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추후납부 잘못하면 1푼도 못 받을 수 있습니다. 이 3가지는 꼭 확인하세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5 жов 2023
  • 국민연금 추후납부 언제 해야 좋을까?
    늦게 할까? 일찍 할까?
    정답은...
    '최대한 늦게 하라'입니다
    📢 국민연금 추납을 일찍하면 안 되는
    3가지 이유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국민연금은 제도입니다
    제도를 잘 공부하고 이해하셔야
    더욱 더 행복한 노후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노후준비에 연금박사가 항상 함께하겠습니다
    -------------------------------------------------
    🟠 연금에 관한 모든 궁금증은?
    👉🏻 연금박사 상담센터
    【전화】 1800-3624
    【홈페이지】 www.100-500.kr
    【이메일】 100-500@naver.com
    🟠 연금박사 블로그
    👉🏻 blog.naver.com/100-500
    #국민연금 #추후납부 #추납

КОМЕНТАРІ • 161

  • @pension500
    @pension500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 연금에 대해 궁금한 점 있다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 연금박사 상담센터
    【전화】 1800-3624
    【홈페이지】 www.100-500.kr
    【이메일】 100-500@naver.com

    • @user-dw2eg5fd1p
      @user-dw2eg5fd1p 2 місяці тому

      이혼후에 분할연금 받을 수 있는방법 좀알려주세요.

  • @user-kq7on5ec3v
    @user-kq7on5ec3v 3 місяці тому +51

    추납기간이 단축될 수도 있고 없어질 수도 있고..결코 지금보다 좋아질 수는 없을듯해요 최대한 빨리 넣는게 좋아요

  • @JAY_Mouse_33
    @JAY_Mouse_33 3 місяці тому +51

    국민연금 개혁 2가지를 제안합니다. 1. 형평성에 문제있는 추납 및 반납제도 없애야 형평성에 맞습니다. 2. 중국인등 외국인이 한국에 거주하고 일할때 잠깐일 한것가지고 추납으로 평생연급축냅니다. 국내 합법적 거주 기간만 연급가입해주고 10년 안되면 연금지급하면 안됩니다. 미국도 그리합니다. 자국으로 돌아간 경우 나중에 연금막아야…. 세계적인 호구 국민연금!

    • @user-iu5kv7jn5z
      @user-iu5kv7jn5z 26 днів тому

      맞습니다. 젊어서 국내에서 세금도 안내고 해외에서 돈벌고 그 나라에 세금낸 인간들이 늙어선 한국와서 건보료 국민연금 헤택 다 가져가는데 국민들이 이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

  • @fggrfdfefgtff507
    @fggrfdfefgtff507 7 місяців тому +9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감사합니다

  • @user-xm2mm6th3f
    @user-xm2mm6th3f 4 місяці тому +4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nr6iy4ms5g
    @user-nr6iy4ms5g 3 місяці тому +3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yb3vt3zi3p
    @user-yb3vt3zi3p 7 місяців тому +13

    쉽게 잘 설명해주셔셔 도움 마니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de1ng9bx6e
    @user-de1ng9bx6e 3 місяці тому +2

    우와 역시 박사님이십니다❤

  • @user-vs9sy4pt1o
    @user-vs9sy4pt1o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bj5dk1gt1x
    @user-bj5dk1gt1x 7 місяц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 @user-yf6jt1pv9f
    @user-yf6jt1pv9f 4 місяці тому +3

    연금 박사님 말씀 지금 절실히 느끼고 있어요

  • @user-ss6fo8nw1m
    @user-ss6fo8nw1m 7 місяців тому +19

    직장인이면 추납어 대한 소득 공제있어 고소득자는 대략 35%환급 받는 금액이 있습니다 그 점도 큰 고려 사항 일 듯 합니다

  • @user-yf6jt1pv9f
    @user-yf6jt1pv9f 4 місяці тому +12

    저도국민연금이 최고 인듯합니다

  • @user-nt3ky1ju9x
    @user-nt3ky1ju9x 3 місяці тому +4

    저도 조금씩 내고있어요
    나중에 한꺼번에 내는거 쉽지않아요

  • @shyoon322
    @shyoon322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도움이 됐습니다.감사합니다.

  • @jhk2205
    @jhk2205 3 місяці тому +1

    🙆‍♂️좋아요 ~ 감사합니다 ~,~🫶

  • @travellerworld8966
    @travellerworld8966 2 місяці тому +4

    추후 납부를 하면 국민연금 수령액은 증가하겠지만, 그만큼 건강보험료도 증가할 수 있는데요.
    그 부분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 @hongeuihyun8163
    @hongeuihyun8163 19 днів тому +4

    소득대체율의 매년 0.5% 낮아지는 걸 고려할 때 빨리 내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

  • @user-ee1yn1or6u
    @user-ee1yn1or6u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사망일시금은 얼마정도 나오나요? 어떤식으로 계산이 되나요

  • @user-rm5kx3ke1z
    @user-rm5kx3ke1z 3 місяці тому +2

    많이 도움됐어요

  • @user-tn1qc4ju8q
    @user-tn1qc4ju8q 7 місяців тому +6

    법 개정전에 이미 10년 추후납부를 한적있고 지금은 납부유예중인데 법개정이후 안낸금액을 나중에 또 추후납부를 할수 있는거지요?

  • @jooyangson7856
    @jooyangson7856 5 місяців тому +6

    추납 금액에 대해서 소득공제를 받는 경우도 감안해서 설명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ahjgd1106
    @ahjgd1106 5 місяців тому +7

    늦게는 내고싶어도 낼돈이 없을수도있어요 만65세가 다되어가는데 여윳돈이얼마나될까요 조

  • @MKLEE-kf2dz
    @MKLEE-kf2dz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 @user-zq7gm6yb4w
    @user-zq7gm6yb4w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혼하면 연금제도가
    어떻게되는지 궁금합니다

  • @user-fm5go7xq1g
    @user-fm5go7xq1g 7 місяців тому +18

    저도 한20개월정도 추납할수있는데
    60세나 65세 가까이에 가입해야겠습니다.
    지금 납부하고싶지만 돈이 없네요.

    • @user-kw3st3ri6s
      @user-kw3st3ri6s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여유가 있는대로 조금씩 나눠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userzzang
    @userzzang Місяць тому

    60개월분 1200만원 추납하려다.. 계산해 보니 월7만원정도 연금이 올라가는데.. 일찍죽으면 돈날리고.. 차라리 이율높은 정기예금이나 개인연금에 넣는게 낫지 않나 싶어.. 추납 단점을 검색하다 이 영상을 만났습니다.
    궁금했던 사항을 꼭꼭 짚어 명쾌하게 알려주시네요
    60세이후 소득 적을때 추닙을 하던지 해야겠어요. 가성비땜시..

  • @user-vk1tx1zh2b
    @user-vk1tx1zh2b 3 місяці тому +3

    그동안 국민연금 내기 아까워서 대부분의 횟수동안 안넣었는데😅

  • @user-ll1ev2yc2w
    @user-ll1ev2yc2w Місяць тому +1

    10년까지 추납 없어지기전에 신청해야지요^^

  • @user-lx4dn5im8i
    @user-lx4dn5im8i 3 місяці тому +1

    올해 생일 지나면 조기 자격이 주어지는데. 고민이 많아. 30% 감액은 너무 많다.

  • @user-so3zm7tq7t
    @user-so3zm7tq7t 7 місяців тому +20

    그냥 돈 있을 때 넣어요. 달달이 조금씩 넣어요. 안 모으면 흔적도 없이 사라집니다.
    ㅋㅋㅋ

  • @user-dk6lr6hn2y
    @user-dk6lr6hn2y 4 місяці тому +3

    추후 납부가 좋을까요
    그러면 기초 연금 삭감되는되요

  • @user-qh4tf4br5o
    @user-qh4tf4br5o 6 місяців тому +8

    정말 감사합니다
    내일 월차 내고 추후납부하러 가려다
    다행히 영상을 시청을 하고
    큰 도움 됐읍니다 감사합니다
    더구나 저는 자식이 없는 혼자라 유족도 없읍니다
    다시금 감사드리며 선한 영향력으로 아낌없이 베풀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messilionel6316
    @messilionel6316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벌써 냈어유

  • @romeojb2
    @romeojb2 2 місяці тому +2

    갑론을박이 있는게요. 나중에 추납하면 금액이 많아지더라구요. 당연한 얘기겠지만요. 돈 여유 있을때 내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지금이든. 나중이든요.

  • @user-xt6cv4vv7k
    @user-xt6cv4vv7k 3 місяці тому

    안녕하세요.
    연금박사님 채널을 자주 보고 깨달은게 있는 구독자입니다
    너무 궁금해서 그런데요.
    내년에 국민연금을 130만원정도 받고, KB시세 아파트 5억원짜리 1채 있는데 기초연금 얼마라도 받을수 있겠습니까?

  • @moonlight-dy1nx
    @moonlight-dy1nx Місяць тому

    소득대체율이 올라가면 기존에 추납했던 사람들이 가만있겠어요? 본인들 손해가 뻔하고 형평성에 어긋나는데ᆢ제도에 따라 대응하는건 맞지만 불합리한 부분은 수정이 되겠죠

  • @user-tx8dh4vx5t
    @user-tx8dh4vx5t 6 місяців тому +13

    저는 10년치 추납하는중인데 5년분할해서 내년이면 끝납니다. 천만원가까이 추납하는건데 18만원 올라갔습니다. 경우에따라 다릅니다~

    • @young6744
      @young6744 2 місяці тому +4

      저도 추납 119개월 납부 하니,30만원 정도 올랐어요.

  • @user-cc8dg7rm7f
    @user-cc8dg7rm7f Місяць тому +1

    추납하고 기초연금
    짤렸는데
    다른유트브에선
    추납 하라네요
    국민연금 많이 나온다고요

  • @user-sq8ys6el2v
    @user-sq8ys6el2v 6 місяців тому +11

    2020년 12월전까지는 무제한이였는데 이제는 119개월만 되는군여..아쉽네여ㅜ 알았다면 미리 추납했을텐데..애구

    • @user-io5pf9os6i
      @user-io5pf9os6i 2 місяці тому

      불리지못하고 날리수도 있다는거~

  • @user-cp1cy4fw5k
    @user-cp1cy4fw5k 2 місяці тому +1

    의료보헝오르나요

  • @user-ru3sc6bk8k
    @user-ru3sc6bk8k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임의가입해 높은금액으로 선납으로 한상태에 금액을 낮추어 차액 돌려 받을수있을까요?😢

  • @hongeuihyun8163
    @hongeuihyun8163 19 днів тому +3

    이 분 국민연금에 대해서는 제대로 모르고 자극적으로 영상 만드는 사람인 듯..

  • @user-ls4el7rt7t
    @user-ls4el7rt7t 3 місяці тому

    돌아가는건 같죠. 늦게내고 뒤에 바로죽음 그게그저죠. 언제죽을지 어찌안다고

  • @user-qo4zt1pr9r
    @user-qo4zt1pr9r 5 місяців тому

    궁금한것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고정월급은 아닌데 기본금은 백만원이고 수당을 포함하면 이백만원정도됩니다 그런데 회사에서는 의료보험은 그달받는월급에서 제대로 퍼센트로 납부하는데 국민연금은 백만원에대한 퍼센트계산을 해서 월급계산하는데 그렇게 계산을해서 사업주에게 이득이되서그런건가요?

    • @user-ox5gw6yn7u
      @user-ox5gw6yn7u 4 місяці тому

      국민연금 보험료는 한번 결정되면 다음해 7월에 변동됩니다. 급여가 아무리 변동되어도 국민연금은 그때마다 달라지지 않고 그해의 소득을 기준으로 다음년도 7월부터 기준소득월액이 결정됩니다.

  • @user-ic7rn5dv4k
    @user-ic7rn5dv4k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문의드립니다. 현재 직장인이고
    내년 2월이면 만 60세가 됩니다. 연금 납부 가능 기간이 두 달 남았습니다 그런데 중간에 안 낸 기간이 있어서 추후납부 가능합니다. 추후납부 하려는데 남은 두달에 걸쳐 추납액 전액을 내야 하나요?

    • @user-kw3st3ri6s
      @user-kw3st3ri6s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노령연금 수급전인 62세 12월까지 납부가능합니다.
      그리고 60세가 되는 2024.2월부터는 국민연금을 더이상 납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임의가입하여 62세12월,즉 2027년 2월까지 납부할 수 있습니다. 그 때까지 재직한다면 소득기준 납부할 수 있고,퇴직하면 지역가입자로 하여 개인이 해당금액 100%납부하면 됩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거주지역 국민연금 공단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user-ic5jj1lh4m
    @user-ic5jj1lh4m 6 місяців тому +8

    현재9%에서 13% 대로 올라가면 추납도 올라가지않나요?
    추납은 9% 그대로 인가요?

  • @user-vi9lc3vi8d
    @user-vi9lc3vi8d 2 місяці тому

    제가 2급장애인입니다 국민연금공단 문의 하였는데
    제가 임의가입자가 아니고 지역가입자로 해야한다고 만27세 이상이고 미혼이라고... 맞나요? 예시)우선! 국민연금 가입을 하고 납입하다가 5년, 정도 사정상... 일시중단을 하고...세월이 흘러~ 어머니가 사망하시고 유족연금으로 전환 돼어 제가 수령할때~ 유족 연금을 선택하면 , 5년 낸 제 국민연금을 다 돌려 받을수 없다하네요. 일부만 받을수 있다 하네요 제가 안내 받은 내용이 맞나요? 또 제 수령 나이는 만68세입니다 장애인인데 국민연금을 들어야 할까요? ㅠㅠ

  • @user-wx8fw1xl3x
    @user-wx8fw1xl3x 6 місяців тому +5

    20년에 이미 10년이상 추납해서ㅋ

  • @user-qg1kw8se8s
    @user-qg1kw8se8s 4 місяці тому +3

    과거 퇴직시에 연금환급받은사람도 추납가능한가요?

    • @numloc7172
      @numloc7172 4 місяці тому +1

      가능합니다. 반환일시금 다시 내시고 추납도 하시고 저도 그렇게 하고있습니다..

    • @user-qg1kw8se8s
      @user-qg1kw8se8s 4 місяці тому

      좋은정보답변 감사합니다

  • @user-fq2ub7vi8m
    @user-fq2ub7vi8m 6 днів тому

    추후납부 늦을 수록 이자 붙어요.
    빨리 납부하는 것이 좋아요.

  • @user-vy7zh3ql5e
    @user-vy7zh3ql5e 5 місяців тому +3

    무조건조기수령정답

  • @user-bh1lu9kp3i
    @user-bh1lu9kp3i 3 місяці тому +2

    30대 중반입니다 첫번째 : 급여는 점점 올라간다는 가정 . 두번째 : 성장률과 출산율이 유지되어 과거 30년 물가상승률보다 앞으로의 30년의 물가상승률이 훨씬 적다는 가정 . 세번째 : 평균수명인 80세 이상 생존한다는 가정 . 네번째 : 연금이 개혁되어 더내던 덜받던는걸로 개정된다는 가정 . 다섯번째 : KDI에서 발표한 세대별 연금으로 신연금으로 분리된다는 가정 이 가정들이 성립할때 추가납입 119개월 다 하는게 유리할까요? 대충 계산해보니 저는 추납시 늘어나는 월 수령액이 추납원금에 도달하기까지 5.6년정도 걸리고 그걸 예금에 30년동안 넣을시 받는 이자에 추가로 도달하는것도 4년정도라 수령후 10년째부터 즉 75세부터는 굉장히 유리한거 같은데 맞을까요?

  • @user-zr3rd3cs3h
    @user-zr3rd3cs3h 6 місяців тому +40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수는 있겠지만, 저도 일찍 내는것이 맞는것 같습니다. 집에 여유가 많은 사람이야 지금이나 10여년뒤나 별반 차이가 없어 납부에 부담이 없겠지만,
    일반 월급쟁이들은 돈벌때 추납하지 않으면 나중에 목돈 넣기가 숩지 않을수 있을것 같아요. 그냥 주식에서 손해본샘치고 일찍 추납했습니다.

    • @user-bm3jj9zc3c
      @user-bm3jj9zc3c 4 місяці тому +4

      잘하셨네요.주식해서 개미가 벌긴 힘들어요 그냥 정기 예금이면 모를까.... 거기서 다 날리는거 보다 추납이 났죠 ㅎ

    • @ppkwak
      @ppkwak 3 місяці тому +2

      또다른 장점이 목돈은 자식들 손타지만 연금은 안전하죠~ 😊

  • @user-gi3pf3xg8k
    @user-gi3pf3xg8k 3 дні тому

    연금 개혁 후 추납을 하면 9%가 아닌 12%~13% 내게 되는데 부담이 안될까 싶네요.

  • @hyunsoogel
    @hyunsoogel 3 місяці тому

    지역가입자로되고나서 20개월을 안냈는데... 바로 통장압류가 들어오더라구여. 한번 압류를 당했고 이번에 남은 금액도 내라고 하면서 안내면 압류릉 한다고 하는데 이것도 추후납후를 할 수있나요? 이게 구마다 정책이 틀린건지 다른지인들은 안내도 압류가 안들어오던데 왜구런건지 참..

    • @user-uh2fd8kp3d
      @user-uh2fd8kp3d Місяць тому

      희안하네요 압류안들어오는게 맞아요 납부유예신청을 따로 해보세요

  • @sanglee7877
    @sanglee7877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어차피 저소득 직종에 있는 사람은 직장에 있을 때 추납하는게 맞겠죠
    왜냐
    나중에 회사 퇴직하면 지역가입자가 되어 보험료가 확 뜁니다
    그 보험료x추납기간 따지면 저소득자가 감당할 금액이 안됩니다
    가성비도 떨어지고요
    월급 150만원 정도 받는다 그러면 회사 다닐 때 추납하는게 낫다고 봅니다

  • @user-of5kq1wo1e
    @user-of5kq1wo1e 3 місяці тому +1

    궁금사항 있습니다?
    30년 전 30개월 군복무 공백기간
    추후납부시 30년에 대한 이자율이 상당할 것 같는데 국가에서 원금외 이자부담 없시 현재시점에서 30개월 만큼 불입하면 가능한지요?

    • @user-ls4el7rt7t
      @user-ls4el7rt7t 3 місяці тому

      네 가능합니다.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해보세요.

  • @yserahearthstone3332
    @yserahearthstone3332 7 місяців тому +2

    DC형 퇴직연금 증권사를 추가해달라고 회사에 요청을 했는데
    서류작업 번거롭고 하는 사람이 적어서 안해준다고 하는데
    저는 증권사로 하고 싶은데 방법이 없는건가요?

  • @user-cp5vl4co9h
    @user-cp5vl4co9h 4 місяці тому

    질문드려요~
    54세 직장인 입니다. 공단에 상담해보니 119개월 추납 가능하고 노후에 백만원 정도 받을 계획이라 했더니 2천6백 추후납부 하면 된다고 하던데 100만원 연금받으면 건보 많이 내나요?

  • @TV-op6uq
    @TV-op6uq 6 місяців тому +7

    돈 몇 푼에 잔머리 굴리지 말고
    더 큰 것에 수익을 내라.

  • @user-sd3ol7gp5d
    @user-sd3ol7gp5d 4 місяці тому +1

    연금일찍 가입하는것이 좋다고 하셨었는데... 18살 가입하고..추후 납부하면 ..오랜시간..가입기간이 중요하다고 하시지 않았나요?

  • @user-lq8lz7co2v
    @user-lq8lz7co2v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조기 수령 50만 원이면 평생 50만 원만 나오나요 아니면 매년 물가 상승률 반영하여 조금씩 오르나요

  • @user-lx4dn5im8i
    @user-lx4dn5im8i 7 місяців тому +7

    내년에 조기 신청 할려고 추납 질렀습니다.
    원래는 65세까지 악착같이 버틸려고 했는데, 개혁안이 68세가 된다네요. 그러면, 못 버텨요.
    혹시라도, 조기 신청 나이도 늦춰질까, 불안감에 올해 추납 했고 내년 2월에 조기 신청 할 생각입니다.

    • @youngKim000
      @youngKim000 7 місяців тому +9

      당장 시행은 아니고 2025년 정도부터 예정이라고 합니다 저도 얻어들은 내용입니다😅*69년생~72년생
      > 65세 지급~
      *73년생~76년생
      > 66세 지급~
      *77년생~80년생
      > 67세 지급~
      *81년생~
      > 68세 지급
      이라던데...
      잘 확인해보시고 신중하게 진행하심이 좋을듯합니다 😊

    • @sukic4425
      @sukic4425 7 місяців тому +2

      현명하십니다😊

    • @user-nk1uj8it6u
      @user-nk1uj8it6u 6 місяців тому

      ​@@youngKim000❤😂

  • @user-ee8rt1oe4i
    @user-ee8rt1oe4i 3 місяці тому

    예전 직장에 다니다가 (약 25년전에 ) 국민연금을 일시금으로 받았습니다. 그 후 10여년 전 부터 다시 직장에 다니고 있습니다. 급여가 그리 높지 않아 불입액은 그다지 높지는 않은데요. 얼마 전 일시금 반환금 제도라는 게 있다고 들어서 알아보니, 제가 받은 일시금의 거의 두배를 다시 반환하면, 현재 불입한 것보다 훨신 많은 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일시금 반환도 추납처럼 늦게 하는 게 나을가요? 워낙 금액이 커서 24개월로 할부 납부하는 것도 있더라구요. 할부로 내는게 나은지. 목돈으로 내는 게 나은지도 알려주세요.

    • @user-vh5pg2iv6d
      @user-vh5pg2iv6d 3 місяці тому

      일시금반환시 토해낼 이자%와 그 돈으로 투자했을때 얻을수 있는 수익율을 비교해 보시고 판단하면 되겠지요.

  • @user-ob8bj7im3o
    @user-ob8bj7im3o 3 місяці тому

    추후납부하려고하니 해마다못낸이자적용해서 납부하라고하네요

    • @user-hc4bc9vb6b
      @user-hc4bc9vb6b 2 місяці тому +1

      추후납부는 일시금으로 납부시 이자는 없고, 추후납부 일시금이 부담되어서 분할하여 납부시 분할에 대한 이자는 있습니다.
      참고로 이와 별개로 예전에 반환일시금 이라 하여 중간에 찾은 사람이 있는데 이것을 다시 반환하는 것을 반환일시금 반납금이라 하며 이것은 이자가 있습니다. 만약 여기에 해당되는 분이 있다면 이자를 부담하더라도 이것은 무조건 반납하는것이 매우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같은 개월수 추납보다 몇배 이익 입니다. 반납전 원금+이자부담 총액이 얼마며 , 납부시 이로인한 증액된연금이 얼마인진 알려 줍니다. 금액대비 수익비가 놀라울 정도 입니다.

  • @user-wj5ko8kp6k
    @user-wj5ko8kp6k 7 місяців тому +3

    국민연금은 회사4.5 근로자 4.5자나요. 예를 들어 지금 직장에서 국민연금 20만원을 낸다고 했을경우 추후납부 금액이 20만원x개월수 인가요? 아니면 10만원x개월수가 되는건가요?

    • @kansei74
      @kansei74 7 місяців тому

      추가납부시 정할수 있습니다. 저는 기간만 늘리려고 월9만으로 계산했습니다.

    • @user-kf7rw3ji3g
      @user-kf7rw3ji3g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소득액의 9프로 납부니깐 추납한다면 20만원 나가는걸로 알고있어요 회사가 개인의 추납에 반을 납부해주는건 아니니깐요

    • @user-wj5ko8kp6k
      @user-wj5ko8kp6k 7 місяців тому

      @@kansei74 정할수가 있어요? 지금 보험료와 상관없이요? 그리고 추납을 미리 하능게 좋을까요?

    • @kansei74
      @kansei74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wj5ko8kp6k 죄송합니다. 제 기준으로 말했네요. 소득기준으로 납부하셔야 합니다. 저는 그때 잠시 소득이 없을때 최저 월소득인 100만원으로 계산해서 그렇습니다.

    • @user-jn2od5sk7o
      @user-jn2od5sk7o 7 місяців тому +2

      20×개월수입니다
      추납한 사람입니다

  • @user-ri2zw2ip2r
    @user-ri2zw2ip2r День тому

    반대생각 왜냐면 이미 무제힌 에서 10넌 으로 줄어 들었고 앞으로도
    지금보다 나을거라는 생각은 도박같은
    생각 입니다

  • @user-wj8nq1sj1l
    @user-wj8nq1sj1l 5 місяців тому

    연금 수령 연도가 24년도 입니다
    연금 추후납부 상담시 이젠납부할수가 없다고 하던데요 임의가입자가 아니어서 그랬던걸까요?

    • @user-gt1ob2yg8m
      @user-gt1ob2yg8m 3 місяці тому

      이미 수령 중이면 추납 안되죠 😢😢

  • @So-nx1kd
    @So-nx1kd 11 днів тому

    배우자가 공무원연금받으면 본인사망시 유족연금 지금 안되나요?

  • @jeaonggulee4229
    @jeaonggulee4229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연금박사님 2번째 항목엔 약간 문제가 있음. 소득대체율 올라간거보다 납부요율(9%-13%)상승 리스크가 더 클거같음. 고로 죽을자신 없는분이 추납을 고려하고 있다면 내년 납부요율 오르기전에 추납하는것이 유리하다 봅니다.

    • @pension500
      @pension500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추납을 적게 한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개인연금보다 가성비가 좋다면 많이 할수록 좋아요~

  • @user-gr9tm1uo5e
    @user-gr9tm1uo5e 4 місяці тому +7

    추후납부 몰랐는데. 여기 유툽시청하고 1월말 천칠십일만원 납입하고 2월달부터 연금받게 됩니다
    잘한일인가요!

    • @user-gr9tm1uo5e
      @user-gr9tm1uo5e 4 місяці тому +4

      119개월 추납하니까 321000원에서 20만원 상승했어요

    • @user-gr9tm1uo5e
      @user-gr9tm1uo5e Місяць тому +1

      정확하게 223380원 상승해서 2개월째 받고있지요

    • @user-px8hk8cg9p
      @user-px8hk8cg9p Місяць тому

      축하합니다!!

  • @smile7316
    @smile7316 4 місяці тому

    국민연금 고갈나네 마네 하던데 추후납부를 왜 119회만 받나요? 200회까지 받아버리지.

  • @user-mj6qi8vl4k
    @user-mj6qi8vl4k 7 місяців тому

    ㅇㅋ

  • @user-yy9zy3kb7k
    @user-yy9zy3kb7k Місяць тому

    개인적 의견이지만 저의 의견이 맞는지 모르겠지만
    추납을 하면 납부금액의 백프로 소득공제됨. 납입금액의 일부를 환급받음. 세액공제가 아니므로 고소득자는 상당하게 유리함. 납입기간 변화로 장애 또는 유족연금 올라가서보험으로서 상당히 매력적임(팩트체크 필요) 국인연금은 납입 중 장애 또는 사망시 유족연금을 가입기간에 따라 차등지급하는 걸로 알고 있음.
    어차피 국민연금은 보험성 상품입니다. 계산기 두드리지 말고 능력될 때 추납하여 하세요. 나중에 늙어서 못합니다.

  • @user-rb2ey5ym4j
    @user-rb2ey5ym4j 4 місяці тому +2

    늘 잘 보고 도움 많이 받습니다.
    올해 3월에 64세, 만 63세입니다.
    저는 작년에 연금공단 문의했을 때 76개월이어서,
    기본 9만원× 76= 684만원 내면
    월 20만원 받는다고 합니다.
    최대한 늦게 넣으라고 해서 연금 받으려면 이제 3월 전에
    추납 684만원 내야하겠지요?
    만약, 천 만원을 내는 것과
    684만원만 내는 것, 어떻게 다른지요...
    소득대체율이 지금은 어떤지 모르지만,
    이제는 추납을 해야 될 거 같아 문의드립니다.
    참, 저는 유족이 없습니다.
    바쁘신 중에 답변 주시면 좋겠습니다.

    • @user-hp7ot5to6p
      @user-hp7ot5to6p 4 місяці тому

      월받는금액이 올라가겠지요 돈을 더내니

  • @user-sb1rx9xz7d
    @user-sb1rx9xz7d 7 місяців тому

    공무원 연금 개혁안 ??

  • @johan-mg1fh
    @johan-mg1fh 7 місяців тому +1

    57세에 명퇴를 하고 낮아진 급여로 1/3 다른곳에 다시 취직하면 국민연금 납부도 작아진 금액으로 60세까지 다시 납부하게 되는데 65세에 받기로 했던 연금 예상 수령 금액도 작아 집니까?
    그러면 그전에 내던 금액에서 부족한만큼 개인적으로 추가로 더 내는 방법은 없습니까?

    • @user-cl2bv2xz7q
      @user-cl2bv2xz7q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없습니다. 그 차액을 추가로 낼수있는 제도가 없습니다.

    • @user-hu8hz2sv8v
      @user-hu8hz2sv8v 7 місяців тому +6

      일단 현제기준 60세이후에 연금납입이 완료되면 지역가입자로 전환해서 65세 연금 수령 이전달까지 연장납입을 신청하시고 납입하실수있어요, 개인이라 100프로 자기부담이구요, 연금월납입액도 자기가 선택가능하구요

  • @user-se1ut9sq8s
    @user-se1ut9sq8s 26 днів тому

    우리집은 퇴직후 재취업이 가능한 직군인데 연금액도 종합소득세 합산된다하니 연금액 올라가는것도 걱정이네요..
    그래서 연말정산용 연금저축 재연장안하고 10년 기간으로 미리 받을까 싶네요.이것 제외하고도 월400수령 예상하는데 건보료 폭탄맞을듯합니다.ㅜㅜ

  • @symphssymphs1286
    @symphssymphs1286 3 місяці тому

    11분부터 보면 되겠네요
    그런데 언제 죽을지 누가 알 수 있을까요😅😅😅

  • @user-oy5js5jb1y
    @user-oy5js5jb1y 4 місяці тому +1

    일을 한적없는 주부도 추납되나요

    • @user-pd9jw9pu9w
      @user-pd9jw9pu9w 4 місяці тому +2

      국민연금 한번이라도 내셨으면 안낸기간(119개월까지) 추후납부 가능합니다

  • @leesb3333
    @leesb3333 2 місяці тому +1

    추납한 금액에 대해서는 연말정산 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user-bt6ed8ne6b
    @user-bt6ed8ne6b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남편이 64년생인데 국민연금120개월을 못채웠다면 만 60세가 넘었기때문에 일시반환금 청구할수있나요??~추납할형편이 안되서 연금을포기하려구요

    • @user-di3tl9mo2t
      @user-di3tl9mo2t 6 місяців тому +13

      아무리 어려워도 연금은 포기하지마세요
      10년 채우면 죽을때까지 연금나오고 남편이 먼저 사망시 유족연금도 받을수있습니다
      일시 상환금 받으면 흐지부지 없어질건데 다시 한번 생각해보세요
      3~4년 후부터 연금받잖아요

    • @user-tx8dh4vx5t
      @user-tx8dh4vx5t 6 місяців тому +13

      아니 이렇게 유리한 나이대의 분이 연금왜 포기하시나요. 10년채워서 받으세요. 나이더들면 후회하십니다.

    • @user-mf4im3bs8b
      @user-mf4im3bs8b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절대 포기 아니되오

    • @user-fg7ks9xk9f
      @user-fg7ks9xk9f 4 місяці тому +3

      저도같은사항인데 나머지는매달 연금받기전까지 낼 생각입니다ㅡ2월부터 납부예정 ㅡ지금일시금으로 받으면 흐지부지쓰게됩니다ㅡ 나이들어소액이라도 꾸준히 입금되는돈이 생활에 보탬이된다는 생각입니다

    • @user-ub2wh1sn2v
      @user-ub2wh1sn2v Місяць тому

      포기하지마십시오
      모조건이익입니다

  • @user-ls4el7rt7t
    @user-ls4el7rt7t 3 місяці тому

    임의가입자 연금보험료 인상될수도있으니 일찍내는게 좋아요. 지금 윤정부에서 연금개혁하려고하는데 그때되면 임의가입자 최저보험금도 인상됩니다.

  • @sobegang9336
    @sobegang9336 3 місяці тому +1

    추후납부?이자졸라 비싸다. 추후납부. 하지마라.

    • @user-hc4bc9vb6b
      @user-hc4bc9vb6b 2 місяці тому

      추후납부는 일시금으로 납부시 이자는 없고, 추후납부 일시금이 부담되어서 분할하여 납부시 분할에 대한 이자는 있습니다.
      참고로 이와 별개로 예전에 반환일시금 이라 하여 중간에 찾은 사람이 있는데 이것을 다시 반환하는 것을 반환일시금 반납금이라 하며 이것은 이자가 있습니다. 만약 여기에 해당되는 분이 있다면 이자를 부담하더라도 이것은 무조건 반납하는것이 매우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같은 개월수 추납보다 몇배 이익 입니다. 반납전 원금+이자부담 총액이 얼마며 , 납부시 이로인한 증액된연금이 얼마인진 알려 줍니다. 금액대비 수익비가 놀라울 정도 입니다.

  • @huntereun7102
    @huntereun7102 7 місяців тому +9

    국가가 아주 도둑넘이네... 제대로 알아야겠네요..ㅎㅎㅎ

  • @user-wy6fn2yx2v
    @user-wy6fn2yx2v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추납 괜히 핸네요 😢

    • @sanglee7877
      @sanglee7877 6 місяців тому +6

      나중에 보험요율 두배로 오릅니다
      미리 낸게 잘한겁니다

    • @user-vf9mp9rd2b
      @user-vf9mp9rd2b 4 місяці тому +1

      마음도 시원하고 좋은 점도
      많아요~^^

    • @user-nj6rw4hv8k
      @user-nj6rw4hv8k 2 місяці тому +1

      먼저 한게 좋아요
      저도 5년전에 했어요

  • @user-ox2ul7jr3j
    @user-ox2ul7jr3j Місяць тому

    더 지랄 같은게 안내면 통장압류ᆢ

  • @user-lg5zj2fc5r
    @user-lg5zj2fc5r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연금 많이 받으면 건보료 폭탄 맞고 기초연금도 못받을. 그냥 먹고 놀아야됨. 연금은 사기입니다.

  • @TV-lr9pb
    @TV-lr9pb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와이프 꺼랑 내꺼 추납 가능한거 다 내고
    군복무 26개월 까지 다 냈는데 이 걸 지금 봤네
    ㅋㅋㅋ 어쩔수 없네

    • @user-kw3st3ri6s
      @user-kw3st3ri6s 5 місяців тому +3

      부부가 백년해로하여 오래오래 사시면 됩니다.

    • @user-vf9mp9rd2b
      @user-vf9mp9rd2b 4 місяці тому +3

      긍정적인 면을 보심 좋아요^^

  • @user-wx2qb5si1v
    @user-wx2qb5si1v 6 місяців тому

    12:58

  • @user-bv5sd7jz8e
    @user-bv5sd7jz8e 6 місяців тому

    😂😂

  • @user-bu7fj3iu2g
    @user-bu7fj3iu2g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만은 도움됏어요

  • @jongjoolim3291
    @jongjoolim3291 7 місяців тому +4

    건강보험 피부양자 를 다 없애고 성 인부터 는 개인별로 건강보험을 부과 해야 한다는 정부 안이 나왔습니다...

    • @wuf8i2bndoqkqnd
      @wuf8i2bndoqkqnd 2 місяці тому

      서민증세를 아주 약아빠지게 걷으려고하네요.부자증세를 그리하지.

  • @user-hv4rx7pq3f
    @user-hv4rx7pq3f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는것을 자꾸 이야기해요
    모르는것 이야기하시길

  • @user-sf5vu2zk7o
    @user-sf5vu2zk7o 2 місяці тому

    이천만원 냈더니 40만원 올랐어요. 깜놀..아마 20대꺼 낸 모양임다.

  • @user-ee1yn1or6u
    @user-ee1yn1or6u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언제 죽을줄알고 돈을 미리내 ? 일찍추납하고 못받아먹을 수도 있고 돈이 필요해도 한번 집어넣으면 다신 못빼는데ᆢ그깟 유족연금 60프로밖에 않되고 내연금을 한푼도 못받고 포기해야되는데 이래뜯기나 저래뜯기나ᆢ

  • @user-cp9vh5mu2b
    @user-cp9vh5mu2b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지금이라도 돌려받고 싶어요.
    젊은 사람들이 무슨 죄입니까?
    국가가 책임져야 하는 부분을 왜 국민이 책임지느냐고.
    불쌍한건 월급쟁이들 입니다.

  • @user-gf5no7nt6r
    @user-gf5no7nt6r 7 місяців тому +20

    보험료율을 15~18%로
    올린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럼
    추후납부 금액을 현행 9%에서
    두배를 더 내야한다는 소리인가요?
    아시는분 답글 부탁드림니다. 😊

    • @user-fm5go7xq1g
      @user-fm5go7xq1g 7 місяців тому +9

      당연하죠.
      납부당시에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적용하죠.
      그래서 지켜보다가 국민연금이 바뀐다고하면 그때 상황을 보고 바뀌기전에 가입할지
      바뀐후에 가입할지
      판단하면 되겠죠.

      연금박사님이 늦게 납부가 좋은이유중
      거치기간을 반영하지않는다고 했는데
      그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거치기간은 반영하지않으나 물가상승률이 상승하고
      살다보면 물가상승률이상 수익을 낸다는것이 쉽지는 않죠.
      그로 낮은금액으로 가입한다면 미리내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낮은금액은 수익률이 좋기때문에 그렇죠.
      그리고 소득대체율이 상승하는 안이 제시되기는 했지만
      글쎄요.
      지금도 연금고갈문제가 있는데
      좀 힘들지않을까합니다.
      근데 올해 소득대체율이 42.5프로인데
      28년도에 40프로입니다.
      저라면 2.5프로라도 소득대체율을 더 적용받는게 좋아보이기도 합니다.
      다만 지금 납부할돈이 없네요.

    • @user-oj6vi2jo4i
      @user-oj6vi2jo4i 7 місяців тому +20

      저도 추납을 일찍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많이내고 소득대체는 줄어드는데 왜 늦게내나요?? 일찍내는게 이득아닌가요??

    • @user-oj6vi2jo4i
      @user-oj6vi2jo4i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user-fm5go7xq1g전 일찍내는게 이득이라 봅니다

    • @happy748612
      @happy748612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보험요율 올린다고 하는데 나중에 내면 12% 15% 너무 금액 많아져요

    • @user-ih5qr1wh6i
      @user-ih5qr1wh6i 7 місяців тому +19

      * 2019년에 110개월 추후납부를 하였음. 추후납부는 추납 시점의 소득대체율을 반영하므로 44.5%의 소득대체율이 적용 됨.
      * 9만원×110개월=990만원을 납입했고, 예상연금액이 18만원정도가 증가함.
      * 결론 : 개혁의 방향이 소득대체율이
      2028년까지 40% 하향이 거의 확실(소득대체율 상향은 없음),
      향후 보험료율 올라서 추납액의 증가 예상되므로
      해가 바뀌기전에
      여유가 되시는 분들은 추납을 고려해 보시는게 맞을 듯 합니다.

  • @user-wo6wp7mk3o
    @user-wo6wp7mk3o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개의원들이 어떻게 할지 모르지만... 아무튼 노령연금에 지장있고 건보료 역시 지장이 생길 수 있으니 잘알아보세요!