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적으로 농업경제 vs 상공업경제....로 전환이 근대의 키라고 생각함. 미국 남북전쟁도 그렇고. 무역과 상공업이 주가 되는 사회로 전환되려면, 농업경제 기득권이 사회적 영향력을 잃게 되는 것을 두려워하기가 딱 좋고..... 애초에 유교와 신분제는 토지에 농민을 예속시키기에 좋은 제도라고 생각함. 서양도 카톨릭 vs 프로테스탄트 구조도 그런 측면이 있지 않나 싶고. 농업에 최적화된 시스템과 무역과 상공업에 최적화된 시스템의 전환과 이에 따른 갈등. 동시에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충돌로도 볼 수 있기도 하지만. 해양세력이 바다를 잡는 것도 무역때문에 잡는 거니까...
👍 니줄라꼬의 다양한 영상이 궁금하다면?!👀
✔ www.youtube.com/@give_to_you
넘 재미있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누를께요 ㅎㅎ
근본적으로 농업경제 vs 상공업경제....로 전환이 근대의 키라고 생각함. 미국 남북전쟁도 그렇고. 무역과 상공업이 주가 되는 사회로 전환되려면, 농업경제 기득권이 사회적 영향력을 잃게 되는 것을 두려워하기가 딱 좋고.....
애초에 유교와 신분제는 토지에 농민을 예속시키기에 좋은 제도라고 생각함. 서양도 카톨릭 vs 프로테스탄트 구조도 그런 측면이 있지 않나 싶고.
농업에 최적화된 시스템과 무역과 상공업에 최적화된 시스템의 전환과 이에 따른 갈등.
동시에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충돌로도 볼 수 있기도 하지만. 해양세력이 바다를 잡는 것도 무역때문에 잡는 거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