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로 듣는 중앙아시아 옛 고려인의 삶 Ep.2 [문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고려말 듣기 1편]
    • '고려말'로 듣는 소련시절 고려인 강제이...
    [고려말 듣기 2편]
    • '고려말'로 듣는 중앙아시아 옛 고려인의...
    [고려말 듣기 3편]
    • '고려말'로 듣는 카자흐스탄 옛 고려인들...
    이 영상은 1993년 제작된 다큐멘터리를 재구성한 영상입니다.
    고려말을 하는 러시아 할머니를 통해 1900년대 초반에 쓰이던 옛말을 들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인 강제이주 이야기도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고려인#고려말
    *옛날 영상이라 화질, 음질이 다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양해 바랍니다.
    *저작권자의 사전 허락을 받았음.
    *자막도움 : 임병준님
    Герман Ким : • Коре сарам. Kore Saram...
    Al-Farabi Kazakh National University에서 근무 중
    다큐멘터리 'КОРЕ САРАМ'
    1993년, Directed by Lawrence Son.

КОМЕНТАРІ • 948

  • @션월드지식공간
    @션월드지식공간  4 роки тому +175

    [고려말 듣기 1편 보러가기]
    ua-cam.com/video/Jna1ceIw5ps/v-deo.html
    [고려말 듣기 3편 보러가기]
    ua-cam.com/video/v6Hcw_jceAc/v-deo.html

    • @이스터12
      @이스터12 4 роки тому +1

      이 자막 유튜브 댓글에서 가져오셨나요

    • @션월드지식공간
      @션월드지식공간  4 роки тому +1

      @@이스터12 안녕하세요
      David 님께 자막 도움 요청 하여 사용하였습니다.

    • @SSUPKOREA
      @SSUPKOREA 4 роки тому +2

      현재 중앙아시에 위치한 키르기즈스탄에서 한국어를 교육하는 교사입니다. 고려인분들과 가깝게 생활하는 사람 입장에선 반가운 영상이네요. 참 아쉬운게 이미 오래전에 올라온 영상을 다시 올리신 것 같네요. 물론 쉽지 않지만 여력이 되신다면 한번 직접 방문하셔서 인터뷰를 해보시는 것도 좋을텐데요...

    • @Jack-pr8im
      @Jack-pr8im 4 роки тому

      연변말이네요..
      예 길→질 재빌→자신
      1937년전 간도 연해주는 거의 자유왕래엿대요..저의 친척이가 그쪽에 갓다가 돌아오지 못햇다는데..

    • @AMONA2020
      @AMONA2020 4 роки тому

      소소소?

  • @구팔팔
    @구팔팔 4 роки тому +813

    이역만리 먼곳에서 쓰는 고려말이 이렇게 정겹다 느껴지는데 고려할머니는 고려 말하는 저 할머니 말에 얼마나 그리움을 느꼈을까? 자꾸말을 시켜 다는데

    • @bambara72
      @bambara72 4 роки тому +9

      @끼오끼오 미통당 개털렸고

    • @LoveLove-ru2nc
      @LoveLove-ru2nc 4 роки тому +5

      끼오끼오 미통당 개발림 ㅅㄱ

    • @이정우-y8b8g
      @이정우-y8b8g 4 роки тому +3

      @끼오끼오 깨진건 니 대가리 아닌지ㅎ

    • @성성성-i1r
      @성성성-i1r 4 роки тому

      뭔일인데 ㄷㄷ

    • @앙오태띠
      @앙오태띠 4 роки тому +1

      @끼오끼오 뭔 국뽕

  • @studio_pirates
    @studio_pirates 4 роки тому +87

    오히려 슬라브 러시아 사람이 이방인이었던 고려인들의 말을 배웠다는게 아이러니하면서도 신기하네요 ㅎㅎ 좋은 자료입니다

    • @李军-e8x
      @李军-e8x 2 роки тому

      연변말투랑 똑같네요 ㅋㅋㅋ

    • @Yoon-h8b
      @Yoon-h8b Рік тому +3

      @@李军-e8x정확히는 북쪽의 함경도 방언이지요 중국에있는 연변동포들도 함경도에서 건너오신분들이 많으시니 다 같은방언을 구사하시는거같습니다ㅎㅎ 중국 랴오닝성이나 헤이룽쟝성에 동포들은 경기도말과 비슷한 말을 구사합니다 실제로 들어보면 우리나라표준어 억양이랑 별차이 없어요ㅎㅎ

    • @야옹-i7c
      @야옹-i7c Рік тому

      어 뭐야 형이 왜 여기 있어요

    • @B82JJ
      @B82JJ Рік тому

      선장님..?

  • @juljeo5606
    @juljeo5606 4 роки тому +1180

    블랙팬서에 나오는 이상한 부산할머니 보다 이분이 한국말같이 더 잘하시네

    • @김호진-o4h
      @김호진-o4h 4 роки тому +12

      ㅋㅋㅋ

    • @namrnam5413
      @namrnam5413 4 роки тому +110

      싸고치기조아하느아두리라구우?
      너갗찌이?

    • @shyboy.tobiii
      @shyboy.tobiii 4 роки тому +1

      남알남NamRNam ㅋㅋㅋㅋㅋㅋㅋㅋㅆㅂ

    • @User-mt3rv
      @User-mt3rv 4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Whitehands00
      @Whitehands00 4 роки тому +2

      이상한 할머니 ㅋㅋㅋㅋㅋㅋㅋ

  • @전익주-o2t
    @전익주-o2t 4 роки тому +393

    아무리 오래 함께해도, 노력하지 않으면 언어가 쉽게 늘지않을텐데, 대단히 유창하시네요

  • @유서향-i2x
    @유서향-i2x 4 роки тому +119

    눈물이 나네요.
    그예날 이역만리 정처없이 쫒겨가는 고려인들이 얼마나 힘들었을까요!
    홍범도장군께서도 우즈벡까지 쫓겨가고 극장 지기로 돌아가셨다더군요.
    정말 오래된 옛 언어입니다.
    북한 말씨와 흡사한 이 언어를 책으로 라도 적어서 남겨야 하지 않을까요?
    어르신 건강하세요.
    고려인할머니의 말벗이 되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에러리언-h7o
      @에러리언-h7o 4 роки тому +2

      홍범도 장군님께서 극장지기로 돌아가시긴 하셧지만 구소련에서 날으는 홍범도 장군이라는 가극을 만들었을정도니 생각만큼 홀대받지는 않았던듯 합니다

    • @유서향-i2x
      @유서향-i2x 4 роки тому +2

      고맙습니다.
      좋은 뉴스로군요.

  • @na_sun_jae
    @na_sun_jae 4 роки тому +35

    귀한 영상 올려주셔서 정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평소 관심이 많았던 영상이었는데 이렇게 자막과 함께 보니 또 새롭고 신선하게 다가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jipark_2373
    @jipark_2373 4 роки тому +38

    말씨가 경상북도 시골 할머니들 말씨와 같다... 돌아가신 나의 할머니 말씨와 거의 같다... 억양과 발음, 사투리...

    • @김남희-k7l
      @김남희-k7l 4 роки тому

      ㅇㅈ 능금부터 한데 숨구고 등등 할머니랑 통화하는느낌

    • @박순행
      @박순행 2 роки тому +1

      함경도방언 베이스라 경상도방언하고도 좀 비슷한 부분이 있음

  • @togetherbrown4969
    @togetherbrown4969 4 роки тому +97

    상당히 희귀하면서 소중한 영상물입니다. 감사합니다.

  • @SSUPKOREA
    @SSUPKOREA 4 роки тому +445

    현재 키르기즈스탄 세종학당에서 2년째 일하고 있는 한국어 교사입니다.
    실제로 옛날 고려인에 대한 다큐멘터리에 출연하셨던 할머니와 만나뵐 기회가 생겨서 이야기를 나눴는데 정말 러시아어랑 이북 말씨를 섞어서 사용하시더라고요. 그런데 신기한 것은 무슨 말인지 대부분 이해할 수 있겠더라고요. 아쉬운것은 현재 그 다음세대부터는 대부분 고려말을 모를 뿐더러 한국어도 모릅니다.
    다만 제 직장에서 근무하는 고려인 동료들과 한국인들과 일하는 몇몇 고려인을 제외하면 별로 한국어나 고려말을 할 줄 아는 사람들이 없어요.
    확실히 국력이 중요하다고 느껴진 것 중 하나는 한국의 경제력이 높아지다 보니 많은 고려인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교육원, 세종학당에서 공부를 하고 각 대학에도 한국어과가 개설이 되어 공부를 많이 하고 한국으로 유학을 가려고 하더라고요.
    물론 경제력과 상관없이 자신들의 뿌리를 잊지 않기 위해 부모님과 조부모님들로부터 교육을 받아온 고려인 학생들도 있고요.
    실제로 중앙아시아에 거주하는 고려인들 중 그 나라의 역사에 대해 공부를 할 때 잘 와닿지가 않고 자신의 역사가 아니다 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많더라고요.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가르치고 전파하는 역할을 하는 입장에서 고려인들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뿐 만 아니라 역사도 가르칠 수 있는 기회도 만들어 보고 싶네요 ㅎㅎ

    • @delphox_
      @delphox_ 4 роки тому +12

      Asian Family 올려드리자

    • @architheia9443
      @architheia9443 4 роки тому +14

      멀리서나마 응원하겠습니다.

    • @SSUPKOREA
      @SSUPKOREA 4 роки тому +31

      @@architheia9443 현재 지금 이순간에도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꿋꿋하게 남아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가르치고 알리기 위해 노력하시는 해외 파견 교원들이 많이 있습니다. 저희는 항상 한국인이라는 자부심과 한국을 대표하는 얼굴이라 생각하며 좋은 이미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저희 세종학당과 코이카, 교육원 등등 해외로 파견나가서 고생하시는 모든 분들 힘내시기를 바랍니다~~

    • @지두우
      @지두우 4 роки тому +9

      존경합니다. 응원합니다.

    • @SSUPKOREA
      @SSUPKOREA 4 роки тому +6

      @@지두우 한국이 세계의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시는 한국에 계신 모든 분들께 존경의 말씀을 드립니다.

  • @바스테트-w3d
    @바스테트-w3d 4 роки тому +94

    시골 가면 흔히 어르신들 말씀하시는 억양과 어휘네요.
    낯설지 않고 친숙하네요. ㅎ
    감자도 숨구고
    배추도 숨구고ᆢㅎㅎ

  • @dsp6089
    @dsp6089 4 роки тому +7

    처음엔 고려인과 러시아 혼혈 할머니인 줄. 민족의 아픔을 보는 것 같아 눈물이 나려하네요.

  • @johnpark7274
    @johnpark7274 4 роки тому +2

    왜 눈물이 나냐? 그 먼곳에 강제 이주되서 살았던 그 가족들이 얼마나 많은 고생을 했을 까 생각하니 눈물이 난다. 한 가족 달랑 떨어져 러시아 사람들과 섞여 살면서 얼마나 고향을 그리워 했을까? 저 할머니도 참 대단하시다. 마치 우리 장모님 말씀하는 것 같은 톤에 억양 그래도 90%는 알았듣는 다는게 너무 반갑다.

  • @sjeoendiowksbsjsel
    @sjeoendiowksbsjsel 4 роки тому +336

    러시아의 고려인들은 중국의 조선족들 같은 한국에 대한 증오심, 적개심, 원한이나 저주 따위가 없어서 정이 가고 좋더라구요.
    재작년 러시아 월드컵때도 고려인분들이 우리나라 응원단을 위해서 자원봉사로 가이드 해주시는 것 보고 감동했습니다. 할아버지 나라를 어떻게 모른 척 할수가 있냐더군요.

    • @user-xj3oi6lm4o
      @user-xj3oi6lm4o 4 роки тому +12

      ㅋㅋㅋㅋ 근데 진짜 정겹긴 함 위화감이 1도 안느껴짐

    • @guillonpark4733
      @guillonpark4733 4 роки тому +27

      중국놈들 전략은 항상 이이제이입니다 잊지맙시다.

    • @도요다다이쥬-x9h
      @도요다다이쥬-x9h 4 роки тому +5

      고려인의 진짜 역사 - 일제시대 자유시참변에 배신으로 만주지역에서 독립군 씨를 말린사람들 후손, 스탈린 강제이주에 저항한적없고 오히려 정치적 이념적으론 찬동하는 입장이었으며 실제 625아 기아등등을 겪은 당시 한국인들 사정보다 훨씬 좋았음. 북한 공산당, 북한군 설립에 최고기여함. 625때 최초로 남한을 공격하는데 앞장선게 고려인들, 이들이 일으킨 625로 인해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 수십만 수백만명이 죽었음.
      현재 광주엔 고려인마을까지만들어줌.엄청나게 세금을 넣고있으며 3세 4세 심지어 5세까지 재외동포 특별법으로 (거의)한국국적을 부여함. 한국발전에 기여는 거녕 여태 해만끼친자들의 후손이 100년전 같은 조선인이었다라는 이유로 온갖 세금지원과 건보혜택을 받으며 군대도안가고(안가는게다행인가)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피흘려 이룩한 과실을 거져쳐먹을려고하는 말도안되는짓거리들하고있음. 정신들차리길..

    • @우라얍3
      @우라얍3 4 роки тому +20

      khitai 조선족들 중에도 그런 분들 많이계십니다. 동포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은 자유이지만 그렇다고 이렇게 조선족에대한 본인의 증오심과 적개심,원한 저주따위를 그들의 것인냥 포장은 말아주세요.

    • @유서향-i2x
      @유서향-i2x 4 роки тому +11

      나라잃은 역사의 아픔 입니다.
      중국조선족도 그렇고
      러시아 고려인도 그렇고
      그당시를 살아내야하는 이국민들로서는 안가고 못하고 등의 선택의 여지가 없을 것입니다.
      사할린에서 100만명이 넘게 갔는데 도착했을때는 30만명 정도만 남았고요. 그나마 먹을것이 없어도 씨갑씨를 남겨야 후손이 산다고하며 굶어죽기도 많이 했다는 고려인 할머니의 말씀을 ,,,
      조선족의 비분강개의 이유는 알고들 계신가요?
      625때 중공군 최전방에서 일명 총알받이로 전쟁에 투입 되었고 30만명이 넘는 다고 하는데 그들은 정말 동족을 죽일 작정으로 왔을까요?
      자기가 살아야하니까 올 수 밖에 없지 않았을까요?
      역사에 던져진 나라 잃은 민족의 눈물겨운 상황을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지금도 나라가 없어지면 또 벌어질 일이 아닐까요?
      일제 징용도 그렇고요.
      이역먼리 타국에서 살아남기 위해 온갖 고생을 하신 분들입니다.
      내 나라에서 국가의 소홀함에 억울하다며 나라를 버린 사람들도 많지요.
      여기든 저기든 싫어도 좋아도 살아내야 다음을 기약하겠지요.
      열심히 살아남아 안락하게 살아 갑시다. 대한민초 화이팅~!!!

  • @innijo6026
    @innijo6026 4 роки тому +647

    발음은 완전 그냥 고려인 할머니인데요?
    목소리만 들으면 러시아 사람이라고는 전혀 알수없네요.
    그냥 함경도 사투리쓰는 함경도분 ㅋ

    • @jipark_2373
      @jipark_2373 4 роки тому +9

      예전 경북 시골 사투리와 거의 같네요... 요즘은 시골사람들도 사투리 많이 안쓰죠

    • @이선비-k6w
      @이선비-k6w 4 роки тому +1

      @@jipark_2373 그래도 부산 가면 사람들이 전부 사투리 쓰오

    • @류카-h8e
      @류카-h8e 4 роки тому +3

      @김동원 옛 경상도 사투리랑 많이 닮았네요 저희할머니랑 거의 말 똑같으심 억양차이는 좀있지만

    • @이강현-p9z
      @이강현-p9z 4 роки тому +1

      경상도 현지인인데 능금이랑 배차랑 숭군다는 말 들으니까 비슷하기는 한듯 한제 저거는 한데랑 똑같은 말 같고

    • @류카-h8e
      @류카-h8e 4 роки тому +2

      @@이강현-p9z 구개음화 되는것도 비슷함

  • @choiramheon
    @choiramheon 4 роки тому +607

    저는 함경북도 출신입니다. 그저 딱 같습니다. 함경도말이요.

    • @goodvery3563
      @goodvery3563 4 роки тому +93

      함경도분들이 연해주로 많이 가셨는데 나중에 스탈린이 연해주 동포를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시켜서 지금의 고려인 분들이 옛 함경도말을 구사하시는 겁니다

    • @amtd2023
      @amtd2023 4 роки тому +8

      오오

    • @앤디-l2b
      @앤디-l2b 4 роки тому +6

      북한인이 댓글을 달다니!!! 북한은 개개인자유가 존재하지않던것 아닌가요?...

    • @김효일-k2y
      @김효일-k2y 4 роки тому +72

      새터민 분이신가보네요.

    • @oliverkim7719
      @oliverkim7719 4 роки тому +154

      지구 탈북한 함경도 출신이 댓글쓴거겠죠 설마 함경도에서 달았겠어요?

  • @gajachitaseok7186
    @gajachitaseok7186 4 роки тому +6

    와우~너무 신기하네요
    귀한영상 잘봤습니다 짝짝짝~~~♡

  • @이혜정-v2t
    @이혜정-v2t 4 роки тому +10

    작년에 돌아가신 아버지 고향이 함경도입니다. 6.25때 내려오셔서 아버지는 사투리를 안쓰셨지만 할머니 할아버지는 꽤 쓰셨어요. 정말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 말투하고 비슷하네요. 특히 나무를 낭구(?)라고 하는부분에서 할머니 생각이나서 눈물이 찔끔...ㅜㅜ

    • @냠냥냐옹냥
      @냠냥냐옹냥 11 місяців тому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도 나무를 남그 라고 하셨어요

  • @수옥옥수
    @수옥옥수 4 роки тому +2

    항상 이런 영상들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자랑스럽네요~^^

  • @번복진트-o7o
    @번복진트-o7o 4 роки тому +206

    요즘 고려인이 왜 이렇게 유튜브에 자주 보이는거지?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진짜 알수가없다

    • @타호-n9l
      @타호-n9l 4 роки тому +4

      ????????난 처음 뜨는데? 그냥 님이 계속 시청하시니까 님에 맞춰 추천되는듯

    • @eeert2z
      @eeert2z 4 роки тому +3

      나도 그런데 맨날 롤만 보는데 뜸 ㅋㅋㅋ

    • @eeert2z
      @eeert2z 4 роки тому +1

      @@타호-n9l 저 롤 매드무비만 보는데 이럼 ㅋㅋ

    • @강하게다정하게현명하
      @강하게다정하게현명하 4 роки тому

      @@eeert2z 어 저도;;;

    • @강하게다정하게현명하
      @강하게다정하게현명하 4 роки тому

      @@eeert2z 괴물쥐보고있었눈데;;;

  • @hwanlee2345
    @hwanlee2345 4 роки тому +362

    ㄷㄷㄷ
    한국 여행오시면 의사소통 되시겠는데...

  • @goodvery3563
    @goodvery3563 4 роки тому +588

    고려말이라고 하면 왕건이 세운 고려랑 헷갈릴 수 있지만 여기서 고려말이란 구한말 연해주로 이주한 함경도 분들이 스탈린의 강제이주정책에 의해 중앙아시아에서 뿌리내려 고려말(이주1세대들이 구사했던 옛 함경도말)을 가르키는것입니다.

    • @JS-Jeong
      @JS-Jeong 4 роки тому +10

      확실한가요? ㅋㅋㅋㅋ 저 당시 외국에선 조선은 몰라도 고려는 알고 있었는데요 ㅋㅋㅋ
      지금이야 역사에서 조선이란 명칭을 쓰지만 일반 민중들은 임진왜란 이전까지 조선이란 국호를 모르는 사람이 많았다고 하던데요 그리고 근대 까지 일반 민중은 고려랑 조선이란 국호를 혼용 해서 썻다 하던데요 ^^

    • @RNIT9-n8r
      @RNIT9-n8r 4 роки тому +61

      @@JS-Jeong
      강제이주 당한 한인을 언급하는 용어인 '고려인'은 80년대 이후에 생겨났어요. '고려인'이라 부르는건 이념적인 문제 때문이라고 그러더라고요.

    • @JS-Jeong
      @JS-Jeong 4 роки тому +2

      @@RNIT9-n8r 아~ 그래요? 이게 사연 있는 단어 였구나 정보 감사합니다.

    • @Australia789
      @Australia789 4 роки тому

      함경도 사람들이 간거맞나요 다른 지역 사람들은 없나요

    • @goodvery3563
      @goodvery3563 4 роки тому +30

      @@Australia789 수십만의 연해주동포 100프로 모두다 함경도출신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두만강만 건너면 연해주니까 절대다수가 함경도 분들이죠. 왜 콕 찝어서 함경도라고 하냐면 고려인 분들이 구사하는 우리말이 바로 옛 함경도말 이기때문이죠.

  • @BLACK_PEARL_
    @BLACK_PEARL_ 4 роки тому +1

    잉 그냥 눈물나 왜지ㅠ 먼 타지에서 얼마나 고생하셨을까.. 지금도 척박하고 각박하고 더 빡빡하긴 마찬가지인 그 나라에서 자리잡기까지 얼마나 고생하셨을까ㅜㅜ 참으로 고생 많으셨소...

  • @shawnkim1210
    @shawnkim1210 4 роки тому +325

    일부 댓글들 오해가..고려말이라고 고려시대언어라는게 아니라, 고려인 즉 구소련연방거주 한인교포들의 말이란 것

    • @fighting4786
      @fighting4786 4 роки тому +5

      말하자면 조선시대(일제강점기 전.후) 말이죠

    • @dainihon8054
      @dainihon8054 4 роки тому

      애초에 저게 원어도 아니고 카자흐스탄 말이랑 섞인 변형된 말임

    • @millayovovich1382
      @millayovovich1382 4 роки тому

      @@dainihon8054 카작어는 아니고 중간중간 노어를 하시긴 합니다

    • @forlan6759
      @forlan6759 4 роки тому +3

      고려시대말ㅋㅋㅋㅋ 그 시대말을 진짜 할 줄 알면 인간문화재 그 자체일듯요

    • @안녕-d6e7m
      @안녕-d6e7m 4 роки тому

      @@millayovovich1382 노어노문학과가면 저런역사도 배우나요?

  • @jayjay5975
    @jayjay5975 Рік тому

    정말 귀한 자료입니다.
    슬라브계 고려인 할머니 . .

  • @Britishmums
    @Britishmums 4 роки тому +5

    늘 잘 보고있습니다^^ 고려인시리즈 고려인들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 @도투바이-m2l
    @도투바이-m2l 4 роки тому +1

    러시아 아매 어쩌무 조선말 이리 잘함두? 영상을 보무 아주 오래된 영상같은데 아직두 잘 계심두? 부디 건강히 오래오래 삽소! 아매 옛날 우리아매 생각나꾸마!

  • @로드포네그리프
    @로드포네그리프 4 роки тому +4

    완전 연변 사투리네~~ㅋㅋ
    아바이 아매 ㅋㅋㅋㅋ
    오랜마이 들으니까 기분좋쓰꾸마 ㅋㅋㅋㅋ

  • @정두식-f1p
    @정두식-f1p 4 роки тому +2

    근데 저희 친할머니도 이북에서 피난오셨었는데, 저 말투 들으니까 할머니가 생각나네요. 진짜 음율(?)이 비슷하고 신기하네요! 감사합니다

  • @mangood6198
    @mangood6198 4 роки тому +227

    할머니 할아버지가 사과를 능금이라 불렀는데 신기하네

    • @오덕구-b4f
      @오덕구-b4f 4 роки тому +3

      능금마싯다

    • @Briwjsnbeusk
      @Briwjsnbeusk 4 роки тому

      능금같은 내 얼굴~ 능금아~

    • @고냥이-o5y
      @고냥이-o5y 4 роки тому

      능금 우리할머니가 그러던데 우리가아는 사과랑 다르게 생겼대요

    • @그래서-j3n
      @그래서-j3n 4 роки тому

      사과박스에 능금이라 쓰여있는거 봒

    • @마싯다샤오롱
      @마싯다샤오롱 4 роки тому

      @@오덕구-b4f 샤오롱이 마싯는데

  • @별명따위-o4v
    @별명따위-o4v 4 роки тому +1

    돌아가신 우리 외할머니 생각나네
    사창댁..할머니 꿈에라도 한번 와주세요

  • @최광식-l7c
    @최광식-l7c 4 роки тому +5

    여러번 들으니 확실해지네. 사투리 무시하지말고 한국의 문화. 젊은이들 사람은 말이 아닌 느낌으로 살아간다는.

  • @sukdennison3034
    @sukdennison3034 4 роки тому +1

    적적해보이는곳에서 어린시절 동무들이 그리울듯.영상 잘봤습니다.

  • @TheGreatSarastro
    @TheGreatSarastro 4 роки тому +373

    나무를 남간으로 발음하는게 뿌리깊은나무[불휘깊은남간]과 비슷하네요

    • @뚱명이
      @뚱명이 4 роки тому +7

      와...

    • @고정훈-v7w
      @고정훈-v7w 4 роки тому +6

      ㄱ 곡용 체언

    • @tunguslisan8878
      @tunguslisan8878 4 роки тому +39

      그건 경상도 시골에도 아직 남아있어요.
      대추 남기 올라가지 마라.

    • @tunguslisan8878
      @tunguslisan8878 4 роки тому +32

      @@wtfhandle12
      얼라들이 대추나무에 올라가서 까불다
      가시에 찔려 불알이 찢어지는 사고가 자주 있었거덩.

    • @kim0307b
      @kim0307b 4 роки тому +1

      아 대추나무에 가시가있었군요. 제가 본건 가시없는 니들리스 품종만 봐서 그런가... 재래종은 가시가있나보네요

  • @henryna3720
    @henryna3720 4 роки тому +2

    배웠다는 수준을 넘어서 그냥 한국인 같은데 너무 자연스러워~

  • @modanisunflower
    @modanisunflower 4 роки тому +11

    참 봐도봐도 신기하네요 ㅋㅋㅋㅋ 짠하기도 한데...

  • @asrobin
    @asrobin 4 роки тому

    정말 특별하고 귀중한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이성윤-l6u
    @이성윤-l6u 4 роки тому +9

    메일 받고 보러왔습니다 ㅋㅋㅋ 잘보고 갑니다

  • @taesikkim2869
    @taesikkim2869 4 роки тому +2

    재중교포와 재일교포 친구들이 좀 있어서 그 친구들이 한국에 오기도 하고 제가 그곳으로 여행도 가고 그 가족들도 많이 만나봤습니다. 많은 얘기를 해 봤구요. 제 또래만 해도 최소한 3세대이고(4세대도 많습니다.) 또 우리 다음 세대도 있죠. 그 친구들을 알기 전에는 단순히 그쪽 친구들은 그 지역 문화와 많이 섞여 있을것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실제로 접해보니 그 지역 문화와 섞인것도 많지만 놀라울 정도로 첫 이주당시 1세대들의 문화와 언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연구하고 보존하는데 아주 중요한 단서와 자료가 될것이 분명합니다.

  • @bukmyung
    @bukmyung 4 роки тому +155

    이분 오천만이 넘는 사람이 이말을 쓰고 있다는걸 알고 있을까요? 와...굉장히 반갑네요. 투르크족도 아닌것 같은데.

    • @kdw-jf8fh
      @kdw-jf8fh 4 роки тому +1

      이종혁 이말 안쓰는데 고려말과 현 한국어랑은 다른언어인데? 빡대가리 깡! 어느나라 사람인고?

    • @user-qf4tc8ve9e
      @user-qf4tc8ve9e 4 роки тому +18

      @@kdw-jf8fh Wls

    • @user-jn8xl5wc4f
      @user-jn8xl5wc4f 4 роки тому +1

      똥쨩 급발진하느라 애쓴다

    • @Suck_luck_love
      @Suck_luck_love 4 роки тому +8

      @@kdw-jf8fh 그럼 영국식 영어랑 미국식영어도 서로 다른언어니?

    • @킴성믠
      @킴성믠 4 роки тому

      똥쨩도 맹추긴 맹춘 갑다... ㅋㅋㅋㅋㅋㅋㅋ

  • @Like-june
    @Like-june 4 роки тому

    이런 영상이 있다는게 참 다행이네요 귀하네요

  • @seoulforest275
    @seoulforest275 4 роки тому +76

    명사같은건 러시아 단어도 꽤 쓰네요 아마 당시 한국어에 흔하지 않았던(연해주 거주자 기준) 말 토마토, 기차역(vokzal) 등등 외래 작물이나 뭐 그런건 러시아 명사네요

    • @revelyeri
      @revelyeri 4 роки тому +1

      포도도요 ㅎㅎ

    • @민트초코-v8s
      @민트초코-v8s 4 роки тому

      помидор빠미도르 вокзал봐그잘 виноград비노그랏 малина말리나 등등등 많네요

  • @트민최
    @트민최 4 роки тому +2

    언어는 변한다는것 새삼스레 느끼고 갑니다. 신기하네요.

  • @user-jn8xl5wc4f
    @user-jn8xl5wc4f 4 роки тому +53

    중앙아시아 한인들을 고려인이라 지칭하는 이유:
    우리나라는 대한민국으로 한국인 용어를 사용할 것을 원칙으로 하나 윗쪽 북괴들은 조선인 용어 사용을 원칙으로 함.
    중앙아시아/러시아 동포들을 지칭할 용어로 서로 한국인 또는 조선인이라고 일방적으로 지정하면 한쪽의 의견이 수렴되지 않아 문제가 될수 있으니 제 3의 용어인 ‘고려’를 사용해 중립적인 의미를 부여.

  • @팅커-l8g
    @팅커-l8g 4 роки тому

    알아들을것같기도하네요
    건강하세요

  • @임채진-k7t
    @임채진-k7t 4 роки тому +4

    가슴이 웅장해진다

  • @그댄별
    @그댄별 4 роки тому

    정겹고 신기하네요 눈물이 나지 ..ㅠ

  • @안녕-d6e7m
    @안녕-d6e7m 4 роки тому +13

    오 이거 일본인이 올린 고려어 영상으로 접해봤어요! 알고리즘으로

  • @cho1309
    @cho1309 4 роки тому

    가슴이 멍 해지네
    귀중한게.. 슬프고
    울컥하다고
    해야되나...

  • @thomasoh59
    @thomasoh59 4 роки тому +5

    러시아 할머니 농사짓는소리~~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 @눈부신햇살-b1m
    @눈부신햇살-b1m 4 роки тому

    할무니 야기두 잘하시네!
    골구루 마니 숨궜네.
    칭구들이 없어 마실두 못댕겨
    한대나가문 창구가 고려말 해부라구 그랴
    옛날 쓰던 언어가 세월이가며 변해가는 것을 느낌니다

  • @jaewon6485
    @jaewon6485 4 роки тому +5

    이런건 채증을 다 꼼꼼히 해놔서 후에 언어연구를 위해 정리를 해놔야할텐데. 저분들도 언젠간 돌아가실테고 현지에서도 점점 사라질텐데

  • @millayovovich1382
    @millayovovich1382 4 роки тому

    20년전 카작살때 알던 고려인(이라 소개했던)할아버지가 생각나네. 6.25 참전용사셨는데... 중공군 참전에 다들 남하하는데 부대하고 떨어져 도망간게 하필 북쪽으로 도망가다 연해주까지 올라가서 고려인들과 살게되셨다니 엄밀히 따지면 고려인은 아니고 국제미아된 한국인... 전쟁 당시 나이가 20살이셨다는데 40여년을 러시아에 사시다보니 한국말 알아듣기는 하셔도 말씀은 못하시던데 저 할머니는 한국말을 완전 잘하시네요

  • @얘은-l6b
    @얘은-l6b 4 роки тому +4

    국어책에 나온적있는 옛날에 사용했던 단어들도 섞여 있네요 신기하다.

  • @또또네-n6l
    @또또네-n6l 4 роки тому

    해보기요. 해깝소. 했지. 정겹네요. 할머니 감사합니다

  • @종내기-s7x
    @종내기-s7x 4 роки тому +7

    이런 비제이들이 떠야되는데...교육용 재료로도 써도 손색없습니다. 요즘 이런 귀한영상들을 많이 만들었으면합니다

  • @meho7933
    @meho7933 4 роки тому

    정말 유튭에 기가막힌영상 많지만 이거볼때마다 기가막힙니다 기가

  • @gunny5040
    @gunny5040 4 роки тому +59

    고려말도 오랫동안 명맥이 유지됐으면 좋겠네요

    • @김택수-b9h
      @김택수-b9h 4 роки тому +1

      19세기 합병 이전만 해도 못 알아들을 거에요. 제주말 못 알아 듣듯.

    • @호호-c1m7d
      @호호-c1m7d 4 роки тому +1

      측은지심 품고 말하지 말라. 중국 동포들 처럼 가까이 있엇으면 좆려인 하면서 존나게 혐오하겠지.

    • @GYMJUNSEO
      @GYMJUNSEO 2 роки тому +1

      @@호호-c1m7d 중국 동포 이러네 ㅋ

  • @Wook12345
    @Wook12345 4 роки тому

    인간 문화재 이시네요...동시에 마음이 아련해집니다.

  • @DokGoDie_Defconn
    @DokGoDie_Defconn 4 роки тому +13

    경북 사투리랑 비슷해보인다 성조라던지 "숨는다"( 심는다) 라던지 낭구(나무) 라던지 한데(같이)라던지

  • @마담보똬리
    @마담보똬리 4 роки тому +1

    이런 거 넘 좋아. 우리 옛말이 동시대에 공존한다는 게. 근데 이 아줌씨 너무 잘하는 거 아닌가?

  • @alef1st
    @alef1st 4 роки тому +91

    몇 가지 단어는 경상도 옛 사투리 비슷하기도하고 함경도 말씨 같기도 하네요.

    • @user-kv7vy7kq5r
      @user-kv7vy7kq5r 4 роки тому +24

      함경도랑 경상도랑 사투리가 많이 유사하대요 옛날에는 경상도 쪽에 살던 사람들이 유배를 가면 함경도 쪽으로 많이 가서 그렇다네요 마찬가지로 충청도 사람이 유배를 가면 평안도로 많이 가서 평안도랑 충청도랑 사투리가 유사하구요

    • @sjeoendiowksbsjsel
      @sjeoendiowksbsjsel 4 роки тому +4

      세종때 4군 6진 개척하고 그곳에서 여진족 쫓아낸뒤 이주시킨 사람이 경상도 사람들입니다.

    • @yaeilik0760
      @yaeilik0760 4 роки тому +2

      오... 저는 경상도 할매랑 같이 살았던 서울사람인데 제가 듣기로는 북한말과 더 비슷하다고 느꼈거든요 ㅎㅎ 강원도 혹은 북한이요.

    • @teamoc4531
      @teamoc4531 4 роки тому

      세종의 사민정책 역사시간에 다 배왓슴다

    • @한파라-n8o
      @한파라-n8o 4 роки тому +2

      돌고 도는거지요 한국전쟁 흥남철수 작전때 함경도 출신들이 대거 부산항으로 피란 오게 되어 터를 잡은것도 사투리가 유사한 이유 중 하나라고 봅니다

  • @하영호-t7d
    @하영호-t7d 4 роки тому

    할머니 건강하게
    오래 오래 살으셔요

  • @Andypiao-76
    @Andypiao-76 4 роки тому +7

    나는 왜 다 알아듣지 아~나의 할아버지는 고려인이지

  • @냥이-g6h
    @냥이-g6h 4 роки тому

    할머니의 인생이 참 기구하기도 하고..고려인과 같이한 운명이라 눈물도 나네요

  • @아신-g8z
    @아신-g8z 4 роки тому +22

    경상도 사람인데 거의 다 알아들을 수 있어요 ㅋㅋㅋㅋㅋㅋㅋ 신기하다

    • @gogizoa
      @gogizoa 4 роки тому

      저도 ㅋㅋㅋㅋ 신기함 처음에는 한국말인가 싶었는데 듣다보니까 경상도말씨라 다들림

    • @관우-x1j
      @관우-x1j 4 роки тому

      저게 함흥도 쪽에서 넘어간말이라는데 함흥도랑경상도 말이 비슷하대요

  • @rur1597
    @rur1597 4 роки тому +1

    50년 전 듣던 함경도 말 그대로입니다.

  • @vanillamandu
    @vanillamandu 4 роки тому +130

    고려말을 노트에 써보라하면 어떻게쓸지가 제일 궁금하다

    • @rxsieexxx
      @rxsieexxx 4 роки тому +27

      한국어를 키릴어로 쓴다고 했던것 같아요 :)

    • @Australia789
      @Australia789 4 роки тому

      Miki Mik ㄹㅇ?

    • @Australia789
      @Australia789 4 роки тому

      우헤헹 갤럭시 노트 ㄱ

    • @BLACK_PEARL_
      @BLACK_PEARL_ 4 роки тому +31

      네 맞습니다. 고려인과 고려말을 배운 러시아나 중앙아시아 분들은 고려말을 키릴문자로 표기하십니다. 그래서 러시아어 키릴문자를 익힌 한국인이라면 그 표기를 충분히 읽을 수 있으며 써있기로는 분명 외국어 같은데 소리내어 읽으면 한국어가 되는 신비로움을 느낄 수도 있죠.

    • @민트초코-v8s
      @민트초코-v8s 4 роки тому +5

      Корёмарыл нотхыэ ссоборахамён оттокхэ ссылжига чэил кунгымхада.
      현행 한국어 러시아어 음역 표기법으로 우헹헹님의 댓글을 다시 적어봤습니다
      아마 이거랑 비슷하게 쓸거 같아요
      개인적으로는 러시아어 발음 특성상 чэил을 чэиль로 쓸 것 같다고 예상해봅니다

  • @zihozeon
    @zihozeon 4 роки тому +1

    이념 갈등으로 철통처럼 가려진 장막 너머에서도 우리의 맥이 이어지고 지내고 있었네요

  • @비-n6y
    @비-n6y 4 роки тому

    뭔가 뭉클 합니다..

  • @user-12wkddsaks
    @user-12wkddsaks 4 роки тому +6

    능금이라 카는거보면 ㄹㅇ 고려말 맞음.

  • @절대자유-l3h
    @절대자유-l3h 4 роки тому

    세상에 대단하시다 할머니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세요

  • @Odysseus_Outis
    @Odysseus_Outis 4 роки тому +65

    여린 히읏 발음이 살아있고
    L 도 아니고 R도 아닌 여린 ㄹ 발음과 함께
    흐르듯한 억양으로 말하니, 독특한 언어로 들린다....!.
    어렴~풋이 과거 조선, 아니 그 이전까지의 고어가 어땠을까 상상이 가는....

    • @АнгелинаЧ-т3ы
      @АнгелинаЧ-т3ы 4 роки тому

      러시아어랑 섞어 쓰셔서 그런 것 같아요. 고려말로만 쓰면 더 잘 알아들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jeongseon_ungi
    @jeongseon_ungi 4 роки тому

    4년 전 카라탈 우슈토베역에 고려인분들 최초 강제이주 됐던 곳에 간 적이 있었습니다 가슴 찡한 우리의 아픈 역사네요~ ㅠㅠ

  • @tlschs79
    @tlschs79 4 роки тому +79

    아이고,,, 댓글 수정합니다...영상에 첫번째 나오는 할머니는 잘 모르겠고, 다음에 나오는 아주머니는 쿠르드족이고, 남자목소리의 사람은 우즈베크인 남성이라고 들었습니다..
    모두, 고려인 집중거주지역에서 살다보니 고려인 말을 익히게 된거죠

    • @user-tendo
      @user-tendo 4 роки тому +1

      누가 저 우즈벡인 보고 카자흐스탄 이정재라는데 ㅋㅋㅋㅋㅋ

    • @user-tendo
      @user-tendo 4 роки тому +2

      추가적으로 제 지식에 의하면
      중앙아시아 유목민족 분들이
      농사를 배우기 위해 강제 이주 당한
      고려인들의 언어를 배웠다고 합니다.

    • @rothsshvili5125
      @rothsshvili5125 4 роки тому

      강제 한글 패치 잼

    •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4 роки тому

      그 영상올린 일본사람이 이분보고 쿠르드족이라는데 근거가 어딨는지 잘모르겠음. 발랴 (발렌찌나) 전형적인 러시아이름 아님?

    •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4 роки тому

      영상에서 본인도 러시아사람이라고 얘기하는데

  • @cir3939
    @cir3939 4 роки тому

    자막이 없는 영상을 봤는데 설명이랑 자막이 첨부 되어 있어서 이해 하기가 쉽네요.. 감사합니다.

  • @nojam_2699
    @nojam_2699 4 роки тому +5

    '숨구다'는 말이 '심다'는 말이군..
    왠지 경상도, 강원도,함경도 말
    동해쪽 언어 같으네~

  • @ALLNASDAQ
    @ALLNASDAQ 4 роки тому +1

    다는 아니겠지만, 위쪽으로 이동하신 분들중 일제탄압을 피해 독립운동한 분들이 참 많다하죠ㅠㅠ감사합니다🙏🏻

  • @김잡구
    @김잡구 4 роки тому +138

    고려말이 유일하게 보존된 북한에 함경도 남한에 경상도 이것은 사투리가 아니라 그냥 고려말임

    • @VladimirTrump
      @VladimirTrump 4 роки тому +3

      한국어지 뭔자꾸 고려말드립이야ㅂ하ㅇ신

    • @굿모닝먀우
      @굿모닝먀우 4 роки тому +7

      고어죠. 오래전 순수하게 쓰던 옛말씨.

    • @현근-n8d
      @현근-n8d 4 роки тому +6

      남주혁 고어는 한국어가 아니냐 ㅋㅋ 지방 방언도 사투리다 바보야 표준어만 한국어로 아는 멍청이도 나대네

    • @blackpopcat239
      @blackpopcat239 4 роки тому +1

      예수가 당신들을 흙으로 빚어 만들었습니다 어서 멍청한 댓글을 지우십시요 🤔

    • @akkin835
      @akkin835 4 роки тому +10

      @@blackpopcat239 전 물로 이루어져있는걸요?

  • @appnori1
    @appnori1 4 роки тому +2

    어릴 때 할머니가 밭에 뭘 숨갔다! 하길래 뭘 숨겼지? 생각 했는데... 밭에 심었다였군

  • @제미라스
    @제미라스 4 роки тому +4

    A: 여기 무슨무슨 숨궜는지 (심었는지) 좀 이얘길 하오.
    B: 뭐, 뭣을 숨구겠소. 그저 이집 먹을 걸로 다드배차(양배추) 숨구고, 배차(배추)도 숨구고, 뽐도르(토마토) 숨구고, 무슨 감자도 숨구고, (개소리) 체스노그(마늘)도 숨구고 마늘도 숨궜지.
    (이후 러시아어) '그걸로 충분한가?' '뭐. 충분하지. 그러길 바라야지.' (feat 조민성님)
    B: 팔러 못 댕겨. 밭이 만만한(상당한) 사람들은 바사(시장) 가서 팔고 복살(기차역) 에 내고 우린 못 팔아. 그저 자기 먹을 자기 먹을만치 자기 먹을 거 조금 하오. (feat Ghostbuster님)
    A: 그래도 좀 도움이 되지
    B: 도움이 되지. 말리나(산딸기)도 조금 숨구고 말리나는 약으로, 바레니예(산딸기잼)도 달이고. 능금(사과)은 작소. 능금은 다 얼었소. 이제 다 낭구(나무) 싹 얼어서 나무도 얼어서 못먹소.
    A: 그래도 달렸소?
    B: 쪼금씩 달렸소. 뭐 몇 알 아이다(아니다). 올해 싹 얼어서.
    A: 얼었는가?
    B: 비노그라드(포도) 우리 마당이 싹 얼었소. 봄에. (feat 조민성님)
    A: 저 보니까 좀 비노그라드 그래도 있지 뭐.
    B: 비노그라드 좀 있소. 얼지 않았다면 더 많았겠지.
    B: 우리 여기 고려 할머니가 하나 있는데, 한제(밖에) 나오면 자꾸 나보고 왈랴 고려말 좀 해보기요. 왈랴 말 하는 게 정말 재미있소. 좀 해보기요. 할머니가 좀 해보기요. 무슨 고려말 하기 그렇게 음 자꾸 나를 말을 시켜. 고려말 하라고. 계속 이야기도 하고.
    A: 이 젙에(곁에) 사시던 조선사람, 고려 사람 있소?
    B: 근처에 저기 저 길 넘어에 여자들은 러시아 사람이오. 한 집이 있다. 고려 여자들이. 고려 사람이. 나머지는 러시아 사람.
    A: 그래 지금 고려 사람들이 고려말 못하는데, 왈랴는 고려말 하기로 유명하네.
    B: 한데(같이) 여기 있으니까 그리 어떻게 고려말을 안 배우겠소? 고려 여자들과 일을 같이 했지. 서른 여덟 해를 같이 일을 했어. (러시아말) 고려사람들과 얘기 많이 했지. 우린 러시아 사람들도 딱 다섯집 있었지. 연길? 프룬제. 어떻게 안 배워. 고려 아이들과 같이 그냥 놀았지. 그래서 그렇지.
    출처영상:ua-cam.com/video/fkgayeGyK_o/v-deo.html

  • @드가-p9l
    @드가-p9l 4 роки тому

    듣기좋군 자꾸듣고 싶다

  • @sfdream9332
    @sfdream9332 4 роки тому +46

    북한 말투다 중앙아시아인이 한국말하니까 신기하긴하지만 일본놈들과 러시아놈들때문에 중앙아시아까지 쫒겨가야 했던 우리민족의 슬픈 과거를 생각해보면 서글프다

    • @졸포
      @졸포 4 роки тому +1

      고려말투면 고려시대때 올ㄹ라간건데 러시아랑 일본은 별 영향력 없을때 아님?

    • @졸포
      @졸포 4 роки тому

      아 ㄱ그 고려가 아니구나

    • @tepoo5219
      @tepoo5219 4 роки тому

      @@졸포 혼자 말하고 혼자 이해하시네

  • @ceobyun
    @ceobyun 4 роки тому

    우와~ 신기하면서도 뭔가 뭉클하네요~

  • @현우진-b8w
    @현우진-b8w 4 роки тому +13

    백년도 안됐는데 언어가 이렇게 달라지는군... 우리가 과거로돌아가 고려나 조선시대사람과 대화하려해도 말이 통하지 않을거같다

    • @Samshir7
      @Samshir7 4 роки тому

      달라졌다기보단 이북사투리같음

    • @김잡구
      @김잡구 4 роки тому

      북한 함경도 사투리임

    • @김잡구
      @김잡구 4 роки тому +1

      유일하게 고려말이 보존된게 북에 함경도와 남에 경상도 신기함

    • @일단뜨거운뮤지익
      @일단뜨거운뮤지익 4 роки тому +1

      제가 알기로는 더 달랐던걸로 알고 있어요 음운학을 보면 거의 중국어인가 하는 수준으로 달라졌던걸로 알고있습니다

  • @angducati
    @angducati 4 роки тому +1

    우리 할머니 경상도에 평생 사셨는데 딱 그 세대까지 저 말투 쓴듯

  • @hspark9364
    @hspark9364 4 роки тому +5

    케레이 족이라 그런거지모.. 러시아에서 고려인 부르는게 카레이스키인데몰... 아픈 역사고 잃어버린 역사다 우린..

  • @JodieRhie
    @JodieRhie 4 роки тому +1

    어머나! 알아 듣겠어요! 그냥 한국의 지방 사투리 하시는것 같아요~

  • @JS-Jeong
    @JS-Jeong 4 роки тому +4

    저 할매 한국 관광 시켜주세요 제가 후원금 드릴게요 ^^

  • @Robby_soul
    @Robby_soul 4 роки тому +1

    귀한자료 같네.. 고려말이 없어지게되면 정말 귀중해질듯

  • @bmwlee7230
    @bmwlee7230 4 роки тому +4

    스탈린 이 썩을놈이 우리나라 사람들이 스파이짓한다고 장제로 저 멀리 중앙아시아 까지 옮겼다고 들었습니다만 정말 가슴아픈 역사입니다. 다시는 반복되지 말아야죠

    • @richardseo1451
      @richardseo1451 4 роки тому

      대깨문 문죄인 때문이었습니다

    • @jaewonlee8615
      @jaewonlee8615 4 роки тому +2

      @@richardseo1451 민심 오지고요 지리고요 렛잇고

  • @benkim2016
    @benkim2016 4 роки тому

    피가 섞이지 않아도 배웠다는게 믿기가 힘들정도로 잘 하시네요

  • @cerastesboo5698
    @cerastesboo5698 4 роки тому +42

    왜 저 할머니 한테서 경북 사투리가 들리는것같지?
    그동네 고려인들 중에 경북 사람들이 있었던 걸ㄲㅏ?

    • @wlh856
      @wlh856 4 роки тому +17

      과거 조선에서 사민정책으로 경상도 주민들을 함경도로 많이 이주시켜서 억양이 아직도 많이 남아있습니다.

    • @user-pw5sw9np5s
      @user-pw5sw9np5s 4 роки тому +1

      얼갔다라고 하는거 경북느낌남..

    • @kimuse_
      @kimuse_ 4 роки тому +6

      나도 그렇게 느꼈네요 우리할머니 말투랑 엄청 비슷했음
      할머니 경북 예천 사람

    • @user-dj8bu2lg6y
      @user-dj8bu2lg6y 4 роки тому +5

      네 맞습니다.
      숨구다,얼갔다 경상도
      사투리 입니다.

    • @주고을
      @주고을 4 роки тому +2

      숨군다 ㅋ 경북에서 심는다는 말을 숨군다라고 하죠. 경북사투리시네요.
      일제시대 만주로 경상도 사람들도 많이갔거든요. 강제로든 먹고살기힘들든...지금도 만주조선족들 중에 경상도 사투리 쓰는분들 있더라구요.고려인들 경우 2차대전때 만주에 있는 조선사람들을 러시아가 강제이주시켜서 중앙아시아로 간거라...

  • @ghkim9527
    @ghkim9527 4 роки тому +2

    와! 충격 우리 시골 맡투랑 넘 비슷 경북이랑 가까운 강원도 삼척 그리고 경북 울진 봉화 이쪽이랑 완전 흡사한데요 ~~

  • @chrla5925
    @chrla5925 4 роки тому +26

    조선의 함경도지방이나 중국의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쓰는 말투네요

  • @petitdiable486
    @petitdiable486 4 роки тому

    대구에 나이 많으신 어르신들이 얘기하는거랑 거의 비슷하네요. 대구에서 태어나 쭉 살아도 젊은 사람들은 할머니들 대화는 못 알아들을때가 많아요ㅋㅋ저렇게 들리거든요ㅋ

  • @stanleysur600
    @stanleysur600 4 роки тому +23

    고려인들의 마음속엔 대한민국이란 뜨거운 조국생각..으로 살아가고 있는데
    중국 조선족들은..철저한 중국인으로..한국와서 돈벌어서 중국으로 다 보내고 저들의 맘속엔 조국은 중국일뿐....한국서 간첩질만 안하길...

    • @소행성-k9c
      @소행성-k9c 4 роки тому +1

      반대의 경우도 있어요 일부라던지 소수라던지 이런말을 붙이셔서 전부를 지칭하지 말으셔야

  • @아로미-o1f
    @아로미-o1f 4 роки тому

    돌아가신 외할아버지 말투가 생각 나네요
    평안북도 사람 이셨는데
    해주기요 심구다 등
    전체적인 어투 어감이 매우 비슷해요

  • @218jennypenny
    @218jennypenny 4 роки тому +10

    포르투칼어랑 스페인어랑 서로 알아듣는 다고 하던데 이런 느낌???

  • @손수미담
    @손수미담 4 роки тому +1

    저희 할머니께서 살아생전 경상남도 문산출신이셨는데 저 러시아 할머니랑 말할때 쓰는 어휘가 너무 비슷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