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뉴스] "서울, 매물만 쌓여 있어요" 부동산 ‘거래절벽’이 심각한 이유② (ft.김경민 서울대 교수, 도시계획·부동산 박사) / 교양이를 부탁해 EP.15 / 비디오머그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1 січ 2024
  • 서울은 인구가 줄고 있어요 25년 동안. 근데 가격은 무지하게 올랐잖아요. 주택에서의 수요라는 게 인구도 중요하긴 합니다만 사실 소득이 더 중요하게 될 거예요 앞으로는. 바닥이 생각보다 빨리 올 수도 있습니다마는 그렇다고 가격이 급등하냐, 그건 아닐 것 같아요. 제가 봤을 때는 2018년 2019년 가격은 저는 적정하다고 봐요. 왜냐면은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시 평균 소득이 40%가 올라갔어요. 근데 2008년 대비 2018년 가격이 50% 오른 거예요. 사실은 소득 상승보다 자산가치 상승은 더 높아요. 그렇게 한다고 하면 2018년 가격은 저는 적정하다고 보고 제가 작년에 약간의 시뮬레이션을 했거든요. 대부분이 그 가격 터치하고 다시 반등했어요. 그래서 그 가격대가 존재하는 것 같아요. 사람들이 생각하는 적정한 수준의 가격대라는 게 존재를 해요.
    *강의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콘텐츠입니다
    크리에이티브디렉터:DAVID / 영상취재:서진호 / 편집:정용희·채지우 / 콘텐츠디자인:채지우 / 인턴:박지현·권도인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비디오머그 #거래절벽 #부동산전망 #인구감소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mugTube
    ▶Homepage : n.sbs.co.kr/videomug
    ▶Facebook : / videomug
    ▶Twitter : / videomug_sb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КОМЕНТАРІ • 845

  • @videomug0
    @videomug0  4 місяці тому +23

    콘텐츠 보고 커뮤니티에 리뷰 쓰면 김경민 교수의 ‘부동산 트렌드 2024’를 40명에게 드립니다!! ▶premium.sbs.co.kr/board/6593b56983d4654513931f22

    • @algorithm1004
      @algorithm1004 4 місяці тому +3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80% 이상이 집대출인데 거품아니라고 하는게 이상하다. 30년 50년 땡겨서 산 집들이 너도나도 피받고 안받은척 하면서 올라온건데말이다. 마지막 영끌족 30대.....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정치하시는분들은 표심잡기위해 아파트는 계속 올릴거고... 문제는 10대 20대가 마지막 영끌족 물량을 받아주냐는건데.......... 연금도 나락가는 현상황에서 당연한 결과라 봅니다. 향후 30년후에는 메인상권거주지들 이외는 상승이없을거라 봅니다 전자제품처럼 감가상각비대로 내려가던가 멈추겠죠

    • @user-tx1dd2hk7q
      @user-tx1dd2hk7q 4 місяці тому

      집값더내려가라한다부동산투기하는녀놈때문

    • @hyunwonlee5363
      @hyunwonlee5363 4 місяці тому

      책 언제 주시나요

    • @miso867
      @miso867 3 місяці тому

      생각해낸 대책 : LTV 80%까지 대출받고 이자를 낮게 해줘라 ㅋㅋ

  • @Socoool67
    @Socoool67 4 місяці тому +279

    인구 감소보다 아파트 가격이 더 중요한 대한민국

    • @user-uf4kf5rk2c
      @user-uf4kf5rk2c 4 місяці тому +14

      아파트로 나라가 가루 갈거요

    • @JM-bg1qr
      @JM-bg1qr 4 місяці тому +9

      당연한겁니다. 우리나라 유주택자비율이 60%가 넘는데, 폭락하면 이들이 소비줄이면 진짜 답이 안 나오니깐요.

    • @user-nv2jk8dx2s
      @user-nv2jk8dx2s 4 місяці тому +32

      극단적이지만 지구가 멸망하는 상황이 와도 저들은 부동산 떨어질 걱정하고 있을 것 같네요.

    • @user-always1
      @user-always1 4 місяці тому +14

      @@JM-bg1qr 이미 폭탄을 만들어놓고 정책을 세우면 더 망하지 스노우볼 이정도로 만들었으면 그전에 진작 터트렸어야 했고 늦었다 싶을때는 정부에서 개입하면 안됨 그래야 빠질때 시원하게 빠지지 윤석열 둔촌주공 살리기는 눈물 겹던데 50년 대출도 결국 2차 하락은 못막잖음 둔천주공 손 안됐으면 아마 지금 서울 집값 5억~6억으로 내려오긴 했을듯

    • @JAY-cq7bq
      @JAY-cq7bq 4 місяці тому

      민주당 문재앙때 전국 350프로상승ㅋㅋㅋㅋ

  • @user-os5ph2ih3w
    @user-os5ph2ih3w 4 місяці тому +31

    소득대비 집값 거품 너무 심합니다.
    한국은행 분석 자료대로 집값 2015년으로 회귀해야 정상입니다.
    청년세대를 위해서도 반드시 하락해야 하구요

  • @user-ld9ci4wn8k
    @user-ld9ci4wn8k 4 місяці тому +163

    사실 수도권도 좀 우려되는게 노령 인구가 늘수록 생활비 병원비 간병비 등등 현금이 더 필요해질텐데 축적된 자산이 부동산 뿐이라면 언젠가는 현금화를 해야하는 시점이 도래할시 미래 생산 인구가 그걸 받쳐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지방보다 충격이 덜할수는 있겠으나 인구가 많은 만큼 은퇴 연령도 많은 곳이 수도권입니다 결국 인구 구조상 은퇴 후 현금 필요 시점도 비슷할걸로 보거든요 마치 지난 부동산 붐처럼요 결혼 가정 육아등등 으로 인해 한국의 마지막 베이비 부머 세대들이 집을 살 시점이었다고 봄 심지어 많은 사람들이 영끌을 통해 대출을 포함했다는 것이 더더욱 우려되는 점이고 지금이야 한참 월급 받는 생산연령이라 대출 이자를 감당하지만 은퇴 후 설혹 대출을 다 갚는다 해도 따로 노후 자금이 없다면 결국 현금화를 해야 한다고 봅니다 만약 여유가 있어 집을 산게 아니라면 영끌 대출로 집을 산다는건 미래 생산 인구가 내 집을 사 준다는 전제하에 가능한일 아닌가 싶습니다

    • @user-yk5ri4du1g
      @user-yk5ri4du1g 4 місяці тому +4

      경기도 인구는 늘어나는중 아이들비중도 신도시 중심으로 바글바글함

    • @user-hj3rd7vy6w
      @user-hj3rd7vy6w 4 місяці тому +55

      @@user-yk5ri4du1g ㅋㅋ 출산률 1도 안되는데 바글바글같은 소리하고있네

    • @sanglee7877
      @sanglee7877 4 місяці тому +14

      인구가 줄어도 그 한해에 20만명씩 태어난 애들이 거의 서울로 상경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지죠
      그리고 서울의 50대 이상 유주택자들은 집에 빚이 많지 않습니다
      오히려 경기 인천에 새로 진입하는 30대들이 빚이 많죠
      빚없으면 그냥 그 집에서 살면 되고요
      주택연금 받아도 됩니다
      즉 오히려 고령층은 집 못팔아서 난리날 일은 없습니다

    • @user-xe7gj4rx2d
      @user-xe7gj4rx2d 4 місяці тому +1

      유럽은 대출 100년 기간짜리도 있음 이게 자본주의임 걱정 ㄴㄴ

    • @user-rg5iv6tw9d
      @user-rg5iv6tw9d 4 місяці тому

      @@user-yk5ri4du1g 지능이 문제 있나 출산율지표가 0.7도 깨졌는데

  • @jermsang17
    @jermsang17 4 місяці тому +102

    쌀값처럼 주택도 전국민이 평생 안정되게 해야하는데 투기대상이 되여버렸다.
    전국민의 복부인화

    • @ddda311
      @ddda311 4 місяці тому +1

      지방은 쌈

    • @mymotherisalien
      @mymotherisalien 4 місяці тому +1

      투기는 무슨 투자지 뭣도 모르고 남들이 얼마나 공부를 해서 얼마나 임장을 다니고 어떤 노력을 해서 샀는지는 보려하지않고 당장 어디 얼마에 사서 얼마에팔았다만 보니까 투기니 적폐니 거리지

    • @sjb6648
      @sjb6648 4 місяці тому +2

      북한 같은 소리 하고 있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pu9rn8pr7u
      @user-pu9rn8pr7u 4 місяці тому +2

      ​​@@ddda311
      지방도 지방 나음이지 비싼대는 강남보다 비싸..

    • @gegegec
      @gegegec 3 місяці тому

      ​@@ddda311서울 기준으로 싸지 예전에 비하면 무시 못하게 많이 올랐음.

  • @cho9924
    @cho9924 4 місяці тому +246

    대통령까지 나서 부동산부양책을 내놓을 정도로 시장이 끝까지 왔다는 이야긴데...
    불길해요. 왕창 폭삭 나락으로 떨어질 듯.

    • @user-kj8cb7rx2c
      @user-kj8cb7rx2c 4 місяці тому

      80년대 서울 초등학교 오전 오후반 한반에 50명이상 반은 18개 90년대 서울 초등학교 한반에 30명이상 반은 12개 현재 한반에 20명될까말까 반은 7개정도 헬조선은 미래는 없다 부동산은 팔고싶어도 못파는 시대가 온다 이민이 답이다

    • @JM-bg1qr
      @JM-bg1qr 4 місяці тому +10

      폭락확률은 0%입니다. 상황을 냉정하게 보세요^^

    • @user-vr9td3lp7v
      @user-vr9td3lp7v 4 місяці тому +38

      ​@@JM-bg1qrㅋㅋㅋㅋ 영끌 눈물나네

    • @JM-bg1qr
      @JM-bg1qr 4 місяці тому +5

      @@user-vr9td3lp7v 무주택자 눈물나네ㅋㅋㅋㅋ 금리는 지금이 피크고, 공급은 여전히 부족해서 전세가가 오르는데 어떻게 폭락함?,

    • @junkikim1153
      @junkikim1153 4 місяці тому +8

      폭락은 쉽지않고.. 다만 영끌러들 집값이 장기간 그대로 있으면 많이 힘들듯..

  • @user-bl7eq8nr2e
    @user-bl7eq8nr2e 4 місяці тому +78

    부동산에 인생걸지마라 인생짧다 평수줄여서 즐겁게살아라 부동산돈이 다시는돌아오지않는다 지금물리면 인생종친다...

    • @goracheka
      @goracheka 4 місяці тому +10

      신축에 대형평수 살아보면 그런 얘기 못한다 그 쾌적성과 주거 삶의 질 상승은 그걸 누려본 사람만 가치를 알기 때문에 계속 신축 수요가 있고 대형 수요가 있는 거임

    • @jangcharov3775
      @jangcharov3775 4 місяці тому +2

      유지관리가 문제죠..

    • @user-always1
      @user-always1 4 місяці тому +8

      @@goracheka 대형 수요 ㅈ도 없는데 대형 수요 타령하네 건설사에서 괜히 줄이는게 아님 지방 구축 대형은 싸기라도 해서 국평이랑 별차이 안나는데 결정적으로 청소,관리하기 힘듬 국평 확장 된것만 해도 충분함

    • @ace2594
      @ace2594 4 місяці тому +2

      @@goracheka이게 맞음 ㅋㅋㅋㅋㅋ

    • @ysh6729
      @ysh6729 4 місяці тому

      빌라 지겨워서 신축 이사간다

  • @user-zw5en9zt6m
    @user-zw5en9zt6m 4 місяці тому +51

    우리나라의 미쳐도 정말 한참 미쳐버린 부동산이 이제까지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상상초월의 대폭락을 맞이하며 대다수 국민들의 소득에 맞게 가격정상화가 되는 것은 이제 필연이 되었고, 또 그렇게 되어야만 애도 많이 태어나고 새로운 산업이 발전해가며 나라가 부강해져 갈 수 있습니다.
    돈만 풀렸다하면 미쳐도 정말 한참 미쳐버린 부동산에 쏠려들어가 부동의 돈이 되어 썪고 있는 어마어마한 돈들이 대폭락으로 모두 풀려나와 새로운 산업쪽으로 흘러들어가게 하여 일자리창출을 많이 시켜야 청년들과 학생들 그리고 태어나는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튼튼한 나라로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소득과의 엄청난 괴리가 만들어내고 있는 매우 심각한 금융불균형과 어마어마한 엄청난 온갖 부채 등은 우리나라 경제를 한 순간에 커다란 위기로 몰아넣는 길로 가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의 평균 월급이 333만원이라고 합니다. 소수의 고소득 월급자를 제하고 평균내면 250만원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어쨌든 333만원중 세금 떼고 애키우며 생활비 쓰며 1년에 저축할 수 있는 돈은 몇백만원도 힘든 실정입니다.
    세계에서 비율적으로 제일 많다는 자영업자들의 소득은 정말로 바닥을 기고 있어, 극소수의 자영업자들을 제하고 저축은 커녕 빚만 안늘어나도 감지덕지일 지경입니다. 아니 문응 닫아야 하는 자영업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나라 대다수 국민들의 냉정한 소득현실입니다. 이미 살 사람들은 영끌까지 해가며 거의 다 샀고, 집을 사야 할 무주택자들 대다수는 상기와 같은 소득 현실이니 가히 얼마만큼 대폭락하여야 할지 가늠이 갈 것입니다. 참고로 일본 부동산 버블이 붕괴할 때, 지역 따라 70%이상에서 90%이상 빠지며 대폭락하였었습니다. 토쿄의 경우 80%이상 빠지며 대폭락하였었습니다. 그래도 일본 안망하고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나라보다 잘 사는 나라입니다.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의 약86%가 근무하고 있다는 중소기업의 상황도 매우 심각하여 절반이상이 영업이익으로 이지도 못내는 좀비기업(한계기업)이라고 합니다.
    박승 전 한은총재, 전 국토부장관은 우리나라 부동산이 20~30년간 하락한다고 하였습니다. 여러가지 상황으로 볼 때 맞는 말씀이라고 봅니다.
    세계적 금리전문가중의 한 사람인 굿하트 런던 정치경제대 명예교수는 고금리시대가 30년간 지속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해 종전과 같은 저금리시대는 아주 아주 오랫동안 오지 않는다는 이야기 입니다.
    따라서 이제까지의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에 관한 통계나 챠트는 모조리 다 쓰레기통에 던져버려야 하는 시대가 이미 열린 것입니다. 언제 되면 오른다 어쩌구저쩌구 하는 소리는 책상머리에서 하는 소리에 불과해지는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서울대를 나와도 취업률 50%도 안되는 시대, SKY를 나와도 연봉 1억이 넘는 직장에 소수만 들어가는 시대에 이렇게 미쳐도 정말 한참 미쳐버린 부동산을 금수저가 아닌 이상 어떻게 살 수 있다고, 폰지사기라고까지 표현된 한국 부동산이 대폭락하며 가격정상화가 안된다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 @smartbee_3498
      @smartbee_3498 4 місяці тому

      응 폭락 없어 돌아가~
      집 안 팔고 살면 그만이야~

    • @user-jx8vy6ck1q
      @user-jx8vy6ck1q 4 місяці тому

      너무 비관적이신듯

    • @user-on6qe4sp8v
      @user-on6qe4sp8v 4 місяці тому +2

      ​@@smartbee_3498꼭 붙들고 있어라
      ㅋㅋㅋ살만하면 반토막난 서울 경매물건이라도 하나 줒어가던지
      네이버 호가가 자기 집값인지 아는거 아녀?고점대비 반토막나도 부자들도 거들떠 안보는데ㅋㅋ
      방송에 나와서 2018년정도면 적정가라니까 희망돋나봐?

    • @smartbee_3498
      @smartbee_3498 4 місяці тому

      @@user-on6qe4sp8v 응 안 팔아줄꺼야
      나중에 팔아달라고 울고 불고 애쓰지나마셔~ㅋ
      2020년 이후 가격 주면 생각해볼께

    • @user-on6qe4sp8v
      @user-on6qe4sp8v 4 місяці тому +2

      @@smartbee_3498 사줄사람 있을때 할소리를 하냐 ㅋㅋ
      어지럽네 꼭 들고가 부자들이 증여하고 연금주택 돌리고 팔고 할때 묵묵히 들고 있어
      푸하하하하하하 달러 배당주 꺼억 잘먹고 있을게

  • @donghyuknoh5687
    @donghyuknoh5687 4 місяці тому +371

    그럴듯하게 말하지만, 워딩을 보면
    "집 사야한다" "집값 올랐다" "집값 오를것이다" "서울집값 적정이다(10억)" "공사비 올랐다"
    투기꾼들과 건설사 대변인

    • @issuebridge
      @issuebridge 4 місяці тому +40

      정답

    • @paullee5632
      @paullee5632 4 місяці тому +30

      ㅋㅋㅋ
      그 느낌을 지울수가 없네요
      예리하신 분

    • @user-vq9lf8lp3w
      @user-vq9lf8lp3w 4 місяці тому +13

      정답

    • @moolnetkim7994
      @moolnetkim7994 4 місяці тому +16

      수도권도 이미 2년 연속 인구가 줄었음. 수도권 사망인구는 계속 늘어나는데 지방출생인구는 줄어드니 결국 수도권으로 올라오는 인구보다 사망인구가 더 많아져서 인구감소로 이어지게 되었음.2천년대 초반 지방 출생인구 20만명 대 초반이었는데, 지금 수도권 사망인구가 20만 명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음.

    • @moolnetkim7994
      @moolnetkim7994 4 місяці тому +11

      지방 출생인구가 20만 명이었다고 해도 그중 20대가 되어 수도권으로 올라오는 인구는 많아야 10-15만 명인데, 이미 수도권 1년 사망자 수가 15만 명을 넘어서버렸음. 그러니 수도권도 인구가 앞으로 줄어들 수 밖에 없음.

  • @Tuna011
    @Tuna011 4 місяці тому +81

    소득보다는 대출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게 부동산 시장의 한계 같아요. 그리고 그건 아마 어떻게 하더라도 크게 바뀔 것 같진 않고요. 그런데 가계대출 문제가 있는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이 정말 수요 공급대로만 움직일지 잘 모르겠습니다. 모른다고 말하는게 맞는 것 같아요.

    • @JM-bg1qr
      @JM-bg1qr 4 місяці тому +3

      가계대출과 gdp의 비율은 조금씩 하락하고 있어요. 가계대출증가폭이 gdp증가폭보다 낮은거죠. 그 상황에서 갑자기 가계대출무서워서 우르르 매물던지는 일은 현실에서 일어나지 않아요. 고로 폭락확률은 0%입니다.

    • @user-vg3jz5ks3m
      @user-vg3jz5ks3m 4 місяці тому +1

      대출은 이미 내리고있지만 현재 매수는 거의 없죠. 대출 하나만 인구수하나만으로는 움직이지 않아요 여러가지가 다 얽혀있어서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한가지이유라면 정책또한 한개밖에 안나오겠죠. 지금 정부는 금리라고생각하고 금리낮은 기금대출을 자꾸 풀고있지만 한계가 있는겁니다.

    • @Tuna011
      @Tuna011 4 місяці тому +7

      간단히 말하면 소득이 높아져서 가격이 높아진게 아니라 빚으로 가격을 올린 버블이고 그 버블이 천천히 꺼지고 있다는 얘기에요. 한국만 그런거 아니고 전세계가 초저금리에서 중금리로 급격히 오르면서 당분간 힘들 것 같습니다. 미국이 경기침체로 들어가서 다시 초저금리로 돌아서지 않는 한은 과거와 같은 상승세는 어려울 거에요.

    • @Tuna011
      @Tuna011 4 місяці тому +4

      @@JM-bg1qr 가계대출이 무서운게 아니라 빚에 대한 이자가 무서워서 빚지고 사려는 사람이 없어진다는 얘기입니다. 사려는 사람들의 경제능력, 소득수준이 지금과 같은 금리 수준에서는 줄어들 수 밖에 없겠죠. 매물은 늘어나는데 거래량이 없는 현상도 현재 가격에서 사줄 능력이 있는 사람이 없다는 것에 있습니다. 은행빚 없이는 말이죠. 그럼 그 가격이 조정을 받는다는 겁니다. 오를 줄만 알고 내릴줄 모르는 시장은 도태되요. 천천히 그 길로 가고 있다는 얘기에요.

    • @JM-bg1qr
      @JM-bg1qr 4 місяці тому

      @@Tuna011 작년에 특례보금자리 기억 안 나나요? 정부가 기회주는 순간 바로 매매수요로 바뀌는 분이 수십만명 있답니다^^

  • @NOSDO
    @NOSDO 4 місяці тому +24

    3:10 진짜 레전드 인터뷰...... 정치하셔도될듯..

  • @user-dz4od6ch7m
    @user-dz4od6ch7m 4 місяці тому +25

    (1)불황을 막기 위해 집 값을 안떨어지게 하면서
    (2)또 결혼과 출산을 위해 집 값을 낮추려는 정책
    가능은 한가..?
    개인적으론 현재 소득에 비해 주택 가격은 거품 그 자체. 체감상 별로 떨어지지도 않았음.. 코로나 이전 가격으로 돌아가야한다고 생각함.
    부동산 가격하락 + 결혼, 출산에 포커스 맞추는게 맞는 듯.

  • @igalluk
    @igalluk 4 місяці тому +10

    무슨 카드깡 같음.
    처음엔 대출로 충분하다가 나중엔 부모님 지원해야 집 구하는게(전세든 구매든) 가능해지고
    어느 순간부터는 부모님 지원으로는 부족해서 장기대출까지 받아야 가능해졌고
    지금은 그것도 간당간당한 상황이고

  • @user-ig3xw9uh5g
    @user-ig3xw9uh5g 4 місяці тому +1

    좋은영상 덕분에 감사합니다.😊

  • @user-xg6et8pd6i
    @user-xg6et8pd6i 4 місяці тому +4

    지방 일자리 인프라 창출하고 지역균형발전해야하는데 쉽지는않지ㅜㅜ그래도 의지가 있으면 ...

  • @witaker85
    @witaker85 4 місяці тому +333

    출산율이 1.4 정도만 되도 교수님 말씀이 맞을거 같습니다.
    근데 0.7을 지나서 0.6으로 가는 시대에서도 이게 유효한지는 중학생들도 알 거 같습니다.

    • @JM-bg1qr
      @JM-bg1qr 4 місяці тому +24

      정반대로 생각하시네요ㅎ 인구가 줄어서->부동산하락이 아닙니다. 부동산시장 불안정->인구감소입니다. 그러면? 사람들이 원하는 주택을 충분히 공급하면 인구수는 알아서 늘어납니다

    • @user-ns7rw2rx1w
      @user-ns7rw2rx1w 4 місяці тому +53

      ⁠​⁠@@JM-bg1qr인구 줄어는 이유는 복합적인죠 부동산 불안정하다고 인구가 줄어드나요? ㅎ 7

    •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4 місяці тому +38

      서울대교수가 댓글러보다 모를까..

    •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4 місяці тому +40

      ​@@JM-bg1qr전국 주택 공급량은 충분하고요 문제는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몰려 있는겁니다 수도권 주택이 부족하니 더 지어서 수도권 집값을 떨어뜨린다?
      그럼 지방인구는 수도권으로 더 몰리고 지방은 계속 소멸되고 수도권은 아무리 공급을 늘려도 집값이 떨어졌다가도 다시 오르고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나라는 망국으로 갈거고요
      그리고 저출산은 부동산 문제다?
      다른나라는 부동산 문제가 해결돼서 출산율이 우리나라보다 높은가요?
      외국도 소득대비 수도권 대도시 집값은 높고 전세도 없어서 비싼 월세를 버티지 못해서 미국 같은 나라는 차에서 지내는 경우도 많고 웬만한 소득수준으로는 우리나라처럼 큰 평수는 꿈도 못꿉니다
      한국의 본질적인 문제는 사람들의 인식이예요 남과 비교질하고 타인의 시선을 너무 신경쓰고 욕심이 끝도 없는게 문제죠 차도 경차면 무시당하고 주차장이 좁아도 큰차 사야 하고 집도 큰평수 그리고 명품소비 세계 1위 해외여행 엄청 나가고..
      남들만큼 산다는 원하는 삶의질은 전세계 1위 수준이니 그거 맞추려니 애를 낳을 여유가 없는겁니다

    • @user-hq9oj2qu3k
      @user-hq9oj2qu3k 4 місяці тому +7

      ​@@user-ub1dx6fp7g 그건 모르지

  • @user-wo2rx7um8k
    @user-wo2rx7um8k 4 місяці тому +15

    소득이오르고있다는건 진짜 희대의개소리다;;
    물가가계속오르고 화폐가치가 하락하고있는데 이게본인이얘기하는 통계의오류아닌가...

  • @user-eg7do9hz5l
    @user-eg7do9hz5l 4 місяці тому +6

    오른만큼씩 거품이 빠지길~~
    서울강남 4억이하로 새아파트30평
    광역시 2억이하로~~
    시.읍내 30평 1억대~
    노후주택 시골마다~~
    3천 만원대로
    공급해야한다~~

  • @happyjgl2126
    @happyjgl2126 4 місяці тому +5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자.
    월급은 그대로다. 집값은 월급대비 2배이상 3배이상 올랐다.= 집을 살수있는 사람이 적어졌다= (수요 감소)
    서울몰빵 이였지만, 서울인접 경기도권 신도시들+인천 신도시들의 인프라가 ,품질이 너무좋아졌고 대폭좋아지고있다=서울의 반값으로도 엄청난 삶의질 상승이 가능해졌다.
    =(서울 수요 감소. 서울인구분산)
    서울 근방 경기도권신도시+인천신도시+충남아산등 ktx , gtx, 광역버스등, 교통이 엄청나게 좋아졌고, 계속 좋아지고있어서, 어디에서건 서울로 빠른 이동이 가능해졌다
    굳이 서울의 몇십년된 구축건물에서 거주할필요가없어졌다. 막지은 신도시들 차타고 한번 가봐라 얼마나 번쩍거리나. =(서울수요감소,서울인구분산)
    4차산업혁명시대에 한국 주력 일자리인 디스플레이,반도체,배터리. 반도체클러스터 라인등 대기업들이 서울 밖 경기권,충청권에(아산,평택,수원,기흥,용인,화성,등등)
    공장을 엄청짓고 투자하고있고 앞으로도 수십조, 수백조원 투자계획이 있다.= 일자리가 엄청나게 발생중=(서울수요감소, 서울인구분산)
    전국적으로 구도심 재개발+신도시건설로 주택,아파트 공급량이 엄청나다. 돈이없어서 지금 미친집값의 집을 사줄사람이 없고, 고금리를 버틸수없어서 경매로 넘어가는 매물이 엄청나다=언론과 정부,정치인들의 공급부족이란 선동은 거짓. 건설재벌과 언론과 정치인은 한패다.
    다시는 안올 저금리였을때는 대출받아도 부담이적었지만 이제는 고금리 =이자상승으로 대출 부담+대출 규제or 묶기= (수요감소)
    젊은세대의 집값폭등 거품으로 인한 연애포기,결혼포기,출산포기= 출산율0.7대 전세계에서 압도적으로 인구소멸중= (수요감소)
    인구는 계속 엄청빠른속도로 줄어들고있고 , 전국적으로
    공급은 아직도 진행중이다=(수요감소+공급증가)
    수요공급의법칙, 자연스러운 시장논리로 인해 수요가 올라가면 집값이 오르고, 수요가 내려가면 집값은 떨어질수밖에 없는게 세상이치인데
    정부가 건설 카르텔과 부동산 투기 카르텔과 손잡고
    대출규제 다풀어줘서 집사라고 각종 대출 엄청해주고 =(수요증가)
    실거주자가 아닌 투기세력들 규제도 다풀어주고 =(수요증가)
    DSR규제 다풀어주고=(수요증가)
    이딴짓만 안하면 자연스럽게 집값은 떨어지게 돼있다.
    이번 윤석열 정부가 자연스럽게 폭락하고 정상화되가던 집값을 ,다시 올리려고 모든 규제 다풀어주고 대출해줘서 다시 폭등해서 회복했지. 무슨 의도였을까?
    누군가가 높은집값에 아직 매도를 못했나보지??? 다른 바보한테 최고점에 매도쳐서 물량넘겨야 하는데 못넘겨서 ?
    한국이 힘든 이유는 너도나도 전국적으로 부동산에 목숨걸고
    풀대출해서 부동산에 몰빵하니까
    시장에 소비되고 순환되고 풀려야할 돈이 전부 부동산으로 가니까
    내수시장이 폭망중인거고 자영업자도 월급쟁이도 그냥 전부 너도나도 힘든거다.
    자칭전문과들과, 유명인들, 뭐영끌오적? 언론이 합심해서 집값폭등 조장하고 사람들 포모증후군 유도해서 대출받아서 집사게끔 유도했지.
    언제 일그만둘줄알고 , 언제 이혼할줄알고 , 언제죽을줄알고 30년 50년대출을 받아?
    월급받아서 대출이자원금으로 절반이상 나가면 그건 문제가 있는거다.
    대한민국 출산율 0.7 인구소멸 , 지방도시 소멸 등 다죽어가고 대한민국 망하고 있다.
    10대 20대들이 꿈포기,연애포기,출산포기,삶포기 .자살생각하는 나라 이게 맞냐? 모든것이 100프로는 없지만, 지금 한국의 문제 터진것들의
    대부분이 결국 집값폭등이 제일 원인이 크다. 매슬로우의 욕구5단계
    이론이 설명하듯, 사람은 의식주가 안정이 되어야 다른 욕구를 찾는다.
    대한민국이 살아나려면 집값이 월급 대비 살수있다는 희망이 생길정도로
    떨어져야 한다.

  • @Domestique-
    @Domestique- 4 місяці тому +16

    공급이 부족하다는말, 전세 물량 없다는말, 다 잣같은 이야기 입니다. 서울 매물만 8만건이고 홍수같이 매물이 쏟아져 나오지만 절대 받아주지 말고 기다리면 아파트 가격은 반드시 떨어집니다.

  • @comebackzip
    @comebackzip 4 місяці тому +42

    인구가 서울로 모이는 이유 중 하나가 일자리가 많기 때문이다. 일자리를 지역으로 분산 시켜서 인구도 분산 시키면 부동산 자동으로 안정화 된다

    • @Ajdnf3626ei4
      @Ajdnf3626ei4 4 місяці тому +7

      일자리의 지방 분산 찬성입니다! 정부도 과거부터 세종, 나주. 원주등 이전노력했고요. 하지만, 서울 인프라, 대학, 병원 등등. 지방과 차이가 넘커서 더이상 지방 가고싶은 MZ이 과연 얼마나 될지,,

    • @user-fg9bl5ne5n
      @user-fg9bl5ne5n 4 місяці тому +4

      우리나라는 자원이 없고 오로지 인력으로 성장한 나라입니다. 따라서 모든 인프라가 하나로 뭉쳐야 최적화된 시너지가 나기 때문에 수도권 과밀은 산업의 생존에서 가장 좋은 선택지였습니다. 따라서 단순 수치만 가지도 다른나라와 비교하기 힘듭니다.
      이러한 점에서 특이점을 넘어 인구소멸이 이루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그냥 받아드리고 로봇과 AI 산업을 더욱 육성하여 부족해지는 생산성을 기술로 극복하는 방향을 설정하는게 맞습니다.

    • @user-bm9oy4gx2l
      @user-bm9oy4gx2l 4 місяці тому +5

      삼성도 수원 평택에서 사람 구하려고 해도 사람들이 안 오려고 해서 더 서울 방향으로 옮기려고 하는데 단순하게 기업을 지역으로 분산시킨다고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닐 겁니다.

    • @handgoldstone
      @handgoldstone 4 місяці тому +1

      ㅋㅋㅋㅋ 기업은 뭐 자선기업이냐 ㅋㅋㅋㅋ 또한 서울 집값 지켜야하는데 지방으로 왜 기업들을 보내 ㅋㅋㅋㅋ 서울 사람들은 뭐 가만있냐 하물며 지방 대학교 옮긴다고해도 지방사람들 시위하고 난리인데 서울사람들은 가만 안있지

    • @dreammania-easy
      @dreammania-easy 4 місяці тому

      그게 쉽지 않으니 문제죠. 일자리들이 지방에 안가려고 하니요.. 사욕보다 나라도 생각하는 기업은 없는걸까요 ㅜㅜ.

  • @littledragon1954
    @littledragon1954 4 місяці тому +13

    책으로만 배웠어요
    교수님등장ㅎㅎ

  • @user-vj8ft4xf5o
    @user-vj8ft4xf5o 4 місяці тому +42

    20년후 아파트 겁나 매물 나옴 인구가 없어.. 출산율.. 최악임

    • @user-nininininonin9
      @user-nininininonin9 4 місяці тому +4

      마용성 강남3구 여의도 목동 노량진 성수동은 인구1000만명되도 걱정없음

    • @jhk1356
      @jhk1356 4 місяці тому +6

      ​@@user-nininininonin9거기있는 기업들이 대부분 망하면 거기도 폭락임
      인구수가 줄거고 그만큼 인재도 줄어들텐데 국내 대기업들이 과거 일본처럼 해외로 빠져나가고 내수 신경 안쓰는 환경이 될수도 있는거임 그럼 국내 아파트 가격은 다 박살나는거고

    • @pk-qz5et
      @pk-qz5et 4 місяці тому +2

      그래서 일본이 버블꺼지고 망했냐고 도쿄 서울은 불패다 인구가 줄어들수록 더욱집중화됨 경기도가 죽어나겠지

    • @sanglee7877
      @sanglee7877 4 місяці тому

      지방이 그런거지 참 고집도 세다

    • @jhk1356
      @jhk1356 4 місяці тому

      @@pk-qz5et 그 전제조건 만족하려면 국내기업이 외국에 나가서도 성공해야하고 해외투자로도 흑자 많이 기록해야함
      일본은 빚이 많지만 그만큼 해외에 자산이 많음
      한국은? 해외투자 잘 못하고있고 내수도 없어서 해외에서 적응할동안 뒷받침해줄수도 없지
      집값 안떨어진다는건 희망사항인거고 집값을 비싸게 받을수 있는건 결국 집주변 인프라와 안정적 수익을 얻을수 있어야 그게 가능한거임
      지방하고 수도권 차이가 임금차이인데 기업망하면 임금을 지금처럼 줄수있다 생각하는게 웃긴거임

  • @user-fs8kg7dx1e
    @user-fs8kg7dx1e 4 місяці тому +4

    팔사람들이 싸게 내놓아야 사는 거지요 단지마다 급매는 진짜 순식간에 저점에 팔리면서 상승가격이 오네요 수도권도 시마다 가격차이가 넘 심하고 집을 소유하고 싶다면 반드시 현장에 부동산을 가보셔서 분위기감지해보시고 결정하세요

  • @dreammania-easy
    @dreammania-easy 4 місяці тому +5

    역시 김경민 교수님... 통찰적이시고.. 연민도 있으시고.. 존경스럽습니다.

  • @user-iy1hl8xs8q
    @user-iy1hl8xs8q 4 місяці тому +12

    난 김경민이 뭘 맞추는거 단 한번도 못봤는데 서울대 교수라는 이유만으로 졸라 잘팔리네?

    • @q1w2e3r45
      @q1w2e3r45 День тому

      박사라는 학위에 서울대 교수라는 권위가 있으니까
      길 지나가는 평범한 회사원 말보단 서울대 교수의 말을 더 믿지

  • @user-ec2gj8zk3k
    @user-ec2gj8zk3k 4 місяці тому +95

    이 분 영상 좀 챙겨보다가 1년 전쯤에 NFT시장 옹호할때부터 신뢰에 금이 감.

    • @ReTony
      @ReTony 4 місяці тому +4

      꿀정보 감사
      덕분에 걸렀습니다

    • @travelingboy_
      @travelingboy_ 4 місяці тому +4

      2찍하고 후회한다는 영상 올린것 보고 황당했었는데, 그 이후로도 뷰가 계속 왔다갔다 ~ 무슨 전문가라고

    • @jhsong9606
      @jhsong9606 4 місяці тому +1

      이분레 대해 나랑 비슷한 생각을 하시는 분이 있내요.

    • @user-tl5qr3fl1q
      @user-tl5qr3fl1q 4 місяці тому +5

      무주택자들은 자기.원하는 얘기 안해주면 싫어하지 ㅋㅋ

    • @gegegec
      @gegegec 3 місяці тому

      감사. 그냥 학벌만 좋은 양반이네.

  • @user-sz3mg9dy1w
    @user-sz3mg9dy1w 4 місяці тому +31

    어제는 티비 나와 집값 올해 오를거라고
    깝치더만 이 양반도 참 .... 채널이 원하는데로
    지껄이는구만.

  • @user-gg2xf4yk6u
    @user-gg2xf4yk6u 4 місяці тому

    잘듣고 갑니다

  • @TV-wv1bt
    @TV-wv1bt 4 місяці тому

    잘보고 갑니다

  • @chanjuicy9292
    @chanjuicy9292 4 місяці тому +11

    얼마전 영상에선 반대의견이시더니 금방 스탠스가 바뀐건가요???

  • @moth96
    @moth96 4 місяці тому +20

    전문가라고 보기엔 아주 중요한 팩트들을 많이 놓치고 있네요. 걍 부동산 건설 쪽에서 돈버는 사람이라 그런 한계를 보이는듯.

  • @dgr625
    @dgr625 4 місяці тому +44

    김경민교수는 경제학 전공도 아니면서 하바드 복덕방학과 나와서 집값변동시 마다 태세전환은 재빠른 사람이네요.

    • @johanneslee7009
      @johanneslee7009 4 місяці тому

      이인간은 박쥐같은 인간이죠
      정말 간사한인간

  • @drPjw
    @drPjw 4 місяці тому +3

    경기도 안양 이런곳도 10억? 많이 사시라~ 투기꾼들이 올려놓은 시세로 어떻게든 팔아먹으려는 인간들 답없다 ㅎㅎ

  • @kshziralristic8049
    @kshziralristic8049 4 місяці тому +4

    집값이 오르면 오르는 대로 대응하면 되고 내리면 내리는 대로 대응하면 됩니다. 실패의 대가는 폭등이는 영끌거지의 대가를 치르는거고 폭락이는 벼락거지의 대가로 치르게 됩니다. 각자도생의 시대에 알아서 대응하면 됩니다.

  • @zini659
    @zini659 4 місяці тому +15

    산이 높으면 골짜기도 깊은 법입니다.
    대출금리로 돌려말하던데 4천만원의 주거비부담시 금리6%인 현상황에서
    적정가는 10억-------->6~7억 30% 빠져야 된다라고 해석하면될듯
    서울재건축재개발은 사업성이 없다. 자산가치 하락한다.
    이걸 최대한 좋게 돌려말하면서 바닥이 생각보다 빠르게 온다고 해석하네요.

  • @karmastar11
    @karmastar11 4 місяці тому +3

    시공비용이 왜 그만큼 올랐는데? 원자재는 아파트비용에서 10% 정도는 될것같냐? 인건비 및 부대비용이 20프로 이상 들어간단말인가?

  • @user-oo9ix9fn1k
    @user-oo9ix9fn1k 4 місяці тому +18

    딱봐도 일본 전철을 밟고 있습니다. 아니, 그보다도 심할테지요. 출산율이 안받쳐주니... 지금은 역사에 남을 고점 같습니다.

  • @user-ok6mg1ou2e
    @user-ok6mg1ou2e 4 місяці тому +4

    연봉 1000만원 오른데 5년걸리고 아파트는 5년동안 5억이 올라버리는 상황이 바뀌지않으면 조건을 아무리 만들어줘도 형평성 논란에 아무정책도 실효성은 없지유.

  • @ScarHornet
    @ScarHornet 4 місяці тому +8

    교수님아 0.6이다 0.6 정신차리랔ㅋㅋㅋ

  • @donggeunagdg7412
    @donggeunagdg7412 4 місяці тому

    아파트 짓는 데에 토지비 7 대 시공비 3이 든다고 할 때 토지 가격이 너무 높다고 하더라고요.
    분양 가격을 아무리 높여도 모두 완판이 되니까 시행사(건설사 포함)들이 너도나도 땅(토지)을 두세 배 높은 가격을 주고 사서 그 위에 아파트들을 올렸는데 그래서 분양 가격이 그렇게 높이 치솟았다고 하더라고요.
    두세 배로 높게 올려 산 땅의 값은 고스란히 분양 가격에 포함됐고요.

  • @bin4nature
    @bin4nature 4 місяці тому +4

    자재값 상승으로 건축비가 40%나 올랐다고 하는 건설사의 주장과 이를 그대로 재확산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솔직히 신뢰가 가지 않습니다. 유튜브에서 집을 지어본 사람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부분 자재값 때문에 돈이 많이 들었다기 보다는 인건비 때문에 돈이 많이 들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주장대로 자재값 문제라면 건설사들이 지속적으로 건설 비용 세부 내역을 공개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다른 산업에서는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비용으로 제품을 납품하고자 뼈를 깎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만족시키지 못하면 시장에서 외면되고 기업은 존속하지 못하게 됩니다. 건축업은 왜 여기에서 예외가 되어야 하는 지 모르겠습니다. 자재값 올랐으니 소비자에게 다 전가시키고 정작 본인들은 아무런 노력도 기울이지 않는다면, 시장경제에서 사라지는 것이 당연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2018년 집값도 그 당시 일반적 수입에 비해 이미 너무 비쌌습니다. 콘크리드 덩어리에 개인의 인생을 전부 바쳐야 한다면, 그 삶이 너무 불쌍하지 않습니까?

  • @twahn7707
    @twahn7707 4 місяці тому +1

    좋은 일자리가 있는 지방 혹은 대도시 번화가 같은 곳들은 집값이 더 올라가고, 아무것도 없는 중소도시나 시골은 인구가 줄면서 집값이 나락으로 가겠지. 당연히 서울이나 주변 접근성 좋은 곳들의 집값은 계속 뛸테고 아무것도 없는 소도시들은 더 말라 갈테지..
    즉, 균형있는 발전과 적정 시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균형 발전과 각 지역별 좋은 일자리 유치가 가장 선결되야 하는 과제가 아닐까? 단순히 바로 보이거나 혹은 앞으로 1~2년의 예상만 볼 게 아니라..

  • @jerrykim2768
    @jerrykim2768 4 місяці тому +2

    한은에서 물가 상승율 감안하여 실질 주택 가격이 2015년 수준으로 하락 해야 한다고 봤다 (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율 을 위해서 )
    즉 2015년 국토부 실거래가 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니까
    2017/2018년 국토부 실거래가를 의미하는 것 일 수도 김경민 교수는 2018/2019년 가격을 언급하고

  • @rayc495
    @rayc495 4 місяці тому +17

    국내 부동산과는 관계없는 스펙과 현직, 하지만 부동산 책 팔이 아마추어~
    정책이니 통계니 주저리 주저리 하지만 부동산 인사이트라 할만한 것은 없음
    양심이란 것이 있으면 반성과 사과부터 해라~~

    • @marbling3
      @marbling3 4 місяці тому +1

      웃긴분이네 ㅋㅋ 그럼 미국서 하버드 경영대학원 나온 MBA 출신들이 한국에서 경영참여하면 사과해야겠네. 미국하고 한국하고 경영환경이 같냐고~

    • @rayc495
      @rayc495 4 місяці тому +4

      @@marbling3 부동산 인사이트를 얘기하는데, 하버드고 MBA가 무슨 상관? 하버드 나와서 서울대 교수하면 엉터리 뷰를 내도 이해해야 하는 것?

    • @marbling3
      @marbling3 4 місяці тому +1

      @@rayc495 엉터리 ㅋㅋ

  • @JoGyeongmo
    @JoGyeongmo 4 місяці тому +23

    교수님 거의 맞긴 한데 강북 평균 소득 1억이 실수령이 아니잖아요. 세금 제외하고 1억 벌려면 외벌이는 1.5억이고 맞벌이는 부모가 각각 6500만원씩 벌어야죠. 양쪽 다 6500만원 버는 사람이 강북에 많을까요?ㅋ

    • @user-kf6ww2nq7d
      @user-kf6ww2nq7d 4 місяці тому +3

      김교수님은 대다수 국민들의 소득수준을 잘 모르시는 듯....

  • @user-mz8di2km8d
    @user-mz8di2km8d 4 місяці тому +8

    경기도 권에 서울살고 싶은 사람 넘쳐나... 비싸서 외곽가서 사는거지 ㅡㅡ

  • @sophie6336
    @sophie6336 4 місяці тому +13

    제발 지방을 발전시켜서 수도권 인구를 좀 분산시켜주시고 지방도 좀 살려주세요.

  • @wangwang142
    @wangwang142 4 місяці тому +1

    지방에는 청약의 의미가 없어질듯
    요즈 할인분양 하는 아파트도 점점 늘어날거라던데

  • @landgold9799
    @landgold9799 4 місяці тому +2

    우리나라 출산율 0.7명 이런거 관심 없고 오로지 자기 아파트 가격, 내가 투자할려는 아파트 가격 만 생각중이다.
    출산율 0.7명은 100명이 70명 되는게 아니고, 남 100 여 100 명이 남자 35 여자 35 로 한세대 (30년)만에 에 바뀐다라는 거다.
    한세대 더 내려 가면 남 35명 여 35명이 남 12명 여자 12명이 되는거다.......................... 60년만에 200명이 24명이 되는거다.

  • @user-lb7vf1ln6r
    @user-lb7vf1ln6r 14 днів тому +1

    인구가 줄어드는걸 어쩔수 없으니 서울이라도 사수하자는 인간들이 있던데...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든다 이나라는 진정 답이 없다

  • @Becoming-Rich-by-Auction-TV
    @Becoming-Rich-by-Auction-TV 4 місяці тому

    고금리 상황이라서 수요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러면 현재보다는 약간 더 내려갈 수 있습니다
    아파트 매매가는 내려가지만 전세가는 올라갈 확률이 큽니다
    그러면은 매매가와 전세가가 차이가 점점 가까워오는시점에 매매가가 다시 서서히 올라 갈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세가 상승률을 관찰한 후에 매매전략을 잘 짜서매매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4 місяці тому +2

    일단 우리나라는 잉여소득에 대한 투자처가 마땅치 않음 . 미국처럼 주식시장이 투명하냐 하면 그것도 아니고.. 결국 돌고돌아 부동산임. 그게 아파트가 아닐지언정 토지로 흘러가는거지..

  • @davidmin7496
    @davidmin7496 2 місяці тому +2

    가격이 안떨어진다는 가정이면 계속 서울인구는 줄어들거임 하지만 진짜 폭락오면 올사람 많음 비싸서 경기도권으로 이주를 한거지

  • @birdkay3701
    @birdkay3701 4 місяці тому +2

    10년간 천천히 빠진다면 자금 서울 가격에 사도 나쁘지 않아 맘에 드는 집 사는게 어렵다

  • @eenz5051
    @eenz5051 4 місяці тому +3

    인구절벽임에도 아파트를 향한 짝사랑 욕망의 끝은 어떻게 갈건지 답은 알고 있지 않나요

  • @user-ow2xx2lt9i
    @user-ow2xx2lt9i 2 місяці тому +1

    서울의 인구는 줄고 있지만 서울을 빠져나간 사람들이 집에선 잠만 자고 직장은 계속 서울에서 다니고 서울에서 소비를 하고 있거든! 그리고 젊은시절 취업을 위해 무작정 서울로 상경해서 살다가 결혼을 하면서 또는 자취로 살면서 서울의 전월세 가격이 김당이 안돼서 경기도로 빠져나갔던 청년들이 중년의 나이가 되면서 경제력을 키운 사람들이 다시 서울로 유입되는 경우도 많거든 그래서 서울은 잠재적 수요와 풍부한 일자리 그리고 인프라 때문에라도 인구 감소가 뚜렸히 나타남에도 집값이 계속 상승하는거임.

  • @xXxileonsXx
    @xXxileonsXx 4 місяці тому +5

    부산 이모님도 저리 잘 알고 계시는걸 왜 똑똑한 정책입안자들은 모르나요

    • @grang6472
      @grang6472 Місяць тому

      어...그거슨 한마디로 ㄷㅅㄷ 이기 때문입니다 네~

  • @yunok3261
    @yunok3261 4 місяці тому +2

    평당 3~4천짜리 땅을 PF시행자들의 농간으로 평당 1억원에 올려놓으니 재개발 재건축 아파트지을만한 땅주인들이 죄다 1억이상 가치를본다
    비싼땅값 PF대출로 사업하는건설사들은 구제하면안됩니다 몇백억 몇천억 벌때는 다내돈이고 잘안되면 구제해달라하는것들 싹을잘라내야함

  • @user-yi9wx2wb1t
    @user-yi9wx2wb1t 4 місяці тому +3

    인구가줄면당연히집값하락으로이어집니디,자꾸이상한마로교란시키면아니되옵니다

  •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4 місяці тому +3

    매물로 내놓는 사람들은 오래전에 산 사람들일듯. 자기가 산 가격보다 충분히 많이 올랐고 더 오르지는 않을것의 예상 됨으로 차익 실현을 위해 매물로 내놓는게 아닐까요,

  • @junfilyun2195
    @junfilyun2195 4 місяці тому +3

    ㅋㅋ ᆢ지금의 부동산 가격은 완전 버블입니다. 지금의 절반이 정상입니다.
    이미 수백 % 폭등한 다음에 소득에 비례해서 부동산이 올랐으면 그게 정상입니까?
    지금 잘못되면 금융권까지 부실로 이어질까 걱정되는 상황입니다.

  • @user-rw2xd9wk4q
    @user-rw2xd9wk4q 4 місяці тому +9

    18년이 아니고 15년 이하가 맞는거지!

  • @SAVI-vw7qh
    @SAVI-vw7qh 4 місяці тому +2

    건설사가 대주주로 있는 SBS인데 아무리 이름난 전문가 모시고 서민같은 관객 앉혀놓고 썰 풀어도 신뢰가 가지않음

  • @user-gg2xf4yk6u
    @user-gg2xf4yk6u 4 місяці тому

    잘듣었읍니다

  • @paulkim427
    @paulkim427 4 місяці тому +3

    서울에 부동산을 가진 사람들의 이기심으로 서울과밀은 극심해지고, 지방은 소멸되고, 과밀서울에 사는 청년들은 출산을 기피하고, 결국 대한민국 소멸로 이어지는 중…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건설시행사들은 땅만 있으면 공구리칠 생각만 하고 있음

  • @user-lu7qu1dm1l
    @user-lu7qu1dm1l 25 днів тому +1

    김경민 교수님은 언제나 신뢰가 갑니다.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4 місяці тому +3

    부동산이 월급을 이기니까
    당연히 소유는 해야한다

  • @damon1618
    @damon1618 4 місяці тому +2

    아니 수요가 있어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없으면 내려가는 것 아닌가? 왜 난리지.. 떨어지면 떨어지는 거지..올라갈땐 이렇게 걱정안하던데..ㅅㅂ

  • @Tony-vl1tv
    @Tony-vl1tv 4 місяці тому

    근로소득자의 소득은 오르겠지만, 노령화가 진행하면서 은퇴자 수는 엄청나게 늘 수 밖에 없음.
    내수 경기 위축되고 있어 은퇴자들이 생활비를 알바나 창업을 통해서 얻기가 어려워지고 있어서,
    자산의 80프로인 부동산을 다운사이징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
    근로소득자의 소득이 오른다고 부동산이 오른다는 단순한 계산을 하면 안됨.
    20대 이상 모든 연령대의 가처분 소득 상태를 확인해야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음.

  •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 4 місяці тому +2

    서울의 인구가 줄어드는 이유는 서울의 집 가격이 너무 고점으로 많이 올라갔다 라는 거죠 그래서 서울에서 살기 어려워지니깐 다른 도시로 떠나게 되는 거죠
    이런 걸 봐도 알 수 있듯이 지금 우리나라의 부동산 가격은 고점인 상태에서 거래가 되고 있다 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부동산 투자로 부자 된다? 지금은 어렵지 않을까요

  • @PostNemo
    @PostNemo 4 місяці тому +1

    애초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30년마다 짓고 부수기를 반복하겠다는걸 부끄러움이 아니라 출정식하듯 당당히 선전포고하는곳은 사회적 자본과 환경, 미래세대까지 다 파괴하겠다는 뜻인데 부동산만 폭등시켜주면 띵하오~하는 사람들이 유권자 최대세력이니 누굴 원망하랴??

  • @user-kl5xh9jp2b
    @user-kl5xh9jp2b 4 місяці тому +1

    지방 아파트 가격은 폭락하고 서울 아파트가격은 계속 폭등할거다. 저출산 저출산거리지만 서울은 부진은 있어도 몰락은 없을거다. 저출산 문제는 집값이 아니라 서울에 대한민국 모든게 몰려 있기때문에 발생하는거임. 암만 수도권에 아파트 짓고 지하철 지어봐라 가격이 잡히겠냐? 이때까지 그 수많은 지하철, 철도,신도시를 지어왔는데 가격이 잡혔냐고.

  • @acsoms6900
    @acsoms6900 4 місяці тому +3

    이분 집값 오른다고 하시던분 아니었나요?

  • @user-pz3zx4sl1k
    @user-pz3zx4sl1k 4 місяці тому +1

    집값이 인간적으로 너무하잖아 그깟 콘크리트 아파트를 10억이상 하는게 말이되냐? 몇십억씩 하는게 도통 이해안가네 도둑놈들 지금의 5~60대들이 망쳤지 투기꾼들이 죄다 이 나이때더라

  • @bellakim4949
    @bellakim4949 4 місяці тому +4

    서울만 살아남음. 나머진 점점줄어듬

  • @polson-ci1vp
    @polson-ci1vp 4 місяці тому +2

    오늘 교수님 강의내용을 듣다보니❤,
    지금 부동산 가격은 정책완화나 이자율 하락만으로 해결될 문제라기보다 적정공급가격이나 감당할 수 있는 가격으로의 소득향상인것 같습니다.

  • @user-zp9fm8yp8u
    @user-zp9fm8yp8u 4 місяці тому +7

    월세가 계속 오르는 중임. 임대사업자는 1년에 5%만 올릴 수 있으니 월세가 내릴 생각을 아예 안함. 월세가 점점 비싸지니 돈을 모아야 할 청년들은 부모님 집에서 나가는게 부담스러워지고 나가면 돈을 못 모으고 악순환임. 이걸 알면서 방치하는건지 몰라서 냅두는건지 이거 법안 만든 새끼들은 벌 받았으면 좋겠다.

  • @user-always1
    @user-always1 4 місяці тому +1

    사람들이 서울 살고 싶어 한다고 하지만 전제조건이 붙지 않을까요 적정하냐, 싸냐, 이 가격이면 살만하냐, 20~30년 지나도 자산의 가치가 변함 없을것이고 수요가 계속 존재 할것이냐 모두를 고려 해봤을때는 아니라는거죠 장담하는데 앞으로 주식 하는사람은 지금보다 두배는 많아져도 부동산은 투자자들 오히려 줄어들겁니다.한마디로 먹을게 있어야 뭐가 꼬이죠 재테크의 인식도 바껴가면서 현금이라는 자산을 앉아서 깔고 자는데 7~8억이라는 사람들이 안쓸거 같고 존리나,미국 마인드로 점점 바껴갈거 같고 모두가 적정가 라는걸 생각 하기 때문에 그 적정가격 올때까지 안살거라는거죠 굳이 리스크헷지 된다는 보장도 없는데 감수 할 필요도 없는것이고 옛날에는 영화관이 번화가에만 있었는데 그 영화관 동네마다 생기니 번화가 영화관은 손님이 크게 줄어드는거랑 비슷하다고 봅니다 마지막까지 다보고 결정 했습니다. 부동산은 소액만 하기로, 부동산은 아무리봐도 위험 자산인데 왜 안전 자산이라고 하는거지 이해를 못했는데 교수님도 똑같이 보네요 서울에 집을 8억에 샀다면 20~30년뒤에는 12~13억에는 팔아야 모든 비용 다 빼고 약간이라도 이익일텐데 절대 안팔리죠

  • @gout0568
    @gout0568 4 місяці тому +1

    맞는말하는 사람인줄 알았는데 이익관계에 있는 분임. 그좋은 스펙으로 물량이 줄면 집값이 오른다는 건설사 입장을 대변하지 마세요.

  • @choihanseung2331
    @choihanseung2331 4 місяці тому

    빌라 지겨워 새집 들어가려는데 언제 내릴건지 빠지는건 외각일뿐

  • @Itsgood-gs8ky
    @Itsgood-gs8ky 4 місяці тому +2

    이렇게 집값이 내려갈땐 집을 안사고 이제 슬슬 올라가면 집을 살거임 ㅠ

  • @user-iq1jk1th4h
    @user-iq1jk1th4h 4 місяці тому +4

    니들 받고싶은가격 1조씩 해 그냥 어차피 안사고 못사니까 살 마음도 없다 그득권들 니들이 지금 무슨짓을하는지 봐바라

  • @soojin5444
    @soojin5444 4 місяці тому +3

    인구가 아직 많이 안줄었지 옛날은 인구가 받쳐줄때고

  • @frexhd
    @frexhd 4 місяці тому +2

    네 태영방송 입장 잘들었습니다

  • @user-krtpp
    @user-krtpp 4 місяці тому +2

    현실은 여기 집도없이 힘들게사는 사람들과 달리 돈많은 부자들이 서울엔 엄청많다 연봉 1억이상은 부지기수라서 월세 4~500만원 지출하는건 상식수준이다 제발 여기 자산10억도 없으면서 자신의 암울한 처지를 기준으로 삼고 얘길말아라

  • @yaguda1
    @yaguda1 4 місяці тому

    현재 초등학교 한반에 한급이 10년후엔 지금에 반으로 준다고 합니다. 기십년후엔 지금의 예상을 상상을 초월하는 인구 감소나 나타날거구 수십층 아파트가 슬럼화는 확실히 올겁니다. 슬럼화가 되면은 재건축도 힘들어요..

  • @user-qd5du6um8b
    @user-qd5du6um8b 4 місяці тому +2

    거품이. 잔뜩 끼인 아파트
    누가사요
    경제는 디플레이션 이고
    돈이없고 소득이 줄었고 인구감소는 날마다 일어나고
    지금 집사는 사람이. 바보예요

    • @user-ln4od9ev8g
      @user-ln4od9ev8g 4 місяці тому +1

      소득은 늘었습니다. 24년 올해부터 공무원들도 전부 세금들여서 월급인상해주기로 했고 최저임금상승으로 인해 모든 근로자들은 임금이 상승했습니다. 물론 자영업자들은 소득이 늘어난사람 줄어든사람 나뉘겠지만. 우리나라 70퍼센트가 전부 월급받는 근로자이기에 과반수이상이 소득은 증가한 것이 팩트입니다.

    • @user-mk1vo5ub8y
      @user-mk1vo5ub8y 4 місяці тому

      @@user-ln4od9ev8g 물가오른거만큼 인상함?

  • @user-rv6wr2tn1q
    @user-rv6wr2tn1q 4 місяці тому +1

    대출대출 ...징글징글..

  • @linusbox2
    @linusbox2 4 місяці тому +1

    금리가 내릴때 경제적으로 아무런 문제거 없을때 내릴거란 생각을 하지? 금리를 내린다는건 경제가 폭망해서 어쩔수 없을 때인데…

  • @ytmmv4
    @ytmmv4 4 місяці тому +1

    멀게 보면, 서울인구는 10년만 있으면, 750만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임.
    경기도 인구가 지금 1350만으로 늘었음. 수도권중 경기도가 대세가 될 것임.
    10년후 경기인구 1600만이 될것임. 경기부동산 서서히 상승하는 것임. 예를 들어 경기도는 10년만에 오르던이 지금 꾸준히 오는 걸로 보임.

  • @junghyunnam7481
    @junghyunnam7481 4 місяці тому

    전체적으로 인구가 줄어드는데 일부는 인구가 늘거나 정체라는건 더이상 안 통할 얘기 - 앞으로는 인구 감소가 너무 급격해서 수도권 전체 포함 전국이 다 인구가 줄어들것임. 그러므로, 지금까지 서울은 인구가 줄었는데도 아파트 값이 올랐다는 말은 더이상 안 통할 듯.

  • @user-zt6le3ke3b
    @user-zt6le3ke3b 4 місяці тому +2

    매물 쌓이고
    미분양 속출하고 전문가들 집값 떨어진다고 거품물고
    발광 할때
    부터가 집사는티이밍 !!!!!

    • @user-kf6ww2nq7d
      @user-kf6ww2nq7d 4 місяці тому

      다시 상승할만큼 가격과 기간이 조정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 @junny1437
    @junny1437 4 місяці тому

    지금 가격 문제보다 심각한게 나라 안보인듯 저출산이 분단국가에 정말 치명적..

  • @owllshen88sn3sasdfEGFrgw
    @owllshen88sn3sasdfEGFrgw 4 місяці тому +2

    인간의 욕망을 무시하는데..... 비싸서 못 짓고 안 짓는다? 그래서 집값이 내려간다? ㅎㅎㅎㅎ

  • @user-tv3qz9il3x
    @user-tv3qz9il3x 4 місяці тому +1

    1가구 ㅣ주택 가진 사람들이 집값이 오르면 좋은가요?
    이사해서 남은 돈을 다른곳에
    사용하는게 아니면 세금만 더 내는 것 아닌가요?
    전 어쨌든 주거는 계속해야 하는데 내집이 오르면 다른집도 오를텐데 그 오른 가격에 사면 양도세 취득세 내면 오른가격이 좋을까요?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다주택자만 좋은거지 젊은이들과 일주택자는 좋은게 하나도 없는 것 같아요
    월급이 몇십프로씩 오르는게 아닌데 주거비용만 오르면 말도 안되는거지요

  • @wgk8969
    @wgk8969 4 місяці тому +4

    출연자 분께서 폭락한 연애/결혼률과 출산율 0.6의 심각성을 잘 모르시는 듯 싶습니다~ 최근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보다 많아졌구요~ 50~70대 이상이 우리나라 인구비율 과반 넘었습니다. 죽을 때 부동산 끌어안고 죽나요? 이제 부동산으로 투기하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부동산 투기론자의 말은 곧이곧대로 믿지 마시고 항상 팩트체크가 필요합니다...

  • @whyranooooo
    @whyranooooo 4 місяці тому +6

    집이 많아서 빌라들 다 밀어버리고 아파트 짓게되어도 사업성이 없음. 수요자가 인구가 감소하고 65세 노인인구 내년이면 1천만명임. 이들이 넓은집 국민평형 살겠나? 소형평형 살고 금융자산으로 생계 이어가거나 주택연금으로 가겠지 결국 집 공급은 늘어나는데 수요자가 절망적임. 외국인이와도 답 없음...5천만에서 4500만으로 줄어도 일단 폭락하고 실수요자들한테 매력적인 가격 온다고해서 매물들이 매칭되어도 4천만으로 인구 또 감소한다면 그것 조차 바닥이 아닌 더 떨어지는 상황이 와서 곡소리 많이 날 것임. 집 매매 보단 전세로 퇴보해서 아마 빌라왕 5차 6차 7차도 많이 나올 듯

  • @user-te8gy1mt8w
    @user-te8gy1mt8w 4 місяці тому

    부동산 문제는 매우 심플한데 대한민국 기득권이 근간이 부동산이라서 언론 정부 기업들이 어지럽게 만듬 결국 인구절벽 지방소멸 등으로 부동산은 이미 미래가 없음

  • @user-rn4et7ve3w
    @user-rn4et7ve3w 2 місяці тому

    위험자산이지. 확실한 현재 가격을 알 수가 없는.. 주식 호가창도 거래량이 높을수록 가격 신뢰도가 높아지는건데, 부동산은 뭐 거래량도 뜨문뜨문이고 실거래가 조작해도 그다지 큰 처벌도 없으니 일반인 입장에서 신뢰할만한 지표를 찾을 수가 없는 거. 그래서 부추기는 언론에 고점에 물리는 일반인이 많은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