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60세부터는 따블로 내야 한다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чер 2024
  • 0:00 하이라이트
    0:10 인트로
    0:35 국민연금 60세부터 따블로 내야 한다?
    2:58 60세가 되면 어떻게 될까요?
    3:17 회사를 계속 다니면 어떻게 될까요?
    7:47 임의계속가입을 하면 보험료는 얼마나 될까요?
    12:35 임의계속가입 유의사항
    -------------------------------------------------
    🟠 연금에 관한 모든 궁금증은?
    👉🏻 연금박사 상담센터
    【전화】 1800-3624
    【홈페이지】 www.100-500.kr
    【이메일】 100-500@naver.com
    🟠 연금박사 블로그
    👉🏻 blog.naver.com/100-500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 #국민연금예상수령액

КОМЕНТАРІ • 304

  • @pension500
    @pension500  9 місяців тому +25

    🟠 연금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 연금박사 상담센터로 문의주세요
    【전화】 1800-3624
    【홈페이지】 www.100-500.kr
    【이메일】 100-500@naver.com

  • @jeoknara
    @jeoknara 9 місяців тому +32

    평균값이라 9만원 내면 내려갈수도 있군요. 요건 미처 몰랏네요. 감사합니다.

  • @user-oj8cg7zx7f
    @user-oj8cg7zx7f 5 місяців тому +7

    감사합니다. 선생님 ᆢ

  • @jx1621
    @jx1621 9 місяців тому +20

    넘ㅜ 중요한 내용을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kv5ut4gz9j
    @user-kv5ut4gz9j 9 місяців тому +12

    경청합니다^^
    박사님 감사합니다
    운동다니느라 실시간 접속을 못하고있네요
    늘 응원합니다❤❤❤

  • @user-dr1gt1uf5b
    @user-dr1gt1uf5b 3 місяці тому +1

    도움이많됨니다 감사해요❤❤❤

  • @sunwha
    @sunwha 9 місяців тому +13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yw6em6lu4u
    @user-yw6em6lu4u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잘들었습니다~
    고민중이었는데 답냈습니다

  • @user-um3yj3dx3t
    @user-um3yj3dx3t 24 дні тому

    박사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Dragon-ht3nv
    @Dragon-ht3nv 8 місяців тому +27

    임의가입으로 최소금액을 납입중인데, 노후를 위해 조금 올리려 했는데 납부액을 올리는 것보다 연금수급개시전까지 최소금액을 계속 납부하는게 훨씬 유리하다고 하더군요.

  • @songhwanna6887
    @songhwanna6887 3 місяці тому

    설명 명쾌 좋네요

  • @user-yq1vg4oh6b
    @user-yq1vg4oh6b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연금 박사님 찐최고👍👍👍👍👍

  • @kim-nv9yk
    @kim-nv9yk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어느한계부터는 노령연금 감액이 되는것두 있는데
    그렇다면 마냥 낼필료 없을것 같아요.
    연금탈때 의료보험료두 낼수 있는것두 있는데요
    고민 마니 해야 할듯~~

  • @user-sl5qz8zg1v
    @user-sl5qz8zg1v 3 місяці тому +1

    올해 연금수급예정인데요
    사업소득으로 연금의 50%수령 예정이면
    받는게 좋인지
    연장이 좋은지 조언부탁드립니다

  • @user-vb1up5vr3l
    @user-vb1up5vr3l 8 місяців тому +20

    월500받는사람.많지도않아요
    이분은.부자들을위한
    연금박사인듯요.
    평범한.서민들을위한.내용도
    해주세요
    평범한서민들은
    월급이
    월200~400정도입니다

  • @user-qs2js1gu1e
    @user-qs2js1gu1e 8 місяців тому +8

    늘 연금박사 통해 유용한정보 잘보고 많이배움니다

  • @user-mf1tk3xv8y
    @user-mf1tk3xv8y 4 місяці тому +5

    임의계속시 내돈과
    증가되어 받는돈으로
    상계시점을 따져야 하는게 맞습니다
    기존 납부하던 평균 금액을 60세 이후 5년 납부하면 상계 기간 12~15년 걸려요
    대상이신분은 잘 계산 해 보시기 바래요

  • @user-ih6js5wh1y
    @user-ih6js5wh1y 8 місяців тому +7

    너무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 @minikim-xh3jy
    @minikim-xh3jy 9 місяців тому +5

    이영주선생님
    국민연금 추후납부는 10년제한
    있는것으로 아는데
    10년제한은 임의가입자만 해당되나요?
    저는 과거 직장가입자였다가
    현재 지역가입자인데
    공백기간이 15년이상입니다.
    이 기간을 추후납부 다 할수있나요?
    오늘 영상 후반부에서
    그렇게 이해했는데 맞나요?

    • @pension500
      @pension500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가입구분 무관하게 최대 119개월만 가능합니다

    • @user-dp5fc6xw4u
      @user-dp5fc6xw4u 4 місяці тому

      법이 문재인정부때 바뀌었어요.
      강남 부자 아지매들이 이 법을 악용해서 연금 개시전 20년치 한꺼번에 내고 고액연금 받아..
      흙수저 시누이는 법 개시전 딸이 20년치 한꺼번에 내 주고 월 70씩 연금 받습니다.
      저희 엄마는 최저금액으로 내고 최저금액로 받고 노령연금도 같이 받고 있습니다.
      수령액은 별 차이 없습니다.
      재산이 없는 사람은 적게 내고 노령연금과 같이 수령하는것이 좋습니다.
      제가 임대주택을 사서 친정엄마가 일부 출자해 임대소득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알바로 5백만원만 넘겨 근로소득세 납부하고 임대소득과 합산해 종합소득세 신고하면 세금 0원 나옵니다.)
      노후에도 수입창출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 @skymind1737
    @skymind1737 8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럼 임의계속가입 낮게 내는데 다시 평균값으로 바꿀수는 없는건가요?

  • @user-dp5fc6xw4u
    @user-dp5fc6xw4u 4 місяці тому

    만 18세부터 납입해 60세까지 42년 납부예정입니다.
    62세까지 추납해 63세에 조기수령 할 계획인데 이 방법이 좋은가요?
    운 좋게 7살에 입학해 고3때 취업(만 17세)했고 42세까지 월급도 꽤 높았습니다.
    지금은 임의가입 9만원씩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44년간 1억정도 넣고 3년 조기수령하면 65세에 받는 거랑 같아지지 않나요?😊

  • @star-hw9ed
    @star-hw9ed 2 місяці тому +3

    그리고 국민연금을 미국처럼 30년 40년 주식에 투자하여 끝없는 우상향 수익율을 보장해줘야 국민연금 고갈도 막을것이다
    건강보험은 한국이 최고 연금은 미국이 최고이니 서로 배울건 배워야 한다

  • @moonston999
    @moonston999 5 місяців тому +15

    60세되면 납부끝내는게.좋습니다.
    굳이 9%내면서 납입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60세까지 납부힌.연금도 다받을지도
    모르는데 굳이 9%를 더낼필요가 없고
    그걸로 적금이나 드세요

  • @user-pl8hg2pc8m
    @user-pl8hg2pc8m 9 місяців тому +7

    궁금했었는데 알차게 알려주셔서 너무 좋네요~👍항상 전문가다운 정보전달에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저희남편은 58세에 명퇴예정입니다 그래서 집나이 61세까지는 넣어야 현재 예상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것 같던데요 남은 기간 3년동안 지금 내고 있는 연금액으로 계속 불입하려고 합니다 매월 불입하는 게 좋을지 아니면 61세 끝무렵에 한번에 추납하는게 좋을지요? 아님 3년치 선납도 가능한가요?

    • @user-kw3st3ri6s
      @user-kw3st3ri6s 9 місяців тому +6

      네.저와 아주 비슷한 경우라 답을 드립니다.
      1.60 세 만기면 안내도 됩니다.
      2.63세 부터 노령연금 수급한다면...임의가입 하셔서 추납을 권합니다.
      금액은 소득 1백원 기준 월 9만원 예상합니다.
      3.월 최고금액 52원인가? 납부해도 좋지만은, ,,,,63세 수급시 월 노령연금 수급시 큰차이 나지 않습니다.
      4.3년치 금액 324만원을 일시납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3년치 선납에 대한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근처 국민연금 공단에 방운하셔서 자세한 내용 안내받으시기 바랍니다.

    • @user-pl8hg2pc8m
      @user-pl8hg2pc8m 9 місяців тому

      @@user-kw3st3ri6s 네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 @user-kw3st3ri6s
      @user-kw3st3ri6s 9 місяців тому

      @@user-pl8hg2pc8m 한거지 더...만 63세 생일 전월까지 임의가입하여 더 낼 수 있다는 의미였습니다.

    • @user-jx3de7ib6p
      @user-jx3de7ib6p 9 місяців тому

      기업채용시. 국민연금납입 끝난 실버들 채용 하면 유리할 듯

    • @pension500
      @pension500  8 місяців тому

      추납은 굳이 미리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user-zo7uh6zs4x
    @user-zo7uh6zs4x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gikim7659
    @gikim7659 9 місяців тому +10

    역시 연금박사님 다운 명쾌한 해설입니다.짝짝짝

  • @user-go7sr5ps2i
    @user-go7sr5ps2i 8 місяців тому +4

    60세 정년퇴직하고 직장생활 계속하고 있는데 연금 개인적으로 더 불입할경우 기초 노령연금을 적게 받거나 못받지는 않은지요?
    63세에 연금 수령액이 적은편이 아니라서요.

    • @user-qk4ck9zk3r
      @user-qk4ck9zk3r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맞아요 63년생고 추가임의납부중인데 26년도수급예정 지금상태 중지하면 48만원 정도
      받아지는데 계속납부하면 예상금액이올라가 기초연금 불리하다고들었습니다😢

    • @SoonokLee-uk7fh
      @SoonokLee-uk7fh 2 місяці тому

      추납후 수령과 조기수령 정상수령 모두따져서 기초연금 삭감 여부 확인해보세요.
      24년현재기초연금 삭감 기준이 국민연금 484,770원 입니다.

  • @user-qf9tp5dc4s
    @user-qf9tp5dc4s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추후납부는
    안냈던 해의 값으로 내는건지 아니면 현재 내고 있는 금액으로 내는지 궁금합니다.
    20년전에 3년치 정도 안냈는데
    그때는 월급이 떡값이라서
    엄청 적은 금액으로 납부하였거든요.

    • @user-dp5fc6xw4u
      @user-dp5fc6xw4u 4 місяці тому

      추납은 지금 현재 수입의 9%를 냅니다. 수입이 없다면 9만원 ×개월수입니다.
      저는 50만원 월급받는 곳에서 4대보험 가입 후 출산휴가/육아휴직때 못 낸 국민연금 한꺼
      계산하니 84만원 나와 분납했습니다.(50만원×9%)
      만 18세부터 납입해 30년째 납입중입니다.(현재 48세)
      지금 납입하는 국민연금이 너무 적어 국민연금만 지역가입자로 바꿔 9만원씩 자비로 더 내고 있습니다.
      당연 남편보다 연금 수령액이 더 많습니다.
      40대에 노후준비는 어느 정도 마무리되어 마음이 편합니다.
      흙수저도 든든한 노후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적은 금액으로 알바 후 (업주에게 4대보험 가입 요구)추납하는게 좋습니다.
      저는 용역으로 사무실 청소 초단시간 근로하고 있습니다.(주 9시간)

    • @user-qe9vy1sm1r
      @user-qe9vy1sm1r 3 місяці тому

      현재 납부하는 금액으로 계산합니다.

  • @gentleman4491
    @gentleman4491 7 місяців тому +15

    임의계속 가입중인데 계산해보니,
    생애평균소득보다 1/5 정도로 최소로 해서 소득을 적용해도 임의가입으로 더 낸 돈은 약 5년 정도면 회수가 됩니다.
    수익률은 떨어질수도 있지만 괜찮은 수준이지요. 😂

  • @user-hr5xy6ke6z
    @user-hr5xy6ke6z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연금박사님 늘 감사 드립니다~~
    60세 이후 직장 다니는 동안 임의계속 가입을 신청할 경우 월보수액 9% 보다 더 많이 낼 수도 있는지요???

    • @pension500
      @pension500  6 місяців тому +3

      9%가 상한입니다

  • @SoonokLee-uk7fh
    @SoonokLee-uk7fh 2 місяці тому +2

    연금수령액 늘어나면 기초연금이 줄어서 그 차이도 확인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그 이유로 조기수령 신청하는 분들 많더라구요.

  • @user-no3di5gp3c
    @user-no3di5gp3c 9 місяців тому +10

    질문드립니다.
    정년퇴직후 재취업 할경우
    예전에 받던급여의 1/3수준인데도 계속 가입하는것이 유리한가요?

    • @user-lq4tm7kj8l
      @user-lq4tm7kj8l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연금납부 종료 입니다

    • @user-kw3st3ri6s
      @user-kw3st3ri6s 9 місяців тому +1

      60세까지 납부 의무입니다.
      그러나 예를들어 63세에 수급나이라면 3년 임의가입하여 추납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무조건 횟수와 납입금액 총액을 늘이는게 가장 좋습니다... 정년퇴직후 연봉이 1/3 줄었다면 납입할 수 있는 금액이 줄겁니다. 납부금액은 연금공단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pension500
      @pension500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많던 적던 더 내시는게 좋습니다~

    • @happy748612
      @happy748612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적으면 평균값이 떨어지는데요?

    • @blueberry4545
      @blueberry4545 5 місяців тому

      ​@@happy748612
      직접전화해서 상담받아보십시요
      저도최소9만원 임의가입중인데
      금액늘려평균밦맞추더라도 고작1만원정도 더받는겁니다
      그래서 그냥9만원내고있습니다
      상담받아보시고 직접듣는게 죄고입니자

  • @user-vi2sk2zz4i
    @user-vi2sk2zz4i 9 місяців тому +1

    A. B _
    뭔말인지 몰랐는데 알았어요.
    감사합니다.

  • @jae-kyoonjakeyim2670
    @jae-kyoonjakeyim2670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한가지 여쭙겠습니다. 60세 이후에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 9%를 부담해야 한다는 것은 이해하였는데, 이는 임의계속가입을 하기로 한 경우이고, 근로소득이 계속 발생하는 경우일지라도 60세 이후 임의계속가입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면 납부의무는 없는 것이겠죠? 많은 도움에 늘 감사하고 있습니다.

  • @user-mw4mr5ck7f
    @user-mw4mr5ck7f 2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작년에 정년이어서 국민연금공단에 상담해보니 임의가입 할수 있다고만 하고 장단점에 대하여 답변을 못받았는데~~
    그래서 중단했는데~~
    요즘 한달에 9만원 낼까했는데 그만둬야 겠네요
    참고로 작년 8월 회사에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ll1ev2yc2w
    @user-ll1ev2yc2w 8 місяців тому +5

    평균 떨어져도 최저로 임의가입 하는게 수령액이 늘어납니다..

  • @taewonjeung448
    @taewonjeung448 9 місяців тому +23

    60세 이후에도 회사를 다니는 등 개인소득세를 납부하시는 분은,
    국민연금 계속납부시
    *소득공제 혜택* 을 볼수 있어 납부 하는게 크게 유리합니다

  • @user-qz7yz3jq9y
    @user-qz7yz3jq9y 9 місяц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 @user-wn1dc6xc5l
    @user-wn1dc6xc5l Місяць тому +3

    이럴바엔 그냥 정년 만65세로 통일하고 4대보험 똑같이 반반 내면 되는데 뭐이래 복잡하냐
    만60세부터는 조기신청 받아서 개시하고 싶을 때 하면되고

  • @user-se1df9bb1k
    @user-se1df9bb1k Місяць тому +2

    직장생활26년하고은퇴해서 지금은 국민연금 받는중입니다
    어째거나 국민연금이 효자입니다 누가 뭐라든 아무소리말고 무조건 넣으세요
    이만한 효자가 없습니다 노후에 돈걱정없이 무난하게 살고있습니다
    거두절미하고 무조건 넣어서 60이후 돈걱정없이살기바랍니다

  • @user-ew1gf5pj1d
    @user-ew1gf5pj1d 9 місяців тому +5

    연금박사 추천으로 최고 금액으로 추가 가입했습니다

  • @user-vi2sk2zz4i
    @user-vi2sk2zz4i 8 місяців тому

    궁금합니다.
    A값
    B값을
    인지 하였읍니다.
    근데 "기본연금 금액"
    이라고 뜨는 것은
    월인지??
    년인지??
    궁금합니다.
    전 60세 까지 191개월을 넣었니다. 근데 1억이 안 되는데
    i값에서
    A값 3년 사업장에서
    넣은 기준과
    B값 현재 현금가치로 계산해서 나오든데 그게 35년 65세때 받은 연금이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 @user-hn9qs1pi5u
    @user-hn9qs1pi5u 29 днів тому

    이미 납부기간이 끝나고 연금을 수령하고 있는 남자분과 저는 황혼재혼은 했는데
    나중에 그분이 사망하게 되면
    유족 배우자 연금 수령을 받을 수 있습니까?

  • @user-lu3ti7hm1v
    @user-lu3ti7hm1v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확히 모르겠어 질문드립니다 /내년 2월 만60세 납입의무종료후 직장에서급여가 지속되는 경우에 임의가입을 안하면 --->납입안하는걸로 끝이고 /임의가입을 하게될때만 일정하게 급여의 9%라는 것이죠?

  • @user-qq6sg4we5i
    @user-qq6sg4we5i 9 місяців тому +4

    무슨 연금도 공부해가며 받아야 하나?

  • @user-lq8lz7co2v
    @user-lq8lz7co2v 7 місяців тому +8

    다들 왜 들 그러는지
    애초 약속대로 60살에 받아야지 뭘 자꾸 내라고 그러는지

    • @hongeuihyun8163
      @hongeuihyun8163 26 днів тому

      수금연령은 현재 63세이고 연금액을 올리기 위해서 내는 겁니다

  • @user-lx4dn5im8i
    @user-lx4dn5im8i 8 місяців тому +9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공단 홈피에서 예상 연금액 계산을 해봤는데,
    60세 종료 후 1년 임의가입 하니까 꼴랑 1만원 늘어나고, 9년을 받아야 1년 임의가입 본전을 찾는데요. 별로 인것 같아요.
    연금 가입횟수가 30년에서 6개월 모자라는데 30년 꽉 채우면 연금 수령에서 특별한 혜택 보는게 있나요? (수령액 늘어나는 것 말고 -_- )

    • @user-cl2bv2xz7q
      @user-cl2bv2xz7q 8 місяців тому

      특별한 해택은 없습니다. 연금액이 조금 더 늘어나는것 말고요

    • @dookim7197
      @dookim7197 3 місяці тому

      문제는 임의가입 월납입액 9만원(1년 108만원)을 다른 곳에 투자해서 국민연금 월1만원(연12만) 보다 나은 수익을 낼 수 있느냐인데, 평균수명 까지만 살아있어도 정기예금에 넣은 것보다 2배 이상 유리하다는 계산이 나오지요.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임의계속 가입을 하는 것이죠

  • @user-lo9fc6cz5m
    @user-lo9fc6cz5m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올해 6월이 남 60세 입니다. 그런데 63세가 연금 개시일입니다 소득이 있으면 무조건 9%를 연금 개시일까지 반드시 내야 합니까?

    • @JadeCome
      @JadeCome 4 місяці тому

      아닙니다 임의가입 안하시면
      안 내도 됩니다

  • @sgtno3226
    @sgtno3226 3 місяці тому

    60세 넘어 취업시에 임의 가입해도 회사 지원은 없는건가요?

  • @user-jx3de7ib6p
    @user-jx3de7ib6p 9 місяців тому +3

    국민연금상담하니 임의계속가입 추납도 일정기한꺼 밖에 낼수 없더군요.

  • @altwin07
    @altwin07 4 місяці тому

    의료보험이 같이 올라가서 한달지출이 너무 부담스럽다해요

  • @newappler
    @newappler 9 місяців тому +6

    좋은 가이드 감사드립니다.
    예를들어 B값이 5백만원이라면 9%인 45만원이러고 보면 되는지요?

  • @user-cb4is3xn7z
    @user-cb4is3xn7z 8 місяців тому +2

    60세이후 의무납부가 사라지고 직장을 여전히 다닌다면 무조건 9프로 내야되나요?
    아니면 임의계속가입 하는경우만 9프로 내나요?

    • @user-cl2bv2xz7q
      @user-cl2bv2xz7q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임의 계속가입을 할 의향이 있는 경우에만 내시면 됩니다 14:10

    • @user-my5kt3cl2s
      @user-my5kt3cl2s 2 місяці тому

      설명잘들어보세요

  • @joda1223
    @joda1223 4 місяці тому +3

    장난하세요
    회사는 나를 고용하는 것을 판단할 때 4대보험 부담까지 다 고려합니다。
    다 임금입니다。

  • @user-yb6ee1fo2p
    @user-yb6ee1fo2p 8 місяців тому +5

    네 국민연금 좋은건 알겠는데요 68세 까지 살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1인가구인 사람들은 더 억울한거 같네요. 답답한심정입니다

  • @user-rm5kx3ke1z
    @user-rm5kx3ke1z 2 місяці тому

    생각이 많아져요

    • @user-ey2kk7fp6d
      @user-ey2kk7fp6d 28 днів тому

      그러나 현실은 받을수없을거란 걱정과 조기수령자가 늘어나는 추세죠~

  • @user-ys2mp6cc5o
    @user-ys2mp6cc5o 9 місяців тому +4

    농업인 지금 50프로 내는데....60넘어서 임의계속 하면 100프로
    내나요
    ?

    • @user-vh5pg2iv6d
      @user-vh5pg2iv6d 3 місяці тому

      60넘어 임의계속기간에도 국가가 45,000원씩 지원해 줍니다. 그러므로 무조건 더 하셔야합니다.

  • @songhwanna6887
    @songhwanna6887 3 місяці тому +3

    국민연금을 3년 늦게 수령 하는 장단점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 @user-ey2kk7fp6d
      @user-ey2kk7fp6d 28 днів тому

      연금을 3년치 덜받고 죽게됩니다 무조건 일찍받는게 장땡입니다 그러다 수령못하시게될수도

  • @user-rz8fv1eb7m
    @user-rz8fv1eb7m 2 місяці тому

    사업자는60세이후에도임의가입하나요

  • @user-ds3zw2no2u
    @user-ds3zw2no2u 3 місяці тому +5

    공식을 알게되니 무조건 넣어야 겠네요
    현재 55세 입니다
    2035년 1월부터 받지만 연기연금 신청예정이고요
    한달에 들어오는 인컴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user-vv1uw8yc9n
    @user-vv1uw8yc9n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우리회사는 만54세부터 임금피크제가 적용됩니다 매년 연봉의 10%가 깎여서 만 60세가되면 70%가 삭감되는데 국민연금 납입액도 매년 줄어들건데 65세가 되어 국민연금 수령시 엄청 손해를 보는거네요?

    • @ozsamantha8724
      @ozsamantha8724 7 місяців тому +2

      70프로 감액? 너무하네요. 저흰 만55세부터 십프로씩 깎여 60세 무렵 50프로인데 우리회사 보다 더 한 회사도 있네요

    • @user-bq7cx6ix2t
      @user-bq7cx6ix2t 3 місяці тому +1

      연금받는것도 마지막 월급에서 결정되나요? 여태 낸거에서 결정되는게 아니라?

    • @given735
      @given735 9 днів тому

      어디회사가 그런가요?

  • @user-cg7cs4rc7q
    @user-cg7cs4rc7q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소득 이. 100 만원인데, 60살되면 의무종료해도 되겠죠?!

    • @JadeCome
      @JadeCome 4 місяці тому

      당연하죠

  • @user-ez6kc2dh2m
    @user-ez6kc2dh2m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추가.가입기간 설정은 보통 년 단위 인지요?

  • @redsunbg7598
    @redsunbg7598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임의가입보다는 SCHD같은 배당ETF에 투자하는 것이 낫다.

  • @TurningComposure
    @TurningComposure 3 місяці тому

    임의계속 가입시 추납을 물어보랴 했는데, 답을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과거 22년전 1년반 안낸것, 추납에서 유리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 @KK-hg5we
    @KK-hg5we 8 місяців тому +7

    국민 연금60 만원 넘어면 기초 연금이 절반정도 줄어 들어도 넣는게 나은가요?

    • @SoonokLee-uk7fh
      @SoonokLee-uk7fh 2 місяці тому

      기초연금 보존이 더 중요한 거 같아요.
      국민연금 48만4천원 이상이면
      조기 연금이 삭감되는데요.
      국민연금은 조기수령이 유리합니다.
      몇살까지 살지 장담 못하니까요.

  • @hodori000
    @hodori000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소득공제 때문에 임의계속으로 내고 있지만 납입액을 현재급여의 9퍼센트를 내도록 강제하는 것은 과도함.

    • @jeaonggulee4229
      @jeaonggulee4229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임의는 말그대로 임으적으로 하는건데. 불리하면 안하면 되는거라봅니다. 소득공제 이득보기위해 하면서 가입율이 높은것은 감수해야할 몫이라봅니다. 아시겠지만 소득공제 받는경우엔 연금수령시 소득세 납부해야함. 물론 소득공제 안받으면 수령시 세금은 면제. 연금액을 늘릴목적이 아니고 소득공제가 목적이라면 굳이 임의가입할 이유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듯...실제금액이득은 벼로 크지 않을듯 합니다.

    • @hodori000
      @hodori000 6 місяців тому

      @@jeaonggulee4229 연금수령시는 소득금액이 작을 것이므로 세율이 낮습니다. 자금 최고 세율을 맞으면 고려해야겠지요.

  • @user-jo1dd4qc3z
    @user-jo1dd4qc3z 9 місяців тому +5

    회사가
    절반의 월급을 안주었죠

  • @user-kk7rc2rg4l
    @user-kk7rc2rg4l 3 місяці тому +1

    한국에는 법을 다아는분은없지요. 실질적공평한 정의로운 법적용이 안돼는 나라라고생각합니다.

  • @younghoonkim9199
    @younghoonkim9199 8 місяців тому +7

    임의가입 했다가 연금고갈 되서 못받을수도...

    • @SoonokLee-uk7fh
      @SoonokLee-uk7fh 2 місяці тому +2

      게다가 기초연금도 삭감당하죠.

  • @saduk3
    @saduk3 7 місяців тому +5

    69년생 1억 내면
    100만원뿐이 안나옴

  • @user-gw9fq2eh1f
    @user-gw9fq2eh1f 9 місяців тому +7

    자영업자라 지금도 더블로 내고 있습니다 ㅜ

  • @user-xp3gq3bq1y
    @user-xp3gq3bq1y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영세사업주는 100프로 본인이 내니까 그다지 매력이없네요.. 앞으로 수령액낮아지고 연금고갈돼서 어떻게 될지도 모르고~

  •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60넘어서 안내도 되지만.. 임의가입 하고 있어요.. 적금 붓는셈 치고..ㅎ

  • @kimkyle5720
    @kimkyle5720 Місяць тому

    회사가 근로자 연봉을 책정할 때 국민연금 회사부담분도 고려합니다. 그러니 근로자 본인이 부담하는 것과 큰 차이 없습니다. 설명을 수정해주세요.

  • @user-kr9tj9nt7x
    @user-kr9tj9nt7x 9 місяців тому +5

    연금박사님 항상 응원할께요 ~!!
    몇일전 부산 서면에서 강의하실때 강연에 참가했던 1인입니다
    너무너무 응원합니다 🎉🎉

    • @pension500
      @pension500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응원 고맙습니다.

  • @user-kd7iw8em2qr
    @user-kd7iw8em2qr Місяць тому

    임의계속가입 할 필요없고 적절할때 조기수령이 답니다

  • @user-sw2kr6qu1c
    @user-sw2kr6qu1c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국민연금 받으면 노령연금 못받나요?

    • @dorilove5435
      @dorilove5435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국민연금 노령연금 따로 있는게 아닙니다 국민연금 안에 노령연금이 포함돼 있어요
      국민연금=《노령연금,기초연금,유족연금》

  • @user-kh9yy5hy2e
    @user-kh9yy5hy2e 9 місяців тому +5

    국민연금을 왜 삭감하냐

  • @user-vm1ej7cj9j
    @user-vm1ej7cj9j 8 місяців тому +5

    60세이후에도 임의불입 하면 금액은 늘겠지만, 반대로 기초연금이 줄지 않나요

    • @pension500
      @pension500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건 사람에 따라 다 다릅니다

    • @user-cl2bv2xz7q
      @user-cl2bv2xz7q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줄을수 있습니다. 경계선에 계신분들은 그점 참고하셔서 유,불리를 따저 보시는게 좋습니다

    • @given735
      @given735 9 днів тому

      기초연금 다 못받지않나요 현금과 집이 있으면 돈 다 자식한테 주면 모를까

  • @youngchulmoon4007
    @youngchulmoon4007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본인형편에 맞게ᆢ

  • @user-hd5zb4hp1u
    @user-hd5zb4hp1u 3 місяці тому

    국민연금 많이 받으면 기초연금 깎는다 잖아요 !!

  • @user-hk8md5lm6c
    @user-hk8md5lm6c 4 місяці тому

    12년 납입금 3800만원
    62세에 연금 받는데 446000원 받네요

  • @user-ti7vv2yg6j
    @user-ti7vv2yg6j 4 місяці тому

    문제는 연금이 고갈된다는게 문제죠..지금은 65세로 바뀌었지만 앞으로 70. 75늘어날겁니다. 회사생활하면서 지급기준은 넘겨서 연금은 조금이라도 받지만 전 그냥 주식에투자해서 노후에 팔아 쓸랍니다.

    • @DDDDTTTTDDDD
      @DDDDTTTTDDDD 3 місяці тому

      이 양반아 주식 하다 홀라당 날리면?

    • @user-ti7vv2yg6j
      @user-ti7vv2yg6j 3 місяці тому

      @@DDDDTTTTDDDD 이양반아.난 주식사면 기본5년은 가지고있는사람이야~~~

    • @user-vs1by9cd4o
      @user-vs1by9cd4o 2 місяці тому

      ​@@DDDDTTTTDDDD주식도 여러가지 있죠 배당주.스윙 .트레이딩 등등, , 은퇴하고 돈걱정없이 꾸준히 버는 주식인 입니다

  • @user-yb6ee1fo2p
    @user-yb6ee1fo2p 8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냥 받았을때 좋은점만 말씀하시는데 현실적으로 연금을 못받게 되는경우도 말씀을 해주시죠 솔직히 나라도 임의계속가입 하는이유가 연금 기금이 계속 빵구나기 때문 아닌가요

    • @pension500
      @pension500  8 місяців тому

      나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젊을수록 불리해지죠..

    • @user-yb6ee1fo2p
      @user-yb6ee1fo2p 8 місяців тому +4

      @@pension500
      절대 선생님을 비하할생각은 없습니다.
      국민연금? 받을수있으면좋죠.근데 받을 나이를 자꾸 연장시키니까 짜증이 나는거 아닙니까... 제가 받을나이되서 또 연장되서 70세까지 안간다는 보장있나요? 나라 정책이 주먹구구식으로 그때그때 바뀌니 답답해서 그럽니다

  • @ssam1730
    @ssam1730 7 місяців тому +5

    조기사망 확률이 높아서 한시 빨리 타자😂

  • @user-hd5zb4hp1u
    @user-hd5zb4hp1u 3 місяці тому

    재산 관계없이 국민연금 60만원 넘으면 기초연금 삭감되나요?

    • @user-tv6ie2pc5d
      @user-tv6ie2pc5d 2 місяці тому

      네 ,, 만이받으면 100만원 이상 이면 10만원 정도 차감댑니다 ,,

  • @Qwerttdfh
    @Qwerttdfh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절반을 회사가 내주는게 아니죠 내가 받을 돈을 회사가 덜 주고 연금공단에 대신 낸다고 봐야하죠

  • @gil3934
    @gil3934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박사님 연금박사님. 이거보니 답이 나오네요. 감사합니다. 국민연금이 어떻게 개편되든 국민 대사기될판이란거죠?

  • @briansong9088
    @briansong9088 20 днів тому

    연금 금액 늘린다고 임의가입+ 수령일미루기 등은 하지 마세요.. 죽쒀서 개줍니다.
    연금금액이 일정비율이상이 되면 의료보험피부양자 자격을 잃어서 몇십만원씩 의료보험 내야 하구요
    기초연금 탈락 되구요.. 여러가지로

  • @user-wv4rn2hi5f
    @user-wv4rn2hi5f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국민연금공단에 전화해 내회사니 계속 떼가라하니 안된다 하네요! 그냥 계속 내고있네요

  • @cattom6857
    @cattom6857 2 місяці тому +1

    국민연금은 60세까지내고 받는거는 63~65세부터 받으니 제도가 한참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직장을 연금받을때까지 다닐수있게 의무적으로 해야하지않을까

    • @user-vk4lo8wj6s
      @user-vk4lo8wj6s Місяць тому

      60세까지 의무 끝나고 63세 받는 사람인데
      제도가 불공평 하다고 봐요 정년을 65세로
      늘려 주던가

  • @user-wk1ok1gd3z
    @user-wk1ok1gd3z 6 місяців тому +3

    국민연금 고갈되고있는데 내라고 부추기네

  • @user-kh9yy5hy2e
    @user-kh9yy5hy2e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연금을 삭감 하는데 무슨 꼴이냐 결국 국민연금 내는것이다 계산 좀 잘하시요

  • @user-lg5zj2fc5r
    @user-lg5zj2fc5r 5 місяців тому +2

    건보료 폭탄맞아요.

  • @user-zn1oq6rv8p
    @user-zn1oq6rv8p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말씀 천천히 해주세요,
    잘안들려요...

  • @user-vf4ri8pu3o
    @user-vf4ri8pu3o 4 місяці тому

    69년생이고 직장에서 최고구간 연금납입액 내지만 월 200 연금 못받아요.

    • @user-sf4sq5kh2s
      @user-sf4sq5kh2s 4 місяці тому +2

      국민연금 월 200백 받을수 있다면 상의1%입니다

  • @user-bw3fb5sf6s
    @user-bw3fb5sf6s Місяць тому

    자영 업할때열심히내고나서탈때 80십받다가지그은93만원받습니다

  • @user-wc3cq6dq5o
    @user-wc3cq6dq5o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국민연금을 2백이나 준다구요?

  • @user-nn4ko2sc2x
    @user-nn4ko2sc2x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나 국민연금30년 냈다 그냥 내돈 돌려줘 나 연금 받을때까지 못살아 얼마남지 않은인생 단하루라도 즐기다 죽게 연금 돌려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