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21에 랩터식 추력편향노즐 장착하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4
  • KF-21 추력편향노즐 썰
    #kf21 #추력편향노즐 #kf21엔진
    Music: www.bensound.com
    License code: UW0AIE8QXHEO8UKZ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161

  • @youcantata
    @youcantata 4 місяці тому +17

    추력편향 엔진은 기동성이 좋아지긴 하지만 그건 기체의 목적이나 설계사상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부분이라 미들급 다목적기인 KF-21에 굳이 필요한가 싶음. 나는 오히려 최고속도나 성능 등을 어느정도 타협해서라도 F-16 같은 경제성 높은 기체를 만드는 게 더 필요하다고 봄. 현재 중국이나 러시아의 현역 주력 기체들와 동등한 정도만 되어도 미들급으로선 충분한 경쟁력 있음. 굳이 비싼 F-22 나 F-35 를 따라할 필요는 없음.

    • @FinePrintKR
      @FinePrintKR 4 місяці тому

      ㅇㄱㄹㅇ

    • @dltmdgnswkd9403
      @dltmdgnswkd9403 4 місяці тому

      ㅇㅈ

    • @noirbeck
      @noirbeck 3 місяці тому +2

      KF-21은 그걸적용해도 추력대중량비가 나옵니다
      관계자 인터뷰에따르면 5세대 확장성을 염두하여 설계한겁니다.
      하다못해 중국제 J-20 J-31부터 러샤 Su-57,35,37. 록마F-35에도 세대간할거없이 3차원 추력편향노즐이 장착되어있으니까요
      5세대를 논외로하더라도 도그파이팅 생존성을 고려하면 2차원추력편향노즐은 반드시 적용되어야합니다

    • @amirookwak2
      @amirookwak2 2 місяці тому

      @@noirbeck 글쓴이는 추중비가 아니고 경제성 얘기하는데 딴소리하네

    • @Pabloworld144
      @Pabloworld144 Місяць тому

      편향 추력엔진은 도그 파이팅에서 효과가 극대회 될텐데, 헬멧마운트 규잉 시스템이 보편화 되는 시점에서 기체가 무리해서 급기동을 할 필요가 있나요?

  • @prlim455
    @prlim455 4 місяці тому +25

    추력편향 노즐은 일단 KF21의 완성 후 시간이 남았을때 해야할 문제가 아닐까요
    오히려 그걸 고려한 설계였다고 하면 불안할것 같습니다
    중전투기 자체에 대한 노하우가 1도 없는 상황에서 너무 많은 기능을 우겨넣기보다는
    기술적 난이도가 적고 반드시 필요한 기능만 넣어서 완성한 뒤 블록 업그레이드로 추가해 나가야 하겠죠...
    항전 기술 자체가 부족한데 복잡성 늘려봤자 좋을게 없어요

    • @dalbongpark2830
      @dalbongpark2830 4 місяці тому +2

      그냥 엔진 국산화 안하면 추력편향 노즐을 미국에서 달아줄 일이 없다고 봐야함.
      추력편향 노즐을 적용하려면 지금 엔진도 많이 구조적으로 변환해야 하는걸로 암.

    • @edenpjw
      @edenpjw 4 місяці тому +1

      @@dalbongpark2830엔진 국산화는 ‘불가능’의 영역이니… 이것도 불가능이라 봐야겠네유..

    • @dndnpdp20
      @dndnpdp20 4 місяці тому +3

      ​@@edenpjw 불가능은 아님 ㅋ 시간과 돈의 문제일뿐 이미 우리나라에서 제트엔진용 부품들 이것저것 많이 생산해서 엔진메이커에 납품함 꽤오래됨 우리나라가 제트엔진기술력이 제로는 아니라는소리

    • @edenpjw
      @edenpjw 4 місяці тому +2

      @@dndnpdp20 가스터빈 국산화도 얼마 전인데요… ㅠ 신뢰도가 생명인 항공에서는… 잘 모르겠어요…

  • @anapg83
    @anapg83 4 місяці тому +6

    엔진이 F/A-18E/F 슈퍼호넷에 쓰는 F414GE400 인데 미국껄 마음대로 개조할 수 있을까 그보다 일단 F22처럼 엔진 열기를 가리는 추가 스텔스 처리를 먼저하는게 더 나을거 같은데

  • @user-mj2yo7fc1q
    @user-mj2yo7fc1q 4 місяці тому +7

    무엇이 그렇게 촉박했을까…

  • @mgjack9260
    @mgjack9260 3 місяці тому +6

    6세대까지 고려하면서 2차원 추력편향노즐자리 고려한거 맞고요, 제일중요한 국산제트엔진은 개발시작했고 개발환경이 열악한조건이 아니라서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을것으로 보고 시작했다네요.
    기체모듈도 많은걸 고려해서 억지로 우겨넣은게 아니라 하나의 플렛폼으로 다양한 방식의 개발이 가능하게끔 한거지요.
    내부 무장창 자리가 있다는건 알지요?

  • @trainsim--guy
    @trainsim--guy 4 місяці тому +12

    러시아 기체보면 필자가 정확힌 모르지만 su27 개량형 (SU27부터 달려있는거 아님) 부터 줄곧 출력편향 노즐이 달려있음 근데 추력편향 노즐이 있다고 장점만 있는건 아님 대표적인 예로 정비 비용증가와 부품이 복잡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잔고장 발생원인도 증가할수 있음 단 대 표적으로 두 단점만빼면 있으면 아무튼 좋은 기술임

    • @GiantSarcasticRobot
      @GiantSarcasticRobot 4 місяці тому +2

      선회할때 엔진도 같이 회전하기에 에너지 소모도 훨씬 커짐.

    • @trainsim--guy
      @trainsim--guy 4 місяці тому

      @@GiantSarcasticRobot 그래서 구함을 받쳐줄 강력한 엔진이 달려있음

  • @arch_tekton8250
    @arch_tekton8250 4 місяці тому +5

    추력편향노즐을 위한 선행연구는 이미 진행하고 있습니다. 엔진룸의 유격은 냉각 벤트 기능도 있지만, 차기 국산 제트 엔진의 인티그레이션을 위한 여유공간일 수도 있죠. 이미 KF-21은 그것까지 다 염두해두고 설계를 했습니다. 촉박한 기한 하고는 상관 없습니다.. 참고로 차기 국산 제트 엔진의 크기는 지금의 KF-21에 들어가는 F-414 엔진과 비슷하지만 추력은 약간 더 높게 잡고, 좀 더 최신 기술이 들어갈 예정 입니다. 우리나라가 생각보다 다른 선진국들이 진행하는 연구들 선행 연구로 많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 @wusongyang7751
    @wusongyang7751 4 місяці тому +3

    전투기 개조가 자동차에 뒷스포일러 다는것인줄 아는 분이 계시네요 ......

  • @Fat_Badger
    @Fat_Badger 4 місяці тому +1

    하~ 궁금했던 부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semistone2284
    @semistone2284 4 місяці тому +1

    오~ 저도 궁금했던 사항이었고 내심 기대했었는데...쩝

  • @tt-qr4yf
    @tt-qr4yf Місяць тому

    범용성이라는 부분을 항상 열어두는 엔지니어들의 열정에 박수를 안칠수가 없네요 어떤 설계든 한쪽으로 기울어지기쉬운데말이죠

  • @dawnwalker8672
    @dawnwalker8672 4 місяці тому +14

    이거 관계자가 향후 추력편향노즐 장착을 위해서 형상을 미리 만들어놓은것이라고 밝혔음...
    그리고 엔진도 호넷엔진이 아니라 국산엔진으로 장착한다고 함... 물론 시간이 걸림... 기다려보셔~

    • @li0net
      @li0net 4 місяці тому +1

      저 부분 선행개발 당시 논문에도 나와 있던데요. 냉각 팬트 맞아요. 밴드를 후미에 과하게 키운 이유는 일종의 바이패스된 공기를 가지고 엔진만 냉각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분사되는 공기도 온도를 컨트롤 하기 위해서라고 하더라구요. 즉 미사일의 적외 탐지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한 노력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추력편향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행 형상부터 재 검증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할 듯 합ㄴ다.
      FA-50 에서 좌석하나 제거하는데도 돈이 너무 들어 형상 변경없이 진행하는 것만 봐도 아마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여지네요.

    • @dawnwalker8672
      @dawnwalker8672 4 місяці тому

      @@li0net 지금은 냉각 벤트가 맞죠... 하지만 다른 채널에서 직급이 높은 관계자가 직접 얘기한 내용입니다. 추력편향노즐 지향한다고...

  • @Beaniee121
    @Beaniee121 4 місяці тому +6

    근데 결국 추력편향노즐은 기체의 움직임을 드라마틱하게 올려 도그 파이팅 시에 더욱 우위를 가지게 만드는 기술이지... 사실상 bvr 전투가 한창인 현 시점에서는 크으게 매리트가... 다른분 말씀처럼 내구성이 비교적 메롱이고 또 자체 개발 및 유지 비용이 엄청나서유... 게다가 aesa 레이더의 발전으로 탐지 거리랑 방위가 미친듯이 늘어남에 따라 이를 받쳐주는 미사일 자체 성능도 굉장히 발전하는 중이라 ㅎㅎ..

    • @FinePrintKR
      @FinePrintKR 4 місяці тому

      맞습니다

    • @jameskim6845
      @jameskim6845 4 місяці тому

      맞아요.. 요즘 전투에 도그파이팅이라니.. 무기 떨어지면 꽁무니 빼고 기지로 돌아오는게 남는 장사 같습니다.
      전투기 한대 값이 얼마고 조종사 한 명 양성하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과 돈이 들어가는데...
      무기 떨어지기 전에 후속 전투기가 달려와 미사일 쏘고 무기 없는 전투기는 리턴해서 재무장해 다시
      공격하러 나가야죠..

    • @skyeye8519
      @skyeye8519 4 місяці тому +1

      알고계시듯이 사실상 2차 미사일 만능주의인 현 시점에, TVC가 가지는 이점은 고고도에서 기동시 그 에너지를 상당히 빨리 잃게되고 조종력이 현저히 떨어지게되는데, 이를 강제로 돌려버리는 효과도 있습니다.
      또 굳이 기동성확보라는게 기총이나 구식 단거리미사일식의 도그파이팅을 추구하기보다, 근거리 적기 조우시 빠르게 적기방향으로 기수를 돌려 빠르게 무장을 운용, 퀵킬하고 빠져나오는데에 도움을 줍니다. (아무리 미사일에 HOBS 공격능력이 있더라도 적기를 따라가는 과정이 짧을수록 격추율이 올라감) 이는 이미 사이드와인더 등의 단거리 미사일들이 HOBS 공격능력을 얻기 이전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이야기라, 전방위 공격능력(모든 ASPECT)이 부여된 시점부터 반드시 적기의 노즐 뒤에서 무장을 운용할 필요가 없어졌기때문에 전술적으로 중요한 부분입니다.

    • @Beaniee121
      @Beaniee121 4 місяці тому

      @@skyeye8519 굉장히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듣고보니 단독으로도 임무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는 f-22같은 끝판왕 친구들은 여전히 필요할 법도 한거 같네용 우리 저렴이 친구들은 안타깝지만 ㅎㅎ..

    • @zoomin385
      @zoomin385 4 місяці тому

      @@jameskim6845 bvr 중거리 미사일의 평균적인 격추율이 겨우 30%정도라고 합니다.
      그보다 더 못 맞출 수도 있구요. 미사일 쏘고 끝내면 되지 뭔 도그파이팅? 이러지만
      실제 전투기 조종사들 이야기를 다른 유튜브등에서 들으면 생각 이상으로 결국
      도그파이팅으로 갈 확률이 높다는군요.
      배트남전에서 팬텀이 미사일로 맞추면 끝나는데 뭔 기총이 필요하냐.. 해가지고 기총 땠다가
      미그15와 미그21에 신나게 털렸습니다. 지금도 조금 나아졌지만 비슷합니다.
      왜냐면 미사일 사거리,명중률이 올라간 만큼 전투기들의 방어체계,전법 역시 동일하게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뭐 그렇다고 꼭 추력편항노즐을 달 필요는 없습니다. 추력편향노즐로 자세 변경해도 속도에너지를
      잃어버려서 오히려 미사일이나 기총 밥이 된다고 하는군요.
      윗분들 말처럼 엄청난 추력을 갖고 있는 엔진을 받쳐주지 않는다면 말이죠.

  • @Captain-monkey
    @Captain-monkey 4 місяці тому +3

    저도 뒷부분 볼때마다 원형 노즐이 이상해 보였습니다.

  • @stormtrooper6602
    @stormtrooper6602 4 місяці тому +12

    추력편향노즐이 얼마나 유지비가 나가고 비싼 시스템인지 알면 굳이 보라매한데 쓸까 싶음.
    어차피 GE가 지들 엔진에다가 그걸 달수 있게 허락하지도 않을뿐더러 자국산으로 한다고 해도 몇십년은 기본으로 걸리는 전투기의 제트엔진
    특성상 굳이 그 기간이면 차라리 새로운 다음 기종에다가 적용시키는게 훨씬 합리적일거 같은데...블록 3때 가선 가격이 얼마나 뛸지 가늠도 안되는데 거기다가 추력편향노즐이면 가격 경쟁력이 확 떨어질거 같은데..
    그 기간이면 이미 6세대 전루기들 나올시기이기도 하고 f-35가 얼마나 변할지도 모름.
    +에이사 레이더또한 엄청나게 발전해서 추력편향노즐도 탐지해버리는 레이더가 안 나올거란 보장도 없음.
    단적으로 Fa-50 단좌기 만드는 것 만해도 기체 재설계에다가 비용상승까지 하니 때려치우고 좌석만 없앤것만봐도 추력편향노즐이라는 복잡한 장비까지 달거 생각하면 굳이 보라매한데 달까 싶다.
    물론 카이는 된다고 하겠지만 아직 엔진이나 기본적인 비행성능도 성숙하지 못한걸 감안하면 좀...

    • @user-yr8sz8er4m
      @user-yr8sz8er4m 4 місяці тому +4

      고받음각 70도 성공함.
      비행안정성 이미 검증됨.
      추력편향 노즐 없이 프로그램으로 성공

    • @yutk267
      @yutk267 4 місяці тому

      보라매 블록3때 할수도 있으니 다 고려한거지.

    • @Beaniee121
      @Beaniee121 4 місяці тому +6

      엥? 추력편향 노즐 자체는 스텔스 설계에 해당되는 항목이 아닙니다.. f-22가 독특하게 엔진 배기열 탐지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끝 부분을 특이하게 설계한거지... 게다가 기존 엔진에 덧 붙이는 형태가 아니라 아예 새로 개발해야 하는 물건이구요... 만들어지는 소재도 기존 엔진 대비 훨씬 내열성이 높아야 해서요. 어짜피 적 방공망 제거 및 선제타격은 f-35가 맡을거고, 전자전기 버전 보라매 개발된다는 가정하에 전자전기로 적 레이더망 싹 청소하고 나면 폭장량 든든한 기존 4.5세대기들이 투입될거니까 굳이 보라매에 추력편향까지 챙길 여유도 필요도 없다는 의견은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4 місяці тому +2

    제트엔진 개발은 아무 나라나 다 하는게 아니고 개발한다고 되는것도 아닙니다. 서방세계중 제트엔진 상업화에 성공한 나라는 미국에 2개 영국에 1개 프랑스에는 미국 기업과 협력한 1개 회사 정도가 전부임
    중국의 경우는 오래전부터 러시아제 제트엔진을 카피해 왔지만 국산엔진 개발에 30년의 기간과 20조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하고 있음

  • @BABSHAP2
    @BABSHAP2 4 місяці тому +1

    F22 편향노즐 형태를 구현 하려면 극한의 고열을 견딜수 있는 내구성의 소재개발 이 우선되어야

  • @user-kw8py5nz8n
    @user-kw8py5nz8n 4 місяці тому

    저피탐 초고내열 세라믹 복합소재에 관한 선행 연구가 먼저 진행이 되어야 추력편향노즐 구경할 수 있을듯?

  • @User-qwerasdf123
    @User-qwerasdf123 4 місяці тому +6

    F-35: 나도 추력편향노즐 없음(수직이착륙을 위한 b형 제외)

  • @JJANGLSKJFLAK
    @JJANGLSKJFLAK 4 місяці тому +1

    모르는 분들이 꾀나 계시는데 한국도 추력편향노즐 연구 개발은 벌써 부터 시작하고있습니다.

  • @Elbut1
    @Elbut1 4 місяці тому

    KF-21 보면 동체에 비해 유독 글래스 콕핏이 커보이는데 이유를 알아봐주실 수 있나요? 복좌기까지 염두에 두고 그렇게 설계했다는 얘기도 있던데, F-15나 F-4, F-14를 봐도 복좌기라고 저런 비율이 나오지는 않는 것 같아서요

    • @theskymag-ch
      @theskymag-ch  4 місяці тому

      글래스 콕핏---> 캐노피 얘기하시는 거죠?

    • @Elbut1
      @Elbut1 4 місяці тому

      @@theskymag-ch 네네 맞습니다!

    • @Elbut1
      @Elbut1 4 місяці тому

      @@L3TimberWolf 아하.. 한마디로 칵핏을 거대한 모니터로 만들어버렸기 때문이군요. 전혀 몰랐던 지점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4 місяці тому +2

      KF-21 콕핏 설계에 F-22 콕핏을 설계한 은퇴한 기술자도 참여 했다는데 위에 분이 너무 자세하게 설명해 주셨네요. 그래서 F-22와 F-35도 콕핏이 넓고 파일럿의 거주성도 염두에 두고 설계 했다고 하더군요.

  • @user-yt7tj4jf5h
    @user-yt7tj4jf5h 4 місяці тому

    A330,A340 소개해 주세요.

  • @FinePrintKR
    @FinePrintKR 4 місяці тому +2

    사실 굳이 필요할까 싶네요. 하이엔드급 전투기도 아니고 현대 공중전에서는 기동성의 중요도가 전보다는 떨어지는데 굳이..?

  • @user-zv9xr6is7r
    @user-zv9xr6is7r 4 місяці тому +1

    놀라서 헐래벌떡 들어왔습니다 TVC 장착하나요!!!!!

  • @user-xz7cr9ov2b
    @user-xz7cr9ov2b 4 місяці тому

    시재기여서 그런건가 했는데 벤트였군요 ㅋㅋ

  • @LCHFPV
    @LCHFPV 4 місяці тому +3

    아마 추력편향은 아니더라도 나중에 개량을 감안한 여유있는 설계 같습니다

  •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4 місяці тому

    추력편향 노즐을 달았는데 추력대중량비가 받쳐주지 못하면 오히려 지속선회 기동성은 저하되어서 전투기 종합 근접전 기동력이 저하됨. 이런걸 모르고 무조건 추력편향노즐만 달면 기동력이 상승되는줄만 아는게 일반적이라서 단지 저속 기동 자세회복은 소프트웨어 처리를 해서 확실히 좋아짐. 그러나 이게 비행쑈에서는 분명 장점이 되겠지만 실제 공대공 근접전투에서는 손실된 추력부분이 단점으로 나타날수 있음. 결론은 추력편향까지 고려한다면 추력중량비를 더 큰 엔진을 장착할 필요가 있음.

  • @user-jd6oj6wl7v
    @user-jd6oj6wl7v 4 місяці тому +4

    추력편향노즐에 대한 연구가 있지만 저피탐 무인기에 장착될 5500파운드+급 엔진에 적용하기 위함이고 KF-21은 F414 라이센스 문제로 사실상 안됩니다

    • @yongkim5826
      @yongkim5826 4 місяці тому +2

      그렇겠지요. 엔진을 마음대로 개조할 수는 없을 테니까요. 아마도 국산 엔진이 나오면 그때 추력편향노즐을 달 수 있겠지요.

    • @FinePrintKR
      @FinePrintKR 4 місяці тому

      @@yongkim5826 국산 엔진 나오려면 최소한 10년은 기다려야 할걸요

    • @su-5727
      @su-5727 4 місяці тому

      무인기에 달기엔 좀 가성비가 후달리지 않나
      어차피 격추될 무인기에 굳이 tvn을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4 місяці тому +1

    제가 알기로는 수백조원의 개발비가 들고 있는 F-35도 B형 일부를 제외하고 추력편향노즐이 없을 겁니다.

  • @jaeholee3816
    @jaeholee3816 4 місяці тому +2

    KF-21 관련 연구논문을 보면요, 기존의 전투기들은 공중비행시에는 빠른 공기를 흡입해서 동체 내부에 들어가 있는 엔진 주변과 동체 사이를 냉각해주는데요, 이게 문제점이 있는게 지면에서 천천히 택싱이나 엔진을 걸어놓고 있을때는 흡기구로 빠른 공기의 유입이 없어서 엔진베이 냉각이 안됩니다. 그래서 기존의 전투기들은 이럴때를 위해서 강제로 송풍해주는 송풍기가 내장되어 있어서 지면에서 택싱할때는 송풍기로 바람을 불어준다고 하는데 (배기구는 잘안보이는 곳에 위치하겠죠) 이것도 기계장치이다 보니 무게와 공간을 차지하고 정비요소가 됩니다.
    그래서 KF-21에서는 쌍발엔진의 노즐에서 배기가스가 나올때 주변 공기가 이 배기가스의 압력과 공기의 끈적임? 등에 의해서 KF-21의 양쪽 엔진 배기구 사이 부분에 음압(- 압력)을 형성하는데.. 거기에 그냥 구멍을 뚫어버리면 음압에 의해서 내부 공기가 바깥으로 배출되면서 지면에서 택싱할때나 엔진을 켜놓고 주기할때도 자동으로 냉각이 되고... 강제 냉각 펜등의 시스템은 안달아도 되죠..
    물론 KF-21도 냉각용 흡기구는 기존 전투기처럼 달려있어서, 엔진을 최고로 가동하는 공중비행시에는 빠른 공기가 유입되어 냉각되도록 되어있죠... 그런데 지면에서 택싱하거나, 주기할때는 엔진을 거의 아이들상태 최소출력으로 하므로, 이런 배기구 사이 음압에 의한 자연환기식 수동식 냉각을 사용해도 충분하다고 합니다.
    이러한 특허? 구조가 적용되어 있는것이 KF-21 입니다. 그래서 쌍발엔진 가운데가 격벽이 있어야할 부분이 뻥뚫려 있어서, 다른 전투기들의 후미부와 비교가 좀 되죠, 잘 모르고 보면 플라모델 부품을 하나 덜끼웠나? 하는 ..생각도 드는...의외로 창의적인 구조입니다. 이건 일론머스크가 스타쉽 우주선 설계할때 기준인 "best part is no part" 가장 좋은 부품은, 부품 자체를 안쓰고도 그 역활을 하는것 이라는 이론과 일맥상통합니다.

  • @GANISHI222
    @GANISHI222 4 місяці тому

    게임하다봤는데 ICE를켜라하더라고여 근데 ICE가 뭔지 그용도가궁금합니다

  • @fox333333333
    @fox333333333 4 місяці тому +8

    클릭 안할수가 없었다;;
    하지만 실현 가능성 없을것 같은데

    • @user-fn8hu4ev3g
      @user-fn8hu4ev3g 4 місяці тому

      머뭇거리다 들어와 보니 역시 낚시~ 싫어요 누르구 감.. ㅋㅋㅋㅋ

  • @Trianon1
    @Trianon1 4 місяці тому +54

    추력편향노즐을 현재 연구중에 있습니다. 인터넷 기사를 좀 찾아보시면 있습니다.

    • @kirin1229
      @kirin1229 4 місяці тому +40

      향후 추력편향노즐을 달지와 별개로 저 형상 자체는 추력편향노즐과 관계가 없다는 내용이잖아요… 영상 몇분이나한다고 이런댓글을 다는지

    • @LEEkyouho
      @LEEkyouho 4 місяці тому +8

      @@kirin1229님이 더 심각한듯. 현재 형상과 무관하게 현재 연구 중이라잖아요. 현재 연구 중이면 지금 형상과 꼭 연관이 있어야하는건 아니죠

    • @yoyeux808
      @yoyeux808 4 місяці тому +18

      뭘 다투고 그래요? 아직 추력편향노즐은 없지만 블록3에서는 달게 될 겁니다. 그래서 지금 연구중인 거구요.. 블록3에서는 추력편향노즐,센서매립,내부무장창등을 갖추게 될 거고.. 또한 센서퓨전도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진보된 능력을 갖추게 될 거니깐.. 다들 사이 좋게..

    • @oumuarice
      @oumuarice 4 місяці тому +5

      @@LEEkyouho그냥 둘다 맞는말인것 같은데요

    • @rlaalswoseoul
      @rlaalswoseoul 4 місяці тому +15

      그냥 지금은 없지만 추후는 장착할지는 미정이고 연구중이다 라고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정보를 그런가 보다 하면되지 너무 말씀들 하시는게 날카롭네요...

  • @f35kim51
    @f35kim51 4 місяці тому

    F/A-18E 슈퍼호넷의 성능만 나와주면 좋겠습니다...

  • @choihyunhak3599
    @choihyunhak3599 4 місяці тому +1

    어차피 5세대 넘어갈때 쓸라고 미리 설계해둔거다.

  • @skwnsl11
    @skwnsl11 4 місяці тому +2

    미국이 추력편향 노즐 엔진을 수출할 리가 없고...러시아와 관계가 어긋나서 그쪽 엔진의 기술을 수입할 수도 없고...실질적으로 엔진을 구할 수가 없어서 장착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음.

    • @FinePrintKR
      @FinePrintKR 4 місяці тому +1

      러시아도 지들 극비 엔진 기술을 관계가 좋아도 안넘겨줬을 거 같습니다만

  • @joda1223
    @joda1223 4 місяці тому +11

    자체 엔진 개발부터

    • @yutk267
      @yutk267 4 місяці тому

      자체엔진만 필요한게 아니라 프랑스 수준을 자체기술을 확보해야 맘대로 수출도 6세대기도 만들수 있을듯.

  • @sayalee7826
    @sayalee7826 4 місяці тому

    항상 궁금했는데 왜 개발일정을 촉박하게 잡을까?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4 місяці тому +2

      노후된 전투기를 하루빨리 교체하기 위해서

  • @user-kd6yd7ql2k
    @user-kd6yd7ql2k 4 місяці тому

    추력편향 장치 까지 달아야 완성됨

  • @seojun1226
    @seojun1226 4 місяці тому

    이거말고 다른거

  • @bangdoll4500
    @bangdoll4500 4 місяці тому +3

    참고로, 벤트는 꼭 후미 노즐 주변에만 있으라는 법은 없습니다. 오히려 흡입구 상부나 옆구리에 있는 경우가 더 많죠.
    터보팬은 제트엔진의 직분사 추력 보다는 바이패스한 공기의 질량유동 절대량으로 더 효율을 얻는 방식인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 하는게 전통적인 벤트의 역할인데, KF-21의 벤트는 남은 공기를 그냥 뒤로 흘려보내는 용도 = 아마도 냉각기능 인거 같네요.(배기가스와 공기를 섞어서 써멀 스텔스 일수도)
    엔진 직경이 작을수 밖에 없는 전투기용 터보팬은 바이패스 공기량이 적은 저바이패스 터보팬엔진 입니다.
    저바이패스 터보팬엔진의 바이패스 공기는 그 양이 작아서, 질량유동 추력효과 보다는 애프터버너를 켰을때 추가연소용 이라고 보셔도 무방 합니다.

  • @jaykim4983
    @jaykim4983 4 місяці тому +1

    했음 좋겠는데

  • @user-ib9be9dc5r
    @user-ib9be9dc5r 4 місяці тому

    맞아 이상하게 보이긴했음

  • @user-me4cg2db8x
    @user-me4cg2db8x 4 місяці тому

    해병대가 싫어할 영상이네요

  • @ubot581
    @ubot581 4 місяці тому

    지금 개발된 6대의 시제기외 블럭 1까지는 기체에 큰변화가 없고 블럭 2부터 내부 무장창 그리고 고기동 에프터버너로 교체되겠지요.

  • @user-lq6dp1xj9p
    @user-lq6dp1xj9p 4 місяці тому +1

    뭐가됬든 빨리 인니랑 계약끊고 독자개발하라

  • @koonsickgreen6272
    @koonsickgreen6272 4 місяці тому

    뜨러스트붹터!

  • @a9rc
    @a9rc 4 місяці тому +1

    만들다 만거 같은 저 부분은 어떻게든 해결 했으면..

  • @NH_NH-NH
    @NH_NH-NH 4 місяці тому

    난 모르겠고 추력편향노즐 원하면 개추 ㅋㅋㅋ 일단 나부터 ㅋㅋ

  • @mavicshow
    @mavicshow 4 місяці тому

    이제는 드론시대이죠. 항공기의 리스크보다 드론이 더 발전 될 편향이 있을거 같아요. 물론 항공기도 궁극적으로 필요하다 생각하지만서두...

  • @Mango-mangosteen
    @Mango-mangosteen 4 місяці тому

    추력편향노즐까지 장착하면 아주그냥 F-22짝퉁이 되것네

  • @Hyuchan1002
    @Hyuchan1002 4 місяці тому

    짝퉁을 민든 사람들은 오리지날의 원래 설계 의도를 모릅니다 ㅋ

  • @ybtiger6503
    @ybtiger6503 4 місяці тому +2

    저 정도 크기로 구멍 뚫어 놓은 기체는 kf-21 밖에 없음. 저렇게 어설프게 마감한거는 공기역학적으로 기체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끌어당기는 힘을 발생시킴.
    추력편향 노즐 연구가 지금 진행되고 있는걸로 암. 공문 인터넷에 있음. 다만 연구에 그칠지 적용될지는 모름.....

  • @user-yx7fd3fo1b
    @user-yx7fd3fo1b 4 місяці тому +1

    이거 인도네시아 연구원 에 기술 유출 털린 뉴스 나오던데 답답하네요,

  • @user-il7vr1zp1s
    @user-il7vr1zp1s 4 місяці тому

    하면 뭐하나 기술 전부 탈취당하는데.....

  • @user-cp6pf5gv6r
    @user-cp6pf5gv6r 4 місяці тому

    상하 추력편향 동작 기술은 어려운게 아니나 고온를 견뎌내는 노즐개발과 노즐 동작시 비행운용 소프트웨어 기술 축적이 핵심인듯..

  • @user-cl1cq7rb3k
    @user-cl1cq7rb3k 4 місяці тому +1

    스텔스기체도 아닌데 벌써부터 2D추력편향은 ㅋㅋㅋㅋ

  • @user-ts7wh6lh5q
    @user-ts7wh6lh5q 4 місяці тому

    그런거 안단다

  • @user-di1mf6tw6j
    @user-di1mf6tw6j 4 місяці тому

    기술유출이나 확실히 막아라.

  • @gsp_gamsung
    @gsp_gamsung 4 місяці тому +1

    인도네시아에는 소송을 해서라도 미납금 받아내야 합니다

  • @7lazaros234
    @7lazaros234 4 місяці тому

    순수 한국인만 개발에 참여하길 바래봅니다.. 동남아 사람들은 제발 내보내시고..

  • @aljja88ify
    @aljja88ify 4 місяці тому

    엔진도 못 만드는데.. 김칫국부터 마시기는.

  • @ssssss7112
    @ssssss7112 4 місяці тому

    엔진을 변경해야 한다는 사람들 많은데 그냥 로켓모터에 TVC노즐만 단 AIM-9X미사일 처럼 뒤에 편향판만 부착해도 TVC로 기능은 합니다. 기체 제어 시스템 전체를 손을 봐야 하니 쉬운 일은 아니지만 엔진 제작사에게 전적으로 의지할 필요는 없습니다.

  • @Dirla
    @Dirla 4 місяці тому +2

    하지만 엔진이 F-18엔진인걸....

    • @Dirla
      @Dirla 4 місяці тому

      @@user-vn5ms3vi8s 그건 저도 알죠

  • @firstnlastn3571
    @firstnlastn3571 3 місяці тому +1

    21은 외형만 놓고 보면 3세대에 불과한데 항전장치 등 전자 장비때문에 겨우 4.5세대 턱걸이

  • @JosephPark0217
    @JosephPark0217 4 місяці тому

    굳이

  • @reee12311
    @reee12311 4 місяці тому

    다들 눈치 챙겻

  • @wokemen8706
    @wokemen8706 2 місяці тому

    연구원들 정말 힘들 것 같네요 우리나라 연구원들 정말 대접 못받고도 초조하게 일정 맞추느라 전전긍긍하는 편인듯 합니다

  • @user-yr8sz8er4m
    @user-yr8sz8er4m 4 місяці тому

    늘상 이런 영상의 댓글에는 기본이 전혀 없음
    추력편향이 왜 필요한지부터 따져야.
    그리고 보라매는 고받음각 70도 기동.

  • @user-cg2ig8hw8b
    @user-cg2ig8hw8b 4 місяці тому

    이걸 보면 F-21의 발전성이 F-22까지 일듯

  • @user-ts9xe2xd3p
    @user-ts9xe2xd3p 4 місяці тому

    일단 시도나 해보고 좀

  • @user-xv6gy1xp6w
    @user-xv6gy1xp6w 4 місяці тому

    에라이~~
    중국이 먼저개발할듯

    • @su-5727
      @su-5727 4 місяці тому

      중국은 이미 j31 개발중에 있고 시험비행도 여러번함

  • @user-vd8xs6zd5w
    @user-vd8xs6zd5w 4 місяці тому +5

    꼴랑 랩터 수준의 추력 편향 노즐
    수호이 정도의 추력 편향은 되어야죠
    Mig-35 도 추력 편향 노즐은 옵션이라는데

    • @starmaker23871
      @starmaker23871 4 місяці тому +13

      랩터는 스텔스성을 살리기 위해 2D 형태의 추력 편향 노즐을 탑재한 겁니다. 원형의 노즐보다 2D 형태의 노즐이 RCS 감소에 도움이 되기에 2D 형태를 가져가면서도 기동성 증가를 노리기 위해 위아래의 추력 편향 기능을 넣은 거죠. 기동성은 이미 그 가히 무시무시한 추중비와 극히 낮은 익면하중으로 달성했습니다. 현재까지도 랩터를 기동성으로 이기는 기체는 몇 없습니다. 144:0의 교환율을 자랑하고 도입 이래 적국마저 세계 최강이라 인정하는 기체를 "꼴랑 랩터 수준" 이라고 평가하는 님은 UFO가 만연한 이세계의 분이십니까...

    • @user-qc8ii4hl9q
      @user-qc8ii4hl9q 4 місяці тому +9

      6만 피트에서 마하 2로 5G 기동을 하는 상식을 벗어나는 물건이랑 수호이를 비교하는게 맞다고 생각함? ㅋㅋ 그 잘난 추력편향노즐 달려있는 수호이는 랩터를 레이더로 잡을 순 있고? ㅋㅋ 현실은 f-15선에서 컷 ㅋㅋ

    • @user-wc2xn1tw5g
      @user-wc2xn1tw5g 4 місяці тому +8

      꼴랑 랩터 수준 이래 ㅋㅋㅋㅋㅋㅋ

    • @eyemonsterman
      @eyemonsterman 4 місяці тому

      이새끼는 러뽕을 존나게 처먹었네 ㅋㅋㅋㅋ

    • @do_torii
      @do_torii 4 місяці тому +4

      Rcs 값 개박살 나서 2차원 편향노즐로 설계해야함

  • @ori5581
    @ori5581 4 місяці тому

    응 인도네시아꺼~ㅋ

  • @oo-hankijong9289
    @oo-hankijong9289 2 місяці тому

    공중에서 기동하면서 뜯껴져봐야 알겠냐?

  • @super-duper-wooper
    @super-duper-wooper 4 місяці тому +1

    벤트 === 환풍구 검색하게 만드네 마찰음 있는건 걍 한글쓰지 있어보이나?

    • @skyeye8519
      @skyeye8519 4 місяці тому

      실제로 저 용어를 쓰기 때문이죠...
      정확히 대체 가능한 한글 용어를 제작사와 운용자가 지정하지도 않을뿐더러,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정확한 용어사용은 사고를 막습니다...

    • @su-5727
      @su-5727 4 місяці тому

      모르면 검색해 핑프새끼야 ㅋㅋㅋ

    • @super-duper-wooper
      @super-duper-wooper 4 місяці тому

      @@skyeye8519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계속 전문용어로 설명해주세요. 검색해서 이해할께요.

  • @super-duper-wooper
    @super-duper-wooper 4 місяці тому +1

    디자인을 베껴서 들여왔는데 비행 특성 그대로 유지할려고 걍 똑같이 가져온거겠지

  • @user-eo9wb1lo3l
    @user-eo9wb1lo3l 4 місяці тому +2

    헛소리말구 엔진이나만들어

  • @changohan6829
    @changohan6829 4 місяці тому

    내부무장창도 만들고 할수있는건 싹 다해서 많이 팔아먹자~

  • @javerjeon9980
    @javerjeon9980 4 місяці тому

    대충 만들었단 애기죠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