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주택 비과세, 이것 놓치면 세금폭탄 맞습니다! (세무법인다솔 마곡중앙지점 김철종 대표세무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6

  • @제네시스박
    @제네시스박  4 години тому +1

    비과세에 있어서 고가주택은 기준은
    양도가액이 12억 원을 넘는 경우입니다.
    (양도차액이 아닙니다)
    그리고 이 경우는 비록 비과세라도
    12억 초과분에 대해 양도세가 발생합니다.
    요즘 어지간한 서울 집값은
    12억 원을 넘는 경우가 많으니,
    비과세라도 세금이 나온다는 의미겠죠?
    그래도 비과세인데
    왜 세금이 나오는지 억울하시다면
    반드시 이것을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세무법인다솔 마곡중앙지점
    김철종 대표세무사와 함께
    이에 대한 절세전략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김철종 세무사 칼럼
    blog.naver.com/semugonggan
    📌 김철종 세무사 유튜브
    www.youtube.com/@@semugonggan
    #비과세 #고가주택비과세 #양도세 #김철종세무사 #제네시스박

  • @yjh1231
    @yjh1231 3 години тому +1

    제네시스박 채널 빠짐없이 챙겨보는 구독자 입니다. 저는 3년 거주 후 재건축된 아파트를 가지고 있는 1가구1주택자 입니다. 장특공제 적용시 철거와 공사 기간동안 보유 및 거주기간이 동시에 인정되나요? 조합에서는 보유기간만 인정된다고 들어서 여쭈어 봅니다.
    그리고 저는 추가 분담금이 아닌 현금으로 0.7억 환금을 받았는데, 이경우 양도세 및 장특공제는 어찌 되는 건가요.
    재건축 후 새아파트 시세가 약 20억 정도면 양도세 절세를 위해 거주해야 할까요?

    • @제네시스박
      @제네시스박  2 години тому

      안녕하세요, 원조합원이신 경우 관처 이전과 이후 2번에 걸쳐 양도세 계산을 하고, 각각의 경우 거주기간이 길수록 유리합니다. 자세한 건 세무사님과 상담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 @jitree90
    @jitree90 3 години тому +1

    추가분담금이 없고 환급 받은 고가주택도 2년 실거주해야 80퍼 장특공 받을수있나요?

  • @까치-i8w
    @까치-i8w 51 хвилина тому

    상가주택입니다.
    상생임대인으로 비과세 받고싶은데요.
    임대료 인상은 전부5%로 이내입니다.
    다만 세입자분이 나가셨을때 가족분이 보증금 100에 월10만원으로 4개월 정도 거주했습니다.
    기존 1억2천 전세로 다음 임차인을 받아야할까요?
    아니면 보증금100에 월10만원으로 기준잡고 다음 임차인을 받아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