎㅎ
    빵을 너무 좋아하는 28개월 아들..
    이틀동안 3끼를 빵만 먹고도 또 찾네요..ㅎ..
    노느라 하루가 모자라고.. 어린이집에 갔다오면 또 집에서 못논거 노느라 12시에 자요..
    하루 수면 시간이 부족하네요 ..어째요 ㅜ

  • @zoojung4812
    @zoojung4812 2 роки тому +12

    두돌 지나고나서 밤에 잠드는 시간이 거의 3시간 걸려 11시반 12시에 잠이 들어서 아침 8시쯤 깨요. 매일밤마다 결국에는 언성 높여 재우다보니 울면서 잠드는 애를 보면 죄책감도 들고,,, 왜 이렇게 잠 드는걸 힘들어할까요..

    • @jihyechung5541
      @jihyechung5541 2 роки тому +2

      맞아요 잠 안자는 시기가 있어요 지금 세돌인데 저희 아이도 그쯤에 그랬던거 같아요 재우기 지쳐서 남편이랑 바톤터치해서 번갈아가며 재웠던 기억이 나네요. 낮잠도 안자겠다고 버티고 싫다고 하고 .. 그러다가 다시 잘자는 시기가 올겁니다 ^^
      잘자던 아이가 안자려 하거나 잘먹던 아이가 안먹으려 하거나 그러면 도약기 라고 하는데 .. 도약기가 지나가면 한층 또 성장해 있을거에요. 힘드시겠지만 아이를 좀더 이해해 주시고 시간이 지나가길 바래봅니다 ^^ 화이팅!

    • @user-uo3nj6gi9f
      @user-uo3nj6gi9f 2 роки тому

      낮잠 시간을 확인해보세요~~ 낮잠 많이 자니까 밤에 잘 못자더라구요
      자기 전 루틴도 일정하게 해주고요

    • @hok1049
      @hok1049 2 роки тому

      자라고 하면 그때부터
      침대에서 막 뛰어요..ㅎㅎ;
      2번에서 1번으로
      낮잠을 줄였어요
      그래도 뛰긴 하는데
      좀더 잘자긴 합니다..ㅎㅎ

    • @user-er9wu9es1i
      @user-er9wu9es1i 2 роки тому

      저희아가도 22개월인데 낮잠도 안자려고하고
      밤잠도 겨우겨우 11시넘어자요
      자는걸 너무 싫어해요 저도 어떻게해야하나 고민입니다

  • @eunjungko9559
    @eunjungko9559 2 роки тому +4

    저희 아기는 14개월인데 총 수면시간이 평균 12시간이에요 그런데 낮잠은 짧을 땐 30분, 길면 1시간 반 이내로 길지 않은데 괜찮을까요?

    • @youn-jungcho8712
      @youn-jungcho8712 2 роки тому

      애들이 rem수면? 얕은 잠을 자서 그렇다구 하더라구요 그럴땐 옆에서 같이 자면서 깨면 토닥토닥하고 다시 재우면 다시 자더라구요 (물론 안그럴때도 있지만 ㅠㅠ) 그리고 그러다가도 길게 자는 주기가 또 찾아와요. 물론 열심히 놀아줘서 낮잠 잘오게 유도도 해보시구 아님 낮잠타임 2번중에 한번은 놀게하면 두번째는 피곤?해서인지 골아떨어지구 하구 그러더라구요 이런 저런 방법으로 한번 해보세요 ^^

    • @eunjungko9559
      @eunjungko9559 2 роки тому

      @@youn-jungcho8712 네 같이 자면 더 오래 자긴 해요 근데 아기 잘때 저도 자유시간이라 매번 같이 자긴 아쉬워서요 ㅠㅠㅋ

  • @user-vx2dh9fm3y
    @user-vx2dh9fm3y Рік тому

    돌아기인데 잠을 너무 안자요. 자극에 상관없이 안잡니당 ㅜㅜ

  • @lllmomlll
    @lllmomlll 2 роки тому +6

    영양상담 같은 경우는 보통 소아과를 찾아가면 될까요? 아니면 다른 기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boriccorii
      @boriccorii 2 роки тому +2

      저 같은 경우는 제가 다니는 소아과에 영양사 선생님이 계셔서 영유아검진 할 때 기본적으로 영양사 선생님이 영양상담을 되게 디테일하게 해주세요, 인터넷에 거주하시는 지역 영양사가 상주하는 소아과를 찾아보시면 좋을 것 같아용

  • @user-ee9bj8xy7x
    @user-ee9bj8xy7x Місяць тому

    지금 엄마들 어렸을 때 감각놀이 안 하고 이유식 안 먹었어도 다들 잘 컸지 않나용?ㅎㅎ

  • @user-sw8qh5uq5e
    @user-sw8qh5uq5e 2 роки тому +1

    잠을안자요....신생아때보다 더요..후..통잠 한번안자는..허허

  • @choimina8358
    @choimina8358 2 роки тому +4

    원장님 밤잠을 푹 잔다면 낮잠은 꼭 안자도 괜찮을까요? 낮잠1시간이상자면 밤에 넘 안자려해서요 ㅠ 25개월입니다

    • @woorikidss
      @woorikidss  2 роки тому

      낮잠, 밤잠 포함해서 총 수면시간입니다! 아이가 낮잠을 안자도 컨디션이 괜찮다면 괜찮아요~ 조금 일찍 낮잠 졸업하는 아이들이 있어요

    • @choimina8358
      @choimina8358 2 роки тому +1

      @@woorikidss 감사해요☺️ 영상도 너무너무 잘 보고 있어요!

  • @user-wz6zv6uj3m
    @user-wz6zv6uj3m 2 роки тому +2

    쌤 5개월아기인데 뒤집기를 엄청하다가 갑자기 안해요 옆으로 눕기만하고 뒤집기를 안합니다
    할려고 하지도 않고 고개만 뒤로 젖히고 두발을 모으고있어요
    갑자기 뒤집기를 안하니까 걱정이 되는데 괜찮은건가요?ㅠ

  • @bao_nini
    @bao_nini 2 роки тому +1

    I love 변연계 🤍

  • @dgk3661
    @dgk3661 2 роки тому

    19개월 쪽쪽이 못끊고 있습니다. ㅠㅠ

  • @zkssa3298
    @zkssa3298 2 роки тому +12

    선생님들은 전집 구매 하셨나요? 책같은걸 어떤식으로 보여줘야 뇌발달에 좋은지도 궁금해여

    • @woorikidss
      @woorikidss  2 роки тому +19

      와우!! 이 텔레파시 뭐죠?? 저희 지난주에 돌전집 관련 컨텐츠를 찍었답니다! 조만간 업로드 예정이에요 ❤

    • @narigood81
      @narigood81 2 роки тому +1

      @@woorikidss 업로드만 기다리고 있을께요!! ㅋㅋ

    • @joydmusic1993
      @joydmusic1993 Рік тому +1

      너무쉬운데
      서점데이만들어서 일주일에한번
      온가족서점출동 책한권사기
      짬날때 아이와함께 10분이던20분이던 같이읽기
      전집살돈으로 서점다니니까 너무조터라구요

  • @SECRET-ym6gc
    @SECRET-ym6gc 4 місяці тому

    뇌발달에 중요한 5가지 건강한습관
    1. 영양 균형있는 식사
    2. 안정된 애착
    3. 충분한 수면(2돌까지 11~14, 3-5세 10-13시간, 6-12세 9-12시간)
    4. 다양한경험 및 적절한 자극
    5. 즐거운놀이

  • @coffeeholic1928
    @coffeeholic1928 Рік тому

    저도요 누가좀 알려주세요 방법을.. ㅠㅠ

  • @user-pc5em6tf7k
    @user-pc5em6tf7k 2 роки тому +2

    안녕하세요. 항상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시청만 하다 최근 육아를하며 고민이생겨 저도 댓글 남겨봐요. 저희아기는 곧 세돌되는 4살인데 일주일전쯤 시골할머니집에서 생각지못한곳에서(쓰레기통치우다가) 벌레 한마리를 본게 너무 놀란기억이었는지 그 뒤로는 길가다 보는 개미 거미 비둘기등등만 가까이 오면 너무 놀래면서 무섭다하며 제 품에 안기고 그 자리를 뜨려고 하더라구요. 얼마전엔 자주가던 박물관에 로보트가 내는 소리에도 겁내하면서 집에가자해서 10분만에 집에 돌아온적도 있어요. 4살 이때가 원래 겁내하지 않던거에도 겁내는 때가 있는건지 아님 소아정신과같은곳에 가서 상담이라도 받아봐야하는건지 걱정이 되더라구요. 트라우마가 됐을까봐요. 기다려준다면 얼마나 기다려줘야하는지 또 아기가 크면서 크고 작게 겪게되는 부정적경험을 긍정적으로 바꾸어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해요.

    • @woorikidss
      @woorikidss  2 роки тому +2

      안녕하세요 ^^ 댓글을 써주신지 2주정도가 지났네요 그동안 아이는 괜찮아졌을까요? 깜짝 놀란 그 순간의 기억과 감정이 벌레를 무서워하게 된것이라 트라우마 정도까지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말씀해주신것과 비슷한 대부분의 부정적 경험은 이후에 다른 긍정적 경험들을 통해서 희석되고 벌레나 상황에 대한 이해도(인지)가 발달하면서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다만 아이가 기본적으로 큰 소리나 갑작스러운 변화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는 다른 아이들보다 조금 더 오래갈수는 있어요. 기다려준다는것은 그냥 무서운것을 아예 차단하는것이 아니라 조금씩 아이에게 안전한 상황에서 알아갈수 있는 기회를 주고(예를 들면 책에서 벌레에 대해서 알아가기 등), 아이의 반응에 따라서 조금씩 더 노출을 시켜주시는것이 좋습니다 :)

    • @user-fk6gt1nt9w
      @user-fk6gt1nt9w 2 роки тому +5

      예전에 친구 아들이 거미를 너무 무서워 했었어요~ 제가 놀러간날 주차장에있는 거미를 보고 소리지르고 뛰길래.. "모기 알아?모기? 앵~~~ 하고 날아다니다가 요기 앉아서 콕 하고 무는 모기?" 하면서 손가락으로 크게 나는 시늉하다가 콕하고 팔을 누르면서.. 한 5분 놀았어요~ 그렇게 모기놀이 하고나서 "이 거미가 그 모기 다 먹어준다~~고맙지?우리 거미야 고마워~ 인사하고 들어가자~~" 했더니 인사하고 들어갔어요~ ㅋㅋㅋ 생각하니 또 귀엽네요 ㅋㅋㅋㅋ 여튼 우연히 요렇게 거미를 무서워하지 않게된 친구아들이있어서 글 남겨요~~ 요거 비슷한 방식으로 한번 시도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서요~~^^

  • @lights6220
    @lights6220 4 місяці тому

    요리. 또담. 뇌 발달. 영향 균형 맞는 식사. e.g.,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과일군 유제품군.

  • @bbn1672
    @bbn1672 2 роки тому +2

    먹어서 뇌가 좋아지면 재벌 2세는 다 영재죠

  • @KKK-vs4yr
    @KKK-vs4yr Рік тому

    저희 아기는 22개월인데 잠이 없어서 10시간~11시간 자요ㅠㅠ 어떻게 늘려줘야할지 모르겠어요..

  • @paku-s
    @paku-s 2 роки тому +1

    뭔지 알겠는데 어렵네요 ㅎㅎㅎ 그나저나 110일된 우래기는, 밤잠만 12시간 자는데.. 낮잠까지 합하면… 더 긴데…. 좀 덜 재워야 할까요? ㅎㅎㅎ

    • @woorikidss
      @woorikidss  2 роки тому +1

      ㅎㅎ 푹 잘자면 좋지요! 깨어있는 동안 많이 놀게 해주세요 ^^

    • @redmoon12321
      @redmoon12321 2 роки тому +1

      영상에 나온 수면시간은 돌 이후니까 당연히 110일 아기보다는 적죠~ 검색해보니 4개월 아기는 14시간 정도 자는게 평균이라고 하네요!

    • @woorikidss
      @woorikidss  2 роки тому +1

      적정수면시간
      0-3개월 14-17시간
      4-11개월 12-15시간 입니다^^
      참고해주세요!

    • @paku-s
      @paku-s 2 роки тому

      @@woorikidss 감사합니다:-)

    • @paku-s
      @paku-s 2 роки тому

      @@redmoon12321 저희 아긴 평균적으로 하루에 16시간 정도 자는데, 좀 덜 재워야겠네요ㅎㅎㅎ

  • @lights6220
    @lights6220 4 місяці тому

    또담. 잠. (05:00) 충분한 수면.

  • @lights6220
    @lights6220 4 місяці тому

    무기. 애착. 라포. 애정결핍. 어머니. 아버지. 친구. X. 삼촌. X. 선생님. X. (03:13) 기댈 곳이 주 양육자가 되는 것임. 주양육자와의 관계 안에서 지속적인 보살핌을 받고. 내가 필요할 때 내 옆에 있어준다는 믿음. (03:48) 주 양육자의 일관되고 민감한 반응을 통해서 안정감을 찾게 되고 세상에 대한 안정감을 찾게 된다.

  • @user-tr1cz3be9c
    @user-tr1cz3be9c Рік тому

    52개월 아이 두뇌 발달 영상도 올려주세요

  • @lights6220
    @lights6220 4 місяці тому

    또담. 뇌 발달. 만 3세까지. (00:30) 기초 공사. (01:10) 5가지 건강한 습관. (1) 영향 균형 맞는 식사. e.g., 꽁치. e.g.,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과일군 유제품군. 편식이 너무 심하고 5가지 중 하나를 안 먹으면 영양제/대체식품 먹여야. (2) 안정된 애착. (3) 충분한 수면 (4) 다양한 경험 및 적절한 자극 (5) 즐거운 놀이

  • @lights6220
    @lights6220 4 місяці тому

    무시. 영양제. 편식이 너무 심하고 5가지 중 하나를 안 먹으면 영양제/대체식품 먹여야.

  • @vervlvervl
    @vervlvervl 2 роки тому +3

    그 기본이 잘안되요ㅋㅋ
    골고루 안먹구요 자다깨고 쉽게 분노하고 엄마랑 같이놀재요ㅋㅋ

  • @tourceppo6119
    @tourceppo6119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만 3세까지 뇌발달 90%는 지능이 아니라 그냥 말그대로 성인뇌가 가져야할 기본 90%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