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중, 일 세 나라의 공통된 문화비교 '젓가락 삼국지' (KBS 20010125 방송)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5 сер 2021
  • ※ 본 영상은 2001년 방송된 것으로 현재 상황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젓가락을 통한 동양-서양 간, 삼국간의 비교문화론
    동양에서도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손꼽히는 세 나라의 공통된 '젓가락' 문화를 살펴봄으로써, 서구 문화와의 차이와 삼국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흥미로운 문화비교를 시도한다.
    ▼ 막대기 두 개의 지혜
    지난 20세기에는 서양문명이 힘을 바탕으로 한 우월감으로 동양문명과 충돌하였지만, 21세기엔 달라질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예상이다. 젓가락은 단지 음식을 먹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동양의 지혜' '가장 간단한, 그러나 가장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인류의 도구', '생명의 운반자'라는 칭송을 받아왔다.
    세계적인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와 21세기 최고의 바이올린리스트로 꼽히는 에후디 메뉴인은 음식을 찌르는 공격적인 포크와는 달리 전체를 다치지 않고 들어올리는 젓가락의 포섭적인 문화에 상찬의 말을 아끼지 않았다. 단지 25cm 내외의 막대기 두 개와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이뤄지는 젓가락 질은 가히 예술적이라고 할 만하다.
    ▼ 젓가락 사용과 두뇌발달
    대뇌 피질의 약 30%가 손가락과 관련된다. 젓가락질 한번을 하기 위해 50여개의 관절과 30여개의 근육이 함께 움직이지만, 포크는 그 절반에 미치지 않는다. 젓가락 사용은 그만큼 두뇌를 자극하게 되고, 젓가락을 쓰면 어 린아이의 경우 머리가 좋아지고, 노인은 치매가 예방된다는 것은 충분한 근거가 있다.
    ▼ 젓가락.콰이즈.하시
    한중일 세나라 사람들의 젓가락 사용의 기본은 전혀 다를 것이 없지만, 한 걸음 나아가 들여다보면, 각국의 문화차이에 따른 다른 점이 있다. 젓가락을 처음 발명한 나라는 중국. 약 3천년 전의 일로 추정된다. 우리는 1천8백년, 일본은 1천 5백년 정도 된 것으로 학계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세나라 중 중국의 젓가락이 가장 길고, 일본, 우리나라 순서이다. 본래 우리 젓가락 길이가 일본보다 길었는데, 금속젓가락을 쓰면서, 무게 때문에 결국 우리 젓가락의 길이가 삼국 중 가장 짧아졌다. 삼국 중 우리만이 금속젓가락을 쓰며, 윗쪽은 장방형, 아랫쪽은 둥근 모양은 우리만의 디자인이다.
    일회용 젓가락은 일본의 발명품. 나무젓가락을 쓰는 일본에서 위생상의 문제는 풀어야할 숙제였다. 그 해결책이 일회용 젓가락. 하지만 제작에만 1년이 걸리는, 수명 4-5년의 고가의 젓가락 전통도 있다.
    ▼ 하루 세 번 사용하는 젓가락의 문화론
    전통에 대한 거창한 접근이 아니라, 생활과 더없이 밀접하고, 한국인이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소재인 젓가락에 숨겨진 우리 문화의 비밀을 풀어본다.
    생활전통으로 이어가야 할 젓가락. 그 활로와 의미를 생각해 보는 시간을 마련한다. 젓가락 사용이라는 한.중.일 삼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조명한다. 젓가락의 길이, 생김새, 재료, 숟가락과의 공조관계, 젓가락과 관
    련된 삼국의 속담.금기.습관.사용법.다른 식기들과의 관계 등을 다양하게 살피고, 우리 어린이들의 젓가락 사용실태를 점검해 보며, 생활전통으로 의미와 활로를 생각해본다.
    #젓가락 #하시 #콰이즈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37

  • @icocoroo
    @icocoroo 2 роки тому +45

    세상에 20년 된 영상이군요

  • @user-mc5ms1yk4l
    @user-mc5ms1yk4l 2 роки тому +1

    서로 옆나라면서 많은 부분이 비슷하면서도 참 많은 부분이 다르네요. 정말 재밌게 잘 봤습니다. 앞으로도 흥미롭고 이로운 영상들 많이 만들어주시길 바랍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Hyuchan1002
    @Hyuchan1002 2 роки тому +12

    심플한 형태로 굴러가지 않게끔 만든 것도 좋은 아이디어

  • @lunapark9734
    @lunapark9734 Рік тому +1

    대박...이런 재미있는 방송이 ㅎㅎ

  • @natureeeee
    @natureeeee 2 роки тому +26

    금속 위생적으로도 최고!!

  • @cJeremy
    @cJeremy 2 роки тому +10

    젓가락은 최고의 도구다.. 포크보다 훨훨 낫지..

  • @clara._.youS2
    @clara._.youS2 2 роки тому

    옛날에 TV에서 본 기억이 나요

  • @halo9490
    @halo9490 2 роки тому +9

    살면서 배우길 참 잘했다 생각드는 것 중 하나가
    젓가락질~

  • @Daniel-zx1yn
    @Daniel-zx1yn 2 роки тому +8

    22:49초 콰이안롱황제라길래 누군가 했더니 건륭제군요 ㅎㅎㅎ 북경어로는 발음이 치엔롱이고 홍콩에서 주로 쓰는 광동어로는 킨룽인데 왜 콰이안롱이 되었는지 의문입니다... 생몰년도 맞지 않고요.

  • @user-zq1qk7rb9p
    @user-zq1qk7rb9p 2 роки тому

    재미써

  • @flashkims
    @flashkims 2 роки тому +5

    무려 2001년 영상

  • @user-qm6bg7vk3m
    @user-qm6bg7vk3m 2 роки тому

    인디카 종이 손으로 먹는 이유 중 하나가 젓가락으로 잘 안잡힘 포크는 그나마 됨 숟가락은 말할 것도 없고….😅

  • @user-bp6kf4fq7p
    @user-bp6kf4fq7p 3 дні тому +1

    x자 엑스자 젓가락질은 일본에서 건너온거라던데 맞나요?

  • @user-tc2ju4gl8c
    @user-tc2ju4gl8c 2 роки тому

    모야 자포니카는 쌀이랑 장어구분?

  • @user-uy8qj8ng4v
    @user-uy8qj8ng4v 2 роки тому +6

    ㅋㅋ 우리 나라도 조선 시대까지만 해도 개인 상 받았는데 먼 식탁이 중국보다 작아서 젓가락이 중간 크기여

  • @shalessandro
    @shalessandro 2 роки тому +8

    젓가락보단 숟가락만 사용하는 국가중 한국이 특이함 ㅋㅋㅋㅌㅌ

  • @hskim7584
    @hskim7584 5 днів тому

    한국은 밥과 국 문화. 찰진 밥에는 나무 젓가락은 잘 들어가지 않는다. 밥풀도 나무 젓가락에 더 잘 묻고, 설거지할 때 잘 떨어지지도 않는다. 금속 젓가락이 더 뾰족한 것과 무게 때문. 또 젓가락은 김치나 전을 반으로 나눌 때도 사용하는데, 나무 젓가락으로는 잘 안된다. 국 그릇에 젓가락을 놓는 경우도 나무 젓가락은 둥둥 뜨고 설거지 통에 넣을 때도 마찬가지여서 대단히 불편하다. 여러가지 측면에서 한국 음식문화에서는 금속 젓가락이 훨씬 편리하다.

  • @jsj0113k
    @jsj0113k 2 роки тому +4

    이보시오 어디에 미녀가 있단 말이오?

  • @user-yh4kq3yy6w
    @user-yh4kq3yy6w 2 роки тому +1

    나레이션 김도현

  • @deparis5509
    @deparis5509 Рік тому

    젓가락그레이

  • @young-soonkim6730
    @young-soonkim6730 2 роки тому +5

    동양 사람들이 숟가락 하고 젓가락 들만 필요한 이유는 요리를 할때 칼로 먹기 좋게 한입 크시로 칼로 자라서 그런것 같아요. 서양의 음식들은 밥상에서 자기가 자르기 때문에 칼하고 포크들이 필요한것 갔습니다.

    • @young-soonkim6730
      @young-soonkim6730 2 роки тому

      싱크대 에다 필터을 넣는것 좋아요. 젓가락 이나 반지나 조금한 보석류들이 싱크대 파이프에 않빠집니다. 그리고 음식 쓰래기 않빠저서 싱크대도 않막키고 참좋습니다.

  • @Cliff_hematuria
    @Cliff_hematuria 2 роки тому +3

    젓가락질 잘해야만 밥🍚잘 먹나요~~이히~~잘못해도 서툴러도 밥🍚잘 먹어요~~이히

  • @benkim2016
    @benkim2016 2 роки тому

    근데 왜 우리만 쇠젖거락이지?

    • @youngsikna8169
      @youngsikna8169 2 роки тому

      제련기술이 발달해서. 일례로 사무라이들이 칼을 두자루 차고 다닌 이유가 칼이 너무 잘 부러져서.

  • @user-hz3gq5yl5k
    @user-hz3gq5yl5k 2 роки тому +4

    아니운서 목소리?는 지금이랑 비슷한데...일반인들은 좀 변한게 느껴짐.
    그리고 세 미녀라...ㅋ 20년전 감성..지금은 어려울 듯.

  • @tess_tv8470
    @tess_tv8470 2 роки тому +1

    포크딜과 젓가락질 비교는,., 헛웃음만 나오네. 일본애들 부리는 억지가 생각날 정도. ㅋㅋㅋ 적당히 하자. 포크질 잘 하면, 젓가락 만큼 잘 쓰더라. 라떼 군대에선 숟가락 만으로 밥먹었는데, 젓가락을 숟가락으로 대체할 수 있었다. ㅋㅋㅋ 그냥 익숙함의 문제다.

  • @dkkang1969
    @dkkang1969 2 роки тому

    미녀인가 ㅋㅋㅋ

  • @ppledplo1318
    @ppledplo1318 2 роки тому +1

    삼국의 미녀라....... 음..............

  • @user-vv1kj2gb1g
    @user-vv1kj2gb1g 2 роки тому +2

    젓가락질 하는게 삼국이 다 똑같이 하네? 우리나라는 숟가락을 많이 써왔고 젓가락질 예절은 일제의 잔재라던데.. 사실인가요?

  • @user-cq6ch2ut1w
    @user-cq6ch2ut1w 2 роки тому

    네 일제 잔재 잘봤구요
    적당히 지들 똑독한줄아는 멍청이들이 이게 우리 젓가락질이다, 이거 좋은거다 하는 지들이 익숙한 일제 잔재에 비롯한 멍청한 젓가락질이 아닌
    진짜우리 젓가락질은 개개인의 개성을 인정하는 젓가락질이었던거 아니었을까요?
    일재 잔재의 (지들기준의)젓가락질 못하는놈들 은 예의가 없다는 꼰대적 사상이 심어진건 어느시대였을까요?

  • @mosummer9889
    @mosummer9889 2 роки тому +1

    쇠젓가락은 오래 사용하면 손가락이 아리다. 나무젓가락이 편해.

  • @lastday2373
    @lastday2373 2 роки тому +3

    당장 폐지시켜라 언론 조작하고 선동하는 프로그램; 역겨워죽겠네

  • @vvw4527
    @vvw4527 2 роки тому

    젓가락
    일본 문화 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