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소는 어떻게 작동할까? [1편] 원자력 발전소의 원리와 작동방식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7 тра 2023
  • 이 영상은 원자력발전의 기본 원리와 이해를 위해 제작했으며
    한국수력원자력의 제작 지원으로 만들었습니다.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552

  • @user-ft4so6vd2h
    @user-ft4so6vd2h Рік тому +363

    그냥 교육부에서 지원하고, 365일 내내 영상 만들게 시켰으면 좋겠다. 내용이나 전달력이나 너무 수준높다.

    • @SHU4032
      @SHU4032 Рік тому +15

      ㄹㅇㅋㅋ EBS 뭐하냐고 ㅋㅋ

    • @user-hk2uk9gh5c
      @user-hk2uk9gh5c Рік тому +2

      ​@@normaldistribution8101ㅇㅈㅇㅈㅇㅈ

    • @user-om7ur9pw2c
      @user-om7ur9pw2c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ㅋㅋㅋ 365일 내내이면 유튜버님 쓰러지시지 않을까요😅

    • @user-ko3oz2vh1z
      @user-ko3oz2vh1z 11 місяців тому

    • @user-ck3rl5ux9t
      @user-ck3rl5ux9t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노예냐

  • @user-iq4lu3nr5l
    @user-iq4lu3nr5l Рік тому +51

    개인적으로 유튜브 중 가장 유익함

    •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Рік тому

      @xd0able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bRd3D
    @bRd3D  Рік тому +180

    안녕하세요!
    업로드 알림에 동일한 영상을 보시게 한 점 죄송합니다.
    앞서 영상의 11:36~13:51초, 14:10~17:25초 구간에
    저작권이 있는 BGM을 사용하여 부득이하게 교체 후 재업로드 하였습니다.
    저작권이 없는 음악으로 알고 있었고,
    그동안 별 문제 없이 써오던 음악이라 크게 신경쓰지 못했습니다.
    이 점 다시 한 번 사과 드리며 앞으로는 이런 문제 없도록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고 음악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더욱 좋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부족한 점이 많지만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r7qo2ru8m
      @user-tr7qo2ru8m Рік тому +1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kson5016
      @jkson5016 Рік тому

      너무 좋은 영상 입니다. 제작하느라 고생 많으셨네요.

    • @user-xy8ce7yl9o
      @user-xy8ce7yl9o Рік тому

      죄송하긴요 이런 고퀄리티영상 편하게 보게해주셔서 감사하죠

    • @Ongdalz
      @Ongdalz Рік тому

      이렇게 이해하기 쉬운 기술영상은 처음이에요! 특히 원자력발전소나 CPU 원리 영상은 저 같은 초짜가 봐도 너무 이해하기 쉬웠어요! 구독한만큼 앞으로 꼭 챙겨볼게요! 😊
      혹시 시간이 된다면 수처리에 관련한 영상도 만들어주실수 있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발전소 수처리업무에 종사하고 있어서 어떻게 풀어내는지 궁금해서요!)

    • @user-go1wz2mu2u
      @user-go1wz2mu2u Рік тому

      님은 진짜 미친거같아여
      과학 지식이나, 영상만드는 기술..어디하나 흠잡을곳 없는 대본까지...

  • @user-gnr-ebelR
    @user-gnr-ebelR Рік тому +72

    페이퍼리스 교육의 선구자이십니다. 이 어려운 내용들이 눈에 쏙쏙 들어옵니다. 물리력부터 발전소 구조까지 내용과 고퀄의 애니메이션 그래픽까지 내내 감탄하며 보았습니다. 최고예요.

  • @user-pl8lx6sj9h
    @user-pl8lx6sj9h Рік тому +94

    한수원에서 제공하는 어떤 자료보다도 간단하면서 이해하기 쉬운 자료인거 같습니다.
    한수원의 지원을 받아서 제작된 자료인만큼 신규직원들을 위한 교육자료로 쓰이면 좋을거 같네요.
    높은 퀄리티의 영상 잘 봤습니다.

    • @letme409
      @letme409 9 місяців тому

      증기터빈 원리와 핵분열 에너지는 중고교생이면 다 앎니다.

    • @user-ls9mz7zs1n
      @user-ls9mz7zs1n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인강보다 이해가 잘되면 어떡하냐

    • @user-si6td8zq5i
      @user-si6td8zq5i 15 днів тому

      @@letme409?!
      관심있는 학생들이나 기억하겠죠
      학교에서 배운 모든걸 다 기억할순 없어요

    • @ddk2628
      @ddk2628 11 днів тому

      ​@@letme409 ㅈㄹ ㄴ 당장 대치동 학원가에 물어보면 열에 아홉은 모름

  • @user-zz3uv9ep8j
    @user-zz3uv9ep8j Рік тому +39

    와.. 진짜 이런 분들이 교수하면 학생들은 양질의 수업과 함께 공부하는데 있어서 재미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 @user-qq7yg3yx3h
      @user-qq7yg3yx3h 5 місяців тому

      어휴... 교수랑 강사도 구분을 못하나 ㅋㅋㅋㅋ 애초에 교수는 학문을 갈고 닦는 사람이지 가르치게 생업인 사람이 아님. 애초에 우리나라 대학교 시스템도 잘못되어있는거임.
      대학교 이후에 공부는 기존의 것만 학습하는게 아니라 그걸 바탕으로 아직 모르는 부분을 연구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거임. 교수는 미리 해당 학문을 갈고 닦은 사람으로써 기존 지식을 전수해주고 그걸 바탕으로 제자가 모르는 걸 연구하려할 때 나아갈 길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임. 결국 공부는 자기 스스로하는거고 혼자서 하다하다 막히는 부분이 있을 때 조언을 구하는 사람이 교수라는거임. '아몰랑 다 알아서 떠먹여줘~' 시전해도 되는게 교수가 아니라.

  • @user-bo6bg4jt5p
    @user-bo6bg4jt5p Рік тому +49

    물리학적인 힘의 종류, 원자력 발전 원리& 구조를 애니메이션및 말로 너무 설명이 좋씁니다. 이 정도 수준이면 원자력 발전 개론
    100% 로 봅니다. 저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일한 경험이 있씁니다. 감사합니다. 😍

  • @loleiha6574
    @loleiha6574 Рік тому +3

    님이 대한민국의 빛과 소금임. 이 자료들이 훗날 미래 기술을 책임질 엔지니어들을 키우는 기초가 될 것임. 외국에만 있는게 아니라 한국에도 있었다. 감사합니다.

  • @user-zw3mv1fx9k
    @user-zw3mv1fx9k Рік тому +18

    우와 진짜 어려운내용인데 이렇게 쉽게 설명하는것이 가능하다니 대단하십니다 교수님 최고입니다 감탄할수밖에없어요 잘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건 보물이야~

  • @1zenfar
    @1zenfar Рік тому +30

    좋은 자료 보신분들은 반드시 구독, 좋아요. 누르기를 생활화 합시다. bRd 3D님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 @hobbyKingg
    @hobbyKingg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

    원자력 발전 말만 들었었는데 이렇게 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해주시니 이해하기도 좋고 대단한거 같네요!!
    항상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channelwanderer9920
    @channelwanderer9920 Рік тому +6

    원자력 발전 원리에 대한 교육자료 정말 감사합니다. 이해가 진짜 잘 됐습니다.

  • @Gradonan
    @Gradonan Рік тому +2

    항상 이해하기 쉽게 좋은 영상자료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grandtop9
    @grandtop9 Рік тому +8

    진짜 항상 너무감사합니다. 매번 여러 기술과 지식의 깊이와 폭을 널ㅈ혀주시거 궁금증 해소해주셔서 너무감사해요!!!

  • @KR-mi7nt
    @KR-mi7nt Рік тому

    매회 고퀄리티의 영상과 설명에 감탄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user-wr4gc2nm9w
    @user-wr4gc2nm9w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원자력 발전소 교육 영상으로 정말 훌륭합니다. 다른 영상도 다 봤는데 bEd 님의 3D 영상은 앞으로 미래의 교육방식을 제시해 주시는 것 같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cf. 산자부나 교육부는 관계자님들 쓸데 없는 것 하지 마시고 이분을 많이 지원해 주셨으면 합니다.

  • @kkwkim3934
    @kkwkim3934 Рік тому +1

    항상 응원합니다. 멋진 영상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Lee-mi4bc
    @Lee-mi4bc Рік тому +9

    대단합니다.집중해서 처음부터 끝까지 보게되었습니다. 원자핵의 핵자(양성자와 중성자)내 3개의 쿼크라는 입자가 있다는것 처음 알았고, '강력'이 작용한다는것, E=MC2도 새롭게 자연스러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핵력등도요. 또 축구공을 이용한 바닥상태,들뜬 상태 라는것을 쉽게 이해하게 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보통 '여기'?상태라고 전에 봤던 어려운 한자의 고리타분한 용어인데 도대체 무슨 의미인가 궁금했었는데, 만물은 안정된 상태로 가고자한다는것과 축구공을 보여주며 이용한 안정된 바닥상태, 불안정한 들뜬상태로 쉽게 이해하게 되었습니다.자세하고 심오하며 또한 광범위한 내용을 멎진 그래픽과 함께 이해가 쉽게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sangmokim3288
    @sangmokim3288 Рік тому +2

    이런 엄청난 관련자료영상을 무료로 볼 수 있다는 것에 감사드립니다. 다음편이 너무 기대 됩니다.

  • @tadolee5401
    @tadolee5401 Рік тому +1

    드디어 올라오네요. 지난 화력발전소 설명영상을 보면서 원자력발전소 영상도 올라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참 기쁩니다.

  • @jhlim6161
    @jhlim6161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진짜 이렇게 동영상으로 설명 해 주니, 정말 이해가 쉽네요. 최고~

  • @myeongig7425
    @myeongig7425 Рік тому +1

    오늘도 유익한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dorgoo1025
    @dorgoo1025 4 місяці тому +3

    현직 한수원 직원인데 회사에서 교육하는 자료보다 백만배는 이해하기 쉽고 유용합니다. 물론 현장은 훨씬 디테일하고 복잡하지만 이 영상을 보고 공부한다면 훨씬훨씬 쉽게 공부가 가능할거라고 생각됩니다. 큰 줄기는 다잡아주네요… 신입직원들 입사하자마자 필수로 틀어줘야 할정도라고 생각됩니다.

  • @jaesungson9609
    @jaesungson9609 Рік тому +1

    진짜 감탄밖엔 할 수가 없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ne5vc3kx5s
    @user-ne5vc3kx5s Рік тому +12

    대단하십니다 잘볼께요~^^

  • @fixerchang2620
    @fixerchang2620 Рік тому +4

    진짜 이채널은 나만 알고 싶은 채널이였는데.. 구독은 누르고 봐요 우리!!!❤❤❤

  • @wise6520
    @wise6520 Рік тому

    항상 양질의 흥미로운 자료 잘 보고 있습니다

  • @youngmicho7353
    @youngmicho7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보고 완전 감동했습니다.
    물리쌤이 필요 없네요.
    영상보면 모든 내용이 쏙쏙 이해 되는것이 짱입니다.

  • @lsslcn7615
    @lsslcn7615 Рік тому +14

    항상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나중에 영상들 종합해서 책 한권 내셔도 돠겠어요 ㅎㅎ

  • @brianjeon8246
    @brianjeon8246 Рік тому +3

    bRd 3D님 영상을 작년부터 봐왔다가 처음으로 댓글 답니다. 화력발전소 영상을 처음으로 반도체를 거쳐 원전까지, 진짜 영상의 퀄리티가 너무 훌륭합니다. 덕분에 큰 공부가 됐습니다.

  • @INTELLECTUALISM
    @INTELLECTUALISM Рік тому +2

    잊을 만하면 돌아오는 유튜버
    그래도 기다릴 만한 퀄리티의 영상을 보여줘서 매번 기대됩니다

  • @hyungjinsamuel1783
    @hyungjinsamuel1783 Рік тому +3

    세상에서 가장 고퀄 원리영상이 있는 채널👍👍

  • @user-iu5tc3gc8u
    @user-iu5tc3gc8u Рік тому +7

    👧아~ 완벽히 이해했어!

  • @jyjeong4894
    @jyjeong4894 9 місяців тому

    굿입니다. 이런 영상이 있다니 행복합니다.

  • @t.4971
    @t.4971 11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수업자료로 사용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victolee5043
    @victolee5043 Рік тому +4

    영상 퀄리티가 지구원탑👍

  • @Qwer5446
    @Qwer5446 Рік тому +15

    발전사 직원인데 영상들 볼때마다 너무 잘만들으셔서 깜짝깜짝놀랍니다. 에너지학과및 발전교육원 교재로 이만한게 있을까싶네요

    • @bavan4744
      @bavan4744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오 직원이시군요. 평소 궁금했던 기초적인 질문 두 가지만 해도 될까요?
      1. 핵연료와 직접 닿는 물은 방사능을 강하게 띨텐데, 그 물이 지나가는 모든 배관은 방사능에 의해 손상되거나 터질 우려가 없을까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이 궁금합니다.
      2. 두 번째, 원자력과는 상관없는 질문인데요, 고압터빈과 저압터빈은 항상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직접 맞아 운동에너지를 전달받는데, 이는 아무리 좋은 스테인레스라 해도 산화가 되는 좋은 조건인 것 같습니다. 터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적 방법이 필요한가요?

    • @qidjcnsnb
      @qidjcnsnb 7 місяців тому

      @@bavan4744 1. 핵연료와 직접 닿는 부분은 원자로 용기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탄소강 재질이고 두중에서 제작도 합니다. 재질 표면은 부식방지를 위해 서스로 피복 되어있습니다. 탄소강은 방사선 물질에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RCS(원자로냉각재)가 지나는 배관들도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영상에서 나온거 처럼 RCS 압력은 150KSC 넘는 엄청난 고압력이죠 이런 압력을 배관들이 다 견딥니다.) 말씀하신거 처럼 배관이 파단되어 RCS가 누설되는 LOCA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LOCA는 원전의 설계기준사고 중 가장 큰 사고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연히 발전소는 이런 LOCA를 감지 할 수 있는 감시계통, 그리고 LOCA 시 사고를 완화하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각종 안전설비들이 다중으로 설계 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안전설비들은 정기적인 시험을 매번 수행하며 성능이 만족하는지 시험을 합니다. 안전설비 중 단 하나라도 시험 불만족 시 원전은 기동을 할 수 가 없습니다. 지금 가동중인 원전들은 이러한 정기적 시험이 만족이 되었기 때문에 기동하고 있는겁니다.
      2. 증기발생기에서 급수는 고온의 RCS와 열교환을 통해 증기가 됩니다. 이때 증기의 습분함유량이 중요합니다 말씁 하신것 처럼 터빈 블레이드에 고습분의 증기가 가면 캐비테이션 및 부식에 의해 블레이드가 손상이 되겠죠...따라서 증기발생기에서 생성된 증기는 일정량의 이상의 습분을 포함하면 안됩니다.(수치는 말씀 못드리겠습니다~) 그래서 증기발생기 상부에는 이런 습분을 제거 해주는 장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터빈 블레이드로 가는 증기들은 습분이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jaeminkim13
      @jaeminkim13 6 місяців тому

      ​@@qidjcnsnb감사합니다

    • @user-gl7uj7qe6k
      @user-gl7uj7qe6k 4 місяці тому

      돈주고 사가시죠.. 대단하네요

    • @user-ic2be9hp4z
      @user-ic2be9hp4z 2 місяці тому

      ​@@qidjcnsnb이번에 두중에서 TIT가 높은 F-class 터빈 개발했다는데 현직자로써 관련 상황 아시는거 있나요?

  • @edg3497
    @edg3497 Рік тому +2

    APR 노형 SRO 면허 소지자 입니다. 이 정도의 자료를 만드는게 정말 놀랍네요.

  • @mercedes4981
    @mercedes4981 Рік тому +2

    항상 영상을 만들기 위해 공부를 한다는게 멋진거 같아요! 항상 응원할게요! 좋은 영상 만들어 줘서 감사합니다!

  • @neokim1492
    @neokim1492 Рік тому

    그냥 이분은..... 세계에서 스카웃해야할 위인입니다.... 존경합니다.ㅠㅠ 👍🏻👍🏻👍🏻👍🏻

  • @user-fb5wi8cn2b
    @user-fb5wi8cn2b Рік тому +4

    우와 정말 궁금했던 내용인데 감사합니다.

  • @user-vm1bp6lx3w
    @user-vm1bp6lx3w Рік тому

    우리 아이가 좀 더 크면 이 채널을 알려줘야겠어요. 정말 좋아요😊

  • @alakdoyo
    @alakdoyo Рік тому +7

    좋은 영상 감사해요

  • @user-gm3sm2ny1v
    @user-gm3sm2ny1v Рік тому +6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kkt9719
    @kkt9719 Рік тому

    너무 재미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kw5ts1sp4o
    @user-kw5ts1sp4o Рік тому +4

    감사합니다 집에서 한번 만들어보겠습니다

  • @user-wv3rr4lp1v
    @user-wv3rr4lp1v Рік тому +2

    전자레인지랑 에어프라이기 작동원리도 다뤄주세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mv9fp4ot6x
    @user-mv9fp4ot6x Рік тому

    진짜 잘 만드신 것 같습니다.

  • @Don_Hahm
    @Don_Hahm Рік тому +1

    늘 감사합니다~~~

  • @circlechange9681
    @circlechange9681 11 місяців тому

    와 생각없이 보다가 영상 몇개봤고 잼있네요 ㅋㅋ 퀄이 너무 좋네요

  • @ddubidoobarabap
    @ddubidoobarabap 7 місяців тому

    와 진짜 너무 잘 이해가 되었습니다 양질의 컨텐츠 감사합니다!!

  • @nyk2160
    @nyk2160 Рік тому

    영상 고마워요 항상 응원합니다

  • @user-pg7xl2tc7u
    @user-pg7xl2tc7u Рік тому +1

    어서 2편.....2편 주세요....건강보다 영상이 우선입니다!

  • @user-sg2vf3nn6j
    @user-sg2vf3nn6j Рік тому +1

    기막히게 잘 만든 자료네요^^

  • @user-qw8ui9gc1q
    @user-qw8ui9gc1q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최고의 자장가를 찾았습니다

  • @user-qq7nw6fg5w
    @user-qq7nw6fg5w Рік тому +11

    감사합니다

  • @neurowhai
    @neurowhai Рік тому +3

    벌써 2편이 올라왔나 했네요 ㅋㅋ 다시 한번 잘 봤습니다

  • @RaccoonCat_2001
    @RaccoonCat_2001 Рік тому +1

    감탄이 나오네요 영상보는데😮

  • @user-yf9uu3hf6k
    @user-yf9uu3hf6k Рік тому +3

    재미있네요. 흥미롭게 봤습니다. 그리고 오염수, 폐수처리와 폐기물처리 같은것도 알고싶고 그 위험성도 알고싶습니다. 감사히 잘 봤습니다. 머리가 나빠서 몇번 더 봐야겠네요~^^

  • @kyt0704
    @kyt0704 Рік тому

    정말 최고의 영상입니다

  • @user-tj7wz8fz4n
    @user-tj7wz8fz4n 6 місяців тому

    예전부터 궁금했지만 어렵게만 느껴졌던 내용인데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역시 어렵네요 앞으로도 계속 궁금해해야겠어요!

  • @ddgddg13
    @ddgddg13 Рік тому +1

    와 기다린 보람이 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 @gomdolri
    @gomdolri Рік тому +10

    와 대략적인게 아니라 발전소 설계도인데요? 😂😂

  • @user-on4lq1ce9l
    @user-on4lq1ce9l 3 місяці тому

    와 원자력발전에서 물이 순환하는 걸 이렇게 영상으로보니깐 이해가 웰케 잘되는지 진짜 신기하네요. 모든곳에 교육자료로 사용되면 진짜 좋을거같습니다.

  • @LEEkyouho
    @LEEkyouho Рік тому

    원자력 발전소 개념 구조도 나올 줄 알았는데 원자력 자체를 설명하는 것부터 시작이군요😮

  • @JO-mc9qg
    @JO-mc9qg 11 місяців тому

    역시 참으로 대단한 양반이여 🤩

  • @rathalos3622
    @rathalos3622 3 місяці тому

    이사람은 천재가 맞다 어느한부분이 아니라 넓은부분에 박식한 지식까지 감탄하지 않을수가 없네요

    • @rathalos3622
      @rathalos3622 3 місяці тому +1

      실제로 원자력발전소에 가본적이 있는데 일을하고 있는사람도 이런 원리에대해 아는사람은 없었습니다

  • @user-lc4tm1vl7j
    @user-lc4tm1vl7j Рік тому +4

    항상 감사합니다

  • @user-ut9hn3on8x
    @user-ut9hn3on8x Рік тому +1

    원자에 대한 깊은 지식을 알려주어 많은 도움이 되었읍니다
    바다에 흘려 보내지 않고 식혀서 다시 사용하는 군요
    감사드리고 원전의 안전성과 삼중수소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user-do1zo6nt7u
    @user-do1zo6nt7u Рік тому +2

    영상 잘 봤습니다! 이런 영상 계속 부탁드려요!

    • @bRd3D
      @bRd3D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Leenuuuu
    @Leenuuuu Рік тому

    3만 조회수에서 보고 있지만 조만간 30만 300만 조회수가 될 영상이네요 유튜브의 순기능 너무 좋습니다

  • @user-gr2jx1cb2k
    @user-gr2jx1cb2k 11 місяців тому

    터빈편에서 본 터빈이네요 ㅋㅋ 시각화해서 설명을 해주니 머릿속에 맴돌기만 하는게 아니라 진짜 이해가 되네요

  • @moonanimalworld9236
    @moonanimalworld9236 11 місяців тому

    원자력발전 내부 도면 관련 설명해줘서 감사합니다.

  • @codygks44
    @codygks44 Рік тому

    영상퀄이 너무좋아요

  • @jojojo1922
    @jojojo1922 Рік тому +6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상기하며 불안해할 분들을 위해..
    < 비상디젤발전기 & 냉각수 편 >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시간순서를 보면 크게 이렇게 요약할 수 있습니다.
    규모 9 지진 발생 ->
    대형 쓰나미가 몰려와 송전선로 파괴, 외부전력 수전(전기를 받는) 불가 ->
    비상디젤발전기가 즉시 기동됐어야하나 지하에 있던 발전기실이 침수되어 기동 실패 ->
    원자로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한 냉각수 공급에 실패 ->
    핵연료가 용융(녹아내림)되어 다량의 수소발생, 폭발!
    숯이나 연탄을 보면 다 타고나서도 미열이 계속 발생하는데 핵연료도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지속적인 냉각수 공급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외부 전력마저 받지 못할 경우 비상디젤발전기가 10초 이내 최고속도에 도달하고, 펌프를 기동하여 냉각수를 원자로에 공급할 수 있습니다.
    국내 원전의 비상디젤발전기는 모두 지상에 위치해 있고, 침수에 대비해 발전기실 출입문도 모두 방수문으로 교체했습니다. 주기적인 기동시험으로 실제 기동직후 10초 이내 최고속도에 도달하는지 체크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소방차 등을 이용해 원자로건물 밖에서 직접 원자로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는 주입유로를 신설했고, 이동식 발전차량을 도입해 기동성을 향상시켰습니다.

  • @user-rl3qq9lf9b
    @user-rl3qq9lf9b Рік тому +5

    원전 근무자인데요 너무 고퀄 강의자료이네요
    회사의 거지같은 교육보다 백만배 좋은 자료입니다

  • @user-eu7lv3wf8k
    @user-eu7lv3wf8k Рік тому

    이건 진짜 귀한 영상이네요

  • @user-fr6be6nn5s
    @user-fr6be6nn5s 8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pk5po1oz4v
    @user-pk5po1oz4v Рік тому

    와 안녕하세요 몇달전에 화력발전영상에 원자력도 브탁드렸는데 올라왔네요
    시청하기전 미리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user-jl9qv7tj4o
    @user-jl9qv7tj4o 10 місяців тому

    최고입니다😊

  • @Ongdalz
    @Ongdalz Рік тому +4

    감사합니다.

  • @user-gl7uj7qe6k
    @user-gl7uj7qe6k 4 місяці тому +1

    지식과 영상 퀄리티가 엄청나네요.. 정부에 자료 몇천주고 팔아도 될듯싶네요.

  • @user-md6xs6ht6q
    @user-md6xs6ht6q 11 місяців тому

    작업자로서 원자력발전소 1차측에서 일하면서 궁금했던 내용이 여기에서 풀리네요...😂😂 유익한 자료 너무감사드려요!

  • @glousor302
    @glousor302 Рік тому

    좋은 영성 감사합니다.

  • @vrat176
    @vrat176 5 місяців тому

    와 영상보니까 이해가 잘되네요
    감사합니다

  • @jeayun.j
    @jeayun.j 10 місяців тому

    퀄리티 폼 미쳤다 지금까지 궁금증 한방에 해결해줘 버리네 대박

  • @user-qk5pq8lv9z
    @user-qk5pq8lv9z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완벽한 영상 이에요

  • @shrimpmercy9134
    @shrimpmercy9134 Рік тому

    2편 나올때까지 숨참을게요!!1 스으으으으읍!

  • @user-zx9ro4rb3m
    @user-zx9ro4rb3m 4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이거보고 원자로 만들었습니다

  • @Bomberman_KimJeongEun
    @Bomberman_KimJeongEun Рік тому +4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가 대지진 당시 핵연료봉이 녹아내렸다고 듣기만 했는데 이걸보니 이해가 되네요

  • @mintguy3086
    @mintguy3086 3 місяці тому

    최고에요~! 초등학생 친구들이 이 영상들을 보고 자라면 좋겠네요

  • @user-me6nj5gc1x
    @user-me6nj5gc1x Рік тому +18

    11:15 우라늄 238도 중성자를 포획(capture)하고 우라늄 239 > 플루토늄 239 변환과정을 거쳐서 결국 고속중성자와 핵분열을 합니다. 실제 APR1400 핵연료에서도 해당 반응이 많이 일어납니다. 추가로 설명합니다. 그 외 부분은 원자력공학과 학생들이 1~2학년때 보면 엄청 좋을 자료들이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ci9zb9gh3g
      @user-ci9zb9gh3g Рік тому

      경희원공 1학년인데 우리는 왜 미적분,일반물리,공학통계만 배울까요 ㅎㅎ

    • @user-me6nj5gc1x
      @user-me6nj5gc1x Рік тому +2

      @@user-ci9zb9gh3g 저는 타학교 원자력공학과 이기는 하지만 아마 1학년2학기에 원자력공학개론 들으실때 배우실거에요 ㅎㅎ 아니면 2학년 때는 반드시 배우실겁니다 ㅎㅎ.. 원자력공학도 화이팅!

    • @passenger9958
      @passenger9958 10 місяців тому

      우라늄238도 1Mev이상의 중성자와 반응하면 핵분열을 하죠 이게 속핵분열

    • @passenger9958
      @passenger9958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me6nj5gc1x 잘못 알고 계신게 우라늄238은 1MeV~20MeV의 속중성자에 의해서 핵분열이 일어나요
      그런데 열중성자로에서는 우라늄235의 핵분열할때만 2MeV의 중성자가 나와서 대부분 중성자는 평균 0.025eV로 감속되는데 그중 1MeV이상의 중성자는 우라늄238이 흡수하면 자체적으로 핵분열을 일으켜요
      속중성자가 열중성자로 감속될때 우라늄238의 공명흡수영역을 지나가게 되는때 이 영역에서 일부 중성자가 공명흡수가 되어 최종 플루토늄239가 되는거에요

    • @passenger9958
      @passenger9958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me6nj5gc1x 그래서 우라늄238의 속핵분열이 존재하기 때문에 4인자 공식의 속분열계수는 항상 1이상을 유지하고 있는거에요

  • @-hellokorea-
    @-hellokorea- Рік тому +1

    진짜 ㅋㅋㅋ 대단하셔👍

  • @user-iw4pr3vx3b
    @user-iw4pr3vx3b Рік тому +9

    대학생때 원자력 발전소 터빈팀이서 오버홀 알바할때 생각나네요 ㅋㅋ 나는 손에 옷에 기름 칠하고 돌아다니는데 한수원 직원들은 깔끔하게 돌아다니는거 보고 진짜 공부 열시미 해야겠다 라고 다짐했음..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Рік тому +1

      지금쯤 그 다짐의 결실을 보셨겠네요.

    • @user-iw4pr3vx3b
      @user-iw4pr3vx3b Рік тому +2

      @@user-ri73bdis88h7 네 결실을 봤습니다 ㅎㅎ

    • @jojojo1922
      @jojojo1922 Рік тому +1

      @@user-iw4pr3vx3b 결실일지 독이 든 사과일지 알다가도 모를 일..

    • @user-iw4pr3vx3b
      @user-iw4pr3vx3b Рік тому

      @@jojojo1922 뭐가요??ㅋㅋㅋ

    • @user-fs6ct4ei4t
      @user-fs6ct4ei4t 2 місяці тому

      엥... 저희도 기름 칠하고 돌아다니는데... 높으신 분들 보셨던게 아닐까요... kins라던지...

  • @dreamforever2me
    @dreamforever2me 7 місяців тому

    우라늄 질랼리 변하는게 이해가 안 갔는데 이해했어요!!!!

  • @user-ck1js5vi2y
    @user-ck1js5vi2y Рік тому +1

    고맙습니다

  • @anjeo
    @anjeo Рік тому

    유익하네요!

  • @Uyrnaes4202
    @Uyrnaes420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핵력이 뭔지 첨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stevenH3427
    @stevenH3427 Рік тому +5

    원자력 발전이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건 선입견도 있지만, 실제로 제대로 관리와 상황 대처를 안 해서 위험한 상황이 종종 나오기 때문이죠.

  • @hj8843
    @hj8843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전공자인데 진짜 고퀄이네요 어떤책에서도 보지못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